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사회복지실천교육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을 중심으로

        강이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변화와 요구를 밀접하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시선에서 학부과정 사회복지실천교육을 면밀히 조명하여, 실천현장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세 가지다. 첫째,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식하는 사회복지실천교육의 목적, 핵심역량,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중점 사항, 필수적으로 다뤄야 하는 실무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식하는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교과목 목표와 교육 내용은 현장 기반 교육으로서 적합한가? 셋째,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식하는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교과목 목표와 교육 내용이 현장에 기반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필요한 변화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를 확인하고자 사회복지실천교육 전반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문항은 개방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복지전문가 3인의 문항 적합성과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35인을 대상으로 배포되었으며, 이 중 연구 참여에 대한 의사를 표현한 26명의 응답을 회신받았다. 이후 1차 델파이 조사 응답을 분석하여 도출된 핵심 문항을 구조화하여 2차 델파이 조사지를 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는 각 문항에 대한 동의 정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6명 모두가 응답하였다. 이후 3차 조사에서는 수정된 문항에 대한 점검과 각 문항에 대한 동의 정도와 시급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동의 정도와 시급도에 따른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사회복지실천교육의 목적과 핵심역량의 핵심 요소는 ‘사람’과 ‘가치와 윤리’였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도 사회복지실천교육이 집중할 것은 사회복지사 본연의 역할이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실천교육에서 사회복지 실무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 언급되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식하는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교과목 목표와 교육 내용은 현장 기반 교육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회복지실천론의 경우 현장성 있는 이론의 깊이 있는 학습과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포함한 구체적인 교육 목표가 추가되어야 할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와 환경, 사람과의 소통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강조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교육 목표로 ‘통합적’인 이해와 실천에 대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으며, 실천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 기법과 기술을 추가해야 함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식하는 사회복지실천론의 교과목 목표와 교육 내용이 현장에 기반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필요한 변화는 ‘변화에 대한 대응’과 ‘이론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필요한 변화는 ‘가치-지식-기술의 통합’과 ‘실천현장과의 협업’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과정 차원의 사회복지실천교육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현장 적용 가능한 교육 형태로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 실무와 학계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현실적인 교과 내용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공유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깊이 있는 실천이론교육과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사회복지이론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넷째, 교수들을 대상으로 현장성 강화를 위한 재보수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복지사 자격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양질의 교육과 평가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 여섯째, 사회복지실천현장과 학계 간의 교육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복지학 전공자의 실천성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교육 리빙랩’을 설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학계는 주도적으로 사회복지교육의 근본적 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학계와 현장의 목소리를 제한적으로 반영하고 있어 향후 학계 중심의 연구를 통해 학계의 고충과 교수자의 입장을 다각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메타분석적인 접근이 미비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과 메타분석을 통해 광범위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통찰을 얻을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자격취득과 관련한 교육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향후에는 다양한 사회복지사들의 참여를 통해 보다 다면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추가적인 초점집단인터뷰나 설문조사를 통해 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서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중복이 나타난 부분이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두 과목 간의 명확한 경계를 확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stemmed from concerns about whether Korea's social welfare education adequately reflects the changes and demands of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s. The objective was to illuminate undergraduate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s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based on field experience. The research questions, derived from the study's objectives, include: First, what are the perceived purposes, core competencies, key issues related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essential practical content in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as recogniz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s? Second, are the cours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and skill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s recogniz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s, suitable for field-based education? Third, what changes are considered necessary in the cours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and skill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to make them more field-oriented? In pursuit of these research objectives and ques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was conducted. Subsequently, a preliminary questionnaire for a Delphi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The objective was to validate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initially open-ended, for relevance and reliability through feedback from thre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The first round of the Delphi survey was distributed to 35 social workers practicing in social welfare fields, with 26 expressing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26 responded, providing responses. Analyzing responses from the initial Delphi survey informed the formulation of core questions, which were then used to construct the second Delphi survey questionnaire. The second round of the Delphi survey involved collecting agreement levels on each question from all 26 participants. Subsequently, the third survey was conducted to check the modified questions and assess the agreement and urgency levels for each item. An IPA analysis was then performed based on the agreement and urgency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re elements of the objectives and core competenc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are identified as 'human' and 'values and ethics'. It emphasizes that, despite diverse societal changes,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inherent role of social workers.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emphasizing practical skills in social welfare practice was highlighted. Secondly, the perceived cours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and skill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re found to be suitable for field-based educa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specific educational objectiv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including in-depth learning of practica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field. Furthermore, emphasis on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community,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with individuals was noted. For skills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re is a need for a focus on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practice, along with the incorporation of practical techniques and skills required in field practice. Lastly, the identified changes required for the cours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to become more field-oriented revolve around 'responding to change'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ory'. Similarly, changes needed for skills in social welfare practice center on 'integration of values-knowledge-skills' and 'collaboration with field practic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ly, there is a need to restructure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and reconstruct it into forms that are applicable to practical field settings. Secondly, enhancing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academia and establishing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a share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alistic curriculum content is crucial. Thirdly,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integration of in-depth practice theory education and its connection with field practice to enhance the theoriz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Fourthly, implementing a retraining education system for professors to enhance practicality is deemed necessary. Fifthly, a comprehensive overhaul of the social welfare practitioner qualification system, introducing a high-quality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 is recommended. Sixthly, building an educational feedback system betwee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academia and establishing a 'Social Welfare Education Living Lab'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among social welfare majors is essential. Finally, the social welfare academic community is urged to take a leading role in efforts towards fundamental changes in social welfare educa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has reflected the voices of academia and the field in Korea's social welfare education in a limited manner; thus, future research should aim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y exploring the challenges faced by academia and instruc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ly, due to the limited application of meta-analytical approaches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utilizing data mining and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a wide range of prior studies, thereby gaining new insights. Thirdly, as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issues related to social worker qualification acquisition, future research should diversify by including participation from various social workers. Fourthly, while this study was primarily condu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additional method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or survey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 to objectively review the results. Lastly, efforts are needed in future research to establish clear boundaries between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and skills, as indicated by the observed overlap in the current study's results.

      • 교육복지사업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교육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안병렬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bout Networking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Focusing o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in Seoul region」 Ahn, Byung Lyu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u-Il) Today the welfare for juveniles and adolescents through education is very important matter in terms of it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national advancement in the future in knowledge driven society. The demand for community educational welfare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sudden change of society. It should not be allowed of careless preparation to positively cope with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lienation, educational maladjustment, and inequality of educational circumstance attributable to income reduction since the financial turmoil, deepening gap in labor market, increase in family dissolution, dwellers escaped from North Korea, foreign laborers,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of countryside, etc.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ies of networking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o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of depressed area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03.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re educational welfare services that provide integral support on education-culture-welfare of the kids of the low-income class and local residents by unearthing local resources with cooperation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and holding in common the resources through networking. In summary, the study focused on establishing a local community of education by enhancing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rough cooperative networking with unearthing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business resources, and informational resources that exist in local community, and analyzed these local resources by distinguishing as interactive trait, structural trait, and functional trait based on relationship and structure. The analysis was studied by the relations, reciprocity, continuity, and diversity for interactive trait; approached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remoteness among doers, and certainty for structural trait; and conducted by the degrees of contribution on purposes and satisfaction on results. Some suggestive points from the analysis were obtained a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manpower who harmoniously connect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s getting of partnership through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m, and as being in need of establishment of a system that can hold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with self-generation though they are formally terminated due to their completion of project term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impossibility of executing various projects because of short of resources in local community, unavailability of diversification of human resources who participate in the projects, difficulty of securing its continuity because of absolute dependency on the office of education for the budget, and insufficiency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om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were provided as: first, surely holding in common the vision and the goal of networking in local community; second, surely enhancing cooperative networking among school to local community, organization to organization of local community, school to family,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o local governments; third, surely expanding a stable basis of networking through legalization; fourth, surely improving steadily the projects with enforcing manpower for executing the networking of local community and with expanding the budget; and fifth, surely raising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of local residents with positive campaigning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projects. In conclus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stablish trust and reliance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eventual purpose, embodiment of educational community in local community, of this project, and it needs to continuously study and develop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welfare for local residents through a conference for periodic operation of cases in connec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of local community. So, it needs to establish a fine system of cooperative networking which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bright future of juveniles and adolescents with making and utilizing excellent local resources. 〈국 문 초 록〉 오늘날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을 통한 아동·청소년 복지는 미래의 국가발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지역사회 교육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의 소득감소, 노동시장에서의 격차 심화, 가정해체의 증가, 북한 이탈 주민, 외국인 근로자, 농촌에서의 국제결혼 증가 등으로 인한 교육소외·교육부적응·교육여건불평등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3년부터 진행중인 빈곤지역의 교육복지사업에 대해 학교와 지역사회간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교육복지사업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하여 저소득층 아이들과 지역주민들의 교육-문화-복지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서비스인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지역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인적자원, 물적자원, 사업자원, 정보자원을 발굴하여 네트워크 협력을 통해 교육복지사업의 활성화로 지역교육공동체를 만드는데 있으며 이러한 지역자원을 관계와 구조를 기본으로 상호작용적 특성,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상호작용적 특성은 관계내용, 호혜성, 지속성, 다양성으로 연구했고, 구조적 특성은 소통방향성, 행위자간 거리, 확정정도로 접근했으며, 기능적 특성은 목적기여도, 성과만족도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시사점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원활하게 연결시키는 전문적인 인력의 필요성을 인식한 점, 상호간에 신뢰와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이 생긴 점, 사업기간이 만료되어 형식적으로 종료되더라도 자생력을 갖고 교육복지사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얻었다. 반면에 문제점으로 지역사회 자원부족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는 것, 사업에 참여하는 인적자원들이 다원화되지 못한 것, 사업예산을 절대적으로 교육청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성 담보가 어려운 것,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부족한 것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첫째, 지역사회네트워크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할 것, 둘째, 학교와 지역사회, 지역사회 기관과 기관, 학교와 가정,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의 네트워크 협력을 강화할 것, 셋째, 법제화를 통한 네트워크의 안정적 기반을 확충할 것, 넷째, 지역사회네트워크 추진 인력의 강화와 예산 확충으로 사업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킬 것, 다섯째, 사업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지역주민들의 만족도와 기여도를 높이는 것 등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구현이라는 본 사업의 궁극적 목적 실현을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간 믿음과 신뢰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다양한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한 정기적인 사례관리 협의회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교육복지 개선을 지속적으로 연구·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수한 지역자원을 만들고 활용하여 아동·청소년들의 밝은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세밀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교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

        안순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state of children in low income family fell into multi-crisis such as a juvenile deliquency exclusion from playing group, school violence, doing poorly at school and poor adjusting to school life. We cannot attribute the increase in juveniles who have no choice but to give up their cherished future dreams caused by absolute poverty to schools only. Such unbalanced educational situations obliged our government to invest resources in the areas where the government designated as the first consideration districts in 2003. The above means that government would endeavor to guarantee actually equal educational balance to the infants, preschool children and teen ages of poor families as well as to solve a relative educational unbalance caused by unequal benefits. Such is the cas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practicing diversified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attend to solve partially such soci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se policies also include schools whose duties are children`s advencement in studying , emotional development, mind controling, health improvement , after-school care. etc.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Dae-Sang elementary school , located Seo-sang-dong Kim Hea, Kyeong sang nam do . The which was designated as an emergent investment area for education from government . This school has steadily decreased students while increasing in the number of beneficiaries. The central school zone is the business district along a traditional market. It means that most of the parents have jobs to lead their lives making it difficult for school teachers to consult kids` parents. Job distributions are these : merchant related jobs are ranked first followed by employees in small businesses . service job next and there are even a lot of parents whose works are irregular , unstable , jobless or temporary. In March 2008, school education committee was founded and selected advisory organs and a direction committee, were newly founded. The selection and care of children who would be concerned with has been done through phone-calling interview , visiting homes and reviewing documents related. For all the above things , all the school children were involved in to avoid the feeling of alienation. To build networking with local institution. a local agreement body was established as well as PR of an education welfare business with opening KIM HAE welfare center. Education welfare programs were applied to 7 areas subdivided in 28 program application . 7 areas are these : study, cultural experience, psycho- emotional , welfare infant ,future-oriented and supply section. The 7 areas has been subdivided 28 programs. All the programs were applied to study satisfaction level of elementary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satisfaction was done through a question-sheet interview, or a question sheet test. Subjects are limited to students , parents, and teachers. Total questionaires given to all the students were all 586 and 553 of them retrieved from them. Just 35 parents and teachers among 498 parents and 38 school facul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evaluation time was expected around July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and around Feb.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satisfaction level was done to students , parents, teachers by question sheets. and it was also done by each item. The respondents were manifested by percentage and analyzed by fre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se : 1. The satisfaction level in school life was improved through positiv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diverse educational welfare related programs. 2. An intimate relationship was formed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and home through widened various participations of local community 3. A technical and systematic students` instruction was possible , which shared instruction examples through cooperations between teachers and teaching specialists in local community, 4. The connection of programs with local areas enables us to help operate a more technical and systematic educational welfare program. 5, Various activities have been done connected with educational welfares in the class through educational welfare involved professors teaching guidanc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6. A classroom program prevented students from being alienated and promoted class cohesion making education investment higher 7. A confidence mood was formed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and everyone began to try to do their best for the stability of school and merry education, Furthermore, it was a starting pointed a really moody school which was satisfying students, parents, teachers as well as local institution .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everal things are needed to be supplemented or continue to pursue. They are these : 1 As the business of supporting for an emergently invested areas would not reveal its effect just for a short time , a long time plans will be necessary for its fruits 2.To yield a meaningful fruit in the field students` educational welfare.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layout the specialists , who have a good knowledge about the community to lead all the year round. 3. To get an effective result in the field of students` educational welfare , a net work between teachers and the specialists of the region will be needed through various meetings or seminars 4, those kinds of social network should be systematic and sustainable to get a good result as an educational social work. 5, The help of institution in the region is inevitable to activate community liaison.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just limited to the elementary school in KIM HEA, So to produce much more generalized survey materials , continuous survey and wide sample should be accompanied which are based on a nationwide scale of the survey area 저 소득층 아동들은 방임과 학대, 가난의 대물림 그리고 학교 부적응이나 학습부진 및 학교 폭력, 집단 따돌림과 같은 다중위기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현실이다. 가정환경으로 인하여 소중한 꿈을 접어야하는 빈곤 및 결손가정의 자녀들이 증가하고 있어 학교만의 문제라고 보기에는 심각한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불균등한 교육여건으로 인해 야기되는 상대적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빈곤가정의 영·유아 및 청소년들에게 실질적 교육 평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이에 교육 당국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 상황을 다소간 해소하기 위해 저소득층 자녀들이 많이 다니는 학교를 중심으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꿈과 용기를 주고 균등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학교로 선정되어 지역과 연계하여 아동들의 학력 증진, 정서 발달, 심성 계발, 건강 증진, 방과 후 보육 등 다양한 교육복지사업을 실천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 김해시 서상동에 위치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대상초등학교로 전교생수는 줄어드는 반면 기초수급자수는 늘어나는 학교이며 중심학구는 재래시장을 끼고 있는 상업지역으로 맞벌이 부부가 많아 학생들의 가정생활지도에 어려움이 많으며 학부모와의 상담도 어려운 상황이다. 직업분포는 상업이 제일 많이 차지하고 다음은 중소기업직원(공장직원),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무직이나 안정적이지 못한 비정규직이나 일용직인 경우도 상당수 있다. 2008년 3월에 학교 교육복지 운영위원회를 조직 하여 지도 기관 및 자문기관 선정하였으며 학교 복지 운영 협의회 조직과 기획 분과 위원회 구성, 실행 분과 위원회 구성, 조사 분석 분과 위원회를 조직과 교육복지부 신설하였다. 대상아동 선정 및 관리는 복지사각아동을 없애기 위한 노력으로 전교생에게 교육복지대상 학교 관련 홍보 안내문과 교육복지 신청서를 배부하였으며 신청한 아동들은 관련서류와 전화면담 및 가정방문 등으로 복지사각지대 아동들을 발굴 하였다. 지역 기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교육복지사업의 홍보와 김해복지박람회도 진행하였으며 지역 협의체도 구성되었다. 교육복지 프로그램은 학습영역, 문화체험영역, 심리정서영역, 복지영역, 지원영역, 영유아영역, 진로교육영역 등의 7개 영역의 28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초등학교 교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를 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는 설문지 면담 및 설문지 질문법으로 하였으며 대상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로 하였으며 전교생586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것은 553명, 학부모 498명, 교사 38명중 3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설문 평가 시기는 1학기 마무리 시기인 7월과 2학기 마무리 시기인 익년 2월로 하였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학생, 교사,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각 항목별로 응답한 인원수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빈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참여와 적극적인 활동으로 학교생활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지역기관의 다양한 참여의 폭 확대로 학교-가정-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형성되었다. 셋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 교사 간 협력활동을 통하여 지도사례가 공유되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학생 지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넷째, 지역사회와의 프로그램 연계활동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복지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다섯째, 교육복지 관련 교수․학습 지도, 교육과정 재구성 등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학급에서도 교육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졌다. 여섯째, 학급 프로그램은 친구간의 따돌림을 예방하고 학급응집력을 높여 학생 교육투자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일곱째, 학교와 지역사회 간 신뢰의 장이 형성되었으며 모두가 하나 되어 행복교육. 행복학교를 위하여 노력하게 되었으며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기관 모두가 만족하고 실질적으로 행복한 학교가 되는 출발점이 되었다. 초등학교 교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계속 보완하거나 추진되어야 할 과제 및 바람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은 단기적으로 그 성과를 보여주거나 검증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추진한다면 보다 나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둘째, 학생교육복지 실현을 위해서 모든 학교에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상설 배치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교육복지가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하여서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 교사가 함께 하는 다양한 연수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협조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 활용 사업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사업으로 이루어져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 연계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지역사회 기관들의 협조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김해시 초등학교에 국한되었으며 일반화된 연구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규모의 조사지역과 대상을 바탕으로 하여 광범위한 표집에 의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적십자 자원복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적십자 성인자원봉사자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정혜숙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원복지활동이 단순히 어려운 사람을 돕는 자선 적 봉사차원을 넘어선 인간의 가치적?질적인 삶을 위한 교육훈련으로 더불어 사는 민주복지공동체문화 창조를 위한 민주복지 시민교육훈련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적십자사에서 제도화되고 있는 자원복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원복지활동에 대한 교육목적과 목표 인식은 잘 하고 있는가? 둘째, 자원복지 교육훈련 대상자들이 교육내용을 잘 수용하고 있는가? 셋째, 자원복지 교육훈련에 대한 교육훈련이수 자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상기의 연구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내 적십자봉사관(8개소: 수원, 의정부, 성남, 이천, 부천, 남양주, 고양, 평택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봉사자 435명 대상으로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복지 활동의 교육목적과 목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대부분의 봉사자가 이타적 동기인 순수한 박애정신 때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봉사자의 자원복지활동이 수혜자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는 긍정적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원복지 교육훈련 대상자들이 교육내용의 수용 여부에서는 가장 미흡했던 과목으로 기본교육이수 자는 봉사원의 자세, 보수교육이수 자는 지역사회와 봉사원의 역할을 그리고 간부교육 이수자는 특강(매년 이슈화되는 사회문제를 지적하였다. 다음단계의 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숙박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높았고,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방법에 대해서는 시청각 교육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자원복지활동을 위하여 봉사자가 더 원하는 교육은 세 집단(기본, 보수, 간부교육 이수자) 모두 봉사대상자를 돕는 전문적 원조방법 및 기술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원복지 교육 훈련의 만족도 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교육과목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봉사활동 이전의 현장실습교육과 봉사대상자를 돕는 전문적 원조방법 및 기술에 대한 만족도 는 불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십자 자원복지 교육훈련이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 봉사자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원복지활동에 계속 참여하게 하는 교육내용(유인체계)으로 기본교육이수 자는 실천체험 후 소그룹 토의를, 보수, 간부교육 이수자는 봉사회(small group)운영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검정 부분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 집단(기본, 보수, 간부교육 이수자)과 제 변수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보수교육 이수자의 봉사활동기간, 교육시간, 수입에 대해서 상관분석을 한 결과 수입이 많은 계층의 사람들이 봉사활동기간이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본교육 이수자의 경우, 문제해결 곤란정도, 봉사활동기간, 교육시간과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교육시간이 많을수록 봉사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이 쉬워지며, 교육시간이 짧을수록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적십자 교육훈련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첫째, 교육 대상자의 대부분이 여자이고 주부가 많으며 거주지 형태도 도?농 복합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상자들을 고려하여 상위단계의 교육훈련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비 숙박 교육훈련 병행과 함께 권역별, 봉사대상별, 분야별로 교육방법의 다양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자원봉사자들이 다양한 복지 수요자들의 욕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자원복지 봉사대상자의 욕구에 대한 이해, 원조방법, 기술, 자원복지 철학을 체계 있게 제시하는 교과목 중심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적십자 교육훈련 방법이 대부분 이론 식 강의교육으로 적십자이념 및 사업, 구호사업. 봉사회 운영을 위한 지식과 기술에만 너무 편중되어 있다. 앞으로 봉사 대상자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 편성은 물론 강의 위주의 이론 교육중심을 탈피하여 체험학습을 목표로 하는 현장실습의 교육확대도 병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넷째, 보수교육 또는 간부교육의 횟수가 년1회만 제공되고 있어 교육의 효과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므로 간부교육이나 지도자과정의 양적인 배출보다는 적정한 대상자를 선발하여, 최소 6개월 이상 또는 1년 기간과정으로, 분야별 전문분야에 대한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속적 교육을 실시하여 봉사회 운영 또는 봉사활동 현장에서 중간 지도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적십자사의 사회복지사업은 주로 자원봉사자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현재 적십자사의 전국자원봉사자가 6만 여명 이상이며 경기지사소속 자원봉사자만도 5천명에 이른다. 그 동안 적십자 자원봉사자들이 자원복지활동에 참여하기 쉬운 것은 그 사업의 성격이 대부분 구호 적인 것이기 때문에 전문적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의 전망은 사회복지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에 부응하는 자원봉사자 교육훈련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므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현상학적 기초모델」에 근거한 교육훈련방법을 시도하여 공동의 복지목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discussed that volunteer welfare activities should break away from simple voluntary services and evolve into educational training designed for the quality life of human beings and into democratic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cause of creating the culture of democratic welfare commun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designed to grasp the problems of voluntary welfare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innovations.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are the objectives and goals of education of voluntary welfare activities well perceived? Second, do the trainees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rd, how much are they satisfied with voluntary welfare educational training?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worked with a total of 435 volunteers located in such areas as Suwon, Uijeonbu, Seongnam, Icheon, Bucheon, Namyangju, Koyang, and Pyongtaek, etc. with the help of purposive sampling.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s that most of the volunteers take part in activities out of unselfish motives, and that the subjects responded positively that their service activities do good to beneficiaries. Second, what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raining includes the following subjects: volunteers' attitudes in the eyes of basic-education trainees; the roles of communities and volunteers in the eyes of complementary-education trainees; social issues in the eyes of managing-staff educational trainees. They turn out not to take part in next step education because of the problems of lodging, and they show a most preference of audio-visual education as the most effect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s. All the three groups of the subjects(teachers, vice-masters, and masters) want to be educated in regard to the professional methods and techniques of helping beneficiaries. Third,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voluntary-welfare educational training, but are not satisfied with the professional methods and techniques of helping beneficiaries. The subjects attribute the failure of voluntary welfare training to be of some help to shortage of training designed for the enhancement of volunteers' talents. Basic-education trainees and managing-staff educational trainees cited practical experience based small-group discussion and the operation of small groups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Fourth, the findings in regard to testing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The surve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rainees and three variables such as voluntary activity period, educational hours and class reveals that subjects with more incomes serve longer.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educational trainees and three variables such as problem-solving difficulties and voluntary activity period and educational hours indicates that the longer education is, the easier it is to solve problems coming from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and that the shorter education is, the harder it is to work out problems related to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the basis of findings above. First, most of the volunteers are housewives who live in an area with a combination of cities and countrie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without the needs of lodging and that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by location, beneficiary and area. Second, innovations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curricula presenting an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beneficiaries, helping methods, techniques and voluntary welfare philosophies in order to cope appropriately with the needs of welfare beneficiaries. Third, the methods of Red Cross education and training have been focusing too heavily on the ideas of Red Cross, its enterprise, relief activities and the operation of volunteers' groups. Practical experience should go hand in had with the established methods of education so that volunteers may be possessed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s. Fourth, complementary education and managing-staff education leave something to be desired for they are conduced only once a year. Breaking away from trying to educating as many trainees as possible, those concerned should select a proper number of trainees for the education of half a year or a year in an effort to make trainees work as intermediate leaders. In conclusion,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of the Red Cross are mainly conducted by volunteers. The institution has over 60.000 volunteers, and its Gyeonggi chapter only has 5,000. It has been easy to take part in voluntary activities so far because the enterprises have not been characterized by professional service, but by relief. Yet educational training for volunteers should evolve as the expertise of social welfare is in much need. In this context, the methods of education training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basic models in order to materialize the objectives of common welfare.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은선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ve business in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surveyed 271 of elementr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Korea. As the result,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as followings: First, recognize to be education welfare room if examine path that use education welfare room thread according to utilization present condition was expose that appear highest 'While pass accidentally'. Second,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satisfaction facility·environment·atmosphere, community specialist's professionalism to be program content, education welfare program type satisfactio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and effect gender was expose that exert effect that do relevant. Third, to effect province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if examine school life dog improvement problem solving ability by investigation target person's general special quality school year appeared to do relevant distinction of sex, family values, economical level, school record took effect as do not meaning Sign of the Cock as statistical. and, recognize to be education welfare room to utilization present condition degree utilization time appeared as do not keep in mind as statistical. Fourth, in effect that satisfactio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gets in the effect-nature by effect that school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satisfac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gets in the effect-nature facility · environment · atmosphere to be content of program, education welfare room appeared to do relevant as statistical in community specialist's professionalism. With this study finding user satisfactio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and effect gender height is as following if present way. First, individuation counseling, group counseling, economical help by program although is supplying event activity, various mind examinations, program such as volunteerism most students are economical help or event activity etc is focusing much in one time sex program. to students through little more various program development must consider program practical use way that can become persistent and substantial help. so that can participate actively through motivation, need effort that can offer an opportunity. Second, facility of education welfare thread·environment·atmosphere by effect that much satisfactions get in the effect-nature in satisfaction whole of education welfare thread makes environment·atmosphere freely students must do so that become place that can retrieve comfortably. Third, for incentive grant·professionalism height about community specialist's business research study opportunity extension·full text job field human desire, status raising about community specialist etc. substantial actions that have caused participation motive must consist variously.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is activated and is institutionalized in government dimension for community specialist's job security must help so that legislation anger may consist. Fourth, about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business need active and effective public information. to do community specialist as well as a student to principal of a school, teacher, students' parentses education welfare room thread through public information must do so that can improve awareness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프로그램을 경험한 초․중학생271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복지실 인지도 및 이용현황에 따라 교육복지실을 이용하게 된 경로를 살펴보면 ‘우연히 지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만족도는 프로그램 내용, 교육복지실 시설․환경․분위기, 지역사회전문가의 전문성, 프로그램 유형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성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개선과 문제해결능력을 살펴보면 학년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성별, 가족관계, 경제적 수준, 학교성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교육복지실 인지도 및 이용현황에는 이용정도, 이용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넷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만족도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개선, 문제해결능력의 만족도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복지실 시설․환경․분위기, 지역사회전문가의 전문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이용자 만족도와 효과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으로 개별상담, 집단상담, 경제적 도움, 이벤트 활동, 각종심리검사, 자원봉사 등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고 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제적 도움이나 이벤트 활동 등 일회성 프로그램에 많이 치중하고 있다.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 활용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동기부여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복지실의 시설․환경․분위기는 만족도에 많은 만족도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교육복지실의 전체적이 환경․분위기를 자유롭게 하여 학생들이 편안하게 찾아 올 수 있는 장소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전문가의 업무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전문성신장을 위한 연수기회 확대·전문 직무분야 인정, 지역사회전문가에 대한 위상 제고 등 참여 동기를 유발해 낼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활성화되고 제도화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전문가의 신분보장을 위해 정부차원에서 법제화가 이루어지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전문가가 학생뿐만 아니라 학교장, 교사, 학부모들에게 교육복지실을 홍보를 통하여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엄세영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은 사회적 양극화에 대한 해결점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사회적 양극화 현상이 점점 더 심화되는 원인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의 차이를 인정하고, 저소득층의 자녀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주고자 외국에서 도입한 개념 이였다. 그러나 충분한 수요조사가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입한 사업은 초기의 사업대상자로 고려되었던 선정 지역의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이 사업진행과정에서 선정지역의 전체 아동·청소년으로 변화되면서 초기에 기대했던 효과를 도출하는 것은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는 사업 대상자가 변화하였음에도 사업목적 및 기대효과는 최초 사업 시행 시 기대했던 것과 바꾸고 있지 않다. 게다가 투자지역의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성공한 사업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초 사업 수립 시에 지향하는 양극화 현상을 교육기회의 균등 한 배분으로 해결하겠다는 원래 취지를 생각한다면 이 사업의 방향은 잘못 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최초 정책의 변화가 있었음에도 교육인적자원부가 예상했던 학습, 문화, 심리·정서, 복지 등의 다양한 영역의 효과가 선정 지역의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에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현재시점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 사업 진행과정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자 한다. The Improvement Plans for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olicy Investment was suggested as a solution to social polarization. Particularly, this project originated from the concept introduced from overseas with the aim to give an equal opportunity to receive education to the children of the low income bracket with the acknowledgement of discrepancy in the opportunity to get education as the reason for the more deepening of social polarization trend than ever. However, it is unlikely that the introduced project in a circumstance where an adequate demand survey wasn't made can deduce its initially anticipated effect with the transition of the initially considered project beneficiaries-children and adolescents of a low income bracket at a selected district-into all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at a selected district in the process of project progress.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n't yet switched its project objective and anticipated effect with its initially anticipated effect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left in spite of the change of the project beneficiaries. Besides, they are assessing this project as a success on the ground that there came out a good response from a demand survey on all the school students at an investment district. However, considering the original effect that ever-widen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could be solved by an equal distribution of opportunity for education in time of setting up an intial project, it may be right to say that the direction of this project is wrongly conceived.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whether the effect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itially anticipated in a variety of sectors, such as learning, culture, psychology, emotion, and welfare, etc. is actually emerg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t low income bracket of the selected project district, and consider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upcoming process of project progress by deriving the point at issue appearing at the point of the present.

      • 제도적 환경의 영향과 교육복지우선지원 학교조직의 대응 양상에 대한 질적 연구

        전다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that i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organization that operates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the aspects of confront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micro-neoinstitutionalism. This was prompted to explore a practical change in the school curriculum, in which school organizations are asked to conduct a welfare functions as well as educational functions. These practical changes are conducted by the interactions of institution and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 school organization, and for deep analysis, this study has been discussed by selecting a specific case. This study is setting up research issues such as : First, what i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chool organization and how do that affect the school organization? Second, how does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chool organization respond to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chool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formal and informal environments, and the result was discussed by the effects of the consequences. The effects of formal institutional environments are five. First of all, the impact of the “budget split” phenomenon has led to a reduction in efficiency. Second, the task allcation method has disrupt the ‘teaching and learning’ that is a core technology of school organizations. Third, the education welfare community was symbolized according to the normative pressure of the professionalism. Fourth, the ‘teacher circulation system’ has impeded the smooth institutionalization in the school organization. Fifth, the operational model centered on the ‘lack perspective’ revealed the fundamental limits of dispensational services. And the effects of informal institutional environments are three. First, the school culture center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ed as a intangible protective barrier surrounding the school organization to a connection between welfare and education functions. Second, the effect of the uncooperative domestic environment has been shown to hinder the revitalization of the project’s operations. Third, the positive attitude and open notion of the school superintendent to Educational welfare have become a source of momentum to the project. And the following illustrates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confrontation responding to institutional influences as a Oliver’s theoretical model. Concerning to the formal institutional effects, the school adopted a variety of strategies such as Bargain, Buffer, Conceal, Comply, Challenge. And concerning to the informal institutional effects, the school adopted a strategies such as Pacify, Challenge, Comply. Such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in a view that the school organization can’t simply bring about one form on the institutional impacts, but it can deal with in a more aggressive manner. And these strategies are conducted by the “Power” that is establishing and changing the institution, and it emphasizes on the understanding the interests and political implications surrounding educational financial program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have been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mitigate institutional regulations to encourage an autonomous and systematic reform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chool organizations. Secondly, the support system for out of school surrounding students needs to be faithfully fulfilled. Third, the project needs to be diversified to provide welfare connection programs for teach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dership skill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Fifth, the authorities, the schools and the people in school are required to establish a practical perspective on education welfare. Keyword : Institutional environment, Neoinstitutionalism,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 organization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조직이 그를 둘러싸고 있는 제도적 환경의 영향에 대해 미시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어떠한 대응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이는 학교조직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부터 기존의 교육적 기능에서 나아가 복지적 기능을 수행하기를 요청받고 있다는 점에서, 학교 교육과정 상에 실제적인 변화가 나타나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실천적 변화는 학교조직의 장(Field)에서 제도와 행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지는데, 심층적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는 특정 사례를 선택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있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조직을 둘러싼 제도적 환경은 무엇이고, 학교조직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조직은 제도적 환경의 영향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A 초등학교를 연구대상 학교로 선정하였다. A 초등학교가 소속된 △△구교육지원청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연구자료, 정책보고서, A 초등학교 연간 교육과정 운영계획표 등의 문헌 자료를 분석하는 한편, A 초등학교 관리자와 사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개방코딩 과정 후 분석 매트릭스를 통한 심층코딩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교육복지우선지원 학교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제도적 환경을 공식적 제도적 환경과 비공식적 제도적 환경으로 나누어, 그 영향으로 인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공식적 제도적 환경의 영향은 다섯 가지이다. 첫째, 교육지원청 운영 지침의 영향으로 ‘예산 쪼개기’ 현상이 일어나 효율성이 약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 1인 1업무 배정방식으로 인해 학교조직의 핵심기술인 교수-학습을 방해받는 양상이 나타났다. 셋째, 전문적인 교육복지공동체 형성에 대한 규범적 압력에 따라 교육복지공동체는 상징화되었다. 넷째, 교원순환근무제가 학교조직 내 사업의 원활한 제도화를 방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결핍 관점을 중심으로 하는 운영모델로 인해, 수혜형 사업의 근본적 한계가 드러났다. 한편 비공식적 제도적 환경의 영향은 세 가지이다. 첫째, 교수-학습 중심의 학교조직 문화가 학교조직을 둘러싼 무형의 보호막으로 작용하여 복지적 기능과의 연계를 막고 있었다. 둘째, 비협조적인 가정환경의 영향이 사업 운영의 활성화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태도 및 관념이 개방적이고 긍정적이기 때문에 사업 추진력의 원천이 되었다. 위와 같은 제도적 영향에 의해 학교조직은 디커플링 전략을 활용하여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Oliver(1991)의 전략적 대응 방법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더욱 다양한 대응 양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공식적 제도적 영향에 대해 학교조직은 거래(Bargain), 완충(Buffer), 숨김(Conceal), 순응(Comply), 도전(Challenge) 등 다양한 대응 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비공식적 제도적 영향에 대해 완화(Pacify), 도전(Challenge), 순응(Comply) 등의 대응 전략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교조직이 제도적 영향에 대해 단순히 하나의 형태로 귀결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변화 기제를 가지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응 전략은 제도를 형성하고 변화하게 하는 ‘힘’에 의한 것으로, 재정지원사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와 정치적 작용에 대한 이해가 조직 연구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 학교조직에서 학교교육의 자율적인 혁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적 규제를 완화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을 둘러싼 학교 밖 지원체계가 충실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이 대상을 보다 다양화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복지 연계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복우 사업을 총괄하고 기획하는 리더들의 리더십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복지의 실천적 관점을 확립하기 위한 민·관·학의 공동노력이 요구된다. 주제어 : 제도적 환경, 신제도주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조직

      • 교육복지 대상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과 WE Start 사업의 비교

        김신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betwee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nd We Start, which is a well-known Educational Welfare Project and WE Start Project in term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on their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survey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Gyeunggi, and Gangwon provinces where carried out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and children from WE Start village. 360 surveys from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test to confirm the ga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by the type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o the gap between social supports for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recognize by the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social support of We Start Proje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This is because social workers of We Start have more opportunities to meet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than those of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Second, self-efficacy by the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has shown non-significant gap. However when it comes to a comparison of averages of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ttending ordinary schools in the final research report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both of students who are getting social support from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and We Start project show high averages of self-efficacy. So it means that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of children. To compare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by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that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recognize on self-efficacy, this study made a regression analysis of all recipients participated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nd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by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o perform the regression analysis,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family type, economic activities of parents and grade were put into th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an independent variable like social support by social supporters an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of all categories and sub-factors of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resiliency of efficacy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of teachers did not give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except resiliency of efficacy. It seems becaus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is low and teachers are not able to have an influence mostly on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due to a character of teachers that they need to meet many children. Second, support of social workers mainly in WE Start proj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resiliency of efficacy. This indicates that activists of WE Start roject provide services in their own field and run a business in a way that sharing information of children through regular case management meetings while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under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should take charge of the whole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such as planning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lone and forming a local community network. Consequently because social workers of WE Start have more chances to meet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than those of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it is relatively easy to make the recipients be aware of social support from social workers of WE Start. Third, results showed that support of families and friends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and sub-factors in education and welfare support projects and WE Start as well as in the whole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us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should provide support of family to children by making programs for families of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lso it is necessary to secure various social supporters to become a role model to children and to help children build a sound peer relationship. Based on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teachers under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should be enhanced. And the appropriat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In addition, with development of programs for non- recipients of Educational Welfare to make them participate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non-recipients can share benefits of educational welfare services for children in the low-income class. So teachers can make an improvement in the awareness of people that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create a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them. Second, to show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for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e opportunities to meet children should be increased and social workers should share their work by building up teams. Educational Welfare team should be consist of professional labor force who will take charge of a local community network and who will focusing on the case management of children to understand desires of children and to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o them. However even though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in a long-term plan basis, unstable status of activists of Educational Welfare makes them hard to purse long-term projects. Thus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status of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for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a design and implement of long-term projects. 본 연구는 교육복지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사회적지지가 교육복지 대상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교육복지 사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WE Start 사업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경기・강원지역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와 WE Start 마을의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360부를 SPSS18.0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복지 사업의 유형에 따라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 대상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육복지의 사업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WE Start 사업의 사회복지사의 지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WE Start 사업의 사회복지사가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에 비해 아동을 만나는 기회가 많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교육복지 사업의 유형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의 종단평가에서 일반학교의 빈곤학생의 자기효능감의 평균을 비교했을 때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과 WE Start 사업의 평균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복지 사업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복지대상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한 교육복지 사업의 비교하기 위하여 교육복지사업에 참여하는 전체 아동과, 사업의 유형별 대상아동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 분석을 위하여 성별, 가족유형, 부모의 경제활동여부, 학년을 통제 변수로 투입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지지를 지지원에 따라 분석하였고, 종속변수 또한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학습효능감, 사회성효능감, 어려움 극복효능감에 대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원과 관련하여 교사의 지지는 어려움극복효능감을 제외하고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지 못하였다. 이것은 교육복지 사업의 교사의 참여가 낮으며 많은 아이를 만나야 하는 교사의 특성상 교육복지 대상아동에게 집중하여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지지는 어려움극복효능감을 제외하고는 WE Start 사업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WE Start 사업의 실천가들은 자신이 담당하는 분야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기적인 사례관리 회의를 통하여 아동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반면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교육복지 사업을 계획하고, 지역사회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교육복지사업 전반을 담당해야하기 때문이다. 결국 WE Start 사업의 사회복지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 보다 아동을 만나는 기회가 많아 대상아동의 필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WE Start 사업의 대상아동은 사회복지사로부터의 사회적지지를 더 쉽게 지각할 수 있었다. 셋째, 가족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는 교육복지 사업전체에서 뿐 아니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WE Start 사업에서도 자기효능감과 그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복사업은 대상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제공하여 가족이 아동에게 지지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건전한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아동에게 역할모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 사업에서 교사의 역할의 확대되어야 한다. 교육복지 사업의 현장에서는 교사의 교육복지 참여를 도모하기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 비 대상아동이 함께 교육복지 사업에 참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빈곤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복지 서비스의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여 교사로 하여금 교육복지 사업이 역차별이라는 인식을 개선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복지 사업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을 발위하기 위해서는 아동과의 만남의 기회를 늘리고 팀을 구성하여 업무의 분담해야 한다. 교육복지 팀은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인력과 대상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를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전문인력으로 구성하여 대상아동의 욕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육복지 프로그램이 장기적인 계획을 통하여 추진되어야 함에도 교육복지 실천가들의 불안정한 지위는 장기적인 프로젝트의 추진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교육복지 사업의 종사자의 지위를 보장하고 업무 환경을 개선하여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진행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교육복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WE Start, 교육복지 사업의 비교,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 (假稱) 敎育福祉法 制定에 관한 硏究

        이소영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사회 변화에 따른 계층간 소득 격차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외환 위기 이후의 소득격차, 노동시장에서의 격차가 심화됨에 따라 계층 간·지역 간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교육 소외 계층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불평등의 심화, 교육 소외 집단의 증가 등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교육복지 정책 추진을 위한 통합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假稱) 敎育福祉法” 제정 계획을 수립하였다.이에 본 연구는 (假稱) 敎育福祉法의 실질적 구현을 위해서 새로이 제정되는 敎育福祉法(안)의 憲法的 원리를 살펴보고 관념, 법제 연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2장에서는 敎育福祉法(안)의 가장 기초가 되는 敎育福祉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敎育福祉를 “모든 국민에게 일정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개인 및 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육 소외·부적응·불평등 현상을 해소하여 모든 국민이 각자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교육을 받음으로써 잠재 능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도록 제반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3장에서는 敎育福祉法(안)의 헌법적합성을 분석하였다. (假稱) 敎育福祉法의 직접적인 법 이념적 근거가 되는 것은 憲法 제 31조의 교육을 받을 권리이다. 또한 문화주의 원리, 복지국가 원리, 인간의 존엄과 가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에서 憲法的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생각건대 그 중 (假稱) 敎育福祉法의 중요한 근거는 교육을 받을 권리와 함께 인간의 존엄성 규정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서 찾을 수 있겠다.4장에서는 敎育福祉法(안)을 살펴보았다. (假稱) 敎育福祉法의 입법체계에 있어서는 (假稱)敎育福祉法이 교육기본법, 인적자원개발기본법, 사회보장기본법과 하위 법령과의 전체적인 입법구조를 감안할 때, 교육기본법 하위에 위치하는 것이 타당하고, 憲法과 교육기본법의 교육복지 관련 사항에 대한 기본원칙 하에서 敎育福祉에 관련한 국민의 권리 보장에 중점을 두고 그 충실한 보장을 위해 필요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와 책임을 규율하는 수준이 타당하다고 본다.5장에서는 敎育福祉法(안) 내용을 통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구체적으로 이 법이 초·중등교육 정책 수립 및 시행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자율성이 확대됨에 따라 교육복지 정책 추진의 실효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알 수가 없다. 둘째, 敎育福祉法(안) 제5조(교육복지정책 추진 재원)에서는 교육복지정책 추진 사업에 필요한 재정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하여야 한다는 규정은 두었으나 이 재원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마련이 되는지에 관한 사항은 들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기금을 형성하여 민간부문에서 교육 분야에 취약계층의 지원을 위한 사업에 쓰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敎育福祉 업무를 수행할 전문적인 인력과 이들의 운용방법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假稱)國家敎育福祉委員會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假稱) 國家敎育福祉委員會가 실질적인 委員會가 되기 위해서는 상설위원회로서 교육복지 연구개발, 추진체계에 대한 점검, 사업 내용 점검, 평가 등의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교육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결과적으로 복지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회적 통합을 이루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제도이며, 효과적인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론이다. 그런 결과로 敎育福祉法(안)은 敎育福祉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교육복지 기본계획 등의 사항을 규정하는 법률로 敎育福祉의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假稱) 敎育福祉法의 제정을 통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일관성 있는 교육서비스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바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