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참여 동기 및 교육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미아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장애인야학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야학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 그리고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장애인야학의 질적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알아본 결과, 활동지향성 참여 동기의 평균 M(SD)이 4점 만점에 3.18(.55)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의 평균 M(SD)이 3.06, 목표지향성 참여 동기의 평균 M(SD)이 2.42(.77)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자 학습자 집단이 남자 학습자 집단에 비해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61세 이상 집단과 무학 집단의 학습자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목표지향성 참여 동기는 낮았으나 활동지향성 참여 동기와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입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목표지향성 참여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등급이 1∼2급인 집단의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가 다른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지체장애인이 다른 집단에 비해 목표지향성 참여 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비수도권에 위치한 장애인야학의 학습자가 수도권에 위치한 장애인야학 학습자 집단보다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저해 요인을 알아본 결과, 기관적 요인의 평균 M(SD)이 4점 만점에 2.8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황적 요인(M=2.41), 성향적 요인(M=2.35)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야학의 학습자들은 상황적인 이유나 성향적인 이유보다는 기관적인 요인(기관의 특징)에 의해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장애인야학 학습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 저해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매우 나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성향적 요인이 높게 나타났고,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학습자 집단이 도시나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학습자보다 참여 저해 요인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교육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4점 만점에 전체 평균 3.18로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를 다시 교육만족도의 구성 요소별로 살펴보면, 이용방법에 대한 만족도(3.42),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3.17),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3.13),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3.11),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3.06)의 순으로 나타나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한편 장애인야학 학습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별로는 51세 이상 집단, 학력별로는 중졸 이하 집단, 장애유형및 등급별에서는 뇌변변장애인과 장애등급 1∼2급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야학의 질적 발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논의 결과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활동지향성 참여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감안해 볼 때, 향후 장애인야학은 검정고시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습자들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수한 프로그램은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유도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인이기 때문이다. 둘째, 장애인야학 학습자들은 기관적 요인으로 인해 평생교육 참여에 방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들 중 직장에 다니면서 야간에 야학에서 공부를 하는 장애인은 실제로 많지 않음을 고려해 볼 때, 야간뿐 아니라 주간에도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야학에서 더 많은 교육활동을 경험하고 사회적 교류 및 사회참여 경험을 넓혀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야학 학습자들의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고려해 볼 때, 야학 교사가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시급해 보인다. 장애인 야학 교사가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국립특수교육원이나 향후 설립될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이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교육 및 연수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또한 특수교육 전문 지식과 경험을 축적한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실버 자원봉사단’을 조직하여 장애인야학 교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유형과 연령대의 장애인야학 학습자들의 교육만족도를 상승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participation motives,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hindrance factors discouraging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learners who attend ‘Night School for the Disabled’ sponsored by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figures of the survey analysis, qualitatively improved measures concern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ill be presented.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s have been done among 332 respondents attending Night School for the Disabled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surveys were analysed. The followings are the significant outcomes from the surveys. First, as for the participation motive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average M(SD) of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motive showed 3.18(.55) out of 4, the highest, and that of learning-oriented showed 3.06, and goal-oriented 2.42(.77) in sequence. As for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motive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oup of women learners showed higher level in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than men learners group did. Senior (over 61 years old) and groups of uneducated people showed lower level in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but showed higher figures in both activity-oriented and in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than those of other groups. Group with financial income showed significant higher figure in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than that with non-income did. Group with higher disability rating(rating 1-2) showed lower level in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than those of other groups, and level of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of physically disabled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Finally, group with noncapital region learners attending Night School for the Disabled showed higher figure in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than that of the group with capital region learners. Secondly, as for the hindrance factors discouraging participation to Lifelong Education Program being faced by disabled learners, the average of facility factor showed 2.84(.62) out of 4, circumstantial factor showed 2.41, and dispositional factor 2.35. In other words, the facility factor turned out to be the main participation hindrance factor among other factors. As for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hindrance factor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oup with people subjectively judging they are in bad health showed higher level in dispositional factor than other groups, and group with city dwellers was proved to recognize hindrance factors more sensitively than group with rural dwellers. Thirdly, as for the learners’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survey showed overall higher score, i.e. 3.18 out of 4. The levels of five elements which make up this level of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how to use facilities’ showed 3.42, in terms of educational facilities 3.17, in terms of instructors 3.13, in terms of contents of learning 3.11, and in terms of teaching method 3.06. These levels showed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should be improved. Judging from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of over 51 years old, and the group of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people not completing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group of rating 1~2 of brain-disabled showed the lowest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First, considering the highest level that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disabled learners showed, it is highly suggested that Night School for the Disabled should break the status quo confined to education for qualification exam and should develop, carry out, and evaluate high quality program corresponding to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demand. It is because qualified program is core factor which encourages adult disabl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condly, as it is proved by the surveys that Night School learners are discouraged to attend Lifelong Education Program due to the facility factor, and considering there are few learners who attend Night School because of their job,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 be presented in the daytime as well as at night so that they can experience much more educational activities, and expand chances of having social interchange and raise public participation. Finally, judging from the relatively low level of satisfaction in teaching method which the learners expressed, it is urgently required for the instructors to acquire professionalism. In order for the Night School instructors to obtain professionalism, both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and ‘National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Promotion Center,’ (which will be established sooner or later) should offer them systematic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also necessary to organize, for example, ‘Silver Volunteer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composed of retiree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special education, and to let them act as instructors and advisers in Night School. In this way, instructors working in Night School could be able to acquire professionalism and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disabled learners with various types and age could rise as well.

      • 교회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분석

        김희선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대해 어떤 구조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회 평생교육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도움을 주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회 평생교육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 교회 직분, 직업, 참여 기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는 교육만족도와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교육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은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학습자들로 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수도권에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현재 운영 중인 총 10개의 교회를 선정하였다. 설문지 배포는 오프라인 설문지로 진행하였으며, 총 370부의 설문지 중 332부를 회수하였고, 320부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한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으로는 AMOS 23, SPSS 23,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평균 및 표준편차, 정규성 검증, 연구 변인의 타당도 분석, 하위변인 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test와, One-Way ANOVA,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측정모델의 타당성 검증, 연구모형 검정을 통해 직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첫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연구대상자의 연령별로는 최소 20세에서 최대 60세 이상의 대상자 320명 중 40대 이상이 78명(24.4%)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고, 교회 직분별로는 집사가 118명(36.9%)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이 174명(54.4%)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별로는 주부가 83명(25.8%)으로 가장 많았고, 마지막으로 참여 기간별로는 6개월 미만이 107명(33.4%)으로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둘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는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에서 먼저, 참여동기는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는 학습몰입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동기는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교육만족도는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으로는 교육만족도가 학습몰입에 매우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은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활용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다양한 교회의 환경에 맞추어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회 평생교육이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 평생 교육사를 양성하여 교회교육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의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Analysi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Church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mmersion in Learning, and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goal, I’ve tried to offer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irst, I worked on what the differences are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ge, academic background, position in church, occupation, participation period). Second, I worked on whether th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e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mmersion in learning, and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ird, I worked on whet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ed learning immersion and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Fourth, I worked on whether the participants’ immersion in the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ed their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e population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dult learners aged 20 or more who participated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a total of 10 churches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he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offline and 332 of the 370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nd the 320 valid answers were us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AMOS 23, SPSS 23,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Normality Verification, Study Variability Analysis, Surve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Validation of Feasibility Model,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se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showed that 78 people (24.4 percent) were in their 40s or older among 320 people aged 20 to 60 or older. Deac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participants, with 118 (36.9 percent).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174 people (54.4 percent) graduated from universities. By occupation, 83 housewives (25.8 perc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107 participants (33.4 percent)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for less than 6 months were on the highest position in terms of participation period. Seco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first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and participation rate and motivation also showed a great influence on learning immersion. However,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s learning immersion and particip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Education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Fourth, the immersion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has been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closely related. And in order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quality programs in various church environments, train lifelong educators, have expertise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church, and operate church education professionally. Subsequent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learners participating in churc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other regions to compare the differences.

      • 뷰티살롱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교육훈련 실태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 P 프랜차이즈 중심

        이경숙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뷰티살롱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교육훈련 실태에 따른 교육을 통한 만족도에 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며 프랜차이즈의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한 종사자의 교육효과와 교육만족도를 밝혀 전문 인재양성을 하며 미용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본 연구방법은 국내연구, 인터넷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미용산업의 발달과 교육훈련기관의 미용교육의 발달을 통한 특성과 훈련실태에 따른 교육만족도를 높여 인재양성을 하기 위해 미용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서울, 경기, 인천, 대전, 광주, 부산, 대구 P-미용프랜차이즈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47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자료는 t-test와 분산분석로 모든 분산분석의 사후검정을 통한 던컨테스트(Duncan Test)가 실시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을 검증한 결과 자격증 취득한 경우가 379명(79.8%)로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 취득 여부는 비 취득 여부의 경우와 직무교육 만족도에서 유의하지 않았고 현 직장의 근무기간은 1년에서 3년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미용경력은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종사자가 많았으며 직위는 디자이너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의 직원 수는 프랜차이즈 매장의 평수를 고려해 보면 평균 10명 이상에서 15명 미만과 15명 이상에서 20명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교육 실태는 직무교육 실시여부, 월평균 교육 횟수, 교육 형태, 교육의 문제점, 교육비용의 부담형태, 월평균 교육비용으로 구분하였다. 직무교육 실시를 검증한 결과로서는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가 99.2%로 높게 나타났으며, 월평균 교육 횟수는 1-2회와 3-4회가 각각 42.0%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 형태는 이론과 실습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의 문제점은 체계화되지 않은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일대일 방식의 교육이 아니므로 개인에게 맞출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교육비용의 부담형태는 본인부담반과 매장 부담 반으로 50%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교육비용 5만원 미만은 30.4%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의 교육을 받는 경우로 교육비의 지원을 통해 낮은 교육비를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후 향상 된 점은 기술향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장소는 본사교육장과 근무지에서의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교육 만족도의 차이는 직무교육 만족도를 검증한 결과 교육요인, 교육진행, 이론내용, 실습내용, 강사, 단계별이수와 테스트로 나누어 보면 교육요인 (M=4.59)에서 교육의 필요성과 단계별 교육의 필요성은 조사자 모두 ‘필요하다’라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현 직장의 근무기간을 검증한 결과 5년 이상 근무기간의 종사자의 직무교육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미용경력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의 경우 5년 이상 종사자가 높게 나타났고, 경력이 높을수록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보이고 있으며,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직위의 경우 원장 및 관리자들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직무교육 만족도의 차이에서 월 평균 교육횟수을 검증한 결과 1-2회, 3회-4회, 5회 이상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교육형태를 검증한 결과 기타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교육의 문제점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기타의 경우는 습득위주의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비용의 부담 형태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의 차이의 경우 본인 반과 태를 반부담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본인부담의 경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교육비용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의 차이의 경우 10만원 이상에서 15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의 경우 성별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는 연령 30세 이상의 경우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단계별 교육내용이 경력에 맞게 이루어졌다’가 -3.474로 연령 30세 이상의 경우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력에 따른 직무교육 만족도의 경우 대학교 재학 이상 종사자의 경우 직무교육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는 1990년대 이후 급격히 전문대학과 전문과정이 늘어나면서 학력이 높아졌기 때문에 대학교 재학 이상자의 학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미용프랜차이즈 종사자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고 인재양성과 기업의 발전을 위한 개발하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교육 만족도에 있어 직무교육은 종사자에게 정확할 레벨 테스트를 통해 경력별·단계별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일대일교육 방식과 같이 소수로 운영하여 이해도와 실력향상을 위해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이수 후에 결과에 대한 포상을 주어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며, 이수과목에 따라 포괄적인 포상제도가 갖추어져야 하며, 단순한 기술습득이나 이론 위주의 교육이 아닌 미래 This study is for the empirical proof of beauty business employees’ training satisfaction by the job attributes and the training condition. Also it is for helping the improvement of beauty business and the development of experts by proving the training effect and satisfaction of franchises’ systematic training. First method is data collection about the growth of beauty business and the quality of training institutes through internet. Second method is the survey for the beauty business employees. The study results the improving way based on these researches. I used 475 samples among the surveys filled out by the “P” beauty franchise employees who work in Seoul, Gyunggi, Incheon, Daejun, Gwangju, Busan, Daegoo. The data is established by t-test and variance analysis. And it is screened through Duncan Test after variance analysis. The analyzed results are below:First, 379 employees (79.8%) have certificates related to the job attributes analysis. Whether someone has a certificate or not doesn’t related to non-certificate cases and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percentage of certificate holders are high among the employees who have worked for 1-3 years at the current work. Most number of employees worked over 5 years. Most job positions are designers. Total number of employees of each shop is 10-15 or 15-20 mostly. Second, the training condition is researched by training implementation, monthly training numbers, training method, training defect, who pay for the training, monthly training cost. Training implementation ratio is 99.2%, which is a high rate. Monthly training numbers are 42.0% for once-twice and 3-4 times. Theoretly trand practly trtraining is at a high rate. Non-systematic training is at a high rate as a training defect.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t be customized because it is not a one-to-one training. In 50% of cases, employees and employers pay h tf and h tf of training cost. Less than 50,000 w one-tmonthly training cost is 30.4% of the samples. Trainees can receive training at a low cost because of the o-one trainifinonei trsupport. Mostly, employees got the skill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Most of the training was held at the headquarters of the company and the current workplace. Third, the difference of training satisfaction is researched by training factor, training process, theoretical contents, practical contents, trainer, training level and test. About training factor (M=4.59), most respondents thought training and progressive training are needed. Related to the period of working in the current work, employees over 5 years have a high satisfaction for training. Related to the career, employees over 5 years satisfied with training. As they worked for longer, as they are satisfied more with training and more positive for training needs. Related to the positions, president and managers of the franchise have a high satisfaction with training. Fourth, related to monthly training numbers, most of the example got a high rate, including once-twice, 3-4 times, 5 times. Related to the training method, they answered ‘etc.’ mostly. For the training defects, training only based o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mostly answere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creased when employees needed to pay the tuition fully. It scored the highest rate with half and half between employees and employer. Related to the training cost, respondents mostly satisfied with 100,000~150,000 won. Fifth, related to the demographic factors, training satisfaction by gende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age, it is high at the age over 30 years old. Especially, the clause ‘The progressive training is fulfilled by career.’ resulted -3.474 at the age over 30 years old. For the education level, it is high for the employees who is attending or graduated university. Because there has been enormous growth of colleges and institutes after 1990, university students’ rate increased. The training programs which increase beauty business employees’ training satisfaction are needed. Those are good for produce of explots and company improvement. For the training satisfaction, trainers need to make an appropoyate level test for each career and each levelatend they need to make small classes like one-to-one training for improving understanding and snill of trainees. There is also needed a proper poyze one-each class to make traineesneededinterest for the appropoyatCandidering here uture of beauty business, trainers eededto develop the training system to make traineesnthink and solve by themselves,not just learn snills and theorye iom trainers. Researchers need to be able to getl clasinformation iom various beauty is also s’ training programs to study they nedelyatelso,undtential explots need they mdtivation sucher anraining cost supndrt, training overseas. Right use of h gan resnerce with raising explots and newly-developed training system will accomplish the advance of beauty business.

      • 회계교육 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중국 대학 중심으로

        류, 단단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 교육 수준의 질에 대한 평가는 주로 학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학생들의 만족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학교의 교육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좋은 회계 교육은 학생들이 더 높은 경영진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 회계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회계 교육내용,  교수특성, 학생들의 개인 열정과 학습 태도 등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회계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요소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들의 회계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내용 충실하게  교육 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육 문제를 더욱 잘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교육내용, 교수 특성, 학생 개인 열정과 학습 태도에 관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 요인들이 회계 교육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는 교수특성 > 학생 개인열정과 학습태도 > 교육내용 순이었다. 이러한 검증 결과는 회계만족도 향상하게 시키기 위해서 회계학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조절변수인 성별, 학교별, 학년별에 따라 회계 교육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학교에 따른 만족도에 대해 조절 효과가 확인할 수 없는 반면에 성별, 학년은 교육 만족도에 조절 효과가 나타났으며 교육 내용의 경우에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서 만족 정도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특성의 경우에는 남자에 비해서 여자가 더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학생 열정과 학습태도에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varies according to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By study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e can master the level of education in schools, and good accounting education can help students lead higher management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accounting education, professors' characteristics, students' passion and attitude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education and to see if these factors affect satisfaction. In this study,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accounting edu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better solve educational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ll adopted hypotheses concerning the content of school education, teaching characteristics, student individual enthusiasm and learning attitude. These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both account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 and the relative magnitude of influence 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based on professor characteristics > student personal passion and learning attitude > education content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role of accounting professors is important to improve accounting satisfac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accounting educatio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adjustment variable gender, school, and grade. The results show that the adjustment effect cannot be confirmed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grade and school, while the gender has a control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can be found to be more satisfactory for men than women. In the case of professors' characteristics, women are more satisfied than men, and the analysis of students' individual passion and learning attitude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험가치가 교육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서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민의 문화적 삶을 보장하고 국가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다시금 조명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미술교육을 중점으로 경험가치의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이 교육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경험가치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사회문화예술교육 중 미술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 321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을 받아 모델 간 구조 검증을 위해 AMOS 26.0을 이용해 통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중 미술교육의 경험가치는 심미적 가치, 일상탈출 가치, 교육적 가치, 서비스 가치 4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경험가치와 교육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 가치와 심미적 가치가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만족도의 증가는 행동의도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초점이 사회문화예술교육 경험가치 형성요인에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경험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방향의 교육이 기획 및 운영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necessit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ommunities to guarantee the cultural life of the people and strengthen the cultural capacity of the nation is being highlighted agai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of experience value focusing on art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ommunitie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value 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empirically verified according to learner's tend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21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art education dur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ommunities on-lin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26.0 to verify the structure between mode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perience value of art education amo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ommunities consists of four factors: aesthetic value, escape value, educational value, and service value.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value and education satisfaction, educational value and aesthetic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increase in education satisfaction led to an increase in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self-regulation focu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formation factors of experience valu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ommunities. Based on this study, expected that education in a direction that can satisfy the learner's experience value will ultimately help revitalize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ommunities through planning and operation.

      •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이경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 시간은 그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기 쉬우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질이나 운명을 바꾸어 놓을 정도로 결정적인 시간의 중요성을 크게 의식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되나 제한된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을 어떻게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생활의 질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에게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시간관리행동을 살펴보면,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을 어떻게 세우고 정보를 탐색하고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조직하고 이를 평가하며 필요할 때마다 통제를 통하여 조정하고 실행하는 모든 단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효율적인 시간관리를 통한 실천은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학생들에게 수업만족과 교육성과를 포함한 교육소비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학교생활을 유익하게 보낼 것이며, 그에 따른 만족도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이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4월 26일까지 3일 동안 서울시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376부(94%)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DMR검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내 시간관리행동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시간관리 필요성 인식, 시간관리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시간관리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소비만족도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시간관리 필요성 인식, 시간관리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교육소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관리행동을 잘 하는 학생일수록 교육소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소비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시간관리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관리행동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교육소비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시간관리 필요성 인식, 시간관리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관리행동을 잘하는 학생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생활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시간관리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행동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시간관리행동을 잘 할수록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높다고 정리할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 및 제변수들이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청소년의 진로교육 참여 및 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정민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교육 참여 및 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진로교육 참여는 진로교육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각 유형의 참여 및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구, 달서구에 소재한 고등학교 1~2학년, 남녀 368명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활용하였으며,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사후개별비교를 위해서는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t)검증을 적용하였다. 또한,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중심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유형에 따라서는 혼합형, 체험형이 텍스트형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정도에 따라서는 적극적, 보통이 소극적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라서는 만족도가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에 따라서는 일부 유형에서 유의미하게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유형에서도 진로교육에 만족할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볼 때, 청소년들이 다양한 유형의 진로교육을 참여하는 것과 더불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만족하는 비율이 낮았고, 상대적으로 학생들이 만족하는 비율이 높은 유형의 진로교육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에, 획일화되고 개성을 무시하는 진로교육에서 벗어나 개인의 흥미와 적성을 파악한 자발적 참여유도와 교육만족도의 향상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satisfaction on career education. The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was categorized by the type of career training and how the type and the training satisfaction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was analyzed. SPSS 12.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as practiced for the reli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In addition,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t) verification was applied for the post individual comparisons between groups. Further, the dummy variables was perform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and the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ype of career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the mixed type and experience type made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than those who were text type. Second, according to participation degree in career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Active involvement, average involvement made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than those who were passive involvement. Finally, high satisfaction group made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than the low group. some students had high levels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areer education, and the other studen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as, the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they made.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youth to participate in career education and, moreover,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with it. This study shows that the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However, the rate of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low and relevantly, the types of education which had higher rates of satisfaction were not enough for all the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by leading young people to attending the programs voluntarily and improving the satisfaction through the career education which is more focused on individual's interest and aptitude, not focused on standardized and ignored personality.

      • 미용고등학교와 미용학원의 교육시스템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 연구

        임유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미용고등학교와 미용학원의 교육시스템이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미용교육시스템의 하위요인을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강사수준, 자격증취득, 진로기대로 구성하였고 학업성취도는 지식, 기술, 태도로 구성하였다. 미용수강 목적에서 미용고등학교는 진학이, 미용학원은 취업이 많았고 교육기관 선택 동기에서 미용고등학교는 주변권유가, 미용학원은 본인의 관심이 더 많았다. 자격증 수업 방식에서 미용고등학교는 이론위주의 수업이, 미용학원은 실기위주 수업이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교육상담서비스에서 미용고등학교는 진학 상담이 높았으며 미용학원은 진학 상담과 취업 상담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무교육과, 현장실습은 두 기관 모두 잘 진행되고 있지 않았다. 교육시스템 인식도,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모두 미용학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도의 경우 지식은 미용고등학교가 높게 나왔으며 기술과 태도는 미용학원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시스템 인식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용고등학교는 교육과정 인식도가 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미용학원의 교육환경 인식은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과정과 교﹘강사수준은 기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교육시스템 인식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용고등학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학원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 학습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 미용고등학교는 전문화, 세분화 된 실기교육이, 미용학원은 체계적인 이론수업으로 두 기관의 장단점을 수용한 교육시스템의 체계적 수립 및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두 교육기관 모두 실무교육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교육만족도와 직장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학과와 사회계열 주요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성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관광학과가 관광진흥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규 학사과정 전공으로 개설된 지 반세기가 지났다. 그러나 관광학과 전공자들의 졸업 후 취업현황 및 고용조건 등에 대해 계열 내에서 살펴보면 고용률은 높은 반면 정규직 비율과 임금수준은 계열 내에서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최근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이 직장에서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직장생활의 만족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나 행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관광학과를 졸업한 대졸 재직자의 대학교육만족도, 직장만족도, 삶의 만족도를 동일연구에서 원인과 결과변수로서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와 4년제 관광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직장에 다니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대학교육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직장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후, 통제변인이 주요 변수사이에서 어떠한 영향관계를 보이는 지에 대한 검증을 통해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변수 간 영향관계를 살펴본 후, 원인변수로서 대학교육만족도, 결과변수로서 삶의 만족도, 매개변수로서 직장만족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통제변인으로는 선행연구에서 주요 변수와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전공, 성별, 연령, 학점, 종사상 지위 등으로 정하여 각 변수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이 매년 시행중인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6GOMS)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 학과(전공) 분류 자료집을 기준으로 관광학과 재분류를 시행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에는 전문대 졸업자 591명, 4년제 졸업자 1,206명 등 총 1,797명을 선정하였다. 학과별 평균차이 검증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직장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에는 매개회귀분석 및 소벨테스트(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학과와 사회계열 주요학과의 변수별 평균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문대의 경우 대학교육만족도에서는 ‘학생복지 시설’ 변수, 직장만족도에서는 평균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삶의 만족도에서는 ‘개인적 측면에 만족’, ‘관계적 측면에 만족’, ‘소속 집단에 만족’ 변수에서 관광학과가 사회계열 주요학과와 평균차이를 보였다. 4년제 대학의 경우 대학교육만족도에서는 ‘학생복지 시설’, ‘전공 교수진의 능력 및 열의’, ‘수업의 방식 및 질’의 변수에서, 직장만족도에서는 ‘고용안정성’, ‘근로시간’, ‘인사체계’ 변수, 삶의 만족도에서는 ‘개인적 측면에 만족’, ‘관계적 측면에 만족’ 변수에서 관광학과가 사회계열 주요학과와의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전문대, 4년제라는 대학유형에 관계없이 대학교육만족도는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장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육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직장만족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통제변인에 따른 영향력 검증에서는 전문대졸 재직자는 학교만족과 내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연령과 학점이 높으며, 임금이 많을수록 내재적 직장만족이 높아졌고, 학교만족과 외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낮고, 임금이 많을수록 외재적 직장만족이 강화되었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더 큰 삶의 만족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졸 재직자는 대학교육만족도와 내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비상용근로자가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육만족도와 외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은 낮을수록, 학점과 임금은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높은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남성이, 연령은 낮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더 큰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전공에 있어서는 전문대 대학교육만족도와 외재적 직장만족에서 금융회계세무과의 경우 정(+)의 영향을 보였다. 4년제 대학교육만족도와 내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는 경제학과가 부(-)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대학교육만족도와 외재적 직장만족의 관계에서는 경제학과, 가정사회복지학과, 행정학과, 법학과가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수에서 전공별 평균차이를 보인 세부 항목에 대해 대학 및 학과 단위에서 근본적이고 집중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교육만족도와 직장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노동시장 환경변화에 맞춰 주요 변수별 만족도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셋째, 직장만족도의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직장만족도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교육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전공 및 성별, 연령 등 다양한 통제변인들과의 주요 변수간에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다양한 통제변인별 영향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관광학과에서는 낮은 정규직 비율과 월평균 소득 등 고용 구조에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취업센터의 역할확대, 취업캠프 및 모의 면접 등의 취업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대학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인턴쉽 확보 및 다양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