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의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엄옥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어려움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효과적인 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 9월 현재 경기도 소재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과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유영숙, 2001)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건강관리와 건강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수별 비율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자승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본수가 작은 경우에는 Kruscal Wallis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에서 제시된 연구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건강관리 실태를 살펴본 결과 약 75% 수준의 비교적 높은 실시율을 보였으나, 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행정적, 제도적 관리 체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건강관리 실태를 살펴보면, 교사의 연령이 높고, 경력이나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관리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재직기관 유형별로는 국·공립 어린이집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국·공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 집, 사립 유치원 순이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건강교육 실태 조사에서도 약 84% 수준의 비교적 높은 실시율을 보였으며, 일상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들에 비하여 휴식의 필요성이나 질병 예방하기, 즐겁게 생활하기 등은 실시빈도가 낮았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건강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교사 연령별로 30대가 가장 건강교육을 잘 실시하고 있으며,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교육 시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기관 유형별 조사에 서는 국·공립 유치원이 가장 잘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 건강교육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육방법은 토론(이야기 나누기)이며, 교육매체는 사진, 그림, OHP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제반여건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교사의 약 70%가 건강관리에 대한 연수 경험이 없었으며, 건강관련 지식을 얻는 정보원으로 신문, 라디오 등의 대중매체에 의존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교사 자신의 건강지식 부족'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약 90%가 유아건강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는 전염병을 비롯한 질병관리, 건강과 위생, 응급처치 등이었으며, 그 방법으로는 건강전문가의 강연, 실습과 의료기관과의 연계교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볼 때, 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교사의 건강지식과 실천이 중요하므로 유아교사의 유아건강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태도를 개선하고 실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정부 기관에서의 유아건강관리에 필요한 지침서 및 자료 개발과 함께 유아 건강교육 프로그램, 교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적 차원에서 일정규모 이상의 유아교육기관에 건강전문가가 상주토록 하여 유아들의 건강을 보살피고,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제도 및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 질병을 관리하고 건강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역연계차원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중국어 교육 실태와 그 효과적인 방안 연구

        원혜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과학기술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세계는 빠르게 공동화 되어가면서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전반에 걸쳐 성인, 초․중․고등학생이 중국어 학습에 열을 올리며 배우려 하고, 그 열기가 이제 유아에게까지 미쳐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 같은 유아교육기관에서도 중국어 수업이 점차 확대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교사와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중국어 교육의 실태 및 중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유아 중국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과 올바른 인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 외국어교육의 타당성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둘째, 현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기 중국어교육의 실태에 대해 조사를 하고 셋째, 그 분야에 전문가의 선생님들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넷째, 현 교육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과정으로 1회의 예비조사와 3회의 본 조사를 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중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2차 과정으로는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많은 이들이 중국의 발전에 관심을 갖고 그 언어에 관심을 갖고 있다. 자연적으로 그 관심은 우리의 자녀들에게까지 이어져 남보다 빨리 효과적으로 중국에 대해 알고 언어를 배우고자 하고 있다. 아직은 영어 교육처럼 중국어 교육 시장은 그리 넓지는 않지만, 중국의 발전 가능성처럼 중국어 교육 시장의 발전 가능성 또한 무궁무진하다. 그 발전의 초기인 지금 자칫 잘못하면 우리 자녀들에게 해가 되는 교육을 하기 쉽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기 중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원장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그 수요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수요에 맞춰 양질의 교사들이 우리 아이들을 가르쳐 보다 효과적인 학습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바란다.

      • 日帝下 濟州島 初等敎育機關의 形成에 關한 硏究

        문창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제하 제주도내 초등교육기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로서 당시의 島內 초등학교의 설립과정과 초등육법제의 개정에 따른 초등교육기관 및 교육내용의 변화·발전과정을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고찰한 것으로서, (1) 일제하 제주도 改良書堂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제주도 근대초등교육의 근원을 확인하고, (2) 일제하 사립초등학교와 공립초등학교의 설립과 (3) 朝鮮敎育令을 중심으로한 일제의 각종 법규와 이에 따른 교육내용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제국주의가 전개한 식민지주의교육과 濟州島의 사정에 대해 개괄적인 면을 살폈고, 둘째 근대초등교육기관을 개량서당, 사립학교, 공립학교 등 유형별로 그 설립 과정을 탐색했으며, 셋째로 일제의 한국침략 기간을 6 단계의 시기로 구분하고 당시 제정·공포된 초등교육에 관한 법제와 그 미친 영향을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초등교육기관들이 가지는 교육사적 의의를 찾아 보았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의 근대교육의 여명은 개화파 인사들이 이곳으로 유배와서 벌었던 교학활동에서부터 찾을 수 있는데 전통적인 漢學 중심의 교학과는 다른 내용의 전개 구조를 갖게 되었으며, 이로써 제주도에서도 근대교육사상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동시에 근대학교들이 개교를 보게 되었다. 일제하 제주도의 초등교육기관들은 대부분이 서당에서 비롯하여 사립학교, 공립학교 또는 간이학교로 전환되었는데 당시 존재했던 재량서당들이 과도기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에서 보면 本島의 근대초등교육기관의 탄생은 정부 주도의 공교육제도에 의했다기 보다는 개화파 인사들의 노력에 의해 설립된 사립학교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신교육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가운데 세워진 이 사립학교들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문맹퇴치를 중심으로 국민보통교육을 실시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으로 인해 지속적인 교학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일부 사립학교들은 마을공동부담에 의해 설립되어 民立學校의 성격을 띠고 있었는데도 폐교를 맞든지 일제의 교육에 동조할 수 밖에 없는 공립학교로의 전환을 맞게 되었다. 당시 초등교육의 내용면에 있어서는 修身과 국어(일본어), 그리고 산술이 주요 교과로서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여 지도되었는데, 일부 개량서당에 있어서는 폐쇄될 때까지 일본어를 가르치지 않아 민족 자존심을 굽히지 않기도 했다. 일본의 식민지주의 교육정책은 일본인 자녀들이 다니던 학교와 한국인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를 제도적인 면에서부터 차별을 두었는데 심상소학교의 4년과정이나 간이학교 2년 과정의 완성교육은 이를 잘 나타내는 사실이다. 일제하 근대초등교육기관들이 일제의 지배와 간섭 속에서 태동되고 발전해 왔지만 구한말 설립된 제주보통학교는 국민교육을 위한 근대공교육제도로서 제주도 초등학교의 효시가 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form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s. Also, this analyzes how erected elementary schools, how changed or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and element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revisions of elementary education laws at that time. So, this study is (1) to find the root of modern elementary education of Cheju through a broad research about village schools on Cheju island under governing of Japan (2)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and public schools (3) to investigate several laws of Japan, especially Chosun educational laws(朝鮮敎育令),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 introduced the colonial education of Japan and situations of Cheju in those days. Second, I found how established the modern elementary schools, like village schools(改良書堂), private schools, public schools. Third, I divided the period of Japan's invasion of Korea into 6 steps. Then, I analyze elementary educational law s and their effect Finally, I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s which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s have.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uch great enlightened exiles showed the dawn of modern education in Cheju. That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education taught Chinese letters and books, and then, the modern educational thought was introduced. Modern schools were established at that point, also. Derived from traditional village schools, most of the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s were transformed into private schools, public schools or simplified schools(簡易學校). In the middle, there were village schools between traditional village schools and later organizations. That is, modern elementary schools came from private schools established by enlightened people, not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government-centered. These private schools were erected when new educational movement was developed actively. They tried to heighten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teach most of people, especially the unlettered. But they failed to teach continuously because of Japan's assimilation policy. Although some private schools were established by pools of people seemed to national school, they were closed or must change to be public schools which had to follow the education of Japan. Only ethics, Japanese and arithmetic were usually taught in elementary schools, but there were some village schools that didn't allow to teaching Japanese until were closed because of national pride. In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Japan,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children's schools in respect of laws. It appeared at Shimsang 4 years courses or simplified schools 2 years complete education courses. Even though modern elementary education system have developed under the domination and control of Japan, Cheju common schools at the end of Chosen dynasty are the first elementary schools as modem public education system for people. That makes a big difference o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영유아교육기관 유형별 교사의 처우 : 수도권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처우 비교 연구

        강희정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treatment for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 day care centers by type of institution, which have an decisive effect on the quality of infant education and day care, shows a gap because of dualised system of administration branches. This thesis is to propose methods to improve labor condition and welfare of teacher by analysing the data about treatment for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 day care center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pgrading the quality of infant education. First, we have dualised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requires different standard for qualific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To fill this gap, we should reinforce day care center teacher’s standard for qualification to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Also, it needs to give a name like teaching assistant or non-class teacher to third grade-day teachers in day care center who complete one year course of learning in training institution. They could play a role of assistant teachers helping regular teachers. Second, the gap in pay results from the fact that each institution has different standard of salary system. To narrow this gap in pay, differential pay system which is based on difference of academic ability like three-year course, four-year course, post graduate schools is needed. instead of starting same position as 1 pay step. Third, both kindergarten which run all day class and day care center which run all day class have a same care time, but teachers in kindergarten have shorter class time than teachers in day care center. Kindergarten teachers teach a class for 4~5 hours because there is separate full time teacher in kindergarten, but day care center teachers teach a class for over 9 hours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full time teacher. To solve this problem, day care center, like kindergarten, needs to run all day program as well as half day program. It is a good solu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 time teacher or make children who don’t belong to double income family take half time class in day care center. Fourth, infant teachers have very long working hours, and spend much time in doing administrative work. They even go home with official works and are often on duty on Saturday without overtime pa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stitutions obey statutory working hours and arrange assistant staff like teaching assistant or administration staff for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Payment for overtime work is indispensible if it is difficult to arrange assistant staffs. Fifth, all infant teachers work without a rest-period and can’t have a rest in lunch time or nap time. Lunch time should be regarded as working hours, and it needs for infant teacher to get off work 1 hour early. Sixth, it is very difficult for infant teacher to take vacation or a leave of absence. The number of holiday of kindergarten teachers is 10 days on average, but that of day care center teacher is only 5 day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supervise whether service regulation should be observed or not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for assuring vacation and a leave of absence. If infant teachers is going to take vacation or leave of absence, substitute teacher is necessary. It is actually hard be supported substitute teachers. This is why infant teachers don’t apply for a leave without hesitation. It is a necessity to increase the size of substitute teachers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so that they could be sent into institutions in need. Seventh, infant teachers are very difficult to have a chance of advancement, compared with other type of occupation. The master teacher system, which is being introduced in kindergarten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nd self-realiz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all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ystem is a good motivation factor to infant teachers. Lastly, job security, which guarantees the long service and legitimate employment, is one of the most anxious thing all infant teachers feel. Private institution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the same teacher status as national institution teachers. Also, legal instruments should be prepared for protection of the right of infant teachers. As was stated above,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divided into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which causes differences in treatment for teachers.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 of foundation(national institution and private institution) is another factor to bring about differences in treatment for teacher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unified system and secure publicness for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infant teachers to solve this problem.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교육기관 유형별 교사들의 처우는 행정부처의 이원화로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인 사항과 처우에 대한 연구 자료를 근거로 비교·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영유아교육기관 교사들에게 동일한 처우가 마련되어 복지가 향상되고, 영유아에게 양질의 교육이 제공되기를 바라는 목적이 있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이 이원화 되어 있어 교사의 자격기준이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자격기준에 대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자격기준을 유치원교사의 기준으로 강화하고, 1년 과정의 보육교사 양성기관을 수료한 보육교사3급의 자격을 갖춘 영유아교사의 명칭을 달리하여 보조교사 혹은 비담임 교사 등 정교사의 보조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보수는 영유아교육기관 유형별 호봉과 호봉책정기준이 모두 상이한데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우선 보육교사 호봉책정기준이 똑같이 1호봉부터 시작하는 것을 유치원처럼 3년제, 4년제, 대학원이상 등으로 구별하여 차등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설립목적에 따라 종일제를 운영하는 어린이집과 종일반을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은 영유아를 보육하는 시간은 비슷하나 유치원교사는 반일제 수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종일반은 교사가 따로 있어 하루 4~5시간을 수업하고 있기 때문에 하루 평균 9시간 이상을 수업하는 보육교사에 비해 수업시간이 짧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에서도 유치원과 마찬가지로 반일제와 종일제로 나누어 운영을 함으로써 수업시간에 대한 격차를 줄여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린이집에 시간연장제 교사의 인력을 증강하거나 맞벌이가 아닌 가정의 아이들은 반일제를 하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넷째, 영유아교사는 공통적으로 근무시간이 길고 수업시간 외의 모든 시간을 교육과 관련된 행정업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고 있으며 퇴근 후 집에 업무를 가지고 가는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토요일도 당직형태로 근무를 하고 있는 환경에서 그에 따른 보상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법정 근로시간을 준수하고 업무경감을 위한 보조교사, 행정 실무사 등 보조 인력의 배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보조 인력의 배치가 어려운 여건이라면 초과근무에 따른 보상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모든 영유아교사는 공통적으로 휴게시간을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영유아의 발달특성상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점심시간이나 낮잠시간도 교사가 쉴 수 없는 교육의 시간에 포함되므로 근무시간 내에 휴게시간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초등학교나 국·공립유치원처럼 점심시간도 근무시간으로 인정하여 1시간 일찍 퇴근하는 것으로 시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대부분의 영유아교사는 보장된 휴가와 휴직의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유치원 교사의 휴가일수는 평균 10일, 어린이집 교사의 휴가일수는 평균 5일로 거의 두 배 차이가 있었다. 업무과중과 근로시간 초과로 인한 육체적 어려움을 고려할 때 법적으로 정해진 휴가기간과 휴직의 보장을 위해 영유아교육기관의 복무규정이 법에 근거하여 반드시 지켜지도록 강화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이 필요할 때 휴가와 휴직을 하려면 대체교사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데 대체교사를 신청해도 지원받기 어려워 대부분 기관 내의 교사들이 업무를 분담하게 되므로 교사들의 업무가 더 과중되고 휴가를 사용하는 교사들도 마음 편히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제도적으로 대체교사의 규모를 확대하고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여 대체교사 인력을 확보하여 영유아교육기관에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영유아교사는 공통적으로 승진의 기회가 다른 직종에 비해 매우 어렵다. 영유아교사들이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자신의 분야에서 자아실현을 하기 위해 최근 유치원에서는 수석교사 제도를 법제화 하여 현장에 배치하고 있는데 이를 모든 영유아교육기관에 적용하여 수석교사의 기준과 역할을 분명히 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해줌으로써 교사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교사들의 공통적인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근로자의 최소한의 권리인 정당한 고용과 원하는 한 장기근속 할 수 있는 고용의 보장이다. 이를 위해서 공공성을 확보하여 교사 임용체계를 마련하여 국·공립유치원교사와 같은 신분의 보장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권리를 보호 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영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설립주체별 영유아교사의 처우 개선을 위해서는 영유아교육기관의 일원화체제를 추진하고, 영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실현으로 교사들의 처우가 개선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선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교사 양성체제를 정비하고 강화하여 초·중등 교사와 대등한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 분석

        김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validate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s in different types of the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for this study: 1. What are the problems which teachers perceived? 2. What about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the above problems? 3. What is the degree of the bothersomeness of the teachers due to these problems? 4.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and bothersomeness of the teachers perceived problem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845 teachers nationwide: One hundred eighty six were from public kindergartens, 389 were from private kindergartens and 270 were from child 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study, two times Delphi and the pretest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the factor analysis, cronbach , ANOVA, Scheff pos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oblem identification task resulted in 79 unique problems which fell into nine global areas of factors: instruction and learning, program, development of teacher ability, relations with supervisors, relations with colleague, relations with parents, system,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2. For the frequency of teachers perceived problems,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factor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management of time and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eacher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perceived problems the most frequently in the sum of all factors, but that was not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ut in the sub-factors, instruction and learning, program, relations with parents,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he factor instruction and learning wa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in all three institutions. The factor management of tim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actor program in the child center teachers and the factor equipment and facilities i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3. For the bothersomeness of teachers perceived problems, the management of time factor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system, relations with parents and instruction and lear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bothersomeness most serious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sub-factors,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gram, development of teacher ability, relations with colleague, relations with parents,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factors. In the cas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management of time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seriou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 with parents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e child center teachers. 4.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frequency and bothersomeness by the teachers. But in the sub-factor instruction and learning and program factors, the frequency was observed to be more serious than bothersomeness, and that was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ability, relations with supervisors, relations with colleague, relations with parents, system,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factors, the bothersomeness was more critical than the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correlation of sub-factors between the frequency and bothersomeness, the management of time factor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system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를 규명하고, 규명된 문제의 요인들이 기관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한가?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845명이었으며, 국· 공립 유치원 교사 186명, 사립유치원 교사 389명, 어린이집 교사 27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제 규명을 위한 질문지는 문헌연구와 기초조사, 2회의 델파이(Delphi)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에서는 교사들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를 추정하였다. 국·공립,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이 사용되었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 의 사후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 관계 파악을 위하여 단순적률상관계수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는 79개의 문항으로 규명되었으며 이것은 9개의 요인으로 유목화되었다. 9개의 요인은 유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 교사의 능력개발, 기관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제도, 시설·설비, 그리고 시간운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에서는 유아의 교수학습(3.61)요인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시간운영(3.36), 제도(3.28)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른 문제의 발생 빈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사립 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위요인에서는 유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 부모와의 관계, 시설·설비, 시간운영의 요인에서 문제의 발생 빈도가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그 중 유아의 교수학습요인은 세기관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 시간운영요인은 사립 유치원 교사에게서, 프로그램요인은 어린이집 교사에게서, 시설· 설비요인은 국·공립 유치원 교사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어려움 정도에서는 시간운영(3.40)요인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제도(3.38) 부모와의 관계(3.33), 유아의 교수학습(3.32)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른 문제의 어려움 정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사립 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며, 세 집단간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위요인에서는 프로그램, 교사의 능력개발, 동료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시설· 설비, 시간운영요인에 있어서 세 집단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국· 공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시설· 설비요인이, 사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시간운영요인이, 어린이집 교사는 부모와의 관계요인이 가장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는 유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요인에서 문제의 발생 빈도가 어려움 정도보다 더 크게 나타나면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능력개발, 기관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제도, 시설·설비, 시간운영요인 에서는 문제의 발생 빈도에 비하여 어려움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나면서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나타났다.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의 하위요인간 상관관계에서는 시간운영요인의 문제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871)를 나타내었고, 다음은 시설·설비(.841), 제도(.803)의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평생교육기관 강사료 지급형태에 대한 비교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방보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cturer pay systems of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in Ulsan city.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does the lecturer pay system (flat-rate, proportional-rate, mixed-rate) have relationship with operating goal of public or private institution, subsidy and tuition fee? 2. What do officials in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think of rightnes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on lecturer pay system? 3. What kind of lecturer pay system was applied to lecturers in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4. What do lecturers in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think of strengths and weaknesses on lecturer pay system? On the basis of the survey with 26 officials and 58 lecturers, I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I had interviewed some of the officials and lecturers, and finally selected one of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as an object of case study. The data from the interviews and the case study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The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public ones we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hile the private ones were not. The government-supported institutes were using a 'flat-rate' pay system. That was more flexible in organizing classes and planning programs for classes. Most private institutes were using a 'proportional-rate' pay system. They depended entirely on the tuition fees from the students. However, the lecturers think the ‘flat-rate’ pay system better because it is consistent. They don't have to worry about the number of students. The negative side the lecturers point out is that it doesn't give them motivation for enlarging the classes they manage. The 'proportional-rate' pay system gives lecturers a motivation for it. But when classes have only a few students, lecturers tend to have less activeness towards the classes. Also the system tends to degrade the quality of classes and they just consider the classes as merely a source of income. The conclusion of the survey is that the 'mixed-rate' pay system is the most desirable one for both lecturers and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With the basic pay is given, the lecturers could get extra incentives according to increasing in class size. The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can manage the programs steadily within the budget. Each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is different in its purpose and finance. Therefore, the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is suggested to find the best pay system for both lecturers and themselves among 3 different pay systems. The experience and ability of each instructors should be examined for a fair pay. When lecturers are paid properly and fairly according to their competency, the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can serve the community better. 평생교육이란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해주기 위한 교육이념으로서 유아교육/청소년교육/성인교육/노인교육 등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활동의 수직적 통합과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 등으로 각기 다르게 전개되는 형식/비형식/무형식적인 교육활동의 수평적 통합을 통하여 “삶이 곧교육”인 “학습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활동이다. 교육의 3요소로는 학습자, 교수자, 매개체를 들 수 있는데 본 연구는 교육의 3요소 중 교수자에 해당되는 평생교육기관의 강사가 지급받는 강사료 지급형태를 비교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의 운영목표와 보조금 지원 정도, 수강료의 현황과 강사료 지급형태(정액제, 비례제, 혼합형)의 관계는 무엇인가? 2. 평생교육기관의 실무담당자들이 느끼는 강사료 지급형태의 적절성 또는 장단점은 무엇인가? 3. 강사들이 평생교육기관에서 받는 강사료의 지급형태는 무엇인가? 4. 강사들이 느끼는 강사료 지급형태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울산지역 소재 평생교육기관 담당자 26명과 외부강사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 분석 하였으며 그 중 일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설문과 면담에 답한 자 중 1곳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면담과 사례연구는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평생교육기관은 상부기관의 지원금을 받는 공공기관과 지원금을 거의 받지 않는 민간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기관은 지원금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므로 수강료를 무료로 하거나 저렴한 수준으로 회원모집을 하고 있으며 지원금 내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강사료 지급형태를 운영의 편의성 및 계획수립의 용이성이 있는 정액제로 적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기관의 경우는 시설임대와 공과금 정도를 지원받고 있으며 운영은 수강료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강료는 주 비용 항목인 강사료에 영향을 받으며, 독립채산제 운영을 위해 어떠한 경우라도 강사료가 수강료의 범위 내에서 지급될 수 있는, 비례제의 형태로 적용하고 있는 기관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느 정도의 기간동안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해 오면서 일정 회원수까지는 정액제이고 초과인원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혼합제를 채택하는 기관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사들은 시간당으로 적용하는 정액제로 지급 받을 경우 고정수입이라 안정적이고 계획수립에 용이하며 회원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점은 좋으나,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 점을 단점으로 들었다. 수강료 당 회원수의 비율로써 적용되는 비례제로 지급 받는 경우, 동기부여가 되어 질 높은 강의를 위해 노력하게 되나, 반면에 회원이 적을 경우 의욕이 떨어지고 교육을 수익창출로만 연계시켜 교육의 질을 하향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강생의 일정 인원까지는 정액제로, 초과인원은 비례제로 적용하는 혼합형은 정액제와 비례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절충하여 강사의 노력과 기관의 입장이 함께 고려된 가장 바람직한 강사료 지급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강생이 일정 인원일 때 받을 수 있는 기본금액이 보장되고 초과 인원 시 인센티브가 주어진다면 강사의 보수 면에서 만족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될 것이고, 기관의 입장에서는 예산 내에서 운영이 가능해짐으로써 평생교육의 발전에 더욱 힘쓸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되는 혼합형이 가장 바람직한 강사료 지급형태로서 나타났다. 각 기관마다 운영목표와 제반 현황이 상이하므로 본 연구의 강사료 지급형태의 비교 연구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장점과 문제점을 잘 검토하여 각 기관의 현황과 특징에 맞춰 지급형태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 강사료 지급형태별로 객관적인 기준의 근거 즉, 강사의 경력, 능력정도, 가치성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계속되어 강사들이 강의 후에 형평성에 맞는 보수를 받을 수 있다면 기관 입장에서는 기관의 원활한 운영과 강사의 원활한 수급을 이루어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개발 연구

        김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version consulting model geared toward converting typ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to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n effort to ensure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following efforts were made to serve the purpose: 1. Develop a draft of conversion consulting model. 2.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raft to finalize i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draft was prepared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by having a focus group interview and by making a case study, and the draft was modified in the advisory conference of experts. The object of the draft is to help typ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convert themselves into well-functioning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draft, there are a client, an object of consulting, a consulting manager and consultants. And there are two types of consultants: a consultant in charge and a consulting team. As to the qualifications of the consultant, he or she should have five years or more of experience of working in a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cquire eco- early childhood instructor level 1 or higher certification and obtain a master's or higher degree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erning the consulting area and content of the draft, there are five areas, which should be covere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iving space, life management, eco-early childhood curriculum,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ecological health/nutrition/safety. In the draft, consulting is provided in six stages: preparation, diagnosis, exploring how to convert, planning, acting out and completion. Second, the draf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selec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raft was finalized in the advisory conference of experts about the results of the draft. Two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institutions to whom the draft was to be applied One was a daycare center C, which was a national daycare center for inclusive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other was a daycare center D, which was a private daycare center affiliated to a college in the city of P. The draft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its consulting process. In the preparatory stage, this researcher was selected as the consultant, and a consulting team was organized with four principals of eco-ECE institutions who satisfied all the qualifications requirements of the draft. In the stage of diagnosis, the consultant visited the institutions twice each to diagnose their reality by observing them, by having interviews, by observing their daily schedule and by reading document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diagnosis criteria of the draft. And then all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score the institutions in each item, 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each of the area were described. The consulting team members had a meeting to review all the diagnosis results and scores to make a comprehensive diagnosis. In the stage of exploring how to convert, the consulting team had another meeting to determine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and how to convert the institutions into eco-ECE institutions in detail. 19 items to be improved were pointed out in the daycare center C, and 11 items were pointed out in the daycare center D. The consultant visited the institutions to inform them of the results of diagnosis and the conversion plans, and discussed with them to reflect their needs. And then fingertip play was added in the daycare center C, which increased the number of the items to be improved to 20. In the daycare center D, gesture play was added, which increased the number to 21. In the stage of action plans, the consultant mapped out action pla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conference of the consulting team an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institutions. And the consulting team reviewed and complemented the plans. In the stage of acting out, the consultant visited the institutions to explain the action plans, and the institutions carried out the plans for approximately three months. The daycare center C was inspected 10 times by paying an on-the-spot visit and by hav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Besides, necessary materials were provided. As to the inspection of the daycare center D, on-the-spot visit, formal interviews and informal interviews were utilized eight times. In the completion stage, the institutions were visi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consulting. And they were informed about the results of the consulting and the evaluation. After the way of applying the draft was analyzed, 18 members of the institution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surveyed to evaluate the draf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answer sheets, the draft was considered to be highly valid. And then the draft was finali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dvisory conference of the experts. The object of the finalized conversion consulting model is to assist typical ECE institutions in converting themselves into well-functioning eco-ECE in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hilosophy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t's possible for ECE institutions that are converted into eco-ECE institutions to actualize education for child vivifying and life vivifying. In this model, there are an object of consulting, a consulting manager and consultants. As for the consultant, there are consultants and a consulting committee. A consultant is responsible for an institution, serves as a mediator among the parties concerned, and offers consulting. The consulting committee is the assembly of the consultants that seek ways of conversion and back up the consultant. The same qualification criteria of the consultants that were described in the draft are applied without any changes. Concerning the process of consulting, this model consists of five stages: preparation, diagnosis, planning, acting out, and completion. The preparatory stage is composed of conversion consulting request and pilot survey. There are a conversion consulting agreement, prior diagnosis, analysis of the results and reviewing the results in this stage. In the planning stage, how to convert is explored, and action plans are mapped out. And then the action plans are reviewed, complemented and explained. In the acting-out stage, the acting-out process is observed and assisted. In the completion stage, there are post-diagnosis, analysis of the results of consulting, reviewing the results of consulting, report on the results and wrapping-up. The model can be applied by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or a research institution that is entrusted by this society. The organization that offers consulting should select consultants and provide education for them, and then a consulting committee should be made up of consulting managers and consultants. The whole nation are divided into five zones, and there should be 10 to 15 members who are responsible for each zone. The consulting committee should hold a conference about the results of prior diagnosis and action plans and the reports of conversion consulting. Finally, a consulting support team should be prepared, This team should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duties necessary for consul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유아교육기관이 신명나는 아이, 행복한 교사, 천지부모로서 편안한 부모가 공동체적인 관계에서 아이살림․생명살림의 교육을 실현하는 생태유아교육기관으로 운영되는데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지원하는 전환컨설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구성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시안을 개발한다. 둘째,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시안을 현장에 적용하여 진행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고 모형 최종안을 확정한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 과정을 거쳐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모형 시안 개발 과정에서 문헌 고찰을 통해 모형의 개발방향 및 목적을 설정하고 모형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내용을 선정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기관사례조사를 통해 모형 초안을 구체화하여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모형 초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모형 시안을 개발하였다. 문헌 고찰에서는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개념,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원리, 운영 영역을 탐색하였고, 교육에서 적용되는 컨설팅의 개념, 원리, 현황에 대한 탐색을 통해 컨설팅 구성요소들을 추출하였고, 교육컨설팅 모형들에 대한 선행연구과 관련 연구물을 통해 모형의 구성요소인 목표, 참여주체, 컨설팅 내용 및 영역, 컨설팅 수행절차, 운영방안들을 검토하여 모형의 개발방향으로 첫째, 전환컨설팅 모형을 주관하는 기구의 조직 및 운영체계를 갖추도록 둘째, 전환컨설팅 모형의 목표, 컨설팅 참여주체 및 역할, 컨설팅 영역 및 내용 컨설팅 수행절차가 포함된 모형 체계를 갖추도록 셋째, 일반유아교육기관의 변화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내부의 자생력을 갖추도록 개발하는 것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모형의 목적는 일반유아교육기관이 자생력을 갖추어 생태유아교육기관으로 전환을 도와주는 것으로 설정하고 모형의 구성요소 및 내용으로 컨설팅 참여주체, 영역 및 내용, 수행절차를 추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구성된 모형의 개발방향과 목표 및 내용을 바탕으로 모형의 필요성 및 모형 개발 시 요구사항, 모형의 목표, 참여주체, 내용, 절차,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를 통해 모형의 목적은 일반유아교육기관이 생태유아교육기관의 모습을 갖춰 운영되는 것을 도와주는 것으로, 모형의 참여주체는 의뢰인, 컨설턴트, 컨설팅 관리자이며 컨설턴트는 2~3명의 컨설팅팀이 되는 것으로, 모형의 영역 및 내용은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영역인 생활공간, 생활운영, 생태유아교육과정, 아이․교사 관계,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으로, 모형의 절차는 준비단계, 진단단계, 문제해결방안 모색단계, 실행 단계, 종료 단계의 5단계로 초안이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기관사례조사에서는 생태유아교육기관으로 2개의 기관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운영을 진단도구로 진단하여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생태유아교육기관의 자체세미나 운영을 전환컨설팅 모형의 컨설팅대상기관의 자생력을 구축하는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1차 전문가 자문회의에서는 초안에 대해 개발방향, 목표, 참여주체, 영역 및 내용, 수행절차, 모형의 주관기관에 대해 검토하고 수정하여 모형시안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주관기관 및 운영주체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산하 (가)전환컨설팅국으로 하고 전환컨설팅 전반의 행․재정적 업무를 수행하며 컨설턴트 선정 및 교육의 역할을 한다. 모형 시안의 목적은 일반유아교육기관이 전환되어 신명나는 아이와 행복한 교사와 천지부모로서 부모가 공동체가 되어 살림집인 생태유아교육기관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모형의 참여주체는 의뢰인, 컨설팅 대상자, 담당컨설턴트와 컨설팅팀으로 구성된 컨설턴트, 컨설팅 관리자로 구성한다. 컨설턴트의 자격기준은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력이 5년 이상, 생태유아지도사 자격 1급 이상, 생태유아교육 관련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컨설팅 영역 및 내용은 생태유아교육기관이 갖추어야 할 모습으로 생활공간 영역, 생활운영 영역, 생태유아교육과정 영역, 아이‧교사관계 영역,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의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고 컨설팅 수행절차는 준비단계, 진단단계, 전환방안 모색단계, 실행계획 수립단계, 실행단계, 종료단계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둘째, 모형 시안 적용 과정에서 개발된 모형의 시안을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 적용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수정하고 보완하여 모형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적용기관은 P시의 장애통합 국공립어린이집 C어린이집과 T시의 민간어린이집 D어린이집으로 최종 선정되고 모형시안의 컨설팅 수행절차에 따라 적용하였다. 준비단계에서 담당컨설턴트는 연구자로 컨설팅팀은 모형시안의 컨설턴트 자격기준을 충족하는 생태유아교육기관 원장 4명으로 구성하고 대상기관의 일반현황을 진단하는 예비진단이 이루어졌다. 진단단계에서는 담당컨설턴트가 대상기관을 방문하여 전환컨설팅 진단지의 항목에 따라 관찰, 면담, 일과참관, 문서자료를 열람하여 대상기관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였다. 담당컨설턴트는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항목별 진단점수를 평가하고 영역별 약점과 강점을 기술하여 진단결과지를 작성하였다. 컨설팅팀 회의를 통해 진단결과지와 자료들을 바탕으로 진단점수를 검토하고 영역별 총론을 도출하는 진단결과 검토가 이루어졌다. 전환방안 모색 단계에서는 컨설팅팀 회의를 통해 개선항목을 도출하고 이들 항목에 대한 전환방안을 모색하였다. 개선항목의 도출은 필수개선항목인 교사교육, 산책, 바깥놀이, 식생활교육, 세시풍속, 텃밭가꾸기 항목과 진단점수 1점 이하의 항목들에 따라 이루어지며, C어린이집은 19개의 개선항목을 D어린이집은 11개의 개선항목이 도출되었다. 이들 개선항목의 전환방안이 구성되고 목표치인 기대점수가 도출되어 영역별 컨설팅 범위와 수준으로 ‘개선’, ‘인증’, ‘재인증’으로 도출되었다. C어린이집은 생활공간, 생활운영,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의 컨설팅 범위와 수준은 ‘인증’으로 하고 생태유아교육과정 영역은 ‘개선’으로 하였다. D어린이집은 생활공간, 생활운영,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의 컨설팅 범위와 수준은 ‘재인증’으로 하고 생태유아교육과정 영역은 ‘인증’으로 하였다. 담당컨설턴트는 대상기관을 방문하여 진단결과와 전환방안을 안내하고 대상기관의 요구를 반영하는 협의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협의를 통해 C어린이집은 손끝놀이가 추가되어 20개로 개선항목이 늘어났고 D어린이집은 몸짓놀이가 추가되어 12개로 개선항목이 늘어났다. 실행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담당컨설턴트가 컨설팅회의와 대상기관의 요구를 반영한 전환방안에 대한 실행계획서를 수립하고 컨설팅팀 회의에서 실행계획서를 검토하고 보완하였다. C어린이집은 20개의 개선항목에 대한 실행계획서가 구성되었고 D어린이집은 12개의 개선항목에 대한 실행계획서가 구성되었다. 실행 단계에서는 담당컨설턴트가 대상기관을 방문하여 실행계획서에 대해 안내하고 대상기관은 약 3개월 동안 실행계획서에 따른 실행을 하였다. C어린이집에 대한 실행 점검은 현장방문과 형식적 면담과 비형식적 면담을 통해 총 10회로 이루어졌고, 실행에 대한 지원은 교육지원 3회, 참관 1회와 메일과 현장방문시 연간교육계획안, 월간교육계획안, 교육일지, 학급신문, 세시풍속자료 및 세시풍속일람표, 생태유아교육기관 홍보안내지 등의 필요한 자료를 지원하였다. D어린이집에 대한 실행 점검은 현장방문과 형식적 면담과 비형식적 면담을 통해 총 8회로 이루어졌고, 실행에 대한 지원은 교육지원 2회, 참관 1회와 메일과 교육지원시 연간교육계획안, 월간교육계획안, 교육일지, 학급신문, 몸짓놀이자료, 생태유아교육기관 홍보안내지 등의 필요한 자료를 지원하였다. 종료 단계에서는 대상기관을 방문하여 사후진단을 통해 컨설팅 성과를 평가하였다. 대상기관에 평가결과를 포함하여 컨설팅 결과를 보고하였다. C어린이집은 생활운영과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은 기대점수를 도달하였으나 생활공간과 생태유아교육과정에서는 기대점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걸로 컨설팅 평가가 나왔고, D어린이집은 생활공간,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은 기대점수를 도달하였고 생활운영은 기대점수 이상을 충족하였으나 생태유아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기대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컨설팅 평가가 나왔다. 모형 시안 적용과정을 분석하고 적용과정에 참여한 대상기관 구성원 18명을 대상으로 평가질문지를 배포‧수거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는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은 모형의 타당도가 높고 모형의 적용을 통해 생태유아교육의 실천과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져서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적용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컨설팅 범위와 수준을 재명명화하고 실제적용가능한 컨설팅 수행절차로 수정보완하고 실행단계에서 점검을 위한 횟수와 지원의 방법들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이에 모형 시안에 반영하여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최종안이 개발되었다. 셋째, 개발된 전환컨설팅 모형 최종안은 다음과 같다. 모형의 목적은 일반유아교육기관이 생태유아교육기관으로 전환하여 생태유아교육의 철학을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는데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모형의 컨설팅 영역 및 내용은 모형 시안의 영역 및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여 생활공간 영역, 생활운영 영역, 생태유아교육과정 영역, 아이․교사 관계 영역, 생태적 건강․영양․안전 영역으로 구성된다. 모형의 참여주체는 컨설팅 대상기관, 컨설팅관리자, 컨설턴트로 구성한다. 컨설턴트는 담당컨설턴트와 컨설팅위원회로 구분된다. 담당컨설턴트는 대상기관 당 1명으로 배정하고 컨설팅 참여주체간의 매개역할을 하며 컨설팅을 수행한다. 컨설팅위원회는 컨설턴트들의 집합체로서 대상기관의 전환방안을 모색하고 담당컨설턴트를 지원한다. 컨설턴트의 자격기준은 모형시안의 자격기준을 그대로 반영하여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력이 5년 이상, 생태유아지도사 자격 1급 이상, 생태유아교육 관련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로 한다. 모형의 컨설팅 절차는 준비 단계, 진단 단계, 전환방안 모색 및 실행계획 수립 단계, 실행 단계, 종료 단계로 이루어진다. 준비 단계에는 전환컨설팅 의뢰, 예비조사, 전환컨설팅 협약이 이루어진다. 진단 단계에는 사전 진단, 진단결과 분석, 진단결과 검토가 이루어진다. 전환방안 모색 및 실행계획 수립 단계에는 전환방안 모색, 실행계획서 작성, 실행계획서 검토 및 보완, 실행계획서 설명이 이루어진다. 실행 단계에서는 실행과정의 관찰 및 지원이 이루어진다. 종료 단계에서는 사후진단, 컨설팅 결과 분석, 컨설팅 결과 검토, 결과 보고, 컨설팅 종료가 이루어진다. 모형의 운영의 주체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또는 관련연구소에 위탁 운영하도록 한다. 컨설팅 주관기관은 첫째, 컨설턴트를 선발하고 선발된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일정의 교육을 실시한다. 둘째, 컨설팅관리자와 컨설턴트로 구성된 컨설팅위원회를 구성하고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로 총 10~15명으로 구성한다. 컨설팅위원회에서는 대상기관의 사전진단 결과 검토, 전환방안 모색, 실행계획서 검토, 전환컨설팅 결과 보고서 검토를 안건으로 하여 컨설팅 회의를 개최한다. 셋째, 컨설팅지원팀을 운영한다. 컨설팅지원팀은 컨설팅 절차상 발생하는 행정, 재정적 업무를 수행한다. 넷째, 컨설팅에 대한 사후관리를 한다. 다섯째, 전환컨설팅 모형 운영비를 산정하고 관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