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오인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알아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협조를 얻어 유아교사 20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하니(2012)가 수정⋅보완한 총 21문항을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이 수정⋅보완 한 하위요인 없는 총 10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사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소속기관, 연령, 학력, 경력, 결혼여부)에 따른 행복감의 일반적인 경향은 대체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 또한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유아교사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그리고 자기조절행복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의 요인을 올바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해 중요하게 인지하여 절대 간과하지 않도록 해야 함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이다. 또한 일상과 근무환경 모두에서 높은 행복감을 유지하는 것은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위해 꾸준한 노력과 함께 반드시 지켜져야 할 부분임을 결과에서 나타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interaction of child-teacher. The followings are questions that set to accomplish the object.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interaction of child-teacher,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interaction of child-teacher? Third,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on interaction of child-teacher? The subjective, 205 childhood teachers was chosen by the co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o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o measu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21 questionnaire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Hani(2012) were used. To measure the interaction of child-teacher, 10 questionnaire without sub-factor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as used as instrume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interaction of child-teacher,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product-moments correlation was conduc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on interaction of child-teache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general tendency of happiness,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organization,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marital status) was generally high, and general tendency of interaction of child-teacher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as also generally high. Secon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interaction of child-teacher,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statistically. Third, through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on interaction of child-teacher, external, internal and self-control happiness which are the sub-fact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was appeared significantly. This proves that the highe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he higher interaction of child-teacher. The result of this study represents that fact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must be recognized importantly and must not be overlooked in order to proper interaction of child-teacher.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in order to develop interaction with early childhoods in positive way, maintaining happiness in daily lives and working environment must be kept with steady efforts.

      •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민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경향과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만 3~5세 담임 유아교사 324명이다.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백은주와 조부경(2004)이 연구하고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성찰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안체윤과 오미경(2013)에 의해 개발된 성인용 자기성찰지능 척도를 최상희(2017)가 유아교사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숙(2003)이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교사-유아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와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은 중간 수준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지식과 기술 발달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생태적 발달, 자기이해 발달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은 중간 수준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자기조절과 정서활용, 자기설계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정서적상호작용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행동적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언어적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 수준이 높고 자기성찰지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은 교사-유아상호작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하위요인은 교사-유아상호작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 전체는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전문성발달의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지식과 기술 발달, 생태적 발달, 자기이해 발달, 자기성찰지능의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자기반성, 자기조절 및 정서활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전문성발달과 자기성찰지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적 지원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유아교사, 교사-유아상호작용, 교사전문성발달, 자기성찰지능

      •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학부모 협력에 미치는 영향

        유은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학부모 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며, 이 연구 결과를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부모 협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학부모 협력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아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현재 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담임교사 150명에게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중 140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백은주, 조부경(2004)이 개발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로 지식과 기술의 발달, 자기이해발달, 생태적 발달의 3개 하위요인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다음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정숙(2003)이 개발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설문지 도구로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3개 하위요인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학부모의 협력 연구도구는 Owen, Ware, Barfoot (2000)이 제작한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교사용) 척도를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이 번역,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정보공유, 정보추구, 성인관계 3개 하위요인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 검정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학부모 협력 간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전문성 발달수준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유아교사들은 자신의 전문성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학부모 협력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 본 결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서는 지식과 기술의 발달, 자기이해발달, 생태적 발달 모두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학부모 협력간의 관계에서는 지식과 기술의 발달, 자기이해 발달에서 정보공유, 정보추구, 성인관계에서 정적인 상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교사와 학부모 협력 간에 관계가 있음을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연령에서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서 만31세~40세 높은 차이를 나타났고, 행동적 상호작용에서는 만 31세-40세, 만41세 이하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력,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최종학력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유아교사와 학부모간의 협력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에서 평균차이를 나타냈다. 만31세~40세에서 정보공유, 정보추구에서 높음 결과는 나타냈다. 다음은 경력에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경력은 많은 변인을 나타냈으며 9년 이상의 경력에서 정보공유, 정보추구, 교사-학부모 전체에서 높음을 나타냈다. 전공에서도 정보추구, 교사-학부모전체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학부모 협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학부모 협력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와 학부모의 정보공유, 정보추구, 성인관계, 교사-학부모 전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유아교육에 있어 중요함을 인지하고, 유아교육기관에 유아들의 교육의 질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을 증진하기 위한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교사교육 및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do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and aims to provide the results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Study Question 1> expertise development level of teachers and teachers - child interaction, an infant.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parents and teachers? <Study Question 2> infan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 child interaction level. Effect? <Study Question 3>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the level of teacher-parent cooperation What is the imp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50 teachers who currently operate classes on infant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140 of them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To learn about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Baek Eun-ju and Cho Bu-kyung (2004) used the measurement tools of three sub-factors: knowledge and technology development,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The following is a teacher questionnaire tool developed by Lee Jung-sook (2003)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using three sub-factors: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Finally, the teacher-parent collaborative research tool used a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aregiver-partnership scale (teacher) produced by Owen, Ware, and Barfoot (2000) by one child education expert. Measurement tools were used for three sub-factors: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pursuit, and adult relationships. Statistical processing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In addition, one-way batch analysis of variance and independent T tests were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see i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existed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due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 teachers was generally assessed above average. Infant teachers generally positively evaluate their expertise. Seco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showing that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elf-understanding and ecological development are all static in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as found to be a static correlation i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pursuit, and adult relationships.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is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ird,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we found that emotional interactions, verbal interactions, behavioral interaction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at age are 31 years old.There was a high difference between the ages of 40 and between 31 and 40 years of age and 41 years of age in behavioral interaction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depending on experience and institutional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inal academic record, but after looking at whether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differed between infant teachers and parents, the average difference in age was shown.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pursuit were high at the age of 31 to 40. The following showed a difference in career history, with a number of career variables, and a higher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pursuit, and teacher-parent overall in more than nine years of experience. Majority also indica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formation pursuit and teacher-parent as a whole.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affects teacher-parent cooper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the better the teacher-parent cooperation, indicating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are the main predictors of positive effects for both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care for infants.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연구

        장연화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와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학급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와 유아들의 교육을 하고 있는 방과 후 과정 및 종일반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 질문지는 최요원(2002)이 번안하여 사용한 Hills와 Argyle(2002)의 옥스퍼드 행복 질문지(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측정한 곽희경(2011)의 도구를 김시연(2014)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문지는 이정숙(2003)이 여러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척도(APECP, NAEYC, NCAC,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한국교육개발원 평가기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의 문항을 추출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직접 방문과 우편을 이용하여 배부 및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적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Scheffê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는 연령, 결혼여부, 교육경력, 근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최종학력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연령과 교육경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혼여부, 최종학력, 근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언어적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아지며, 연령이 높을수록 행동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서 행복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처우개선, 근무환경 변화 등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경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67

        Abstrac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Kim, Gyeongim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gri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s well as to study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o this end, this paper has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rend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gri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grit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4 homeroom teachers of children aged 3 to 5, who were affilia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ool developed and verified by Jung-sook Lee (2003) was adopted to measure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originally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revised by Sun-kyun Oh (2001) to suit the Korean environment, and later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ye-young Park (2002) to suit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dopted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measure the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riginal Grit Scale (Grit-O) developed by Duckworth et al. (2007) and later revised and verified by Soo-ran Lee (2015) was used to measure the grit of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s study examin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ompu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research tool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s of the main factors reveal that Psychological Burnout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median level, grit was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level,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slightly above the median level. Second, the lower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higher grit were, the higher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Third,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he gri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greater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n Psychological Burnout.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ments in the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at take into account Psychological Burnout and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Furthermore, in-depth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develop effective training programs that can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and enhance grit.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Psychological Burnout, Grit, Teacher-Child Interaction 국문초록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경향과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만 3-5세반 담임교사 364명이다. 주요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척도는 다음과 같다.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숙(2003)이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선균(2001)이 한국실정에 맞게 수정한 Maslach와 Jackson (1981)의 MBI (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박혜영(2002)이 유아교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그릿을 측정하기 위해 Duckworth 등(2007)이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 (Grit-O)를 이수란(2014)이 번안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토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와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심리적소진은 중간 정도보다 다소 낮았고, 그릿은 중간 정도였으며,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중간 정도를 다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 수준이 낮고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유아교사의 그릿이 심리적소진 보다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은 교사-유아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나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그릿을 고려한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심리적소진을 경감시키고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대한 다각적이며 심층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유아교사, 심리적소진, 그릿, 교사-유아상호작용

      •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및 자아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선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7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자아탄력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자아탄력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자아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만3~5세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유아교사 24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측정하고자 김정운과 박정열(2008)이 직장인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를 최복길(2018)이 보육교사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해 Klohnen(1996)이 개발한 척도를 박현진(1996)이 번역한 것을 심순애(2007)가 사용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고자 이정숙(2003)이 APECP 평가척도, NAEYC, NCAC,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한국교육개발원의 평가기준에서 추출하여 개발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도구를 사용한 고효주(2019)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t검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5점 척도 기준으로 3.12점, 자아탄력성은 3.41점으로 평균 이상의 수준이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4.02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전체와 각 하위요인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하위요인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하위요인 중에서는 일-가정 균형, 전반적 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낙관적 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유아교육현장 지원방안 마련 및 교사 연수 내용 선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이 교사-유아 간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백단비 동양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에서는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이 교사-유아 간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6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로는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민정(2019), 안우리, 전홍주(2019), 차화연(2019), 강영주(2020)의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유아 간의 읽기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곽아정(1993)의 연구도구를 사용한 김은영, 김지은(2010)과 정가윤(2018)의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ython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Jupyter Notebook 환경에서 처리하였으며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다. 또한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이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전자그림책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필요한 교육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전자그림책을 다양한 영역 활동에 적용하고, 좋은 전자그림책을 선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전자그림책을 통해 영유아의 언어능력, 인지발달, 창의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활용과 교사-유아 간 읽기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읽기 상호작용 하위 범주 전체와 활용 시 효과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전자그림책 활용의 교육적 효과가 상호작용을 통해 증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이 유아-교사 간의 읽기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전자그림책에 대한 인식이 영유아의 독서 활동과 상호작용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자그림책 활용 능력 향상은 교육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결과적으로 영유아의 놀이와 발달, 학습 효과에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전자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활용이 교사-유아 간 읽기 상호작용에서의 긍정적인 영향은 전자그림책 활용에 있어 유아-교사 간 읽기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and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electronic picture books on teacher-young children's reading interactio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5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a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the tools of Kim Min-jung (2019), Ahn Woo-ri, Jeon Hong-ju (2019), Cha Hwa-yeon (2019), and Kang Young-ju (2020)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lectronic picture books. In addition, to measure the read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e tools of Kim Eun-young, Kim Ji-eun (2010), and Jeong Ga-yoon (2018) using the research tools of Kwak Ah-jung (1993)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processed in the Jupiter Notebook environment using Python programming languag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each item'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In addition,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electronic picture books on reading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positively perceived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recognized them as necessary educational resources. Teachers applied electronic picture books to various activities and selected and used good electronic picture books. In addi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electronic picture books could promote development in multiple areas, such as language ability, cognitive development, and creativi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e-picture books and teacher-young children's reading interac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ubcategories of reading interaction and the effect of use was very high, indicating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using e-picture books could be increased through inter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electronic picture books positively affected reading interac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It mea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f electronic picture books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read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electronic picture books promotes educational interaction and, as a result, has a great explanatory power on young children's play, development, and learning effects. The positiv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electronic picture books on teacher-infant reading interactions is significant in this study. It provided valuable data to enhance the quality and educational effect of early childhood-teacher reading interactions using electronic picture books.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조직건강성의 조절효과

        이송이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childcare center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epared to do so. First, how about overall trends and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how about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Health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how ab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childcare center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this study, 21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o measure the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ections related to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used from the tool developed by Lim JH and Lee GH (2022) to test the specia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lso, to measure teacher-child interaction,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APECP),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al Young Children (NAEYC), the guideline of National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NCAC), as well as the questionnaires of measurement for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by Lee EH and Lee GS (1995) modified by Lee JS (2003) were used. Finally,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the indexes for teachers modified by Koo EM and Park SH (2013) were used from the questionnaires of organizational health modified by Cho GH (2002)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Description Questionnaire (SOHDQ) by Yoon JG (1988). All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25.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with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In addition,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 Seco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layfulness, interaction level, and degree of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subjec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ose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childcare center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with respect to the impa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childcare centers in view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ith control variables including age, working hours in the childcare centers, and average salary of the teach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veral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showed somewhat higher level than ordinary on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generally high. Upon the results of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major variables.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tends to be higher positively and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health in childcare centers raises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is higher. Second, organizational health in childcare center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s means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continues the positive outcomes if the level of organization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where teachers are working is high despite low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health interact with children more positively that those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based on the sam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his study prove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health in childcare cen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offer the needs of multiple plans to sustain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childcare center soundly for the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that affects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조직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 어린이집의 조직 건강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전반적 경향 및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조직건강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의 조절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 교사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지현과 이경화(2022)가 개발한 유아 교사의 놀이 전문성 검사 도구 중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관련된 부분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APECP(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al Young Children) 및 NCAC(National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의 인정기준과 이은해와 이기숙(1995)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에서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유형의 측정 문항을 바탕으로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조직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윤종건(1988)의 ‘학교조직 건강진단검사지(SOHDQ: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Description Questionnaire)’를 유아교육 기관 현장에 적절하게 수정한 조기홍(2002)의 ‘조직 건강성’ 질문지를 구은미와 박성혜(2013)가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유아 교사의 놀이성,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하여 각 척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합치도(Ch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놀이성, 상호작용의 수준, 조직건강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변인 간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이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관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교사의 연령, 어린이집 근무시간, 평균 월 급여를 통제 변인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처럼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 분석을 하여 검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 어린이집의 조직 건강성,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은 전반적으로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은 대체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어린이집의 조직 건강성,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주요변인 간의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어린이집의 높은 조직 건강성은 교사와 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높이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은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교사의 놀이성 수준이 낮더라도 교사가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조직 건강성의 수준이 높다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수준의 유아 교사의 놀이성에서 어린이집의 조직 건강성이 높은 그룹의 교사가 낮은 그룹의 교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이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영향을 주는 교사와 유아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어린이집 조직 건강성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안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어떠한가? 2. 자유선택활동시간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알아보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유치원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개의 하위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인정기준」중 '상호작용'에 대한 부분을 사용하였다. 상호작용의 도구는 5개의 영역, 총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사의 경력이 많아질수록 교수-학습능력이나 자신의 교육신념이 상승하여 교사효능감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전체적인 평균은 3.54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각 영역별로는 '따뜻한 상호작용'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적인 상호작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교사효능감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 중 '따뜻한 상호작용'에 대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민주적인 상호작용'을 제외하고는 '유아를 존중하는 자세와 태도로 상호작용',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반응적인 상호작용'에서 교사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교사가 낮은 집단의 교사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교사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에 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set as follows: 1. What's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2. What's the level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in free play time? 3.What ar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8 teachers, who are in the kindergartens of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is study surveyed teachers' efficacy belief with questionnaire, and at the same time observance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A measuring instrument of teachers' efficacy belief was used, which Boon-ryeo Lee (1998) modifie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that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into a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instrument. And, the part of 'Interactions' amo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program」 was used as a "kindergarten teachers-children interactions instru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belief was more than normality, and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high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low. Teachers' efficacy belie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s' experiences. Second, the whole mea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was 3.54. The part of 'affection Interaction' was the most in the fields of the interactions.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s' experiences. Third,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part of 'affection Interaction' among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The teachers' group with high efficacy belief showed more 'respectful attitudes towards children', 'interaction supportive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responsive interaction' than the teachers' group with low efficacy belief.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놀이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손희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67

        This study examined how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adult attachment,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4 teachers working at a public kindergarten in Incheon, and the experiment period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weeks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7. The measurement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ECR),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 meas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used a tool developed by Shin Eun-soo, Park Hyun-kyung, and Yoo Young-hee (2004)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Lee Jae-jin (2013) and Kwon Da-eun (2019).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measurement tool used a self-evaluation scale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Kang Byung-jae and Baek Young-sook (2013) based on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APECP) evaluation scale,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al Yong Children (NAEYC) recognition standard, and Lee Eun-hae and Lee Ki-sook (1996).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diffraction among the anxiety and avoidance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s a high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The level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 was high,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emotional and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among teachers with kindergarten level 1 full-time teaching certific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overall adult attachment of the avoidance and anxiety dimensions, the lower the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This means that stable attachment teachers have a high sense of play teaching 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overall adult attachment of the avoidance and anxiety dimensions, the lower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hich means that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of stable attachment is high. Fourth,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lay teaching 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dult attach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ffects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since the adult attachment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more diverse training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the proper attachment form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인애착,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성인애착,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은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4명이며 실험기간은 9월 19일부터 10월 7일까지 약 3주간 실시되었다. 측정도구는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형 질문지인 ECR(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이선민(2017)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놀이교수효능감은 신은수, 박현경, 유영희(2004)가 개발하고 이재진(2013)과 권다은(2019)이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는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APECP) 평가 척도, The Nation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al Yong Children(NAEYC) 인정기준과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등을 기본으로 강병재, 백영숙(2013)이 유아교사에 적합하게 수정한 자기보고식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서 SPSS 21.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알반적인 경향은 성인애착의 불안차원과 회피차원 중 회파차원이 상대적으로 높고 놀이교수효능감은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이 높았다.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았으며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가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정서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은 놀이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피차원과 불안차원의 성인애착 전체가 높을수록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정형 애착의 교사들이 놀이교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피차원과 불안차원의 성인애착 전체가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안정형 애착의 교사들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은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은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의 올바른 애착형성을 위해서 보다 다양한 연수와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