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광역시의 토지계 오염원 및 토지계 오염부하량 변화

        장종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자치단체별로 목표 수질을 설정한 뒤, 이를 달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오염물질의 배출 총량을 관리 또는 규제하는 제도이다. 이 경우 자치단체가 자발적으로 정한 오염물질 배출량을 초과하면 해당 지역의 개발이 제한되지만, 반대로 배출량을 줄여 수질을 개선하면 그만큼 개발이 허용된다. 광주광역시 지역의 유효강우일수비는 2010년도에 0.109, 2007년도 0.104, 2005년도에 0.098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며, 2006년, 2008년 및 2009년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준다. 광주광역시 지역의 강우배출비의 연평균값은 0.992~0.998로 큰 변동이 없으나, 연도별 최대값은 2005년 2.779에서 2009년 5.019로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주제1하수종말처리장의 연도별 토지계 연평균 관거유입부하량은 2008년에 39,899 kg BOD/일로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2007년도에 26,546 kg BOD/일로 낮은 값을 갖는다. 광주제1하수종말처리장에서 각 연도별 관거월류부하비의 평균값은 2007년도 0.762와 2006년도 0.715로 상대적으로 크며, 2009년도 0.511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다.광주제1하수종말처리장 처리구역에서 토지계 관거유입부하량중 토지계 관거월류부하량으로 배출되는 비율은 2006년도와 2007년도에는 90%를 상회하지만, 그 외 연도에서는 80% 이하를 보여주므로서 하수관거를 통하여 토지계 오염원의 20%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광주제2하수종말처리장에서 각 연도별 토지계 관거의 유입부하량은 연도별 연평균은 2006년에 7,131kg BOD/일과 2008년에 6.886kg BOD/일로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2007년도에 4,797 kg BOD/일로 낮은 값을 갖는다. 광주제2하수종말처리장에서 각 연도별 관거월류부하비의 평균값은 2010년도에 0.762, 2007년도 0.750로 상대적으로 크며, 2005년도 0.550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다.광주제2하수종말처리장 처리구역에서 토지계 관거유입부하량중 토지계 관거월류부하량으로 배출되는 비율은2006년도와 2007년도에는 90%를 상회하지만, 2005년도에는 67.2%로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 광주 문화수도의 아시아 문화 네트워크 구축 방안 연구

        김영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가 되면서 각 지역은 문화를 통한 패러다임을 강조하고, 세계화 시대, 하나의 지구촌의 시대에 가장 필요로 한 것 중에 하나가 전 세계를 하나로 통합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이라고 볼 수 있다. 더욱이 광주 문화수도는 ‘문화적 창조력이 활발하고 발신능력이 강한 문화의 생산?유통?소비의 중심지이며, 문화가 도시의 중심적인 기능을 하는 도시’를 말하고 있으며, 이는 문화를 도시의 기능으로 삼고 특징으로 삼는 도시를 의미 한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을 중심으로 광주 문화수도 조성과 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구축은 광주가 문화를 통한 도시의 재개발과 도시 경제의 활성화, 시민의 삶의 질 제고와 아시아의 정체성과 가치를 창출하고 아시아와 연대하여 평화?공동번영의 길을 이루고자 하는 사업이라 말할 수 있으며, 광주 문화수도 조성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아시아문화네트워크의 구성 및 구성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시민들의 문화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네트워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문화네트워크, 아시아 문화네트워크의 개념과 기본틀을 만들고 아시아 문화네트워크에 대한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고 광주시의 문화네트워크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을 구상하였고, 어떻게 아시아 문화네트워크 구축할 것인가의 방안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정책적 방안과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시아 문화네트워크 구축의 효과로는 커뮤니케이션 효과, 참여유발효과, 합리적이고 효율적이며, 투명한 운영효과, 그리고 다채로운 정보서비스의 제공 등에 있다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아시아 문화 네트워크 구축은 광주문화수도 조성에 핵심적인 것이며, 그 동력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아시아 문화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우선 문화전문가, 웹사이트 운영자, 시민, 해외 통신원, 지자체, 문화관광부 관계자 등 아시아 문화네트워크 구축 관련 집단이 모여 각각의 역할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해당 주체는 필요한 역할을 구성하고, 온?오프라인 협력관계 모색을 통해 문화네트워크 형성 및 문화공동체 형성에 주력해야 한다. 그래야만 문화네트워크는 실질적인 아시아 문화네트워크로서 구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ll nations and regions are emphasizing to find a paradigm through culture in 21th century. expecially, it is network that one essential product is reunified globalization age or in Global Village ages. By owner of a mine becomes culture capital hereafter, is going to get into cultural creative power vigorously, emission ability of culture as production of strong culture, negotiation, consumption center, culture may achieve central role of city. Gwangju culture capital may be made up laying stress on Asian cultural palace which is erected hereafter together, and construction of Asian culture network through this may bring qualitative improvement of redevelopment, activation of urban economy, civic life of cultural city by Gwangju. It is business that effect Asian identity and value creation, peace through tears and generations with Asia and common prosperity furthermore. Therefore, furtherance is necessary number of Gwangju's culture. Target that this treatise seeks is as following. First, make Asia Cultural Network format and composition strategy to research object. Second, pursue policy making way that can share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e and way that citizens can attend actively in culture activity. Third, is based on and make Cultural Network, Asia Cultural Network concept and basis model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network. Together, is going to establish Asia Cultural Network direction and strategy on the basis of this. Furthermore, communication effect through Asia culture network construction, participation induction effect, logical, efficient, transparent operation effect, and is going to do so that various information service offer is available. Asia Cultural Network construction may act as dynamic number of Gwangju culture accomplishes essence of furtherance conclusively. Ideal Asia Cultural Network to be constructed role of culture specialist, website operator, citizens, foreign countries correspondent, local government,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official etc. integrate need to . Everybody these must form network by groping of relation cooperation enemy own role exhibition and on-line course off-line. Because this can permit Asia Cultural Network construction substantially.

      •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

        이지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 ‘지역 소재 등록문화재 활용 활성화’, ‘도시재생사업추진’을 배경으로 등록문화재 활용이 강조됨에 따라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활용 현황과 한계를 고찰하고 등록문화재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등록문화재의 개념과 제도에 대한 이해, 그리고 등록문화재 현황과 활용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등록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시행규칙 제34조에 따라 ‘근현대시기에 형성된 지정문화재가 아닌 것 중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비추어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히 필요한 것’이라 정의한다. 또한 그 범주는‘근대문화유산’에 둘러싸인 ‘근대문화재’에 속한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2001년 3월에 개정되어 같은 해 7월에 시행하였으며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재조명과 가치 부여의 필요성, 그리고 급격한 도시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멸실·훼손되어가는 현실에 종래의 지정 제도만으로 불충분하여 소유자의 자발적인 보존 의지를 근간으로 유연한 보호조치를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도입 이후 몇 차례의 부분 개정 과정이 있었으며 그 변화 양상은 ‘등록 대상의 다양화’, ‘공간적·시간적 단위의 확장’ 그리고 ‘운영·관리의 지역화’로 나타난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활용에 강점을 두고 있으나 보존에 있어 취약성을 보이기도 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절차와 등록조건, 현상변경 규정 등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등록문화재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2019년 기준 전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843건이며 전체 지정·등록된 문화재의 약 15%에 해당한다. 등록문화재는 용도별로 동산, 업무시설, 종교시설, 공공용시설, 교육시설, 인물기념시설 등으로 구분되며 이중 건조물 문화재가 절반 이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으로는 서울이 21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등록문화재의 활용 유형은 ‘계속형’, ‘전용형’, ‘부활형’, ‘관람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개를 통한 공적 활용과 활용의 적극성이 가장 강한 유형은 ‘전용형’ 활용이다. 제3장에서는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현황과 유형에 따른 활용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전용형’에 해당하는 활용 사례의 분석을 통해 등록문화재 활용의 문제점과 한계를 알아보았다. 현재 광주광역시 소재 등록문화재는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을 포함한 20건이며 활용은 계속형과 전용형이 가장 많다. 전용형 활용 사례에 해당하는 4건의 사례를 문화재의 단일적 현황과 도시 맥락적 현황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단일적·점적으로의 활용 집중’, ‘고유성·진정성을 담은 다양한 콘텐츠개발의 부족’,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체계적 홍보 부족’이라는 한계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은 등록문화재 활용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광주광역시의 지역적 맥락을 고려하여 활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등록문화재 활용 사례는 활용방법에 따라 전시공간활용, 복합문화공간활용, 문화탐방코스 활용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시사점은 ‘진정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을 통한 문화적 가치와 의미 강화’, ‘지역활성화를 위한 맥락적·입체적 활용’, ‘복합적 기능 수행과 열린 공간 활용을 통한 다양한 문화 향유 욕구 충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등록문화재 활용 방향을 ‘문화관광’과 ‘도시재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존과 활용의 균형 잡힌 활용’, ‘다양한 의견 수용’, ‘협력을 통한 공존’, ‘공공성·개방성 추구’,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형성’이라는 활용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활용 전략은 SWOT분석을 통해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등록문화재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재의 감정 기록과 공유’, ‘문화재 정보전달의 의무와 통합시스템 구축’, ‘의미를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기획’, ‘지역연계 콘텐츠 기획’을 구체적 프로그램안과 사례를 통해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status and limitation of Gwanju cit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ways to increase the application efficiency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s emphasized with the basis of "Implement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policy," "Vitalizing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local areas," and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the system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tatus and application types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is defined under Article 34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as "a cultural property which is not a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created in the modern period but requires actions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light of its value as a cultural property." Moreover, the category belongs to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withi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revised in March 2001 and was implemented in July of the same year. This system was introduced for flexible protective measures based on the owner's voluntary preservative will due to insufficient current system where cultural properties are lost and damaged by the rapid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re-examination and valuing of modern cultural heritages. The enrollment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undergone several partial revisions since its introduction, and its changes include "diversification of registration targets," "expansion of spatial and temporal units," and "localization of operations and management."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strengths in its application, but it also shows vulnerabilities in preservation.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lement the registration procedure, registration conditions, and regulations to change the status and actively promote the publicity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As of 2019, there are 843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ationwide, accounting for about 15% of all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re divided into gardens, business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people's memorial facilities by use. More than half of the cultural properties are building cultural properties, and Seoul is the largest with 212 cases. The types of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can be categorized into "continuing type," "specific use type," "re-used type," and "viewing type," and the type with the most potent positive public use by application through public use is "specific use type."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particular,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cas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use type". Currently, there are 20 registered cultural assets in Gwangju, including the former main building of the Gwangju Jeollanam-do Provincial Govern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cases corresponding to the exclusive use ca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ngle status of cultural assets and the contextual situation of the city, "the concentration of single type application," "the lack of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with uniqueness and authenticity," and the limitations of "lack of linkage with the community and systematic public relations" were confirmed. Chapter 4 derives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seeks to promote the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s regional context. First of all,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classified into the use of exhibition spaces, the use of multiple cultural spaces, and the use of cultural exploration courses. The implications were "strengthening cultural values ​​and meaning through content planning considering authenticity and placeness," It could be derived from "contextual and stereoscopic us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satisfying various cultural needs through performing complex functions and using open spaces." Subsequently, the directions for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assets were divided into "cultural tourism" and "urban regeneration," and based on "balanced use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ccepting diverse opinions," "coexistence through cooperation," "publicity and openness." It was able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use of "pursuit" and "formation of community ties." The strategies for utilizing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were comprehensively covered through SWOT analysis. As a way to activat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cording and sharing of emotions of cultural properties," "requirement of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cultural property," and "planning of various contents considering meaning," " Local-linked content planning" was proposed through specific program proposals and examples.

      • 광주지역 발레교육의 발전에 관한 연구

        신민경 조선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광주는 무용의 도시 특히 발레의 고장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다. 더우기 최근 국제발레콩쿨을 한국에서 최초로 광주에서 개최함으로서 광주는 이제 국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세계의 발레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광주가 이처럼 발레의 고장으로 발전하게 된데는 여러가지 배경과 이유가 있겠으나 무엇보다도 발레 지도자들의 헌신적인 지도에 힘입은 바 크다. 물론 그것은 해방후 서울등지에서 무용을 배워온 개척자적인 신무용의 지도자와 그후 이 지방 출신으로 외지에서 발레를 지도 받아온 여러 발레지도자들의 의욕적인 지도로부터 시작하여 조선대학교 무용과와 광주시립무용단에서의 전문적인 발레지도를 통한 우수한 무용수들의 배출로 인한 발레무용수들의 왕성한 무대활동 때문이라 할 것이다. 또한 조선대 무용과와 광주시립무용단에서 초청한 델라스, 마르티니, 페리, 파데에체프, 바가데리 등 세계적으로 탁월한 지도력을 갖춘 발레지도자들에 의한 특강 등으로 대학 발레전공 학생은 물론, 광주시립무용단 단원 그리고 시내 무용학원 발레전공 학생들의 실력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었다. 광주의 발레교육은 사실상 초·중·고등학교 등의 정규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로 사설학원에서 발레수업을 받고 있는 초·중·고등학생들과 조선대 무용과, 광주여자전문대 무용과의 발레전공 학생들이 전문적으로 교육되고 있으며, 직업무용단인 광주시립무용단에서 단원들에게 수준높은 발레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광주의 발레는 전문적인 발레학교의 체계적인 교육이 아닌 사설 무용학원 등지에서 비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광주의 발레는 오늘의 영광을 머지않아 타지방에 빼앗기게 될 것이 자명하다 하겠으며, 특히 전문적인 발레지도자 양성기관도 없다는 점에서 광주가 발레의 고장이라는 명성을 유지하기는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광주의 발레는 학원에서든 학교에서든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에 의하여, 나아가서 세계화에 걸맞는 국제적인 발레지도자들에 의하여 지도될 수 있는 장치와 지원이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기왕에 거론되었던 국립 종합예술학교의 조속한 설립을 통한 전문지도자 과정의 개설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Kwangju-city is called as the city of dance especially, that of ballet Further the interantional ballet "contours" was held of Kwangju first in Korea and now Kwanglu is noticed from the cirle of the world ballet There are many resasons and backgrounds that Kwangju can be developed as the city of ballet, but above a1 it is owing to the guidance of ballet leaders The development of dance in Kwanglu-city was begun with the dxploratory leaders of new dance who learned the dance in Seoul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the ambitious teaching of many ballet leaders and was owing to the prosperous performance activities of ballerina through the professional baller lesson in the Dept. of Dance, Chosun University and Kwangju Municipal Dance Compaly In addition, the special lectures by the ballet leaders with the excellent leadership such as Dellas, Martiny, Perry, Padechev, and Bagaderi who were invited by the Dept. of Dance, Chosun University and kwangju Municipal Dance Company improved the skill of the members of Kwangju Municipal Dance Company and the students learning ballet in the private Dance institute in Kwangju-city as well as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ballet at university The ballet education in Kwangju-city has not carried out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earning the ballet in the private institute and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he Dept of Dance, Chosun University and kwangju Women's Junior College are receiving the professional and high-level ballet deucation from the members of kwangju Municipal Dance Company, vocational dance group However, since the ballet education in Kwangju-city has been performed at the parivate institutes under the unsystematic method, it is obvious that the ballet of kwangju will lost today's glory by oter regions soon, and especially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e fame of Kwangju-city, the city of ballet in that it has no professional ballet leader training agnecy The system and support which can be led by the international ballet leader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ization should be made by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at institute or school and the openting of the coures of professional leaders is needed trhough the early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general art school

      • 광주광역시·요코하마시 두 도시 비교 분석에 따른 문화 예술 콘텐츠 발전 방안 연구

        신영래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20세기 후반 지속성을 담보하지 못한 물리적 재건에만 치우친 서구의 여러 지역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개념의 도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는 성장과 개발 위주로 진행돼 온 산업사회의 종식을 의미했고, 결과적으로 인간 중심의 삶의 터전을 새롭게 다지자는 각성에서 촉발되었다. 미국과 캐나다, 유럽 등 서구 선진국들이 창조도시 발전을 먼저 이끌어낸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주지되다시피 역사는 가역성을 갖지 못한다. 이미 첨단과학의 발달로 정보화시대로 진입한 현대의 도시민들은 자신들이 일구어 낸 도시 문화를 거꾸로 돌려 고대나 중세, 심지어는 농업사회로도 더 이상 돌아갈 수가 없다. 하지만 인간은 오랜 인류문명사를 통해 도시 문명을 어떻게 변환시킬지 지혜를 모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흥미롭게도 물질 같은 것이 아니라 창의성과 예술성으로부터 발아되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 창조도시를 선도하고 있는 지역의 유래와 역사, 형태에서 동일하게 발견되고 있는 사실이다. 21세기 초반, 국내에서는 발 빠르게 문화도시를 지향점에 둔 광주광역시가 지난한 노정 중에서도 동아시아 3대 창조도시 중 하나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그러나 창조도시의 핵심적 역량은 무엇보다 문화예술 콘텐츠에 있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일본의 창조도시 요코하마시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매우 시기적절하고 필요충분하다. 광주 발전의 활로를 찾는 시사점을 얻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고 있는 요코하마 사례와 광주의 비교분석은 효율성과 소득이 클 것으로 예측된다. 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피기 위해 창조도시의 개념을 비롯해 문화예술 콘텐츠 개념 및 범위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었다. 또한 두 도시의 근현대 시대적 배경과 두 도시가 추진해 왔던 문화예술 정책의 전개 과정을 조사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간 세부 비교 대상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을 하였다. 광주·요코하마 두 도시는 우연하게도 시민들에게 가해진 고통의 시기를 겪었고 그에 따른 필연의 결과로 추정되는, 창조·문화도시 형성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요코하마시에 닥친 천재지변과 광주에 가해졌던 국가폭력에 의해 시민들이 고통을 겪은 경험이 그것이다. 이러한 외부로부터 가해진 재난과 폭력이라는 독특한 역사에 문화예술이 가지는 창의성이 융합돼 오늘의 도시문화를 이룩한 것이다. 프랑스와 같은 서구 사례의 선행 연구와 더불어 동아시아 도시와의 비교연구가 필수적인 이유는 여러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비슷한 문화권, 연구의 경제성, 서구에 비견되는 동양적 특성 발현 등 여러 부문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한 동아시아 도시 간 비교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연구가 수행된 사례는 드물다. 특히 광주는 향후 이러한 부분에 대한 진지한 모색이 계속돼야 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개관에 따른 콘텐츠 확보는 이미 발등에 떨어진 불과 같다.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도시로의 발걸음을 뗀 이후 어떠한 행보를 보이는가가 도시 미래를 담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의 가치를 보다 섬세하게 담아낼 수 있는 문화예술 콘텐츠 연구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 광주광역시 아파트 증가에 따른 단지형태의 변화 : 2010년대 이후 도심지 아파트 용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윤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광주광역시의 도시경관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1970년대 도심지는 저층 으로 구성되어 존재했다. 이후 급격하게 증가한 아파트라는 주택유형은 광주광역시 의 도시구조와 형태를 빠르게 변화시켰다. 이는 광주광역시의 아파트 분포도를 통 해 확인할 수 있다. 1966년 광주광역시 최초의 아파트인 미도아파트가 준공된 이후, 1980년대 초 주택 공사에서 최초로 대규모 단지형 아파트를 조성하였다. 이후 택지개발지구 지정된 구역에 아파트가 건설됨에 따라 1980년대부터 도심지 외곽지부터 1순환도로 외곽지 까지 빠른 속도로 단지형 아파트가 확산되었고, 광주광역시 아파트의 외곽으로의 확산은 2010년대 초반까지 진행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으로 인한 아파트 건설이 시작되 었다. 도심지의 도시형태가 아파트 개발로 인해 크게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지 아파트 건설 유형에 따라 도시형태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아파트 개발의 확산 시기인 2010년 이후의 도심지에 건설 된 아파트를 조사하여 아파트 용지를 유형화하고 유형화에 따른 변화양상을 파악하 였다. 기존의 용지에서 도시형태 변화시키는 유형은 크게 3가지로 정의하였다. 유형1의 경우는 재개발을 통해 소규모 필지들의 대규모 병합으로 건설된 단지형 아파트이다. 저층형 노후 주거지에서 발생하며,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와 택지개발사 업의 초기 지구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 두 사업의 초기지구는 1순환도로 내 외곽으 로 도심지에서 진행되었기에, 도심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유형이다. 또한 3가지 유형 중 가장 큰 규모이며, 광주광역시의 도심지 아파트 개발에 따른 도심지 도시형태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형2의 경우는 재건축을 통해 기존 대형 필지를 유지한 단지형 아파트 이다. 재개발과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규모는 유형1에 비해 비교적 작은편이 다.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건설된 단지형 아파트가 노후화 되어 재건축을 통해 높 은 층수와 용적률을 나타내지만, 기존 필지 및 블록의 크기는 유지된다. 택지개발사 업으로 건설된 초기 단지형 아파트는 제1순환도로 외곽지에 건설되었기에, 1순환도 로 외곽지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현재 도심지에서의 필지형태의 변화는 없 으나, 경관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유형3의 경우는 소규모 필지 병합 및 소규모 개발로 이루어진 지역주택조합 및 일반 단지형 아파트이다. 유형1과 2에 비해 규모가 상당히 작다. 하지만 도심 곳곳 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업이며, 소규모 필지의 병합으로 인해 도심지에서 도시형태 의 변화가 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도시 외곽으로의 아파트 확산은 멈추었으나, 저층형 주거지 로 이루어진 도심지에서는 아파트의 개발이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정비사업을 통해 도심지에서 대규모 단지형 아파트가 건설됨으로서 저층형 주거 지의 골목과 마을을 사라지게 하고 있다. 소규모 필지의 병합의 형태로 개발이 지 속됨에 따라 기존 도심지의 도시형태가 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 생활주체 경험을 통해 본 광주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 연구

        김연경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화에 대한 요구와 관심은 1990년대 ‘예술의 거리’, ‘문화의 거리’라는 유행으로 탄생되기 시작했고, 새로운 화두로 거론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인 광주 예술의 거리는 1987년 시 조례를 통해 최초로 지정된 이후, 조례와 정책의 일환으로 변모했고 따라서 그 안의 생활주체들의 개인의 ‘삶’도 영향을 받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잊혀 가던 예술의 거리는 최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과 함께 다시 재조명 받게 되었으며, 2009년부터 활성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곳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광주 예술의 거리 연구가 주로 시각디자인 측면에서 이루어진 것이 한계라고 생각되었으며, 그 지역만의 장소성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예술의 거리를 구성하는 생활주체의 내부자 목소리를 통한 장소성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는 판단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광주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장소성의 형성요인인 물리적 요소, 행태적 요소, 의미적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크게 역사적으로 형성된 배경요인을 검토하여 예술의 거리가 지정되기 이전의 모습을 추적하였고, 이후의 모습을 정책과 계획에 반해 거리에서 경험하는 생활주체의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역사적 과정을 심층인터뷰와 자료 분석을 통해 행태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의미경합의 장으로서 경험한 역사를 통해 현재 예술의 거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의미적 요소를 파악했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적으로 예술의 거리의 형성 배경 요인이 될 수 있었던 시기는 일제 강점기이다. 당시 광주읍성이 있었던 이곳을 허물고 일본인들은 관공서를 설치하고 충장로와 금남로를 중심으로 상권을 구축한다. 광복 이후 이 공간계속 유지되었고, 관공서에 그림 선물을 하는 문화로 동양화는 큰 인기를 누렸고, 이 일대는 표구사와 화랑의 거리로 촉발되는 계기가 된다. 둘째, 장소성 형성요소인 물리적 요소로 분석한 예술의 거리의 결과는 십자가(+) 형태의 모양으로 가로(Street)형이다. 대부분 문화예술관련 업종 중 미술작품이나 도구와 같은 유통에 관련된 업체가 가로변에 분포되어 있으며, 야외무대에서 동부경찰서 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시설물은 정책 혹은 활성화 프로젝트에 의해 설치된 것이지만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많아 시각적으로 퇴색되고 있다. 생활주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곳은 ‘중앙초등학교와 그 담벼락’인데, 그 이유는 첫째로 예술의 거리 내 가장 오래된 건물이자 최초로 전시회가 열렸던 공간이며, 둘째로는 1992년부터 열렸던 ‘개미시장’이 담벼락 옆이었기 때문이다. 셋째, 행태적 요소라는 것은 특정 공간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공간의 문화정치학 관점이라는 것은 이러한 행태적 요소가 특정 공간에서 지배력(권력)과 저항력(생활주체)의 다양한 의미들이 어떻게 서로 경합하고 갈등하는지 보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본 예술의 거리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기에 생활주체들의 소통과 ‘삶’ 자체의 장이였던 모습이 1987년 ‘예술의 거리 지정’으로 인해 변모하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예술의 거리 상가 번영회’를 통하여 생활주체도 단결된 모습을 보였고, ‘예술의 거리 육성 기금 조성 및 운영위원회’를 통해 생활주체와 권력주체도 협력을 하지만 1990년대 중반이 지나가면서 점차 분열과 갈등이 일어났다. 그 이유는 첫째로, 경제·정치적 상황이 직접적으로 상권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었고 둘째로는 권력주체는 이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과 지원을 하지 않고 심지어 생활주체의 요청마저 오랜 기간 동안 외면했으며 일방적인 행정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셋째로는 새로운 업종과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들어오는 생활주체에 의해 내부에서도 소외감이 일어났고, 계층화가 되면서 상권 위주의 거리가 자연스러운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기 힘들기도 했기 때문이다. 넷째,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개인의 경험은 현재 특정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생활주체의 의미적 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예술가를 최근 들어온 생활주체로 봤을 때, 점점 ‘고유이미지가 사라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여전히 대표하는 상징요소는 ‘문화예술관련 상가’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역사적 장소’로서의 의미도 점점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중요한 장소 인식에서도 ‘중앙초등학교’나 주요 상가 밀집 지역인 ‘야외무대에서 동부경찰서까지’보다 문화활동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야외무대’가 있는 교차로로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예술의 거리의 ‘상업적 특화’에서 ‘문화 활동’의 범위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나 오히려 과도기로 고유이미지를 잃어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인식에서 예술가와 상인의 차이가 뚜렷하여 소통의 부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광주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은 크게 권력의 영향에 의해 1990년 대 말을 기점으로 소통의 공간과 채널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지속적 활성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주체 내에서도 예술의 거리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높은 편이다. 그러므로 생활주체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현실 속에서 나오는 ‘bottom-up’정책의 가능성을 찾아 장소성을 살려 소통의 맥락을 이어주고 낙관적 전망으로 생활주체의 시선을 바꿀 수 있는 정책과 네트워크 구성 및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光州券의 觀光産業과 光州空港 育成에 관한 硏究 : 觀光政策의 側面에서

        강원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re is only an airport in Kwang Ju Area. Because Kwang Ju Airport is not enough to accommodate greatly increasing passengers, it is necessary for Kwang Ju Airport to become a international airport. If Kwang Ju Airport become a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Ho Nam Area Presently, there are such many problems as inefficient management system. noise problem and insufficient accommodations in Kwang Ju Airport. So this study analyzes these problems and recommends th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Kwang Ju Airport in terms of supporting tourist industr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Kwang Ju Area. We think that Kwang Ju Airport is the most important infrastructure of tourist industr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Honam Area in view of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o the activation of Kwang Ju Airport and tour industry begins with the internationalzation of Kwang Ju Airport. In order to make Kwang Ju Airport be international airport, there must be several measures. First, new runway for big airplanes must be constructed and old runway must be repaired or increased. Second, An air route for domestic or international tour must be diversified. Third, Airport's faculties should be established more. and fourth, Tourist industry in Kwang Ju Area should be activated, expecially new tourist attractions, tourist routes, tourist hotels, and tourist commodities are developed activictively. This study does not test hypotheses and construct theories, but develop policy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tourist industr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Kwang Ju Area. So hope this study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mation of a tourist policy in Honam Area.

      • 光州의 特化産業으로서 光産業 發展方案

        원숙종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광주지역이 과거의 취약한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첨단과학기술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 특화산업으로 지정한 光産業의 발전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우리나라의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지역경제 활성화는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특화산업의 육성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광주의 특화산업은 광주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상품만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광주지역의 산업구조를 보면, 1997년 기준 종업원 49인 이하 중소기업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체와 종업원수 생산액은 전국 대비 4%내외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83.1%로서 전국 평균 70.5%에 비해 높고, 제조업 기반이 11.8%에 불과하여 전국 평균 19.9%에 비해 취약하며, 소수 대기업과 하청중소기업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광주시의 1997년도 과학기술 연구개발예산 및 연구인력은 우리나라 전체의 1∼2%에 불과하며, 전국 16개 지방정부 가운데 10위권 이하를 나타낼 정도로 연구개발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의 80% 이상이 수도권과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다. 이와 같이 광주지역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되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비교우위를 갖는 산업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첨단산업 발전에 토대가 되어야 할 과학기술 연구개발 여건도 매우 낙후되어 있어, 현재의 산업기반으로 전국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통해 지역의 고용증대와 경제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미래 정보화사회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이 핵심기술로 등장, 국가와 산업발전의 성장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화산업 개발과 관련 정보통신기술중 광주지역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광통신을 비롯한 광산업을 집중적으로 개발하려는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정보통신 방향은 음성, 데이터 및 영상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기반이 될 것이고, 특히 이를 처리하기 위한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이 전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총 32조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는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은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하는 것이다. 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주행하기 위해서는 고속도로가 필요한 것처럼, 정보화사회에서는 많은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고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정보통신망과 광부품, 광소자 및 광섬유가 개발되어 완전한 광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초고속정보통신망은 물리적으로는 광통신망으로 광섬유에 빛을 보내어 통신하는 것이다. 광케이블은 정보통신산업의 핵심제품으로서 세계 각국의 정보인프라 구축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매년 20% 이상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광산업은 빛을 제어할 수 있는 소재, 제어된 빛을 응용하는 소자, 부품 및 시스템을 만들고 이들 제품을 사용하여 부가가치를 얻는 경제활동을 통칭하는 산업으로, 이처럼 방대한 정보통신 시장을 배경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신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전세계 광산업의 시장규모는 1,300억불로 추정되며, 2010년에는 3,800억불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급성장의 원동력은 정보화사회의 도래에 의한 광통신 및 광정보기기의 사용증대에 기인한다. 세계 광산업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첨단기술의 우위를 지키기 위해 배타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 LG, 현대, 금호 등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소기업 위주로 매우 제한된 규모의 광부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특화단지의 개념이 없이 전국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 아리조나의 광밸리나 일본 치토세의 포토닉스밸리 등 광산업 단지는 광산업이 집적화되어 있으며 중앙정부와 산업체 및 인근 대학이 유기적으로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광주는 정보화사회의 핵심산업으로서 광산업을 중심으로 집적화하여 미래 산업구조의 틀을 재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광산업 개발을 위한 잠재력으로 기술 및 자원의 측면에서 검토해보면, 광주 지역은 광산업 분야의 우수한 전문 연구인력 150여명이 연구하고 있고, 배출되는 대학원생 연구 인력이 1,000여명에 이르고 있어 고급 기술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지역 대학 및 연구소에는 1,000여종의 고가 연구기자재와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LG전자 등과의 산학협력 연구를 수행하여 실용적인 측면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광산업과 관련된 업체수는 51개로 전국에서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 전체 제조업체 2,000여개 가운데 약 2.4%에 해당한다. 광산업 관련 중소기업을 집중육성하여 얻는 효과로는, 이 지역 졸업생들의 취업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고용증대와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 위주로 산업구조가 취약하고, 연구개발 투자가 부진하며, 첨단과학산업단지내 연구소 입주가 부진한 광주 광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 세가지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한다. 첫째,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를 광산업의 특화단지로 조성하여 관련 연구 및 생산기반을 집적화해야 한다. 연구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 광산업 관련 국책연구소와 산업체의 연구소를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내에 유치해야 한다. 산업체 유치업종으로 광정보부품, 특수조명, 광정밀기기, 광소재, 광네트워크 소프트웨어업종을 들 수 있다. 광산업의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연구개발 및 생산 유통 등에 관련된 기능이 최대한 집적되어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미국 아리조나주 광밸리에는 전통적으로 광학산업이 발달한 지역여건을 활용하였고, 아리조나대학과 140여개 관련 기업이 참여하여 광산업 협의회를 구성하여 발전하였다. 둘째, 광주과학기술원은 광산업 연구개발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의 핵심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전세계 대부분의 광산업단지는 광산업에 특화된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학이나 연구소는 첨단기술을 요하는 광산업의 연구인력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앞으로 광주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대학, 연구소, 기업체가 긴밀한 협동연구를 통해 그동안 분산적으로 수행되었던 광통신 관련 기술개발을 통합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일본의 호카이도 광산업단지에는 치토세대학 호주의 광산업단지에는 시드니대학 등 광분야에 특화된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산업체는 연구기관의 연구성과를 활용하거나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 산업화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타지역에 비해 산업발전이 지연된 광주지역의 경우 광주시가 중앙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광산업 발전에 대한 확고한 마스터플랜을 작성해야 한다. 일본 치토세의 포토닉스밸리는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정학적 불리함을 극복하고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아 치토세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광산업체를 유치하였고, 호주 대만 등 광산업의 기반이 확고하지 않은 국가에서도 정부차원에서 광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외국과 마찬가지로, 광주시가 광산업 육성에 대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계획과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 아울러 광산업체에 대한 재정, 인력, 판로 등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 및 과학기술부 등의 시책에 부합하게 광산업 육성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결국 광주의 광산업 육성은 중소기업 창업활성화 정책과 부합하고 동시에 중앙정부의 긴밀한 협조를 받아야만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As Korea approaches the threshhold of the 21st century, Kwangju is focus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in order to improve the city's industrial infrastructure and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Kwangju's provincial government, promoting science and technology is a wise strategy to intensify the industrial base and develop the regional economy in this province. In Korea,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been performed mainly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refore, specific regional advantages were not fully considered when this polocy was implemented. In fact, over 80% of Korea's research and development(R&D) budget is invested in Seoul and Taejon. Moreover, the research environment in Kwangju is very weak. Kwangju's total R&D investment ranks 11th among 16 regions in Korea. This level of investment in Kwangju represents only 1.15% of total Korean investment related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Kwangju is only 2%. Kwangju's industrial and manufacturing base has been weakened due to the bankruptcy problem including Asia Motor Company. Moreover, this area has had difficulty generating demand-oriented technological innovations, transfering new research ideas from academia into working organiza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should emphasize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policies for specified industries which will result in development potentials and competiveness. By doing so, the research results should be transfered to industry and quality goods should be manufactured by the specified companies. To address the need for new industrial development, the local government has designated optics as the specified growth industry. With regard to this specified industry, Kwangju has porential for high technology R&D through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and highy qualified manpower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and K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optical industry is a high value added and creative industry using optical characters. This field are optocommunications, optics and laser applied appliances. These industries play a key role for all process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ultra-fast optical networks. Especially, optics are an attractive growth industry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arket for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related services. Kwangju has the technological and resource base needed to develop an optics industry. There are approximately one hundred specialists and 500 graduate students doing research related to fiber optics at Kwangju based universities. In addition, within several universities located in Kwangju are the ultra-precise high quality equipment and facilities necessary for fiber optics research. Effective development of a local optics industry will allow students graduating in this region to find jobs, thus improving the entire Chollado economy. The information society will enable the transfer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knowlwdge to anyone around the world via various communication medi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will integrate individual communication terminals for data, voice and vidio images into one advanced terminal through one advanced communication networks, thus promoting the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of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is industry,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irst, a Kwangju High-Tech Industrial Complex should be organizd as a target area for the proposed optical industry. With government support a manufacturing base should be formed. In addition, the regional administrative should invite possible industries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optical information components, light and optical precision machines, optical resources, networks and software. Second, major universitie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manpower in the target industry. For this region K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ther universities serve this function. Successful foreign science parks need high performance research unversities and technology infrastructure to develop start-up and spin-off. For example in the cases of Cambridge, Ulm and Hsinchu, universities cont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growth industries. The Ultra-Fast Optical Network Research Center of K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cuse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ey components, subsystems, systems for high-speed semiconductor devices, integration and packaging of opto-electronic components, standardization and economization of subsystems for network elements. Third, central-regional government partnership can be an effective mea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n industrial development program. This local government should persue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government under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regional administration. Finally the development of an optical industry should be linked with national policies to develop small and medium size industries. With this cooperation the optical industry as specified by Kwangju City could be implemented successfully with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for positive results, this project should be persued from a long term perspective.

      • 2008년 광주촛불집회의 참여주체와 운동양상

        김형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Participation Subjects and Movement Aspects of Gwangju Candlelight Rallies in 2008 Kim, Hyung Ju Department of Sociology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Jung-Gee) (Abstract) In 2008 the nationwide candlelight rallies were staged on the street for 100 days or so by bringing up various issues of mad cow disease, presidential impeachment and so on. Therefore, many studies on candlelight rall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n.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in the same context. Continuity, tension among participation subjects and movement ways and change of identities in the process of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area, viewed as social movement, are examined here. Unlike previous studies,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is analyzed generally and empirically. So Movement aspects of candlelight rallies are analyzed based on the scenes. For this references, articles in the newspapers, photo footage are analyzed and survey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Focusing on the image of the scene, candlelight rallies are reconstituted as in the photo session. Also they are reconstituted in a periodical sequence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subjects, movement ways and aspects of mov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participation subjects and their ways in the movement.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were staged with combination of political actions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direct actions of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movement ways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parallelled with social movement react to candlelight rallies in a similar form as in the past. They organized and managed 'Contingency Meeting' covering civic, social, religious organization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Contingency meeting served as a momentum for candlelight rallies with attempts and efforts for sustainability. Stage and amplifier were set up in Geumnamro and MC encourag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citizens to attend the event. Launching public advertisement and organizing the events were the priorities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ways of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ended to be more autonomous and variable than those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ended to focus more on candlelight rallies, criticism, resistance and amusement rather than on revolutionary goals achieving political issues. Therefore, more dramatic elements were added to launching public advertisement and organizing events and communication was done in a horizontal way than in a vertical way. Comments and pickets along with public advertisement and organized activities of contingency meeting made a contribution to reproduction and expansion of candlelight rallie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articipation subjects in terms of their consciousness and movement ways but there were also interactions. Mobilization method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ransformed from combat-like method into call for regular participation and imagination of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became much larger.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mingled with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it added subversion and resistance to existing movement ways.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identified possibilities of infinite creation and swarm intelligence simultaneously online and offline with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pondered on solidarity and coordination with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here was a change of identities in police as another participant when they were involved in candlelight rallies. Police in Gwangju were favorably seen as being friendly and protective toward citizens unlike the ones in Seoul by many people. They even communicated with protestors after candlelight rallies and tried to reach an agreement with them in a positive way. During candlelight rallies such a change of identities took place among not only protestors and citizens but also police. Next, aspects of movement can be examined through the scene. Slogans and pickets used at the scene showed characteristics of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Contingency meeting paralleled with social movement extended the agenda of candlelight rallies into privatization, education, grand canal projects and suppression of public security but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just tended to ignore or mock mad cow disease and President Lee with no specific goals. It showed that there has been an ongoing tension between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since their slogans and expression patterns were mixed. Considering arrangement conditions at the scene, contingency meeting tried to maximize participation rate and efficiency by setting up situation room, tents, sculpture and stage in Geumnamro. However, it ended up marginalizing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unintentionally. Namely, as the size of movement forces became larger, their struggle power was enhanced and the number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increased, unorganized were forcibly sent from stage and road to sidewalk. Therefore, it ironically prevented candlelight rallies from continuing and expanding in the end. This shows that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still don't belong either to centralized organization movement after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new movement expressed in the recent candlelight rallies. Even though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were staged with attendance of a lot of unorganized group of people in the form of cultural festival, there has been a constant tension between existing activists in Gwangju democratic movement and Gwangju citizens. Apparently, such a tension didn't only cause negative outcomes. As examined above, tension triggered mobilization of different participation subjects and change of movement ways. La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commendation on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after candlelight rallies.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social movement, networking process should be executed in a way to express freedom and creativity. It is needed to combine voluntariness and non-coordination with certain coordination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is, existing movement forces should give up their initiatives and voluntary group of people should not fear inconvenient solidarity. It should be expressed as a low level of networking. They need a type of 'candlelight center.' This center is a loose network created and developed in our daily lives. It will also serve as a venue to connect individuals and include a majority of citizens horizontally and autonomously. It should be open to everyone and separately managed by some of uncertain, primary figures. It can not guarantee how much can be achieved with this study on candlelight rallies and solutions to related issu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candlelight rallies brought a large amount of shock and impression to nation and people. Now it is up to movement group and all the citizens whether they remember candlelight rallies as long as possible and accomplish more in different areas or not. 2008년 광주촛불집회의 참여주체와 운동양상 金 亨 柱 全南大學敎大學院 社會學科 (指導敎授 : 崔晶基) (국문초록) 2008년 촛불집회는 전국적으로 100여 일 동안 거리에서 진행되었고, 광우병 쇠고기문제부터 대통령의 탄핵까지 터져 나온 구호도 다양했다. 때문에 촛불집회를 분석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 역시 같은 맥락에서 진행된 경우이다. 여기에서는 광주지역 촛불집회를 사회운동적 의미에서 운동의 연속성과 변화, 촛불집회 내의 참여주체들 간, 운동방식간의 긴장,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주체성이 변화하는가를 연구한다. 또한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촛불집회를 총체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따라서 촛불집회의 운동양상을 현장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와 신문자료, 사진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장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촛불집회를 사진 찍듯이 재구성하였다. 또한 촛불집회를 시기별로 재구성하고 참여주체와 운동방식, 운동양상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참여주체와 그들의 운동방식에 대해 살펴보자. 광주촛불집회는 조직된 참여주체의 정치적 행동이나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직접행동이 혼재되는 형태를 띠고 전개되었다. 조직적 참여주체의 운동방식은 사회운동의 연속선상에서 과거와 비슷한 방식과 형태로 촛불집회에 대응한다. 이들은 광주전남지역 시민사회종교단체를 망라한 ‘비상시국회의’라는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해 나갔다. 비상시국회의는 촛불집회의 장을 만들고 지속하고 성과를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금남로에 무대와 엠프, 사회자를 배치하였고 소속조직과 시민들에게 참여를 독려하였다. 이를 위해 선전홍보와 조직화를 최우선 과제로 진행했다. 반면에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의 운동방식은 조직적 참여주체들 보다 자율적이고 가변적인 성격을 띤다.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은 전략적 참여보다 촛불집회 참여 그 자체에 더 비중을 두는 모습이었고 이를 통해 정치적인 과제를 실현하는 변혁적인 목표보다 촛불집회 자체, 비판과 저항, 유희로서의 집회에 더 집중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선전홍보와 조직화는 극적인 요소가 더욱 가미되었고, 의사소통 또한 수직적 통로보다는 수평적 통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들이 보여준 자유발언과 손 팻말은 비상시국회의의 선전홍보와 조직화 활동과 더불어 촛불집회를 재생산하고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참여주체들이 의식과 운동방식에서 차이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서로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조직적 참여주체의 동원방식은 전투적 동원에서 상시적 참여를 호소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상상력은 더욱 확장되었다. 조직된 참여주체는 비조직적 참여주체들과 뒤섞였으며 기존의 운동방식에 다른 전복과 저항이 결합된다. 조직적 참여주체들은 비조직적 참여주체에 의해 무한한 창조와 무리지성의 가능성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확인하며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은 조직적 참여주체들에 의해 연대와 조직성에 대해 사유하게 된다. 또 다른 참여자인 경찰 역시 촛불집회 과정을 통해 주체성의 변화가 보였다. 광주경찰은 서울지역과는 달리 매우 평화적이고 시민보호 중심의 질서유지로 많은 이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이들은 촛불집회 후에도 시위대와 소통하고 합의를 일구어 내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집회와 시위에 접근하였다. 촛불집회를 통해 운동세력이나 시민뿐만 아니라 경찰도 주체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운동양상을 현장을 통해 살펴본다. 현장에서 드러난 슬로건이나 손 팻말은 광주촛불집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한눈에 보여주었다. 비상시국회의는 사회운동의 연속선상에서 촛불집회의 의제를 자연스럽게 민영화와 교육과 대운하, 공안탄압으로까지 확장시켰다. 하지만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은 광우병과 이명박 대통령을 무시하거나 조롱하는 등 특정한 지향성 보다는 자체를 즐기는 경향이 있었다. 조직적 참여주체와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서로 다른 구호나 표현양식이 뒤섞이면서 그들 간의 긴장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의 배열상태를 보면, 비상시국회의는 금남로에 상황실과 천막, 조형물, 무대 배치를 통해 최대한 참여율과 효율성을 끌어올리려 했다. 그러나 이는 의도하지 않게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이 주변화되는 역효과가 나기도 했다. 즉 운동세력의 규모가 커지거나 투쟁성이 강화되면 될수록, 조직적 참여주체가 늘어날수록 비조직적 참여주체는 무대로부터 멀어지거나 도로에서 인도로 밀려난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촛불집회의 지속과 확장이 정체되는 아이러니컬한 결과를 맞이하기도 한다. 이런 점들은 광주촛불집회가 여전히 5·18 이후에 본격화된 집중화된 조직운동의 흐름과 촛불집회로 표현되는 새로운 운동의 흐름 사이의 경계에서 긴장하고 있는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광주의 촛불집회가 다수의 비 조직된 대중이 참여하고 문화제의 형태를 띠고 전개되었지만, 주최 측으로 대변되는 기존의 광주민중운동진영과 참여자로 불리 우는 새로운 광주시민들과의 일정한 긴장이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긴장이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긴장은 서로 다른 참여주체들의 동원과 운동방식의 변화를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광주촛불집회는 조직된 참여주체의 정치적 행동이나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직접행동이 혼재되는 형태를 띠고 전개되었다. 참여주체들은 촛불집회 과정을 겪으면서 긴장을 드러내기도 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주체성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광주촛불집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회운동이 더욱 발전하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자유로움과 창조성이 발현되는 방향에서 네트워크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발성과 비조직성에 일정한 조직성과 정치적 함의를 결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운동세력은 주도권을 내려놓아야 할 것이며 자발적 대중들은 불편하더라도 연대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