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할극을 활용한 관광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혜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한국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초급 수준의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 일정 동안 관광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학습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관광 상황에서 의사소통으로 인한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 중심 역할극을 활용한 관광한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한다.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학습자들이 실제로 의사소통을 하게 될 상황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역할극을 활용한 관광한국어 교육을 하기 위하여 다음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고 한국어교육에서의 관광한국어와 역할극이 각각 어떻게 연구되었는지에 대하여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가 어떻게 진행될 지에 대한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입한 상황 학습과 역할극 이론의 그 배경을 살펴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관광한국어 수업 모형 설계를 위하여 중국인 관광객들의 여행 유형을 분석하였다. 중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곳과 한국 여행 시 가장 좋았던 활동을 알아봄으로써 본 수업 구성에 어떤 내용이 꼭 포함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고, 관광한국어 교수요목을 구성하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 중에서 관광 분야가 가장 많이 연구 된 영어교육에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여행 영어 회화 교재를 분석하여 관광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 주제와 상황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내용을 구성하여 관광한국어 교수요목을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구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관광한국어 수업을 구성하였다. 역할극을 활용한 수업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성하였고 관광객이라는 학습자 특성에 맞게 수업 일정을 구성하여 학습자들이 여행 일정 동안 한국어 학습과 관광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구성한 교수요목에 적합한 관광한국어 학습 자료와 교안을 제시하여 관광한국어 수업이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그 의의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관광객은 잠재적 한국어 학습자라 할 수 있음에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한국어교육은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광한국어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강의식 수업이 아닌 역할극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수업 진행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역할극을 통하여 학습하기 때문에 발음이나 억양, 몸짓, 표정 등을 학습함으로써 실제 의사소통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학습 자료를 구성하여 학습자들에게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한국어 학습이 수업 시간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수업 후에도 학습 자료를 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한국어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첫째, 모든 상황 중심 학습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말하기는 가능하지만 듣기가 되지 않는 문점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경험하게 될 모든 상황을 반영하지 못 하였다. 셋째, 관광객들이 관광 일정 속에서 이틀이라는 시간을 투자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넷째, 구성한 학습 자료와 교안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지 못하여 그 실용성과 적합성을 확인해 보지 못하였다.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의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관광한국어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관광객들의 의사소통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 되고, 그로 인하여 한국어 학습자로의 전이도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tour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Chinese tourists during their stay in Korea, who are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have some basic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by using a situational Role play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they have in communicating in their tourism situation. The strength of a Korean language course using a Role play lies in the fact that it allows the learners to have practical and significant learning by helping them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ies by experiencing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s in their classrooms. In this regard, the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to give the tourism Korean language course using such Role play. In Chapter 1, the necessity of the tour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tourists was investigated,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find out how the tourism Korean language and the Role pla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tudied, and research methods were presented regarding how the overall paper will be developed.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was presente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theories of the situational learning and Role play introduced by this study. In Chapter 3, types of Chinese tourists' traveling were analyzed to design the teaching model of the tourism Korean language. The necessary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course were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most popular places and activities among the Chinese tourists and things to be applied in the language course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being available in English education of which the tourism parts were most studied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organize the syllabus for the tourism Korean language course. Learning topic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and the syllabus for the tourism Korean language course was organized by organizing the resultant contents. In Chapter 4, the actual tourism Korean language course was 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s generated in Chapter 3. The teaching-learning model suitable for the language course using the Role play was constructed, and class schedules were arrang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s tourists so that they could achieve their twofold purposes (i.e., learning and tourism).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ed the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plans for the tourism Korean language course suitable for the constructed syllabus so that the learners could see how the course actually proceeded. Finally, a summary of this study was provided in Chapter 5, an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specified. The points of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tourists though they are potential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recognized their importance and researched the tourism Korean language. Second, a learner-centered course based on a Role play instead of a instructor-led teaching was constructed in order to arouse the learners' interest by making sure that they could have an actual and significant learning. Third, learning with the Role play in this study increased the rate of success in actual communication by giving the opportunities to learn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gestures. Fourth, learning materials were constructed and distributed to the learners so that they could continue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by using them even after the language course en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ailed to overcome the dilemma of the learners who could speak the Korean language with no listening abilities, a common issue in all forms of situation-centered learning Second, the study did not reflect every possible situation that the learners would experience. Third, the study failed to present detailed plans to make it possible for the tourists to invest two days off their tourism schedule to take the classes. Fourth, the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plans constructed by this study were not sufficiently used in the actual classes, leading to the failure to verify their practicality and suitability. As the number of tourists coming to Korea is on the steady increase, there is expected to be a good outlook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them. Therefore, we expect this study to be helpful in studying the tourism Korean language,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from the tourists' communication, and thus actively transferring the benefits to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 중국인 관광통역안내사를 위한 한국어교재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척아몽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近年来,韩国政治、经济等各方面在国际社会地位中逐渐提升的同时,韩国文化也备受关注。赴韩留学或短期研修访问的外国人人数与日俱增,学习韩语也成了当下潮流与主要趋势。随着学习韩语人数的增加,韩语学习者的类型也变得多样化和复杂化。 为了满足各种韩语学习者的需求,现在不仅韩国国内的大学机关开设了各种课程,中国各种私立机关也渐渐开设了多种多样的课程。有一般目的的韩国语、学业目的韩国语、就业目的韩国语等多样化的韩国语课程。除了这些韩国语学习类型之外,还有更多新型韩国语学习类型的存在。但是这些以韩国语学习者为中心的新类型韩国语教育研究至今都还没有得到充分的发展。特别是最近受韩流影响,为了以工作为目的学习韩国语课程的导游韩语学习者来说,更需要适合他们的导游韩国语教材。 这些学习者们不仅要学习韩国语知识,还要学习当地的文化、歷史、礼仪知识以在工作中发挥作用。因此本论文以现有的导游韩国语教材为基准,通过对学习本教材的学习者进行来问卷调查,并得出这些教材在内容上的不足,为了将来能编写出更合适的短期导游韩国语学习者的教材的出现提供了一些帮助。 具体内容整理如下: 第一章,首先阐明了研究的目的和必要性,以及研究方法。通过先行研究对近年来短期韩国语教育和职场韩国语教育进行分析研究。 第二章,对短期韩国语学习者的特征进行整理和分析,并对韩国大学附属韩语机关和中国国内私人韩语机关的现状进行了对比说明。 第三章,对现阶段中国国内私人韩语机构所使用的导游韩国语教材进行分析研究。 第四章,为了选择短期导游韩国语教材和设置教育内容以及教育过程,对短期导游韩国语学习者进行了调查以及分析。 第五章,以第三章第四章的分析内容为依据,对短期韩国语教程所使用的教材进行了归纳和总结。 目前关于短期导游韩国语教材的研究还不是很多,希望本论文提出的针对短期导游韩国语教材的内容可以对以后的研究有所帮助。

      • 중국에서의 관광한국어 교과과정의 교수요목 설계 방안 : 길림성 직업기술학교를 중심으로

        武力文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중국에 위치한 직업기술학원(전문대학)의 관광한국어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관광한국어 교과과정의 교수요목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국의 관광한국어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중국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을 분석하였다. 또 현재 관광한국어 교육과정이 개설된 직업기술학원의 학습자들과 현재 활동하고 있는 현지 가이드, 오피(OP)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관광한국어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고, 관광한국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방법 및 절차를 정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세우기 위하여 직업 목적 관광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교수요목 개발의 원리를 검토하였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관광한국어의 개념은 한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 현장이라고 하는 특정 상황에서 관광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면서 필요한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로 정의할 수 있으며, 관광 업무 한국어, 호텔/레스토랑 한국어, 판매 서비스 한국어, 관광 가이드 한국어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직업 목적의 관광한국어 교과과정 교수요목을 설계하는데, 개념-기능 중심의 교수요목을 채택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의 관광한국어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황 조사와 교재분석을 통해서 중국의 관광한국어 교육과 교재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중국 관광한국어 교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한국어 교재들은 주로 가이드 한국어 중심으로 만 구성되어 있다. 둘째, 관광한국어 교재는 대부분 읽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내용 중심의 교수요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국어 언어 능력이 높지 않는 관광한국어 학습자에게 그 수준이 맞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존에 출판된 내용 중심의 관광한국어 교재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셋째, 대부분의 관광한국어 교재는 학습 활동이 매우 미비하다. 넷째, 문화의 제시가 체계적이지 않다. 다섯째, 전반적인 교재 구성이 내용 중심이 되어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 구성이 어렵다. 중국에서의 관광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첫째, 체계성이 부족하고, 둘째, 교재가 부족하며, 셋째, 관광한국어 교육의 직업 목적의 한국어에 맞게 구성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한국어 교육이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비슷하게 차용하여 직업 한국어로서의 관광한국어의 특성을 잘 고려하지 않았다. 4장에서는 관광한국어 학습자와 현재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하였다. 또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와 사용자들의 관광한국어에 대한 요구와 교수요목 설계에 고려해야 될 항목들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반적인 관광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관광한국어 교과 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둘째, 관광한국어 교과과정의 수업이 강사가 학습자에게 전문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되지 않아야 한다. 셋째, 관광 가이드 한국어와 관광 업무 한국어의 의사소통 상황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해야 된다. 넷째, 관광한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된다. 다섯째, 관광한국어의 교육 내용에서 문법과 어휘 제시는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여섯째, 관광한국어 교과 과정의 문화는 관광한국어 교과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제시하기보다 전반적인 관광한국어 전공의 다른 교과 과정을 고려해서 제시하는 것이 좋다.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보완한 관광한국어 교과 과정의 교수요목을 제시하기 위해 관광한국어 교과 과정의 설계 방향과 목표, 교육 내용 등을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의 범주는 주제 및 상황, 기능, 문법과 표현, 어휘, 학습 활동, 문화 등 여섯 가지로 설정하고, 각 범주에 포함되어야 할 교육 내용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한국어 교과과정의 교수요목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 관광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중국 내 관광학과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담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中韩建交以来,两国在政治、经济、贸易、文化等各个领域的交流越来越密切。社会的发展,经济水平的提高使得旅游业开始蓬勃发展,与此同时中韩旅游业的发展也日益密切,来华与赴韩旅游的游客量大幅度增长,2005年韩国超越了日本成为中国的第一入境客源国,且近几年,我国赴韩国旅游的游客也一直占据韩国入境人数的首位,因此旅游行业对于拥有高水平韩语的海外领队和本地导游需求量很高。为了培养适应市场需求的韩语旅游人才,很多高等院校韩语专业都开设了旅游韩语,饭店韩语等课程,还有很多高职院校开设了导游方向的应用韩语专业。这都说明高等院校都很重视培养能够运用韩语胜任旅游相关工作的人才,但是本文通过对国内旅游韩国语教学现状的调查研究,发现了很多存在的问题,例如对于旅游韩语课程的定位不准,缺乏合适的旅游韩语教材以及教学方法过于陈旧等。在这样的背景下,本论文针对二外韩语学生,尤其是旅游专业学生的基础旅游韩国语教材开发方案进行了全面系统的研究,确定旅游韩语课程的培养目标,选定课程内容和构成方式,设计学习活动和教学方案。为中国国内旅游专业学生的二外韩语教学和学习提供了可参考的依据。 根据以上内容,论述共分为五个部分展开,详细内容如下。 论文在第一章阐明了研究的意义和目的之后,回顾了在中外关于旅游韩国语教育的研究成果,同时表明了本论文的研究内容和研究方法。 第二章是论文的理论依据,这一部分针对了旅游韩国语的概念、特征及在韩国语教育中的定位做出了详细的阐述,其次对教材开发的基本原理进行了整理总结并提出了进一步的建议。 第三章中,首先了解了中国国内设有韩国与专业的高等院校的基本情况和分析了有旅游韩语课程的13所高校大学的课程设置,以及详细了解6所导游方向应用韩语专业和旅游专业学生的旅游韩语课程学习情况,并且对现有的旅游韩语教材进行了分析。 开发教材中必不可少的过程就是对教材使用者的需求分析。因此在本文的第四章中,笔者面向8所院校的30名一线韓語教师和479名旅遊專業二外韓語学生,以及56名旅游韩语相关工作者进行了关于旅游韩国语教材开发的问卷调查研究,以此为依据提出了国内旅游韩国语课程中存在的问题并提出了改善建议。 第五章里,本文以第二章的理论为背景,第三章和第四章的现状分析和问卷调查结果为依据,制定了旅游专业学生阶段性的韩语学习目标以及适合旅游专业学生的旅游韩国语教材的开发方案,并以四个单元为例给出了具体的教材构成样例和提出了教材的使用方案。 第六章中,首先对整篇论文做出了概述和总结,其次提出了研究的意义和局限点,最后表明了之后的研究方向和研究课题。

      •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중국 산서성을 대상으로

        장도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산서성(山西省)은 중국 5000여년 고대문명의 발상지로서 유구한 역사문화유산이 있고 최근 몇 년 동안 경제, 문화, 관광 등의 영역에서 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산서성에 관광하러 오는 한국 관광객의 인원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산서성의 관광한국어 교육, 특히 관광한국어 교재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 산서성을 대상으로 관광한국어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중국 산서성의 실제 상황에 어울리는 정확하고 실용성이 있는 관광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량의 문헌자료를 참고하고 중국 산서성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며 학습자의 요구조사 및 텍스트를 실시하고 중국의 현존하는 대표적인 관광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 방법을 밝혔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하기 위해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한국어 교육 개념과 종류, 관광한국어 개념 및 특징, 그리고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와 특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 산서성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학습자 요구조사를 실시하며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실용적인 관광한국어 교재개발에 대해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에 현존하는 관광한국어 교재에 대해 구조형태, 학습내용, 표형형식의 세 부분으로 분석하였다. 이 부분의 분석을 통해서 중국에 현존하는 관광한국어교재에서 나타난 장단점을 자세히 파악함으로 정확한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중국의 전국 한국어 가이드 시험분석 및 한국관광객 관광 선호도 조사 분석에 대해 논술하였다. 이 부분의 분석을 통하여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의 목표와 내용선정의 실제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6장에서는 앞선 부분의 논의 내용을 토대로 정확하고 실용적인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및 실제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자료를 토대로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한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중국의 한국어 교육(학력교육)은 주로 종합대학교에서 개설된 조선어 교육과 직업대학에서 개설된 응용한국어 교육 두 가지로 나뉜다. 조선어 교육은 학문 목적으로의 한국어 교육 편이고 응용한국어 교육은 직업목적으로의 한국어 교육이다. 현재 중국의 응용한국어 교육은 주로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관광한국어 교육과 비서한국어 교육 세 가지 교육으로 개설됐다. 관광한국어 교육은 직업 목적으로의 응용한국어 교육 중의 하나로 한국어 듣기, 읽기, 말하기, 통역 등 기본적인 기능을 통하여 국제 여행과 호텔관리 등 전문적인 업무를 익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인재를 배양하도록 하는 학과이기 때문에 자신의 특징을 갖추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학습 내용과 관광 업무 학습 내용을 결합한다. 관광한국어 교육은 기본적인 한국어 의사소통을 토대로 관광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인 학과이다. 유창한 한국어 의사소통은 관광한국어 학과의 기초이다. 한국어로 관광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은 관광한국어 학과의 목표이다. 이에 따라 언어 학습과 관광업무 두 부분의 내용을 결합돼야 한다. 둘째, 관광한국어 교육은 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다. 관광한국어 교육의 기초 단계에서 한국어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간단한 관광 업무를 보충내용으로 삼는다. 고급단계에서는 관광 업무를 중심으로 언어 교육을 보충부분으로 되어 있다. 셋째, 실무수업과 실습시간이 많다. 실무 혹은 실습수업은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의 고통점이다. 관광한국어 교육은 실무성이 강한 학과이기 때문에 이론 학습보다 실무학습이 더욱 중요하다. 실무 혹은 실습수업을 통해서 학습자는 관광업의 실제 상황을 잘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다. 관광 업무의 정확한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째, 언어 교육과 관광 업무에 정통한 교사는 관광한국어 교육의 핵심이다. 유창한 한국어 의사소통 기초가 있고 익숙한 관광 업무도 있는 교사가 있어야만 학습자에게 실용성이 있는 관광한국어 지식을 가르칠 수 있다. 관광한국어 교육의 특징과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 관련된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본 연구는 관광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를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학습자의 기본적인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토대로 관광과 관련된 실무 기능과 결합한다. 둘째는 교재 단원 주제의 다양성, 실용성과 전문성을 결합한다. 셋째는 학습자의 수준, 요구와 언어 학습 환경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산서성의 관광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는 동시에 서관광직업대학(山西旅遊職業學院)과 태원관광직업대학(太原旅遊職業學院)의 각 20명의 관광한국어 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하고 교재의 학습 내용, 구조형식과 표현형태 세 가지 측으로 중국에서 현존하는 대표적인 관광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두 학교의 관광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존재하는 With the development of tourism during recent years, tour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as a rapid development, but at the same time, enough attention hasn’t been pai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textbooks. Academic research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China is still insufficient, which has hindered tour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The research of attempts to center about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textbooks in Shanxi province in China in order to develop some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adapt to tour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hanxi. has made a detailed analysis of current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Korean language tour guide examinations after a lot of prior researches, had a current learning and language aptitude testing investigation of students from Shanxi Tourism College and Taiyuan Tourism College, firstly undertaken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preference degree of tourists from Korea and finally put forward a specific proposal as follows: Firstly, we need make a re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urrent materials, test contents, language aptitude and need of learners if we want to develop practical and appropriat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Secondly,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not always stereotypical, so compilation and arrangement should revolved around preference degree of tourists from Korea. Thirdly, the contents and patterns of tourism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of flexibility and uniqueness.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different from others. We can develop practical and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only if we develop materials based on students’ language aptitude and profession-oriented.

      • 대만인 관광 가이드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CHENG TZU TI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xtbook development for Taiwanese tour guide. “Korean speaking tour guide” mentioned in this study refers to Taiwanese who guide Korean tourists around Taiwan as a tour guide. Even if the number of Korean tourists increased over the years, there was always a shortage of Korean speaking tour guides. Not only that, when it come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Taiwan, it is far from sufficient condition as a whole. For exampl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s hardly available in language schools. Even though there are few language schools providing Korean language courses for tourism, the fact is that the course is almost the same with general Korean language course which begins with learning Hangul instead of providing special education related to tourism. Although some guide books written in Korean have been published in recent years, they do not meet the learners needs. To approach to its solu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solution plan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tourism. Thus, the thesis will be generated in the follow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evious stud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Korea and Taiwan are introduced in the first part. Then the concept of a tourism guide,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summarized, and the principles and feature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for tourism are expla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pporting this study. In the light of the illust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and Korea, analysis of existing Korean textbooks on tourism are presented. Not only good communication ability but also the particular purpose of this service work need to be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Then, in order to enhance the specialized skill of tour guides in Taiwan, a survey by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this thesis applies the theory of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to object setting and syllabus planning. Therefore,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are hygely emphasiz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textbook for special purpose. So given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a learne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over, principle of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is utilized to the introduction stage. At the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thesis as well as the prospect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이 연구는 대만에서 활동하는 한국어 관광 가이드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한국어 관광 가이드”는 대만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을 상대하는 대만인 관광 가이드를 말한다. 한국인 여행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어 관광 가이드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대만에는 관광 한국어 교육 기반이 턱없이 부족하고 관광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정규 학교나 사립 학원 등의 교육 시설이 많지 않다. 그러한 기관이 있더라도 특수 목적 한국어보다는 기초 한글부터 배우는 일반 교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재까지 대만을 소개하는 관광 서적 중 한국어로 쓰인 것도 매우 소수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가 바로 한국어 교재 개발방안 제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문적인 한국어 관광 가이드를 양성하기 위한 한국어 교재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을 밝히고 가이드를 위한 관광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한국과 대만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해 관광 가이드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광 가이드의 개념과 관광 한국어 교육의 특징, 관광 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와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대만의 한국어 교육과 관광 한국어 교육을 살펴본 후, 개발된 관광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관광 한국어 교육에는 언어 교육의 일반적인 목표인 원활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서비스 직무가 가지는 특수 목적이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 한국어를 잘 한다고 해도 한국어로 서비스 직무를 잘 수행할 수 있다는 보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광 가이드의 직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요구조사와 인터뷰의 대상은 대만 현지에서 한국어 관광 가이드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앞에서 언급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의 이론적 원리에 요구조사의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수 요목을 설계한 다음, 교재 개발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말하기와 듣기의 언어 기능의 중점을 둔 특수 목적의 통합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선행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한편 교육의 도입 단계에서는 내용 중심 언어 교수법의 원리를 사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한계를 밝힌다. 또한, 앞으로의 전망과 함께 차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캄보디아의 관광한국어교육 실태 조사 연구

        진형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o find ways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Cambodia – a popular destination among Korean touris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ambodia's tourism industry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for its touris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and Korean tour guides, as well as teachers in Siem Reap Tourism Office and University of Cambodia. Furthermore, to develop Cambodi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of Siem Reap Tourism office’s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 the only Korean language program for tourism in Cambodia.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methods,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s presented. With these goal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Korea and Cambodia’s active human resource exchange was divided into 3 major categories and among them,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which focuses on tourism industry’s human resources, is discussed. And through prior research about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methods and Cambodia’s tourism industry,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prior studies focusing on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discussed, in which results are used to di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to three areas: subject, object, and medium. Also, through these stud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s content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Korean-based, tourism-based, and specialized knowledge,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are also examined in this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Cambodia, especially in the case of universities and tourism offices, is investigated. It shows that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has not been introduced at the University of Cambodia. An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teachers, 5 reasons for its absence are identified. Second, among Cambodia's 3 tourism offices, Siem Reap branch is the sole office that off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The motive for th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em Reap's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are also explored in this portion. In the fourth chapter, the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done are explained in detail. And based on their results, specific development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proposed by dividing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curriculum into education system and facilities, trainee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fifth chapter,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Moreover, few suggestions are made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aths for future research.

      • 관광 목적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 : 중국 학습자를 중심으로

        왕홍웨이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다양한 한국어 학습 요구 중에 한국 관광을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사용한 관광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이 교재들이 관광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요구를 적절히 반영한지, 앞으로의 관광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자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재 분석의 기준을 설정하여 중국에서 실제 판매하고 있는 관광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관광 한국어 교재의 장단점을 제시하기 위해 같은 기준으로 관광 목적을 위한 출판된 관광 외국어교재들 같이 분석하며 비교하였다. 실제적인 요구 반응하고 있는지 밝히기 위해 중국 관광객대상으로 학습 요구 조사를 실시하며 그 결과를 통해 관광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과 개산방안을 같이 제시하였다. 분석된 관광 한국어 교재의 내용이 주로 ‘주제 및 상황, 문법 및 표현, 어휘, 발음. 담화, 문화’ 6가지 분야에 분석하였다. 그들의 문제점을 정리하며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몇 상황’에 관한 내용에서 실제 관광 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 부족하여 주제 설정에 다양하지 않았다. 이미 설정된 주제 및 상황에는 한국에 관광 시 실제적인 나올 수 없는 상황이거나 낮은 황률에 나올 수 있는 상황을 제공하여 실용성이 부족하다. 둘째, ‘문법 및 표현’내용의 경우, 분석된 관광 한국어 교재들은 모두 초급 학습자 대상으로 설정하지만 중국어 학습자가 이숙하지 않은 동사, 형용사 활용, 격식체와 비격식체 등의 기초 한국어 문법 설명이 없었다. 관광 한국어 교제는 자습 학습자를 사용하는 경우 더 많은 사실이 생각하지 않았으면 분석된 관광 한국어 교제에서 문법 설명을 위한 별도의 단원을 구성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초급 학습자에게 나의도가 맞지 않는 문장 표현이나 대화들을 설정하고 있었다. 셋째, 어휘 설정의 부분에서 분석한 교재들은 주로 수요만큼 이상 과다한 어휘를 제시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다. 비슷한 어휘들 세부하게 제시하거나 요즘에 사용하지 않은 오래된 어휘를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넷째, 학습 요구 조사의 결과에 따라 관광 한국어 교재에서 발음 표기가 필요하다. 분석된 관광 한국어 교재들이 대부분 발음 표기하고 있지만 발음 표기법의 규칙을 설명 없었다. 표기법의 규칙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갗은 어휘가 교재 마다 다른 표기를 제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섯째, 관광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담화 내용이 완성도과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담화문의 형식이 보다는 질문 위주의 대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광 상황에서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고려하지 않았으며 질문에 대한 다양한 답변을 제공하지 못 했다. 여섯째, 관광 한국어 교재는 ‘관광’과 ‘한국어’ 두 가지 역할을 충분이 발휘해야한다. 그러나 분석된 관광 한국어 교재들은 한국 문화나 한국 관광지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에 중심으로 관광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실제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현재 관관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을 지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가 앞으로의 관광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한국어 교육에 도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mong various kin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different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one which focuses on tourism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published textbooks really meet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ourism purposes, also we try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In order to find existing problems , I firstly set the criteria of the textbook analy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n analyzed the tourism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ina. To lear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Korean textbooks for tourism, several foreign language textbooks of tourism purpose were analyzed on the same basis. I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of Chinese tourist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to find out the existing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Korean textbooks development. Most textbooks mainly include the 6 areas 'subject and situation, grammar and expression, vocabulary, pronunciation. Discourse and culture '. Their probl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the area of Subject and Situation, the contents failed to cover various situations which may happen in real tourism. Some contents are not so practical or they are less likely to be used in real travel. Secondly, for the area of grammar and expression, most tourism Korean textbooks were targeted for elementary learners, but there was no explanation of basic Korean grammar rules such as verbs, adjectives hence it is difficult for Chinese learners to understand it. The users of tourism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mainly self-learners however, there is no explanation of grammar understanding for self-learners who know nothing about Korean. In addition, there some advanced grammar and expressions which are too difficult and useless for tourists. Thirdly, the study of vocabulary part shows that too many words are taught which are useless in real tour. Some textbooks also have explanations of how to classify similar words and words which are not used in these days. Fourth, according to the survey, it necessary to use alphabet to help learners remembering words’ pronunciation. Though most textbooks have pronunciation alphabet but here is no explanation of the rules of phonetic notation. Because the rules of notation are not clear, some vocabularies may have different notations for each textbook. Fifth, conversations in tourism Korean textbooks are lacking in completeness and diversity. Most of them are in the form of Q&A rather than the form of real talk. They failed to considering various results which may happen in same situation and couldn’t provide different answers which are needed to learned for tourism. Sixth, tourism Korean textbooks should contain contents of both 'tourism' and 'Korean'. However, contents about Korean culture and tourism attractions are missing in the analyzed Korean textbooks Considering leaners’ real needs I analyzed published tourism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pointed out their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basic data, will be useful for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tourism purpose.

      •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한 관광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 하이난성(海南省)을 대상으로

        풍소영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중국 하이난성(海南省) 전문대학에서 관광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지역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중국 관광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관광 한국어 교육 체계가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직업 목적의 관광 한국어 교육과 지역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하이난성(海南省) 중국인 한국어 관광 가이드 시험의 내용, 방식, 평가 기준 등을 정리하여 중국 관광 한국어 교육에서 지역 문화의 교육적 가치를 더욱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하이난성(海南省) 관광한국어 교육에서의 지역 문화 도입 현황을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대표적인 관광 한국어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광 한국어 교육 내용을 파악하였고, 하이난 전문대학 관광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관광 한국어 교육에 교육적 가치가 있는 하이난성(海南省)의 지역 문화 자원을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관광 한국어 교육의 특성과 하이난성(海南省) 지역 문화 자원을 결합하여 교육 과정의 유형을 정한 후 교육 목표, 교육 내용(주제 및 기능, 어휘 및 문법, 연습 및 학습활동) 두 부분에서 지역 문화를 활용한 관광 한국어 교육 방안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논의한 교육 방안 내용을 바탕으로 하이난성(海南省) 지역 문화를 활용한 관광한국어 수업의 강의 계획서를 제시하였고, 그중의 제1단원'하이난 관광 안내'. 제4단원 '하이난 관광 문화축제(문화제)' 그리고 제8단원 '하이난 음식 문화'를 선정해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이난성(海南省)의 관광 한국어 교육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관광 한국어 교육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제6장 결론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고, 그 다음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 후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framework for tourism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tended for Chinese tourism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echnical Colleges in Hainan Province, which is are presentative example of the curriculum for Korean learners for vocational purposes in China.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I found that the necessary tourism Korean education system for Chinese tourism Korean langu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re is some certain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study on integrating regional culture into tourism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2 chapter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regional cul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nd discussed the procedure for obtaining the Korean tour guide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Hainan Province, the test content and evaluation standard, etc. The 3 chapter We analyzed the actual application situation of cultural resources in Hainan applied in teaching tourism Korean language. First of all, we analyze the currently published tourism Korean textbooks. And then investigate the attitude and opinion of students in The tourism Korean language about the cultural resources in Hainan applied in teaching tourism Korean language. Chapter 4 it summarized the Hainan regional culture, the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introducing it into tourism Korean language teaching. Chapter 5, This paper puts forward the strategy of introduction Hainan regional culture into tourism Korean language teaching. First of all, after determining the type of educational course, proposes a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the touris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using regional culture with four areas of educational objectives, study-topics, vocabulary and grammar, practice and learning activities. Finally, selected Unit 1, Unit 4, and Unit 8 based on the order of study-topics suggested by <Tourism Korean Language Class Plan in Technical Colleges Based on Regional Culture of Inner Hainan Province, China> and proposes curriculum designed for Chinese tourism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olleges in Hainan Province. In the fina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and the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and the study was completed.

      • 관광 가이드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이준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한국어 관광 가이드를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관광 가이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관광 가이드 한국어 교재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과 태국의 관광 가이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곳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을 분석하였으며, 현직 한국어 관광 가이드를 대상으로 한 요구 분석을 통하여 관광 가이드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대상을 밝혔고, 관광 한국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위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교재 구성 원리를 검토하였고, 관광 가이드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과 태국을 중심으로 관광 가이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교재를 분석하였으며, 가이드의 요구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 관광 가이드를 위한 한국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관광 가이드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를 살피고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언어 교육학적 이론을 근거로 적합한 교수 학습 절차를 설계한 후 교재의 실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장과 3장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관광 가이드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다. ①학습자의 요구와 필요를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교재 개발, ②관광 가이드의 언어 환경을 고려한 구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개발, ③관광 가이드의 업무 상황을 통해 추출된 실제 언어 표현, 전문 어휘, 문화 등을 포함한 실제성을 갖춘 교재 개발, ④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한 교재 개발, ⑤실제적인 내용을 적용해 가이드 업무 실습을 할 수 있는 교재 개발. 또한, 가이드의 업무와 언어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관광 가이드의 언어 기능을 크게 ‘소개하기 및 안내하기’와 ‘문제 해결하기’로 구분하였고, 관광지 안내, 문화 소개, 일정 안내, 관광객의 사고에 대처하기 등 가이드의 실제 업무 상황들을 반영하여 교재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상황을 예로 들어 ‘소개하기 및 안내하기’ 범주에서 관광지 안내 단원을 선정하고, ‘문제 해결하기’ 범주에서 특수 상황 해결 단원을 선정하여 각각 교육 방법과 교재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