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중과제수행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장연식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이중과제 수행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병기간 6개월 이상의 편마비 환자 30명으로 이중과제 수행군과 단일과제 수행에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나누어 총 8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기능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TIS와 PASS를 사용하여 체간조절능력을 측정하였고, KWMFT와 CMS-10를 이용하여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중과제 수행 프로그램 적용에 체간조절능력은 TIS와 PASS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이중과제 수행 프로그램 적용에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 변화와 과제 수행 시간 변화는 KWMFT 사용하였고,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 수행시 관절별 움직임의 각과 관절별 움직임의 변화는 CMS-10를 사용하였다. 이중 과제 수행 후 비교 분석한 결과, KWMFT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KWMFT 수행시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기능적 움직임 수행시 관절별 움직임 각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기능적 움직임 범위의 변화에서는 어깨 관절의 수평축․전후축․수직축, 팔굽 관절의 수평축․전후축․수직축, 그리고 손목 관절의 전후축․수직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이중과제 수행군과 단일 과제 수행군의 두 군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TIS와 PASS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KWMFT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CMS-10에서 기능적 과제 수행시 움직임의 각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5), 움직임 범위에서 어깨 관절의 수직축, 팔굽 관절의 수직축, 손목 관절의 수직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이중과제수행은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 즉 체간조절능력과 상지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수행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과 상지기능에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課題遂行的 敎會組織 設計方案 硏究

        이윤목 嶺南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회조직을 기존의 고착화된 조직에서 과제수행적 교회조직으로 변화를 꾀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다. 이런 작업은 단순히 기계적인 작업이나 프로그래밍(programing)으로 해결될 문제도 아니다. 교회와 목회자가 혼신을 다해 고민해서 만들어져야 하는 과업인 것이다. 그러므로 과제수행적 교회조직의 설계는 하나의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에 비할 수 있다.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교회가 소명하는 목적에 충실하고 이것을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는 노력과 수고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며, 자신의 은사와 자질, 리더십, 능력 등을 아울러서 최선의 것을 만들어 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괘를 같이하여 마리아 해리스는 자신의 책 『교육목회의 커리큘럼』에서 회중의 형성과 변형을 위한 커리큘럼을 만드는 작업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만일 우리가 이들 원칙들에 충실한 방식들로 커리큘럼을 계획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을 일차적으로 예술가로서 인식할 필요가 있다. … 만일 우리의 사명이 한 하나님의 백성을 형성하는(fashioning) 일이라면-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만일 우리의 작업이 창조하는 것이라면-우리는 시인들로서 그리고 조각가들로서 그리고 창조적인 예술가들로서, 내주하는 성령의 동역자로서 사역할 필요가 있다. 마리아 해리스는 자신의 교육목회 커리큘럼작업을 하나의 예술적인 교회를 만들려는 시도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가 지향하는 과제수행적 교회의 설계도 바로 마리아 해리스가 지향하는 예술적인 교회이다. 이런 예술적인 교회를 만들기 위해서 조직을 연구하고 시대를 연구하고 사회와 사람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술작품은 항상 고통을 수반하는 것처럼 예술적인 교회를 만든다는 것은 호락호락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리스도가 살아계시고 성령 하나님이 역사하시니 이 시대의 최고의 교회에 대한 기대를 버리면 안 된다. 그러므로 과제수행적 교회조직 설계는 최고의 교회를 만들기 위한 소망과 기대의 교역활동인 것이다. 이와 함께 과제수행적 교회는 성령의 기름부음을 담을 용기(容器)로서의 교회를 지향한다. 과제수행적 교회조직은 성령의 역사가 담겨있는 역동성 있는 교회를 만들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령의 역사를 교회 공동체 안에 수용해 두려는 노력이 약했다. 성령을 개인적인 삶에만 영향력을 끼치는 존재로 한정하였기 때문이다. 과제수행적 교회조직이 된다는 것은 초대교회의 성령의 역동성을 이 시대 교회 공동체 안에서 회복시키려는 의도도 담겨있다. 이제까지의 성령의 활동이 개인적이고 개별적인 성격이 강조되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 성령을 수용하고 성령의 공동체적 역사를 강조하는 것이다. 즉 서로 관계하는 공동체적 교회를 지향하는 것이다. 그래서 과제수행적 교회의 설계는 성령의 기름부음이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 담아두려는 시도이며, 그냥 담겨져 있는 것이 아니라 과제수행적 조직설계를 통하여 성령의 역동하는 역사가 교회공동체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과제수행적 교회조직설계는 우리시대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사역의 도구로 주신 강력한 도구로서의 설계를 목표로 한다. 이제 본고를 마감하며 본고의 후속적인 작업들에 대해서 간략한 제언을 하다면, 본고가 과제수행적 교회조직 설계를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목표라면 그 다음으로는 실제적으로 교회를 과제수행적 교회조직으로 설계하는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고를 쓴 목적도 실제 교회의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무쪼록 본고가 우리 시대의 한국교회의 부흥을 기대하는 교회조직의 설계가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遂行評價課題의 適用과 그 效果에 대한 硏究

        吳美蘭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applic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and its effect (influ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of the students. In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ed four different tasks of Performance Assessment on mathematics for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pplied them in the classroom situation. In this paper, we gave some analysis on the effects of such tasks on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For this analysis we used a survey on the students and other methods. The main observation we made here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 For those students who did not have enough confidence on the mathematical study, this tasks gave som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confidence by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 By introducing various type of tasks, more students could be involved in the activity and had more chance to improve their ability in mathematical thinking. -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s in the tasks, the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s on the mathematical aspects (principles) in different situations of their life.

      • 과제수행 학습모형을 적용한 듣기·말하기능력 향상 방안

        김선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과제를 중심으로 과제수행 학습모형을 구안하고, 실험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방안을 모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제수행 학습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과제를 선정하고 학습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의사소통과 과제수행 학습의 관련성을 살펴 과제수행의 결과로 나타나는 언어습득의 변화를 의사소통 능력의 기준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설계는 Seliger & Shohamy의 시간 표본 설계를 활용하였고, 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1학기를 통제집단, 2학기를 실험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통제시기에는 주당 2시간씩 16차시(8주)를 일반적인 교수법으로 진행하였고, 실험시기에는 과제수행 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주당 2시간씩 16차시(8주)를 진행하였다. 8주간의 실험 수업 후에 통제시기의 사전·사후 검사결과와 실험시기의 사전·사후 검사결과와의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결과는 언어능력 중에서 듣기와 말하기 영역과 정의적 변인인 흥미도, 자신감, 자기주도력 영역에서 비교 분석 되었으며, 검증결과 언어능력 영역과 정의적 영역 모두 통제시기에 비해 실험시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수행 학습모형을 적용한 실험시기의 듣기능력이 매우 많이 향상되었고, 통제시기에 비해 실험시기에 학습할 내용에 대해 더욱 집중하여 들으려는 학습자의 태도가 관찰되었다. 둘째, 과제수행 학습모형을 적용한 실험시기와 일반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통제시기 모두 말하기능력 발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평균점수의 향상 정도와 질적 자료로 활용했던 교사의 관찰평가와 녹음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제수행 학습모형이 말하기 능력 발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과제수행 학습을 적용한 결과 정의적 변인인 흥미도, 영어에 대한 자신감, 영어에 대한 자기주도력에 높은 향상을 가져왔다. 과제수행 학습모형은 의사소통적 과제를 수행하기위해 목표어로 서로 의미를 교섭하고 전달하는 상호작용이 이루이지기 때문에 의미있는 의사소통 상황을 자연스럽게 제공해줄 수 있다. 결국 과제수행 학습모형은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의적 영역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제가 개발되어야하고, 아동들의 심리 상태가 고려된 수행결과 발표 단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위해 프로젝트 과제를 개발하고 교실 밖에서도 학습한 목표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교실영어 사용 능력에 대한 부단한 자기연수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teaching model of task-based approach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ask-based model on children's English communicative abilitie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literature on task-based approach was reviewed, then the task type was decided and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Nineteen students at K Elementary School in Chuncheon in Kangwon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ime-sampling designs(Seliger & Shohamy, 1989). In this research design, one group is treated as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group was taught with regular teaching method based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during the 1st semester and taught with task-based approach during 2nd semester.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odel was analysed through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and affective factors such as interest, self-confidence and self-dir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task-based teaching model brought more dominant improvement on children's listening abilities than the general teaching method. Second, both the general teaching method and the task-based teaching model showed positive effects in increasing speaking ability. However, the increase of mean scores and the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task-based teaching model had more potent influence on improving children's speaking abilities. Third, the task-based model brought a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ffective domains. In conclusion, through the task-based teaching model, the learners could exchange more meaningful information and communicate each other using the target language. Therefore, the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more improved and the affective factors were changed positive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he controlled period.

      • 과제흥미가 과제의 선택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동기성향에 따른 개인차 비교

        이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과제흥미가 과제의 선택과 수행,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차변인인 동기성향에 따라 비교하고자 초등학교 5학년 8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2×2 요인설계로 동기성향(안전성향, 도전성향)과 과제흥미(흥미과제/통제과제)가 독립변인으로, 과제 선택, 과제 수행과 자기통제력이 종속변인으로 측정되었다. 실험처치 이전 스트룹 검사를 통해 자기통제력 측정을 하였고, 실험처치로 흥미과제와 통제과제를 수행한 뒤, 사후 스트룹 검사를 통해 자기통제력이 측정되었다. 실험처치 이후, 즉시과제선택을 통하여 보상과제와 대체과제의 선택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보상과제의 과제수행을 측정하였다. 3일 후 지연검사로 흥미과제와 보상과제에 대한 선택인 지연과제선택이 실시되었다. 과제흥미가 과제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교차분석 한 결과, 과제 흥미는 동기성향에 따라 과제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도전성향은 흥미과제를 안전성향은 보상과제를 선호하였고, 과제흥미 수준이 높은 과제를 수행한 이후의 과제 선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 과제흥미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제 수행량을 종속변인으로 두고 이원 분산 분석(two-way ANOVA)한 결과, 흥미과제를 경험한 집단의 과제 수행이 통제집단의 과제수행보다 우수하여, 과제 흥미가 후속하는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과제흥미가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스트룹과 사후 스트룹 검사의 오답율과 반응속도를 t-검정과 이원 공변량 분석(two-way ANCOVA)을 통해 분석하였는데, 과제 흥미와 동기성향은 자기통제력 회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제흥미가 후속하는 과제의 선택,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의 동기성향에 따라 알아보고 학습자의 내재동기를 향상을 위한 학습 환경 조성과 학습 과제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수행과제의 적절성 분석

        이경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 수행과제의 적절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7차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수행평가는 우리 교육의 기본 평가 패러다임으로 정착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그 중요성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실제 수행과 경험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나 이를 학문적으로 지지해주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수행과제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는 지지부진한 것이 현실이다. 수행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진 시점에서 이러한 연구 현황은 수행과제의 적절성 분석이 시급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수행평가가 실시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요건인 수행과제의 적절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수행과제와 수행평가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서부터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수행과제의 적절성을 분석하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Wiggins와 Newmann이 제시한 수행과제의 적절성 준거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Wiggins와 Newmann이 제시한 기준에 존재하는 몇 가지 한계점을 분석해냈다. 그들의의 기준은 인지적 측면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학생들의 자기관련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이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의 원인을 Wiggins와 Newmann의 기준에서 수행이 갖는 의미의 협소함에서 찾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Wiggins와 Newmann의 한계를 극복한 분석틀을 개발하기 위해 Dewey의 경험의 원리를 고찰했다. Dewey의 경험은 경험의 수동적인 측면에도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그리고 경험 주체의 자기관련성에도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Newmann과 Wiggins의 수행보다 확장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경험의 속성과 교육적 경험의 속성을 파악했고, 이를 분석틀 개발의 이론적 토대로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수행과제 적절성 분석 기준은 과제 간 연계성, 내용과의 연계성, 과제의 자기관련성, 과제의 사회성, 과제의 직접성, 과제의 개방성, 과정의 개방성, 관점의 다양성, 사고의 확장성이었으며, 이러한 기준을 통해 교과서의 수행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교과서의 수행과제는 과제 간 연계성, 내용과의 연계성, 관점의 다양성, 사고의 확장성에서 높은 충족률을 보였고, 과제의 직접성, 과제의 개방성, 과정의 개방성에서 낮은 충족률을 보였다. 둘째, 컨텐츠를 개발하는 과제, 조별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가 대부분의 기준에서 높은 충족률을 보였다. 셋째, 과제에서 요구하는 상호작용이 매우 단편적이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되어 있던 수행과제 적절성의 준거가 갖는 한계를 수정, 보완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도안했다는 점, 그리고 현행 교과서를 전종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교과서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 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

        김보경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다중과제 처리 및 수행 특성을 확인하고, 다감각 정보처리의 효용성을 밝히며, 시각과 청각 고유의 처리 특성이 유아의 시‧청각 다중과제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는 자극간 시간차와 과제 난이도, 자극양식(동일감각, 이중감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는 동일감각 자극양식(시각-시각, 청각-청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는 이중감각 자극양식(시각-청각, 청각-시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E-prime software를 이용하여 다중과제 도구를 제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충청, 전라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이상 유아 140명이었다. 연구 참여 유아들은 동일감각 과제집단과 이중감각 과제집단 중 하나에 임의로 배정되었고(각 집단별 70명), 각 조건에 맞는 다중과제를 수행하였다. 유아의 다중과제 수행 시, 유아의 반응시간이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에서 평균, 표준편차, 반복측정 변량분석,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간 시간차가 증가함에 따라, 유아의 1차 과제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2차 과제 반응시간과 심리적 불응기가 감소하였다. 과제 난이도가 낮은 조건에 비해 높은 조건에서, 유아의 1차 과제 반응시간과 2차 과제 반응시간, 심리적 불응기가 더 길게 나타났다. 자극간 시간차와 과제 난이도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다. 또한, 자극양식(동일감각, 이중감각)에 따라 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가 달라졌다. 이중감각 과제에 비해 동일감각 과제에서, 유아의 2차 과제 반응시간과 심리적 불응기가 더 길게 나타났다. 1차 과제 반응시간에 대한 자극양식 효과는 자극간 시간차가 짧은 조건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동일감각 자극양식(시각-시각, 청각-청각)에 따라 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는 달라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과제 난이도가 이 효과를 조절하였다. 과제의 난이도가 높을 때, 청각-청각 과제에 비해 시각-시각 과제에서, 유아의 1차 과제 반응시간과 2차 과제 반응시간, 심리적 불응기가 더 길게 나타났다. 셋째, 이중감각 자극양식(시각-청각, 청각-시각)에 따라 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가 달라졌다. 청각-시각 과제에 비해 시각-청각 과제에서, 유아의 1차 과제 반응시간과 2차 과제 반응시간, 심리적 불응기가 더 길게 나타났다. 이 때, 자극간 시간차와 과제 난이도는 이 효과를 조절하였다. 자극간 시간차가 길 때 또는 과제 난이도가 낮을 때에만 이중감각 자극양식에 따른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의 다중과제 처리의 핵심 기제를 밝히고, 유아의 다감각 정보처리의 효용성과 시‧청각 다중정보의 처리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유아의 다중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교육환경의 구성 및 교육 실제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한다.

      • 과제수행조건에 따른 신체분절의 제어형태

        안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과제수행조건에 따라서 인간이 어떻게 동작을 제어하는가를 알기위한 것이었다. 연구는 실험실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든 실험상황을 체계적으로 조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인간의 동작제어형태를 정보처리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물리생물학적 관점에서 밝히는 것이었다. 이는 정보처리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자극-반응에 의한 단순동작인데에 반해서 물리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행동이 지각-행동간의 결속(coupling)이라고 보기 때문에 목표한 과제를 지각한 후에 수행할 수 있도록 도약거리와 착지면의 기울기 각도를 변화시켜 준 제자리멀리뛰기 동작을 실험과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속박을 신체분절간의 각도로 조작화하였다. 따라서 과제수행조건에 따라서 인간이 신체분절을 어떻게 상호적으로 규율시키는가, 즉 속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가 주된 연구문제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도약거리와 착지면의 기울기 각도가 신체분절간의 속박, 그리고 신체관절간의 속박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대학생 자원자 3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실험과제는 제자리멀리뛰기의 도약거리(60cm, 100cm)와 착지면의 기울기 각도(0도, 15도, 30도)를 변화시킨 도약거리(2)×착지면 각도(3)의 6가지 조건에서 수행하도록 하였다. 동작분석을 위해서 과제수행장면을 16mm 고속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그리고 현상된 필름을 통하여 제자리멀리뛰기 수행에 관계되는 신체분절간의 속박을 대변하는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각도를 측정하였고, 측정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컴퓨터 동작분석용 프로그램인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Version 2.1)가 설치된 컴퓨터를 사용하였다. KWON3D 프로그램 상에서 관절점을 디지타이징한 후에 동작의 6가지 국면에 해당하는 3가지 관절각도를 얻었다. 측정자료는 우선 질적 분석을 한 후에 양적 분석을 하였다. 양적 분석은 첫째, 과제수행조건이 신체분절의 속박형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 관절각도에 대한 도약거리(2)×착지면 각도(3)×동작국면(6) 실험설계에 대응하는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all Three factors)을 실시하였고, 변량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면 사후검증(Scheffe′test)을 실시하였다. 둘째, 과제수행조건에 따른 동작국면간 관절각도의 변화량을 보았으며, 3가지 관절각도 변화량에 대한 도약거리(2)×착지면 각도(3)×동작국면간(5) 실험설계에 대응하는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all three factor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량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면 사후검증(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과제수행조건이 관절각도간의 속박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위하여 도약거리(2)×착지면 각도(3)의 6가지 조건에서 6가지 동작국면에 따른 3가지 관절각도간의 교차상관계수(cross-correlation)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고관절은 동작국면(F(5,10)=9.121, p<.05)에 따라서, 그리고 도약거리와 동작국면의 상호작용효과(F(5,70)=4.050,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사후검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릎관절각도는 동작국면(F(5,10)=21.197, p<.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발목관절각도는 동작국면(F(5,10)=51.636, p<.01)에 따라서, 그리고 도약거리와 착지면 각도간의 상호작용효과(F(2,4)=29.717,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 사후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했다. 또한 관절각도의 동작국면간 변화량을 통해서 보면 고관절각도의 변화량은 도약거리(F(1,2)=44.612, p<.05)에 따라서, 그리고 동작국면간(F(4,8)=90.868, p<.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릎관절각도 변화량은 동작국면간(F(4,8)=50.963, p<.01), 도약거리와 동작국면간의 상호작용효과(F(4,8)=3.892, p<.05)에서, 그리고 착지면 각도와 동작국면간의 상호작용효과(F(8,16)=3.660,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사후검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발목관절각도의 변화량은 동작국면간(F(4,8)=37.325, p<.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관절각도간의 교차상관(cross-correlation)을 통하여 신체관절간 속박의 정도를 보면 도약거리에 상관없이 도약이전에는 모든 관절간의 속박이 강했으나, 도약거리가 짧으면 착지시에는 고관절과 무릎관절간의 속박이 강했고 착지 후에는 무릎관절과 발목관절간의 속박이 강했다. 착지면의 각도가 증가하면 도약이전에는 고관절과 무릎관절간의 속박이 강했고, 착지 후에는 무릎관절과 발목관절간의 속박이 강했다. 결론적으로 도약거리와 착지면 각도는 신체분절간 속박과 신체관절간 속박의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physical-biological theory of human motor control. The physical-biological perspective assumes that human being is a self-organizing system designed to conform to task demands. It is postulated that movement pattern(coordination and control) changes, as the task requirements change, by means of applying different kinds of constraints to the effector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a given movements. To test this hypothesis, three subjects were required to perform a standing broad jump in six task conditions, i.e., in a 2(jumping distance)×3(landing angle)×6(movement phase) within-subject design. Two jumping distances were 60cm and 100cm, and three landing angles were degrees of 0, 15 and 30. Hip joint point, knee joint point and ankle joint point of all subjects were marked, and these joint angles were cinematographically analyzed using 16mm high-speed camera and KWON3D (version 2.1)motion analyzer. Absolute angles and angular changes of three joints along with cross-correlations between joint angles were analyzed as a function of task conditions. Analyses of data revealed that: (1) all three joint angles changed significantly as movement develops; (2) the change of hip joint angle differed with jumping distances; (3) ankle joint angles were different as a function of jumping distances and landing angles. Analyses of cross-correlation data disclosed that: (1) all joint angles were coupled in two jumping distances; (2) hip-knee joint was coupled in the landing phase condition; (3) knee-ankle joint was coupled after landing; (4) hip-knee joint was coupled before jumping while knee-ankle joint was coupled after landing in the larger landing angle. It was concluded that the control pattern of body segments and body joints was affected by the jumping distance as well as by the landing angle. Also the jumping distance affected patterns of movement control in all movement phases while the landing angle affected the last phase of movement only, thus lending support to the theoretical prediction of physical-biology approach.

      •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단원 종합 수행 과제에 대한 분석적 고찰

        양세형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행평가는 1990년대 말부터 학생들의 창의력, 탐구력, 사고력 등 적극적인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평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역사적 증거에 대한 비판, 그에 기초한 인과관계의 탐구와 인간 행위에 대한 직관과 판단력 등의 역사적 사고력에 도달하는 과정을 평가하고 보여주는 데에 적합한 평가방법으로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학교 국사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중학교 국사 교과서에 실려 있는 단원 종합 수행 과제의 활용정도를 살펴보고, 단원 종합 수행 과제를 분석, 활용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학교 국사 교사들은 대다수가 수행평가에 대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실시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교과서의 단원 종합 수행 과제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절반 정도였는데, 단원 종합 수행 과제는 활용하기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만들어져야 하고 평가 기준이나 채점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하며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법을 많이 소개해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단원 종합 수행 과제의 평가 유형은 다양한 편이었고 그 수행 방식도 개인과 집단이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이 많이 달랐다. 또,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수업모형은 활동형식의 기준에 의하면 협력학습과 탐구식 학습이 많았고, 내용구성의 기준에 의하면 시대학습이 많았다. 탐구식 학습은 사회과에서 강조하는 문제해결력과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법이나, 시대학습은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개념, 인물, 사건 등에 대한 사전 지식과 배경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학생의 수준에는 다소 어려운 학습 방법이다. 성취영역별 구성을 살펴보면 역사적 사고력의 관점에서는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 연대기 파악력의 순으로 성취시킬 수 있었고, 창의력의 관점에서는 수행과제 중 40%가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과제였다. 내용별로 살펴보면 대단원의 목표 전체와 관련이 있는 것은 60%, 일부와 관련이 있는 것은 40%로 구성되어 있었다. 구성 체제는 수행 과제마다 일률적이지 않았고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같은 필수요소가 빠져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단원 종합 수행 과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실제 수업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우선 성취기준(목표)이 행동적인 용어로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수행계획과 평가 기준이 구체적이고 간결하게 진술되어야 한다. 또, 학생 수준에 적합한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수업형태나 내용의 난이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이 갖추어져야만이 단원 종합 수행 과제의 본래 취지인 단원을 종합 정리하는 동시에 수행평가의 근거 자료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erformance assessments have been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to strengthen learn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such as creativity, inquiry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also, this type of assessment has been widely used, since it has been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thod which can show the process of the students' criticism, recognition and appreciation toward their historic events. In relation to this, I intend to examine how well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being made, used, and regarded by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And also, I will try to find out how it can be improved, and more diversely and properly used, by analys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section in every chapter of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Most history teachers at middle schools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at schools, but they point out that there are too many problems in conducting it. About half of those surveyed responded that they have ever used the chapter-end performance assignment, though they all agreed that the assignment for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made available more easily and creatively, and that there should be more clear and distinctive standards in assessing and grading. The types of chapter-end assignments were various, and were constructed efficiently enough to be performed either by persons or by groups. However, the contents of school textbook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eachers' manual. Class models for conducting assessments were mostly cooperative studies and inquiry studies in terms of activity types, and chronology studies in terms of activity contents. Inquiry studies can be a very effective method which can increas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considered rather difficult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at inquiry studies require basic knowledge on the backgrounds of historic events, figures, and facts. Achievements levels were relatively varied. In terms of historical thinking, historical inquiry ability ranked the top, and it was followed by historical imagination ability,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and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As for contents, only about 60% were related to the whole subject of the unit, while 40% were only partly related to the subject. The contents were not consistent from assignment to assignment, and more importantly, in some cases they didn't even have essential parts such as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Chapter-end assignment for assessment should be equipped with a few necessary elements, which can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achievement standards(and objective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identified for actual usage. And accordingly, assessment plans and standards must be stated clearly and briefly. Also activity types and difficulty levels of the contents should be adjusted to be suitable for the student level. Only after they are equipped with these essential elements, will they be able to help summarize the chapter and acquire necessary materials for performance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