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第 6.7次 敎育課程에 따른 工業界高等學校 敎科課程의 比較 硏究 : 慶南地域 機械科를 中心으로

        권혜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화와 지식화, 다양화의 양상을 지니고 있으며, 첨단 과학기술의 무한 경쟁 시대에 있다. 과거 공업계고등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순수 취업을 위해 기능을 배우려는 목적이 대부분 이었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그러한 단순한 목적에서 벗어나 진학이나 다른 기타 분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으며, 진로방향 또한 더욱 세분화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 6?7차 공업계고등학교의 기계과중심 교과목의 교과과정을 비교·연구하여 교과과정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 및 진학분야에 대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론 실습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교과목이 개설되었으며 교과목 또한 진학중심으로 편성이 되었다. 공업계 고등학교의 학과 변화를 살펴보면 제6차 교육과정의 경우 총 33개학과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경우 총21개학과로 12개의 학과가 신설?삭제되었으며, 이론?실습과목의 통합에 따른 실습과목의 경우 많은 양의 학습내용이 축소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6?7차 공업계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미흡하였던 전공교과의 전문성이나, 현장실무중심의 교과과정이 제8차 교육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공업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이 공업의 각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공업 기술인으로서 자질과 능력을 길러,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하며, 관련 분야에 관한 기초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관련 분야의 생산 활동과 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함으로써 경제 발전과 공업과의 관계를 이해하여, 공업 기술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자신과 산업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가지게 할 수 있도록 편성하도록 제시하는 바이다. Having the aspect of high industrialization, knowledge and diversification, modern society is in the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of the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While most of student entering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past mainly intended to learn technique for employment, the students are not confined in such simple objective recently. Instead, they are more interested in entering university or other area with diversified cours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nge in students' course and entering university caused by change in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of subjects based on machine of the 6th and 7th technical high school. Compared to the 6th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7th curriculum a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oretic and practical curriculum and organized mainly for entering university. Checking the change in the subjects of technical high school, 33 subjects in the 6th curriculum are changed to 21 subjects in the 7th curriculum with 12 subjects established or deleted.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 much contents of learning were reduced by integrating theoretic and1) practical subjects. Thus this research performed questionnaire to the graduates of the 6th and 7th technical high schools. As the expertise in major subject or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business on the site which was deficient in the 7th curriculum was adjusted in the 8th curriculum as follows so that the students entering technical high school can cultivate talent and ability as industrial technicians to play main role each area of industry so as to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o acquire basic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related area,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y by acquiring rudimentary knowledge and technique necessary for production activity and control of related area so that they can have the attitud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erson themselves and industrial society with the pride of industrial technicians.

      • 공업고등학교 화공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조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化工分野의 産業은 大單位化 現象을 보이고 있으며 自動化되어 가고 있는 實情으로 高度의 技術을 必要로 하고 있다. 그러나 現在 使用하고 있는 工業高等學校 ( 化工科 ) 敎育課程으로는 도저히 産業의 發展에 따라 對處해 나갈 수 없음을 감안할 때 敎育課程의 改善·補完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化工分野 産業의 展望과 先進外國의 工業敎育의 動向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工業敎育課程의 問題點을 把握하여 改善의 方向을 模索하였다. 現行 工業敎育의 課程을 目標設定上의 側面, 敎育課程 組織上의 側面, 敎育課程 運營上의 側面으로 나누어 問題點을 分析하고 改善의 方向을 잡고자 하였다. 우선 化工科 一般敎育目標는 너무 專門的이고 到達點行動의 表現이 너무 細分化되었으며, 각 敎科와의 연관성이 부족한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의 敎育目標는 學生의 適性, 進路 및 能力에 따라 到達點行動을 나누어 設定하고 化學工業 全般에 걸쳐 폭 넓게 理解할 수 있으며 健全한 職業觀을 심어 줄 수 있는 目標가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敎育課程 組織上의 側面에서 보면 人文系敎科의 比重이 職業專門敎科보다 크게 차지하고 있어서 工業敎育이 職業專門敎育으로서의 性格이 약하며 工業系 共通敎科의 科目數와 單位數가 적어 工業全般에 걸쳐 理解하고 適應할 수 없으며, 또한 專攻選擇敎科의 單位配當이 적고 그나마 學校自體에서 劃一的으로 編成하여 運營하고 있음을 볼 때 學生의 適性, 能力 등에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는 實情이며, 實習敎科의 單位配當 比重이 너무 크고, 그 實習의 內容 역시 單純한 技能만을 習得하는 것으로 그치고 있어 장래 産業體에 進出했을 때 適應力이 不足하게 될 것은 當然하다. 그러므로 工業界 普通敎科의 比重을 높이고, 專攻選擇敎科는 化學工業分野, 化學工學分野로 나누어 目標를 設定하고 그에 따라 自由롭 게 選擇 複數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될 것이다. 그리고 學敎에서는 가장 基本的이고 基礎的인 간단한 實習만을 運營하고 理論敎科와 實習敎科를 統合함으로써 相互 聯關性을 높이며 化工産業發展의 傾向을 고려해서 專門敎科의 選定 및 內容을 未來指向的이고 適應力이 큰 것으로 바꾸어야 되겠다. 또한 運營의 側面에서 보면 學年間의 連繫性 및 學習經驗의 量에 따라 學年別 複數 單位數를 再 調停해야 되고, 敎授-學習資料와 授業模型의 開發이 不斷히 이루어져야하며 敎育課程에 附合되는 敎科書의 開發이 時急하다고 본다. Recently the chemical industry is characterized multi-unit and automation, so it requires high level technology. But when we think about that now being used technical high schools' curriculum (of chemical dept.) can never meet with the industry progress, it is required to reform and complete the curriculum. Hence I observe the preview of chemical industry the stream of advanced countries' technical education and attempted to find a better way for our technical education. I analyze the now technical highschool's curriculum like the following; (1) The general education goal for chemical dept. are too specific and he relativity with other subjects are too scare. Therefore I maintain the desirable goal must be such one as the terminal behavior is set up according to aptitude, course and ability of students: as can be wholly understood in chemical industry, as can have students get desirable thoughts about jobs. (2) To the curriculum composing side, the rate of liberal arts subjects are largely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at of job related subjects, so that the technical education has little characteristic as a vocational one. The numbers and units of common technical subjects such a few that students can't understand and apply the industry widely. The unit allotment of majoring optional subjects is poor and that school itself makes plan and executes it unilaterally. Naturally the aptitudes and abilities of students are not considered at all. The unit allotment rate of practice subjects is too greatly emphasized and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are limitted to getting simple skills. Accordingly it is natural that when they go out to industrial field in the future, they have poor applicabili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mon technical subjects, to set up separately the education goal of majoring optional subjects as the chemical industry field and the chemical engineering field, and to allow students to take subjects freely. In the school, it is necessary to have them do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practice, and to raise the mutual relativity by integrating the theoretical subjects and practice on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chemical industry, we need to select and change far reading and applicable subjects for majoring ones. (3) To the application side,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numbers of yearly required units according to the yearly continuty and the study experience. I maintain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models should be made continuously. And it is indispensible to develop the textbook by the curriculum.

      • 産學協同을 통한 工業高等學敎 敎育의 效率化 方案

        배재만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8703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schem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training through institution-industry Cooperation. 2.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internal and foreign Literature, and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sent to industry staff and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3.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chnical education-training system of the developed nations is dual system, that is, theories and basic skill in school and practice in industry spots. (2) The existing ways of institution- industry Cooperation are field practice job placement and field trip. However only 23.7 % of industries show the response that field practice is helpful in solving shortage of labor force in Employing Competent workers. (3) 41.9 % of industries respond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carrying out field practice because there is no time to train students, which means that they have no knowledge of the benefits eventually given to them through institution industry Cooperation. (4) 80.8 % of the whole respondents advocate improvement of the compulsory testing system of the V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ct. (5) The teachers of technical high schools want to be advised about teaching contents its level and curriculum development & organization through format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6) To promote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institution and industry, the systematic location of a full-time industrial liaison officer is urgent. 4. As a conclusion, it is desired that the following suggestions will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l) For the consistent decision-making and enforcement of institution-industry Cooperation, a full-charge governmental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2) The Advisory Committee including industry staff needs organizing within institution. (3) Each institution should have a full-time liaison officer for institution- industry Cooperation, directly under the principal, there by, faking care of employment and after direction managing consistent and continuous relationship of institution-industry Cooperation. (4) Teachers training in industry at home and abroad is improvement and field practice experience.

      • 工業敎育의 實態 및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工業高等學校를 中心으로

        신근호 朝鮮大學校 1982 국내석사

        RANK : 248703

        We have achieved a rapid and unparalled great economic growth for the last ten years. In addition, there were great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in the field of technical education. With the overseas ventures of manpower,we are now facing the problem of manpower development as a serious policy. And, for economic growth, we need high technical proficiency in labour for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ill b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echnical education 2. To examine the process of technical development in advanced countries 3. To indicate the ways for technical improve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I take the way of questionnaires. These questions deal with the process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technical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the opinions of teachers engaging in technical education. I optionally selected 21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Distributing 420 question papers, I withdrew and analyzed 344 (82%) of them. This study deals with the historical process, systems, and appliances of technic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lso compares them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Japan, and west Germany. This study raises several points on present curriculum and its composition, cooperative education, basic scholastic ability and its cure. These have been given as a conclusion: 1. a wage system according to ability,sex,and the type of occupation 2. a counterplan of practical use of woman power in an industrial society 3. a improvement plan about many kinds of qualifying examinations 4. manpower development and its management

      • 우리나라 건축산업과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과의 상관관계 연구

        하수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우리나라 건축산업과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과의 상관관계 연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 건축 산업의 경향 및 변화 동향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변화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우리나라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에 대해 미리 예측해 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 건설 산업의 개념․특징과 공업교육의 개념․범위․목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런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의 건축 산업의 역사와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역사를 문헌 및 선행 연구, 학술지 자료 등을 통해 광복 이전․이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위의 방법에 의해 우리나라 근․현대사 건축 산업의 특성을 시기별로 나누어, 광복 이전의 구한말은 우리나라 건축 산업의 전통과 외래 건축의 도입되는 시기였고,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건축교육은 학교와 교사의 수, 이론 및 실습 교재 등이 턱없이 부족하였고, 이런 이유 때문에 근대 건축교육이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의 식민 정책과 외래 건축의 형성과 한국인에 의한 새로운 건축적 시도가 이루어졌던 시기였고,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건축교육은 일제에 의한 공업학교가 설립되었고 광복될 때까지 이 땅에서 건축가를 양성하는 거의 유일한 교육 기관이었다. 그러나 교육 수준과 내용은 높지 않았으며, 당시 일본의 보통공업학교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표면적으로는 한국인을 교육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학생 대부분이 일본이었고, 한국인의 입학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건축 산업은 전후 복구 사업과 급격한 서구화의 진행 및 전통성의 논의, 그리고 주체적 역량의 발휘 및 한국 건축의 방향성에 대한 모색 등이 이루어졌던 시기였고, 광복 초기에는 일본식 건축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한국전쟁 후 대한민국 수립 때부터는 미국에 의한 건축기술과 교육이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1962년부터 시작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1970년 중반부터 시작된 해외건설의 진출, 1980년대 서울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 등으로 우리나라의 건축 산업은 외래 선진 건축기술 도입과 한국 전통의 건축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초고속 성장을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건축교육도 공업계 고등학교 및 교사의 수, 새로운 이론 및 실습 교재 등이 도입되어 가장 많이 발전되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은 IMF 경제위기로 인해 건설업체의 부도가 급증하고 공사물량 부족, 업체 난립, 수익성 악화, 해외시장의 대외신인도 하락 등 4중고로 건설 산업의 붕괴위기라는 사상 최대의 시련기를 겪었다. 이런 건설 산업의 위기로 인해 졸업을 하더라도 일을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 또한 크게 위축되었던 시기였다. 이처럼 우리나의 건축 산업의 변화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시기별 건설 산업의 변화에 따라 공업계 고등학교의 건축교육의 교육과정도 그 상황에 맞게 변화한 것이다. 이런 우리나라의 건축 산업의 변화 동향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변화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공업계 건축교육의 교육 과정 예측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건축교육을 이루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건축 산업의 변화 동향만을 분석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교육의 변화 동향을 파악하였다. 앞으로 계속되는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건축 교육과정의 변화가 실제로 건축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건축교육 , 공업교육 , 교육과정 , 건축산업 , 공업계 고등학교

      • 부산지역의 산업구조와 공업교육 변천조사

        박현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1945년부터 2007년까지 부산의 산업구조와 공업교육의 자료를 각각 통일된 기준으로 정리․분석함과 설문조사를 통한 공업계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에 대한 인식조사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지역의 업종별 사업체 수, 업종별 종사자 수, 공업계 고등학교 학교 수, 과정별 학생 수, 공업계 교원자격증별 교원 수를 1945년부터 2007년까지 연도별로 조사하여 각 항목의 수의 변화로 부산지역의 산업구조와 공업교육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인식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산지역의 산업구조 첫째, 사업체 수는 변화 조사에서는 1980년대 이후 부산의 산업의 고도화의 실패와 노동집약적 산업의 경쟁력 상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전국 최고의 어음부도율 등이 잘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 수 있었다. 둘째, 종사자의 수가 변화 조사에서는 1980년대 부산의 중화학공업 제한 정책의 영향과 신발산업의 쇠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전국 최고의 실업율과 인구 감소율을 잘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부산지역의 공업교육 첫째, 부산지역의 공업계고등학교 학생 수 변화, 학교 수 변화, 교원 수 변화 조사에서는 학생 수 증가 시는 공업고 학교 수와 교원 수도 후행 증가하였고, 학생 수 감소 시에는 학교 수와 교원 수가 일정수준을 유지했음이 조사되었다. 이는 공업고의 학교와 교원 공급이 학생 수의 변화에 다소 후행함과 학급당 학생 수를 감소를 통해 교원의 수가 유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부산지역의 산업구조의 변화는 부산지역 공업교육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역적 특색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공업교육 정책의 시행과 부산지역의 산업인력 교육이 산업현장에서 주로 이뤄져 온 점에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3. 설문조사 첫째, 취업을 선택한 부산의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대다수는 경제적 요인 때문에 취업을 선택함에도 불구하고, 취업준비가 미흡하며, 취업 후 직장생활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의 부재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고와는 차별적인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산지역 공업계 교사들은 공업교육 환경변화와 진로지도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진로지도교사의 양성과 지속적인 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배선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 통합교육프로그램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와 관련한 현실 세계에서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과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에 터하여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준비단계에서는, (1)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생, 교사 및 교육행정가, 산업체의 요구 분석, (2) STEM 교육프로그램의 통합유형 선정, (3) STM․SEM 분류 준거 설정, (4)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전문교과 내용 분석, (5) 활동과제 선정 준거를 도출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1) 전기․전자․통신 분야 STEM 교육프로그램의 활동과제 선정, (2) 활동과제별 교육목표 설정, (3) 활동분석 및 세부 활동 명료화, (4) 학습내용 선정, (5) 활동 Web Diagram 작성, (6) 학습내용 조직, (7) 수업목표 진술, (8) STEM 교육프로그램 내용 구성 및 작성이 이루어졌다. 개선단계에서는, (1)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2) 학생들에 의한 예비시험과 현장시험을 실행하여 STEM 교육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STEM 교육프로그램은 ‘횡단보도제어기 만들기’, ‘TV 자동 OFF 장치 만들기’, ‘무선카팩용 FM 송신기 만들기’의 세 가지 활동과제로 구성되었다. ‘횡단보도제어기 만들기’는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 분야 1학년을 위한 활동과제이며, ‘TV 자동 OFF 장치 만들기’는 전자 분야 2학년을 위한 활동과제이고, ‘무선카팩용 FM 송신기 만들기’는 통신 분야 3학년을 위한 활동과제이다. 둘째, 세 가지 활동과제는 활동과제 이해하기, 회로 설계하기, 부품 선택 및 측정하기, 제작하기, 동작 검사 및 고장수리하기의 공통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은 학생용 자료와 교사용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1) 학생용 자료는 프로그램 안내, 학습활동, 평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교사용 자료는 STEM 교육프로그램의 소개, STEM 교육프로그램의 목표, STEM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체계, 활동과제별 STEM 교육프로그램의 관련 내용, STEM 교육프로그램의 시간계획 및 수업목표, 평가 등을 포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