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재생설비의 공급확대에 따른 확률론적 공급지장에너지 기반의 전원계획 공급적정성 평가방안 연구

        김형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86

        다양한 정책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에 의한 신재생설비의 공급확대는 전통적인 공급적정성 관점에서 새로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신뢰도 측면에서 신재생설비의 공급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 과거 실제 이용률(발전량)을 이용하는 설비이용률 방식(Capacity factor approach)은 결정론적이며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다수의 전력시장에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공급적정성 평가 시 계통에 내재하는 확률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대다수의 전력시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설비용량 기반의 확률론적 공급적정성 평가방식과 신재생설비의 공급기여도를 산출하기 위해 설비이용률 방식을 병용할 경우 공급신뢰도 평가를 위해 신재생설비의 공급기여도에 대응하는 설비이용률을 용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용량과 발전량의 물리적 정의에 의한 이론적 모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순은 실제 계통운영 시 공급신뢰도 하락과 사회적 비용 증가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률 기반의 신재생설비 공급기여도를 활용한 설비용량 기반의 공급적정성 평가 시 관찰되는 이론적 모순을 개선하기 위해 확률론적 공급지장에너지 기반의 공급적정성 평가방식을 제안하고 국내 실계통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여 그 영향을 분석한다.

      •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정지현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4

        Since urban parks, the products derived from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olicy, the urban planning provide services for urban residents, each of the presence of accessibility according to a distribution of parks and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urban park services is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acceptances of public service benefits and establishing the planning and executing the policy,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ve equity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planning stage of urban parks, supply adequacy at the use stage and expandability at formation stage, in order to empirically review and analyze whether urban park services are equitably distributed around 8 autonomous districts/coun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by considering local population and service users at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investigate an alternative to contribute to th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by drawing factors that affect the equity. It defines th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as the 'righteous distribution based on market equity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there should be no division between one class receiving benefits of services and other alienated class, by observing principle of equal freedom and equal opportunity. First, it examines equality of locations by using an urban management scheme and statistical data and conducting an analysis of accessibility around areas where urban parks are determined to be formed, in order to explore alienated areas. Second, it examines the equity of supply, in order to find areas benefited from urban park and understand quality of urban park service benefits, by analyzing supply adequacy. Third, it examines formation potentials around unexecuted park areas, in order to inquire the equity of urban park formations. Moreover, some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ve equity are examined based on the finding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inequity are selected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equity variable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of them, through standardization. The ANOVA is conducted to verify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lected variables and the Scheffe Test, a post-hoc test is also implemented. From the analysis, following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the average service area ratio of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84.5% and that of alienated areas is 15.5%. Among a total 139 administrative dongs, the number of those in which alienated areas are distributed is 83(60.4%) and that of others where there no such areas is 55(39.6%). Second, although the whole area in which park services are provid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20,881,059㎡ which is higher than 14,926,974㎡, the legal requirement,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shows that the autonomous district in which the service area per capita fulfills the legal requirement is Namgu and most of autonomous districts have few service area. From an analysis of the supply adequacy by administrative district, it is found that there are large variations. In addition, the evaluation index of supply adequacy in an administrative dong where there is no park is sometimes high, suggesting the distributive inequity of parks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ird, the autonomous district with the highest ratio of unformed parks in Deagu Metropolitan City is Seorogu (53.8%), followed by Junggu (52.6%), Donggu (47.8%), Dalseonggun (43.8%), Namgu (37.9%), Bukgu (35.3%), Suseonggu (33.3%), and then Dalseogu (9.9%) with the lowest ratio of them. The average ratio of all unformed parks is 34.3%, due to lack of a budget for park formations. Fourth,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supply adequacy enough to achiev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The findings show that area of park service, the number of people by administrative dong and population density by administrative dong have effects on the supply adequacy. Thus, this study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When dense residential complex is constructed, the ratio of legal landscape area, which has been stipulated as 15% of plottage, should be replaced with that of area per capita. It is necessary to set entire urban greenspace quantity by introducing the No Net Loss of Green. The unformed park areas should be removed or formed, depending on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A plan for forming parks and promoting residents' participations should be designed by introducing object tax for the insufficient budget. In addition, park security and budget plan for old city should be included in developmental plan for new city, and infrastructure decision system of comprehensive urban plan should be also introduced to secure parks at old downtown areas. Finally, some policies for interconnections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Long Range Urban Planning and Urban Manag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e results of achieved distributed equity of urban parks will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k policies, such as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in the future. 도시공원은 도시계획이라는 정책의 의사집행과정 결과로 도시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원 배분에 따른 접근성 유무는 공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혜택의 수혜여부를 결정짓는데,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있는 배분은 계획수립 및 정책 집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8개 자치구․군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서비스가 지역인구 및 행정구역 단위의 이용자를 고려할 때 형평성 있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분석을 위해 도시공원 계획단계에서의 입지성, 이용단계에서의 공급적정성, 공원조성단계에서의 확충성에 대한 분배적 형평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형평성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평등한자유의 원칙과 공정한 기회균등의 원칙에 따르고 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계층과 소외된 계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시장형평성 원칙에 따라 정의롭게 분배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평가하였다. 가장 먼저 서비스소외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공원결정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관리계획도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성분석을 시행하여 입지의 형평성을 알아보았고, 두 번째는 도시공원의 서비스 혜택지역을 알아보기 위해 공급의 형평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 분석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혜택의 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세 번째는 도시공원의 공원조성의 형평성을 알아보기 위해 미집행 공원지역을 중심으로 조성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배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불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변수를 선정하고 표준화 방식을 통해 형평성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분배적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고 샤페검정(scheffe test)법을 통해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구시 도시공원의 서비스 면적비는 평균 84.5%로 나타났고 15.5%의 서비스 소외지역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소외지역이 분포하는 행정 동은 총139개 행정 동 중 83개 행정 동으로 60.4%로 나타났고 미 분포지역은 55개 행정 동으로 39.6%로 나타났다. 둘째, 대구시 전체 공원서비스 제공량은 20,881,059㎡로 법적요구량인 14,926,974㎡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인구 1인당 서비스면적이 법적요구량에 충족하는 자치구가 공급적정성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매우부족현상을 보였고 행정구역별 공급적정성을 살펴보았는데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원이 없는 행정 동에서 공급적정성 평가 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행정구역별 공원의 불 형평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대구시 미조성 공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자치구는 서구로 53.8%의 미조성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중구가 52.6% ,동구 47.8%, 달성군이 43.8%, 남구 37.9%, 북구 35.3%, 수성구 33.3%, 달서구가 가장 낮은 9.9%의 비율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미조성율은 34.3%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공원조성 예산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을 위한 공급적정성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공원서비스면적, 행정 동 인구수, 행정 동별 인구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밀도 주거단지 건설시 대지면적의 15%로 규정하고 있는 법적 조경면적의 비율은 인구1인당 면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고 녹지총량제를 도입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녹지량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미조성 공원지역은 공급적정성 평가를 통해 해제 내지는 조성을 하여야하며, 이때 부족한 예산은 목적세를 도입하여 공원을 조성하고 주민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한다. 또한, 신도시 개발계획에 구도시 공원확보계획 및 예산계획을 일부 포함시켜야 하고 구도심지역의 공원 확보를 위해서는 입체적 도시계획시설 결정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원녹지기본계획과 도시장기개발계획 및 도시관리계획이 서로 연계되고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을 위한 결과는 앞으로 도시공원녹지기본계획 등의 공원정책수립 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도시공원 입지계획을 위한 불균형 및 공급적정성 평가

        김형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4

        Recently, a location plan of the park is growing by increasing importance of urban parks for sustainable urban construction and eco-friendly interest in the domestic and external. It is requires that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roach for imbalance City park plan for the position of desirable city park is activated and to be used as policy measures. But study for city parks imbalance and the location plan of our country is insufficient. So it is not appropriate that evaluating the imbalance of city parks, and selecting by the result. Because the analysis which is synthetic includes all city park is not accomplished. Therefore, this study were performed City Park imbalance assessment on the current state analysis and improvement on use side in our country Seven cities. And we evaluated Daegu that was analyzed as 'serious state of imbalance'. Finally, Hwanggeum-dong was selected. And we tried to suggest City Park location plan by evaluating spatial Imbalance and estimating lack of park area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ity Park imbalance evaluation results in seven cities Were analyzed as Busan Metropolitan City, a 'very serious state of imbalance', and Daegu Metropolitan City a 'serious state of imbalance', and Seoul Metropolitan· Incheon Metropolitan C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slight imbalance in the state'. On the other side, Ulsan Metropolitan City was evaluated as 'general equalization state', and Guangzhou Metropolitan City was evaluated as 'status has been leveled considerably'. Theses two cities were evaluated as 'do not exist unbalance city'. It imbalance evaluation results in city suggest should be resolved imbalance as a policy that areas analyzed the city's park development plan in vulnerable areas. It detailed assessment Results of the imbalan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Gini of coefficient all the District were analyzed all values above 0.5 appeared in 'very serious state of imbalance. In particular, the Dalseonggun and Suseonggun was seriously unbalanced it that district Having more than Position indicator that indicates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compared to the average coefficient value of 1.0 or higher. Although the city park quantitatively is abundant Administrative division, as the result which was caused by as location selection of the city park which did not consider the use side. After evaluated with Hwanggeum-dong as the center The spatial urban parks Imbalance, the park extracted the insufficient area, it were analyzed results by park was set possible Legal requirements location, it were displayed by Hwanggeum-1dong, 943.08㎡/GRID and Hwanggeum-dong2, 380.61㎡/GRID. The total amount of services in available Two neighborhood parks and four children's park were analyzed it that Hwanggeum-1dong was 406,730.8㎡/GRID and Hwanggeum-2dong was 157,086.4㎡/GRID.Area in the Park Service does not provide any it occupied Hanggeum-1dong's 11.9% in Hanggeum-1dong's southeastern reg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ity Park area of supply was examined the amount of services an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legal requirements. And Hwanggeum-1dong, 12.3% were displayed city park's area less than provides legal area. And Hwanggeum-1dong, 87.7% were analyzed city park's area more than provides legal area. This area were displayed as park service area does not meet the legal requirements under in Hwanggeum-2dong. And it was evaluated park service's area more than provides legal area. The Hwanggeum-dong residential area in the object supply propriety result of evaluation of the city parks,"very low " area were displayed by Hwanggeum-1dong, 27.6% and Hwanggeum-dong2, 10.8%. This cannot reach is the area to 3㎡ where is a per person smallest city park area. On the other side, "very satisfied area" were displayed by Hwanggeum-dong1, 20.5%, and Hwanggeum-dong2, 5.4%. And it can judge area where where has the city park of above 9㎡ where is a per person city park area which advises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This assessment method will be available as a tool to solve for City Park location plan grasp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ity park location and it . And also it will be usable as basic data base for plan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sustainable urban park. This study has limitation that it has only an resident population variable in the assessment process. City Park imbalance assessment on the current state analysis and improvement on usage need to be considered variables of floating popul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But the Gini coefficient that is used to evaluate the imbalances, it were excluded accessibility and other variables. Because it has methodological limitations by applying any combination of the various parameters to evaluate the imbalance. Therefore, in the future, it will be introduced Many variables with considering how complex imbalances rating, And it will be utilized by way of a judge for sustainable urban planning if through this process the City Park was evaluated imbalance and it is set possible location area. In addition, If evaluates a location propriety to the area where the additional creation of the city park prediction becomes as possible, when establishes the space planning for the sustainability development of the hereafter city even with also fundamental data judges as application possible.

      • 노드의 수요특성을 고려한 항공화물노선 공급 적정성 평가

        윤신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318

        Abstracts An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for Aircargo Route based on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Nodes Yoon, Shin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ha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Park, Yonghwa Currently many airlines are trying to expand their business by accessing a segmented aviation market and a aircargo market has great growth potential. However, research on aircargo business is insufficient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in comparison to the air passenger business. In this context, the aircargo business sector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As the aircargo business sector is more liberalized than the passenger sector in aviation agreements, airlines can be flexible in controlling their supply capacity of aircargo routes in response to market demand. On the other hand, frequent monitoring for adjustment of supply capacity of the routes is required when considering irregular and discontinuing characteristics of its demand. Airlines have to plan and control the supply capacity of their routes reasonably not just in scheduling each flight but also in launching a new route or suspending an existing one. During the process, it is critical to apprehend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demand of airports(nodes) and the supply adequacy of the routes(links) by individual route base. For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odel for evaluating the supply adequacy of aircargo routes based on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nodes. This paper approached aircargo route as a link connecting two nodes(airports) based on the network theory and consists of four sections. (1) Set up design concept of an experimental model for evaluating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nodes and supply adequacy of link through academic surveys. (2) Adopted representative attributes from the selected influence factors on the demand of a aircargo route, which will be applied to the model. (3) Drew a diagram of a demand polygon and calculated the demand index by applying real data of adopted representative attributes to the model. Raised the demand index of a link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supply adequacy of the aircargo routes, which turned out reliable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mand indexes and supply indexes of the links using statistical method. (4) Analyzed four major aircargo routes as a sample case by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and compared the outcomes with the actual operating situation of the routes. The process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model was performed as follows; A link connecting two nodes was assumed as a pipe and a flow was set in the pipe as the volume of air cargo demand based on the ideas of fluid mechanics in engineering. A demand polygon was drawn with the axes of adopted representative attributes on the cross section at both ends of the pipe for evaluating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nodes. Also a method was developed to calculate a demand index linked with the area of the demand polygon for evaluating the supply adequacy of a link. The Delphi method, which is one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adopt representative attributes among the selected influence factors on the demand of nodes and links. Two separate surveys and one meeting were conducted with 31 professionals in aviation industry and five representative attributes were agreed and adopted. These are volume of entire aircargo market, degree of connectivity centrality, the amount of the aircargo demand between two nodes which consist of the link, the level of infrastructures and logistics systems. A demand polygon was diagramed applying actual data of the five representative attributes. The demand index which is linked with the area of the demand polygon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weighted value of five representative attributes determined by the pair comparison technique of AHP and used to analyze supply adequacy of the route quantitatively. In order to validate the demand index as an evaluation index of supply adequacy,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quadratic trend model was conducted us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data of 25 aircargo routes which was operated by `K’ airline in Korea for year 2010. The result of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demand indexes calculated by each route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upply indexes converted from the actual supply capacity of the rout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was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odel was assessed by applying it to four selected major aircargo routes operated recently and compared the analysis outcome with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the demand characteristics and supply adequacy of the rou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actual situation well. This paper represents several differentiated points compared to others as below. (1) Microscopic analysis were conducted on individual aircargo route where minimal research was made in terms of the demand characteristics and supply adequacy. (2) The professional opinions of experts who work in the aviation field especially airlines are reflected effectively by adopting the Delphi and AHP survey methods for designing the model. (3) The developed model can be applied practically for evaluating air route operation performance if real data are secured. (4) By using visual diagram design,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for comparing differences of demand characteristics of applicable nodes and links. (5) Reinforced the reliability of developed model by combin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in designing the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in this paper will be more useful and practical tools for airlines to evaluate their aircargo route operation frequently in terms of demand and supply. Keywords : aircargo route, supply adequacy, aircargo demand attributes, demand index, node and link 국문 요약 노드의 수요특성을 고려한 항공화물노선 공급 적정성 평가 윤 신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지도교수 박 용 화 본 연구는 항공사의 노선 네트워크 운영에 있어 여객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화물분야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현재 항공시장의 세분화로 인하여 많은 항공사들은 영업부문을 보다 다양하게 넓혀가고 있으며, 항공화물시장은 잠재적 성장성을 고려할 때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그러나 연구측면에서는 항공화물분야가 항공여객분야보다 질적·양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항공화물노선은 자유화의 정도가 높아 수요에 따른 탄력적 공급이 가능하며, 불규칙적이고 불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수요특성상 수시로 노선의 공급 운영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 항공사는 노선 스케줄의 편성은 물론이고 신규 노선의 개설 및 운영 노선의 폐지 등을 통해 자사의 공급규모를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그 과정에서 개별노선 단위로 운항(하고자)하는 공항(노드)의 수요 영향요인과 해당 노선(링크)의 공급 적정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노드의 수요특성을 고려한 개별 항공화물노선의 공급 적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항공화물노선을 두 개의 노드(공항)를 연결하는 링크(노선)라는 네트워크 이론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네 부분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노드와 링크의 수요특성 및 공급 적정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설계·개발하였다. 두 번째로는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기 위해 노드와 링크의 화물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대표 특성요인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는 도출한 대표요인의 데이터 값을 모형에 적용하여 수요다각형을 도시하고 수요인덱스 점수를 산출하였다. 링크의 수요인덱스 점수를 공급인덱스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신뢰성을 확인하고 공급 적정성 평가 지표로 제시하였다. 네 번째로는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여 4개의 항공화물노선을 평가하고 이를 실제 운영상황과 비교·분석하였다. 노드와 링크의 수요특성과 공급 적정성을 평가하는 모형의 설계 및 개발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유체역학의 개념에서 착안하여 링크를 두 개의 노드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로 가정하고,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량을 화물수요 규모로 상정(想定)하였다. 노드와 링크의 수요특성은 파이프 양 끝단의 원형 단면에 대표 특성요인들을 축으로 하는 수요다각형을 도시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링크의 공급 적정성은 수요다각형의 면적과 연계하여 산출한 수요인덱스 점수를 지표로 하여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노드와 링크의 화물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대표 특성요인을 도출하는 방법으로는 정성적 방법 중 하나인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총 31명의 항공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차례의 설문과 1차례의 회의를 통해 합의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대표요인으로 항공시장 규모, 연결정도 중심성, 기반시설 정도, 물류유통체계 수준, 화물수요량 등 5개 요인이 선정되었다. 수요다각형은 수요 영향 대표요인의 실제 데이터 값을 그대로 적용하여 도시하였다. 수요인덱스 점수는 수요다각형의 면적과 연계되는 개념으로, 정량적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대표요인들 간의 가중치를 AHP 의 쌍대비교 기법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산출하였다. 수요인덱스 점수를 링크의 공급 적정성 평가 지표로서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검증은 2010년 국내 K 항공사가 운영한 25개의 화물노선 운영 실적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각 노선별로 산출한 수요인덱스 점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각 노선의 실제 공급을 환산한 값인 공급인덱스를 종속변수로 하여 2차 함수를 이용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요인덱스 점수와 공급인덱스 사이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4개의 노선을 대상으로 수요특성과 공급 적정성 등을 평가하고 이를 실제 노선운영 상황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에 의해 평가된 수요특성과 공급 적정성 등이 실제 노선의 상황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항공화물노선에 대해 미시적으로 접근한 수요특성 분석 및 공급 적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다. 둘째, 모형적용요인 결정에 델파이 및 AHP 설문을 이용함으로써 항공사 전문가들의 현장감 있는 의견을 반영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개발된 모형이 노선 운영과 관련한 평가가 필요한 경우 실제 데이터 값만 확보되면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활용이 가능한 모형이라는 점이다. 넷째, 노드 및 링크의 수요특성을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판단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는 모형 개발에 있어 정성적 방법과 실제 데이터 값을 이용한 정량적 방법을 결합함으로써 정성적 방법의 약점인 신뢰도를 보완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을 활용한다면 항공사들이 개별노선의 수요특성 및 공급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항공화물노선, 공급 적정성, 항공화물수요 영향요인, 수요인덱스, 노드와 링크

      • 아파트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전용면적 85㎡초과, 60~85㎡, 60㎡미만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고은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2300

        아파트는 지금까지 단순히 대량의 주택공급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 단지의 외부공간보다는 전용공간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 왔고, 이로 인해 생활공간으로서의 아파트 환경은 고려된 경우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아파트에 대한 교환가치의 증대와 더불어 생활의 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아파트의 경우에서 과거처럼 단순히 적정한 규모의 전용공간만을 추구하던 것에서 벗어나 외부공간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주거환경에 대한 욕구의 증가는 아파트의 외부공간에 대한 수요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입주민의 의식향상은 기존의 아파트단지 내 외부공간의 대부분이 도로와 주차공간으로 채워져 있고, 어린이놀이터를 포함하여 입주민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원 및 녹지공간은 최소한의 법적 요건만 충족한 채 기능적·조경적으로 전혀 고려되지 못한 계획으로 오늘날의 단지환경에 대한 불만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입주민의 의식조사를 토대로 부대·복리시설 공급에 관한 기준을 설정하고, 시설의 배치, 규모에 관한 계획, 설계 기준 및 관련 법 규정을 조정하며, 이용이 적거나 성능이 떨어지는 부대·복리시설을 지양함으로써 아파트 단지 내 한정된 가용공간 자원의 이용효과를 높이고, 입주민의 부대·복리시설 이용에 대한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를 구성하는 전용면적별 입주민의 특성과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에 대해 살펴보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부대·복리시설의 공급은 각 단지의 특성을 대체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대수 구분에 의한 부대·복리시설의 법적 공급기준이 각 아파트 단지를 구성하고 있는 전용면적별 구분에 의한 입주민의 특성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입주민의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이용은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옥외활동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파트단지 내 각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차장에서는 현행 주차장 설치에 대한 규정이 변화되는 단지여건을 충족시키기에는 힘든 규정임을 알 수 있었다. 전용면적별로 서로 다른 지하주차장 설치비율은 실제 입주민의 요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차장 확보 시 지상주차보다는 지하주차장의 확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경시설은 부대·복리시설 중 아파트 단지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시설로 나타났으며, 조경시설에 대한 세부요소 및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가 없어 공급자의 계획적 측면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조경시설은 공급특성상 시설 측면보다는 공간적 측면으로 해석해야 하며, 조경공간에 대한 세부 요소의 규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단지 내 조경공간이 정적공간이 아닌 교육 및 체험을 위한 동적공간으로의 변화 요구가 높았다. 이는 최근 들어 아파트 단지 내에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조경시설의 종류 및 구성방식에 대한 이용 후 평가 및 입주민 특성에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행 어린이놀이터 설치 규정은 면적과 시설물의 안정성에 대한 규정만 있어, 시설 공급에 있어서는 건설사의 계획에 의존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어린이놀이터 수준에 대한 불만족이 높게 나타나 시설의 질적개선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 이용에 있어 다수의 이용계층을 위한 놀이시설로의 변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민운동시설의 경우, 최근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는 건강에 대한 욕구가 입주민의 의식에도 영향을 미쳐 단지 내 운동시설에 대한 양적·질적 개선에 대한 입주민의 요구사항이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로 관리사무소에 있어서 입주민의 의식은 전반적으로 현 수준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를 비롯한 공공주택을 재산증식의 수단이나 잠시 거주하는 대상으로 여기는 풍조가 지배적이므로 평생 주거지라는 개념이 희박하고, 관리사무소의 관리 및 이용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로당은 이용계층을 위한 시설의 필요도에 대해서는 전체 단지에 걸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시설면적의 확장보다는 질적개선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로 근린생활시설의 경우, 시설의 기능 및 성격 상 주거기능과 더불어 상호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입주민 역시 주거생활의 편리성 때문에 시설의 필요성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여덟째, 주민공동시설은 각 세부시설에 대한 규정이 없어 시설 공급기준이 애매하고 입주민의 시설 인지도 또한 낮았다. 이는 주민공동시설의 각 세부시설별 성격 및 이용 행태를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고, 시설의 적정 규모에 대한 규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홉째로 보육시설의 공급이 영육아 30인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규정되어있어 공급기준이 애매한 실정이다. 또한,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치원의 기능과 유사한 성격의 보육시설에 대한 계획적 측면에서의 공급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열째, 문고의 경우에는 주민공동시설에 설치할 수 있는 도서실 및 독서실의 기능 및 성격이 비슷해 법적 기준에 의한 구체적 규정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입주민 측면에서는 다양한 계층을 수용할 수 있는 계획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내공간시설 중 놀이터, 경로당, 문고, 보육시설, 주민공동시설 등은 시설의 이용에 있어 특정계층을 위한 공급보다는 다양한 계층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시설로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시설의 공급에 있어서 시설 면적의 확충보다는 질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부대·복리시설의 공급 목적 상 입주민의 단지 내 생활에 있어서 이용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각 시설에 있어 관리주체 및 이용주체, 시설기능 등에 따른 복합사용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partment was a tool for supply of large quantity so far simply. Because of, formerer out-door space than space of floor was important. There was no consideration about environment as life in apartment complex. But, value in exchange of apartment complex increased these day. Also, request about quality of life as rising, request that must enhance quality of out-door space is growing. Increase of request about external environment is doing demand about out-door space of apartment complex variously. Out-door space of resident's level elevation who is such is satisfy minimum legal important matter in existent apartment complex and these plan nowaday only by complaint about environment appear. Out-door space of these resident's Consciousness level elevation is satisfy minimum legal important matter and is appearing by complaint about environment only in existent apartment complex. So, a study that see hereupon probed resident's consciousness about communal & service facility of apartment complex and set criterion about law. Utilization is small to heighten utilization effect of equipment in apartment complex and performance searched for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oing activation way presentation about resident's communal % service facility by using. Supply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is not reflecting special quality of each apartment complex by size of floor space. Also, there was difference with resident's special quality who legal supply standard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by number of households division ensues each apartment in exclusive use area only. The suitable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appeared as following. Current establishment regulation of parking lot change that to satisfy situation only difficult. Different underground parking lot establishment rate was variance with actuality resident's request according to size of floor space. When secure parking lot area, need security of underground parking lot than ground parking lot. Second, landscape is affecting most satisfaction of apartment complex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Also, specific law about details element and space about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there is no and show tendency that depend on aforethought side of caterer.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must analyze for space side than equipment side and Regulation of details element about landscape space could know that should be gone ahead. Specially, change request of same long-standing labor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that activity landscape is not inactivity landscape was high. This could know that consideration need in assessment and resident special quality of post occupancy evaluation about kind of landscape and composition way been trying variously in apartment complex these days. Third, current child outing place establishment regulation is regulation about area and stability of facilities, equipment supply is displaying phenomenon that depend on a plan of construction company. Dissatisfaction about child outing place level appeared that laziness or incress of equipment should be been prior high, and appeared by thing that change request to play equipment for many utilization class in equipment utilization is high. Fourth, in case of sports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to sports facilities in only because desire about becoming health of recently social interest influences to resident's consciousness high drought quantitative·resident's requirement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 highly appear. Resident's consciousness in superintendent's office appeared by thing that is satisfying in present level generally by fifth. Also, appeared that active participation need in concept is rare, and supervision of superintendent's office and using of is residing all life because tendency which think public house which begin apartment complex as implement of wealth propagation or destination that for a while inhabit is dominate. Sixth, that appeared by similar level over whole apartment complex by size of floor space about necessity degree of equipment for utilization class per path, and appeared that improvement of quality than extension of equipment area should be been prior. Seventh, in case of Neighborhood Facilities have reciprocity organic connection along with function of equipment and personality upper residing function, and the residents was thinking necessity of equipment high because of convenience of housing life. Eighth, inhabitants public facility because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each details supply that equipment supply standard is vague and is resident's facility also low. This could need plan that consider each details equipment different personality of inhabitants public facility and utilization formal type,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 about optimum scale of equipment know that need. Ninth, supply of child care facility is real condition that have been prescribed by area that sprit and flesh can accommodate 30 persons and supply standard is vague. Also, supply in deliberate side about child care facility of personality similar to function of kindergarten could know that should be gone ahead to heighten availability. Tenth, in the case of library which can establish to inhabitants public facility and that specific regulation by legal standard should be improved preferentially because function and personality of reading room are similar and plan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hierarchical in occupancy people side should be considered appear . Finally, each communal & service facility, size of floor space equipment, change to equipment that various hierarchical than supply for specification class in using of equipment of library, child care facility, inhabitants public facility etc. can use together that should be gone ahead, could know that qualitative improvement than expansion of equipment area in supply of equipment must consist preferentially. Specially, because of supply purpose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because availability in life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residents, it is judged that research about composition use by management subject in each facility and using subject, facility function etc. should be continued. Also, improvement of legal supply standard of unit welfare equipment by current number of households division is required by number of households and supply standard by component ratio according to size of floor space.

      • 항공사의 화물 전용기 운영 노선 선택 요인 연구

        손재철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18

        본 연구는 항공사의 항공화물 노선 구조와 그 노선에 투입할 화물 전용기 운영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국제선 항공화물 처리공항 순위 30개를 대상으로 화물 전용기 운영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의 공간적 구조 및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노드별 중심성을 다른 노도와 연결되어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연결중심성, 접근성 지표인 근접중심성, 환적공항의 지표가 되는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여 허브공항의 주요 지표에 대해 분석하였다. 복합운영항공사가 항공화물 네트워크에 화물 전용기를 운영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결정 요인으로 허브 공항의 중심위치, 수요 방향의 불균형, 공급의 적정성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항공화물 화물 전용기 네트워크 다각화 요인으로 글로벌 기업의 생산·판매거점의 위치 이동이 진행될 때 글로벌 기업과 협업을 통해 신시장에 진출하여 화물 전용기 운영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도록 화물 전용기의 노선 구조 시기를 수시로 점검하여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 기존 연구가 메가 허브공항을 중심으로 항공화물 수요에 따른 항공사 노선의 운영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 중심으로 이루어 진 점과 달리 화물 전용기 운영에 있어서 신시장 개발로 항공화물 네트워크를 다변화하여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정책정인 의사결정 요인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항공사의 화물 전용기 운영 선택에 있어 양적 네트워크 이면의 질적 네트워크 요인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항공화물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twork structure of air cargo routes 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freighter aircraft for that route. And the centrality indicators of the air cargo hub airport by analyzing the centrality of each node, through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show in an analysis of the degree centra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ion routes, the closeness centrality as the accessibility index, and the betweenness centrality as the index of the transit airport Also there are additional analyses for the locations of production and sales bases of global companies to operate the freighter aircraft, the index of directional imbalance of the air cargo network, the capacity adequacy of the existing routes to determine whether to reduce the operation of cargo aircraft due to the increase of the valley space of passenger aircraft due to the increase of passenger demand.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 on factors that determine the operation of airline route through demand-oriented network research, it is different in that it analyzes decision making factors that can survive in competition of air cargo market through decision making strategy of choice of freight aircraft ope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uppor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ir cargo network strategy by considering the qualitative network factors behind the quantitative network in choice of freighter aircraft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