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81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urban parks, the products derived from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olicy, the urban planning provide services for urban residents, each of the presence of accessibility according to a distribution of parks and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ur...

      Since urban parks, the products derived from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olicy, the
      urban planning provide services for urban residents, each of the presence of accessibility
      according to a distribution of parks and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urban park services is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acceptances of public service benefits and establishing
      the planning and executing the policy,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ve equity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planning stage of urban parks, supply
      adequacy at the use stage and expandability at formation stage, in order to empirically
      review and analyze whether urban park services are equitably distributed around 8
      autonomous districts/coun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by considering local
      population and service users at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investigate an alternative to contribute to th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by drawing
      factors that affect the equity.
      It defines th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as the 'righteous distribution based on
      market equity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there should be no division between one class
      receiving benefits of services and other alienated class, by observing principle of equal
      freedom and equal opportunity. First, it examines equality of locations by using an urban
      management scheme and statistical data and conducting an analysis of accessibility around
      areas where urban parks are determined to be formed, in order to explore alienated areas.
      Second, it examines the equity of supply, in order to find areas benefited from urban park
      and understand quality of urban park service benefits, by analyzing supply adequacy. Third,
      it examines formation potentials around unexecuted park areas, in order to inquire the
      equity of urban park formations. Moreover, some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ve equity
      are examined based on the finding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inequity are selected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equity variable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of them, through standardization. The ANOVA is conducted to verify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lected variables and the Scheffe Test, a
      post-hoc test is also implemented.
      From the analysis, following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the average service area ratio of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84.5%
      and that of alienated areas is 15.5%. Among a total 139 administrative dongs, the number
      of those in which alienated areas are distributed is 83(60.4%) and that of others where
      there no such areas is 55(39.6%).
      Second, although the whole area in which park services are provid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20,881,059㎡ which is higher than 14,926,974㎡, the legal requirement,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shows that the autonomous district in which the service
      area per capita fulfills the legal requirement is Namgu and most of autonomous districts
      have few service area. From an analysis of the supply adequacy by administrative district,
      it is found that there are large variations. In addition, the evaluation index of supply
      adequacy in an administrative dong where there is no park is sometimes high, suggesting
      the distributive inequity of parks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ird, the autonomous district with the highest ratio of unformed parks in Deagu
      Metropolitan City is Seorogu (53.8%), followed by Junggu (52.6%), Donggu (47.8%),
      Dalseonggun (43.8%), Namgu (37.9%), Bukgu (35.3%), Suseonggu (33.3%), and then
      Dalseogu (9.9%) with the lowest ratio of them. The average ratio of all unformed parks is
      34.3%, due to lack of a budget for park formations.
      Fourth,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supply
      adequacy enough to achieve distributive equity of urban parks. The findings show that area
      of park service, the number of people by administrative dong and population density by
      administrative dong have effects on the supply adequacy. Thus, this study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When dense residential complex is constructed, the ratio of legal landscape area, which
      has been stipulated as 15% of plottage, should be replaced with that of area per capita. It
      is necessary to set entire urban greenspace quantity by introducing the No Net Loss of
      Green. The unformed park areas should be removed or formed, depending on the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A plan for forming parks and promoting residents' participations should
      be designed by introducing object tax for the insufficient budget. In addition, park security
      and budget plan for old city should be included in developmental plan for new city, and
      infrastructure decision system of comprehensive urban plan should be also introduced to
      secure parks at old downtown areas. Finally, some policies for interconnections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Long Range Urban
      Planning and Urban Manag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e results of achieved distributed equity of urban parks will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k policies, such as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공원은 도시계획이라는 정책의 의사집행과정 결과로 도시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원 배분에 따른 접근성 유무는 공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혜택의 수혜여부를 결정짓는데,...

      도시공원은 도시계획이라는 정책의 의사집행과정 결과로 도시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원 배분에 따른 접근성 유무는 공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혜택의 수혜여부를 결정짓는데,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있는 배분은 계획수립 및 정책 집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8개 자치구․군을 중심으로 도시공원 서비스가 지역인구 및 행정구역 단위의 이용자를 고려할 때 형평성 있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분석을 위해 도시공원 계획단계에서의 입지성, 이용단계에서의 공급적정성, 공원조성단계에서의 확충성에 대한 분배적 형평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형평성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평등한자유의 원칙과 공정한 기회균등의 원칙에 따르고 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계층과 소외된 계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시장형평성 원칙에 따라 정의롭게 분배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평가하였다. 가장 먼저 서비스소외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공원결정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관리계획도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성분석을 시행하여 입지의 형평성을 알아보았고, 두 번째는 도시공원의 서비스 혜택지역을 알아보기 위해 공급의 형평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도시공원의 공급적정성 분석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혜택의 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세 번째는 도시공원의 공원조성의 형평성을 알아보기 위해 미집행 공원지역을 중심으로 조성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배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불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변수를 선정하고 표준화 방식을 통해 형평성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분배적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고 샤페검정(scheffe test)법을 통해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구시 도시공원의 서비스 면적비는 평균 84.5%로 나타났고 15.5%의 서비스 소외지역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소외지역이 분포하는 행정 동은 총139개 행정 동 중 83개 행정 동으로 60.4%로 나타났고 미 분포지역은 55개 행정 동으로 39.6%로 나타났다.
      둘째, 대구시 전체 공원서비스 제공량은 20,881,059㎡로 법적요구량인 14,926,974㎡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인구 1인당 서비스면적이 법적요구량에 충족하는 자치구가 공급적정성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매우부족현상을 보였고 행정구역별 공급적정성을 살펴보았는데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원이 없는 행정 동에서 공급적정성 평가 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행정구역별 공원의 불 형평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대구시 미조성 공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자치구는 서구로 53.8%의 미조성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중구가 52.6% ,동구 47.8%, 달성군이 43.8%, 남구 37.9%, 북구 35.3%, 수성구 33.3%, 달서구가 가장 낮은 9.9%의 비율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미조성율은 34.3%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공원조성 예산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을 위한 공급적정성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공원서비스면적, 행정 동 인구수, 행정 동별 인구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밀도 주거단지 건설시 대지면적의 15%로 규정하고 있는 법적 조경면적의 비율은 인구1인당 면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고 녹지총량제를 도입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녹지량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미조성 공원지역은 공급적정성 평가를 통해 해제 내지는 조성을 하여야하며, 이때 부족한 예산은 목적세를 도입하여 공원을 조성하고 주민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한다. 또한, 신도시 개발계획에 구도시 공원확보계획 및 예산계획을 일부 포함시켜야 하고 구도심지역의 공원 확보를 위해서는 입체적 도시계획시설 결정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원녹지기본계획과 도시장기개발계획 및 도시관리계획이 서로 연계되고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을 위한 결과는 앞으로 도시공원녹지기본계획 등의 공원정책수립 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 론 1
      •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Ⅰ.서 론 1
      •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7
      • 3) 연구사 9
      • Ⅱ.이론적 배경 13
      • 1.도시공원의 정의 및 기능 13
      • 1) 도시공원의 정의 13
      • 2) 도시공원의 기능 15
      • 2. 관련법규 및 제도 검토 17
      • 1) 도시공원 관련 법규 검토 17
      • 2) 도시공원의 확보기준 18
      • 3.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및 평가방법 21
      • 1) 도시공원과 형평성 21
      • 2) 형평성 평가방법 24
      • Ⅲ. 분석의 틀 29
      • 1. 관련개념 정의 29
      • 2. 분배적 형평성 평가를 위한 분석의 틀 33
      • 3. 분석을 위한 자료 구축 34
      • 4. 분배적 형평성의 분석방법 36
      • 1) 분석 방법론 설정 36
      • 2) 분석기준 및 평가방법 38
      • Ⅳ.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43
      • 1. 대상지 현황 43
      • 1) 일반현황 43
      • 2) 도시공원 유형별 현황 45
      • 2. 입지의 형평성 분석 48
      • 1) 도시공원의 서비스 면적 48
      • 2) 도시공원의 서비스 소외지역 50
      • 3. 공급의 형평성 분석 53
      • 1) 도시공원의 법적요구량 산정 53
      • 2) 도시공원의 서비스 제공량 산정 56
      • 3) 공급적정성 평가 60
      • 4. 조성의 형평성 분석 77
      • 1) 미조성 공원 현황분석 77
      • 2) 미조성 공원의 토지 현황분석 78
      • 3) 미조성 공원의 사업비 분석 80
      • Ⅴ.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제고방안 82
      • 1. 분배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82
      • 1) 변수의 선정 및 상관관계 분석 82
      • 2) 분배적 형평성의 회귀모형 87
      • 2. 자치구별 분배적 형평성 차이분석 90
      • 1) 자치구별 공급적정성 차이분석 90
      • 2) 자치구별 공급적정성 분류 93
      • Ⅵ. 결 론 95
      • 1.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실현방안 95
      • 2. 도시공원 정책의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98
      • 참고문헌 101
      • 국문초록 107
      • 영문초록 109
      • 부록 1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영희, "녹지환경학", 태림문화사, 태림문화사, 2001

      2 임의영, "형평성의 개념화",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9(2):81-102, 2011

      3 오병태, 최기호, "도시녹지계획과 설계", 대우, 대우출판사, 1996

      4 김수봉, "외국의 도시공원 정책",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4월호: 47-59, 2006

      5 김영숙, 주영선, 남상호, "보건복지 종합지수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 오충헌, "우리나라 도시공원정책의 문제점", 도시문제, 4월호:33-46, 2006

      7 이시영, Lee, Shi-Young, Kim, Yoo-Ill, Shim, Joon-Young, 심준영, 김유일,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 회지, 37(6):19-27, 2010

      8 환경부, "25개 사례로 본 환경분쟁 조정 25년사",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2016

      9 이현주, "사회복지이용시설 접근성에 대한 평가",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구, 12: 111-129, 1998

      10 고재경, 정회성, "환경복지 개념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환경정책 21(3):23-52, 2013

      1 안영희, "녹지환경학", 태림문화사, 태림문화사, 2001

      2 임의영, "형평성의 개념화",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9(2):81-102, 2011

      3 오병태, 최기호, "도시녹지계획과 설계", 대우, 대우출판사, 1996

      4 김수봉, "외국의 도시공원 정책",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4월호: 47-59, 2006

      5 김영숙, 주영선, 남상호, "보건복지 종합지수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 오충헌, "우리나라 도시공원정책의 문제점", 도시문제, 4월호:33-46, 2006

      7 이시영, Lee, Shi-Young, Kim, Yoo-Ill, Shim, Joon-Young, 심준영, 김유일,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 회지, 37(6):19-27, 2010

      8 환경부, "25개 사례로 본 환경분쟁 조정 25년사",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2016

      9 이현주, "사회복지이용시설 접근성에 대한 평가",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구, 12: 111-129, 1998

      10 고재경, 정회성, "환경복지 개념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환경정책 21(3):23-52, 2013

      11 권기찬, "생활권 도시공원의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4):129-137, 1999

      12 김수봉, 김해동,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 회지, 30(3):25-34, 2002

      13 나정화, 류연수, 도후조, "유치거리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의 적정배치", 한 국조경학회지 20:33-38, 2002

      14 정승현, 오규식, "GIS 분석에 의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 획 40(3): 189-203, 2005

      15 최형석 , 안동만, 김인호, 조형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18(4):17-28, 1991

      16 임승빈, 허윤정, "도시녹지의 시각적 접근성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한국 조경학회지 23(2):1-14, 1995

      17 이경주, 이동현,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한국지리 정보학회지 13(1): 164-172, 2010

      18 이종열, "정책결정 및 분석기준으로서의 형평성과 실현가능성", The KAPS 34: 66-68, 2013

      19 곽남현, "인천광역시 도시 변화에 따른 공원녹지 변화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 립대학교 대학원, 2016

      20 이다솜, "수원시 도시특성을 고려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단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1 김형준, 정성관, 이우성,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 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39(4): 18-27, 2011

      22 이우성 ( Woo Sung Lee ),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한 국지리정보학회지 19(1):120-140, 2016

      23 서현진, 전병운,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 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221-237, 2011

      24 성현찬, 신지영,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방안 연구: 경기도 권역을 중심 으로",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33(2):83-91, 2005

      25 성현찬, 이양주, "신 구시가지의 도시공원 불균형 분포 분석 및 개선방 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5(3):1-15, 2012

      26 진양교, 허미선,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 지표에 관 한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42-56, 1996

      27 김용국, "녹색복지 실현을 위한 서울시 근린공원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28 이규천, "도시공원녹지 정책을 위한 윤리적 토지지용의 정치철학적 기초", 도시문제 33(320):74-90, 1995

      29 윤형미, "거주인구 및 공원유치권 중복지역을 고려한 공원 분포평가 연 구",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2

      30 홍성언, 박수홍,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근린공원의 입지 분 석”",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38(5): 849-860, 2003

      31 임은선, 이경주,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국토연구, 63:107-122, 2009

      32 엄상근, "이용성을 반영한 도시녹지 평가연구 : 수도권 신도시를 대상으 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3 이인성, 조규성, "도시공원 입지선정을 위한 GIS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 스템의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99-105, 2001

      34 신지영, "도시공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2): 40-49, 2009

      35 서현진,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분석 : 대구시를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36 고진수, 김현, 김예성,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연구: 수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42(5):31-40, 2014

      37 김태경, 이재영, "공원부족구역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연구 : 강 릉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39(3):1-9, 2011

      38 임의영, "사회적형평성의 정의론적 논거모색 : R. Dworkin의 ‘자원평등론’ 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행정논총, 49(3):1-22, 2007

      39 김정규, "안양시의 도시공원녹지 접근성 모델에 관한연구: 공간구문론과 심리적 모델의 통합",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40 김수봉, 김용수, "대도시 공원녹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구시민의 공원 녹지의 가치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9(4):1-11, 1992

      41 박창석, 추장민, 임유라, 신지영, 배현주, "소득계층요인에 따른 자연녹지 와 도시공원의 접근성 분석 :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국토도시 계획학회지 44(4):133-146, 2009

      42 손승우, "도시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 및 인구 분석 연구: 대구광역시 근 린공원, 인구분포 자료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3 조대헌, "공간적 형평성(spatial equity)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도시 공공서비스에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48:100-120, 2004

      44 신지영, "신 구도시가 공존하는 지역 내 도시공원 접근성의 형평성 평가 연구 : 수도권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 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45 조원준, "주민공원녹지 의식을 반영한 오픈스페이스 이용활성화에 관한연 구 : 수원시 공원녹지사례 중심으로", 석사학 위논문,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46 손승우, 안동만,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 외 이용인구 정밀분석 : 대구광 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1(5):9-1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