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中關村科技園區與東亞國家和地區科技園區髮展及公共政策的比較硏究 : 중국 중관촌 과학연구단지와 동북 아시아 지역 과학기술연구단지 발전및 공공정책 비교연구

        백만기 南京大學 2004 해외박사

        RANK : 248703

        21세기 경제는 정보경제이다. 정보경제를 논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과학기술연구단지 발전으로 출발한다. 현재 세계 각국에는 약 1.000개의 과학기술연구단지가 있으며, 그중 비교적 성공적인 연구단지로는 미국 실리콘밸리 및 동남아 지역의 동경 쯔꾸바연구단지, 한국 대전 대덕연구단지, 대만 신죽연구단지와 싱가폴 긍특강 연구단지등이 있다. 따라서 연구단지의 발전과 성공은 곧 국가의 공공정책 과 불가분의 관계로, 과학기술력은 국가 생존의 핵심이며 원동력이다. 중국 북경에 소재하고 있는 중관촌 과학기술연구단지는 신기술산업개발의 중요한 지역으로 중국 첨단기술 인재가 집결된 곳으로 고급과학두뇌 밀집도는 세계에서도 찾아 보기가 드물다. 중국 정부는 시종일관하게 중관촌을 중국의 실리콘 밸리로 부상시킬 것을 희망하고 있다. 현재까지 중국정부가 중관촌을 실리콘 밸리와 같은 創業기업의 基地로 많은 노력을 해왔으나, 아직도 동부 여러 아시아지역의 과학기술연구단지와는 비교적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중관촌 과학기술연구단지와 동북 아시아 지역 과학기술 연구단지의 발전 및 공공정책 비교" 를 중심으로 공공정책의 개념, 특징 및 구조, 과학기술연구단지의 기본이론, 유형, 방식, 운영체재를 고찰한후. 한국대전 대덕연구단지와 동경쯔꾸바연구단지, 중국 대만 신죽연구단지, 싱가폴 긍특강연구단지의 발전특징 및 공공정책을 중심으로 중관촌 과학기술연구단지와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공공정책 創新에 대한 새로운 위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모두 6장으로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연구동기와 목적, 연구범위, 연구구조와 연구방법등을 제시하였고, 제 2 장에서는 문헌을 통한 공공정책과 과학기술연구단지 관련 문헌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여 공공정책의 개념, 특징과 구조가 포함된 중국국내 공공정책관련 과학기술연구단지 이론, 과학기술연구단지 기초이론, 유형과 형식, 운영체제, 기획 및 공공정책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제 3 장은 동아시아 지역의 한국 대전 대덕연구단지, 일본 쯔꾸바연구단지, 대만 신죽연구단지, 싱가폴 긍특강 연구단지의 배경과 현황 및 공공정책을 분석하여 과학기술 연구단지 발전의 공공정책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 4 장은 중관촌 과학기술연구단지의 발전현황 소개, 배경 및 연혁, 연구단지현황 및 계획, 발전, 특징 과 동부 아시아 지역 과학기술 연구단지의 발전역사단계 및 성공적 조성사례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제 5 장 중관촌 공공정책 현황과 문제점 연구는 환경건설정책과 산업정책 두가지 방면으로부터 현재 중관촌 공공정책현황을 분석하고 동북 아시아 지역에서 과학기술 연구단지 발전과 비교분석을 통한 現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 6 장 결론에서는, 연구단지 발전전략과 공공정책 개혁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최근 지방화와 기술혁신을 접목시켜 새로운 형태의 지역발전 정책의 수단으로 나타난 과학기술 연구단지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Economics in the 21 st century is an information economy. Science Park is a key part of the information economic. There are currently about 1000 science parks around the world, among which the East Asia, Japan Tokyo Tsukuba Research Park, Korea Daedeok Science Town, Taiwan Hsinchu technology par and Singapore Kent Ridge Science Park are the successful ones, besides Silicon Valley of America. The development and success of a science park rely on the support of public polices. For the knowledge industry, which has the nature of creativity, the environment and industry policies of the government are very important. The Mainland China government building a lot of science parks to attract world wide Hi-tech Corporation, it could accelerate the china Hi-tech industry development. Among these science parks, Zhongguancun Science Park is the most remarkable one. Zhongguancun Science Park is the main body of Beijing Hi-tech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Zone. Talents and intelligent of china are concentrated in this area. The dense are rare in the world. The Chinese government hopes to build the Zhongguancun as a China's Silicon Valley. But up to today, the distance is remaining so far, even compared with some of the science parks in East Asia. This research centre around the Comparative research on the developments and public policies between the China Zhongguancun Science Park and science parks in East Asia region. From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of the public policy. basic theories, type the mechanism technology park area, choosing Japan Tokyo Tsukuba Research Park, Korea Daedeok Science Town, Taiwan Hsinchu Technology Park and Singapore Kent Ridge Science Park, make comparison with the Zhongguancun Science Park. The basic conclusion is that creativity of the public policy is the key part for the development of Zhongguancun Science Park. This thesis is divided into six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which elucidates the research's motive, purpose, scope, structure and data source, research methods and limitations. Chapter 2 reviews the relative studies, discusses the research on public policy and technology park areas, including the nature, character, construction of the public policy and Chinese domestic relative research about the public policy, the foundation theories, type, mode, mechanism of the technology park area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policy. Chapter 3 discusses the studies of the public policy of oversea science parks, which include Japan Tokyo Tsukuba Research Park, Korea Daedeok Science Town, Taiwan Hsinchu technology par, Singapore Kent Ridge Science Park. Then synthesize the above researches to summary these regions with the experience of the public policy that the technology park of the region develops. Chapter 4 discuss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Zhongguancun Science Park, and analyzes its background, origin, and programming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finally analyze the main differentiation on prospering the technology parks in East Asia. Chapter 5 discusses the current public policy in Zhongguancun Science Park, from the point view of environment development policy and industrial policy aspects, to analyze the current problems of the public policy in Zhongguancun,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East Asia prospering technology park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escribe that the basic conclusion is that the key element that helps Zhongguancun develop quickly is the creativity of public policy.

      • 公共賃貸住宅政策에 관한 硏究

        장명수 대구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housing policies of uor country has continuously to raised the standards of popular housing through the extension of supplied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stabilization of the housing life, but they could not enhance housing affordability so that the homeless masses can't purchase their own houses due to Since authorities perceive the limitations of these policies that the popular people can not purchase their own house, they recentl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aspects of housing welfare together with the extension of housiong construction and rental housing supply. However, as the supply extention policy of public housing is confined to the low income class of the homeless people, does not provide for the fundamental solution of housing problems. Government has much interest in public rental hous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 value increase in real estate, and changed conception on housing. This thesis gropes for the policy alternatives can solve the housing problem and to meet the needs of all the demand class as government carrys out the policy of rental-housing covering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homeless masses to the middle class. As the low income class of the homeless population has difficulty isn purchasing a comfortable house by their own income, government should supply them with public rental-housing and enable them to maintain a comfortable life in a secure house. Middle class has economic ability, but it takes consideration into children's education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capital asset, and has strong tendency prefering rental-housing to own housing. But the supply of rental-housing with them is not enough to meet their demand. Therefore, government activates the civil construction industry for rent-housing and should meet the needs of middle class. The rental-housing for college students is necessary, too. If could be one of possible way that school concerned and civil enterprises invest jointly to build the dormitory town. If could solve dormitories problem springing from which present dormitories can accomodate only three to five percent of students. In conclusion, the rental-housing policy consists in accomoduting the needs of all classes of life, not the need of a specific class and solving the housing problems that our country has been faced. In this regard, the most probable solution to the problem of homeless masses could be reasonably said to promote the rental housing industry. In order to promote this industry, the following aspects should emphasized. First, the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fede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supply the low-income group with rental housing, while (profit-oriented) private development company should do for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 Second, it is another point to induce private investors pursuing stable profit to participate in the rental housing industry.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encourage profit-oriented investors to take part in this industry, but should also promote private development firms on rental housing. Third, we shoul introduce long-term rental housing sytstem widely prevalent in western societies, most of which adopt montyly payment system to ensure proper income for lessors. In addition, we should make an effet to replace "house-owership" concept with "housing function" concept. Fourth, they, on the government level, should provide the tax subside and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the land for rental houses. Fifth, it is necessary to build up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investment. For that purpose, we should supplement and complete the extisting housing leaseing, and should also enact the law to protect both lessors and lessee. This would help to provide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investment in rental housing and to establish the department in charge of housing leasing affaiis. Finally, they shoud lead the existing multi-household housing to rental housing system, and try to the financial support to help convert single family house into multi-family house. Likewise, the rental-housing policy can induce the effect of the population decentralization, enable people to think of a house as a residential place, not as the objuct of increasing theri wealth, and enable them to have the sound housing concept, preventing them form having the desires to own houses then needed.

      •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중철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부의 공공임대주택정책에서 주거 빈곤층이 정책에서 소외되고 있는 점,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되어야 한다는 점, 늘어나는 임대주택의 관리 필요성 등에 주목하여 공공임대주택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이를 위해서 참여정부의 정책과, 전국의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요·공급과 관련하여서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시간적으로는 공공임대주택 정책이 시작된 시점부터 2007년 12월까지로 하였다. 관련 논문과 국토해양부의 주택업무편람, 대한주택공사의 주택통계편람, 관련법령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관련 자료를 통해 연구한 결과 재고문제, 임대주택 건설재원, 공공임대주택 수요추정방법 공급의 문제, 입지공급관련,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 및 관리관련 문제들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 공공임대주택 임대주택의 수요를 추정할 때에는 임대주택 총 수요량으로 산출한 후 임대주택에 입주할 의사가 있는 가구 및 임대료 지불능력이 있는 가구 수를 조사하여 이를 기준으로 건설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재정부문에서는 사업주체가 수익사업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양주택의 공급비율을 증가시키거나, 재정 및 국민주택기금의 투입비율을 소폭 증가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택지를 개발하는 지역의 경우 임대주택 건설용 택지는 의무 확보하도록 하되 수요가 없거나 적정 수요를 초과한 지역에서 의무 택지확보 비율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적정 수요보다 과다하게 확보한 경우에는 택지개발 사업추진 여부 및 시기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급이 부족한 서울 도심권의 공급확대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시장기능이 상실된 재래시장의 재개발방식을 통한 활용, 둘째, 기존 다세대, 다가구 주택 및 미분양주택의 매입·활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추진 시 사업지구 내에서 공공임대주택 건설 부지를 제공하는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를 적극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도심과의 접근성 높은 곳을 중심 그린벨트 규제를 풀어 공공임대주택 용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임대주택의 배분, 임대료 및 입주자관리의 개선방안으로 건설원가를 토대로 산정되는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입주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적정한 부담이 되도록 책정할 필요가 있으며, 공공임대주택 관리는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민간단체를 활용한 임차인의 참여 역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roblem of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and grope its improvement with a focus on the fact that the residential poor are alienated from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of government and that housing should be supplied for its demand and on the need for rental housing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olicy of participant government and nationwide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metropolitan area in relation to demand and supply and over the period between the starting point of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and Dec, 2007. This study referred to the related papers, the housing affair handbook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housing statistics handbook of the Korea Housing Corporation, related statutes and the like for analysis. As a result, it sought to elicit the housing stock problem, the financial resources for construction of rental housing, the method of public rental housing demand estimation, supply problem, and problems related to location supply, rent and management problem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and presented their improvement. As the improvement scheme, it would be valid to establish the construction plan by calculating the total quantities of rental housing consumed and then surveying the number of households intending to occupy the rental housing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able to pay the rent in estimating the demand of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inancial field, the project sponsor needs to examine the scheme to increase the supply rate of housing for installment sale that the sponsor can supply as the lucrative project or to increase the investment ratio of finance and national housing funds within the narrow range. In case of the area in which housing land is developed, it should be compulsory to secure the housing land for construction of rental housing but require that the compulsory ratio of housing land secured should elastically be adjusted in the area where there is no demand or it exceeds optimum demand. And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ether or not the housing land development project is promoted and when it is commenced in case housing land is excessively secured than optimum demand. The scheme to expand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which is in short suppl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mploy the redevelopment method of the traditional market whose function as the market is lost.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le and utilization of existing multi-family and multiplex housing and unsold housing.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use of the incentive of the floor area ratio in case the site for constru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s provided within the project district when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promoted. Fourth, it is possible to lift regulations on the greenbelt which is highly accessible to the downtown and make practical use of it as the site for public rental housing. To improve the allocation, rent and occupant management of the rent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set the rent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calculated based on the construction cost so that public rental housing occupants may pay the optimum rent according to their income level. Public rental housing management should be practiced from a comprehensive and long-term perspective. An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cheme to improve the participant capability of the tenant using the non-government organization.

      • 한국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연계방안에 대한 고찰

        박은숙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에 중소기업 지원정책이 공공정책으로서 자리 잡은 것은 1966년 중소기업기본법이 제정된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 이후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에서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약자로 인식돼 있는 중소기업을 보호‧육성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물론 중소기업을 언제까지 보호‧육성의 대상으로 보아야 하느냐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하지만 오늘 현재까지도 중소기업은 공공정책의 대상으로 볼 때 여전히 그렇게 여겨지고 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공공정책도 마찬가지다.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된 2007년 이후 경제적 약자로 인식돼 있는 사회적기업은 공공정책의 대상으로 볼 때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보호와 육성의 대상이다. 그런데 공공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있어서 정책의 목적이나 기능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고 대상을 기준으로 접근하는 경우, 서로 대상은 다르지만 그 목적이나 기능에 따른 정책 프로그램이 유사한 방향으로 수립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을 준비하면서 사회적기업 육성정책 현황과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살펴보았다. 거의 모든 사회적기업이 중소기업기본법에서 정의한 중소기업에 속하지만, 사회적기업 공공정책과 중소기업 공공정책 간 연계를 찾기 어려웠다. 본 논문은 이 사실을 인식한 데서 출발했다. 중소기업 지원정책이나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은 거의 모든 사회적기업이 중소기업인 현실에서는 대상이 같다. 그리고 사회적 내지는 경제적 약자를 보호‧육성한다는 정책의 출발점이 같기도 하고, 시장실패를 보완한다는 정책적 기능이 동일함에도 두 공공정책 간 연계점을 찾는 것은 상당히 어려웠다. 그래서 이 두 공공정책 간에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해보는 것을 본 논문의 주제로 설정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 공공정책의 현황, 중소기업 공공정책의 현황, 그리고 두 공공정책의 연계 필요성을 고찰한 후에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구성했다. 대안에 대해서는 세계 각국, 특히 사회적경제 선진국의 정책 사례를 찾아볼 수도 있었겠지만, 그 사례가 방대할뿐더러 본 논문 주제와의 직접적인 관련성과 논문 목적의 실용성을 우선순위에 두어서 한국의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중소기업 지원정책으로 제한하였다. 양 정책의 대상은 각각의 공공정책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설립된 정책집행기관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정책을 대표성 있는 당해 공공정책으로 보고, 양 기관의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공공정책은 2016년과 2017년 현재 실행 중인 시의성 있는 정책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두 기관의 사업 간 연계를 중심으로 연계방안에 대한 대안을 구체화시켰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대안은 5장에 다섯 가지의 정책 제안으로 실었다. 첫째는 중소기업 정책자금에 사회적기업 전용자금을 신설하는 것으로, 사회적기업 정책을 산업경제 정책의 차원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둘째는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평가 툴에 사회적기업 평가 툴을 새로이 도입하는 것으로, 사회적기업의 정책금융 수혜를 확대할 필요성에서 제안하였다. 셋째는 청년창업사관학교와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의 연계이다. 양 사업의 수행기관 간 업무협약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청년CEO와 사회적기업CEO 간 네트워크 확대, 사회적기업 창업가의 창업 공간 확대 등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는 한국벤처투자(주)를 통한 사회적기업투자펀드의 조성 및 운용으로, 사회적기업의 자금 조달 방식의 확충과 동시에 중견‧중소기업의 CSV를 확산하는 결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는 중소기업제품전용 판매시설과 사회적기업제품 판매시설 간의 협업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는 사회적기업 제품의 판로 확대와 더불어 사는 따뜻한 세상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한다. 사실 본 논문이 제안한 연계 지원 방안은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특히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한 마이크로적인 방안이라는 한계가 분명히 있다. 그러나 한국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이 세계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어쩌면 국제사회에서 문제 삼을 정도로 수많은 정책을 실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책에서 소외되는 기업이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연간 1만여 이상의 중소기업이 금융지원을 받고 있지만 이 중 사회적기업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고,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외 많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그만큼 많은 수의 창업인큐베이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다수의 사회적기업이 입주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저자는 새로운 공공정책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에 급급하기보다는 기존 공공정책의 그물망을 보다 촘촘하게 엮어서 정책 수혜 대상에서 소외되는 기업을 줄여나가는 것이 현재 우리의 공공정책이 챙겨 나가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이 이런 차원에서 미미한 역할이나마 할 수 있기를 바라고, 다른 공공기관에서도 각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같은 노력을 해준다면 융합과 협력의 시대에서 공공정책 간의 시너지를 더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Support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SMEs) in Korea has been a matter of public policy since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on Small & Medium Enterprises Act in 1966. Since then, SME support policies have focused on protecting and giving assistance to those SMEs identified as economically weaker in an economic environment favorable to large enterprises. These policies have at times been controversial,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length and amount of support rendered to the targeted SMEs. However, they are still regarded as essential to the economic ecosystem, as are those being currently implemented for social enterprises. The public policies for social enterprises were reinforced in 2007 with the advent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When establishing and enforcing such public policies, care must be taken to avoid redundancies and inefficiencies in programs and functions. Additionally, the viability of some SMEs & their beneficiaries should be periodically reexamined to confirm the efficiencies of each policy with regard to its limited resources. In this paper I intend to examine current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olicies and SME support policies. Nevertheless, since almost all social enterprises belong to SMEs defined by the Framework Ac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a clear linkage between the policies. My thesis will explore ways to link these two public policies and boost efficiencies in the system. The avowed purpose of these policies is to protect, promote and nurture socially or economically weak businesses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succeed. Given the limited monetary resources available, it is imperative that the linkage between SME support policy and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olicies be more clearly identified. My thesis will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social enterprise public policy, the status of SME public policy, and proposed alternatives to better link these public policies. To support viable alternatives, I should have explored examples of successful policies globally, especially in countries with more advanced social economies. Given the vast scope of this topic, as well as the relevance of this subject in today’s global community, I will focus my research on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Specifically, I will examine the support programs of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and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SBC), since they are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established by the relevant acts. My analysis will target public polici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16. I shall materialize the linkag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businesses and will offer alternatives to the currently planned policies. The specific alternatives that I will present are found in Chapter 5 and will consist of five policy proposals. First, it proposes a method to incorporate social enterprise policy into the dimension of industrial economic policy by establishing funds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SME policy funds. Second, the introduction of social enterprise evaluation tools to SMEs’ financial support evaluation tools suggests the need to expand the benefits of SMEs in a financial dimension. The third proposal is the linkage between the mentoring for young entrepreneurs and the promo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Fourth,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a social enterprise investment fund through the Korea Venture Investment Company, Ltd., can be expected to expand the CSV of SMEs, as well as expand the funding methods of social enterprises. The fifth and final proposal is to expand collaboration between SME product sales facilities and social enterprise product sales facilities. I believe that this will lead to a consensus on social economy as well as market expansion of social enterprise products locally. The linkage support methods proposed by this paper clearly show that they are limited to the existing SME support policy, especially the micro policy based on support programs of the SBC. However, while more than 10,000 SMEs receive financial support annually, there are relatively few social enterprises in this area. There are, of course, many business incubators which public institutions other than the SBC operate, but the reality is that many social enterprises cannot take advantage of these programs. I believe that our focus should be in part to reduce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are neglected in terms of policy beneficiaries by tightening the network of existing public policies rather than rushing to create new ones. The goal of my thesis is to play a role in this dimension. Public institutions working together will create greater synergy with public policies converging to reduce redundancy and inefficient use of resources, as well as producing an era of greater cooperation. Keywords: social enterprise, small & medium sized businesses, public policy, linkage

      • 한국과 몽골의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 서울시와 울란바토르시를 중심으로

        Enkhtuvshin, Uyanga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data from the Mongolian Bureau of Statistics in 2015, the half of households 57.9% amounted to 204,161 households in Ulaanbaatar city live in Ger in 2014. Housing prices continued increasing without housing policies for low-income households in Ulaanbaatar, so they are forced to choose the Ger and housing problems are getting wor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ow-income housing purchase, the government should solve the housing problems in social welfare aspect. One of the measure is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public house renting policies of Korea and Mongolia, and removing the barriers of implementation of Mongolian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and suggesting alternatives or developmental direction by analyzing the case of Korea. Unde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Seoul and Ulaanbaatar city,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ing suppliers, leasing-housing management methods, and the requirements for ten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renews by every new president, resulting in the chaos to the public in Korea. Whereas, weaknesses or systematic problems of present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have been supplementing in the past. Since Mongolia is at the early stage in implementing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it is crucial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public rental housing, continuous supply, effective distribution, selection standard of tenants by establishing clear statutory regulations Second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that while Korea has clear rules on the standard rental deposit and the standard rental fee, but Mongolia has different rates based on the loc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countryside or cities. Thirdly, both of these two countries try to provide public rental housing through the market and to obtain their own rights, but the rent period for public rental housing in Korea is longer than Mongolia, and the regul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right in Korea is stronger than Mongolia. What's more, in both of these countries, there is no housing voucher program. Fourth, Mongolian government should improve not only satisfaction level of housing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but also expansion of public facilities and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this, it requires to set housing policies as a long-term pla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ate of growth of infrastructure compared to the short-term housing plans. Fif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concerned departments and professionals for implementing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in Mongolia based on thes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Mongolia needs to increase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improve its management system firstly. Likewise, it is important to extend the contract renewal period. To keep or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rent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build public rental housing more rentable than houses for sale. As in Korea, it is vital to diversify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and consider implementing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such as national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the government needs to participated in increasing private capital and foreign assistance to resolve the government financial burden in investment of public rental housing. 몽골 통계청 2015년 자료에 따르면 2014년도 울란바토르시 내 거주 가구의 절반 57.9% 약 20만 4천 161가구가 게르에서 거주하고 있다. 주택부족 현상과 더불어 저소득계층 가구를 위한 주택정책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은 상태와 울란바토르시 내 주택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주택구매 능력이 없는 저소득층들은 게르 지역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이는 주거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 저소득층의 주택구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복지적 측면에서 국가가 나서서 주거문제를 해결하여야 하며 그 방안의 하나가 공공임대주택정책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공공임대주택정책을 비교하여 한국을 사례 분석으로 함으로 몽골 공공임대주택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적 대안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울란바토르시의 공공임대주택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론적 관점에서 양국의 공공임대주택 공급 주체, 임대·주택관리 방식, 입주자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은 그동안 대통령의 교체와 더불어 역대 정부에서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공공임대주택이 도입됐고 정부마다 도입 계기와 입주계층이 달라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기존의 제도에서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 왔다. 몽골은 공공임대주택정책을 시행함에 있어서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공공임대주택의 개념에 대한 재정립과 지속적 공급, 효과적인 배분을 위한 입주자 선정기준을 위한 명확한 법률규정이 필요하다. 둘째, 양국의 차이점은 한국은 표준임대보증금과 표준임대료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지만, 몽골은 지방과 도시에 따라서 임대료가 다르다. 셋째, 한국과 몽골은 모두 시장을 통해서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주거권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지만,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의 임대 기간은 몽골 공공임대주택의 임대 기간보다 더 기므로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정책에서는 주거권에 대한 규제가 더 강했다. 또한, 한국과 몽골은 모두 주택수당제도가 마련되어있지 않다. 넷째, 몽골 정부는 저소득층의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주택의 공급뿐만 아니라 공공시설 및 각종 사회 인프라 시설의 확충에 대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인 주택의 계획에서 더 나아가 인프라 시설의 증가 속도를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으로 주택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몽골에서 공공임대주택정책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담당 부서와 전문가의 정원수를 늘릴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몽골은 우선 공공임대주택의 공급량을 늘리고 관리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공공임대주택의 대기인원을 줄이는 동시에 계약갱신 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의 재고량을 유지하거나 높이기 위하여 분양주택보다는 임대만 가능한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 한국처럼 공공임대주택정책의 유형을 다양화시키는 것과 국민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처럼 장기적인 공공임대주택정책을 실행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는 민간 자본 및 해외 원조 등의 참여 확대에 직접 관여해야 합니다.

      • 공공경제정책의 의사결정 구축에 관한 실증연구 :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백안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modern society, citizens' desire for legitimacy of public economic policy is rising. In the past, economic policy through procedures and contents became more important discourse in emphasizing role of public entities. The role of the public economy in urban regener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interests of the entrepreneurs a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making it difficult to enforce policies and drifting continuously.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olicy that integrates the interests, values, and points of the policy participants in one direction. Especially, it is difficult for the economic policy with publicity to be clear about the principle of profit distribution. The values ​​pursued by the public economy must be accessible and open to the market, coupled with the interests of the community, and meet the public ideals. Urban regeneration is said to be much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the desperation and expect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at they are making use of the backward urban centers.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economic policy aspects of local governm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xpectation of the ripple effect from the input of finance is the basic business framework of urban regeneration. Although urban regeneration has been set as a policy goal of local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n many region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olicies that are not sufficiently approachable in terms of public economy. The city revitalization project is a policy in which the private sector of the selected districts conducts public works on behalf of public institutions and seeks to revitalize and revitalize the city cen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ordinate the position and interests of local residents, The institutional apparatus and perception must be established.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so that the economic benefits can be reduced to equi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not a project that can be monopolized by either party, but that the project itself is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ommon propert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olicy and system, the decision - making process, and the problem of sharing of profits in order to suggest a model of urban regeneration decision-making based on the public economy. As a research method, public economic model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in the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are designed to rationally regulate the interests of business participants to raise public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economic interests, And conflict of interest in the legal system. In addition, the effects of public value pursu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the public economy are presented and solutions for dysfunctional factors are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decision models were derived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residents in order to present decision model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he decision-making model will be able to derive the resul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 econom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has been agreed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by applying various factors appropriately to the natur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공공경제정책의 투명성과 정당성, 그리고 분배의 균등성이 강조되는 민주사회에서 도시재생사업의 절차와 내용을 통한 정책수행은 매우 다원화되고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경제의 역할이 중요한 것은 사업주체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화, 다원화되어 정책 집행이 어렵고, 지속적으로 표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책참여자들의 사업에 대한 공동의 지향점이 정립되어야 하고, 이를 융화시키는 공공정책이 필요하며, 결국은 공동의 공공 이익분배의 원칙이 명확해야 한다. 이러한 공공경제의 가치는 정보의 개방성이라는 시장경제의 원칙을 지키며 공공의 이념을 충족해야 한다.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은 낙후된 지역의 지역주민들이 갖는 삶의 절박함과 기대감이 다른 집단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이익충돌이나 이해충돌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재정의 투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도시재생의 기본적인 사업의 틀이기 때문에 지자체는 다양한 거버넌스나 전문가 집단을 통해서 합리적이고 합의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공공 경제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에는 아직도 매우 미흡한 정책들이 많은 실정이다. 결국 도시재생사업은 어느 일방이 독점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라 사업자체가 공동의 재산형성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변화의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경제에 기반한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제시하고자 관련 정책과 제도, 의사결정 과정, 이익의 공유 문제 등을 공공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공공경제모델들이 사업 참여자들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규제해서 공공 가치를 상승 시키는지, 경제적 이익에 따르는 분배가 맞는지, 사업주체들 간의 역할, 권한, 책임이 부여되는 법적 제도의 이해충돌 등 다양한 공적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공공의 가치가 공공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역기능적인 요소 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물로는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기관 및 지역주민들의 설문응답을 통해서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도출 하였다. 지역적으로 한계는 있을 수 있지만 전남지역의 경우에는 공공기관 종사자들과 전문가들,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지구의 주민들 간에 이해와 갈등이 상충되는 경우가 많았고, 아직은 공공기관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 간의 갈등요소도 어느 정도는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도시재생사업의 특성 상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친 공공기관의 정책수립결정을 통해야만 갈등 요소가 사라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도출해서 도시재생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 요소와 해결방안을 수치화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역적인 한계점으로 인한 도시재생사업의 순기능적인 정책 확장성을 다 언급하지 못한 것은 본 논문의 한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경제정책사업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통해서 도시재생사업의 성격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공공성의 목적에 합당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수준과 조직성과와의 관계

        임성희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management level and work prefere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and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efforts to identify and maximize the desire system at the individual level of civil servants. To this purpose, the existing theoretical researche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reviewed, a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is, and this was verified through an emperical surve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by using frequency analysis by taking samples from each class of Gyeongsangbuk-do officials and conducting interview survey on the samples taken. In addition,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self-sacrifice, civic duties, sympathy, soci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analyzed, which were empirically measured concepts of study using ANOVA. A measurement model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local public official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suit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el was tested using AMOS to determine the factors. Subsequentl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introduced for the measurement model in which conformity was confi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such as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self-sacrifice, civic duties, compassion, and social justice are subordinate variable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Gyeongsangbuk-do official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ost positive part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service to citizens" among self-sacrifice, which shows that local officials strongly believe that serving citizens regardless of the price brings good feelings to me. On the contrary, it can be assumed that the least compassion item is "duty, glory, and state" among civil obligation, and that local officials do not understand the deep meaning of the words such as duty, glory, and state. Seco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show that the motivation of public servi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r on the job attitud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uch a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an opportunity to further expan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motivation of the members of the public services in Gyeongsangbuk-do, and detailed measures are presented as follows. ① In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we will create an atmosphere of forming a positive and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work autonomously and actively, strengthen the awareness of civil servants for social justice, handle their work according to standards and principles with pride, and form an atmosphere of ethical and clean work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strengthen the culture of mutual consider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nd provide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tions. ② In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it will be important to prepare awareness and compensation measures for related work along with awareness education so that public officials can continue to be interested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and the community, and to consider policy development and a system of compensation for continuous service to citizens. ③ The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measures to enhance the sense of mission and ownership of related tasks so that public officials can spread awareness of their civic duties. ④ In sympathy, the government should ensure that the spread of social welfare projects and budget support are provided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social classes. Third, an analysis of the path coefficient and degree of influence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s that all independent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05,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higher the policy making, public interest, self-sacrifice, civic duties, compassion and social justice of local official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s by local official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civil oblig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followed by self-sacrifice, public interest, policy making, compassion, and social justice. Fourth, it is expected that local government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policy measures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detailed sub-compone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fferentiating them from prior research. Among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se work has not been well conducted so far, this study has a distinct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is field by examining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class-by-class surveys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s.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수준과 그들의 개인적 특성, 관리수준 및 업무 선호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조사하여 공무원 개인 차원에서의 욕구체계 파악과 조직성과 극대화 노력의 함의를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공공서비스동기에 관한 기존 이론적 연구를 검토하고,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는 한편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경상북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계층별로 표본을 추출하고, 추출된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산분석(ANOVA)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측정된 연구대상 개념인 지방공무원의 정책결정에 대한 호감, 공직에 몰입, 자기희생, 시민의무, 동정, 사회정의, 그리고 조직성과의 집단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모형을 구성하고 그 모형에 대한 적합도, 신뢰도, 타당도 등을 AMOS를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검정하였다. 그다음 적합도가 확인된 측정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도입하여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정책결정에 대한 호감, 공직에 몰입, 자기희생, 시민의무, 동정 및 사회정의가 종속변인인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상북도 공무원들은 전반적으로 공공서비스동기와 조직성과에 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공공서비스 동기 중 가장 긍정적으로 공감하는 부분은 자기희생 중 ‘시민에 대한 봉사’로 지방공무원들이 대가와 상관없이 시민들에게 봉사하는 것이 나에게 좋은 감정을 가져다준다고 강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가장 적게 공감하는 항목은 시민의무 중 ‘의무·영광·국가’로 지방공무원들이 의무, 영광, 국가 등의 단어에 깊은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잠재변수의 집단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육의 정도는 정책결정에 대한 호감, 시민의무 및 사회정의를 제외한 공익에 몰입, 자기희생, 동정 및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며, 성별의 차이는 정책결정에 대한 호감과 조직성과를 제외한 공익에 몰입, 자기희생, 시민의무, 동정 및 사회정의에서 집단별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직급, 근무연수 및 연령은 동일하게 자기희생, 시민의무 및 조직성과에서 집단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공통된 사실은 직급이 높을수록, 근무연수가 오래될수록 그리고 연령이 많을수록 각 개념에서 느끼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발견된 의미 있는 사실은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조직성과에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직급, 근무연수 및 연령이 높을수록 조직성과에 높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사실과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에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구조방정식모형의 경로계수 및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독립변인이 통계적 유의수준 0.05에서 확실하게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지방공무원의 정책결정, 공익, 자기희생, 시민의무, 동정 및 사회정의가 높을수록 조직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모든 가설이 채택됨으로써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지방공무원의 조직성과에 대한 공공서비스동기 중 시민의무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자기희생, 공익, 정책결정, 동정, 그리고 사회정의 순으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개인의 합리적 동기인 공공정책 형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질 것이며, 공공서비스를 위한 규범적 기반인 공익에 봉사하려는 열망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질 것이다. 또한, 공공서비스윤리의 의미를 포함하는 시민의무가 강할수록 조직성과의 향상에 긍정적으로 공헌할 것이며, 정치적·경제적 약자들의 복리를 강화하려는 사회정의가 강할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질 것이다. 자비의 애국심으로 대표되는 동정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질 것이며, 마지막으로 개인 보상을 위하여 서비스를 다른 사람에게 대리하려는 의지인 자기희생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 수준과 그들의 개인적 특성, 관리 수준 및 업무 선호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경험적 검증을 통해,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동기 제고와 조직의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공공서비스동기에 대한 연구는 공공서비스 동기 개념과 측정에 관한 연구, 공공서비스 동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그리고 공공서비스동기의 효과에 관한 연구 등으로 공공서비스 동기 이론에 대한 경험적 검증이 소홀히 되어 왔다. 특히 높은 수준의 공공서비스동기를 가진 공무원들의 개인적 특성, 공공조직에서의 위치, 업무 선호도 등에 관하여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의 효과성, 효율성, 생산성 등의 조직성과나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들을 본 연구에서도 확인하고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경상북도에서 구성원들의 공공서비스동기를 제고하는데 이 연구 결과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정책결정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는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분위기를 마련하고, 사회정의를 위한 공무원들의 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의 강구와 자긍심을 가지고 기준과 원칙에 따라 자신의 업무를 처리하며 윤리적이고 청렴하게 일하는 분위기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며, 조직의 성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세대 간의 이해와 상대방의 입장을 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세대 간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서로가 배려하는 문화를 통해서 조직 간에 협업을 더욱 강화하고 서로 지원하는 분위기 조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② 공익에서 공무원들이 계속 공공서비스의 제공과 지역 사회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의식교육과 함께 관련 업무에 대한 인정과 보상책 등을 마련하고, 자기희생을 하려는 자세가 더욱 확산되고 시민들에게 계속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정책개발과 지속적인 대민서비스 향상을 위한 보상체계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③ 시민의무에서 공무원들의 시민의무에 대한 의식을 확산할 수 있도록 관련 업무에 대한 사명감과 주인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④ 동정에서 사회복지사업의 확산과 사회계층 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개발과 예산지원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공무원들의 공공서비스동기이론을 고려한 조직관리 방안의 마련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공서비스 동기 이론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바, 공공기관에서는 구성원들의 공공봉사 수준 향상을 통한 교육 및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서비스 동기를 적용한 조직구성원들의 직무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직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선행연구들과는 차별화하여 공공서비스동기의 세부적인 하위요소들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방공무원들의 조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결정요인들을 세밀하게 파악함으로써 지방정부가 조직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수립하는데 많이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이제까지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지방공무원 중 광역지방자치단체인 도 단위 공무원에 대한 실무급부터 간부급까지의 계층별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이론적 지식 축적과 실무적 시사점 제공에 기여하는데 본 연구의 차별적 의의가 있다.

      • 한국과 중국의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陳姝霓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近代以來,多數國家的社會體制逐漸轉變為以市場經濟為主的資本主義社會制度。隨著產業化、城市化的快速發展,貧富差距越來越大,而作為維持人們安定生活的先決條件之住居問題也每況愈下。為解決住居問題,政策研討多種多樣。其中, 公共租賃住房政策是最能體現住房政策目的、國家及政府責任,以及對市場經濟體制進行調節與制約的住居福利政策. 韓國與中國同屬亞洲國家,且韓國先行提出并施行公共租賃住房政策,而中國仍處在公共租賃住房政策建立初期,應向韓國學習并借鑒。但是,兩國在公共租賃住房政策的交流和研究還尚屬初級階段,所以作者希望能夠通過本篇論文的研究和分析,為韓中兩國在公共租賃住房政策方面提供交流和借鑒,並對中國今後完善公共租賃住房政策提出建議,這也是本篇論文的研究目的和意義。 為此,本論文以韓國公共租賃住房政策(永久租賃住房、50年公共租賃住房、國民租賃住房以及長期全稅住房)以及中國公共租賃住房政策(廉租房、公租房)為研究對象,采用比較事例的研究方法,首先介紹了韓中兩國各自住房政策的發展過程及現況,其次,通過從供給、管理、居住權以及住房津貼等四大方面進行比較,最終在分析兩國公共租賃住房政策中各自所具備的政策特殊性的同時,闡明兩國的共同點與差異。通過比較分析,得出如下結論: 第一, 在供給方面,與中國比較而言,韓國公共租賃住房供給類型更加多元化,同時各類型的供給規模、供給量、土地確保方法以及財政支援方面也有明確規定;相反,到目前為止,中國公共租賃住房在這些方面仍不具備系統化的管理與規定。但是,中國根據地區差異、供給對象人數等按實際需求進行分配,相對於韓國公共租賃住房政策而言,劃分更加詳細明確。 第二, 在管理方面,韓國與中國公共租賃住房的申請對象都包含了從最低收入階層到中產階級的所屬人群,但中國因戶籍制度,在實際申請過程中仍存在很多制約;在租金設定方面,韓中公共租賃住房政策的類似點是,兩國為最低收入階層提供的永久租賃住房(韓國)和廉租房(中國)不同於其他公共租賃住房類型,其租金體系單獨劃分,以非常低廉的價格水準提供給入住對象。不同點是,韓國通過設定『標準租賃保證金及標準租金』規定來進行明確規範公共租賃住房政策,但中國因地區人口特性及經濟發展水準存在差異,全國尚未建立統一標準。 第三, 確保居住權方面,針對在市場中尚未具備自行購買住房能力的困難階層的住房問題,韓中兩國都通過提供公共租賃住房來努力確保這類人群的居住權。但韓國公共租賃住房的租賃期限普遍長於中國公共租賃住房的租賃期限,因此,相對於中國而言,韓國公共租賃住房政策更強力確保了入住對象的居住權。 第四, 在住房津貼方面,韓中兩國均未建立住房津貼制度。為此,韓國施行認購存折制度以作為公共租賃住房申請資格中的一項條款,而中國施行住房公積金制度以提供與住房相關聯的一系列優惠政策。 韓中兩國在公共租賃住房政策的建立、實施等方面因發展過程與社會體制不同,存在較多不同點,但也有很多相似點。目前,中國正處於住房市場快速發展時期以及建立完善公共租賃住房政策的初級階段,如何建立健全的公共租賃住房,切實的保障和改善民生,對於中國政府、社會團體和全體國民來講,都是十分重要和迫切的,虛心學習和充分借鑒他國在建立公共租賃住房政策等方面的經驗也是必要可行的。 근대사회에 들어와서 사회구조가 시장경제를 강조한 자본주의사회로 변하고 산업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빈부격차가 커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안정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 중의 하나인 주거(住居) 문제는 점점 심각해진 것으로 보인다.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져 왔고 주거복지정책들 중에서는 주택정책의 목적, 국가나 정부의 책임, 그리고 시장 메커니즘에 대한 조절과 제어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정책은 바로 공공임대주택정책이다. 한국은 중국과 아시아적 보편성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중국보다 일찍 공공임대주택정책을 세우고 실행하고 있다. 비록 중국과 한국이 가지고 있는 주택문제가 생성하는 배경과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인 공공임대주택정책은 국정이나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중국은 공공임대주택정책을 발전하는 초기단계라서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정책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 공공임대주택정책 중 영구임대주택, 50년 공공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 장기전세주택과 중국 공공임대주택정책 중 염가임대주택(廉租房)과 공공임대주택(公共租赁住房)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공급, 관리, 주거권, 주택수당 등 네 가지 차원으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공공임대주택정책에 대한 각기 고유한 정책적 특수성을 살피는 동시에 유사점 및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유형은 중국보다 더 다양하고, 각 유형의 공급규모, 공급량, 택지 확보의 방법과 재정지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는 반면 중국은 아직 체계적으로 규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은 각 지역의 특성과 공급대상인 가구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즉 수요에 따라 공급하고 있어서 한국 공공임대주택보다 공공임대주택의 공급규모가 지역마다 다르며 더 세분화되어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 공공임대주택의 입주대상은 모두 최저소득계층부터 중간 소득계층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호적기준을 적용하고 있어서 더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임대료 설정에 양국의 유사점은 최저소득계층에게 제공하는 영구임대주택과 염가임대주택의 임대료체계는 다른 공공임대주택과 달리 따로 설정되어 있으며, 저렴한 수준으로 공급되고 있다. 양국의 차이점은 한국은 표준임대보증금과 표준임대료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지만 중국은 각 지역의 인구특성과 경제발전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통일된 규정이 없다. 셋째, 한국과 중국 모두 시장을 통해서 자가 구매가 어려운 계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주거권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지만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임대기간은 중국 공공임대주택의 임대기간보다 더 길기 때문에 한국의 공공임대주택 정책에서는 주거권에 대한 규제가 더 강한 편이다. 넷째, 한국과 중국 모두 주택수당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은 청약통장 제도를 도입하여 공공임대주택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중국은 주택공적금 제도를 도입하여 주택과 관련된 일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중국은 우선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체계와 관리체계를 체계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주거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량을 높이고 대기인원수를 줄이는 동시에 계약갱신의 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재고량을 유지하거나 높이기 위하여 분양주택보다 임대만 가능한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