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공간디자인에서 표현된 인터페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인터페이스 개념을 적용한 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동영 한세대학교 디지털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modern age has been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analog society to digital technological one, it is being transformed to the age of high technology which combines analog emotion and digital technology. Digital technology centered in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as a communit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has a feature of network, restores distances and relationships of fragmented human beings, and gives the various experiences of the five senses through the expansion of simulation technology in cyberspace. It is the result of calling back analog emotion to make up the side effects and defect of digital technology, consequently the standard of value of space is forced to take notice not only its function but also process. Adapters who contact digital media find and interpret more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than through mass media, and are active subjects as well as producers who combine and remake by themselves in the cyberspace. In this new media environment,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is taken notice and the existing material and practical issues have rapidly replaced by the dematerial and phantasmal ones with different attempts in the world at larg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ce presented in the modern space design are dematerializing space and describing in image, accordingly human experiences and mutually communicates with space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study inquires the process of consisting and expressing space as human perceives space and experiences it, that is the 'Interface' which means an unseen contact surface between human and space that reveals hybrid and meaning generation in the process. On this contact surface, dematerializing phenomenon of material consisting space occurs in the process of meaning generation that takes off or transcends material by the hybrid operation in different areas. Interface phenomenon of space design has developed with evolution of space that communicates with material and human through formation of relative space view. The evolution of space composes the intellectual space interface on which material and information are connected dynamically with development of technical power grafted with digital technique. In a consequence of this phenomenon, space is not perceived as it is but reflects objectification, hence the image of space has begun to be noticed and space is differentiated with the one in the past by the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filled with expression factors for communication, so human and space begin to communicate gradually. For this evolution process of space as a backgroun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in the space design are not being perceived as material but being experienced of space by human senses and physical acts. The interface that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is expressed by material, space and utilizing media.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hybrid operation of these expressive factors and the meaning generation from perceiving to experiencing are presente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ybrid operation and meaning generation is a work of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that has been noticed the field of space design today and is the approach that classifie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interface as well. Also, through this close examination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 can grasp overall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 factors and the space user's experiences of space made by space. In our age, space is not only perceived as a material any more but also comprehended as the integration of symbolic image by hybrid operation of information and technique. This symbolic image has potential of accelerating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at could not be embodied with speech and sentence which are general communicative ways of emotion. Therefore, the interface is more than a mere definition that is intuitional and improves utilizing,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not only by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cientific dimensions but by emotional and cultural one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which this study aims to inquire are the expression ways forming space in different areas today, nevertheless it has mainly studied in limited domain that is space presentation of digital-media. In an advanced studies, if there is sufficient discussion on the 'interface' as a variable of space during the process that human experiences space related this issue, it is expected for this study to be an impetus to open the new chapter of space design in the future as the interface that is difficult to objectifying is more realized.

      • 학교 공간 혁신 사례를 통한 초등 미술과 공간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 강원도 지역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홍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한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공간 혁신에 대한 요구와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공간 혁신 관련 미술 수업 사례의 분석을 통해 초등 미술과에서의 공간 디자인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실행연구 과정에 따라 수업을 실행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과서 13종에 대한 분석 결과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원도의 학교공간혁신 관련 미술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의 의미 이해 활동’, ‘카메라와 사진 활용하기’, ‘다양한 재료 탐색과 프로토타입 제작지도’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초등 미술과에서의 공간 디자인 수업의 결과를 ‘공간을 발견하다, 알면 비로소 보이는 공간’, ‘공간의 주인을 깨닫다, 우리가 만드는 공간’, ‘더 나은 공간을 고민하다, 디자인의 즐거움’, ‘작품으로 표현하다, 디자인에 표현력 더하기’의 네 가지 범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급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미술 공간 디자인 수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교과 · 주제중심 융합수업으로 발전시켜 수업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수업 실행을 통한 효과 검증도 필요하다. 셋째,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미술 교과 입체 조형 표현 활동에 대한 수업 내실화가 필요하다.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마을 공간 디자인 방안 연구

        김주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Problem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like the collapse of community and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area are remarkable in urban detached housing area. This study analyzes spatial structures and community of detached housing area in the land development district for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in urban detached housing area, and draws space design plan to form desirable urban village. To proceed the study, I review theories and the literatures on urban village and urban detached housing area, do field study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in detached housing area, do residents’ survey to analyze community, and suggest space design plan and guidelines. Field study is performed for 5 detached housing areas in the land development district in Daegu-metropolitan city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which are limited to village area, traffic lines, and block characteristics. Community is analyzed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teraction among residents. For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villages are divided by roads in most of the detached housing areas, entrance and boundary of villages are not clear, space for the community is limited to a small park. In case of traffic lines, perimeter roads of the areas are usually high roads, inner roads are residential streets, and cross type is common pattern of road network. Standing in line on both sides is predominant as the pattern of clustering of households. The size of households are various in the areas, and north and south prevails over east and west as the direction of households. In case of lot pattern, 2 line lot is the most popular one and 3,4 line lot is found in the type of big households. Non-integral and partly integral type of fence for open view occupies higher proportion. Residents’ perception level about the space of village like territory, boundary, and entrance are very low. Their general satisfaction level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s low. Especially, they are discontented with community space, parking on roads, conflict with neighborhood, safety of pedestrian. Their satisfaction level for facility for residents’ activities, privacy and crime prevention is low. 도시 단독주택지에서는 커뮤니티 와해 문제를 비롯하여 주거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 전반의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단독주택지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주거지의 공간구조와 커뮤니티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영향 관계를 검토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바람직한 도시마을 형성을 위한 공간 디자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마을 관련 이론 및 도시 단독주택지 관련 연구 고찰을 선행하였다. 또한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물리적 측면의 공간구조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도시마을 형성을 위한 공간 디자인 방안 및 지침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는 대구시 택지개발지구내 5곳의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공간구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공간구조 분석 항목은 마을 영역, 가로 체계, 가구 특성 등으로 한정하였다. 커뮤니티는 주거환경 만족도, 거주자 상호작용, 공동체의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도시 단독주택지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단독주택지가 도로에 의해 마을이 구획되며 경계 및 입구가 뚜렷하지 않고 커뮤니티 공간 또한 소공원 으로 제한되어 있다. 가로체계의 경우 일반적으로 조사대상지의 외곽은 비교적 위계가 높은 도로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대상지 내부 가로의 경우 국지도로로 조성되어 있고, 격자형의 가로망이 가장 흔히 분석되는 가로 유형이다. 따라서 주호의 집합패턴은 양측병렬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지내 가구의 크기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가구 방향은 동서방향가구와 남북방향 가구가 혼재하나 남북방향가구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지체계를 살펴보면 모든 대상지에서 2열 필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대가구의 형태가 부정형인 일부 가구에서 3~4열 필지가 나타나고 있다. 담장은 개방 가능성이 높은 비일체형 및 부분 일체형 담장들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단독주택지의 커뮤니티 현황을 살펴보면 마을 영역 및 마을의 경계, 입구를 비롯한 마을 공간의 위계 인지 등에 대한 거주자들의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낮은 인지도가 분석되었으며, 주거환경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불만족, 가로공간의 주차 문제 및 그로 인한 이웃 갈등은 물론 가로공간의 보행 안전 문제를 비롯하여 거주자들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의 부재, 프라이버시 및 마을의 방범 등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시마을 공간 디자인 방안 및 지침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마을의 규모는 주거지내 거주민들의 대면접촉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 형성이 가능하고 지역내 도보생활이 가능하도록 계획된 커뮤니티 범위의 도시마을로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도시 단독주택지의 경우 주택지 외곽 상가가 거주자들의 대면접촉이 일어나는 장소로 분석되었으므로, 거주자들의 쾌적성을 전제로 한 상업 용도의 활성화를 도모 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때 마을의 입구 및 경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방안과 연계함으로써 마을의 영역성은 물론 상징성, 식별성 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마을의 커뮤니티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시 단독주택지의 입구는 가로구조에 의해 결정되므로 주거지 내부로의 진출입과도 관련된다. 따라서 보행 및 차량 통행에 따른 진출입을 고려한 디자인 방안이 요구된다. 커뮤니티 공간은 접근이 용이해야 하며 이용에 있어 편리하고 쾌적해야 한다. 따라서 접근성을 우선으로 고려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커뮤니티를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가로체계 디자인 방안으로 기존의 획일적인 격자형 가로체계는 통과교통을 많이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주거지 내부 가로를 순환체계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내부 통과 도로에서 분기되는 순환형 구조로의 경우 외부차량의 통행을 제한하면서 내부 차량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으로 마을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로에서 거주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가로 환경 개선을 통한 가로 공간의 활용 증대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즉, 거주자들에게 가로공간에서 만끽할 수 있는 쾌적성과 가로 공간에서의 거주자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가로환경 디자인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가로를 중심으로 마을 주민들의 이웃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구 집합 패턴을 양측병렬형이나 막다른 골목형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만, 가로의 길이와 폭 등을 고려하고 통과형 골목이 되지 않고 위요적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친밀한 이웃관계를 형성하도록 디자인 한다. 셋째, 가구 디자인 방안으로 가구(block)의 크기 및 방향은 접근성과 관련되므로, 보행 동선과 차량동선을 짧게 계획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주택 규모와 세장비는 주택의 마당인 전이 공간 계획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개별 주호에서 외부공간으로의 개방과도 관련되므로 프라이버시 및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이 요구된다. 담장은 개방을 통해 개별 주호의 마당과 가로공간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한다.

      • 독거노인과 애완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 디자인 연구 : 중국을 중심으로

        반류군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사회 고령화가 심해질수록 독거노인 비율은 해마다 증가한다. 각 세대의 생활 습관이 다르며, 많은 젊은이 들이 타지에 공부하거나 일하기 위해 고향을 떠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중국의 많은 노인들은 집에서 혼자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별거로 인해 세대 간 교류가 줄어드는 것은 독거노인의 고독감을 유발하기 쉽고, 심하면 독거노인의 정신적인 건강도 해칠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애완동물과의 친화는 사람의 불안을 해소하고 심장 건강을 증진시키며 면역 체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혼자 사는 외로움 줄이기 위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독거노인이 늘고 있다.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공간은 일반적인 주택 공간과 달리 사람들이 애완동물을 기르는 데도 문제가 많아 더 많은 공간 기능을 요구하게 된다. 독거노인과 애완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을 계획하는 것은 미래 주택 공간 계획의 발전 추세이다. 일본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과 함께 지내기 좋은 디자인으로의 주택 공간 설계를 많이 진행하고 있지만 중국은 애완동물과 같이 지내는 주택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그리하여 중국 독거노인과 애완동물이 함께 살 수 있는 주택을 만드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표다. 사전조사를 통해 60세 이상과 애완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자립형 독거노인을 대상자로 정립하고 주택 면적은 70㎡을 기초로 설계하였다. 독거노인과 애완동물의 생리적 특징, 심리적 특징 그리고 생활 행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과 애완동물의 생활공간에 대한 수요를 분석하고 이를 기능성, 안전성, 건강성, 유연성 등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주택 공간이 인간 중심이라는 기존 고정관념도 탈피하여 말했다. 독거노인에게 적합한 주택 공간을 만족하는 동시에 애완동물의 생활필수 공간을 추가했다. 또한, 애완동물의 특별한 습성을 만족시키는 일부 시설을 증가시켜 독거노인과 애완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을 만들어 상호간의 불편을 해소하고, 독거노인이 부담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공간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였다. 그래서 독거노인과 애완 동물간의 공유 공간을 최대화하고 노인들에게 건강하고 유쾌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동양화 구도원리와 현대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수은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민족의 문화는 그들의 생활 양식뿐 아니라 문학, 음악, 회화, 건축 등 모든 쟝르에 표현되고 그 시대의 철학과도 연계되어있다. 특히 회화와 건축의 관계는 '상(像)을 사용하는 예술' 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는 평면예술과 공간예술, 순수예술과 실용예술이라는 각각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영역간의 수렴현상, 다양한 매체의 결합, 대중문화의 수용에 의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며 영역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다. 동양의 회화와 공간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서구의 그것과 믹스(mix)되고 수렴 되어가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과학화, 서구화라는 변화 속에서도 동양인에 내제 되어있는 동양의 사상과 가치관, 조형관 등은 회화와 공간구성과 표현에 기반이 되고 있다. 실내디자인의 흐름도 새로운 디자인을 모색하면서 타 예술 분야, 즉 회화·조각·사진·영화·음악 등 다양한 영역에의 확장을 거듭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실내디자인이 공간예술로서의 예술적 움직임을 자극하게 되었고 회화의 요소들이 공간구성에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다. 새로운 디자인의 개념 모색을 위한 회화의 유입과 전통적 기반의 수용이라는 두 가지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동양회화의 구도원리가 공간에 접목되는 연구가 요구된다. 동양 사상에 기초하는 동양화는 중국의 황하와 양자강유역의 자연의 혜택을 받으며 자라난 문명의 소산으로 자연을 찬미하고 자연과 하나되기를 바라는 동양의 사고관과 조형관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들은 국내뿐 아니라 서양에도 영향을 주어 새로운 서양건축 사조의 구축에 일조하고 있다. 이에 동양화의 구도원리와 공간디자인의 구현방식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도원리의 상관된 공간인자를 추출하여 상관성을 동양사상에 기초하는 공간 디자인적 구현방식의 일정지표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1장에서는 동양화의 구도원리와 실내디자인과의 상관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배경과 목적을 말하고 그 범위와 방법을 논한다. 2장에서는 동양화의 특징과 구도원리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3장에서는 동양虛의 구도원리를 대표하는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한 후 그 작품과 공간디자인의 해석을 통해 공간분석을 위한 분석인자를 추출한다. 4장에서는 추출된 분석인자를 통하여 현대공간과 국내외 미술관 및 갤러리 사례를 분석하여 동양화의 구도원리가 공간디자인에 적용된 모습을 알아보고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5장에서 선행된 연구를 기본으로 동양의 구도원리를 소규모 갤러리디자인에 적용하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6장 결론에서는 동양화의 구도원리가 공간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고 표현되고 있는지를 입증하고 결론짓는다. 이상을 연구과정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1. 동양화의 구도 이론 중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여백, 허와 실 은 미니멀리즘의 친자연적 공간, 비움의 미학 이라는 상관성을 가지며 공간의 환원성, 지역성, 친자연성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2. 주객과 원근의 대소는 공간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공간의 효율적 scale 표현과 주목성을 높이는 것과 같다. 3. 삼첩양단과 개합의 경우는 큐비즘의 중첩성과 다시점적 특성과 연결되어 동시성과 다면성을 가진다고 본다. 4. 성김과 빽빽함, 모임과 흩어짐은 이완과 긴장의 효과로서 형태의 리듬성과 반복성, 변화와 통일을 표현해 준다. 5. 호응의 경우, 자연과 공간과 인간이 교감하고, 교류하는 것으로 공간의 자연유입 , 연속성, 비물질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6. 취함과 버림은 공간의 의미이자 형태표현의 void 와 solid 의 표현을 말한다. 7. 세의 파악과 묘사는 키네티시즘의 특징 중 역동성과 운동성으로 연결하여 공간의 흐름과 기세를 느끼게 한다. 8. 감춤과 노출, 가림과 드러남은 공간의 모순의 완화, 간접성의 표현으로 해석 될 수 있다. 9. 변각의 처리는 사선에 의한 속도감을 대입할 수 있는데 탈 중력적이고 탈 큐빅적 특징에 의해 재조립되는 공간요소를 말할 수 있다. 단순히 동양화의 구도원리에 의해 현대공간의 적용과 상관성을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동양사상과 동양건축, 현대건축의 전통성의 상관성 등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동양의 사상과 현대건축과의 상관성을 알게 되었고 그에 이은 연구로서 동양화 구도와 공간의 상관성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앞으로 우리의 회화에 깃든 정신성과 표현방법의 공간적용을 더욱 깊이 연구하여 함께 발전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The culture of Korean people is expressed in almost every genre such as literature, music, painting and architecture, as well as in their way of life. I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philosophy of a specific era. The relationship especially between painting and architecture has a common thing, that is, art that uses images. Among rapid growths in the modern society, the ideas, values and view of modeling vested with the oriental people have common features in painting and spatial composition. In relation to these features, they have become the reasons why pictorial factors have appeared in spatial composition. Thus, the research on the composition principle connected to space is on the rise. Here, I would like to present specific indicators of spatial embodiment types through analyses of correlation between composition principle of oriental paintings and spatial design, and through drawing correlated spatial elements in composition principle. The research results by means of the above research processes are as follows: 1. The most remarkable feature among composition theories of oriental paintings is that margin and vanity & fruit have the aesthetic correlation, as pro-nature space of minimalism, and it contains restoration, localism and pro-nature attribute. 2. The principal and auxiliary and the large and small difference between far and near have an effect to enhance efficient spatial scale expression and notability. 3. In the case of layers' overlapping, they have synchronization and multi-aspects in connection with the overlapping of cubism and multi view attribute. 4. The rhythm, repetition, change and unification of forms as relaxation and tension are expressed. 5. In the case of response, nature, space and humans that sympathize and exchange with each other can be referred as spatial inflow into nature, continuation and non-material attribute. 6. Common features such as positiveness and passiveness, and void and solid are found. 7. The identification and portrayal of strength makes us feel spatial flow and vigor by connecting dynamism and motility among the features of kineticism.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orrelation of modern space with simply composition principle of oriental painting, studies on space that succeeds to the strength of Korean architecture stemming from tradition, through in-depth study of spirituality and spatial application vested in our paintings, needs to be actively carried out.

      •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이수정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안도 다다오의 사회공헌가적 측면과 더불어 그가 설계한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밝히고자하는 연구이다. 안도 다다오의 사고가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이해를 기본으로 두고, 사회공헌가로서 그의 활동과 공간디자인의 세부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사례의 해석은 공간의 일반적인 특성과 시퀀스 맵, 그리고 안도 다다오가 지닌 사고의 특성에서 나타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가 그 토대이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로 제목하고 제 1장 서론, 제 2,3장의 본론, 제 4장의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대하는 안도 다다오의 사고에 대한 고찰과 그로 인한 상호 관계적 표현 양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의 사고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사회공헌가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 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를 새롭게 조명하는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제 3장>은 2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그 내용으로 한다.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에서 선정한 안도 다다오의 9개 공간을 직접 조사하여 공간의 개요와 형태적 특성, 재료적 특성, 자연의 도입, 중심 공간이 나타난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경험하는 인간의 동선 변화 과정을 시퀀스맵을 통해 해석하였다. 또한 제 2장에서 논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를 통해 그것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소결에서는 각 사례 해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전장에서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사회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와 그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의의를 결론으로 맺음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for discovering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pace design. Tadao Ando's way of thinking is based on the harmony among human, space and nature. With this understanding, Tadao Ando's activities as a social contributor and his detail characteristics will be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is is done through case study about space experiences Tadao Ando designed. Practical case interpretations rely on the categoriz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sequence map, and characteristics of his thinking. For this interpretation focus, I titled this thesis "A study on space characteristics of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and 3 are body. Chapter 4 is conclusion.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s of research are discussed. In chapter 2, I summarized the fundamentals of this research such as contemplation about his way of thinking on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correlation in expressing them as a result. I review his aspect of a social contributor which reflects hi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At the end of chapter 2, Tadao Ando's idea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be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3, case studies are done with the content of chapter 2. The method of case study is to visit and survey 9 spaces that are selected by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 space overview, formal characterics, introduction of nature and general characterics of space core are surveyed and after, the flow of human movement is analyzed through sequence map.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s mentioned in chapter 2 is derived through correlational classification At the end of chapter 3, each case is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4, with overall conclusion, characterics and meanings from conclusion are identified.

      • 도시의 수변공간 디자인연구 : 서울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를 중심으로

        김효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도시 수변공간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와 함께 선점식 난개발, 개발의 상충, 경합 등 각종 도시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도시공간 중 하나로 노출되어왔다. 선진국에서는 이와 같은 도시문제를 일찍이 경험하여 1960년대 중반이후 도시 수변공간개선에 박차를 가해왔으나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부터 비로서 도시 수변공간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 도시 수변공간 이용 및 개선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서울의 대표적 경관자원인 한강 수변공간조성의 변화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환경디자인 연구이다. 서울의 도시환경 체계에 적합하고 다양한 도시민의 행태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모형사례를 통해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는 한강 수변공간에 대한 생태적 가치를 회복하고 도시민이 복잡한 도심에서 벗어나 자연친화적이고 다양한 친수공간을 경험할 수 있는 행태를 지원해 도시민들이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계획하고, 도시환경의 미적 질에 대한 사고의 전환을 밝혀 도시환경에 적합한 수변공간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1장에서는 현재의 우리나라가 갖고있는 수변환경의 현황과 그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환경디자인 입장에서 본 문제점을 제시한다. 또 연구의 공간적 대상범위를 정하고 전반적인 연구과정의 체계를 정한다. 2장에서는 문헌자료를 통해 수변공간(Waterfront)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을 고찰하여 수변환경의 특징을 정확하게 인식한다. 3장에서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수변공간개발에 대한 선진 외국과 현재 우리나라의 사례분석을 통해 유형화를 한다. 4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공간을 정하고 선정의 타당성과 디자인 전제를 밝힌다. 그리고 도시 수변개발의 환경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대상지 현황의 분석과 계획, 디자인 도출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새로운 도시 수변공간의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의 평가를 내리고 연구의 전과정을 통해 내린 결과와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내린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도시 수변공간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며, 생태적 가치와 의미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도시 수변의 공간 조성은 치수위주나 조경 일색의 공간이 아니며, 도시의 기능을 만족시키고 생태적 회복을 꾀하는 가치 있는 공간의 형성을 의미한다. 도시 수변공간에서 가장 우선 시하는 것은 오픈스페이스의 확충과 연계, 미관광장의 확충, 보차분리방식 도입에 의한 보행자 안정성의 확보, 각종 위락·문화시설의 수변공간 내 집중배치, 제방도로의 금지, 환경보전과 수변공간 이용의 조화, 경관과 친수공간확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도입시키기 위해서는 서울의 도시기능과 한강의 자연보전과 복원, 개발이 균형을 이루도록 개발되어야 함을 알았다. 본 연구자는 결과물로 제시한 도시 수변의 공간조성 모형사례가 서울시 한강 수변이 보다 건강한 환경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Urban waterfront space of Korea have most seriously exposed as the most problematic urban space due to preoccupied insufferable development, contradictory development, and competition. These urban issues were raised earlier on and solved from mid-1960s in developed countries, yet, Korea started to have interest in the urban waterfront space from mid-1990s. However, we do not have a clear countermeasure for its utilization and improvement. This research is a case of model to show the need for change in Han River waterside space promotion. I want to suggest a direc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urban system of Seoul, and also can support various needs of residence thereof. This research demonstrates a model of suitable criterion for the development of waterfront space in Han River, which would enable urban population of Korea to get out from complicated urban areas and enjoy environment-friendly waterfront area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Chapter 1 shows current status of waterfront designs to see what the problem is in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design. Also, the boundary of research and its structure is demonstrated. Chapter 2 looks into general theory on waterfront space from various sources in order to proper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waterfront area. Chapter 3 exemplifies waterfront development in Kore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using various relevant sources and researches. Chapter 4 clarifies the horizon of the research, appropriateness of this choice, and presumption of the design. Also, analysis of the space, space programming, and design results are demonstrated. Chapter 5 provides the valuation on the new example of waterside environmental design, and synthesizes the result and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u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e waterfront space is not fully owned by human beings, and its ecological value and meanings are the most important part. The arrangement of the waterfront should satisfy the capacity of urban areas, and rehabilitation of the space.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waterfront area can be pointed out as the following: expansion of open space areas and tourist areas, security of passer-bys, various placement of culture and tourism in waterfront space, prohibition of roads in watersid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safe utilization of the area.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healthier environment of waterfront area of Han River in Seoul by showing the example of waterfront space arrangeme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 공간디자인의 기초조형교육에서 사진의 활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사진기호학을 적용한 PIE를 중심으로

        전희성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Basic Formative Education refers to studying and educating the fundamentals common to pure molding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and practical molding such as architecture, craft, and design. In particular, it makes it its ultimate goal to develop learners' inspiration ability and aesthetic sense by developing the molding principle among other things. So far, the biggest influence on Basic Formative Education has been Bauhaus education, which studied various principles of molding such as material, texture, and form, and conducted various types of education to raise creative sense through various forms of observation and gaze. In particular, it developed several methods to help understanding education by using such means as photographs and films. Today, Basic Formative Education is based on the curriculums of Bauhaus education, but it focuses on the theoretical education emphasiz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time rather than the experiment or the practice. People in the present age are living in an age where they think and communicate based on images rather than on texts. Basic Formative Education for space design also needs to find easy and fun educational methods attuned to the paradigm of this age. This paper applied photographs to Basic Formative Education for space design and explored the principles of molding. As times moved from modern to contemporary age, the center of spatial recognition has changed from an absolute space to a potential possibility of space, a conceptual space which emphasizes physical sensation and experience. An application of the photographs to Basic Formative Education will lead to a more familiar and easy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molding because they also have the characteristic of looking at things through observation and new perspectives by means of physical activities. Photographs also have semantic effects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images and emit meanings through symbols. In the space design, since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se photo symbols allows us to read the architect's concept or look at the space from a new perspective, an application of photographs could be very efficient in executing Basic Formative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photographing program suitable for Basic Formative Education, this study selected the PIE program aimed at promoting creativity and reconstructed it to fit the space design. The “PIE”-applied teaching methods and their educational eff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photographing after finding the elements of point, line, and surface was a program to improve visual perception of space and wa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finding the order, nature, boundary and pattern of space.  Second, education for shooting the silhouette was a program to improve the ability to make concepts into images and wa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planning and creating scenographic scenes of reality and virtual space. Third, education on the framing (composition) was a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observation on objects and was carried out as a learning process of selecting the necessary space.  Fourth, education for photographing after finding shapes, textures, and overlaps was a program to improve observation and cognition and wa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learning the methods of abstracting the space and the methods of unique expressions of building materials.  Fifth, education for finding the sense of depth through photographs with multiple shooting and perspective was a program to improve the spatial recognition and wa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learning various viewpoints of space  Sixth, education on photo montage technique was a program to improv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and wa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reproducing and expressing mixed space with different time and space, Seventh, education on the portfolio production techniques was a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images and was carried out as a learning process of planning on space by creating stories or of giving stories to space. Eighth, education on photographic visuality is a program to improve the imaginative ability to read objects from a creative perspective and was carried out as a learning process of observing objects from various viewpoints and expressing space. In this way, this study had students acquire the methods to creatively interpret architects' spatial concepts through photographs and apply them to design. In addition, it allowed th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and passion for learning through a process of finding the principles of molding every week based on observation and practice by applying photographs to Basic Formative Education. This study expects that through these educational methods,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molding and to grow to be creative designers by applying the principles to space design to expand their thinking widths. 기초조형교육은 회화, 조각 같은 순수조형과 건축, 공예, 디자인 같은 실용조형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기초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조형의 원리를 중점적으로 개발하여 발상능력과 미적 감각의 향상을 최종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기초조형교육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다. 재료와 질감, 형태 등 다양한 조형의 원리를 탐구 했으며 다양한 관찰과 시선을 통해 창의적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여러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사진이나 영화 같은 수단을 활용하여 교육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들을 개발하였다. 오늘날 기초조형교육은 이러한 바우하우스의 교육 과정에 근거룰 두고 있지만 실험이나 실습 보다는 당시의 실험 결과물을 위주로 한 이론적 교육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 시대는 문자보다는 이미지적 사유를 하며 이미지를 통해 소통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공간디자인을 위한 기초조형교육도 이러한 시대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쉽고 재미있는 교육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논문은 공간디자인의 기초조형교육에서 사진을 적용하여 조형의 원리를 탐구하였다. 공간에 대한 인식은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며 절대적 공간에서 잠재적 가능성의 공간으로, 신체적 감각과 경험을 중시하는 개념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사진 또한 신체적 활동을 통해 관찰과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특성을 갖고 있어 사진을 기초조형교육에 적용한다면 보다 친숙하고 쉽게 조형의 원리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은 또한 이미지 안에 다양한 관계성을 통해 의미작용을 하는데 기호를 통해 의미를 발산한다. 공간디자인에서는 이 사진기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건축가의 개념을 읽어 내거나 새로운 시각으로 공간을 바라볼 수도 있기 때문에 기초조형교육에서 사진의 적용은 매우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기초조형교육에 적합한 사진 프로그램을 검토한 결과 창의성 증진에 목표를 둔 PIE 프로그램을 선택하였고 공간디자인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PIE”를 적용한 수업지도 방안과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점, 선, 면의 요소를 찾아 사진을 촬영하는 교육은 공간에 대한 시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공간의 질서와 성질, 경계와 패턴을 찾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둘째, 실루엣을 촬영하는 교육은 개념을 이미지로 만드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현실과 가상공간의 시노그래피적인 장면을 계획하고 만드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프레이밍(구도)교육은 사물에 대한 집중력과 관찰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필요한 공간의 선택에 대한 학습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넷째, 형태, 질감, 중첩을 찾아 촬영하는 교육은 관찰력과 인지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공간을 추상화하는 방법, 건축 재료의 색다른 표현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다섯째, 다중촬영과 원근법 등 사진을 통해 깊이감을 찾는 교육은 공간의 인지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공간의 다양한 시점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여섯째, 포토몽타주 기법의 교육은 창의적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시간과 공간이 다른 혼합된 공간을 재현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일곱째, 포트폴리오의 제작기법 교육은 이미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스토리를 만들어 공간을 계획하거나 공간에 스토리를 부여하는 학습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여덟째, 사진적 시각 교육은 창의적인 시각으로 사물을 읽는 상상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공간표현을 하는 학습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사진을 통해 건축가의 공간 개념을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하였고, 기초조형교육에 사진을 적용하여 관찰과 실습을 중심으로 매주 조형의 원리를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열정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기초조형의 원리를 이해하고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발상과 사고의 폭이 확대되어 창조적인 디자이너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 공간디자인산업의 디자인정책과 법제 개선방향

        조혜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공간디자인산업의 디자인정책과 법제 개선방향 Design Policy of Space Design Industry and Improvement Direction about Legislation 조형디자인학과 조 혜 리 지 도 교 수 이 수 봉 산업의 발달로 국민들의 삶의 질은 많이 향상 되었다. 선진 국가들은 복지국가를 지향하고 국가 경쟁력의 전략적 수단으로 디자인산업진흥 및 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랜드마크 건축물의 건축과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계획 등으로 도시의 개성을 강화하고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한 건축과 공간 환경의 어메니티(Amenity)제고를 통한 디자인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 이후 국가 환경디자인개선 사업이 늘어나면서 디자인을 국가 경쟁력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디자인의 가치를 향상 시킨 점은 디자인산업계 전반에 도약의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디자인 기업들의 사업 수주 물량이 증가하고 공간디자인산업과 관련한 정부 공공 공사도 증대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공간디자인산업은 건설산업으로 정의되며, 건설산업의 구조, 업무 과정, 규제 및 정책, 공사의 입·낙찰제도 등 건설산업 관련 정책과 법ㆍ제도 하에서 유지되고 있다. 즉, 공간디자인산업은 건설시공업으로 건설산업기본법 제8조에 의해 전문 공사를 시공하는 실내건축공사업으로 규정되어 설계․시공 분리의 업역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설계 및 디자인의 업무 영역은 건축사 업무의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공간디자인분야는 건설산업의 업역이면서 전문 디자인산업이기도 하다. 국내 공간디자인산업은 산업디자인진흥법 제2조의 정의에 의해 환경디자인분야에 해당되며, 제9조에 의해 디자인 전문회사로 신고 가능하고 환경디자인 전문회사에 해당되어 정부의 디자인정책과 법적제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이원적인 산업 분야다. 지금까지 공간디자인산업과 관련한 연구들은 실내디자인 계획이론, 디자인 역사, 디자인 경영, 디자인 요소, 디자인 기술 등 디자인과 관련한 심리나 행태론 등의 디자인 이론에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즉, 한국 디자인 진흥 정책, 산업디자인 정책, 문화산업 정책,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련한 내용으로 구성된 연구들이 대부분을 이루고 공간디자인과 관련한 정책에 관한 연구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공간디자인산업과 관련되는 제도에 관한 연구는 ‘실내건축 업역의 업무 환경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오인욱, 2003)’, ‘제도․법제와 실내건축 업무 영역 실태(이창노, 2008)’에 관한 연구로 건설산업 업역의 제도적 영향을 받는 일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으나, 업역과 관련되는 정책과 법제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는 점은 공간디자인산업의 디자인정책과 법제 요소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고찰하고 분석한 결과를 통해 문제점에 대한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관련 제도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디자인 업역의 이원적 구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공간디자인 업역이 제도적으로 건설산업에 속해 있으나 디자인 활동이 주가 되는 전문적인 디자인산업이라 점을 부각시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 원론적 관점의 ‘이론적 고찰’과 실태에 대한 ‘분석적 고찰’의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였다. 실증을 위한 분석은 ‘이론적 고찰’과 ‘실태 분석적 고찰’의 문헌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분석을 위한 3가지 관점에서가설을 도출하였다. 즉, 디자인정책과 법·제가 공간디자인인식 및 공간디자인 가치에 미치는 영향, 공간디자인정책과 제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 공간디자인기업 경영 및 사업제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각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공간디자인 관련 3개 분야 전문가, 즉 디자인기업 CEO, 디자인 교육자, 디자인 담당 공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간디자인산업 영역과 관련되는 디자인정책과 법제가 시장(기업)에 반영되어 어떠한 메카니즘을 형성하고 있으며, 활용 정도는 어떠하며, 상호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어떠한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디자인정책과 법제가 공간디자인산업 관련 디자인정책과 법제 및 업역의 전반적인 개선과제와 상보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대한 개선방향으로써 공간디자인산업 관련 디자인정책과 법․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공간디자인산업의 ‘정책과 법제의 개선 모델’을 구축하고 공간디자인 전문기업의 제도적 기반에 의한 ’활용 모델‘ 구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로는 일차적으로 공간디자인 업역이 디자인전문회사의 제도적 자격을 갖춤으로써 공간디자인 전문기업의 기반을 확립하고 창의적인 공간디자인산업으로서의 가치를 부각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공간디자인 전문기업이 공공부문 사업수주를 확대하고 디자인영역의 확장을 위한 디자인정책과 제도적 측면에서 설계ㆍ시공 일괄 낙찰 및 협상에 의한 계약제도로 전환 되어야 할 타당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설산업 업역으로 인식되었던 공간디자인산업이 전문 디자인산업으로 육성되어야 한다는데 정부․발주자․공간디자인산업계 등의 공감대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정책과 제도의 비효율성을 인지시킴으로써 적극적 운용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공간디자인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제도 마련과 정책입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공간디자인, 공간디자인산업, 공간디자인전문기업, 디자인정책, 법과 제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