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정관념이 호텔 리조트 직원평가에 미치는 영향

        진쌍용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호텔 및 리조트 호텔직원이 지각하는 개인의 고정관념을 분류하여 그 정의를 정리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고정관념이 직원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가운데 조절 변수로 호텔유형별, 부서별, 커뮤니케이션 접촉빈도의 형태에 따라 직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된 유효 표본을 가지고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둘째, 직원에 대한 고정관념이 직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셋째, 호텔유형과 근무부서와 커뮤니케이션의 빈도에 따른 고정관념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는 다중회귀분석과 부서별 근무 유형에 따른 평가의 영향에는 부서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구성 개념들 간에 상호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원의 고정관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단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직원의 고정관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에도 각 연구 단위들이 충분한 구성타당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각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직원의 고정관념이 호텔 리조트 직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직원의 고정관념이 호텔 리조트 직원의 평가에 부서별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조절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커뮤니케이션의 접촉빈도에 따라 직원의 고정관념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고정관념이 호텔 리조트 직원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을 분석한 결과 고정관념 요인 중 직무 요인, 가정적 요인이 평가요인인 지각 요인, 고과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넷째, 고정관념이 호텔 리조트 직원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호텔유형과 근무부서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와 3의 분석 결과, 개인적 요인은 직원에 대한 평가 변수인 지각, 신뢰간의 관계에 호텔유형 및 근무부서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주고 직무 요인은 직원에 대한 평가 변수인 지각, 신뢰간의 관계에서 호텔유형 및 근무부서의 조절효과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요인은 직원에 대한 평가 변수인 고과, 신뢰간의 관계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가정적 요인은 직원에 대한 평가 변수인 지각, 고과간의 관계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고정관념이 호텔 리조트 직원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직원평가의 신뢰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고정관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고,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직원에 대한 평가요인 중 고과요인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가설 4는 고정관념 요인이 직원평가의 고과요인과 신뢰요인에 대한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직원의 고정관념의 파악과 그 원인파악과 대안제시의 해결방법도 중요하지만 직원들의 자신들도 직원에 대한 고정관념을 없애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며 회사 경영진들도 직원의 고정관념과 편견, 차별 등 직원의 화합을 유도하는 경영과 스트레스 발산을 위한 시의 적절하게 구사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고정관념, 개인적요인, 가정적요인, 사회적요인, 직무요인, 평가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perception of hotel and resort employee’s individual stereotype and define of them. Also, how effect these stereotype to employees’ evaluate by department, communication frequency. First, Used frequencies test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second, Us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how affect employee’s stereotype to employee’s evaluation, third, Used multi regression analysis for how affect evaluation by department and communication frequency stereotype and evaluation by working typ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employee’s stereotype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summarize study result, first,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was high and each research unit has enough validity. Second, SPSS program were used to prove each study hypothe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how affect employee’s stereotype to hotel & resort employee’s evaluation, employee’s stereotype mediate effect to department and employee evaluation and department and communication frequency stereotype. Third, stereotype about hotel & resort employee has positive effect to employee’s evaluation. Especially, job factor, family factor among stereotype and perception factor, merit factor among evaluate factor has positive effect. Forth, individual factor has positive mediate effect of working department in perception and trust relation, working factor has positive mediate effect of working department in perception and trust relation, social factor has positive effect to each perception and merit relation, family factor has positive effect to each perception and merit relation. Fifth, stereotype factor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employee’s evaluation and merit factor and trust factor. Though this study attempted to that the management of company should try to make employee’s harmony without any employee stereotyp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Key words : stereotype, individual factor, family factor, social factor, job factor, evaluation

      • 범죄 피해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범죄유형별 피해자 판단에 미치는 영향

        황태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 피해자에 대한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확인하고 그 고정관념이 피해자를 판단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먼저 연구 1에서 폭행, 절도, 성폭행, 사기 범죄의 피해자들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사한 결과, 사람들은 네 가지 모든 범죄에서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보다 낮은 사람이,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보다 낮은 사람이,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이 더 많이 피해자가 된다고 지각했다. 또한 폭행, 절도, 성폭행 범죄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농촌지역 사람보다 도시지역 사람이 더 많이 피해자가 된다고 지각했다. 사기 범죄에서는 성별과 도농 지역에 따른 피해자 지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사람들은 폭행 범죄에서는 20세 이하의 사람이, 성폭행 범죄에서는 20세 이하의 사람과 21세-40세의 사람이, 절도 범죄와 사기 범죄에서는 61세 이상의 사람이 가장 많이 피해자가 된다고 지각했다. 연구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2에서는 폭행과 사기 각 유형의 피해자가 피해자 고정관념에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사람들의 피해자 판단과 가해자 판단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폭행 범죄에서는 피해자 고정관념 일치 사건보다 불일치 사건에서 더 낮은 피해자 공감과 더 높은 피해자 비난이 나타났고, 사기 범죄에서는 피해자 고정관념 일치 사건보다 불일치 사건에서 더 낮은 피해자 공감이 나타났지만 피해자 비난에는 차이가 없었다. 두 범죄 모두에서 피해자 고정관념 일치 여부에 따른 가해자 비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2의 결과는 동일한 범죄 사건이라도 피해자가 피해자 고정관념에 일치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사람들의 피해자에 대한 공감과 비난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피해자 고정관념이 피해자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범죄 유형별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범죄 피해자의 전형성을 밝히고, 법률 외적 요인인 피해자 고정관념이 피해자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ople's stereotypes about crime victims and to verify whether those stereotypes affect their victim judgment. First, Study 1 examined stereotypes about victims of assault, larceny, rape, and fraud. In all four crimes, it is perceived that people with lower education than higher education, those with lower social status than higher social status, those with lower incomes than higher incomes are more likely to become victims. In the case of assault, larceny and rape it is also perceived that women and people in urban areas are more likely to become victims than men and those in rural areas. Sex and areas make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victim in the fraud case. Furthermore, it is perceived that the most victims were those under the age of 21 in assault crime, those under the age of 21 and those aged 21 to 40 in rape crime, those aged 61 and over in larceny crime and fraud crime.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Study 2 confirmed whether people’s judgment of victim and perpetrator can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victims are consistent with the victim stereotypes in assault and fraud. As a result, in assault crime there were lower victim empathy and higher victim blaming in stereotype-inconsistent case than in stereotype-consistent case. In fraud crime there was lower victim empathy in stereotype-inconsistent case than in stereotype-consistent cas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ctim blaming. In both crim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petrator blaming depending on the consistency with victim stereotypes. The results of Study 2 show that people’s empathy and blaming for victim can be different even in the same crime case depending on whether the victim conforms to the victim stereotype, and the influence of this victim stereotypes on the victim judgment differs by crime typ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crime victims that Koreans think of, and confirmed the impact of victim stereotype which is a non-legal factor on the judgment of victims.

      •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가 초등학교 여학생의 환경태도와 환경적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

        윤여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 고정관념은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습득되고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사회적, 문화적으로 적합한 행동, 태도, 특성을 형성하고 발현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 고정관념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학습자의 의지와 태도, 자아효능감 등 과업의 성취를 이끄는 요인들에 장벽이 되곤 한다. 그 장벽을 완화하기 위하여 성 고정관념에 반하는(counter stereotype) 인물의 제시가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환경 교육에서 성 고정관념에 반하는 인물의 제시와 성 고정관념 극복의 관련성을 입증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과 남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 제시의 효과성 비교를 통하여 여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가 초등학교 여학생의 환경태도와 환경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은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의 4학년 102명, 5학년 112명, 6학년 107명의 총 321명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여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 남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의 2가지 유형의 실험 자료를 제시하고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성 고정관념을 측정하는 문항에 답한 후, 남성 또는 여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를 읽고, 다음으로 환경태도와 환경적 자기효능감 문항에 응답하였다. 환경태도와 환경적 자기효능감에 성 고정관념 극복에 관한 영역을 추가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제작하고 응답하게 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는 초등학교 여학생의 성 고정관념 극복 환경태도, 환경적 자기효능감, 성 고정관념 극복 환경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켰다. 둘째, 환경태도에서 기존에 가지고 있는 성 고정관념의 엄격성과 학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여학생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성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여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가 환경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여학생의 학년이 낮을수록 여성 환경 인물에 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된 메시지가 환경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환경 교육 학습 자료에서 여학생들에게 능력의 한계를 짓게 하는 부정적인 성 고정관념이나 편중된 사고를 심어줄 수 있는 내용은 없는지 검토하고, 여학생들의 귀감이 될 수 있는 여성 환경 인물들이 충분하고 적절하게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은 성 고정관념이 엄격하게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초등학교 저학년 여학생들에게 성 고정관념에 반하는 다양한 분야의 여성 환경 인물의 선정과 제시는 성 고정관념의 장벽을 완화하고 미래의 직업이나 역할의 한계를 넘어서는 환경 인물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Gender stereotypes are acquired through socialization and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socially and culturally appropriate behavior, attitude, and characteristic from children to adults. Gender stereotypes work automatically and are often a barrier to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achievement of tasks such as learners' willingness, attitude, and self-efficacy. The presentation of counter-stereotypic characters may be a way to mitigate the barriers. However, few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relevance of gender stereotype overcoming and presentation of characters against gender stereotyp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is study, b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presenting gender stereotypic messages about female and male environmentalists, the message about counter-stereotypic female environmentalists was verifie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girl'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environmental self-efficac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21 female students, 102 in fourth grade, 112 in fifth grade, and 107 in sixth grad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wo types of experimental instrument were presented, including messages about counter-stereotypic female environmentalists and messages about gender stereotypic male environmentalists. The message has gender stereotypic text about the figures and the figures have male dominant jobs such as scientist or politician. Participants in the study answered questions that measur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read messages reflecting gender stereotypes about male or female environmentalists, and then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self-efficacy. Researcher added an area related to overcoming gender stereotypes to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self-efficacy and developed questionnaire to measure this a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message about counter-stereotypic female environmentalists improved the level of stereotype overcoming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self-efficacy, and stereotype overcoming environmental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girls. Second, the strictness of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and the adjustment the effect of the grade were verified in environmental attitude. The higher the gender stereotypes that female students have,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f messages about counter-stereotypic female environmentalists on environmental attitudes. In addition, the lower the grade of female students,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f messages about counter-stereotypic female environmentalists on environmental attitud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can instill negative gender stereotypes or biased thinking in female students, and to see if there are enough and appropriate female environmental figures to model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female environmental figures in various fields against gender stereotypes will help ease the barriers of gender stereotypes and grow into environmental figures beyond the limits of future careers and roles.

      • 고정관념 극복을 위한 색채지도 방안 연구

        김세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다양한 시각적 환경에서 살고 있다. 인간의 오감 중 정보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이 시각이고 시각적으로 판단하는 인상 중에서 80%이상이 색채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색채가 없는 세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색채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 심리적인 면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에게 색채의 자유로운 표현은 자유로운 사고의 발산이다. 색채에 민감한 어린이들이 정작 색채 표현에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어 자유롭고 창의적인 색채 표현을 방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고정관념을 극복하여 자유로운 색채 표현을 도우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Ⅱ장에서는 과학적인 측면, 심리·정신적 측면, 문화적 측면에서 조화로운 색채의 이해를 탐구하고자 하였고 현대 사회에서 색채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어린이와 색채를 탐구하여 색채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이 연구의 대상인 3학년 어린이의 특성을 알아본 후 색채 지도의 의의를 제시하였고 색채에 관한 고정관념 극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3학년 미술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현행 교육과정에서 색채지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작품 분석과 설문지 분석, 어린이 표현과 반응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토대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있는 색채 표현과 관련된 고정관념을 추출하였다. 연구자가 분석한 어린이들의 색채 관련 고정관념은 피부색을 살색으로 칠해야 한다는 생각, 사물에 대한 관념적인 색 표현, 사물의 단색 표현, 혼색에 대한 두려움, 수채화 농도 조절의 어려움, 배경색을 칠해야 한다는 생각, 깨끗하게 칠해야 한다는 생각, 재료 선택에 관한 고정관념, 색채 보다 형태를 우선하는 표현, 형태 안에 색이 들어가야 한다는 생각 등 이다. Ⅴ장에서는 색채에 관한 고정관념, 색채 표현에 따른 고정관념, 색채보다는 형태에 비중을 두는 고정관념으로 구분하여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색채에 관한 고정관념 극복을 위해 색의 역할, 감상과 관찰을 통한 사물의 다양한 색과 느낌 표현에 다양한 색을 사용할 수 있음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색을 제한하거나, 의도적으로 색을 왜곡하여 표현해봄으로써 고유색과 다른 색을 사용함에 겁을 내지 않도록 하였다. 색채 표현에 따른 고정관념 극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혼색과 농도 조절의 원리 이해하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표현 기법의 탐색, 다양한 재료의 체험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맞는 재료, 기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형태에 비중을 두는 고정관념 극복을 위해 의도적으로 색을 형태보다 먼저 선택하여 표현하도록 하였으며 우연한 효과를 이용하여 형태에서 자유로워진 표현을 유도하였다. 지도 결과 사물에 대한 고유색에 집착하지 않고 다양한 색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특히 피부색의 표현에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평소 사용하지 않던 색을 사용해보려는 의욕을 보였다. 또 물감을 섞어서 다양한 색을 만들어 사용하며, 농도 조절에 자신을 가지게 되었다. 여러 가지 재료 탐색과 색채를 우선 하는 표현의 경험은 표현 의도에 따라 재료와 색채 선택에 세심한 고려를 하게 되었다. 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규격화된 그림을 요구하는 교사의 의식 전환, 일률적으로 제공되는 학습준비물의 개선 등이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도울 수 있다고 확신하며, 본 연구는 3학년 어린이 43명에게 제한적으로 적용하였으므로 저학년에서 고학년에 이르는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지도방안이 연구되어야할 것이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초등미술교육)학위 논문임. We live in variable visual environment. Vision is the best of five sensations and we judge the most impression of object by seeing the colors. There is no world without colors. The colors around us continually affect to human's feeling, emotion and psychology. Especially the free expression of colors is the radiation of children's thought. The children who are sensitive to color are hindered in the free and creative color expression by the stereotypes of col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 to express colors freely without fixed ideas. The section Ⅱ is to explore the symmetrical understanding of colors in aspects of science, psychology and culture. It is to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colors in the modern society. The section Ⅲ is to explore children and colors, and affect of colors to children. It is re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color education to 3rd elementary students. And it is represented the necessity of escapes of coloring stereotypes The section Ⅳ i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colo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3rd art textbook and teacher's guidebooks. It is to draw the children's color expression and the fixed ideas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questionaries and the observation of children's presentation and responses. The children's stereotypes of color that are investigated are ① the thought that skin is painted by light brown ② the expression of the stereotyped colors of objects ③ the expression of things with just one color ④ to be afraid of the colors mixture ⑤ the difficulty about the control of the depth of color in watercolor paintings ⑥ the thought that the background must be cleanly painted ⑦ the thought that pictures must be cleanly painted ⑧ the stereotype of the choices of materials ⑨ the presentation that the form is prior to the color ⑩ the idea that the form is filled with color The section Ⅴ is to search for the way to teach coloring in the point of escapes of fixed ideas about color, color expression, and form preference(rather than color). Children are experienced the role of color, variable color and the feeling expression by appreciations and observation to spin off the fixed ideas of colors. They could not be afraid of use the peculiar color and the other by the experience to intentionally express different colors. Children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color mixture and the depth of color with several ways, investigate the expression ways by the activities to express with lots of materials, and choose the own theme to express, materials, ways with freedom to spin off the stereotypes of color. Children are taught to express colors intentionally before the choosing forms. Also they are induced express colors intentionally with freedom before forms by using accidental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below ; Students could use various colors without the attachment of the own colors. They are showed the development of skin's expression and the will of use to unused colors. They are confident of the control of the depth of color mixing several colors. They consider carefully the materials and the choice of colors after the experience of color expres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change teachers' thought that require standard pictures and improve the physical surroundings and requirements at school. It is also helpful to students to express freely. This study is apply in 43 of 3rd elementary students restrictedly. So it will be studied the systematic and organic guidance for all elementary student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Elementary Fine Arts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어머니의 선호색 및 성역할고정관념과 유아의 선호색과의 관계

        김남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sex and mothers’ stereotypes of gender role influence mothers’ color preference for their children goods or not and whether mothers’ color preference for their children goods is identical with their child’s color preference or not. There were 120 children of 5 years old (60 boys, 60 girls) from 7 class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nd their mothers(120 persons). The ratings of children’s general color preference and mothers’ specific color preference and their stereotypes of gender role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resul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color preference for their children goods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children’s sex and the level of their stereotypes of gender role. Mothers’ color preference could influence their children’s color preference and color environment. Therefore, mothers need to be aware of their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color preference and color environment. Second, boys’ color preference tend to be narrow color spectrum compared with girls, which can be caused by their mother’s restricted choice of colors. Unlike the girls’ mothers who show lower stereotypes of gender role provide their daughters with masculine colors more, boys’mothers restrict feminine colors for their sons regardless of their stereotypes of gender role. Therefore, at time of child rearing, mothers should get out of the concept of biological sex and seek diversification of gender role. In other words, they should expand their sons’ right of choice rather than restrict colors, commonly called feminine colors. Through this, they should provide their children with experiences to see and explore various colors and develop children’s sensibility to colors. Through this study mothers and children’s color preference considering children’s sex and mothers’ stereotypes of gender role were analyz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reating color environment for children by m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성별 및 어머니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어머니의 자녀용품 선호색에 영향을 미치는지, 어머니의 자녀용품 선호색이 유아의 선호색과 일치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어머니에 의해 구성된 유아의 색채 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유아 색채 환경 개선 등의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선호색에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따라 어머니의 선호색에 차이가 있는가? 2-1. 남아 어머니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따라 선호색에 차이가 있는가? 2-2. 여아 어머니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따라 선호색에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선호색과 자녀의 선호색은 일치하는가? 어머니의 선호색 및 성역할고정관념과 유아의 선호색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서울과 경기도 소재 3곳의 유치원과 1곳의 어린이집의 만 5세 7개 학급 남녀 유아 총 120명(남 60명, 여 60명)과 그들의 어머니 120명을 대상으로 유아에게는 일반적 선호색을, 어머니에게는 특정 선호색 즉, 자녀의 반팔 티셔츠의 선호색과 성역할고정관념을 측정하였다. 유아의 선호색을 검사하기 위하여 김이삭, 홍정인, 유성은(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용 선호색 검사도구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선호색을 검사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선호색 검사도구는 이수정(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IRI색채디자인 Hue & Tone 120색을 70색으로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성역할고정관념을 측정하기 위해 김양희, 정경아(1999)가 개발한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를 수정한 박선영(2005)의 남녀평등의식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남녀평등의식검사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며, 남녀평등의식 점수가 높을수록 성역할고정관념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자녀의 성별 및 성역할고정관념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용품 선호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선호색에 따른 자녀의 선호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용품 선호색은 자녀의 성별 및 어머니의 성역할고정관념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이를 통해 어머니의 선호색이 자녀의 선호색 및 색채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어머니는 자녀의 선호색과 색채 환경에 어머니 자신의 영향력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즉, 어머니는 유아의 색채 환경의 주 구성자로서 유아의 폭넓은 색채 경험과 자유로운 사고를 촉진하기 위하여 풍요로운 색채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남아의 선호색은 여아에 비해 좁은 색채 스펙트럼을 가지는 경향을 띠는데, 이는 남아 어머니의 제한된 색채 선택에서 비롯될 수 있다. 성역할고정관념이 낮은 여아의 어머니일수록 딸에게 남성적 색상을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남아의 어머니는 성역할고정관념에 관계없이 아들에게 여성적 색상을 제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녀 양육 시 생물학적 성(sex)의 개념에서 벗어나 성역할의 다원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즉, 여성적 색상으로 통칭하는 색상들을 남아에게 엄격히 제한하기보다는 선택권 을 확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자녀에게 다양한 색채를 접하고 탐색하는 등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녀의 색채 민감성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자녀의 성별과 더불어 성역할고정관념을 함께 고려하여 어머니와 자녀의 선호색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선호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에 의한 유아의 색채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진다.

      • Age-based stereotype threat can impair the performance of older adults for emotion recognition

        이경은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정관념 위협이란 본인이 속한 집단에 대해 부정적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자신의 수행에 의해 고정관념이 재 확인될 수 있는 상황에서 개인이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위협을 의미한다.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연구들이 있으나, 대부분 언어 기억력과 같이 노화 관련 고정관념과 밀접히 연관된 인지기능에 초점이 맞춰져왔다. 그러나 최근 고정관념 위협이 특정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범위의 인간 행동에 링거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노화 관련 고정관념 위협의 효과 역시 더 다양한 범주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경험하는 고정관념 위협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기억 및 정서인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개인이 지니고 있는 노화에 대한 인식에 따라 고정관념 위협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60세 이상 노인 17명(남=7)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 방문 시 K-WMS-IV와 MMSE를 포함한 기본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실험군의 경우 노화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킨다는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여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시켰으며, 대조군의 경우 중립적인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였다. 고정관념위협을 조작한 이후 공간 작업기억 과제 (콜시 블록 태핑 과제)와 정서 인식 과제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수행의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68명의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재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 때 안구 추적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두 집단의 얼굴 표정 관찰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1과 연구2 에서 모두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된 노인 군이 그렇지 않은 노인 군에 비해 정서인식 과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 정확도 (p<.05)를 보였다. 한편 두 집단의 안구 움직임은 매우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수행 상의 차이가 지각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자극의 해석을 포함한 고차 인지의 단계에서 발생 할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외재적인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과 고정관념 위협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어 (p<.05), 외재적으로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더라도 정서인식 과제와 어려운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수행 정확도를 보인 반면,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었을 때, 매우 저조한 수행 정확도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정서인식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자신의 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고정관념 위협으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cognitive performances of older adults are declined when they encounter age-based negative stereotypes, the research range of previous studies was limited to specific cognitive domain, especially verbal memory.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age-based stereotype threat on spatial working memory and emotion recognitio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elf-perception of aging as an expected moderator. In study 1, seventeen older adults (66.4 ± 3.37) participated and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conditions: threat and no-threat condition. The participants in threat condition were exposed to negative stereotype by reading a script detailing cognitive decline related to aging while the no- threat group was exposed to a neutral script. After this manipulation, participants completed a spatial-working memory task (Corsi-block tapping task) and an emotion recognition task (Facial expression identification task). Furthermore, participants answered a self-perception of aging questionnaire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or negative group on the basis of a median split of the questionnaire scores for the analysis. In study 2, most of the procedures were similar with study 1. To replicate the stereotype threat effect on emotion recognition, sixty-eight older adults were recruited. Moreover, eye tracking data was additionally acquired during FEIT sess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ual way of each condition. The results of both study1 and study 2 showed that the emotion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reat condi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threat condition (p<.05). However, interestingly threat condition and no-threat condition’s eye movement pattern was very similar with each other. This implied that the discrepancy of their performance more depends on interpre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tereotype threat and explicit level of self-perception of aging (p<.05), indicating that those who have positive self-perception of aging did not show impairment in emotion recognition and highly demanding condition of spatial working memory task under stereotype threat. This study suggests that stereotype threat could have negative effect on emotion recognition of older adults, however, having an explicit level of positive self-perception of aging could protect them from the underperformance caused by stereotype threat.

      • 성인남성의 성 고정관념이 여성혐오에 미치는 영향 _ : 현실적 집단갈등의식 매개효과

        조은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성 고정관념이 여성혐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현실적 집단갈등인식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서 사회에 진출한 성인남성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성인 남성의 성 고정관념, 현실적 집단갈등인식 그리고 여성혐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살펴본 결과, 집단갈등의식과 여성혐오인식은 결혼 유무, 딸자녀의 유무, 연령에 따른 평균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 고정관념은 결혼 유무에 따라 미혼보다는 기혼이, 아들만 있는 경우보다 딸자녀가 있는 경우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남성의 성 고정관념, 현실적 집단갈등인식 그리고 여성혐오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성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여성혐오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성인 남성의 성 고정관념과 여성혐오인식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성 고정관념이 높아질수록 현실적 집단갈등의식은 높아지며, 그에 따라 여성혐오인식도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현실적 집단갈등인식이 여성혐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성 고정관념이 현실적 집단갈등인식을 부분 매개로 여성혐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사회에서 보이고 있는 여성혐오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현실적 집단갈등의식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보다 근본적인 맥락으로 접근을 해야 함을 제시하였으며, 학교와 사회 그리고 가정에서 성 고정관념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함의하였다.

      • 고정관념 위협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권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Stereotype threat) 효과를 다룬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고정관념 위협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수행과제의 고정관념과의 관련성이 고정관념 위협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은 고정관념 위협 조건에서 고정관념과의 관련성이 높은 과제를 수행할 때, 관련성이 낮은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성취동기 수준이 저하되며, 고정관념 비위협 조건에서는 과제의 고정관념 관련성 수준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먼저 본 실험에 앞서 진행된 사전조사를 통해 고정관념 관련성이 높은 과제로 공간지각력 평가를, 고정관념 관련성이 낮은 과제로 추론능력 평가를 선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총 91명의 여학생들이 2(고정관념위협: 유 vs 무)×2(과제의 고정관념 관련성: 높음(공간지각력 과제) vs 낮음(추론능력 과제)) 피험자 간 설계 조건에 무선 할당되어 자신이 수행하게 될 과제의 난이도를 직접 구성하였다. 실험 결과 고정관념 위협 상황과 과제 종류 간에 이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정관념 위협이 참가자들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는 곧 수행 과제가 고정관념과의 관련성이 높은 과제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 호텔 종사원의 외국인 고객(국적별)에 대해 가지는 고정관념, 감정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우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를 관광목적이나, 비즈니스 목적으로 방문하는 외국인의 수가 급격히 늘고 있으며 방문객의 국적도 다양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장 환경의 변화 속에서 본 연구는 과연 호텔 서비스 접점에 있는 종사자들이 전문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로 서비스를 행하도록 양질의 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의 국적별(일본인, 중국인, 미국인)로 고정관념과 감정, 서비스 수행태도에 있어 차별성이 존재하는가에 대하여 조사 연구 하였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위해 외국인이 많이 투숙하고 있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에 근무 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호텔 산업 종사자들 역시 우리나라의 일반인과 같이 국적별로 차별적 고정관념과 감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서비스 수행태도인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일부 국적고객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수행태도에서는 그다지 나쁘지 않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즉, 호텔 직원들 스스로가 자신의 감정과는 상관없이 좋은 서비스를 하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텔 기업은 국적별로 부정적인 고정관념과 감정을 가지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적인 고정관념 및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해당 국가에 대한 문화 교육 등을 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호텔 종사원들이 국적별로 가질 수 있는 부정적 고정관념 및 감정을 최소화 하여 고객의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고객에 대하여 최대한의 균등한 좋은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허용도와 데이트폭력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지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통적인 성역할을 내면화한 사람은 여러 상황과 조건들을 성차별적인 인식에 따라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젠더폭력 중 하나인 데이트폭력의 경우에는 성역할에 따라 폭력 행동에 대한 책임이 가해자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결과적으로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폭력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고, 폭력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이처럼 전통적인 성역할에 의한 잘못된 성인식은 연인 간 데이트폭력 가해 및 피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트폭력의 전반적인 발생현황을 줄이고 데이트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역할고정관념에 따른 데이트폭력인식과 데이트폭력허용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역할고정관념 및 데이트폭력허용도, 데이트폭력인식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인식과 데이트폭력허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데이트폭력허용도가 성역할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인식 사이를 매개하는지에 대해서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5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실시하였고, 총 274명을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측정,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고정관념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성별, 종교 유무, 가정에서 주요문제 의사결정 차이 를 검증한 결과‘성별, 종교 유무, 가정에서 주요문제 의사결정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데이트폭력인식(행동통제, 언어적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과 데이트폭력허용도는‘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인식(전체, 행동통제, 언어적 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간에 부적인 관계를 보였고, 성역할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허용도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데이트폭력허용도와 데이트폭력인식(전체, 행동통제, 언어적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된 변수간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인식(전체, 행동통제, 언어적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데이트폭력허용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역할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인식(전체, 행동통제, 언어적 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의 관계에서 데이트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지만 성역할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인식(전체, 행동통제, 언어적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의 관계에서 데이트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남자이거나, 종교를 가지고 있거나, 가정에서의 주요 문제 의사결정권이 부모 한쪽에만 있는 가정에서 자란 대학생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높은 성역할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을 허용하는 태도를 높이고, 데이트폭력을 인식하는 정도를 낮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허용도, 데이트폭력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고 성역할고정관념, 데이트폭력허용도, 데이트폭력인식 (전체, 행동통제, 언어적폭력, 신체적폭력, 성적폭력)간의 관계 검증을 위해서 다방면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하였다. People who have internalized traditional gender roles tend to interpret situations and conditions according to to gender discrimination perception. This tendency believes that the responsibility for violent behavior lies with the victim, not the perpetrator. So, they had an acceptability attitude toward violence and did not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violence. As such, a false sexual recognition by traditional gender-roles can have a serious impact on dating violence between love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overall occurrence of dating violence and prevent dating violence, research on the dating violence recognition and the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according to gender-role stereotypes should be conduc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gender-role stereotypes,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and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to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college students. And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tereotypes about gender-rol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the dating violence recognition and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In addition, it was also verified whether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mediates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gender-role stereotyp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religious presence or absence and decision-making rights for major issues at home’. And it was found that the dating violence recognition (behavior control,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the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differ according to ‘gend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the main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otal, behavior control,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otal, behavior control,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pecifically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role stereotypes had significant effect on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otal, behavior control,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bu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otal, behavioral control,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otal, behavior control,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ho were male, had religion, or grew up in a family where only one parent had the right to make decisions on major issues at home had a high sense of gender-role stereotypes.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 gender-role stereotype increased the attitude of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and lowered the degree of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ducted to bring about changes in college students' gender-role stereotypes,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in various way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and dating violence recognition (total, behavior control,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