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인돌을 통해본 남한의 청동기문화 전래

        이정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A Dolmen is a type of single-chamber megalithic tomb, usually consisting of three or more upright stones supporting a large flat horizontal capstone, which represents the megalithic culture. The Dolmens are used as the tomb in most cases, but some of them are used as the tomb stone or the altar which sacrifices or other offerings are offered for religious purposes, or some other gathering place where ceremonies take place. The Dolmen culture appeared in different times depending the areas, but it was when the culture of the area turned to the Bronze Age. It appeared around 4500 BC in Europe and around 1200 BC in Asia. The Dolmen culture disappeared in the Iron Age in which the introduction of iron farming tools led to the expanded farming land, requiring much more labor force because there are insufficient labor force in the Dolmen culture. The Dolmen culture remains are distributed across Europe, Asia and Africa. The Dolmen in Europe remains especially in France, Ireland and U.S., sometimes including the Ethiopia inland and the Mediterranean Sea coast. In Asia, the Dolmens are found in the East Asian areas such as Shantung in China, Vietnam, Laos, Thailand, India and Japan, but their intensively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number or size. More than 30,000 Dolmens of 70,000 so far found around the world, are distributed across Korean peninsula. In fact, the Dolmen is closely related to the civilization in Asia and Europe, but it is noted that the culture was the most prosperou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Dolmen culture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via two paths. One was the introduction with the Bronze Age culture from the northward of this peninsula and the other was with the agricultural culture along the Kuroshio Current from the southward. Accepting such new culture, Korean ancestors founded Go-Joseon, the first kingdom in the Korean peninsula to form its own cultural area. Even though the Dolmen construction culture disappeared with the advent of the Iron Age, the story about Dolmen continues to appear in the myths or tales afterwards as culture. The Dolmen has remained till Chosun Dynasty in the form of folk belief called as 'Chilsung bawi' or 'Geobuk bawi'. People at that time served Dangsan-je, the religious offering at the Dolmens, and offer prayers in front of the Dolmen at their home with the water drawn from the well early at dawn. In addition, the culture was influenced by the introduced Buddhism culture, by giving the variation of Buddhism temple style to the existing Dolmen and by applying the Dolmen construction methods to set up the Buddhist statue and temple. In addition, the Dolmen influenced the names of villages such as Jiseok-ri, Taengseok-dong, Guam-ri and Chilsung-ri where the Dolmens are located and originated from the type and arrangement methods. In various Korean tales, the Dolmen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hyper-physical general, Divine grandma Mago and even in the birth myth of the heros and kings. Likewise, the Dolmens remain and influence on Korean culture. The historical value of Korean Dolmens were recognized in December 2000, as World Cultural Heritage by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The World Cultural Heritage includes Ganghwa Dolmen remains(located in Samseon and Osangri in Ganghwa-gun, Incheon), Gochang Dolmen remains(Jukrim and Dosan-ri, in Gochang-gun, Jollabukdo), Hwasun Dolmen remains(Hyosan-ri, Dogok-myeon and Daesin-ri, Chunyang-myeon, Hwasun-gun, Jollanamdo). I tried to find the Korean image from these Dolmens. In front of the Dolmen at foggy dawn, I tried to express the Dolmen's own energy and calm atmosphere by emphasizing on the air perspectives. For the photographing, 5D Cannon digital camera was used and the Epson STYLUS PRO 9800 was used with UltraChrome K3 8-color ink for the printing on the Museo Silver Rac. As for several photos, the fence was removed by the Photoshop tool in the post-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express the magnificent atmosphere that the Dolmen had at the ancient time. When new culture is introduced from the surrounding areas, the existing culture tends to selectively accept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culture. However, as th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ed and moved today, new culture tends to be accepted as it is without such selection or evaluation process these days. The rapid and indiscreet acception of culture is making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groups and generations and lead to the social conflicts through the barrier of the communications. In addition, losing the Korean's own traditional culture, such identity and independence spirit is fading together. I tried to find the root of Korean culture and identity from the subject of Dolmen. Since introduced with new culture with the new external culture called as the agricultural culture of the Bronze Age, the Dolmen has formed its own culture through the conflict and reaction to our previous culture and maintained its position standing there in spite of the changes for thousands years. I hope we may look back on our attitude to accept the new culture in rapidly rush recently, by reviewing on the meaning of the Dolmen that will keep its value as the original current in our identity. 고인돌은 땅위나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형태로 거석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이다. 고인돌은 대부분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묘표석 또는 종족이나 집단의 모임 장소나 의식을 행하는 제단(祭壇)으로 사용된 것도 있다. 고인돌문화의 발생 시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그 지역의 문명이 청동기시대로 접어들 때이다. 따라서 유럽지역은 기원전 4,500년경 고인돌이 발생하였고, 아시아지역은 기원전 1,200년경에 발생하였다. 고인돌문화의 소멸 시기는 철기시대로서 철제 농경기구의 사용으로 농지가 확장되어 더욱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됨으로서 노동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고인돌문화는 사라지게 되었다. 고인돌은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유럽의 고인돌은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내륙 지방과 지중해 연안에서도 나타난다. 아시아지역의 고인돌은 중국의 산둥반도와 베트남, 라오스, 타이 등 동남아 지역과 인도, 일본에서 발견되지만 숫자나 규모면에서 볼 때 한반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알려진 고인돌은 약 7만기인데 그중 3만기 이상이 한반도에 분포한다. 고인돌은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진행된 문명과 관련되어 있지만 고인돌 문화는 한반도에서 가장 번창했음을 알 수 있다. 고인돌 문화가 한반도에 전래된 경로는 두 가지 이다. 한반도의 북방으로부터 청동기 문화와 함께 전래되었고, 쿠로시오해류를 따라서 농경문화와 함께 남방으로부터 전래 되었다. 우리의 선조는 고인돌과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한반도에서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하고 한반도 고유의 문화권을 형성해 나갔다. 고인돌축조문화는 철기시대의 시작과 사라졌지만 이미 축조된 고인돌은 옛이야기나 설화에 계속등장하며 하나의 문화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까지 고인돌은 우리의 삶에 민간신앙의 형태로 남아 칠성바위, 거북바위 등으로 불리었다. 마을에서는 고인돌에 당산제를 지냈고, 집안의 고인돌에는 정화수를 떠놓고 집안의 안녕을 빌었다. 또한 고인돌은 불교문화와도 그 영향을 주고받았는데, 불교가 유입되면서 기존의 고인돌을 불탑의 형식으로 변형시킨 경우도 있고, 고인돌의 축조방식이 불상과 불탑을 세우는데 사용된 흔적도 있다. 또 고인돌은 한반도의 지명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지석리(支石里), 탱석동(撐石洞), 구암리(龜巖里), 칠성리(七星里) 등은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명으로서 고인돌의 형태와 배치 방법에서 그 지명의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고인돌은 한반도의 다양한 설화 속에서 힘센 장수, 마고(麻姑)할머니와 연관되기도 하고 영웅과 왕의 탄생설화에도 등장한다. 이처럼 고인돌은 우리의 문화 속에서 계속남아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고인돌이 세계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00년 12월 유네스코(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되었다.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은 강화 고인돌 유적(인천 강화군 부근, 삼서, 오상리), 고창 고인돌 유적(전라북도 고창군 죽림, 도산리), 화순 고인돌 유적(전남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춘양면 대신리)의 고인돌 유적이 있다. 본인은 한국의 고인돌에서 한국적 이미지를 찾아보았다. 안개에 싸인 새벽시간의 고인돌에서 공기원근감을 강조하여 차분한 분위기와 고인돌 특유의 기(氣)가 표현 되도록 하였다. 촬영은 디지털카메라인 Canon사의 5D를 사용하였고 프린트는 Epson사의 STYLUS PRO 9800으로 UltraChrome K3 8색 잉크를 사용하여 Museo사의 Silver Rac용지에 하였다. 몇 장의 사진은 태초에 고인돌이 가지고 있던 웅장한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후반작업에서 포토샵을 이용하여 펜스를 제거하였다. 주변의 문화권으로부터 새로운 문화가 유입될 때는 기존의 문화가 새로운 문화의 장단점과 그 특징을 선별하여 받아들이게 된다. 하지만 교통과 통신기술의 계속되는 발달로 문화의 이동과 전파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새로운 문화에 대한 장단점에 대한 선별작업이나 평가작업 없이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새로운 문화의 빠르고 무차별적인 수용으로 사회구성원 사이의 집단 간,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가 벌어지면서 의사소통에 장벽이 생겨서 사회적 불화를 만들고 있다. 또 우리 고유의 민족문화를 잃어버리면서 한민족의 정체성과 주체성이 잊혀가고 있다. 본인은 우리문화의 정체성의 뿌리를 고인돌에서 찾아보았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농경사회문화라는 새로운 외부의 문화와 함께 유입되어 우리 고유의 문화와 충돌과 반동을 통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수천 년 동안 주변의 환경의 변화에도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켜 왔다. 앞으로도 우리 문화 원류로써 문화의 정체성을 갖는데 중요한 소멸하지 않을 고인돌을 통해서 최근의 급속도로 밀려오는 새로운 문화에 대한 우리의 수용태도를 뒤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강화 고인돌 유적을 활용한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김다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세계유산을 활용한 세계유산교육에 대한 논의가 다양해지고 있다. 유네스코(UNESCO)에서 채택한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의 제 27조와 제 28조에서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을 위한 세계유산교육 지침서를 발간하여 세계유산을 통해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사회과에서도 기존의 통사(通史) 중심의 내용구성에서 문화사 중심의 주제사 구성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2019학년도부터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화 지역의 고인돌 유적을 중심으로 주제 중심통합 교육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화 지역의 고인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중심의 국어, 사회, 과학, 도덕, 미술 등 5개 교과목을 통합한 주제 중심통합 수업안을 계획하였다. 고인돌의 의미와 세계유산적, 지역유산적,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생 대상의 고인돌 교육을 교과 교육, 체험 활동 교육, 도서 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하여 지식, 기능, 가치·태도 학습이 모두 이루어지는 활동적인 수업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직 초등교사의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의 세계문화유산 고인돌 활용 주제중심 통합 수업안을 개발하였다. Fogarty의 거미줄형 교과 통합 방법을 바탕으로 5개 교과를 연계하여 세계문화유산을 교육 소재로 활용한 교육 방법 연구로서의 성과를 갖는다. 둘째, 초등학생 대상의 고인돌 활용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학교 내 교육의 교과 교육, 학교 밖 교육의 체험 활동 교육, 도서 교육으로 나누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고인돌 교육을 살펴보고 올바른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여 올바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수업 계획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모두 함양할 수 있는 고인돌 활용 수업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총 15차시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고인돌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학습하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서 고인돌의 의미를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아끼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인돌 활용 주제 중심 통합수업 계획안의 실행 가능성과 교육성을 알아보고자 경력 10년 이상의 초등교사에게 설문지를 통한 평가를 실행하였다. 평가 결과 수업 계획안의 학년 적합성, 학습 목표 달성 가능성, 교과 통합의 유기성 등 대체로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과제를 제시하는 방법과 학생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구성하는 등의 제언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제언을 수용하여 수업 계획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유산과 세계유산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사회에 도움이 되고자 초등학생 대상의 세계문화유산 강화 고인돌 활용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정체성과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으며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고인돌을 활용한 통합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세계문화유산, 강화 고인돌과 교육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강화의 다양한 유적지를 활용한 강화 에코 뮤지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임진강유역의 고인돌 연구

        최민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인돌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무덤의 하나로 축조된 시기의 사회상을 잘 반영하며, 외형적인 특징으로 인해 아주 일찍부터 사람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현재까지의 조사에 의하면 임진강유역에는 433기 정도의 고인돌이 분포하는데 임진강의 상류인 판교와 이천지역에 밀집되어 있고, 대부분의 고인돌이 2기 이상 분포한다. 특히 판교 지하리에는 남-북 2km, 동-서 1km 범위 안에 116여기의 고인돌이 있어 임진강유역에서는 단일 지역 내에 가장 많은 수가 밀집하고 있다. 고인돌 중에서 입지를 알 수 있는 것은 386기 정도로 평지가 240기(62%)로 가장 많은 수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구릉 113기(29%), 산기슭 33기(9%)로 나타났으나 고갯마루에는 단 1기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처럼 임진강유역은 주로 평지나 구릉이 묘역으로 선호되었는데 고인돌의 입지가 조사된 영동지방, 북한강유역, 금강과 남한강유역, 전남지역의 자료에서도 임진강유역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고인돌이 강 옆의 평지나 구릉상에 분포한다. 고인돌의 형식을 알 수 있는 것은 175기 정도로 탁자식이 116기(66%), 개석식 59기 (34%)로 탁자식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바둑판식 고인돌은 단 1기도 조사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볼 때 바둑판식 고인돌은 분포범위가 한강 이남지역에서 유행한 묘제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북한강유역에서는 탁자식과 개석식 고인돌만 확인되고, 금강과 남한강유역에서부터 탁자식·개석식 고인돌과 바둑판식 고인돌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고인돌 중에서 덮개돌의 크기를 알 수 있는 것은 117기 정도로 전체 고인돌의 27%에 해당하며 덮개돌의 길이가 151~350cm인 것이 97기로 전체 분석자료의 82%를 차지한다. 그리고 덮개돌 길이와 너비의 상관관계는 1:1에서 2:1의 범위 사이에 주로 분포하는데 특히 1.5: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주변에 밀집되어 있다. 덮개돌의 형태는 길이, 너비, 두께를 알 수 있는 107기를 대상으로 Zingg의 사각 다이어그램에 표시해 분석한 결과 막대기모양이 제일 많고, 등방모양과 원반모양 그리고 길쭉한 모양도 있다. 임진강유역 고인돌에서 덮개돌의 돌감을 알 수 있는 것은 50기 정도인데 현무암, 화강암, 편마암, 석회암, 응회암, 석영, 편암, 규암 등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덮개돌의 돌감이 조사된 북한강유역, 금강과 남한강유역의 자료와 비교해 볼 때 덮개돌의 돌감은 일정하게 정하여진 것이 아니라 주변의 지질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덮개돌의 놓여진 긴 방향은 골짜기 방향, 하천의 흐름, 구릉의 긴 방향과 나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인돌의 덮개돌에서 특징적인 것은 구멍으로 토성리 1호, 문혜리, 차탄리, 통현리 2·5호, 진상리 1·2호, 야당리, 만세교리 고인돌 등 여러 곳에서 관찰된다. 그러나 연천 진상리 1·2호 고인돌의 덮개돌에 새겨진 100여 개의 구멍은 큰 구멍을 중심으로 주변에 작은 구멍들이 일정한 구획으로 배치되어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덮개돌의 구멍과 함께 임진강유역 고인돌의 덮개돌에서 특이한 것은 연천 통현리 3호 고인돌의 덮개돌 옆면에 긴 방향을 따라 있는 2줄의 얕은 홈이다. 이것은 고인돌 축조와 관련 있는 것으로 큰 돌을 끈으로 묶어서 고인돌을 축조할 장소까지 옮기거나 축조과정에 덮개돌을 끌어 굄돌 위에 얹을 때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탁자식 고인돌 가운데 특이한 것은 돌깔림 시설로 이천 성북리 죽골 1호와 연천 학곡리 2호 고인돌에서 조사되었는데 이들의 경우 주변 지형과 위치한 곳의 지반을 고려할 때 묘역의 기능보다는 무덤방과 굄돌을 보호하기 위한 의도에서 만든 것으로 해석된다. 고인돌에서 인골이 종종 출토되나 임진강유역에서는 아직까지 조사된 예가 없기 때문에 무덤방의 크기를 알 수 있는 26기를 기준으로 묻기방법을 보면 바로 펴묻기와 굽혀 묻기가 주된 장법으로 해석된다. 임진강유역 고인돌에서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껴묻거리는 상당히 적은 편으로 간석기와 토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밖에 유리제품, 짐승뼈 등이 있지만 아직까지 청동제품은 출토된 예가 없다. 임진강유역의 고인돌이 축조된 상한과 하한 연대는 고인돌 출토유물과 주변 발굴자료를 비교·정리하여 시론적인 차원에서 살펴 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임진강유역 고인돌은 잠정적으로 상한연대는 연천 삼거리, 파주 교하리와 옥석리 유적으로 볼 때 기원전 13세기 전후, 하한연대는 연천 통현리 3호 고인돌 무덤방 구조와 출토유물, 학곡리 2호 고인돌과 여러 지역에서 출토되는 경질민무의토기의 개시연대를 고려할 때 기원전 3세기 말쯤으로 추정된다. 고인돌사회의 발전단계 설정은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대별되는데 임진강유역의 고인돌사회가 복합사회로서 족장사회인지 또는 평등사회로서 부족사회 단계에 있었는지 아직은 규명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를 기다려야 한다. As one of the most typical tombs in Korean Bronze Age a dolmen effectively reflects social conditions in the period when it was built, and its external characteristics have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it from quite an early period. The investigations made until now show that about 433 dolmens distributed in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are concentrated in Pangyo and Ichun up the river and that in most cases two or more dolmens are distributed. In particular, Jiha-ri, Pangyo includes 116-odd dolmens within the range of 2 kilometers vertically and 1 kilometer horizontally, which indicates that a greatest number of dolmens are crowded in a single area of the basin. For approximately 386 dolmens, their locations can be known in the following ways: a flatland includes 240(62%) dolmens, a greatest number of dolmens, a hill 113(29%), the foot of a mountain 33(9%), but the ridge of a pass none. Likewise, the places that were preferred as the boundaries of a grave in the basin were primarily a flatland or a hill. The data on Youngdong district, the basin of the North Han River, the basins of the Geum River and the South Han River, and Jullanam-do indicate that most of dolmens are distributed on the flatlands by the rivers or on the hills like those in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The forms of about 175 dolmens can be known: table type ones are 116(66%), a considerably high rate, covering stone type ones 59(34%), and check type ones none. This indicates that check type ones are a grave system prevalent south of the Han River in the range of distribution. It can be known through the fact that only table and covering stone types ones are identified in the basin of the North Han River and that table, covering stone and check types ones are revealed in the basins of the Geum River and the South Han River. For about 117 dolmens, the sizes of their covering stones can be known. The dolmens account for 27% in the total ones. 97 dolmens with a covering stone 151~350 centimeters long account for 82% in the whole analytic dat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and the width of a covering stone is primarily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from 1:1 to 2:1, especially, concentr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1.5:1. For the form of a covering stone, the analysis of 107 dolmens whose length, width and thickness can be known by Zingg's square diagram shows that most are stick type with cubic, disk and longish types. On the one hand, No. 3 and No. 4 Dolmens in Jiha-ri, Pangyo, No. 1 Dolmen in Ryudaepo-ri, Chulwon, and the dolmen in Hapo-ri, Paju among the dolmens in the Im-jin River Basin had the external shapes of their covering stones made intentionally at the time of their construction. For about 50 dolmens in the Im-jin River Basin, the raw materials of their covering stones can be known by the use of basalt, granite, gneiss, limestone, tuff, quartz, schist, quartzite and so on. When compared with the data on the dolmens in the basins of the North Han River, the Geum River and the South Han River where the raw materials of their covering stones were investigated, the materials were not constantly fixed, but deeply related to the geological features of surrounding area and resulted from using things that could be easily obtained from the neighborhoo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long direction to which the covering stones were laid were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a valley, the flow of a river and the long direction of a hill. The covering stones of the dolmens are characterized by holes, which are observed in various dolmens such as No.1 Dolmen at Tosung-ri, No.2 and No.5 Dolmens at Munhye-ri, Chatan-ri and Tonghyun-ri, No.1 and No.2 Dolmens at Jinsang-ri, and the dolmens at Yadang-ri and Mansegyo-ri. However, for 100-odd holes carved in the covering stones of No.1 and No.2 Dolmens at Jinsang-ri, Yungchun, small holes around a big hole were remarkably placed at a regular interval. With the holes, what are unusual in the covering stones of the dolmens in the Im-jin River Basin are two lines of shallow grooves along the long direction of the sides of the covering stone of No.3 Dolmen at Tonghyun-ri, Yunchun. They ar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dolmen, aiming at efficiency when a big stone bound by a string was moved to the place for constructing the dolmen or whe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the covering stone was dragged and put on a stone prop. In No.1, No.2 and No.3 Dolmens at Jiha-ri, Pangyo, No.1 Dolmen at Jukgol, Sungbuk-ri, Ichun, No.3 Dolmen at Hasikjum-ri, Chulwon, the dolmen at Yangwon-ri, Yunchun and so on, which are table type dolme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ip of a stone prop was trimmed for roundness rather than left angular or made thick downward at the point of meeting the covering stone for stability and decentralization of load. And it was investigated in No.11 Dolmen at Gyoha-ri, Paju that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dolmen a stone prop was not erected but built leaning somewhat toward the inside in consideration of overall stability. On the one hand, what are exceptional among table type dolmens are facilities paved with stones, which were investigated in No.1 Dolmen at Jukgol, Sungbuk-ri, Ichun and No.2 Dolmen at Hakgok-ri, Yunchun. These are interpreted to be intended to protect grave rooms and stone props rather than function as the boundaries of a grave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urrounding ground and the base of the location. Human bones are often excavated from a dolmen, into which no investigation has been made so far in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Thus, for the methods of burial on the basis of 26 dolmens the sizes of whose grave rooms can be known, just extended and flexed burials are interpreted as main methods of burial. The dolmens in the Im-jin River Basin have considerably few grave goods like those in other regions, but polished stone tools and earthenware account for most with glass products, animal bones and so on except bronze products. The maximum and minimum dates when dolmens were constructed in the basin cannot but be examined on a level of current view by comparing and organizing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m and the materials excavated around them. Thus, in the provisional dating for the dolmens in the basin, the maximum date is estimated as before and after the 13th century B.C. from the relics at Yunchun Junction of Three Roads and Gyoha-ri and Oksuk-ri, Paju, and the minimum one as about at the end of the 3rd century B.C. when considering the starting date for the structure of the grave room and excavated relics for No.3 Dolmen at Tonghyun-ri, Yunchun and for hard earthenware without any pattern excavated from No.2 Dolmen at Hakgok-ri and various regions. The developmental stage for a dolmen society in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is broadly divided into two. The question whether the society was in the stage of a patriarchal society as a mixed society or a tribal society as an equal society should await future research because it cannot be closely examined yet.

      • 고인돌 형태를 재구성한 도자조형 연구

        조영일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과학의 발달로 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반면, 산업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가치관의 혼돈과 신념의 상실을 가져왔다. 문명은 인간의 순수한 본성으로부터 더 벗어나 마침내 정신과 물질, 인간과 자연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무수한 장벽을 쌓아 놓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인간적 본능과 원시적 심리를 동경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기술 문명이전의 것에 대한 그리움과 현실적 지식 구조를 넘어 인간의 의식과 감성 깊은 곳에 숨겨진 원시적 힘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대 선사시대의 문화를 상징하는 고인돌의 형태를 연구하여 도자조형에 응용해 보고자 하였다. 고인돌은 죽음의 세계를 의미하는 무덤이 아닌 새로운 생명력과 경외심을 느끼게 하는 감동의 대상이다. 고인돌의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작품에 연결하고자 하였고 고인돌의 본질적인 형태의 종류를 연구하여 살펴봄으로써 연구자가 의도한 완성된 형태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전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고인돌의 형태와 종류, 고인돌에 담긴 신비함과 장엄함을 고찰해 보면서 그 시대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것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 형태를 도자조형으로 재해석하여 본 연구자가 분석하고 연구하여 조형적인측면에서 접근 한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고인돌 형태 조형화 작업, 고인돌의 외형적 이미지의 형상화로서 돌의 형태와 질감, 각 개체적 요소와 요소들의 균형된 배열과 조화, 각 요소들의 재배치하여 고인돌 형태를 표현하고자 한다. 고인돌의 상징적 의미는 연구자의 심성, 연결, 통로, 문의 이미지로서 조형화 하였다. 고인돌은 죽음자체를 의미하는 무덤이라기보다는 현세와 내세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죽음의 세계가 아닌 또 다른 삶의 세계, 영원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으로의 이미지라고도 할 수 있다. 고인돌 형태를 입체 조형물로 탐구함과 기존에 대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고인돌의 영원성과 지속성의 의미를 깨달아 도자조형에서 나타난 내용은 부적과 같은 의미로 복잡하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 인간들에게 새로운 활력과 여유를 주고 그 동안 잊혀졌던 인간의 본원적 감성세계를 회복하고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회귀 본능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길 희망하였고 고인돌을 도자 조형물로 재해석하여 제시함으로서 새로운 소재와 양식을 표현하게 된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고 생각한다. The human can be resonable thinking and were concerned with developed science. The other side of developed science bring about that the human lost faith and were thrown into confusion. Culture built so many kind of fences between human to natural spirit and an unconscious state such get out of pure nature of the human. The human aspire to human nature and system of actuality knowledge in this state. This dissertation is research about the Goindol that symbolize culture of ancient times before the culture technology-science. For expressed the power of nature existed in deep inside of the human out of system of actuality knowledge and missed something happens before culture of technology. Therefore, I tried to put a shape of the Goindol practice formative ceramic. The Goindol was special thing made the human impressed feel life force and fear not just a grave meaning world of death. I had research shape of the Goindol, meaning and kind of original shape, and then I effort to put them practice formative ceramic with new analysis many kind of shape of the Goindol. I tried to expressed shape of the Goindol with formative work, memories of outside image of the Goindol and feel of the stone. I also effort to expressed it with balance of each element, harmony with them and re-lay them out. The symbolize meaning of the Goindol formative images of mind, connect, path, door of researcher. The Goindol was transfer to the other world not world of death. It means the door through the eternal world. It must be good for the people who lives complicated in a modern society like a charm through put this research practice formative ceramic. It will be make the people get back sentimental world, give them rest and energy. I wish awaked unusual nature of human up existed in deep inside of them. lastly, This research the Goindol to formative ceramic was a major accomplishment of the dissertation.

      • 경기지역의 고인돌 문화 연구

        우장문 경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경기지역(현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포함)에는 555기(추정 744기) 이상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고인돌을 만든 사람들이 살던 시대에는 물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경기지역의 3대 하천인 한강, 임진강, 안성천 유역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1) 가장 북쪽에 위치한 임진강 유역에는 16곳에 54기, 한강 유역에는 120곳 457기, 안성천 유역에는 21곳의 44기가 분포하고 있다. 2) 임진강 남쪽(한탄강 남쪽)의 포천 자작리·수입리·금현리고인돌과 연천의 양원리고인돌은 모두 탁자식 고인돌만 1기씩 4km 이상의 거리를 두고 분포하여 이 지역 고인돌은 무덤보다는 제단이나 상징적인 기능을 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3) 안성천 주변과 화성시 인근 서해안의 지역에서는 고인돌이 한 기도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안성천 유역의 고인돌은 안성천 하류의 아산만을 통해서 들어오지 않고 남한강의 지류나 강화 지역 고인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4) 경기지역의 고인돌 중 형식 분류가 가능한 것은 469기이다. 이중 탁자식이 137기(29.2%), 개석식이 가장 많은 326기(69.5%), 바둑판식은 6기(1.3%)로 개석식이 가장 많으며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탁자식 고인돌 수가 급격히 감소한다. 5) 경기지역에서는 지금까지의 형식 분류에서 보이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고인돌이 안성천의 지류인 진위천 유역에 분포하고 있다. 오산 외삼미동과 화성 병점리 고인돌에서 보이는 이 고인돌은 전형적인 바둑판식이 아니고, 넓은 판돌을 이용하여 이것을 옆으로 눕혀서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우리나라에서 안성천의 지류인 진위천변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양식이다. 6) 고인돌의 덮개돌 크기는 한강 유역이 3m 이하가 79%를 차지해 가장 많으며, 다음은 안성천으로 74%이다. 이에 비하여 임진강에는 3m 이상의 비교적 큰 덮개돌이 44%를 차지하여 대조를 이룬다. 7) 경기지역의 남한강과 임진강은 긴 지류를 가지고 있다. 이 두 지역의 강변에 위치한 고인돌과 지류 유역에 분포한 고인돌을 비교하면 지류 유역에 위치한 고인돌의 덮개돌이 훨씬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8) 경기지역 고인돌의 덮개돌 평균 무게를 보면 한강 유역이 약 5.5톤, 임진강 유역이 약 6.3톤, 안성천 유역은 약 9.8톤이다. 한강 유역에는 다시 강화도가 약 4.6톤, 한강 본류 약 5.4톤, 북한강 약 6.5톤, 남한강 유역 약 8.2톤이다. 9) 경기지역에 고인돌이 만들어진 시기는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신석기시대부터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① 남한강변의 고인돌 크기는 평균 198×119×51cm에 불과한데, 이것을 무게로 따지면 약 2.3톤이다. 이 덮개돌을 옮기는 데에는 장정 23명 정도면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1가구 당 5명 정도가 살았다고 가정해 볼 때, 한 가구에서 한 명씩만 고인돌 축조에 참가했다면 23×5명으로 계산해서 115명 정도가 사는 곳이었다면 고인돌 축조가 가능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② 유적의 연대를 설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과학적인 연대측정이다. 한강 유역에서 연대측정이 이루어진 유적으로는 3,900± 20bp의 연대가 나온 양평 양수리 유적이 있다. ③ 껴묻거리 중에서 신석기시대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빗살무늬토기와 뗀석기가 발견된다. ④ 경기지역에는 신석기시대의 유적들이 널리 퍼져있는데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생활했다는 증거이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고인돌을 축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을 것이다. 10) 경기지역에서 덮개돌 위의 굼이 발견된 고인돌은 63기로 경기지역 전역에 분포하며, 강변과 지류 모두에서 발견되고, 굼은 평균 18.1개 정도가 새겨져 있다. 11) 경기지역의 고인돌 굼은 주로 개석식에 새겨져 있으며, 개석식의 크기와 굼의 수는 직접 관계가 없다. 12) 굼은 고인돌 축조 과정이나 축조 후에 만들어졌으며, 질병의 쾌유를 빌면서 행했던 의식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또, 고인돌의 축조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만들었거나, 그 곳에 별자리를 새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3) 경기지역 고인돌은 위치나 형식, 밀집도, 굼 등을 토대로 A. 경기 서부 문화원(강화도, 파주 서쪽, 인천, 김포 일원, 안산, 화성시) B. 경기 동부 문화권(남북한강 일대) C. 임진강 북쪽의 문화권(주로 임진강 이북의 연천군) D. 임진강(한탄강 포함) 남쪽의 포천 일대의 문화권(임진강 이남의 연천군 포함) 등 4개의 문화권으로 나누어진다. 14) 경기지역 고인돌의 전파경로는 ① 강화도와 한강 하류에서 임진강 북쪽으로 영향을 주어 임진·한탄강이 만나는 연천 지역에서 발달했고, 이것이 영평천을 따라 포천 일대의 탁자식 고인돌로 연결된다. ② 강화도와 한강 하류의 고인돌 문화는 서해안과 안양천을 따라 안산, 안양, 수원을 거쳐서 진위천변의 화성지역 일대까지 영향을 주었다. ③ 양수리 유역의 고인돌이 남북한강으로 전해지며, 남북한강에서 다시 그 지류에 영향을 주면서 지류에는 대형 고인돌이 만들어 진다. 15) 경기지역의 고인돌은 무덤, 상징물(제단), 묘표석 등의 기능을 하고 있다. 16) 경기지역의 고인돌은 무덤방의 크기나 굄돌의 길이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탁자식 고인돌의 80%는 두벌묻기(二次葬), 굽혀묻기, 어린이 무덤의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무덤방 크기를 알 수 있는 개석식 고인돌의 86%는 바로펴묻기(伸展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17) 경기지역의 고인돌에서는 죽은 사람의 얼굴, 죽은 사람의 영혼을 하늘과 연결시키기 위한 새, 죽은 사람의 제물인 돼지, 물이나 제물을 상징하는 물고기 그림을 그린 껴묻거리 등이 출토되는데, 이는 당시 사회에서 유행했던 장례 풍습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 붉은 흙을 시체 주변에 뿌린 경우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악귀를 �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18) 경기지역에는 20톤이 넘는 고인돌의 덮개돌이 13곳에 분포하고 있는데, 강변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지류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큰 세력을 형성하는 데는 강변보다는 지류가 방어상의 유리함과 부족원의 통솔이 용이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More than about 555 dolmens(estimated at 744 dolmens) are distributed in the Gyeonggi region(including Gyeonggi-do, Seoul, and Inchon). In this thesis, focusing on rivers, characteristics of dolmens are dealt with, because water was an important factor in life in the dolmen area. 1) 54 dolmens in 16 sites in the northernmost Im-jin River Valley, 457 dolmens in 82 sites in the Han River Valley, and 44 dolmens in 21 sites in the An-seong River Valley are distributed. 2) The dolmens at Jajak-dong, Suip-ri, and Geumhyun-ri in Pochun south of the Im-jin River(south of the Han-tan River) and the ones at Yangwon-ri in Yonchon, all Table Type dolmens, are distributed more than 4km away separately, which are looked upon as altars or symbolic monuments rather than tombs. 3) Seeing that there have been no dolmens found in the broad area along the west coast of Hwasung-si, dolmens in the An-seong River Valley are seen influenced by tributaries of the Nam-han River or Kanghwado, not by A-san Bay on the lower An-seong River. 4) The number of dolmens identified by Types is 469. Among these dolmens Table Types are 137(29.2%), Capstone Types are 326(69.5%), which is the most, and Paduk Board Types are 6(1.3%). Down the south the number of Table Types is drastically reduced. 5) Groups of a new typed dolmen, which is so far not classified by types, are distributed in the Jinwi stream valley or a tributary of the An-seong River. These dolmens found in Oesammi-dong, O-san and Byungjum-ri, Hwasung are not typical Paduk Board Type. In these dolmens broad flat stones are used as Supporting Stones, which are laid down on their sides, propping up Cover Stones. This particular type is identified only in the Jinwi stream valley or a tributary of the An-seong River. 6) The size of a dolmen's Capstone is less than 3m, reaching 79% in the Han River Valley, which is the most and 74% in the An-seong River. By contrast, Capstones measuring more than 3m account for 44% in Im-jin River, which is the most. 7) Both the Nam-han River and the Im-jin River have longer tributaries. Compared with the dolmens along the rivers, the ones in the tributaries have bigger Capstones in common. 8) The average weight of a dolmen's Capstone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is 5.5 tons in the Han River Valley, 6.3 tons in the Im-jin River Valley, and 9.8 tons in the An-seong River Valley. Considering the dolmens in the Han River Valley, the average weight of a Capstone found in Kanghwado is about 4.6 tons, 5.4 tons in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 6.5 tons in the Buk-han River, and 8.2 tons in the Nam-han River. 9) The date of dolmens in the Gyeonggi region is presumed to have been from the Neolithic Age, which were spontaneously built centering around the Han River. The reasons are as follows : ① The average size of a dolmen in the Nam-han River is but 198×119×51cm, which weighs about 2.3 tons. Apparently it takes 23 men or so to carry a capstone along. If there lived 5 persons in a household and just one person from a household took part in building dolmens, it is assumed that about 115 persons(23×5) were strong enough to be able to build a dolmen. ② The most important way of determining the date of relics is to date them scientifically. The date of the relics in Yangsu-ri, Yangpyung, in the Han River Valley is put at 3,900±20bp, determined by C14 radiocarbon dating. ③ Among funerary objects pieces of comb-pattern pottery and flaked stone tools are found, which would guarantee the Neolithic Age. ④ The relics of Neolithic Age spread far and wide over the Gyeonggi region.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many folks lived here and increasing members came to be able to build dolmens. 10) There are 63 dolmens with Cup Marks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entire Gyeonggi region and found along the river and in its tributaries. A dolmen has an average of 18.1 Cup Marks. 11) Cup Marks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are carved mostly on Capstone Type dolmens. The size of a Capstone has nothing to do with the number of Cup Marks. 12) It is thought that Cup Mark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or after building dolmens and carved in hopes of cures for diseases. The probability that Cup Marks would be made by the family members and engraved with constellation can not be ruled out. 13) The dolmens in the Gyeonggi region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categories, based on location, types, density, and Cup Marks. A. Southern Gyeonggi cultural circle(Kanghwdo, western Pajoo, Inchon, a part of Kimpo, Ansan, Hwasung-si) B. Eastern Gyeonggi cultural circle(the neighborhood of the Nam- and Buk-han River) C. Northern Im-jin River cultural circle(mainly Yonchun-gun north of the Im-jin River) D. The neighborhood of Pochun(including Yonchun-gun south of the Im-jin River) south of the Im-jin River(including the Han-tan River) 14) The courses of dolmens spreading in the Gyeonggi region are as follows : ① Spreading from Kanghwado and the lower Han River to the northern Im-jin River, dolmens were developed in the Yonchun region, where the Im-jin River and the Han-tan River join, giving brith to Table Type dolmens in the neighborhood of Pochun along the Youngpyung stream. ② Dolmen cultures of Kanghwado and the lower Han River were transmitted along the western coast and the Anyang stream through Ansan, Anyang, and Suwon to the neighborhood of Hwasung along the Jinwi stream. ③ Dolmens in the Yangsoo-ri valley were transmitted to the Nam- and Buk-han River, which affected their tributaries, leading to huge dolmens in their tributaries. 15) The dolmens in the Gyeonggi region have the functions of a tomb, a symbolic monument, a tomb stone, etc. 16) When the dolmens in the Gyeonggi region, based on the size of Grave Room and the length of Supporting Stone, are considered, 80% of Table Type dolmens are characterized by secondary burial or flexed burial and 86% of Capstone Type dolmens by extended burial. 17) The face of the deceased, the bird linking the soul of the deceased to the sky, the pig sacrificed for the deceased, and the fishes symbolizing water or sacrificial offerings, which are painted on the funerary objects found in the dolmens of the Gyeonggi region, are considered as the then popular funeral customs. And some dolmens have red ochre scattered around the body, which might has the function of exorcising demons. 18) In the Gyeonggi region, dolmens with a Capstone weighing more than 20 tons are distributed in the 13 sites, which are not located along the river but in its tributaries. It is thought that in establishing power, tributaries are better for defending and governing tribes than riversides

      • 한강본류유역의 고인돌 연구

        오대양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로서 다른 유적보다도 그 모습이 쉽게 눈에 띠어 일찍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현재까지의 조사에 의하면 한강본류유역에는 총 362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한강하구일대의 서해안지역과 인접한 곳에 집중된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강변에 인접한 지역보다는 각각의 대·소하천을 중심으로 크게 5개의 밀집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류에서 상류로 올라갈수록 고인돌 수와 밀집 정도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한강본류유역의 고인돌 중에는 탁자식과 개석식이 결합된 것으로 추정되는 변형고인돌이 발견되어 주목된다. 탁자식과 개석식 고인돌의 결합된 형태는 바둑판식 고인돌의 무덤방에서 관찰되는 특징과 매우 유사하여, 이를 탁자식에서 바둑판식으로 전이되는 과정의 중간자적인 형식으로 보고자한다. 또한 하나의 덮개돌 밑으로 여러 개의 무덤방이 존재하는 형태의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 경우 덮개돌의 역할은 무덤방을 보호하는 기능보다는 묘역을 상징하는 기념물 혹은 묘표적 기능을 가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한강본류유역의 고인돌유적 주변에서는 고인돌과 연관된 것으로 판단되는 역삼동유형의 주거유적이 발견되고 있다. 주거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양상은 고인돌에서 발견되는 껴묻거리와 유사하여 고인돌 축조인들의 문화계통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고인돌의 껴묻거리 양상 및 주거유적과의 관계를 통해 볼 때 한강본류유역에서 고인돌이 축조되는 중심연대는 기원전 10~8세기정도로 편년 할 수 있겠다. 또한 고인돌의 분포유형에서 확인되는 위계적 관계에 따라 고인돌의 축조시기는 두 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개석식 고인돌을 묘제로 하는 역삼동유형의 문화인들이 기원전 10세기 정도에 한강본류유역에 정착하게 되고 점차 강화지역 고인돌 문화의 영향을 받아 탁자식과 개석식 고인돌이 병존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기원전 8세기 정도에 이르면 제Ⅰ·Ⅱ·Ⅲ 밀집군에서는 대형의 탁자식 고인돌이 군집내의 특별히 배려된 공간에 축조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유형의 고인돌은 제단이나 집단의 영역을 표시하는 기념물 등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며, 이 단계의 사회는 내부적으로 계층구조가 성립된 시기로 판단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한강본류유역 고인돌 사회의 각 밀집군별 사회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제Ⅰ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25km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당시 사회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사회였으며, 고인돌이 축조되어진 중심연대는 기원전 10~8세기 정도로 추정된다. 또한 내부적으로 계층적 구조가 성립된 단계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고인돌이 존재하며, 이 단계에는 밀집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배계층이 등장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제Ⅱ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22km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이곳은 위치상 서해안지역과 근접해 있어 인접한 강화지역 및 한강하구의 Ⅰ밀집군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인돌을 비롯한 관련유적에서 찾아지는 유물 역시 Ⅰ밀집군과 유사성을 보여 서로 비슷한 생활환경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경안천유역에 해당되는 제Ⅲ밀집군의 고인돌 축조인들은 직경 15km 정도의 생활영역을 가진다. Ⅲ밀집군에서는Ⅰ·Ⅱ밀집군과 마찬가지로 무덤이외의 상징적인 기능을 가진 대형의 탁자식 고인돌이 존재하여 내부적으로 계층적 구조가 성립된 단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제 Ⅳ지역군과 Ⅴ지역군에서는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고인돌유적이 없어 구체적인 성격은 알 수 없다. 다만 탁자식 고인돌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좁은 범위 내에 개석식 고인돌이 수기씩 모여 있는 점으로 미루어 비교적 소규모의 집단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생각 해 볼 수 있겠다. 이와 같이 한강본류역의 고인돌문화는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고인돌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지형적·환경적 여건을 비롯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고인돌 축조집단간의 사회발전정도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The Dolmen is the representative tomb type of the Bronze Age. As the appearance is more notable than other relics, it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many peopl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so far, there are a total of 362 dolmen scattered in the areas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y are mainly clustered in the western riverbank area near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Also, five big clusters of dolmen were formed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small and large sized rivers, rather than in areas close to the riverside. Progress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river to the upper part, the number of dolmen and density decrease. Among the dolmen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a transformed dolmen was found, which is assumed to be a combination of a table-shape dolmen with a grid-type dolmen. Since the combination form has very similar properties found in the tomb rooms of grid-type dolmen, it was regarded as the intermediate form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able-type to Grid-type. Also, another form of dolmen that has many tomb rooms under one covering stone was found. In this case, the role of the cover stone was suspected to be the symbol of the tomb or a landmark for a grave, rather than to protect the grave. Around the dolmen relics were found of the Yeoksamdong-style housing relics, which are suspected to have a relation to the dolmen. The relics excavated at the housing site were similar to the belongings buried in the dolmen, which enables us to assume the cultural line of the builders.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aspects of belongings in the dolmen with housing relics, it is assumed that the main period when the dolmen was built was around 10th-8th century B.C.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found in the distribution aspects of the dolmen, the building period can be classified into two. First, the Yeoksamdong-style cultural men who employed Grid-type dolmen settled down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in 10th Century B.C. As they were gradually influenced by the dolmen culture of the Ganghwa Region, the Table-type and Grid-type dolmens coexisted. In about 8th Century B.C., large-sized Table-type dolmen began to be built in the specially served spaces in the Cluster Groups of I, II, and III. It is suspected that those types of dolmen contain the properties of monuments that mark the altar or space of a group. The society in this stage reached the level of a tribal society in which the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internally. Investigating the social aspects by Cluster Group of the dolmen society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In River based on the facts above, the following can be summarized. First,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I were built 25km in diameter. The society at that time was based on farming and the main period is suspected to be 10-8 B.C. In that period, there were dolmens that were built at the stage where an hierarchicalstructure was established. In this stage, it is assumed that a special rank appeared that could exert power over the whole Cluster Group. Second,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II diameter measured 22km. Since it was close to the western coastal area geographically, we can consider the correlation with nearby Ganghwa Region and Cluster Group I of the estuary region of the Han River. The relics found at the relic site including dolmen also showed similar properties to those of Cluster Group I, from which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d a similar living environment. Third, the living scope of the dolmen of Cluster Group III, subject to Kyungan Brook, measured 15km. in diameter. In Cluster Group III, a large-sized table-type dolmen which has a symbolic function other than that of a grave exists, much like Cluster Groups I and II. The society in this stage reached the level of tribal society where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internally. As for Cluster Groups IV and V, there has been no excavation survey of the dolmen. Hence, specific properties are not identified. One thing we could learn from the fact that dense relics of the Grip-type dolmen were found in a narrow scope while there were noTable-type dolmens. It indicates that small groups of people gathered to live here. As for the dolmen culture in the area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distributed region of the dolmen. It is believed that such difference came from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in which dolmen were located as well as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and it represents the degree of social development between the dolmen builder groups.

      • 강원지역의 고인돌 연구

        김규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Dolmen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ombs of the Bronze Age, are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and most of them a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About 800 dolmens are found in the region of Gangwon, including Northern Gangwon area. This study reviews dolmen's loca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and type, size of capstone types and burial style, characteristic of the cover-stone, buried funerary objects and a period of dolmens, by investigating 383 dolmens in Gangwon area, except for Northern Gangwon, reported through land surface research and excavation. Based on results found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dolmen society in the region of Gangwon are explained. Results of the study on dolmens in the region of Gangw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cations of dolmens in Gangwon area are different in areas of Yeongdong and Yeongseo, divided by the Taebaek Mountains. In Yeongseo area, 236 out of 257 dolmens (92% of the total) are located in a flat land, indicating a high percentage of locations in a flat land. In contrast, 107 out of 115 (93% of the total) are located on a hill or the foot of a mountain, which shows a huge difference of locations in these two areas. This distinction appears in an investigation for the settlement sites which are funerary objects of living around dolmens. In addition, only 47 dolmens are individually located in 27 areas, while the rest of 341 dolmens are gathered in more than two groups in 69 areas. The average number of dolmens in one group is 5.5. In the B zone of Godae-ri, 3 relatively large dolmens which each of them weighs about 20 tons are grouped as a family burial site. 110 dolmens in Jiha-ri, Pangyo-gun of Northern Gangwon are within 1km radius of eastern and western zones, strongly indicating the community burial site for a clan or a tribe rather than for a family. Second, the type of dolmens in Gangwon area and the structure of burial are explained. The table-type of dolmens is distributed in Yeongseo area, for example, 40% by Northern Han river, 8% by Southern Han river, and 44% of Hantan river, and no table-types are found in Yeongdong area. Few dolmens which are assumed to be a table-type in Beombu-ri & Powol-ri of Yangyang, Hwapo-ri of Goseong, and Bugok-dong of Donghae are weathered out, and underground burial is out on the surface. Types of capstone types are mostly stone cist and stone-lined. Out of 67 dolmens whose size of chambers can be assumed, 23 dolmens have a chamber larger than 160cm, which is the minimum size for flexed burial. Therefore, at least 2/3 of dolmens have a type of chambers where bodies cannot be laid flat on their backs. This indicates that most of dolmens have either secondary burial service or cremation. No.1 and No.2 dolmens in Gongsu-ri, Yanggu are estimated to be structured on the floor which is covered and hardened with red soil. It appears to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ritual at the time. Stones of No.5 dolmen in Balsan2-ri, Chuncheon are lined up horizontally in the south, possibly relating to the burial ritual, and a pentagon-shaped chamber is built with 5 uniform stones. Statistically, a capstone types is built by 'ㅍ' shape, but if the body is cremated and buried on the ground as the above dolmens, the type of a capstone types should not be maintained regularly. Third, stones of granite and gneiss take up 84% of materials for cover-stone of dolmens in Gangwon area, while rhyolite, limestone, porphyry and basalt take the rest of them. Cover-stones are made of basalt by Hantan river and limestone by Southern Han river. This indicates that the materials for cover-ston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and surface structure of the region. 85% of cover-stones have a length within 100~300cm, with the average length of 230cm and the average weight of 3.7 tones. Therefore, cover-stones have an average weight of which 37 people are capable of moving them. It is estimated that about 185 people are grouped in average. 44 dolmens, 11.3% of identified dolmens, have cup-marks, and the dolmen in Gunop-ri, Hongcheon has 40 cup-marks, the most number of them. There is no specific difference of cup-mark by the type of dolmens, and it is difficult to pin-point the period when cup-marks are made. Considering cup-marks are found in stones other than dolmens, it might be possible that stones with cup-marks made prior to the construction are used in making dolmens. Moreover, an activity of drilling a hole on a stone is assumed to be done repeatedly and customarily. It may contain a prayer for something such as family breeding or expansion of cultivation, necessary for the ancient life. Fourth, the period of dolmens in the region of Gangwon is estimated. Funerary objects are excavated in 54 dolmens out of the total, and among them, sharpen stone arrowhead are the most, followed by patternless earthenware and sharpen stone dagger. Among peculiar funerary objects, a fan-shaped bronze axe was found in a dolmen in Joyang-dong, Sokcho, and skeleton was found in a dolmen in Yeoryang-ri, Jeongsun. According to the radiocarbon dating of and excavated funerary objects collected from dolmens and settlement sites as well as estimated periods of dolmens in North Korea and the Southern area, the period when dolmens in Gangwon area were built is assumed 10~5 century, BC, which its maximum is 15 century BC and the minimum is set around 1 century, BC. Fifth, the function and restoration of a society for dolmens in the region of Gangwon is explained. It is obvious that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dolmen is to bury a human body. A dolmen as a tomb site can be assumed by facts of excavation of human skeletons, social grouping, and existence of funerary objects. However, there are numerous dolmens without above conditions. In particular, few of table-style dolmens have a smaller chamber than its cover-stone, meaning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as a tomb. In some cases, dolmens are distributed individually, rather than groups. Among dolmens in Gangwon area, some of them are considered as a table for the ancestor ritual, based on their locations. Nevertheless, most of dolmens are grouped and only 47 dolmens are existed individually. Dolmens in Gunop-ri of Hongcheon, Maeil-ri of Hoengseong, Toseong-ri No.1 of Cheolwon can be categorized as the one used for the ancestor ritual. These have a flat cover-stone, table-styled, and are individually loc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be assumed as such. A dolmen society may be a tribal community with extensive closeness. It can be viewed as a tribal society, a prior step to the foundation of nation, which is often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explaining the establishment of ancient societies in Korea. It would be a simple chiefdom society with about 1,000 members, rather than a complex chiefdom society whose community members are more than 100,000 in several region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a dolmen society, which is a type of bombs made in Bronze Age. It is clear that the speed of social development becomes faster as it approaches to the modern society, and vice versa. Neolithic Age and Bronze Age would be slowly developed. Therefore, the change of tombs, having a conservative characteristic, is assumed same. Periodic distinc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are not definitely in agreement, meaning that the end of Neolithic Age does not indicate the end of a clan society. To be clear, if the peak of a dolmen society is placed in the early stage of Bronze Age, there should be more explanations for a clan society and an unequal society in middle and late stage of Bronze Age when the social classification was at its peak. When a dolmen society is explained as a society of tribal head, the hereditary status should be socially institutionalized. Of course, the Bronze Age is the period of an enormous change of the prehistoric age in Korea, when the agricultural society was about to be stabilized and equality as a social value was changed to inequality. Radiocarbon dating becomes a useful instrument to estimate the period of dolmens in Gangwon area.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obvious explanation for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which is in transition from equal to unequal societ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identify the social status of the buried body and general social characteristics only with the size of cover-stones and buried funerary objects. Moreover, without artifacts of the high social class in dolmens in Gangwon area, it is certainly hard to state the social status of the buried body, compared to dolmens i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where artifacts of the high social class such as Liaoning bronze dagger are found. Meanwhile, it is known that about 400 dolmens are located in Northern Gangwon area. Most of them are located and highly concentrated in Cheolwon-gun, Yicheon-gun and Pangyo-gun, by Imjin River. Currently, North and South Korea have a different opinion on establishing the absolute period for the dolmen constru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 there should be a cooperative study by reports by each relic and excavated remains. The regionof Gangwon is the only region which North and South Korea share the same name, so it is desperate to accomplish the cultural unification more than anywhere else. 강원지역의 고인돌 연구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묘제의 하나인 고인돌은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한반도에 가장 많은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다. 강원지역은 북강원을 포함하여 800여 기 이상의 고인돌이 분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보고된 북강원지역을 제외한 강원지역의 383기의 고인돌을 통해 입지와 분포, 구조와 형식, 무덤방의 규모와 매장방식, 덮개돌의 특징, 껴묻거리와 연대를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강원지역 고인돌 사회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강원지역의 고인돌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강원지역 고인돌의 입지는 태백산맥을 경계로 하는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이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영서지역만 보았을 때는 257기 중 92%인 236기가 평지에 분포함으로써 평지분포 비율이 높고, 영동지역을 보았을 때는 115기 중 93%인 107기가 구릉 또는 산기슭에 위치함으로써 영동과 영서의 고인돌의 입지에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고인돌의 입지는 고인돌 주변의 생활유적인 주거지의 조사에서도 같이 나타났다. 또한 전체 고인돌 중 47기만이 47개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분포하며 나머지 341기는 69개 지역에서 2기 이상 군집을 이루고 있다. 군집을 이루는 고인돌의 평균 기수는 5.5기이다. 고대리 ㄴ지구의 3기의 고인돌은 100㎡ 지역에 20톤 안팎의 비교적 큰 고인돌 3기가 군집을 이뤄 가족묘의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북강원의 판교군 지하리에는 동서 1km 구역 안에 110여 기가 분포하여 가족묘 보다는 씨족이나 부족집단의 공동묘의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강원지역 고인돌의 형식과 무덤방의 구조이다. 형식에 있어서도 탁자식 고인돌은 북한강 유역 40%, 남한강 유역 8%, 한탄강 유역 44%로 영서지역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분포하나, 영동지역에는 탁자식이 전혀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탁자식으로 보이는 양양 범부리·포월리, 고성 화포리, 동해 부곡동의 일부 고인돌은 삭평에 의해 지하 무덤방이 밖으로 드러난 상태로 보인다. 무덤방의 형태는 대부분이 돌널형과 돌덧널형이며 무덤방 크기가 추정되는 67기 중 펴묻기의 최소 크기로 볼 수 있는 160cm 이상이 23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어도 2/3의 고인돌에서는 시신을 바로펴묻기가 어려운 무덤방의 형태를 띠었으며 이는 많은 고인돌에서 두벌묻기나 화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양구 공수리 1호와 2호 고인돌에서는 무덤방을 이루는 부분의 바닥에 붉은 흙을 뿌리고 다진 후 고인돌을 축조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는 고인돌 축조 당시의 의례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춘천 발산2리 5호 고인돌에서는 남쪽 부분에 일정하게 석재를 가로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치를 한 것으로 볼 때 매장의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정한 5개의 판돌을 이용해 오각형의 무덤방을 구성한 것도 특징이다. 통계적으로 볼 때 무덤방을 'ㅍ' 자형으로 많이 만들지만 위 고인돌처럼 노천에서 화장되어 안치하는 경우는 무덤방의 형태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강원지역 고인돌 덮개돌의 재질에 있어서는 화강암과 편마암 계통의 암석이 84%를 차지하며 유문암·석회암·반암·현무암 계통의 암석들이 나머지를 차지했다. 한탄강 유역에서는 현무암, 남한강의 석회암지대에서는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덮개돌이 사용되어 덮개돌의 재질에 있어서는 그 지역의 지질구조와의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덮개돌의 장축의 길이는 100~300cm 이내가 전체의 85%이며, 평균 길이는 230cm이고 이에 따른 평균 무게는 3.7톤 가량 된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보아 37명 정도가 움직일 수 있는 돌의 무게이고, 평균적으로 185명 정도의 인구를 유지하는 집단으로 추정된다. 확인된 고인돌 중 11.3%인 44기에서 성혈이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수의 성혈이 파여진 고인돌은 홍천 군업리 고인돌로 40개가 파여져 있다. 형식별 성혈 차이는 뚜렷하지 않으며 성혈을 판 시기도 정확히 알기 어려우며, 고인돌이 아닌 바위에서 성혈을 볼 수 있는 점으로 보아 축조이전에 파여진 바위를 석재로 고인돌을 만들었을 경우도 상정 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혈의 기능과 목적에 대해서는 바위에 구멍을 내는 행위가 지속적이고 관습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행위는 당시 생활에서 꼭 필요한 종족번식·생산의 증대와 같은 무엇인가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강원지역 고인돌의 연대이다. 전체 고인돌 중 54기에서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간돌화살촉이 가장 많으며 민무늬토기, 간돌검 순으로 많다. 특징적인 출토유물은 속초 조양동 고인돌에서 부채형 청동도끼가 출토되었으며, 춘천 천전리, 신매리, 중도, 정선 여량리 고인돌에서는 인골이 출토되었다. 고인돌과 주거지에서 채취한 시료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출토유물, 그리고 북한지역 고인돌의 연대자료와 남부지방 고인돌의 연대자료를 종합하여 볼 때 강원지역 고인돌의 중심연대는 기원전 10~5세기로 추정되며, 상한은 기원전 15세기 하한은 기원전 1세기경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다섯째, 강원지역 고인돌의 기능과 사회복원이다. 고인돌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덤으로써의 기능임은 주지하는 바이다. 고인돌이 무덤이라고 하는 것은 인골의 출토와 군집을 이룬다는 것, 그리고 껴묻거리가 있다는 것이 큰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고인돌 중에는 위의 조건을 갖추지 않은 고인돌도 상당수이다. 특히 탁자식 고인돌 중에는 덮개돌에 비해 무덤방의 규모가 작아 무덤으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군집을 이루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포하는 경우도 있다. 강원지역 고인돌 중에는 입지로 보아 제단의 기능을 가진 고인돌도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대부분의 고인돌이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고인돌은 47기에 불과하다. 그 중 제단으로 볼만한 고인돌은 홍천 군업리, 횡성 매일리, 철원 토성리 1호 고인돌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위의 고인돌들은 덮개돌 상면이 평평하고 탁자식이며 독립적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제단으로서의 용도일 가능성을 남기고 있다. 고인돌 사회는 상당한 결집력을 가진 부족 공동체 사회였을 것이다. 한국에서의 고대국가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되는 국가성립 이전의 단계인 족장사회로 보고자하며, 이 족장사회는 사회구성원의 수가 수만 명을 넘어서는 여러 지역을 통할하는 수준의 복합족장사회(complex chiefdom society)가 아닌 1천 명 안팎의 구성원을 가진 단순족장사회(simple chiefdom society) 일 것이다. 청동기시대 전시기를 통해 만들어진 분묘의 한 형태인 고인돌 사회에 대하여 특정적으로 성격을 규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부분이다. 사회발달의 속도는 분명히 과거로 갈수록 더디고 현대에 가까이 올수록 빠른 것은 분명하다. 뿐만 아니라 신석기·청동기사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보수적인 측면이 강한 묘제의 변화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이야기하는 시대구분과 사회의 성격이 명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신석기시대가 끝났다고 하여 씨족사회가 끝났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명확히 하자면 고인돌사회 또한 상한을 청동기시대 조기에 둔다면 씨족사회에서 시작하여 사회적 계층화가 정점에 달하는 청동기시대 중·후기의 불평등사회에 이르기까지는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고인돌사회를 족장사회라고 표현하는 부분은 세습적 지위가 사회제도화 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분명히 청동기시대는 본격적인 농경사회로 발전하게 되고 평등이라는 인간의 가치체계가 불평등체제로 변화해 가는 우리나라 선사시대의 대변화의 시기인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여러 유적에서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함으로써 강원지역 고인돌 연대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평등사회에서 불평등사회로의 전환기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사회성격이 분명하게 구분되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덮개돌의 크기와 부장유물을 통하여 피장자의 신분을 밝히고 사회의 성격을 밝혀내기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비파형동검과 같은 위세품이 부장되는 서남해안 지방의 고인돌과 눈에 띠는 위세품이 나오지 않는 강원지역의 고인돌을 가지고 피장자의 신분을 단언하기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한편 북강원 지역에도 400여 기의 고인돌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강원 지역의 고인돌은 대부분 임진강 유역인 철원군, 이천군, 판교군에 분포하며 밀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남과 북이 고인돌 축조시기에 대한 절대연대의 설정에 있어서 판이하게 다른게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적별 보고서와 출토유물을 통한 공동연구가 이루어져야지만 남북간의 연구결과의 차이를 극복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강원지역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과 북에 같은 지역명을 쓰는 분단지역으로써 그 어느 곳 보다도 문화의 통일이 더욱 절실한 곳이기도 하다. 주제어 : 청동기시대, 고인돌, 탁자식, 개석식, 기반식, 입지, 분포, 무덤방, 덮개돌, 성혈, 족장사회, 껴묻거리, 출토유물, 인골, 화장, 방사성탄소연대측정

      • 고인돌 유적의 보존과 활용정책에 관한 연구 : 세계문화유산 고창·화순·강화를 중심으로

        권석주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for a whole cultural property was recognized with the concept which is contrary and opposition. Many people recognizes opening the cultural property space for approaching the citizens easily that is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which is sightseeing resources for an activation of area economy that is a great part doing in utilization. However, this viewpoint be a main reason in utilization recognizes damage. Based on hypothesis that is viewpoint which i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opposition is wrong an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helpful to one another and efficient preservation could be come true as a result of an utilization.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that is December 2000 UNESCO are applied and advanced this research. For the method that gives proof, sorted domestic and foreign instance abou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lmen ruin, and tried to an actual proof analysis from the survey from the spectator who visit dolmen museum in Gochang. I drew conclusion about utilization plan in education, sightseeing, and cultural industrial side will be able to support how in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through the survey plan and an actual proof analysis. First, the aim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 cultural variety time is establishing a history and a cultural identity and discovering value of our cultural property by the full understanding with our cultural property and ultimately enjoy the value. Thus, cultural property education means making the cooperative person by promoting understanding about cooperation. Contrary to many cultural property when period of the Three States until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frastructure about the dolmen shorts for lack of data of the dolmen. But the Bronze Age which is a important time for our country when built the dolmen, so, education about understanding of the dolmen has major implication relates with a historical identity establishment. Having recognition firmly about our history and culture can be realized the love which is special value about our cultural property also it will affect efficient preservation management. Secondly, each local self-governing group puts many effort for area economic activation and raising area image because many people enjoy sightseeing with increase of leisure time and sightseeing population will be augment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But tourist resort development for economic profit hastily without sufficient politic investigation and insurance of basic data, can produce bad results which makes damage and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 of cultural property seriously. Therefore, if there is worry which will be damaged and destroyed cultural property, it will be restricted strictly no matter how there is a goal which is good. Also, cultural heritage sightseeing should be a opportunity for well delivers the immanence value and the essential meaning. So, a sufficient recognition and the good eye about cultural property by sightseeing will become the help i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Like this sightseeing resources plan, the dolmen ruin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is viewpoint. Currently all respectively ruins of Gochang, Hwasun, and Ganghwa have the clearly mean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Thus, the dolmen needs the approach which applies the strong point which the respectively ruins and the connection system about registration in world-wide cultural heritage that to save the point of sameness.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which is very useful for a full understanding and the good eye about our cultural property by the preservation dolmen ruins. Third, the utilization from the cultural industrial is the field which is the possibility of useful applying without damages and contact cultural property. These days, revival to the value which is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perty expedites technologies which are various possibility of becoming an added value. There is an utilization plan which is various forms about like this engineering development to cultural industrial application of the dolmen ruins.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trying to think applications with the various goods and character by developing the brand which uses the value and a creativity with from the world-wide cultural heritage, application as the sourceful subject of various creation develops by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energy from the dolmen, uses the goods development and a design application which is various applies of the dolmen and excavation from the dolmen, and cyber museum operation plan etc.

      • 남해안지역 묘역식 고인돌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김정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묘역식 고인돌은 송국리문화가 확산된 청동기시대 후기에 집중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한다. 특히 경남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유적이 조사되었으며, 크기와 수량으로 보았을 때 거점 또는 중심취락으로 발전하면서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묘역식 고인돌에 대해서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유형화를 통해 지역적인 특징이 주로 연구되어 왔다. 앞으로 영남지역 묘역식 고인돌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밝혀진 자료들을 정리하고, 한층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남 남해안지역에 분포하는 묘역식 고인돌을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 껴묻거리, 장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청동기시대 후기 고인돌 문화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는 묘역식 고인돌 89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청동기시대 무덤양상도 함께 검토하여 지역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된 특징을 주변 유적과도 비교하였다. 묘역식 고인돌의 구조는 크게 묘역시설과 무덤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묘역시설은 1단의 구획석과 깬돌깔기를 가장 많이 채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덤방은 돌덧널무덤 형태가 대부분이며 돌널무덤, 움무덤 순으로 나타났다. 무덤방의 너비와 길이 비는 주로 1:2.5∼1:5 사이에 분포하며, 돌널무덤에 비해 돌덧널무덤의 크기 변화폭이 큰 것으로 확인된다. 껴묻거리는 간돌검, 돌화살촉, 붉은간토기, 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간돌검은 대규모 유적을 중심으로 출토량이 많지만 묘역식 고인돌에 껴묻기된 비율이 적고, 돌널이나 돌덧널무덤에서 많이 찾아진다. 이는 개인보다 무덤군을 조성한 집단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돌화살촉은 후기에 해당하는 뾰족한 일단슴베 화살촉이 주를 이룬다. 붉은간토기는 지역적으로 특정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옥은 사천과 통영을 중심으로 출토 비율이 높아 무덤 축조집단간 장례습속의 유사성과 차이점이 확인된다. 껴묻거리가 출토되는 위치는 널 안과 밖으로 구분되며, 종류에 따라 착장, 패용을 감안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옥은 무덤방 축조 전과 주검 안치 후 뿌리는 의식을 행함으로써 죽음을 알리는 의례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묘역식 고인돌의 묘역 일부분에는 붉은간토기가 묻히거나 다량의 토기조각이 찾아짐으로써 무덤 축조 이전과 이후에 제의 행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남해안지역 묘역식 고인돌에서는 남강 유역권에서 조사된 묘역식 고인돌과 비슷한 구조적 특징들이 파악된다. 고성 삼덕리 유적의 원형과 장방형 묘역 배치양상은 산청 매촌리 유적과 비슷하다. 또한 보령 평라리 유적에서 확인된 구조인 판돌을 세워 만든 구획석은 고성 삼덕리 유적을 비롯하여 사천 소곡리 유적, 진주 평거동 유적 등에서 비슷한 구조가 조사되었다. 묘역석의 일부를 포개어 까는 방법은 사천 덕곡리 유적에서 조사되었는데, 산청 매촌리 유적과 진주 가호동 유적에서 같은 방법이 찾아졌다. 묻기는 인골자료와 무덤방 크기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바로펴묻기가 약 50%를 차지하며, 굽혀묻기도 약 37% 비율로 나타난다. 두벌묻기는 소수만 확인되는데, 화장의 흔적은 아직까지 조사된 예가 없다. 남해안지역에서 묘역식 고인돌의 축조시기는 유물의 변화양상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로 미루어, 서기전 8∼4세기가 중심연대로 파악된다. 하한은 일부 유적에서 점토띠토기, 세형동검과 굽다리접시(두형토기) 등이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이보다 약간 늦은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