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T-PCR 기법을 활용한 고양이의 호흡기 병원체 유병률 조사 연구

        정성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양이 상부 호흡기 질환(URTD)은 광범위한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증후군으로서, 일반적으로 고양이 FHV, FCV, B. bronchiseptica, C. felis 및 M. felis, P. multocida와 같은 병원체에 의하여 유발된다. URTD 고양이들은 콧물, 재채기, 그리고 결막염과 같은 주요 임상 징후가 쉽게 관찰된다. 무-증상의 보균 고양이나 면역이 억제된 고양이들은 B. bronchiseptica, M. felis, C. felis와 같은 인수공통병원체를 전파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RT-PCR 기법을 활용하여 호흡기 증상 있는 고양이(n=53마리)와 건강한 고양이(n=47마리), 총 100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고양이 호흡기 병원체의 검출율과 그 유병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0마리 중에서 53마리에서 병원체가 검출되었다. 세분하여 살펴보면 단독 감염이 37마리이었고, 이중 감염이 15마리, 그리고 삼중 감염은 1마리 검출되었다. 53마리의 양성 고양이에서 M. felis가 29마리로 가장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고, P. multocida가 18마리, 그리고 FHV가 10마리 등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그리고 53마리의 양성 고양이들 중, 단일 병원체만이 검출된 37마리의 임상증상을 보면, 13마리(35%)의 고양이에서 콧물과 재채기 증상이 가장 흔하게 나타났지만, 무-증상의 고양이도 10마리(27%)로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100마리 고양이 중, 실외와 실내에서 생활하는 고양이는 각각 51마리와 49마리이었고, 그 중에서 실외와 실내에서 생활하는 고양이들의 병원체 검출은 각각 35와 18마리이다. 한편, 검출된 병원체 중에서 M. felis가 29마리로 가장 많았는데, 실외 거주 고양이가 20마리었고, 실내 거주 고양이는 9마리었다. 그리고 양성 고양이들의 년령을 살펴보면, 1년령 이하가 10마리, 1~3년령이 26마리, 그리고 3년령 이상이 17마리였는데, 역시 M. felis가 모든 년령대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번 연구 자료는 비록 검사 개체 수가 많지는 않지만, 특정적인 구역, 품종, 나이, 성별, 생활환경이 아닌 무작위로 선택된 고양이를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국내 고양이의 상부 호흡기 질환에 대한 보편적인 기초 연구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고양이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자 조형 연구 : -감정 표현을 중심으로-

        유심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 개요 인류의 역사 속에서 고양이는 인간과 함께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으며 하나의 예술적 주제로서도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고양이는 독특한 개성과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데, 이 감정들은 종종 예술가들에 의해 다중적인 의미로 표현된다. 동서양의 문화와 역사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고양이를 주제로 한 예술품들은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동시에 그 지역과 그 시기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데, 처음에는 쥐를 잡는 가축에서부터 사람들이 싫어하고 무서워하는 악마, 그리고 사람들의 친밀한 동반자가 되기까지, 예술적 표현으로서 고양이의 변화된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늘면서 고양이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증가하여 반려 동물로 기르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사람들은 특별한 애칭을 사용하여 부르고 스스로를 고양이 집사라고 자처하며 고양이를 위해 많은 것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사회에는 고양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 현상들이 양산되고 있다. 고양이 카페, 고양이 서점, 고양이 아트페어, 고양이 스테이션, 심지어 고양이 영화와 고양이 섬까지 생겨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양이가 표현하는 기쁨, 조용함, 지루함, 슬픔, 두려움, 고독, 경각심 등 감정에 따라 표현되는 변화와 상태를 관찰하여 현대인의 다양한 삶을 고양이의 친근한 이미지를 통해 쉽고 즐겁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고양이의 신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비교, 과장, 변형, 상상 등의 표현기법을 통해 고양이의 감정을 형상화하여 다양한 표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박한 일상 속에서 자신의 삶을 보다 객관적이고 깊이 있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양이에 감정적 표현의 다양한 시도와 조형적 형태의 재해석은 미적인 정서와 감성을 한층 높일 수 있었으며 앞으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정형화된 고양이의 형태뿐만 아니라 과장과 변형을 통한 새로운 표현으로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고양이 개체수 관리 프로그램(TNR) 연결망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 : 고대앞마을 묘살이길 사례를 중심으로

        권무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attempts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TNR program in the light of the Actor-Network Theory (ANT). "Trap-Neuter-Return," abbreviated TNR, is a program designed to control the feral cat population by capturing and neutralizing feral cats. This program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vacuum theory,' the theory that questions the efficacy of cat euthanization programs. The vacuum theory finds the reason for the failure of mass cat euthanization programs that could not stop the persistent influx of new cats from the fact that it overlooked the cat’s instinct to take up the former sphere occupied by euthanized cats. As such, the advocates of the vacuum theory suggest that the TNR program is the best alternative to euthanasia program, in that the mass neutralization would eventually stop the influx of new cats. Further, the TNR program, they argue, can significantly alleviate the problems caused by feral cats, as the neutralization can reduce cat noise and quarrel sound during mating season. Still, the scientific efficacy of the TNR program is controversial, as demonstrated in the mixed responses from scientists who appraised the impact of the TNR program (Calver & Fleming, 2020). The controversy over the TNR program is also ongoing between veterinarians and cat activists as exemplified in the recent conflict between veterinarians and activists over the revision of the TNR Program Guidelines in 2021. Despite the controversy over TN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continuing to expand the TNR program as an animal welfare policy. According to survey by the South Korea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2021), the number of neutralized feral cats and TNR operating costs increased every year since 2018. Namely, the unclear efficacy of the program notwithstanding, the TNR appears to have secured the backing of the government that seeks to promote animal welfare. Despite a series of problems vis-à-vis TNR program requiring social, ethical, and environmental urgency, related academic research is insufficient. Some studies conducted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scientific uncertainty of the TNR program and the role of lay-activists because of dichotomous view on science. For this reason, previous studies remained in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related problems.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hrough the Actor-Network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TNR program in two dimensions. First, at the general level, the process of forming a 'TNR-network' is described.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how each actor’s meaning and roles in the network can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way in which a network is formed. Next, at a empirical level, the case of Myosal-gil activists running the TNR program in the Godaeap Village, Dongdaemun-gu is analyzed. Through the ANT analysis, this paper argues that one must consider non-human actors in order to make sense of the problems vis-à-vis TNR program, given the various non-human actors involved in the TNR network that this paper identifies. Cat activists are active actors who practices more than what is stipulated in the guideline with informal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well as political methods. Through these experiences, activists can acquire informal expertise. This paper clearly reveals the scientific uncertainty of the TNR program and the role of non-expert-activists, which have been overlooked. Such research can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forming meaningful TNR discourse in the future. 본 논문은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을 바탕으로 ‘TNR 연결망’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TNR은 ‘포획(Trap)-중성화(Neuter)-방사(Return)’의 약자로, 길고양이를 포획한 후, 중성화하여, 포획 장소에 방사하는 길고양이 개체수 관리 프로그램이다. TNR 프로그램은 소위 ‘진공 이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다. 진공 이론은 영역 동물인 고양이의 특징으로 인해, 한 지역의 길고양이를 제거(안락사)하더라도 또 다른 길고양이가 그 자리를 차지하여 같은 문제를 반복적으로 일으키기 때문에 안락사를 통한 길고양이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진공 이론에 따르면, 문제는 길고양이를 중성화한 후 해당 영역에 재방사하여 다른 길고양이의 유입을 막음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중성화된 길고양이는 발정음을 내지 않고 번식 다툼을 하지 않게 되므로, 중성화를 통해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TNR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그러나 TNR 프로그램의 과학적 효과는 확실치 않다. 예를 들어, TNR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과학 논문의 태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Calver & Fleming, 2020). 2021년 TNR 실시 요령 개정을 두고 벌어진 수의사와 활동가 사이의 갈등은 TNR 옹호자들조차 하나의 생각을 공유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같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정책으로서 TNR 프로그램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2021)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 개체수와 TNR 운영비용은 2018년 이래로 매년 증가하였다. TNR 프로그램의 과학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정책으로서 TNR 사업은 계속 공고화되고 있는 것이다. TNR 프로그램과 관련된 일련의 문제들이 사회적‧윤리적‧환경적 시급함을 요구하지만, 관련 학술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수행된 일부 연구는 내재된 이분법적 과학관으로 인해 그동안 TNR 프로그램의 과학적 불확실성과 비전문가-활동가의 역할에 주목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선행연구들은 관련 문제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넘어설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학의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해 이분법적 과학관을 극복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분석은 두 가지 차원에서 이뤄진다. 먼저 일반적 차원에서, ‘TNR-연결망’이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한다. 연결망이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행위자들은 다른 의미와 역할을 부여받는다. 다음으로 사례적 차원에서, 동대문구 제기동 고대앞마을에서 TN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묘살이길 활동가 사례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TNR 연결망에 다양한 비인간 행위자들이 연루되어 있으며, 이 같은 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고려 없이 관련 문제를 풍부하게 이해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비전문가-활동가들은 TNR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 비공식적인 지식과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치적 수단을 활용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활동가들은 비공식적 전문성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간과되어온 TNR 프로그램의 과학적 불확실성과 비전문가-활동가의 역할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 같은 연구는 앞으로 의미 있는 TNR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 국내 배회고양이의 톡소플라스마 감염수준 및 Feline calicivirus의 분리 및 동정

        박인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국내 야생 고양이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야생 고양이의 인수 공통 전염성 질병에 대한 예방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아울러 고양이들의 질병 발생율 증가도 예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고양이에 대한 주요 질병의 감염상황은 거의 파악되어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광주북구지역내에 서식하고 있는 배회고양이에서 톡소플라스마증과 칼리시 바이러스의 감염율 파악과 바이러스 분리 동정을 실시하였다. 검사방법은 2000년 2월부터 수집하기 시작한 배회고양이 150마리는 모색에 의해 얼룩(79), 줄무늬(30), 단색(17), 호피(16), 기타(8)로 구분되었다.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냈으나 부검시 임신, 외상 또는 농양이 존재하는 것이 소수 있었다. 칼리시 바이러스와 특소플라스마증에 대해서는 간접형광항체법(IFA)으로 혈청내 항체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감염증은 8.2% (7마리)를 나타냈다. 바이러스 분리를 위해 150두분에서의 비즙, 구강액, 기관 및 폐조직을 CRFK cell에 접종한 결과 8두의 배회고양이의 폐재료에서 CPE를 보이는 바이러스주가 분리되었고 단크론성 항체를 이용하여 FCV로 동정되었다. 이들 동정된 FCV는 직경이 약 42 nm이었고 전형적인 특징을 보였다. 이들 분리주들의 전자현미경상은 round form이었다. 더불어 FCV에 대한 단크론항체를 이용한 형광항체의 결과 특이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시 주변에 고밀도로 서식하는 배회고양이에서의 톡소플라스마증과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의 감염율을 다시금 확인하였고, 국내 처음으로 국내 서식고양이로부터 FCV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이후 이들 배회고양이에 대한 병인학적 및 전염병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하며 우리 나라의 배회 및 애완고양이에 대한 인수공통 및 전염병원체의 분포와 병원성의 확인이 필요하다. With considerable increase of stray cat population in Korea in recent years, the the outbreak of zoonotic disease among stray cats has also been increased, while there are a quite a few informaton on the serological prevalence of major feline diseases of stray cats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high popularity of human being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nfection rate to Toxoplasma gondii and feline calicivirus (FCV) in stray cat lived in the area of Pugku District,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Feb to May 2000, 150 cat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s spotted(79), stripe(30), single-colored(17) hair pattern, and other(8). Most of them externally showed the normal physical -25- condition except pregnancy, accidental trauma or focal abscessation in a few cases at necropsy. Eight-five sera against T. gondii and FCV were used and tested by indirect immunofluosescent antibody test. As the result, there were seropostives to T. gondii (12 cases) and FCV (7 cases), respectively. CRFK cell line was used for the isolation to FCV from lung materials of 150 cats. Among them, the cytopathic effect was confirmed in 8 isolates which were identified as FCV using monoclonal antibody to FCV and also reconfirmed the typical viral particles with 42 nm in diameter by electron microscopy. Consequently, th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stray cats wandering in the metropolitan city with high population in Korea are exposing against T. gondii and FCV and thu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cological and epizootiological monitoring system to stray cats in the area with high density of human beings soon. In addition, it is certain to need the further trials on the prevalence and pathogenicity aganist zoonotic and contagious pathogens in stray and pet cats in this country.

      • 고양이(猫)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 소품 연구

        안복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양이는 일반인들의 생각보다 야생적 습성에 매우 민감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화나 이야기의 소재로 많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에게 아주 친숙한 애완동물의 한 종류이다. 다른 가축만큼이나 인류와 더불어 생활을 함께 한 시간이 긴 고양이는 은밀하고 추측 할 수 없는 그 성격으로 인해 고대에는 범접하기 어려운 신화적 상징이나 토템의 소재였으며, 그러한 이유로 계속하여 인류의 곁에 있었으면서도 한편으론 친근하지 못한 동물이었다. 그러나 근현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고양이는 애완동물로서 뿐만 아니라 문화적 소재나 회화, 조형적 소재로서도 친근하게 인용되어지며 인간과 더욱 가깝게 생활하게 됨으로써 사회적으로도 친숙한 존재가 되어왔다. 보통 동물의 형상 또는 그 이미지의 표현은 인류문명의 미술사와 그 기원을 함께 하고 있으며, 상징적인 표현수단의 역할을 충실히 해온 조형소재이다. 따라서 인간에게 친숙한 디자인 요소의 하나였으며, 문학과 미술, 음악 등 다양하게 은유되거나 상징화 되거나 직접적인 소재로 응용되어져 왔다. 고양이 또한 멀리 고대부터 인류와 함께 하였다. 처음에는 고양이도 야생 속에서 살다가 사람들의 필요 수단으로 인류문명 속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던 것이다. 흔히 개와 같은 다른 가축 동물과는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에게 함부로 길들여질 것 같이 보이지는 않지만 한번 정을 들이면 주인을 섬기기도하고 친구가 되어주며, 주인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으로 다른 창작물의 소재로 표현되기에 이른다. 여성적 특성으로 대변되어지는 고양이는 먼저 다른 동물에 비해 척추가 유연하여 몸의 자태가 자유롭게 표현되는 특징이 있어 재미있는 유기적 곡선이 살아있다. 유연성의 대표적인 동물이라 칭할 정도이다. 동물들의 형상을 통한 조형 작업이 고대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사람들의 은유와 상징의 표현으로 이용되었던 것처럼, 고양이도 또한 여성성, 은밀함, 신비스러움 등으로 상징되어 표현되어져왔다. 주로 동화나 전설 속에서는 신비함의 상징적 표현으로 혹은 엉뚱한 감성을 지닌 지적인 캐릭터, 인간의 사회 속에 살면서도 자신들만의 독특한 야습생활을 하는 존재로 비밀스런 집단의 하나로써 상징되어지곤 한다. 이는 고양이가 지닌, 쉽게 사람에게 동화되지 않는 개별적 존재로서의 독립성과, 신비함을 감춘 듯한 지적인 모습을 은유하여 사용한 경우가 많은 이유로 흔히 문학가의 모습에 고양이의 모습이 사색하는 듯한 감상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도 그러하다. 회화나 미술적 소재로서 고양이는 형상의 특징적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고고한 눈빛이나 요염한 자태가 집중적으로 표현되어지기도 한다. 본인도 많은 문학 소재와 회화, 조각에 의해 고양이의 신비스러움과 유머러스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본인 작업의 도자 소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생활 속에서 보여지는 고양이의 움직임과 표정에 대해 주관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본인이 즐겁게 읽었던 동화속의 고양이 이미지를 응용하였다. 애완동물로서의 귀여운 이미지를 살리기 둥근 곡선이 많이 응용되고, 추가적인 이미지로 구름과 꽃등을 연결 시켜 자유로운 고양이의 생활태도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생활 속에서 관찰되고, 경험되어지는 것과 관념속의 이미지를 고양이의 이미지와 함께 담아 표현하고자 시도하였다. 그에 따라 논문에서는 고양이가 고대부터 미술사나 회화, 문학적 소재로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이에 바탕을 두고 고양이 본래의 사실적인 형태보다 부드러운 유기적 곡선, 신체 부분 부분의 형태를 차용한 이미지와 기존 작품들에서 비추어지는 회화적 이미지를 통해 작업에 활용하였다. 또한 고양이에 대한 주관적 관찰과 본인의 고양이에 대한 감성적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좀 더 회화화 되고 유쾌한 이미지를 표현하여 작업에 반영 하였다. 작업의 전반적인 방향에서 동화나 민담이 가지는 고양이에 대한 주관적 상상력을 결부하였고, 제작 방식에 있어서 일러스트적인 이미지와 조각적 성형 방법을 작품에 반영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고양이를 응용한 생활 소품이 현대사회의 사람들을 여유롭게 하고, 본인이 느끼는 고양이에 대한 주관적 감성이 전해지기를 기대한다. Cat is very sensitive to wild habitude than people think. Nevertheless, it is one of favorite pets for human being as a popular material that shows up in myths or fairy tales frequently. Although cat has been a favorite pet of human being for a long time like other livestock, cat was a mystic symbol and a subject matter of totem in ancient times since they have mysterious and irrelevant characteristics. And for that reason, cat was not so intimate to human even though it has been live together with human for a very long time. However, as come in modern society, cat was not only a pet but also familiar subject for cultural, pictorial and formative material of human culture. Therefore, cat became very familiar animal socially. Generally, animal's shape and expression of image came along with art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and a formative subject matter that performed a role as a symbolic expression mean faithfully. So, it was one of design elements that familiar to human and has been adapted as a direct, symbolic and metaphoric subject for literature, art and music. Cat also live together with human from far ancient times. Cat was wild animal originally but they stepped in human civilization since human needs cat for their lives. Commonly, cat has different image than other pets such as dog and they seem like tamed to human hardly. However, once they became familiar to their master, they will serve their master and will become friend of master and will be a subject of other creative works with empathy of master's feeling. Cat, a prototype of feminine character, shows interesting organic silhouettes so that it is called as an emblem of the pliability, which is based on the fact its spine is softer than other animals and this helps the free expression of body figure. So, people even call cat as a typical animal of flexibleness. Like people use animal's shape to express their metaphor and symbolism in formative artworks from ancient times, cat also was an expression of symbol for feminine, mystery and privacy. In fairy tales and legends, cat used be a mysterious character who is intelligent with irrelevant sense or symbol of mysterious group that keep their own wild habitant even though they lived in a human society. Since cat has independent nature as an individual existence that hardly harmonized with human being and people usually metaphorically express cat's intelligent appearance with concealed mystery, most of writers saw and felt cerebral appearance of cat. And, it might be a reason why cat show up in a myth or fairy tales as a mysterious character as mentioned above. Cat as a material for paintings or artistic subjects not only intensively be expressed for characteristic element of shape but also bewitching figure and a proud glare. In this study, I trie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cat to pottery works of myself after I acknowledged cat's mysterious and humorous features through many literary works, paintings and sculptures. Cat's image in fairy tales that I already have read was adapted and I expressed my own feeling for cat's move and appearance that showed in a common life. To show cute image of cat as a pet effectively, round curves were adapted. Furthermore, through harmonious combination of cloud and flowers as an additional image, cat's daily life was expressed metaphorically. Moreover, I tried to express my own experiences and ideological image with cat's image together. Therefore, in this study, how cat has been adapted as a subjective material for art history, paintings and literary works from ancient times was a first consideration. Based on above consideration, pictorial image from existing artworks and metaphorical image of each body parts of cat, smooth organic curve were applied to work than cat's own realistic appearance. Also, personal accurate observation for cat and personal sensitive idea for cat were combined to apply on this work to express cheerful image and to make more caricature. For whole work process, personal imagination of cat from tales and myths was connected and illustrational image and sculpture molding method were adopted at work. Through this study, I hope my personal feeling for cat will be delivered to people and various cat's image applied living accessories will make people to live comfortably.

      • 고양이의 휴식을 표현한 도자 오브제 연구

        범영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 사이 햇살을 받으며 담벼락에 누워있는 고양이들을 종종 볼 수 있는데 그러한 모습을 볼 때면 마음의 여유가 생기는 것을 느낀다. 고양이가 휴식을 취할 때의 느긋한 모습은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며 이러한 고양이의 생태적 습성에서 보이는 다양한 행동은 독특한 형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본 연구에서는 고양이의 생태적 습성에 의해 나타나는 다양한 행동 양상과 형태적 특성을 활용하여 스토리 중심의 도자 오브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고양이의 생태적 습성의 파악에 있어 고양이의 행동 양상과 그 의미를 자료 조사를 통해 정리하였으며 인간과의 관계를 고려한 생태적 본능을 중심으로 고양이의 의인화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의 삶에 비유한 스토리 구성과 여기에 필요한 고양이 행동 패턴을 연계하여 형상 표현의 모티브로 삼았다. 고양이의 의인화에 있어 특정 캐릭터가 필요함에 따라 스토리의 주제에 걸맞은 캐릭터 조건을 설정하고 캐릭터 제작 과정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자 오브제로의 제작에 있어서는 고양이의 생태적 습성에서 비롯되는 고양이의 특정 형태를 모티브로 캐릭터의 특성에 맞추어 형상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도자 용품으로서의 일정 용도를 적용하여 기능성과 오브제의 역할을 동시에 모색하였다. 이외에 도자 오브제로서의 적절한 표현을 위해 핸드 빌딩을 비롯한 다양한 제작 방식을 시도하였으며 특히 의도하는 도자 오브제로서의 질감 표현을 위해 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의인화된 고양이의 스토리를 도자 오브제로 제작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편안함과 휴식이라는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Characterization of embryonic stem-like cells and pluripotency gene(POU5F1, NANOG) cloning in the cat

        Yu, Xian-Feng 順天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 on characterization of embryonic stem-like cells and pluripotency gene (POU5F1, NANOG) cloning in the cat. Three differ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3. The effects of different equine chorionic gonadotrophin (eCG) dosage on superovulation induction for in vivo and in vitro embryo production were examined in wild cats. In vivo fertilized blastocysts were obtained by intrauterine artificial insemination (AI) and In vitro produced blastocysts were obtained by in vitro fertilization (IV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NT) and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PA) embryos. To obtain in vivo-fertilized embryos, cats were divided in to five treatment groups and each groups were treated with 0 (control), 50, 100, 200 and 400 IU eCG followed 100 hr later by injection of 100 IU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respectively. intrauterine AI with fresh semen collected using an artificial vagina was induced by a surgical method 30 hr after injection of hCG and ovariohysterectomized at 7 day after AI. Embryos were collected by flushing reproductive tract and evaluated for embryos production rate. For in vitro embryo production, cats from each treatment group underwent an oophorectomy and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recovered from ovarys, and cultured with in vitro maturation (IVM) medium for 0, 6, 12, 18 and 24 hr. We examined COCs recovery rate, proportion of cumuls expanded versus non-expanded oocytes. We also determined first pola body in cat oocytes at 0, 6, 12, 18 and 24 hr of further maturation in vitro. The rate of in vivo blastocysts production at 200 IU eCG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he follicular response, mean number of COCs per cat and proportion of cumulus expanded versus non-expanded oocytes at 200 and 400 IU treatment groups were signig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We found that all of the results was not signigicantly different in 50 IU treatment group with control group. We also compared the quality of blastocysts by counting their total cell numbers.. The average cell number of in vivo blastocysts was higher (P ? 0.05) than those of in vitro blastocysts (IVF ? PA ? NT). In CHAPTER 4. Embryonic stem (ES)-like cells were isolated from in vivo-produced cat embryos. A total of 101 blastocysts, each containing a large and distinguishable inner cell mass (ICM), were collected from fertilized female stroller cats. The ICMs were mechanically isolated and cultured on mitomycin-C-treated cat embryonic fibroblast (cEF) feeder layer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knockoutTM Serum Replacement (KSR-medium) or fetal bovine serum (FBS-medium). Putative ES-like cell colonies developed in both KSR- and FBS-medium conditions, but formed domed and flat colonies, respectively. ICM cell attachment and ES-like cell colony form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SR-medium cultured cells, but subsequent cell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FBS-medium cultured cells. For passaging, 32 KSR-medium and 18 FBS-medium cultured colonies were separated by enzymatic dissociation or mechanical disaggregation. Enzymatic dissociation resulted in cell differentiation; however, mechanical disaggregation generated cells that remained undifferentiated over more than four passages and yielded two cat ES-like cell lines (cES1, cES2) that continued to grow in culture for up to eight passages in FBS-medium. These cells had typical stem cell morphology, expressed high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AP) activity, and were positive for the ES cell-markers Oct-4,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1 (SSEA-1), SSEA-3 and SSEA-4. These cells formed embryoid bodies (EBs) in suspension culture, although extended suspension culture resulted in cystic EBs. When simple EBs were cultured on tissue culture plates, they differentiated into several cell types, including epithelium-like and neuron-like cells. In addition, EBs were positive for mesoderm marker, desmin. After prolonged in vitro culture, some colonies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into beating myocardiocytes, and were positive for alpha-actinin (?-actinin).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cat ES-like cells were successfully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in vivo-produced blastocysts. In CHAPTER 5. POU5F1 and NANOG play important roles in the maintenance of embryonic stem cell pluripotency. Recently, we isolated cat embryonic stem (ES)-like cells from cat blastocysts generated in vivo. In an effort to identify genetic marker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cat ES-like cells, we have determined the coding sequences (CDSs) of cat POU5F1 (cPOU5F1) and NANOG (cNANOG). The sequence identity of cPOU5F1 with orthologous genes of the human and mouse was 92% and 82%, respectively, at the nucleotide level, and 94% and 83%, respectively, at the amino acid level. We identified POU-specific and POU homeodomain sequences in the CDS of cPOU5F1. The sequence identity of cNANOG with its human and mouse orthologs was 69% and 68%, respectively, at the nucleotide level, and 69% and 58%, respectively, at the amino acid level. We identified a homeodomain, a SMAD4 domain and a tryptophan repeat domain (W/QXXXX) in the CDS of cNANOG.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cPOU5F1 and cNANOG mRNA in ES-like cells and fibroblast feeder cells by RT-PCR. Transcripts of cPOU5F1 and cNANOG were detected at a high level in ES-like cells. In fibroblast feeder cells, cPOU5F1 was not detected, while cNANOG mRNA was present, but at a lower level than in cat ES-like cells. We also examined ES-like cells by immunocytochemistry, and demonstrated that cPOU5F1 and cNANOG are present at a high level in cat ES-like cells and undetectable in cat fibroblast feeder cell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cat ES-like cells can be successfully isolated from blastocysts produced in vivo, and that the expression of cPOU5F1 and cNANOG can be used as a biomarker for the characterization of cat ES-like cells. 고양이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인 분리배양 및 검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아래와 같은 3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째, 고양이 체내유래 배반포 생산과정에서 equine chorionic gonadotrophin (eCG) 의 주사량이 난소의 난포반응, 인공수정율, 난자의 체외성숙 및 체내, 체외 배반포 생산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했으며, 둘째, 이렇게 생산한 배반포로 고양이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 를 분리유도 하는 과정에서 배양액에 fetal bovine serum (FBS) 이 첨가된 배양액 (FBS-배지) 과 knockoutTM Serum Replacement (KSR) 가 첨가된 배양액 (KSR-배지) 이 초기배아줄기세포의 부착, 증식 및 미분화상태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양이 POU5F1 와 NANOG 두 다능성유전자 (Pluripotency gene) 를 클로닝 (Cloning) 및 검증하였다. 이상의 실험 및 결과들을 요약하면: 체내유래 배반포 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야생고양이를 5개그룹으로 나누어 0 (대조군), 50, 100, 200, 400IU 의 eCG를 각각 주사하였으며, 100hr 후에 100IU 의 hCG 를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다. 30hr 후 수컷으로부터 신선정액 (5x106/dose) 을 채취하여 외과적 방법으로 인공수정을 실시하였으며, 7일 뒤에 자궁으로부터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체외배양 배반포 생산을 위하여 동일한 농도의 eCG 처리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누고 hCG 처리 후 24시간 뒤에 난소적출 및 난자를 채취하고, 체외에서 0, 6, 12, 18, 24hr 을 각각 배양한 후 제1극체의 유무를 관찰하여 시간에 따른 각 그룹 유래 난자의 체외성숙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숙된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 (in vitro fertilization, IVF), 체세포 핵이식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NT), 단위발생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PA)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체외 배반포를 유도하였고 그 발달율과 세포수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체내수정란 생산은 200IU의 eCG 처리군 에서 임신율과 생산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50IU 처리군은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농도인 400IU 에서는 200IU 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200IU 와 400IU 처리군에서 성숙난포가 형성된 난소가 다른 처리군에 비하여 현저히 많았고, 이 두 처리군의 난소로부터 채취한 난자에서 cumulus cell 이 확장된 난자의 비율도 다른 처리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체외 성숙율에서도 기타 처리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다양한 방법에 의한 체외 배반포 생산에서 체외수정 방법은 단위발생방법보다 배반포기의 생산효율과 세포수가 다소 높은 성적을 보였으며, 체세포핵이식방법이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다. 비록, 체내 배반포의 생산은 체외 수정 배반포 생산 효율에 비해 낮았지만 배반포의 Quality 및 세포수가 체외 생산한 배반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고양이 배아줄기세포를 분리유도하기 위하여 체내유래 배반포로부터 기계적 방법으로 내세포괴 (Inner cell mas) 를 분리하여 FBS-배지와 KSR-배지에서 각각 키워 초기 내세포괴의 부착율과 증식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KSR-배지에서 초기유사배아줄기세포 부착율은 FBS-배지 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으나 세포의 증식율은 FBS-배지가 더 높았다. FBS-배지에서 유도한 32개의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군체 (Colony)와 KSR-배지에서 유도한 18개의 유사배아줄기세포군체를 기계적인 (Mechanical) 방법과 효소적 (Enzymatic) 방법 등 두가지 방법으로 각각 계대 (Passage) 하였다. 그 결과 효소적 방법으로 계대한 유사배아줄기세포는 계대한 즉시 분화된 반면 기계적 방법으로 계대한 유사배아줄기세포는 보다 장기간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렇게 유도한 유사배아줄기세포들은 핵이크고 세포질이 적은 배아줄기세포의 형태학적 특징을 갖고 있었으며 미분화 상태의 배아줄기세포 검증은 alkaline phosphatase (AP), Oct4, SSEA-1, SSEA-3와 SSEA-4 와 같은 줄기세포 특이성 마커 (Marker) 들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이러한 마커 들이 명확히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유사배아줄기세포의 분화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배아체 (embryoid bodies, EBs) 를 만들었고 배아체를 조직배양접시에 배양시킨 결과 유사 상피세포, 유사 신경세포 등으로 분화된것을 형태학적으로 확인 하였으며 배아체에서 중배엽 마커 인 Desmin 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유사배아줄기세포군체 (colony) 는 배양과정에서 자율적으로 박동하는 심근세포로 분화되었으며 이또한 심근세포 특이성 마커인 α-actinin 의 발현으로 검증하였다. 본 결과는 우리가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를 분리배양하는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배양에 성공한후 배아줄기세포 검증에서 매우 중요한 두 다능성 유전자 (Pluripotency gene) 인 POU5F1 와 NANOG 염기서열이 고양이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두 유전자를 클로닝 함으로써 고양이 배아줄기세포 검증과 고양이 유전학 연구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고양이 POU5F1 와 NANOG 두 유전자의 coding sequences (CDSs) 부분을 밝혀내었고 사람과 마우스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고양이 POU5F1 유전자는 뉴클레오티드 레벨 (nucleotide level) 에서 사람과 마우스와 각각 92%와 82%의 상동성을 보였고 아미노산 레벨 (amino acid level) 에서는 각각 94%와 83%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POU5F1 의 CDS 에서 POU 특이성과 POU homeodomain sequences 를 확인하였다. NANOG 를 분석한 결과 뉴클레오티드 레벨에서 사람과 마우스와 각각 69%와 68% 의 상동성을 보였고 아미노산 레벨에서는 각각 69%와 58% 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NANOG 의 CDS 에서 Homeodomain, SMAD4 domain 과 tryptophan repeat domain (W/QXXXX) 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RT-PCR 방법으로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 와 배아섬유아세포 에서 POU5F1 와 NANOG mRNA 의 발현을 검증한 결과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 에서는 높은 발현을 보인 반면 배아섬유아세포 와 성체조직 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면역염색법으로 이두 유전자의 발현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 에서는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반면 배아섬유아세포 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볼때 우리가 성공적으로 고양이 유사배아줄기세포를 분리배양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양이 다능성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밝혀냄으로써 앞으로 고양이 줄기세포 검증을 위한 Biomarker 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리라 믿는다.

      • 조선시대 고양이 가전(假傳) 연구 : <오원자전>과 <오원전>을 중심으로

        문수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는 조선시대 고양이 가전 <오원자전>과 <오원전>의 비교를 통해 조선시대 고양이에 대해 알아보고 동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했다. 이에 먼저 조선시대에 관찰했던 고양이의 생태적 특징을 종합하고, 고양이가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기능을 넘어서 반려동물로 살았던 기록에 대해 정리했다. 다음으로 가전 <오원자전>과 <오원전>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동물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양이는 개와 함께 가장 인기가 많은 반려동물이지만 인간에게 다양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의 삶에 등장했기 때문에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살펴보기에 적절하다. 고양이에 대한 기록은 애완·반려 기록으로 한정했다. 조선시대에 알려진 고양이의 생태학적 기록은 크게 눈동자, 외양과 체질 그리고 성격으로 나누었다. 고양이는 외양에서 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눈동자의 변화가 잘 보여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신비한 동물로 여겨졌다. 체질은 차가운 것으로 여겨졌으며 외양은 현재와 비슷하게 묘사된다. 성격은 기본적으로 사납고 은혜를 모른다고 보았다. 반려동물로 등장하는 고양이는 ‘특이한’ 경우로 여겨졌지만, 쥐를 잡지 않아도 사람에게 사랑을 받는 경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원자전>과 <오원전>은 고양이 가전으로 같은 고양이에 대해 다루었지만 그 내용과 해석의 방식이 사뭇 다르다. <오원자전>은 고양이의 타고난 무력과 전쟁의 방식에 집중했고 <오원전>은 고양이의 일생을 다루며 사람과의 관계에 집중했다. 고양이의 전반적인 기록과 가전 속에서의 작가가 바라보는 고양이를 보면서 동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재고해보았다. 먼저 고양이 가전의 해석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문학작품을 기존의 인간중심 해석이 아닌 동물의 생태를 중심으로 다시 해석하는 것은 문학적 해석을 통해 동물과 인간의 공존을 모색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고양이 가전을 통한 고양이의 해석을 시작으로 동물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이 생겨나고 문학이 동물과의 공존 문제에 있어 시사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野生 고양이의 人獸共通 傳染病 및 主要 感染病에 關한 調査硏究

        한동운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806

        최근 국내 야생 고양이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야생 고양이의 인수공통 감염성 질병에 대한 예방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아울러 고양이들의 질병 발생율 증가도 예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고양이에 대한 주요 질병의 감염상황은 거의 파악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양이에 발생시 피해가 클 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체의 기회감염을 유발하므로써 보다 심각한 혼합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전신성 바이러스성 질환인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FPL),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1형과 2형)을 비롯 중요한 호흡기성 질병인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염(FVR), 고양이 캘리시바이러스(FCV)와 고양이 면역결핍바이러스(FIV) 등 7종에 대하여 항체보유 수준을 파악하고 인수 공통 전염병의 원인체인 Toxoplasma gondii와 Hantavirus 그리고 3종의 리켓치아성 질병에 대한 항체보유율을 조사하므로써 이들 병원체의 전국적인 감염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아울러 수집한 고양이의 장관과 내부장기에 기생중인 연충류를 조사하였고 분변내 충란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대상은 전국을 서울·경기, 강원, 충남, 전라, 경상지역 등 5개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에서 야외에서 생활하는 고양이를 포획하여 채혈한 다음 부검을 실시하였다. 이 때 피모색깔, 체중, 성별 등을 모두 파악하였고 추정연령도 함께 조사하였다. 검사방법은 기본적으로 각 대상 바이러스와 리켓치아성 병원체들에 대해서는 간접형광항체법(IFA)법으로 혈청내 항체수준을 확인하였고, FIV에 대해서는 급속면역이동법(RIM)을 이용하여 항체유무를 검사하였으며, 특소플라스마 항체는 Latex 응집반응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각 고양이는 부검을 실시하여 내부장기와 장관내에서 관찰되는 기생충을 육안으로 조사하고 동시에 분변검사를 통하여 육안소견에서 발견하지 못한 충란을 확인하였다. 1. 1995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2년간 전국을 5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야외에 서식중인 고양이 212두(서울·경기 47두, 강원 45두, 충청 40두, 전라 40두, 경상 40두)를 포획하여 T. gondii에 대한 항체보유율을 조사하였다. T. gondii 항체 검출을 위하여 포획된 212두 고양이의 혈청에 대한 Latex 응집반응을 실시한 결과 168두(79.3%)가 음성이었고 44두(20.7%)가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T. gondii에 대한 양성 고양이의 역가별 분포는 1:32-256 배가 38.6% 1:512-2,048 배가 31.8% 그리고 4,096 배 이상이 29.5%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국내에 서식하는 야외 고양이의 특소플라스마 항체보유율에 대한 암수간의 차이는 수컷이 22.3% (23/103두)로 암컷의 19.3% (21/109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P<0.05). 고양이의 지역별 항체보유율은 서울·경기가 31.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강원(24.4%), 전라(17.5%), 충청(15.0%)지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상지역이 가장 낮은 12.5%의 항체수준을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항채보유율은 4세이상이 25%(3/12), 2∼4세가 21.6%(11/51), 1∼2세가 22.4%(19/87), 1세미만에서 19.4%(11/62)로서 연령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검사 대상 야생 고양이에 대하여 각 지역별로 서울·경기 35두, 강원 35두, 전라 35두, 충청 30두, 경상 30두 총 165두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한타바이러스와 Rickettsia tsutsugamushi, R. typhi와 R. sibirica 등 3종의 리켓치아에 대하여 IFA를 실시하였다. IFA 검사 결과 다른 질병의 감염여부와 관계없이 혈청내에서 항체 양성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현재까지 국내의 고양이들은 이들 질병에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2. 국내에 서식중인 야외 고양이를 대상으로 기생충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총 검사대상 고양이 215두 중 384두인 85.6%에서 기생충 감염이 확인되었다. 감염 고양이에서 분리된 기생충의 종별 분포는 선충류가 52.1%(112/215)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보였으며 선충류 중 Toxocara cati 가 102예에서 나타나 가장 많은 감염을 보였고 Ancylostoma tubaeformae가 9예에서 검출되었다. 다음으로 조충류가 27.9%(60/215)가 감염되어 있었는데 이 중 Spirometra erinacei가 34예로 높은 감염을 보였고 Taenia taeniaeformis 가 26예에서 검출되었다. 간의 담관내에서 Opisthorchis tenuicollis가 9두에서 검출되었고 41두(19.1%)에서 Isospora 원충이 확인되었다. 두 종 이상의 기생충이 혼합감염된 경우로는 선충·조충·원충 흔합감염이 3.3%(7/215), 선충·조충 혼합감염이 8.8%(19/215), 선충·원충 혼합감염이 4.2%(9/215), 그리고 조충·원충 혼합감염이 19%(4/215)로 나타났다. 실험대상 고양이의 연령별 기생충 감염상황을 살펴보면 2∼4세사이가 92.3%의 감염률로서 가장 높았으며 1∼2세사이도 87.6%이었고 4세 이상은 80%의 감염률을 보였으나 1세 미만에서는 78.1%로 비교적 낮았다. 부검시 확인된 성충의 감염상황은 152마리(72.3%)에서 검출되었으며 지역별 기생충 감염률 분포는 서울·경기 지역내에 서식하는 고양이가 79.6%(43/54)로 가장 높았다. 다음 경상지역내 고양이에서는 76.5%(39/51)가, 강원지역내 고양이는 65.8(25/38)가, 전라지역내 고양이는 63.2%(24/38)의 감염률을 보였고 충청지역내 고양이가 61.8%(21/34)로 가장 낮았다. 고양이의 부검시 내부장기에서 성충이 확인된 152두에 대한 기생충의 충체 숫자별 감염상황은 성충이 41마리 이상 감염된 경우가 215두 중 6두 (2.8%)이었고 6-10마리가 검출된 예가 41두(19.1%)이었고 11-20마리사이가 38두(17.3%)이었다. 6-20마리가 검출된 경우가 79두로 가장 많았고 1-5마리 사이가 27두(12.6%), 21-30마리사이가 29두(13.5%), 31-40마리사이가 11두(5.1%)의 감염을 나타냈다. 분변내 충란 검출율은 215두 중 78.1%인 165두에서 충란이 확인되었으며, 지역별 분포는 서울·경기지역내 고양이가 85.2%(46/54)로 가장 높았고 경상지역내 고양이가 82.4%(42/51)로 그 다음이었다. 강원과 전라지역내 고양이는 73.7%(28/38)로 같은 수준이었고 충청지역내 고양이에서 70.5%(24/34)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서울·경기이외의 다른 지역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분변검사에서는 Toxocara cati, Spirometra erinacei, Taenia taeniaeformis외에 Isospora sp. 충란이 32두에서 검출되어 15.2%의 감염률을 나타냈다. 말초혈액을 이용한 Dirofilaria immitis 자충 검사에서는 자충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부검시에 강원지역에서 포획된 수컷고양이 1마리에서 심장사상충이 검출되어 국내에서 최초로 고양이의 심장사상충이 감염됨을 확인하였다. 3.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 고양이 240두에 대하여 IFA로 주요한 바이러스성 질병인 FPL, FIP 1형과 2형, FeLV, FVR, FCV 감염증에 대한 항체보유율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CV의 항체 양성율은 71.2%로 가장 많은 개체에서 양성을 보였고 FPL 65.8%, FIP-1 34.6% FIP-2 21.6%순으로 나타났으며 FVR과 FeLV는 양성개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지역별로 고양이의 바이러스 항체 양성분포율은 다음과 같았다. FCV는 서울·경기에서 86%, 강원도 78%, 충청 64%, 전라 50% 그리고 경상에서 50%의 감염수준을 나타냈고 FPL 바이러스는 서울 82%, 강원 70%, 전라 70%, 충청 56%그리고 경상 47.5%의 순으로 나타나 중부지방이 남부지방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FIP-1 바이러스는 서울·경기 42%, 강원 38%, 전라 36%, 충청 34%, 경상 20%를 보였고, FIP-2 바이러스는 서울·경기 34 강원 40%, 전라 26%, 충청 24%, 경상 22.5%로 FPL 바이러스와 FIP-1 바이러스에 비해 낮은 항체보유율을 보였다. 각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역가별 분포는 혈청내 보유항체 수준이 중등도 이상으로 ++이상의 형광성을 보인 경우는 FCV가 42.1%, FPL이 22.8%, FIP-1과 FIP-2는 각각 15%와 9.1%의 수준을 보였다. FIV에 대한 항체를 경사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로 20두씩을 선발하여 총 100두에 대하여 Rapid immunomigration test를 실시하였던 바 강원지역에서 수집된 수컷 1마리에서 항체가 검출되어 국내의 FIV 발생을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국 전국적인 FIV 감염상황은 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조사 결과에서 국내에 서식중인 야생 고양이들은 사람에게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인 T. gondii메 빈번하게 감염이 이루어지지만 주요한 리켓치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감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들쥐류에 의한 매개 감염이 흔한 한타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노출이 안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조사를 통해 확인이 안된 고양이 바이러스나 리켓치아성 병원체들은 향후 광범위한 추시가 필요하며, 이들 인수공통 전염성 병원체 방지를 위해 사람 주위에 서식하는 야생고양이의 접근을 방지하고 애완용 고양이에 대한 치료와 예방 백신의 개발 등의 대책을 수립하며 보다 근본적으로 야생고양이의 수를 제한하는 대책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국내 야생고양이들의 장내기생충으로는 선충류와 조충류의 감염은 흔하지만 흡충류는 비교적 낮게 감염되어 있었고 콕시듐속 원충에 흔히 감염되어 있었다. 또한 고양이의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서는 FPL바이러스와 FIP바이러스 1형과 2형 및 FCV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노출되어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FVR바이러스와 FeLV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노출된 개체를 찾아낼 수 없었다. With considerable increase of stray cat population in Korea in recent years, the possibility of disease outbreaks among stray cats has also been increased, while no reports are available on the serological prevalence of major feline viral, rickettsial and parasitic diseases. This study was therefore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s firstly on sere-prevalence against the seven viral pathogens including feline panleukopenia (FPL) virus, feline leukemia virus (FeLV), feline infactious peritonitis (FIP) virus type 1 and 2, feline herpesvirus (FHV), feline calicivirus (FCV), and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secondly, on the nationwide status of sero-prevalence against zoonotic diseases transmitted by cats which include toxoplasmosis, Hantanvirus, scrub tyhpus, murine typhus, and spotted fever group; thirdly, on the endoparasitic infection among stray cats in Korea. Serum samples of cats were collected from five regions in Korea from November 1995 to October 1997. Geographic regions in the survey were Seoul·Kyounggi, Kangwon, Chungchong, Cholla and Kyungsang provinces. Basic anatomic and pathophysiologic conditions of all cats collected were recorded as informations on sex, breed, and age of cats. Sera were screened by indirect immunoflurescent antibody assay (IFA) far the presence of specific antibodies against Rickettsia tsutsugamushi, R. typhi and R. sibirica, and seven viruses including Hantavirus, FCV, FPL virus, FIP virus type-1 and 2, FeLV and FHV. Also, sera were examined by latex aggultination test for Toxoplasma gondii, rapid immunoimmigration test for FIV, and by modified Knot's test for Dirofilaria immitis. In addition, fecal samples of stray cat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helminth ova or protozoan oocysts. Presence of adult helminth worms in the internal organs including stomach, intestine, liver and heart was also record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Seropositives against T. gondii in 212 stray cats from Seoul·Kyounggi (47), Kangwon (45), Choungchong (40), Cholla (40), and Kyoungsang (40) were 20.7% (44 cases). Seropositive antibody titers tested were classified as 38.6% in 1:32∼256, 31.8% in 1:512∼2,048, and 29.5% in 1:4,096∼32,768. By sex, male(22.3%) showed higher in seropositives than famale (19.3%). By areas collected them, seropositives to Toxoplasma gondii were more firequently detected in Seoul·Kyounggi and Kangwon area than the others. By IFA test to hantavirus, Rickettsia tsutsugamushi, R. typhi and R. sibirica in 165 stray cats, no seropositives were detected. For endoparasitic examination, 215 stray cats collected from Seoul·Kyounggi (54), Kangwon (38), Chungchong (34), Cholla (38), and Kyoungsang (51) areas, was sacrificed. Also, 13cal test was applied by sugar flotation and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Infection of internal parasites was found in 184 cats (85.6%), Among the cases with endoparasites, 52.1% was infected with nematode, 19.1% with protozoa, 27.9% with cestode, 5.5% with trematode and 0.5% with D. immitis. In intestinal parasites in the stray cats, nematode was frequently classified Toxocara cati (102) and Ancylostoma tubaeformae (9). Most frequent cestode (27.9%) was Spirometra erinaecei (34) and Taenia taeniaformis (26). Opisthorichis tenuicollis was found in bile duct of 9 cats and Isospora spp. was also identified in 41 cats (19.1%). In mixed infection, 3.3% was infestated with nematode, trematode and protozoa, 8.8% with nematode and cestode, 4.2% with nematode and protozoa, 1.9% with cestode and potozoa. By age, the infection rate was the highest as 92.3% in 2 to 4-year old, and then was followed as 87.6% in 1∼2-year old and 80% in older than 4-year old. By areas of the sample collection, the infection rates were the highest in Seoul·Kyounggi area (79.6%) and the following orders were 76.5% in Kyoungsang, 65.8% in Kangwon, 63.2% in Cholla and 61.8% in Chungchong, respectively the detection rate of eggs in feces was 78.1%. Severe infection of D. immitis was confirmed by necropsy in one cat collected from Kangwon area where showed high prevalence of canine dirofilariasis, while no positive case was found in blood test. It suggest that the blood test to D. immitis in cats must be accompanied with other tools for definite diagnosis. By age, the endoparasitic infection was most prevalent in 2 to 4 years old ca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In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240 cats from 5 different regions, 171 cats (71.2%) showed seropositives against FCV, 158 (65.8%) against FPL virus, 83 (34.6%) against FIP virus type-1 and 271 (21.6%) against FIP virus type-2. Seropositives to FCV were detected in 86% of Seoul·Kyounggi, 78% of Kangwon, 64% of Chungchong, 74% of Cholla, and 50% of Kyoungsang, respectively. Seropositives to FPL virus was found in 82% of Seoul·Kyounggi, 70 of Kangwon, 56% of Chungchong, 70% of Cholla, and 47.5% of Kyoungsang, respectively. Seropositives to FIP-1 virus was detected in 42% of Seoul·Kyounggi, 38% of Kangwon, 34% of Chungchong, 36% of Cholla, and 20% of Kyoungsang, respectively. Seropositives to PIP-2 virus was found in 34% of Seoul·Kyounggi, 40% of Kangwon, 24% of Chungchong, 26% of Cholla, and 22.5% of Kyoungsang, respectively. For FIV, 100 stray cats was tested but only one male stray cat in Kangwon area was positive. However, there were not detected the seropositives to FHV and feLV From these results, stray cats in Korea were confirmed the frequent prevalence of T. gondii infection as well as various kinds of endoparasites. Also they were consistently exposing the various viral pathogens including FCV, FPL virus, FIP virus type-1 and 2. But, stray cats in our county were fortunately not invaded by zoonotic causative agents including Hantavirus and main rickettsia and also no evidence of the infection of FHV and FeLV which ate clinically playing with the role of major pathogens in feline medicine around the world. Consequentl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there was necessary to make the ecological and epizootiological monitoring to stray cats in the Republic by the points of zoonotic views. In addition, it is certain to carry out the further trials on various pathogens in stray and pet cats in the fields of microbiology and pathology soon.

      • 영남지방 일부지역 고양이의 장내 연충류 감염상황

        최규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6

        야생화한 고양이의 장내 연충류 감염상을 알아 보고자 영남지방 일부지역에서 포획한 고양이를 조사하였다. 2001년 6월에서 9월까지 부산광역시북구의 구포시장에 위치한 한 고양이 도매상으로부터 263벌(set)의 고양이내장을 구입하였다. 구입한 내장을 실험실로 냉장 운반한 후 소장과 직장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각각의 소장에서는 연충류를 분리 수집하였으며 직장에서는 변을 채취하여 포르말린-에테르 침전집란법으로 대변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충체회수 결과, 조사한 총 263마리의 고양이 중 고양이회충이 119마리에서 검출되어 45.3% 감염률을 나타내었고, 간흡충이 6마리(2.3%)에서, 고양이주걱흡충이 47마리(17.9%)에서, 유해이형흡충이 24마리(9.1%)에서, Metagonimus spp.가 21마리(8.0%)에서, 표주박이형흡충이 14마리(5.3%)에서, 긴이형흡충이 10마리(3.8%)에서, 수세미이형흡충이 6마리(2.3%)에서, 가시입이형흡충이 3마리(1.1%)에서, 일본극구흡충이 4마리(1.5%)에서, 쥐사고흡충이 2마리(0.8%)에서, 만손열두조충이 7마리(2.7%)에서, 고양이조충이 25마리(9.5%)에서, 미동정 조충이 2마리(0.8%)에서 검출되었다. 2. 대변검사 결과, 조사한 총 263마리의 고양이 중 고양이회충란이 97마리에서 검출되어 36.9% 충란양성률을 나타내었고, 간모세선충란이 4마리(1.5%)에서, 간흡충란이 19마리(7.2%)에서, 고양이주걱흡충란이 6마리(2.3%)에서, 이형흡충류 충란이 12마리(4.6%)에서, 만손열두조충란이 12마리(4.6%)에서, 고양이조충란이 8마리(3.0%), 미동정 조충란이 1마리(0.4%)에서 검출되었다. 3. 조사한 총 263마리의 고양이 중 82마리(31.2%)에서는 연충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106마리(40.3%)에서는 1종의 연충이, 47마리(17.9%)에서는 2종의 연충이, 22마리(8.4%)에서는 3종의 연충이, 6마리(2.3%)에서는 4종의 연충이 검출되었다. 4. 조사한 총 263마리의 고양이 중 128마리(48.7%)에서는 연충란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115마리(43.7%)에서는 1종의 연충란이, 16마리(6.1%)에서는 2종의 연충란이, 4마리(1.5%)에서는 3종의 연충란이 검출되었다. 5. 고양이 회충에 감염된 총 119마리의 고양이 중 63마리(52.9%)가 1∼5마리 감염으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 6∼10마리 및 11∼20마리 감염이 각각 22마리(18.5%)이었으며 21마리 이상 감염이 12마리(10.1%)이었다. 6. 유해이형흡충은 감염 고양이당 평균 11.3마리가 검출되었고, Metagonimus spp.는 감염 고양이당 52.9마리가, 표주박이형흡충은 감염고양이당 393.8마리, 긴이형흡충은 감염 고양이당 2.0마리, 수세미이형흡충은 감염 고양이당 2.2마리, 가시입이형흡충은 감염 고양이당 14.0마리가 각각 검출되었다. 7. 유해이형흡충과 긴이형흡충은 감염된 고양이 모두가 1∼50마리 감염이었고, Metagonimus spp.는 1∼50마리 감염이 85.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표주박이형흡충은 1∼50마리 감염이 35.7%, 501마리 이상의 감염이 3마리이었다. 8. 만손열두조충은 감염된 7마리의 고양이에서 감염 고양이당 평균 1.1마리가 검출되었고, 고양이조충은 감염된 25마리의 고양이에서 감염 고양이당 평균 4.8마리가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영남지방 일부지역 고양이에 고양이회충, 간흡충, 고양이주걱흡충, Metagonimus spp., 유해이형흡충, 긴이형흡충, 표주박이형흡충, 수세미이형흡충, 가시입이형흡충, 일본극구흡충, 쥐사고흡충, 만손열두조충및 고양이조충 등의 연충이 다수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감염이 확인된 연충 중 수세미이형흡충, 가시입이형흡충, 일본극구흡충 및 쥐사고흡충등 은 우리나라에서 고양이 기생충으로 문헌상 처음 기록되는 종이다. 그리고 대변검사에서 간모세선충의 충란이 검출된 것은 고양이가 이 선충의 정상숙주인 쥐의 포식자로서 이 선충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ection status of the intestinal helminth in feral cats from Youngnam Province. A total of 263 sets of cat viscera was purchased from a wholesale store in Kupo-market, Puk-gu, Pusan, Korea. They were kept in cold storage and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The small intestine and rectum were isolated from each viscera. Helminthes were collected from the small intestine vertically resected by a scissors and identified under a stereomicroscope. The stools from the rectum were examined by the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Followings are summarized results. 1. Toxocarids were recovered from 119 (45.3%) out of 263 cats examined. Clonorchis sinensis was detected in 6 cats (2.3%), Pharyngostomum cordatum in 47 cats (17.9%), 6 species of heterophyid flukes, i.e. Heterophyes nocens (9.1%), Metagonimus spp. (5.3%), Heterophyopsis continua (3.8%), Pygidiopsis summa (5.3%), Stellantchasmus falcatus (2.3%) and Centrocestus armatus (1.1%), and Echinochasmus japonicus (1.5%) and Plagiorchis muris (0.8%) were detected. Spirometra erinacei was recovered in 7 cats (2.7%), and Taenia taeniaeformis was found in 25 cats (9.5%). 2. Toxocarid eggs were detected from 97 (36.9%) out of 263 stool specimens examined. The eggs of Capillaria hepatica were detected in 4 cats (1.5%), and those of C. sinensis (7.2%), P. cordatum (2.3%), heterophyid flukes (4.6%), S. erinacei (4.6%) and T. taeniaeformis (3.0%) were found. 3. Among 263 cats examined, 82 (31.2%) did not infect with any other helminth. A total of 106 cats (40.3%) was infected with 1 species of helminth, 47 cats (17.9%) were infected with 2 species, 22 (8.4%) with 3 species and 6 cats (2.3%) were infected with 4 species of helminth. 4. In stool examination, a total of 128 cats (48.7%) was revealed as the egg-negative. Only one species of helminth egg was detected in 115 cats (43.7%), two species in 16 (6.1%) and three species were detected in 4 cats (1.5%). 5. Among 119 cats infected with toxocarids, 63 (52.9%) had 1-5 worms, each 22 (18.5%) had 6-10 and 11-20 worms, and 12 cats (10.1%) were infected with more than 21 worms. 6. The average numbers of 6 heterophyid flukes (H. nocens, Metagonimus spp., P. summa, H. continua, S. falcatus and C. armatus) recovered were 11.3, 52.9, 393.8, 2.0, 2.2 and 14.0 respectively. 7. The worm burdens of 4 heterophyid flukes, i.e. H. nocens, P. summa, Metagonimus spp. and H. continua, were mostly 1-50 worm infections. 8. The average numbers of S. erinacei and T. taeniaeformis were 1.1 and 4.8 per cat infected.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feral cats from Youngnam Province were infected with Toxocara spp., C. sinensis, P. cordatum, Metagonimus spp., H. nocens, P. summa, H. continua, S. falcatus, C. armatus, E. japonicus, P. muris, S. erinacei and T. taeniaeformis. Furthermore among the helminthes detected in this study, S. falcatus, C. armatus, E. japonicus and P. muris are the first recorded-species as cat parasite in Korea in the literature concer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