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속철도차량의 스마트 차량기지 구축을 위한 이행 방안에 관한 연구 : 고속철도차량의 스마트 차량기지 구축을 위한 이행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論文은 고속철도차량의 스마트 차량기지 구축을 위한 이행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의 표준화 계획에 따라 동력분산식의 차량이 도입되고 있고, 최근 도입차량은 컴퓨터 제어에 의한 철도차량시스템 발전으로 차량정비진단설비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차량정비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공정관리가 필요하고, 철도차량의 예지정비를 위한 상태기반유지보수(CBM) 체계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부품단위에 대한 정비 연속성의 효율을 높여야 하며, 정비인력의 고령화를 대비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Smart 차량기지의 구현 방향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국내에서 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도입된 차량은 동력집중식의 차량이었으나, 2014년도 고속차량 표준화의 정부정책(철도산업위원회)에 따라 동력분산식의 고속차량이 도입되고 있어 동력집중식 차량과 동력분산식의 차량을 함께 정비할 수 있는 복합정비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만 차량정비 사업량과 재무적 여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차량기지 설비를 구축하여야 한다. 다음은 최근 도입되는 철도차량의 경우 견인장치, 승강문 등 모든 차량부품에 컴퓨터 장치가 적용되어 제어됨에 따라 고장징후 및 잔존수명 예측할 수 있는 상태기반유지보수(CBM) 등 디지털 시스템 구축 등의 차량정비 진단설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차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차량기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생산관리시스템(MES) 도입이 필요하고, 부품관리 효율화를 위해서는 부품을 추적하는 보수품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상태기반유지보수(CBM) 등 차량정비의 패러다임 환경변화에 따른 노동 집약적인 정비체계를 개선하여야 하며, 일괄적인 예방유지보수체계 보다는 예지정비체계를 구축해서 정비의 효율을 극대화 하여야 한다. 차량 부품의 정비연속성 확보를 위하여 택트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우선 적용된 트리포드 등의 적용된 사례를 반영이 필요하다. 정비인력 고령화를 대비해서는 스마트 설비 등을 구축하여 Smart-Factory 건설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된 본 연구 결론에 따라 Smart 차량기지의 구현 방향에 활용하고자 한다.

      • 고속철도 열차무선 전파경로손실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배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고속철도 열차무선시스템은 경부고속철도 1단계구간 서울- 동대구역 구간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동대구-부산역 구간으로 모토로라 장비로 구축되었다. 고속철도 열차무선시스템은 중앙제어설비, 중계기지국, 광중계기, 난청해소설비, 차상무전기로 구성되며 1단계는 아스트로 기반 TRS와 2단계는 TETRA 기반 TRS방식의 850M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열차무선시스템에서는 운행중인 차량과 지상과의 끊임없는 정보 송수신을 하며, 전파 경로손실 적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은 통신커버리지 및 중계기지국 선정을 위해 설계가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 열차무선시스템 구축을 할 경우 경부고속철도 및 호남고속철도의 열차무선 설계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에서 적용되는 전파경로손실 전파경로손실의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열차무선시스템 설계시 참고 적용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과 열차무선망의 전파환경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속철도 열차무선에서의 전파환경에 적합한 경로손실 특성에 측정 및 모델링을 수행 분석하였다. 고속철도 열차무선 환경은 선로구간이 터널이 없고 평탄한 직선 구간으로 열차 주행을 원활하게 되어있는 환경이며, 철로면 주위 레일, 자갈 또는 침목 등의 불균일한 특성상 반사계수의 크기가 랜덤하게 변함에 따라 철로면 반사파의 영향이 있다 고속철도 주변에서 전파수신세기의 경로손실지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고모와 영청 기지국 구간에서의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한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일반적인 경로손실 예측 모델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자유공간 전파경로손실모델은 실측치보다 작게 경로손실을 예측하였고, Okumura-Hata 모델은 실측치보다 높게 예측됨에 따라, 고속철도 열차무선시스템의 경로손실모델로 사용하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곡점을 도출과 변곡점 이후부터 경로손실 지수를 log-distance 경로손실모델에 적용 시뮬레이션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로손실지수는 2.99~3.04의 범위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의 경로손실지수를 Hata의 경험적 전파경로손실 모델을 참고하여 고속철도 열차무선 경로손실 예측 모델(LKTX)을 제안하였다 고속철도 열차무선 경로손실 예측 모텔(LKTX)에 시뮬레션한 계산 결과가 측정치 데이타와 차이가 각각 20m기지국안테나 높이에서 0.32dB, 30m 기지국안테나 높이에서0.21 dB으로 유사한 변화 추이를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경로손실 예측 모델은 향후 고속철도 열차무선시스템의 전파경로손실 산정 및 기지국 설계시 참조 할 수 있으며, 고속열차용 무선통신망의 커버리지 예측시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경부고속철도차량을 이용하여 고속철도교량의 동적거동에 관한 영향 분석

        권민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차량과 교량구조물을 총괄적으로 취급하는 해석모형 즉, 열차·교량·궤도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가능한 정밀하게 취급할 수 있는 3차원 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고속철의 속도와 각 구조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동적구조응답특성을 해석모형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규명하고 각 모형과 방법의 변화를 응용하여 해석의 정밀도를 높이고자 한다. 경부고속철도 교량형식인 PSC 박스 거더교량을 40m 단순교에 대해 뼈대요소를 사용하여 3차원으로 모형화하였다. 궤도의 불규칙성은 정상확률과정으로 가정하고, 지수스펙트럼밀도함수를 사용하여 궤도의 형상을 생성시켰으며, 기존의 궤도불규칙성등급모형에 추가하여 경부고속철도궤도 허용오차에 적합한 궤도등급모형을 새로이 설정한다. 열차는 경부고속철도차량중 하중효과가 가장 큰 동력차 및 동력객차와 객차를 연결한 다련열차모형을 3차원의 주행열차모형으로 각각 개발한다. 열차모형화는 38 자유도 모형으로 개발하여, 차체와 대차에는 연직변위, 횡변위, 종변위 및 피칭, 롤링, 요잉을 모두 고려하였다.

      • 고속철도 건설사업의 관리에 관한 연구 : 재무관리 관점에서

        김광남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부는 경부고속철도(KTX)를 예산 5조 8,462억 원, 공기 7년으로 92년6월에 착공하였으나, 93년과 98년의 두 차례 계획변경으로 사업비 18조 4,359억 원, 준공목표 2010년으로 진행하면서, 사업비 12조 7,377억 원을 들여 2004년4월에 1단계를 완성하여 개통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사업비가 3배 이상, 공사기간이 2배 이상 늘어난 KTX사업의 타당성 분석과 재무분석 자료를 통해 건설사업의 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그 해결방안을 개별사업의 기술보다는 경영관리 측면에서, 실행보다는 계획 과정에서 찾고자 초점을 맞추었다. 정부 건설사업은 공공사업이라는 명분으로 막대한 건설 비용만 지출하고 편익인 개발효과를 거두어 들이지 않아 대부분의 사업이 적자경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가 건설사업의 적자 경영으로 예산을 낭비하는 것도 문제지만, 거두어 들이지 않고 방치한 개발효과가 부동산 투기를 조장하여 국가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본 연구는 정부 건설사업도 민간사업처럼 사업의 수지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면 흑자경영이 가능하다는 건설공학과 경영학의 학제적 연구로서, 기본 용어인 건설과 건설사업을 구분 정의하고, 건설사업관리를 "사업의 목적과 수지목표를 설정하고 사업계획을 작성 관리하여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 경영"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건설사업의 절차, 건설사업 관리의 요소 등을 정리하고 특히 수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무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건설사업관리는 수지목표를 위한 재무관리를 중요시하는 전통적인 사업경영과 크게 다를 것이 없어, 수익성 있는 새로운 건설사업을 발굴하여 사업목적을 설정하고 필요한 경영기업과 건설기술을 동원하여 사업의 수지목표를 달성함으로써 사업을 종료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통일 한반도의 건설사업은 KTX 사업과 같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사업이 아니라, 토지의 가격상승으로 나타난 개발이익을 철저하게 환수하여 부동산 투기를 근절하고 흑자 경영으로 통일기금도 조성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결론 지었다. 통일 한반도의 시범 건설 사업으로 서울-평양, 인천-원산간의 두 고속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기본구상을 제시하면서, 본 연구가 통일 한반도 건설사업의 경영에도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를 걸고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opened the first stage of the Seoul-Busan Express Railway (KTX) in April 2004 at the cost of ₩12,737,700,000,000. Originally the construction of this project started in June 1992 with a budget of ₩5,846,200,000,000 and a construction period of 7 years. However this project has been revised twice in 1993 and 1998 to be completed in 2010 with a new budget of ₩18,435,800,000,000.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oject budget overruns by 3 times and the delay of construction period by 2 times of the original plan, and find solutions based on the feasibility study and financial analysis of KTX project.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is focusing on management aspects rather than engineering aspects, and on the planning process rather than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project. The government tends to waste huge budgets without proper financial management in executing the mega-construction projects justifying that the government project has the priority in the public service rather than its profitability. This is why most government projects suffer deficits in operations. This waste of the budget caused by investment without project viability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Moreover the greater concern is the declining of the nat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by the speculation in real estate due to negligent financial management of government projects. This study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the business management with the premise that the government projects should be managed as the private sector projects. This study also defines and distinguishes the basic terminologies, such as 'a construction' and 'a construction project'. It defines 'a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s 'a business management that first establishes the goals of the project, and prepares and controls the planning documents with the aim of creating new wealth.' Finally,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about the procedures and factors in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s not far from the traditional business management including a financial management. Therefore,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hould begin with searching for new profitable projects and apply various management and engineering tools to suit the real situations. Eventually,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ould accomplish the goal of the projects in due course. As a resul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onstruction projects for unified Korean Peninsular should not necessarily be huge-budgeted projects like KTX project, but be profitable projects which could accumulate funds for the unification and prevent real estate speculations by recovering profits from the construction project. Further, this study proposes the basic conception of two possible model projects ; Seoul-Pyungyang and Incheon-Wonsan express railway projects applying the concepts discussed in this study. Finally, we hope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for the future construction projects of Unified Korea.

      • 고속철도차량 주전력변환장치 전원고조파 저감 연구 : 고속철도차량 주전력변환장치 전원고조파 저감 연구

        장용오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硏究는 고속철도차량의 주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전원 고조파 영향분석 및 저감을 위한 제어필터 설계 방안에 관한 硏究이다. SRT는 수서~평택 간(61.1km)을 연결하는 수서고속철도 건설사업(2008 ~ 2017년)에 따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을 기점으로 하여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을 운행하는 고속철도차량이다. 최근 고속철도차량은 저탄소,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전 세계적으로 온난화 문제, 환경문제 등을 해소하고 교통체증으로 인한 낭비하는 시간 감소 등 경제적 효과를 제고 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전기철도는 자동차에 비해 속도 및 수송력이 수배에서 수십 배가 크고 유리하며, 적은 오염물질(이산화탄소 등 배기가스)을 배출하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으므로 현재 에너지 효율성과,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최적의 대중교통수단으로 세계적으로 고속철도차량이 그 역할과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전기철도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운용과 고품질 고속서비스 확보를 위해 고속철도차량시스템의 전력품질, 고조파 영향, 전자파장해 등 전기적 특성으로 인한 영향 및 문제를 해소하고자 꾸준한 연구와 대책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산업현장과 같이 입력전력이 비교적 안정적인 시스템에서의 고조파 발생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고속철도차량시스템과 같이 전차선 전압의 변동과 접촉에 의한 집전방식으로 인한 불안정한 입력전력을 통해 운행되는 전기철도차량만의 특수성을 설명하고, 시시각각 변동하는 입력전력으로부터 각 기기장치들에 의해 발생되는 고조파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고 그 대책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특히, SRT 주전력변환장치 입력 단에 흐르는 고조파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사용 중인 주제어기의 제어이득을 통한 제어 필터의 설계 적정성을 시뮬레이션 및 주전력변환장치 수동필터의 재설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주전력변환장치의 고조파 발생 및 영향으로는 전력변환을 위한 스위칭 시의 고조파와 주전력변환장치 수동필터와의 공진 증폭현상, 컨버터/인버터 수동필터의 설정오차에 의한 고조파 무효전력 상승 등 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주전력변환장치 컨버터/인버터 제어필터 재설정 및 컨버터 필터 캐패시터 재설계를 통해 고조파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 고속철도 신호시스템 LCC 분석에 관한 연구

        문예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체 비용에서 유지보수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철도시스템의 특성상 운영효율향상 및 예산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LCC 분석을 통해 생애 전 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비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체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기적 플랜을 세워야한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철도 고속화에 열을 올리는 만큼 안전을 담보하는 신호시스템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철도사업에 있어 차량분야 및 노반, 궤도, 교량 등 토목 건축분야에서 LCC 분석 및 다양한 경제성 분석이 이뤄진 데 반해 고속철도 신호시스템에 대한 LCC 분석 및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신호시스템의 LCC 비용 도출을 위해 30년의 분석기간과 4.5%의 할인율을 설정, 각 단계별 비용요인을 분석하여 비용 세부구조 구성 및 LCC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 생애 주기에 이르는 총 비용을 도출하여 이를 현재가치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된 고속철도 신호시스템의 비용 세부구조 및 LCC 모델을 통해 향후 관련 연구 및 기존 시스템의 교체 또는 신설 도입 시 비용 분석, 그에 따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 concentration progressed, demand for railroads with low pollution and high-speed and large-scale transportation between cities has gradually increased. Rapid transportation of railway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ocioeconomic costs,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promoting balanced land development and land use by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In line with these economic effects, the development of Korean high-speed railway technology through system localization was also accelerated to overcome technical limitations and secure high-speed railway safety. In Korea,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built through steady investment in railway projects, but as huge financial resources were required, objective and reliable economic analysis was required to efficiently execute the budget and prevent waste. Accordingl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nounced comprehensive measures to streamline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1999 and stipula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38-1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to make LCC analysis mandatory for large-scale government orders worth more than 50 billion won. The LCC cost, which means life cycle cost, refers to the cost incurred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from acquisition to maintenance disposal. LCC analysis is an efficient tool to reduce total cost and achieve high reliability. It can reduce operating and management costs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analysis throughout the plan. It provides effective support information for facility-related decisions such as design alternatives.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a lack of LCC analysis research on the high-speed railway signal system due to relatively low construction costs compared to civil and construction fields such as bridges and roadbe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total cost during the life cycle through LCC analysis of the high-speed railway signal system using LCC analysis.

      • 京釜高速鐵道가 地域觀光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洪昌植 경기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인간의 이동현상과 결부된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관광학은 그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고, 연구기법 면에서도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관광학 분야중에서 인간의 이동에 기본적으로 수반되는 관광교통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으며, 경부고속철도와 같은 사회간접자본이나 공공투자사업이 관광부문에 미치는 영향분석이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국내외적 경제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가간 교통부문의 경쟁이 한층 심화되고, 보다 차원 높은 관광교통서비스에 대한 관광객의 욕구가 커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경쟁도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전세계가 지역경제권의 교통허브(hub)를 선점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경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광교통에 대한 연구는 21세기의 하늘-땅-바다를 선점하여 국제적 관광중심지역으로 부상하고자 하는 한국 관광의 미래대비전략을 강구한다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이미 인천국제공항이 2001년 개항되었고, 신물류항 개발이 2010년을 목표년도로 진행중이다. 이와함께 한국관광산업 발전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게 될 대형국가기간사업으로 추진중인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은 1973년 12월에 건설논의가 시작되어, 1992년 6월 천안∼대전간 시험선구간 노반공사에 착수하여, 2000년 시험선 운행을 시작하였고, 2010년 최종완공을 목표로 진행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객의 이동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관광교통에 대한 이론연구의 미흡, 경부고속철도와 같은 공공투자사업의 지역관광 영향 분석에 대한 접근기법의 미흡, 국가기간교통망으로서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대비한 지역관광 발전전략의 빈곤을 문제로 제기하여 해답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21세기형 관광교통수단이라고 하는 경부고속철도가 한국의 지역관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분석하여 지역관광의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범위로는 2010년을 목표 연도로 설정하였고, 공간적으로는 경부고속철도 운행구간과 정차역이 해당하는 전지역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제2장 이론연구에서는 관광교통의 개념 및 속성, 유형과 관광교통수단으로 고속철도의 가치 및 지역관광과의 상관성 등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고, 공공사업의 타당성과 영향분석을 위한 접근기법으로 공공투자사업 및 사회간접자본의 타당성 및 영향분석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이론에 대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연구의 결과 관광교통에 대한 이론체계를 정립하였으며, 경부고속철도가 지역관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접근기법으로서 비용 편익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비용편익분석에 관하여는 세계관광기구(WTO, 1978)에서 국가 및 지역관광개발·계획시의 비용편익분석을 위하여 제시한 연구모형을 변용하여 접근하였다. 제3장에서는 경부고속철도 개통을 대비하여 한국관광교통에 대한 국내외 관광객 232명을 대상으로 관광교통 이용성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될 경우 이용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부고속철도가 관광코스 및 관광루트개발과 지역관광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부고속철도가 지역관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관련분야 전문가 250명을 대상으로 경부고속철도가 지역관광기업 발전, 지역관광시장 확대, 지역관광자원 및 상품개발, 지역관광교통시스템 확충, 지역관광환경 개선 등 5개 분야에 미치게 될 경제적 편익, 경제적 비용, 사회적 편익, 사회적 비용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총138명이 응답하였으며, 응답결과는 PC SAS package를 활용한 신뢰도분석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부고속철도는 지역관광발전에 비용보다는 편익 측면에서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경부고속철도 개통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10대 문화유적도시인 경주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관광 잠재력분석과 지역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경부고속철도가 경주지역에 미치는 비용편익에 대한 전문가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SWOT분석기법을 활용한 지역관광 잠재력 분석결과는 지역관광시장, 지역관장기업, 지역관광자원 및 상품, 지역관광교통시스템, 지역관광환경 분야별로 강점요인과 약점요인,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경주지역에 미치는 비용편익분석은 각 변수별을 경제적 비용, 경제적 편익, 사회적 비용, 사회적 편익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부고속철도가 지역관광에 미치게 될 비용요인을 최소화 하고 편익요인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서의 지역관광 발전전략을 첫째, 지역관광시장 확대전략, 둘째, 지역관광기업 발전전략, 셋째, 지역관광자원 및 관광상품 개발전략, 넷째, 지역관광교통시스템 확충전략, 다섯째, 지역관광환경 개선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역관광 발전전략은 이미 세계관광대국의 대열에 들어서기 위하여 하늘과 땅과 바다를 선점하는 21세기형 국가기간교통망계획과 국가물류계획 추진과 병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친환경·최첨단의 경부고속철도 개통의 지역관광 발전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인 기여도와 의의는 첫째, 관광교통 및 고속철도에 대한 이론적 체계정립, 둘째, 공공투자사업의 지역관광 영향분석기법으로 비용편익분석(cost benefit analysis)을 도입, 셋째, 국가기간교통망인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대비한 지역관광 발전전략을 제시 등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준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한계는 경부고속철도로 인한 지역관광수요부문의 영향분석을 수행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에서는 지역관광영향분석시 관광수급균형차원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pointed to the lack of theory study on tourism transportation that is necessary to movement of tourist, the lack of method of environment and analysis on regional tourism such as Kyoungbu Express railway(KTX) and local tourism strategys shortcomings that is prepare for opening of KTX as a national HUB traffic network. With these problem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KTX effects on regional tourism. This study set up the time scopes, space ranges and contents ranges.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cost-benefit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KTX effects on regional tourism and used SWOT analysis to analyze the tourism potential supply of case region. In chapter 2, it analyzed tourism transportation theory and express rail theory and it used the cost-benefit theory as a theory of tourism traffic effects on local tourism. As a result of theory study, research model that is transformed from the cost-benefit analysis that was used on Ph. D. Lee, Chang-Choons study and WTOs report is made clear up. In chapter 3, it carried out the propensity to use tourism transportation 232 in and out tourists who are potential user of KTX as a subject of study. The results showed us when KTX is opened, potential coefficient of utilization will be over 80%. Also KTX development can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and rise up the satisfaction of tourist course and tourist route. The study carried out 138 of 250 experts research, who are related to tourism, transport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With those research data, this study use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OVA, so it had results that KTX will effects more on Benefits of local tourism than Co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TX economic benefits on local tourism market, the decline of movement time causes increasing the tourism economic value. In the aspect of economic cost, tourist who used to take the existing airplane, train, express bus will be cut down. Also in the aspect of social benefit, tourism motivation that can cause the new tourism needs will be given and social cost wont effects on every way. Second, in the aspect of economic benefits on KTX effects on local tourism company, local tourism company development is related to it. Economic cost is to regional incomes external outflow and decline regional value added increasing. In the social benefits, tourism enterprisers internationalized management mind and seniority will be shortened. Social cost is to rising of land prices owed to investment in real estate. Third, in the sort of economic benefits on KTX effects on regional tourism resources and products development, tourism products development mixed history and culture with health and relaxation, increasing composite resort facilities and special resort tourism facilities, specialized tourism products of localism, history and culture were showed up as the same level. In the aspect of economic cost, to increase the establishment costs of new tourism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tourist information service system should be needed. Social benefit is to improvement of regional tourism Image. Fourth, in the aspect of economic benefits of KTX effects on local tourism transportation system, tourist taxi, tourist bus business as a tourism transportation will be developed. Transportation system will be advanced because of local transportation network resetting and road reconstruction. And effect of tourism composite transportation center of express rails stations is showed the same level as above. Also as an economic costs, increasing of the human resources hire costs and tourism transportation related to local society should be needed. In the social costs, the main problem is to cause the traffic congestion from increasing traffic volume around express rails stations. When it comes to social benefits, Image-up effects of Korea tourism transportation and changes of understanding of express rail construction positively is analyzed. Fifth, economic benefits on improvement of regional tourism environment is analyzed that KTX could contribute to regional tourism environment, so local tourism has the competitive power. Economic cost is showed in the increasing costs for regional residents near express rail. In the aspect of social benefits, tourism policy for local tourism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tourism system and decline of sense of rejection toward foreigners of local residents and internationalize and globalize of local society will be improved. As a social cost, complication between developers and local residents about balanced compensation depend on lands because of KTX construction. In chapter 4, this study analyzed Kyoungju region as case region with SWOT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KTX on Kyoungju region tourism, it carried out the 50 experts survey who are specialized in Kyoungju region, so it got the 32 answer sheets. Based on chapter 3s and 4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as follows. In the aspect of maximize of benefits and minimize of costs, it suggested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that explains regional tourism market expanding strategy, regional tourism company development strategy, regional tourism resources and products development strategy, setting up the regionall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strategy of improvement of regional tourism environment. This study is worth knowledge as follows. First, it suggested theological base for tourism related studies by establishing theological system about tourism transportation and KTX. Second, this study used the cost-benefit analysis when it analyzed the effects of national SOC business on tourism, so it could suggest the reasonable approach method to study this kind of studies in the future. Third, depends on the effect of opening KTX as a national hub transportation network on local tourism,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of local tourism by showing proper strategies in each aspect.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couldnt analyze the effect of KTX on local tourism demands. Therefore in the future studies, it should be the main subject of study. For that, the survey of KTX demand should be done, furthermore it could have to make proposals in the aspect of tourism demand as well as in the aspect of tourism supply.

      • 고속철도개통에 따른 역세권 지가변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역·김천구미역·신경주역을 중심으로

        강병길 동의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With the opening of express trains, daily life of small and medium cities is becoming more relevant to the spatial range of express train station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re also being affected by changes in the spatial use of land. This phenomenon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creating a ripple effect on the land use system by leading the flow of new changes, including large-scale land development around the station area.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urban space structure around the station on the basis of improved accessibility to express trains and the need for land use on the basis of the need for land price change and the opening of the express train stations. In response, this study will find out what research is required in a comprehensive and time-to-compromise manner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station prices. In this study,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land prices around express train station area by statistical verification, which can explain the factors of land use and land price change around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area. Second, the individual public land prices of the land near express trains station area were listed in a time series analysis for which the high-speed railroad was not linked to the urban railroad in question, and the land price was changedsince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road. Third, except for the history of remodeling the central station of the construction ministry, the company will analyze only the cases in which the new express trains was opened with only the history of the new express trains to seek consistency in drawing the results. Fourth, if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change in station area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road were analyzed, the errors were minimized as they were influenced only by other factors such as real estate policies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The analysis site was opened in 2010 among 37 representative stations of the express trains, and three locations with high-speed rail history were selected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Ulsan Station, Gimcheon Station, and Shingyeongju Station. The target lot is located about 1 kilometer from the station of each analysis site, and is 1,328 pieces of land with all official public land prices from 2009 to 2017 (370 pieces in Ulsan express train station area, 511 places in Gimcheongumi express train station area, 447 pieces in Singyeongju express train station area). The same plots are studied to analyze the change in land price as a result of the opening of high-speed railroad stations that show the same properties and have a continuous sequence at a time. An analysis model was used to view the variation of the land around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area, which is commonly used in real estate pric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 trains change are studied in the hedonic price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argely analyzed by the properties of land (use status, use area, shape, area), accessibility (distance to rail station, distance to road, and location of road), and utilization status (status of buildings). As a result of analysis, areas of use to which the analysis site is located are subject to problems of compensation for the acceptance of land, most of the areas are managed and green areas are delayed, and local governments are burdened by the project. The speed of development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is shown in the order of Ulsan Station, Gimcheongumi Station, and Singyeongju,and as the speed of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affects the overall rate of land price increase, the project is also conducted. In general,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closer the distance of the station, the higher the rate of land price increase, but the more intelligent the distance of express train station, the more distant the village area is. In addition, community districts that are located far from the station area are designated as Type 2 District Unit Plan, which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land prices and the impact of use for residential use are increased despite the distance between the station areas. In response, the research will provide the basis for the integrated plan between land use plan and transportation plan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for high-speed rail station by preventing inefficient development of express train stations. 고속철도개통으로 중소도시들의 일상생활이 고속철도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와의 관련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토의 공간적 이용방식에 변화가 생기면서 대중교통체계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역세권 주위로 대규모 택지개발들이 이루어지는 등 새로운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여 토지이용체계에 파급효과를 낳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고속철도의 개통으로 향상된 지역 간의 교통 접근성을 바탕으로 역 주변 도시공간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토지용도별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고속철도역 개통이 주변지역 지가에 영향을 주는 정도와 시기를 분석하는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속철도 개통이 역세권의 지가변화 특성에 대해서 포괄적이고 시계열적으로 어떠한 연구가 요구되는지 알아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고속철도 역세권 주변 토지이용과 지가변화의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를 통계 검증을 통해 찾아내어 고속철도 역세권 주변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고속철도가 해당 도시의 도시철도와 연계되지 않은 고속철도역을 대상으로 하여 고속철도 역세권 주변 토지의 개별공시지가를 시계열분석으로 나열한 뒤 고속철도 개통 이후로 토지별로 지가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어떤 것인지 세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셋째, 구도심의 중앙역을 리모델링하여 개통한 역사는 제외하고 신축 고속철도역사만으로 개통된 경우만을 분석하여 결과도출에 일치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넷째, 고속철도 개통 ․ 후의 역세권 지가변화 특성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게 되면 개통 전·후의 시간차로 인한 부동산 정책 등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속철도 개통 후로만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지는 고속철도역 37개 대표 역 가운데 2010년에 개통하였고 도시개발 사업으로 고속철도역사가 위치한 3곳을 선정하여, 울산역, 김천구미역, 신경주역 역세권의 주변 지가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철도 역세권 주변의 필지별 공시지가 및 토지이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필지는 각 분석 대상지의 역부터 1km내외에 위치하고, 동일지번에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개별공시지가가 모두 있는 총 1,328필지(울산역 역세권 370필지, 김천구미역 역세권 511필지, 신경주역 역세권 447필지)이다. 동일한 속성을 나타내고 시계열적으로 연속성을 가지는 토지의 고속철도역 개통에 따른 지가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동일 필지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분석모형으로는 고속철도 역세권 주변 지가변화를 보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부동산 가격분석 시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개별 토지특성을 반영하는 헤도닉가격모형으로 연구하며 선행연구의 특성요소를 검토한 뒤 본 연구에서 고속철도역세권 주변지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가지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크게 토지의 속성(이용현황, 용도지역, 형상, 면적), 접근성(철도역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도로접면), 이용현황(건축물의 유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지들이 속해있는 용도지역들은 토지의 수용측면에 대한 보상 문제로 인해서 도시지역이 아닌 관리지역이나 녹지지역이 대부분이고 역세권 인근도시개발 사업이 지자체의 사업비 부담으로 인해서 일정이 늦춰지면서 환승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고속철도의 접근성에 대해 겪게 되는 불편함은 인근 지역주민들에게 돌아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시개발사업의 개발속도를 보면 울산역, 김천구미역, 신경주역의 순서로 나타나며 도시개발사업 속도가 전반적인 지가상승률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고속철도개통과 함께 속도 있는 사업추진이 필요해 보인다. 보편적으로 역세권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지가상승률이 높을 거라는 인식이 있지만, 고속철도역 바로 인근은 지적정리가 잘된 전·답이 있고 그 뒤편으로 취락지구가 존재하다보니 역세권에 거리가 가까울수록 지가변동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현상들이 나타난다. 또한, 역세권에서 거리가 먼 취락지구는 제2종 지구단위계획으로 지정되어 있어 역세권과 거리가 멀어짐에도 불구하고 지가상승률이 높아지고 이용용도가 주거용일 경우 지가변동률에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비효율적인 역세권개발을 방지하며 향후 고속철도 역세권에 대한 도시개발사업 수립 시 토지이용계획과 교통계획 간 통합계획의 토대를 제공하는 보충적인 자료가 될 것이며, 신규역사의 건설과 개통에 앞서 토지이용 복합화에 따른 입체적 도시계획제도를 도입하여 고밀도 복합화를 통한 토지이용 시설과 용도의 혼합으로 입체형도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高速鐵道의 驛勢圈 開發과 그 影響에 관한 硏究

        김신 서울産業大學校 鐵道專門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Ⅰ. 연구의 개요와 목적 Ⅰ.1 연구의 개요 근대화,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는 인간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으며 특히 도시로의 집중은 도시의 발달을 급속히 진행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발달은 그 활동이 집중되는 곳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되었으며 특히 도시와 도시간의 교류가 시작되는 철도역과 그 주변 지역들은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역사와 역세권은 도시들을 연결하는 각 도시의 관문인 동시에 도시형성 및 발달의 시점을 형성하는 중요한 잠재력을 지닌 곳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신 개념 교통수단인 고속철도의 도입으로 인한 역사개발과 그 주변지역에 대한 개발 잠재력이 증대되며, 이는 도시공간 구조의 커다란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Ⅰ.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선행자료 및 기존자료 조사 등을 통해서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 및 그에 따른 파급효과와 고속철 개통후 역 주변의 생활변화 및 역세권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따른 국내·외 고속철도역(일본, 프랑스 등) 역세권 변화의 선진사례 연구를 통하여 국내 역세권 개발을 진보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1.2.3 역세권 개발의 문제점 및 필요성 역 및 역세권 개발을 통해 도시기능을 활성화하고 도시정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현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 및 개발방식에 관한 제도의 다원화로 산발적 개발이 우려됨. 둘째: 국한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이 결여된 불균형적인 개발이 일어나고 있으며 대중교통과의 연계성부족 및 환승주차 시설이 교통량의 증가추세를 따르지 못하여 도심내 교통체증 등의 이유로 교통난이 심화되고 있음. 셋째: 전문기술영역으로서 기술적인 기법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임. 1.3 연구의 진행 [표 1] 연구의 범위 및 세부 연구내용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Ⅱ. 이론적 배경 Ⅱ.1 역세권 정의 및 특성 역세권 이라함은 역의 이용세력이 미치는 공간적 영역, 즉 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여객이동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적 영역뿐만 아니라 역 주변 시설물을 이용하는 이용객에 의해 형성된 공간적 영역 등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역 주변 시설물이나 교통수단으로서 철도를 이용하는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을 말한다. 역세권 지역은 한 지역에 있어서 활동의 강렬한 결절점이 형성되고 지가의 상승을 유발하므로 지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상업 및 업무시설과 주거시설의 복합화를 통한 도시공간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Ⅱ.2 역세권 기능요소 Ⅱ.2.1 산업교류의 기능 도시 내·외의 기업간 교류기능이나 정보화시대의 시장창출, 상품전시 유통 기능 등을 의미한다. Ⅱ.22 기술연구, 교육기능 지역 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인재교육 기술연구 기능을 촉진하는 기능군으로 모험 기업육성시설(venture business incubator), 개방공동 연구시설(open laboratory), 재교육 기관 등이 있다. Ⅱ.2.3 문화교류기능 사람간의 자유로운 교류의 장으로 도시 독자문화의 양산, 인재교육의 장, 이벤트, 스포츠 등 고도의 다목적 연합 기능을 말한다. Ⅱ.2.4 고도의 정보기능 국내·외 정보를 필요에 따라 수집, 가공하여 사람과 기업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Ⅱ2.5 역세권 개발의 결정요소 역세권의 개발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공간구조 개편을 도모하는 고속철도 역사입지여야 한다. 둘째: 고속철도 이용객 분산 극대화가 가능 하여야 하며, 국제화를 위한 도시공간구조 개선전략 수행에 효율적인 지역이어야 한다. 즉, 편리한 대중교통 체계를 갖추고 추가교통시설 설치비용 최소화가 가능한 지역인 동시에 역세권 개발 파급 효과가 크고 개발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어야 한다. 셋째: 기존 철도부지, 도로하부 등 공공부문 소유 토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고속철도건설에 따른 민원이 최소화될 수 있어야 한다. Ⅲ. 선진외국 사례와 한국 역세권 개발방향. Ⅲ.1 일본사례 Ⅲ.1.1 일본 역세권 개발의 개요 일본의 역사 및 역세권 개발은 과거 10년 동안 국철 및 사철(JR)운영 경험을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역사는 각 역이 입지한 지역특성을 살리도록 다양한 형태로 건설되었다. 대표적으로 미나토미라이 역은 동경의 도시 집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동경만을 매립하여 조성한 마꾸하리 신도심의 중앙에 위치한 역이다. 개발내용: ① 요코하마 자립성강화 ② 동경에 집중되는 업무기능 일부담당 ③ 요코하마 항만의 국제기능강화(21세 정보도시) ④ 시민을 위한 취업의 장 창출 및 풍요로운 시민생활 실현.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참고: 철도청, 일본귀국 보고서, 2003, 철도경영연수원 [그림] 미나토미라이 역 Ⅲ.1.2 일본의 역세권 개발의 시사점 일본 고속철도역은 대개 기존 재래선 역을 함께 사용하여 환승이 가능하고 집객 가능성을 높였으며 역세권 개발의 기본 여건인 여객수요를 확보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칸센 개통은 1964년 도쿄 올림픽 시점이지만 역세권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1986년 JR시대로 수익성을 높이고자 새로운 부동산 개발형태로 역세권 개발을 추진한 것으로 판단된다. Ⅲ.2 프랑스 사례 Ⅲ.2.1 프랑스 역세권 개발의 개요 프랑스 역세권 개발의 특징으로는 역세권 개발을 위해서 협의정비구역 제도(ZAC)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ZAC는 시가화 수법 및 기존시가지 정비수법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제로 도시정비 수법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법의 하나로 역세권 개발에서도 이용 되어지고 있다. 대표적 역세권 개발 사례로는 릴르-유럽(TGV)역을 들 수 있다. 이 사업의 특징으로는 프랑스 정부가 릴르시를 TGV북부선의 거점도시로 지정하여 릴르역 주변의 역세권을 활성화시킨 점을 거론할 수 있다. [그림] 릴르역 주변경관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참고: 철도청, 프랑스 귀국 보고서, 2003, 철도경영연수원) 개발내용: ① 구도심에 근접한 미래의 도시 중심으로 개발함. ② 지하에 대규모 주차공간을 개발하고 상부에 상업건물 개발함. 역세권 개발시설: 오피스텔, 호텔, 백화점, 공공행정기관, 회의장, 극장, 주차장 등 Ⅲ.2.2 프랑스 역세권 개발의 시사점 첫째: 고속철도 역세권 정비를 도시의 이미지에 크게 반영함. 둘째: 역세권 개발을 통해 산업이나 경제를 활성화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크게 제고하였음. 셋째: 역세권 개발시 도시공간구조 재편의 계기로 활용 Ⅲ.3 한국 역세권의 개발방향 및 기대효과 Ⅲ.3.1 한국 역세권 개발의 방향 선진 외국의 역세권 개발사례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역세권 개발의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세권 개발은 역의 입지적 구분에 따라 대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세권의 정비 목표를 거시적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셋째: 역세권 개발시 선도사업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역세권 개발시 역사관련 시설의 종합적 일체적 정비에 의한 보행의 네트워크(Net work)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역세권 정비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Ⅲ.4.3 한국 역세권 개발의 '삶의 질'에의 기대효과 첫째: 벤처시설에 따른 취업기회 확대 둘째: 지역주민의 정보, 지식 역량 증대 셋째: 국민 생활 패턴의 변화를 초래 넷째: 지역주민 및 지역사회 경제성장 파급효과 다섯째: 지역사회 문화혜택 및 교통체증 완화효과 Ⅳ. 결론 및 시사점 고속철도역은 유동인구가 많이 모이고 흩어지는 결절지이고 연계교통의 요충지이므로 도시인구 활동의 거점으로 지역경제 중심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역이 소재한 도시의 상주인구와 역을 이용하는 유동인구의 교류를 통하여 도시 활동이 크게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되며 역세권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삶의 질'(quality life)도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은 교통복잡형, 재개발형, 신시가지형 으로 구분되는 개발 유형에 따라 신규 창업수요가 증대되며 고용창출의 기회도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연구 비교사례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듯이 한국과 고속철도개통 국가의 차이점은 아직 한국의 경우는 역사기능 중심으로 발달된 반면 외국의 경우는 역사, 상업, 업무, 숙박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개발이 함께 이루어져 있었으며 우리나라는 역세권의 개발이 통합적 개발을 수립하고 있는 반면에 외국은 부분별 개발계획으로 인해 보다 체계적인 개발방향을 구성하고 있는 상황에 있다. 고속철도 시대의 역세권 개발계획을 수립중인 정부와 지방 자치단체들을 역세권 개발을 기존의 지역개발 차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그 지역주민의 창업과 교육, 정보가 함께 공유될 수 있는 역세권 개발을 수립해야만 한다. 그럴 경우 고속철도 시대의 역세권 개발은 새로운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newly established high speed railway station may function not only just as a traffic convergence but also as an energizing force with multiple roles in the context of municipal environment.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high speed railway station zone will be considered as great opportunities as well to enhance quality of life of the neighboring inhabitants, as to develop new footholds for the inner-municipal growth and mobiliz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ffer guidelines about the effects of development of the high speed railway station zone seen from multiple aspects of municipal lifes and functions. To attain this purpose, the definition of high speed railway station zone, its characteristics, and its roles will be handled with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Japan and France. And some lessons will be proposed based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