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교 유도선수들의 감성리더십과 자기조절동기 및 수행전략의 관계

        임우성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감성리더십과 자기조절동기 및 수행전략에 관계를 알아보고 유도선수들의 감성리더십이 수행전략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기조절동기의 매개를 통하여 수행전략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의 감성리더십과 자기조절동기 및 수행전략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도지역에 의 고등학교 유도 선수 중 총 300명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방법을 통하여 선정할 것이다. 자료수집 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할 것이며, 설문지를 배경변인 6문항, 감성리더십 18문항, 자기조절동기 16문항, 수행전략 36문항으로 총 76문항으로 구성할 것이다. 설문 조사는 본 연구를 사전에 설문지에 관하여 교육을 받은 보조 조사원 2명이 고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관계자의 협조를 받은 후, 설문지를 고등학교의 유도선수들에게 배포하고 설문의 목적과 기입방법을 설명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내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하여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할 것이다. 설문지의 응답결과를 기입한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유효 표본만을 입력할 것이다. 그리고 부호화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21.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t-검증, 일원량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사용할 것이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감성리더십, 자기조절동기 및 수행전략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검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할 것이다. 둘째, 고교 유도선수의 감성리더십과 자기조절동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할 것이다. 셋째, 고교 유도선수의 감성리더십과 수행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할 것이다. 넷째, 고교 유도선수의 자기조절동기와 수행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할 것이다. 다섯째, 고교 유도선수의 감성리더십과 자기조절동기 및 수행전략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변인간의 회귀계수를 이용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nsible leadership, self-regulatory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of judo players and investigate a direct effect of the players’ sensible leadership on the performance strategy and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intermediation of self-regulatory motivation.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ble leadership, self-regulatory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of judo players at high schools, the players at th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ill be targeted as a population. 300 judo players at the high schools will be selected by a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 questionnaire is used as a data collecting tool and consists of 76 questions in total including 6 about background variable, 18 about sensible leadership, 16 about self-regulatory motivation, and 36 about performance strategy. As for a survey, 2 assistant investigators trained on a questionnaire survey in advance directly will visit to the relevant high schools, receive cooperation from school authorities, hand out a questionnaire to judo players at the schools, explain a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nd how to fill in it, enable them to respond to questions by self-administration methods, and collect the completed survey. After the collection of data including results of responses, only valid samples will be entered except for data that is known as being poor or unreliable. Also, the encoded data goes through comput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paper by using the Windows SPSS/PC 21.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paper are reliability verific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First, average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ill be carried out for a difference between sensible leadership, self-regulatory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 factors. Second,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ll be conducted to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sensible leadership and self-regulatory motivation of judo players at high schools. Third,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nsible leadership and performance strategy of judo players at high schools. Fourth,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ory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of judo players at high schools. Last, a path analysis using regression coefficients between each of the variables achieved from th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ll be conducted to investigate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nsible leadership, self-regulatory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of judo players.

      •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여가활동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이나래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에 있어서 여가활동과 생활만족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현재 대한체육회 가맹 대한유도회의 팀 및 선수등록이 되어 있는 12개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을 모집단으로 하여 남여 선수들 312면을 표집 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 된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28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284명이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분석기법은 빈도분석 및 백분율, x²검증(chi-square test)과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 전 여가활동은 수면을 취한다고 응답한 유도선수들이 52.1%로 가장 많았고, 학년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 후 여가활동은 TV시청을 한다고 응답한 유도선수들이 33.8%로 가장 많았고, 성별과 운동경력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내 여가활동은 수면을 포함한 휴식을 취한다고 응답한 유도선수들이 53.5%로 가장 많았고, 성별과 운동경력 그리고 건강정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평일 여가활동은 수면을 비롯한 휴식을 취한다고 응답한 선수들이 52.5%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과 건강정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주말 여가활동은 PC(인터넷)를 한다고 응답한 유도선수들이 24.6%로 가장 많았고, 성별과 학년 그리고 한달용돈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만족은 성별과 학년에서만, 운동생활만족은 운동경력과 건강정도에서만, 생활태도만족은 학년과 건강정동에서만, 대인관계만족은 성별과 학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는 학교생활만족(F=2.8487)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C(인터넷)를 즐기는 유도선수들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larify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Athletes, based on 12 Physical Education Highshool Judo teams that are registered on Korean Judo Federation of Korean Sports Council in 2003 Among 312 both male and female athletes, the reponses of the 284 persons were applied to analyze actually except for 28 questionnaires that had dishonest or omitted answers.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gained by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and x²(Chi-square test). First, before training: the most answers are sleeping for leisure activity, 52.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grade alone. After training: the most answers are watching TV for leisure activity, 33.8%,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hletic experience alone. In school: the most answers are taking a rest including sleeping, 53.5%,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thletic experience and health. On weekdays: the most answers are taking a rest including sleeping, 52.5%,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health. On weekends: the most answers are enjoying net-surfing, 24.6%,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school-grade, and monthly allowance.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school-grade depend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 school-grade and health depending on life satisfaction, and finally in gender and school-grade depending on relationship with other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life satisfaction(F=2.8487) depending on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 judo athletes who enjoy internet are satisfied most.

      •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생활 및 운동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태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에 있어서 생활만족과 운동만족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현재 대한체육회 가맹 대한유도회의 팀 및 선수 등록이 되어 있는 12개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조사하였다. 전국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 중 유선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000년~2001년 2년간 전국유도대회 단체전 입상경력이 3회 이상인 남자 3팀, 여자 3팀과 전국유도대회 단체전 입상을 하지 못한 남자 3팀, 여자 3팀의 체육고등학교 유도팀 남여 선수들 2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희귀분석(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생활만족은 학년과 운동경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운동만족은 운동경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생활만족은 배경변인에서 입상유무 (r=.211*), 학년(r=.212*), 운동경력(r=.268*)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성별(r=-.265*)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운동만족은 입상유무(r=.200*), 운동경력(r=.158*)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성별(r=.-336*)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 중 학년(β=.123)과 운동 경력(β=.217)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만족에도 학년(β=-.102)과 운동경력(β=.200)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larify Life and Athletic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Athletes, based on 12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teams that are registered on Korean Judo Federation of Korean Sports Council in 2002. Among the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judo teams, 3 male teams and 3 female teams with winning experience over 3 times for 2 years, 2000-2001 and 3 male teams and 3 female teams without winning experience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responses of the 216 persons were applied to analyze actually. This study brings the follow conclusions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etc. First,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depends on school grades and athletic career significantly. Second, Athletic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depends on athletic career. Third,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in winning prize or not(r=.211 * ), school grades(r=.212 * ), and athletic career(r=.268 * ),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s(r= =.265 * ). Also, athletic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in winning prize or not(r=.200 *) and athletic career(r=.158 * ),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s(r=.- 336 * ).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s school grades (β =.123) and athletic career (β=.217)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former (β=.-102) and the latter (β =.200) on athletic satisfaction.

      • 우수, 비우수 고교 유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경쟁불안에 관한 연구

        최기성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우수·비우수 유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경쟁불안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유도협회에 소속되어있는 남·여 고등학교 유도선수 11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검사도구는 정재은과(1999)과 정세훈(2000)이 사용한 경쟁상태불안검사-2(Martens 등, 1990)에서 방향척도 부분을 제외한 수정본 검자지를 토대로 하여 구성된 설문지로 총 27문항으로 4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기술수준별, 성별에 따른 유의도(P<.05)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적 t-test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지 불안정도의 차이는 우수 유도선수가 평균 2.41이고 비우수 유도선수는 2.34로 나타나 기술수준이 높은 선수가 인지불안강도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간에는 유의하지 않게(p>.05) 나타났다. 둘째, 신체불안 정도의 차이는 우수 유도선수는 평균 2.37이고 비우수 유도선수는 2.10으로 나타나 기술수준이 높은 선수가 신체불안 정도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간에는 유의하지 않게(p>.05) 나타났다. 셋째, 자신감 정도의 차이는 우수 유도선수는 평균 2.92이고 비우수 유도선수는 2.56으로 나타나 기술수준이 높은 선수가 자신감 정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집단간에는 유의하지 않게(p>.05) 나타났다. 넷째, 인지불안 정도의 차이에 있어 남자 유도선수는 평균 2.35이고 여자 유도선수는 2.41로 나타나 여자 선수가 인지불안강도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남·여간에는 유의하지 않게(p>.05)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불안 정도의 차이는 남자 유도선수는 평균 2.17이고 여자 유도선수는 2.31로 나타나 여자 선수가 신체불안 정도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남·여간에는 유의하지 않게(p>.05)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감 정도의 차이는 남자 유도선수는 평균 2.96이고 여자 유도선수는 2.51로 나타나 남자 선수가 자신감 정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집단간에 유의하게(p>.05)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etition anxiety fa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high school yudo athlet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19 male and fe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n Yudo Association.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excluding the part of the direction scale from the Competition State Anxiety Questionnaire-2(Martens et al, 1990) used by Chung Jae-eun(1999) and Chung Se-hun(2000). This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a total of 27 items and completed on a 4-point Likert rating sca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analyzing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Win.10.0 program.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the independent t-t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ignificance(p<.05) according to the level of skills and gender.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as for a variation in the level of cognitive anxiety, its mean was 2.41 for excellent high school yudo athletes and 2.34 for non-excellent counterparts. This indicates that athletes with the high level of skill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cognitive anxiety.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p>.05). Second, it was found that as for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physical anxiety, its mean was 2.37 for excellent high school yudo athletes and 2.10 for non-excellent counterparts, which implies that athletes with the high level of skill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physical anxiety.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p>.05). Third, it was found that as for a variation in the level of self-confidence, its mean was 2.92 for excellent high school yudo athletes and 2.56 for non-excellent counterparts. This indicates that athletes with the high level of skill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self-confidence.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p>.05). Fourth, it was found that as for a variation in the level of cognitive anxiety, its mean was 2.35 for 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and 2.41 for fe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Female athletes with the high level of skill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cognitive anxiety.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yudo groups(p>.05). Fifth, it was found that as for a variation in the level of physical anxiety, its mean was 2.17 for 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and 2.31 for fe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This indicates that female athlete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physical anxiety.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yudo groups(p>.05). Sixth, it was found that as for a variation in the level of self-confidence, its mean was 2.96 for 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and 2.51 for fe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which indicates that female high school yudo athlete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self-confidence.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p>.05).

      •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수업참여와 진로탐색 실태분석

        김현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수업참여와 진로탐색 실태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한유도협회에 선수로 등록된 전국 중·고등학교 소재 남·여 유도선수들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누락된 항목이 있는 응답자 자료 48부를 제외시키고 남은 남자 176명, 여자는 76명, 252명의 유도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 SPSS.24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수업참여 실태에서는 수상실적을 쌓기 위해 학습보다 운동에 우선순위를 두고, 과도한 훈련으로 피로함을 느끼며, 수업에 관심이 없고 의무적으로 참여한다고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 현황에서는 진로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견학 및 강연 등을 통한 진로교육을 선호하며, 진로교육 만족에서는 만족하지 못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진로탐색에서는 감독이나 코치를 통해 진로정보를 얻으며, 진로결정 장애요인으로 학업성적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진로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유종용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대하여 운동을 하게 된 동기 및 목적, 유도선수 활동에 대한 태도, 장래희망, 고민상담, 진로에 대한 태도, 진로선택, 직업관 등을 조사 분석하여 유도선수들의 진로방향을 모색하고 선수 자신에 대한 자각과 지도자들의 진로지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소속된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질문지는 선수 활동의 배경 및 태도, 운동선수 고민 및 상담, 운동선수의 진로에 대한 태도, 운동 선수들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인적사항 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12.0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초 통계자료로 교차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에 따라 chi-square 검증을 통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선수활동의 배경 및 태도 중 운동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운동목적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시기는 성별과 부모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도선수들의 운동에 대한 고민 상담 면에서는 친구나 선배에 의존하고, 신체 이상이 생겼을 경우 의논상대는 성별과 부모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문제에 대한 의논상대는 성별, 학년, 부모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도, 진로의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점, 그리고 장래희망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부모의 교육수준의 따라서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방향과 진로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을 알아본 결과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경제문제 요인만이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정보이해, 우선순위 등 다른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은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진로의식 조사 및 진로의식프로그램, 심리검사 도구 개발 등 진로의 대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길 원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고등학교 유도선수 대부분이 졸업 후 실업팀 운동선수, 일반직장 취업보다는 체육교사로 진로를 정하였다. 그러나 모두가 한 분야의 직업에 종사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코치나 감독, 각 학교에서는 최선을 다하여 진로의식 조사 및 진로의식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seek the career directions for judo players by analyzing their motives and objectives for the athletics, attitudes towards their lives as judo players, future plans, counseling and consultation, attitudes towards the career, and the view on occupation in terms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judo players, and to contribute their self-realization and instructor's guidance. This study employed bot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targeted for the judo play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items including their backgrounds and attitudes for working as judo players, counseling and consultation, their attitudes towards the career, their self-efficacies for career decision-making, and personal information. Cross tabulation analysis is used to process the statistical data along with the program, spss win 12.0, and here follows the result in line of the chi-square verification.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backgrounds and attitudes for working as judo players, no other special discrepancy was found in their motives and objectives for starting judo, and their initial time of starting judo differed by gender or the degree of parents' education. Secondly, for the counseling and consultation, quite a number of judo players relied upon their friends or seniors. For their physical abnormalities, the type of counselors differed by gender or the degree of parents' education, and for their career problems, the type of counselors differed by gender, grade, or the degree of parents' education. Thirdly, the similar data were found from the high school judo players' understanding in their career, their concerns for career decision-making, and their future plan. Forthly, it is reported that the degree of parents' education affects the high school judo players' career directions and their career. Fifthly, the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judo players was proven to be average. While economic factor presented significant influences, other factors such as priorities did not have any special influences. Sixthly, high school judo players hope to get assistances from career counselor in terms of career awareness research, career awareness program, and development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ir minds. Thus, this study reports that high school judo players need more interests on career-decision and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A majority of high school judo players chose to becom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rather than being athletes or general workers. However, as all of them cannot engage in one same field, all the parties including coach, director and school must facilitate career awareness researches and career awareness programs for the high school judo players to make decision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traits.

      •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대봉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기여하는 요인들인 연령, 경력, 시간, 빈도, 신체적 자기개념(유연성, 스포츠유능감, 근력, 신체활동, 지구력, 체지방, 신체전반, 외모, 건강, 자기존중감), 심리적 행복감(즐거움, 자신감)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유도경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근력과 신체전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유도빈도에서는 유연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심리적 행복감을 분석한 결과 유도경력은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었으며, 하루 훈련시간에서는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었다. 3.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의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즐거움에서는 스포츠유능감, 지구력, 체지방, 신체활동, 신체전반 등 5가지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전반에서는 지구력과 신체활동에서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이 인식하는 즐거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에서는 신체전반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as a result of survey how physical self concept of high school judo players(judoka)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physical self concept of high school judo players contribute to psychological happiness, such as age, experience, physical self concept(flexibility, sports competence, muscular strength, physical activity, endurance, body fat, overall body, appearance, health, self-esteem), psychological happiness(happiness, self-confidence). 1.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judo experience of high school judo players, muscular strength and overall body were differentiated. In judo frequenc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only in flexibility. 2. As a result of analysis of psychological happiness, judo experienc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and in the day training hours, it wa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3. Among low rank cause of psychological happiness of high school judo player, in happiness it wa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ve causes such as sports competence, muscular strength, body fat, physical activity, overall body, and in overall body, happiness which high school judo players perceive aff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durance and physical activity. Also, in the case of self-confidence it wa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overall body.

      • 고교 남․여 유도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신준하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a basic data for Judokas(Judo players) and coaches to boost performance about competitive state anxiety on female and male highschool Judokas. Competition psychological condition other than players' physical, technical condition has an influence on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Therefore, it'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to get the best result when they are in a competition. So the coaches are required to make the players who are playing have the confidence and train how to control the anxious element of the competi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ere 100 the female and 100 male highschool Judoka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35th president cup Judo competition but except for 2 of males and 7 of females because they were falling short of the propriety and reliance compare to others, total 191.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during the games was analyzed by survey of CSAI-2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ty-2), Martens and Veal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gender, in th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state anxiety, female player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e males. There were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e confidence, the male players are much better than females 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differences between good and non-good players. First, for good players, there weren'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and somatic state anxiety, but females had a little anxiety than males. In the state confidence, male players had more confidence than females, but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for non-good player,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and somatic state anxiety, but females felt a little anxious than males. In the state confidence, male players had more confidence than females but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3. Athletic career ( the times of training and participating in the games ) First, for the players over 3 years and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games over 5 times,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state anxiety between males and females, but male players felt nervous slightly than females.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somatic state anxiety but females were a little nervous than males.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 confidence but males had a confidence than females. Second, for the players less 3 years and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games less 5 times, males players had an anxiety slightly in the cognitive state anxiety. Females felt nervous in the somatic state anxiety and males had a confidence a little higher but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고교 남녀 유도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에 대해 하여 선수 및 현장의 지도자들에게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합에서 선수의 신체적, 기술적, 능력 외에 심리적 상태가 경기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경기를 둘러싼 여러 가지 외적 요인에 대한 심리적 조절 능력을 갖추지 않고서는 최대운동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경쟁불안 요소를 어떻게 통제하고 조절하여 경기를 하는 선수들에게 자신감을 갖고 경기에 임하도록 하는 것이 지도자에게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교 남․여 유도선수로 제35회 회장기전국 유도대회에 출전한 남․여 선수 각각10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유층표집 하여 선정하였고 그중 신뢰도가 떨어지는 남자선수2명 여자선수 7명을 제외한 남자 선수 98명 여자선수 93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Martens, Vealey 그리고 Burton(1990)개발한 경쟁상태 불안 검사지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를 이용하여 경쟁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을 측정하였다. 1. 성별에 따른 경쟁 상태 불안 차이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의 차이에 있어 남자선수들 보다 여자 유도 선수들의 불안 상태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여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2. 우수· 비우수, 남·여 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 차이 첫째. 우수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불안의 차이에 있어 여자 유도선수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상태자심감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비우수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불안의 차이에 있어 여자 유도선수들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 높게 나왔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상태자심감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운동경력(시합출전횟수, 훈련기간)에 따른 남·여 경쟁상태 불안 차이 첫째. 선수 경력 3년 이상 전국대회 출전 5회 이상의 선수 경력에 따른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의 차이에 있어 남자 유도선수들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왔고 남․여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적 상태불안의 차이는 여자선수들이 약간 높게 나타나면서 남․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차이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선수 경력 3년 미만 전국대회 출전 5회 미만의 선수 경력에 따른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의 차이에 있어 남자 유도선수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왔고 신체적 불안의 차이에선 남자선수들보다 여자선수가 약간 높게 나왔다.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 선수들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