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제의 도시마케팅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류재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도시의 경쟁력이 합쳐져서 지역경쟁력이 되고, 지역의 경쟁력이 모여서 국가경쟁력을 결정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도시는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도시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전략적 측면에서 축제를 도시마케팅의 핵심요소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문화예술축제의 선도적 위치를 구축했던 광주비엔날레는 유사축제의 경쟁적 개최에 따른 국내·외의 관심저조, 이에 따른 관람객 감소, 재정수입 감소 등의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전시위주의 단기적인 광주비엔날레의 운영은 기대했던 도시이미지 개선과 지역경제활성화의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광주도시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개최되고 있는 광주비엔날레에 대해 도시마케팅 전략차원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계획수립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기적·종합적인 마케팅계획이 없이 개최되고 있는 광주비엔날레를 광주도시마케팅계획수립과 연관하여, 마케팅계획수립의 과정과 방법을 검토 하였다. 광주비엔날레가 당면하고 있는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전략적 도시마케팅 계획수립과정에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비엔날레의 개최가 광주라는 도시 홍보차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긍정적 도시이미지를 고취시키고, 광주도시마케팅에 가장 부합되는 축제임을 알 수 있었다. 장점으로는 전시작품의 우수성, 약점으로는 미약한 홍보와 마케팅, 기회요인으로는 정부의 문화수도 육성정책, 위협요인으로는 지역산업과의 연계가 미흡하다고 지적하였다. 둘째, 문화예술축제인 광주비엔날레는 광주도시이미지와 부합되고, 도시마케팅에도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아울러서 많은 사람들의 광주의 도시이미지를 민주인권도시와 문화예술도시로 인식하고 있다. 현재의 광주비엔날레는 이러한 도시이미지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쟁적인 축제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서의 정체성 확립이 요구된다. 셋째, 마케팅 전략차원에서는 전시작품 선정에 대해서 적극적인 주민참여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방적인 하향식 전달체계가 아닌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한 주민참여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었다. 또한, 광주비엔날레 인지경로는 TV?라디오 등 방송, 홍보 포스터, 지인, 신문?잡지 등 지면 광고, 인터넷 순으로 여전히 매스미디어 비중이 크지만 점진적으로 모바일 웹,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다양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 역시 단순한 전시 안내 및 소개 보다는 주변편의시설 및 관광지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광주비엔날레의 전시작품의 개선, 다양한 볼거리 제공, 주변관광자원과의 연계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넷째, 집행과 관리 측면에서는 축제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재정수입 확대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상품화가 필요하다. 또한 도시마케팅 업무 담당부서로 독자적인 부서 조직을 통해서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해야 한다. 광주비엔날레의 장기적, 전략적인 도시마케팅계획의 수립방향은 다음 몇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첫째, 계획수립의 필요성이다. 축제의 기획에서부터 도시마케팅과 연계된 전략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많은 축제들이 도시마케팅 전략과 별개로 개최되고 있으며, 단지 성공적인 축제를 도시마케팅으로 연결하고자 시도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도시문화의 창조·계승·발전을 통한 도시이미지의 창출을 위해 사전에 계획된 포지셔닝 전략에 의해서 축제가 진행되지 못하고, 진행되고 있는 축제의 성과에 따라 사후적으로 도시이미지를 창출하고자 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이러한 까닭은 도시마케팅 전략과 축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혼동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의 발전에 따라 미술장르도 다양하게 분화되고, 상호 다른 장르간의 결합이 진전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것을 선택해서 집중할 것인가 하는 대응전략 차원에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전략내용이다. 광주광역시의 도시목표는 행복한 창조도시의 실현이다. 행복한 창조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축제를 활용한 삶의 질 제고가 필요하다. 광주비엔날레를 통해서 시민이 참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화역량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광주광역시를 아시아 문화와 자원이 상호 교류되는 문화도시로 육성하고자 하기 때문에 광주비엔날레와 연계한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집행전략이다. 광주비엔날레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자체의 조직개편은 물론 민관협력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재의 광주비엔날레 조직을 도시마케팅 측면에서 개편할 필요가 있는데 관리부를 기획 관리부, 홍보사업부를 마케팅부, 그리고 전시부를 운영부로 개편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특히 정책연구실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광주비엔날레의 민관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유관기관 협회를 구성하고, 해외의 성공적인 축제들과의 연계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국내외 홍보강화를 위해 도시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관람객들은 지금의 광주비엔날레 계획이 장기적 연속성을 갖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도시이미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광주비엔날레가 기대만큼 잘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때문에 도시마케팅 전략차원에서 광주비엔날레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운영상황에 대해 비판적인 이들의 요구를 반영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 농촌경관계획수립과 경관사업의 위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이수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농촌지역 난개발에 따른 경관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2000년대 초반부터 농촌경관에 대한 국민의 관심증대와 농촌경관관련 정책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그에 따라 국민인식 또한 높아졌다. 농촌경관 관련정책 및 사업을 주로 담당하는 농식품부의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농촌경관사업 중 가장 다양한 세부사업을 포함하고 있지만 시행지침과 운영상의 잦은 변동에 따라 농촌경관 부문의 기반여건이 위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경관계획 수립여건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변화 요인을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관계획 수립방식, 행정절차의 지역별 차이, 수립비용, 수립실적 자료를 중심으로 경관계획수립의 양적 측면을 분석하였고, 경관사업량과 사업비를 중심으로 경관사업의 양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질적인 요인으로는 년도별 경관계획수립 및 경관사업의 변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 경관계획수립과 경관사업의 위상과 특징을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시 경관계획수립 의무화가 적용된 2014년도에 경관계획수립 건수가 급증하였지만 이 이후에는 점차 줄었는데, 여기에는 농촌경관계획의 상당한 부분을 규정하고 있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시행지침의 위상이 주된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농촌경관 분야에서는 경관계획수립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상황이지만, 의무화에 대해서는 개발사업 관계자의 인식도가 낮은 편이며, 사업시행지침에서 경관부문이 위축된 요인으로는 제도적인 강제성 미비, 페널티 미 부과, 게획수립비용 기준 미정립, 전체계획 단계에서 경관계획 수립시기의 비적절성 등도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경관사업이 주로 환경개선을 위한 하드웨어에 집중된 반면 지역주민이 경관형성.관리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사업과의 연계를 위한 예산은 미비하여 지역역량 강화에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기능별 사업은 기초생활기반확충사업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경관사업에 대한 비중이 낮은 편이고, 경관개선사업은 농촌시설에 대한 사업내용 제시가 없어 사업 관계자가 계획 수립 시 농촌경관의 특질을 반영한 사업계획수립의 접근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관계획 수립 시기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선정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규사업 사업성검토 신청서 작성시 경관자원 조사와 잠재력을 위주로 작성경관계획을 수립하고, 경관계획 수립의 과정에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계획과 지역역량강화사업을 연계한 통합계획을 수립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중장기적인 경관계획의 방향을 고려한 사업시행지침서의 작성과 수립비용 기준의 정립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환경 개선적인 일반적인 경관사업에서 벗어나 농촌의 특질을 반영하여 경관을 향상할 수 있는 사업내용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소프트웨어사업의 비중을 강화하고, 하드웨어사업과 연계하여 지역자립적인 농촌경관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early 2000s, when the problem of landscaping caused by the unprecedented development of rural areas has been raised in earnest, the public interest in rural landscapes has been increasing and research on policies related to rural landscapes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hich mainly deals with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rural landscape, includes the most diverse sub-projects of rural landscape projects, but the infrastructure conditions of the rural landscape sector are shrinking due to frequent changes in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scenery planning conditions and to analyze the factors of change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landscape planning were analyzed based on the landscape planning method, the regional differences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cost of the establishment, and the records of the actual results. Th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landscape projects were also analyzed. The qualitative factor was analyzed based on the yearly landscape planning and the change of landscape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scenery planning was increased in 2014 when the mandatory establishment of landscape plan was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However, after that, the number of scenery planning gradually decreased. This seems to be the main backgroun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necessity of landscape planning in the rural landscape area, but development officials in the development project are less aware of the mandatory requirements, and the factor that shrinks the landscape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guidelines is the lack of institutional enforcement, The imperfection of the timing of the planning of landscaping in the overall planning stage, and other factors. While the landscape projects mainly focused on hardware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budget for linking with the software business was not sufficient for the local residents to have landscape formation and management capacit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ifficulty in strengthening the local capacity. The function-based business of the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s mainly composed of the basic living base expansion project, so the proportion of the landscape business is low, and the landscape improvement business does not show the business contents to the rural facili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business plan.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desirable that the planning period of the landscape plan should be done prior to the selection of the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hen preparing the application for new business feasibility study, the landscape plan should be formulated based on the survey of landscape resources and potential. In the process of landscape planning, It is expect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n linking the development project plan with the local capacity building pro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delines for preparing and establish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guidelines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mid and long term landscape plan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ontents of the project that can improve the landscape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portion of the software business and make it possible to become a rural landscape management in cooperation with the hardware business.

      •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수립 과정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 설문조사 분석을 中心으로

        宣明佶 蔚山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제3조(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수립) ①특별시장·광역시장 또는 시장은 다음 각호의 사항이 포함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10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여야 하는 규정에 의하여 지자체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5년 단위로 타당성검토를 통하여 기본계획을 수정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계획수립의 과정에 있어 불합리하거나 현실과 맞지 않는 계획의 수립으로 인하여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기본계획의 수립은 사업진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틀을 구성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준비나 조사없이 이루어지는 사례가 있고 사업주체인 주민들을 상대로한 충분한 사업적 설명이 없이 수립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기본계획의 수립에 있어 좀 더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기본계획 수립과정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고려하고 검토하여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실현성있는 계획이 수립되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본계획수립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인자를 식별 및 분류하고, 리스크 발생확률과 발생강도를 측정하여 리스크 정도를 제시하고 그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며, 궁극적으로 기본계획수립에 있어 리스크관리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본계획수립에 있어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리스크 식별/분석/대응의 3단계로 이루어지는 리스크관리절차에 준하여 진행한다. 연구의 수행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을 중심으로 국내관련 문헌 및 기존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기본계획수립의 절차 및 주요업무내용을 파악하고, 리스크관리절차 및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한다. (2) 기본계획 수립의 업무 흐름에 따른 수립절차를 체계화하고 세분화하여 리스크식별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한다. (3) 개발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기본계획수립지역의 사업추진현황을 체크하고 도정법에 의한 사업경험이 있는 관련자를 대상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리스크 분석을 위한 리스크 발생확률과 강도를 측정한다. (4) 발생확률과 강도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계획수립단계별로 리스크 정도를 제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서술하였으며 향후 좀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을 실무적으로 간단히 피력하였다. Built Environment Renewal Development Act 3rd trillion (city Establishment of house environmental maintenance master plan) ①Special mayor Wide area or mayor the city where the next each friendly fact is included a house environmental maintenance master plan (below “master plan" this doing,) in compliance with the provision must establish at 10 unit oneself is establishing a master plan. Also propriety investigation it leads at 5 year unit and it amends a master plan. There is to a process of like this master planning and it is irrational or with actuality the reduction is delayed with establishment of the plan which does not hit, the case which is dispersed occurs and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there is specially to enterprising progress and, despite being to compose the frame which is important preparation or the investigation which is thorough a case where the enterprising explanation which is sufficient is without established hereupon to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and there is an instance which becomes accomplished without and the business proprietor chain residents upper as grudge there is there is in order for petty to master plan established proces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which is more systematic to be possible, is it will be able to occur it considers the risk and it investigates and an uncertainty it decreases the plan two which is reality to establishIn order to become, under boil. The research which it sees consequently a risk occurrence probability and the occurrence burglar and identification and classifies the risk factor it will can occur from master planning stage it measures it presents the objective which establishes the confrontation plan, there is ultimately to a master planning and the data which risk management is fundamental under presenting boil a risk degree.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re is to a master planning and as the research which is fundamental for a construction, it gives to do it advances risk management system to the risk maintenance procedure which becomes accomplished at 3 phases of risk identification /analysis/confrontation. The accomplishment process and method of research with afterwords are same. (1) `Built Environment Renewal Development Act' investigation of the domestic relation literature and existing research it leads in the center and it grasps it accomplishes the process and a week ceramic industry nothing contents of master plann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in about risk maintenance procedure and method. (2) Business of master plan establishments to flowing, the system it does the established process which it follows and it subdivides and the checking list for a risk identification it develops. (3) the checking list which is developed it checks the enterprising propulsion present condition of the master planning area with character and a question investigation and the involved person who is the enterprising experience in compliance with the distance act the object it executes a risk occurrence probability and the burglar for a risk analysis it measures. (4) Result of occurrence probability and burglar analysis with character it presents a risk degree at each planning stage by, that result strategic confrontation plan it is an escape grudge with character. It described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last and hereafter it expressed an opinion practically simply in about the part where the petty compared to research is necessary.

      •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영향요인 탐색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신학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토의정서(Pre-2020) 체제 이후에 적용될 신 기후체제(Post-2020) 하에서 기후변화 적응은, 완화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 영향을 줄이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제 기후체제 흐름에 맞추어 2010년 국가 단위의 적응대책 수립을 시작으로, 2012년에는 광역지자체 적응대책 수립을 완료하였으며, 2015년 말 기준으로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중 시범 기초지자체 33곳을 제외한 168곳에서 기초지자체 적응대책 수립을 완료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은 완화와는 다르게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념으로서, 공간적 범위가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비용 및 편익이 지역으로 귀속된다는 점에서, 기초지자체가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계획수립 및 이행에 있어 일차적인 주체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초지자체가 2015년부터 의무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지역적 적응의 첫 단추로 보고, 계획수립과정에서의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면서 기초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관심 및 역량 등을 직․간접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더 나아가, 기초지자체의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제언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인천광역시 내에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을 완료한 기초지자체 4곳(강화군, 서구, 연수구, 중구)을 선정하였고,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 방식을 택하였다. 연구 자료는 문헌 고찰 및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하였고, 심층 면접은 정부 및 비정부(컨설팅업체, 연구원/학계, 시민단체)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 적응계획 내용 분석, 기초지자체 적응 여건 분석, 영향요인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기후변화 적응계획 내용 분석은 문헌 고찰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내용 비교를 위해 4곳 기초지자체의 적응계획 세부시행계획에서 추출한 공통 목차인 계획 수립 절차, 인식 조사, 중점 분야 선정, 상위계획 검토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각 계획마다 장․단점이 있어 일률적인 비교는 불가능하였지만, 자체수립 여부에 따라 계획 내용의 질적 차이가 일부 항목에서 존재하였다. 기초지자체 적응 여건은 심층 면접 결과를 토대로, 심층 면접지의 8개 질문 영역(조직 구성, 의사소통, 교육∙홍보, 예산, 업무 전문성, 업무 협력, 리더십, 상위계획 연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초지자체의 적응 여건은 각 지역마다 달랐지만, 전반적으로 기초지자체는 조직 구성, 업무 협력, 예산, 자료 확보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초지자체 적응계획 수립 과정에서의 영향요인 분석은, 심층 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 참여자 및 연구 대상지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계획 참여자별 영향요인은, 지역의 적응계획 참여자를 정부 및 비정부 집단으로 나눈 다음 분석되었다. 정부 집단의 주요 영향요인은 ‘지자체장 의지∙관심’ 및 ‘담당 공무원 의지∙관심∙역량’ 으로 나타났다. 비정부 집단의 주요 영향요인은, 컨설팅업체의 경우 ‘지자체장 의지’ 와 ‘시민의견 수렴’ 이었고, 연구원/학계의 경우 ‘예산’, ‘담당 공무원 관심∙의지∙역량’, ‘지자체장 의지’ 로 나타났으며, 시민단체의 경우 ‘담당 공무원 의지∙관심∙역량’ 과 ‘지역사회 의견개진’ 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별 영향요인은, 자체수립/시범 기초지자체/섬 지형 여부에 따라 분석되었다. 우선 자체수립 주요 영향요인은, ‘예산’, ‘취약성 평가 신뢰도’, ‘지자체장 관심·의지’, ‘담당 공무원 의지∙관심∙역량’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범 기초지자체 주요 영향요인으로는, ‘지자체장 관심’, ‘대외 이미지 고려’, ‘담당공무원 의지·역량’ 이 도출되었다. 섬 지형 주요 영향요인은 그 선정에 있어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지 못해 제외되었다. 지형에 따라 영향요인을 분석해 보니, 섬 지형의 기초지자체들이 특별히 육지 지형의 기초지자체들에 비해 특징적인 영향요인들을 갖고 있지 않았다. 요약하면, 계획 참여자 및 연구 대상지 특성에 따라 일부 특징적인 영향요인들이 도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컨설팅업체, 연구원/학계, 시민단체를 포함하는 비정부 집단 영향요인은 공통되는 요인들을 추려낼 수 없어, 정부 집단의 주요 영향요인처럼 종합할 수 없었다. 상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지자체 차원의 적응계획 수립을 돕고 더 나아가 지역적 적응의 확대를 위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보았다. 첫째, 지역 간 기후변화 적응계획 내용의 질적인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적응 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 대상으로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교육을 실무 위주의 교육으로 개선해야 한다. 둘째, 기후변화적응 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 실무자들 간에 교류할 수 있는 기회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의 적응계획 수립 과정에서 시민의 직접 참여를 위한 창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필요에 따라서는 기초지자체에서 중앙 정부로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한 협업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기초지자체 수준에서 상위계획을 검토할 때, 내용상 연계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연계 활동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취약성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지역 실정에 맞는 적응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동 단위 기초 자료들에 관한 인벤토리를 구축해야 한다. 일곱째, 지방 정부의 예산 편성 과정에서 기후변화 적응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예산 담당 공무원 및 고위 공무원 대상의 적응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함의를 바탕으로, 지역의 기후변화적응 풍토 마련을 위해 계획 과정 참여자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을 기울인다면, 적응 정책의 효과성은 증진되고 더 나아가 지역적 적응의 정착은 앞당겨질 것이다.

      •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정보전략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유인상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계획수립 방법론(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Methodology : ISP Methodology)이란 정보시스템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절차와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정의해두고, 또한 이의 수행에 필요한 도구, 기법 및 지침을 규정해 둔 것이다. 정보계획수립은 정보시스템 분야의 가장 주된 관심사로서 그 목적은 기업의 경영목표 및 경영전략의 효과적 수행에 필요한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기업 전체적인 관점에서 정보체계(Information Architecture)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일관성 있고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정보계획수립 방법의 개념은 1970년대 후반부터 정보시스템을 보다 전사적 관점에서 시스템 위주의 정보시스템 계획수립이라는 개념으로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공공부문에 있어서도 정보계획수립 방법론을 활용한 정보화전략계획수립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공공부문에 있어서 다수의 정보전략계획수립을 추진한 결과 ISP 발주 시 확실한 목적의식 결여와 공공부문의 권장 방법론인 관리기법/1(혹은 Method/1으로 불림)의 일관된 접근 부재, ISP와 IT(Information Technology) 마스터플랜(Master Plan)과의 관계 모호성, 전략 부재의 사업 혹은 IT 전략설정의 어려움 등이 수행상의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의 ISP 추진 시 문제점들을 유발시키는 전략부문을 명확히 하기 위한 공공부문의 경영전략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안함으로서 공공부문의 ISP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영전략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로부터 추출하였으며, 연 300억원 규모로 40여 개의 세부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정보화지원사업 발전방안 수립’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정보화지원사업 발전방안 수립’ 시 공공부문을 위한 경영전략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본 결과 1994년부터 추진해 오고 있는 정보화지원사업의 성과와 그 이면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향후 공공부문 정보화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상기의 예와 같이 공공부문의 정보전략계획 수립 시 해당 사업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사용하여 경영전략을 우선 수립함으로서,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좀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SP) is a set of process to find strategy or solution and establish performing plan on how to connect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pply them in establishing a vision of an organization. The Public Sector's Informatization has been driven with the Method/1 methodology as a standard; however it has not been used in the information planning. Though the Method/1 had the information planning process, it was not used. It was not because of defects of this methodology itself but becaus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ector differed from private companies. The problems appear different from private companies when performing ISP because of lack of apparent management goals, non-existence of competitors/management strategy, business monopolization, obscurity of ISP/master plan, and etc. As a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stated above, I suggest the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linked to ISP. For this job done, I also suggest a framework of the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ing process after configuring it appropriately to the Public Sector.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difficulty occurred due to lack of management goals or non-existence of management strategy, through establishing ISP based on the management strategy framework for the Public Sector suggested by this study.

      •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제도개선 및 가이드라인 연구 : 경기도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을 중심으로

        최광걸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district unit plan introduced for the sake of rationalization of land use, and planned, systematic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proper region has much contributed to planned management of the national land; nevertheless, in one way, there came up lots of problems from the operational aspect, so the local autonomous entity, which is managing, or subject to this system, is raising the necessity of district unit plan system improvement. Especially in case of Gyeonggi-do, the private development project and local economy are shrinking due to regulation-oriented management of the district unit plan consequent on the regulatory policy on metropolitan areas ;therefore, it's in urgent need of system improvement in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 This study is intending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revitalization and the setting of balanced development conditions through system improvement that can diversify the spectrum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y grasping the problems in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 management system and inquiring into the improvement method, and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the guidelines for city & county's district unit plan management & guidelines establishment consequent on the commission of decision-making authority of the district unit plan.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grasped the contents of the law & guideline revisions related to the district unit and analyzed the status of the district unit plan by investigating & analyzing the existing research materials, literature, related laws and guidelines, etc., and then drew the problem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the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 by analyzing the business district dec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and the business district dec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parate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based on the grasp of Gyeonggi-do case object places condition. Lastly, this study is intending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 by drawing problems by sector and tasks for improvement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an expert and a responsible person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with regard to the drawn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cultivation of central places for recovery of the depressed urban center function & balanced development of a city, and flexibilization of use district change for job creation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nd land district complex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give the use district for high density development,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consequent on business purpose & characteristics other than an area basi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manual for alteration of practical use district. Second, there is a need to alleviate the limited floor area ratio in order to induce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rough fairness enhancement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ly led development promotion. In case of application of the limited floor area ratio by alleviating it to the level of the upper level laws and a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it will be possible to induce the revitalization of a local development project and business value enhancement of private business, which will serve to oil local residents' resettlement, allay restriction on acts due to business delay, and solve the problem like the infringement of private ownership of property. Third, there is a need for acknowledgment of an extra-district land donation and introduction of a facility land donation. In case of acknowledging an extra-district donation, it will be possible to induce the securing of the infrastructure for the isolated area from a local government, and solution to no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addition, through introduction of the facility land donation system, it'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limited land, to secure solid infrastructure even without a local government's separate securing of financial resources, and to aggressively respond to a demand for public facilities in local community. Fourth, there is a need for diversification of incentive items in the light of loc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It's necessary to develop the currently inflexible incentive items with focus on site offer for public facilities into the ones that make it possible to respond to a region's own special matters in the light of the purpose, contents, loc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unit plan. Fifth, it's necessary to alleviate the uniform application of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 The individual project, such as urban development project and land development project, etc. already established a separate land use plan based on an individual law in order to set up the plan that could reflect the purpose & characteristics of land use, so it's necessary to do regulation and alleviation of the land use by limiting it to an individual law, and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land use from 「Gyeonggi-do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 Further, it's necessary to introduce the depressed region in an effort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Gyeonggi-do, which will be a momentum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ly led development promotion of the proper local government, consequently serving to revitalize local economy and improve residents' life quality. 토지이용의 합리화 및 당해 지역의 계획적·체계적 개발 및 관리를 위해 도입된 지구단위계획은 시행과정에서 국토의 계획적 관리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한편으로 운영측면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어, 제도를 운영 및 적용받고 있는 지자체에서는 지구단위계획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경기도의 경우 수도권의 규제정책에 따른 지구단위계획의 규제 중심 운영으로 민간 개발사업 및 지역경제가 위축되고 있어,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의 제도개선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지구단위계획 운영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지역특성의 스펙트럼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제도개선을 통해 지역개발 활성화 및 균형발전의 여건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지구단위계획의 결정권한 위임에 따른 시·군의 지구단위계획 운영 및 지침 수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은 기존 연구자료와 문헌, 관련법률 및 지침 등을 조사하여 지구단위계획 관련 법률 및 지침의 개정사항에 대한 내용의 이해와 지구단위계획제도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경기도 사례대상지 실태파악을 통하여 「경기도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을 적용하여 결정된 사업지구와 별도의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을 적용하여 결정된 사업지구를 분석하여 경기도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문제점을 전문가 및 지자체 담당자의 개별면담을 통하여 각 부문별 문제점 및 개선과제를 분석하여 경기도 지구단위계획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낙후된 도심기능 회복 및 도시의 균형발전을 위한 중심지육성과 용도지역 복합화로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용도지역 변경의 유연화가 필요하다. 또한, 고밀개발의 용도지역 부여는 면적기준이 아닌 사업목적 및 특성에 따른 변경이 필요하며, 실질적인 용도지역 변경의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경기도 지자체간 형평성 제고 및 민간주도 개발촉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상한용적률의 완화가 필요하다. 상한용적률을 상위법 및 지자체 조례 수준으로 완화하여 적용할 경우 지역개발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민간사업의 사업성이 높아져 지역주민의 재정착 및 사업지연으로 인한 행위제한 완화, 사유재산권 침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구역외 기부채납의 인정 및 시설기부채납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구역외 기부채납을 인정할 경우 지자체 소외지역의 기반시설 확보 및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소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설기부채납 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자체 별도의 재원확보 없이 입체적 기반시설의 확보가 가능하고, 지역사회의 공공시설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지역여건 및 특성을 고려한 인센티브 항목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공공시설에 대한 부지제공 중심으로 경직되어 있는 인센티브 항목을 지구단위계획의 목적 및 내용과 지역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이 갖는 특수한 사항에 대응하는 인센티브 항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경기도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획일적 적용의 완화가 필요하다. 도시개발사업 및 택지개발사업 등의 개별사업은 토지이용의 목적 및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해당 법률의 개별법으로 한정하여 규제 및 완화하여야 하며, 「경기도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에서는 적용을 제외하여야 한다. 또한, 경기도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낙후지역을 도입이 필요하다. 낙후지역의 도입은 지자체간 균형발전과 해당 지자체의 민간개발 촉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이다.

      • Development of real-time optimal bus scheduling and headway control models

        김원길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내의 버스운행환경은 2004년 7월 서울시가 교통카드시스템, 버스운행관리시스템(Bus management system, BMS)의 운영과 함께 준공영제를 도입한 이후 2007년 7월부터 환승회수에 관계없이 이동한 총 통행거리를 기준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시행으로 정류소 단위의 버스이용수요 분석 등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버스운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효율적인 버스운행계획은 버스운영자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운행을 줄여서 버스운행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버스이용자 측면에서는 대기시간 감소, 정시성 확보, 쾌적한 이용환경 제공 등을 통해 승객편의를 향상시키는 등 수준 높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런 효율적인 버스운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거 버스행정가의 경험에 의존하거나 노선전체의 평균자료를 이용하여 버스운행계획을 수립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시스템 운영을 통해 수집되는 정류소 또는 구간단위 세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과학적인 분석으로 상호간 적절한 trade-offs를 통해 합리적인 운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간 및 정류소 단위의 세부 자료를 활용한 microscopic model을 통해 최적 운행횟수를 산출하고 기점 및 정류소 단위의 운행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버스운행정보에 따라 운행 중인 버스의 운행간격을 조정하는 모델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최적운행횟수 결정을 위해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버스운행 데이터와 교통카드로부터 수집되는 정류소별 버스이용 데이터 등 정류소 및 구간 단위의 세부자료를 활용하여 버스회사의 버스운행비용, 버스이용승객의 대기시간비용, 통행시간비용 및 차내 혼잡비용 등 각 비용요소들을 정류소 단위의 교통비용으로 모델링하였다. 각 단위시간별 정류소간 통행시간, 정류소 서비스시간 등 버스운행 데이터와 정류소별 승하차수요 등 버스이용수요에 따라 정류소별 최적운행횟수를 산출한 후 노선 전체의 총 교통비용 측면에서 과잉투입비용의 총 누적과 기회이익의 총 누적이 등가가 되는 총 교통비용을 노선전체의 최적운행횟수를 결정하는 DTR Model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선 중 운행계획 수립의 기준이 되는 구간 또는 정류소의 교통비용 및 운행횟수를 기준으로 운행계획을 수립하는 DTRC Model을 제시하였다.DTR 또는 DTRC Model에 따라 최적운행횟수가 결정되면 누적 운행횟수 커브에 따라 출발시간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기점의 출발시간에 따라 각 단위시간별 운행이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류소별 운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함으로써 버스이용자의 대기시간 감소 등 편의를 도모하고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을 위한 정시성 평가 등 운행관리지표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모델의 테스트를 위하여 서울시 472번 간선노선을 대상으로 버스운행관리시스템과 교통카드의 2008년 4월 15일 1일 수집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모델 검증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류소 및 노선전체의 시간대별 최적운행횟수와 총 교통비용, 시간대별 운행계획을 수립하였다. 모형적용결과 472번 노선의 평일기준 일일 총 운행횟수 138.1회, 총 교통비용 44,370,878원을 제시하였다. 또한 8:00-9:00, 19:00-20:00의 중점배차관리구간을 각각 도곡역과 을지로 입구로 가정하고 DTRC 모형을 적용하여 운행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운행횟수와 총 교통비용 측면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노선 및 정류소별로 수립된 버스운행계획을 기반으로 운행 중인 버스의 정류소 출발, 도착 등 실시간 이벤트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버스운행계획 수립모형에서 적용하였던 정류소별 교통비용으로 환산하여 line balancing method에 따라 운행정시성 여부를 판단, 차량운행간격 조정을 지시할 수 있는 실시간 버스운행간격 제어 모형을 개발하였다. Line balancing method를 적용하여 전체 노선 중 정류소 단위의 계획된 운행계획을 준수하여 운행하지 못하는 bottleneck 정류소를 대상으로 정류소별 교통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차량운행간격을 조정하여 정시성을 확보하고, 노선 전체에 대한 시스템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 하도록 하였다.마지막으로 버스운행계획 수립 모형에서 사용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 및 가정들에 대한 최적 해의 신뢰성 및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파라미터의 변동이 버스운행횟수 및 총 교통비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승객의 통행시간, 대기시간 등과 관련된 시간가치비용, 차내 혼잡비용 기준 값인 ICF(In-Vehicle Congestion Factor)와 시간당 버스운행비용 등을 분석대상 변수로 선정하고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변동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Seoul's introduction in July 2004 of a semi-public bus management system (SPBMS) incorporating an integrated transit-fare card system (T-Money Card) and a bus management system (BMS), and the subsequent implementation in July 2007 of the Seoul National Capital Area (SNCA) integrated transit-fare card system, which charges bus fare based on total transit travel distance regardless of transfer frequency, made it possible to conduct a more effective analysis of bus operation data, such as stop-based bus passenger demand, and set the foundation for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bus scheduling in the domestic bus operation environment.Efficient bus scheduling, from the bus operator's perspective, should minimize bus operation cost, while for the bus passenger it should offer a high standard of mass transit service that improves convenience by reducing waiting time, ensuring punctuality of operation and enhancing the bus oper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set up such an efficient bus scheduling plan, one needs to avoid the past practice of relying on the experience of a bus agency administrator or by using the average data for an entire bus line. Instead, one should set up a rational schedule plan which balances mutual trade-offs, based on scientific analyses using stop-based or segment-based micro-data collected through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calculate the optimal operation frequency and to construct a starting-point- and stop-based timetable by employing a microscopic model that utilizes segment- and stop-based micro-data; and from this, to develop a bus headway control model based on real-time operation data.To determine optimal operation frequency, a modeling of various cost factors into stop-based traffic cost was done. These cost factors included the bus company's bus operation costs and bus passengers' waiting time, riding time and in-vehicle congestion costs. This was done using stop- and segment-based micro-data consisting of bus oper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bus management system and data on bus passenger demand at stops from the integrated transit-fare card system. After calculating the optimal operation frequency for each bus stop, based on bus operation data such as travel time between stops and service duration at stops, and on such passenger demand data as boarding and egressing demand at stops for each time period, a DTR (Demand & Travel-Time Responsive) model was presented. This DTR model determined the optimal operation frequency for an entire bus line based on the point where, in terms of the total traffic cost for the line, the total excess input cost accumulation and the total opportunity profit accumulation became equal in value. The research also presented a DTRC (Demand & Travel-Time Responsive Model for Critical Scheduling Area) that determines a bus operation plan based on the traffic cost and operation frequency of a segment or a stop that can serve as a standard for bus scheduling.After the optimal operation frequenc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a DTR or DTRC model, the departure time was set based on a cumulative frequency versus time curve. The operation record data for each time period following the starting point departure time were used to create a timetable for each bus stop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rvice, such as reduced passenger waiting time. Such timetables may also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management index and punctuality of operation for a bus management system.For model testing, the single day data for 15 April 2008 collected from the bus management system and the integrated transit-fare card system for Seoul's No. 472 main bus line (Blue bus) were used. For model validation, the author built a database environment and developed an application program, and from this established the optimal operation frequency, total traffic cost, and timetable for the stops and the entire line for each time period. Presented as results from applying the model were a weekday total daily run frequency of 138.1 and a total traffic cost of 44,370,878 Won for the No. 472 line. A bus scheduling plan was also set up by applying the DTRC model with the assumption of Dogok Station and Euljiro Entrance each serving as a Critical Scheduling Area for the 8:00~9:00 and 19:00~20:00 time periods, respectively, and changes of operation frequency and traffic cost were analyzed.Real-time event data such as bus stop departures and the arrival of buses in operation were converted into traffic cost at stops and applied to the model for establishing a bus scheduling plan. Based on such cost calculations and the line balancing method, a real-time bus headway control model that can judge punctuality of operation and give vehicle headway control instructions was developed. In applying the line balancing method, bus headway was controlled to reduce the traffic cost for bottleneck stops on the line that failed to follow the timetable, and thereby punctuality of operation was ensured and the efficiency of system operation for the entire line was maximized.Lastly,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uncertainty of the optimal solution for various parameters and assumptions used in a bus scheduling model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parameter changes on bus operation frequency and total traffic cost, the time-value costs related to passenger riding and waiting time, the ICF (In-Vehicle Congestion Factor), and the hourly bus operation cost were selected as variables for analysis, and the effects of change in variable values were investigated by doing a sensitivity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