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67

        이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면서 얻게 되는 학습경험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첫째, 경력단절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게 된 학습 동기와 목표는 무엇인가, 둘째, 경력단절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양상은 무엇인가, 셋째, 경력단절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학습성과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평생학습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학습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채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경력단절 경험이 1회 이상 있는 기혼여성 중 서울 지역 Y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평생학습프로그램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경력단절 및 평생학습 참여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4단계에 따라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에 대해 경력단절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목표, 참여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의 양상, 평생학습에 참여한 결과로 얻은 학습성과로 의미단위를 구분하여 이를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고 해석을 기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경력단절을 경험하게 된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목표를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결과지향적 학습자’, ‘학습지향적 학습자’, ‘관계지향적 학습자’라는 3가지 유형의 학습자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대표적으로 각 유형에 해당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중첩되는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즉,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경우 하나의 동기나 목적만을 가지고 평생학습에 참여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동기와 목표를 가지고 참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과정에서의 경험은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모방학습, 동료학습자와의 협력학습, 경력단절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환학습, 육아스트레스로부터의 해방학습 등의 4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여성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한 결과로 얻게 된 성과를 탐색한 결과 ‘유능한 커리어우먼으로 거듭나기’, ‘좋은 사람들과의 네트워크 이어가기’, ‘새로운 분야로 나아가기’, ‘자기효능감 회복하기’의 4가지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학습 동기 및 목표 유형화를 토대로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양상 및 성과의 차이를 구명하는 연구, 평생학습 참여와 다양한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여성의 경력단절 및 경력개발 과정과 관련된 종단연구, 다양한 평생교육기관 대상의 연구, 평생학습 참여를 독려하고 경력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제도화방안 연구 등이 요구된다.

      •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김지경 중앙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여성 경력단절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첫 자녀의 출산 시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혼여성인력의 노동시장 진입과 탈퇴에 관한 동태분석을 행하고자, 노동시장 이행을 중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한국노동패널(KLIPS)자료를 이용하여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경력단절의 양상과 출산 후 노동시장으로의 복귀를 결정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출산을 기점으로 한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탈퇴가 멈추어선 일정 시점에서 관찰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실증분석방법을 동태분석 기법의 하나인 콕스비례재해률모형(Cox Regression Hazard Model)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기간이 단축되고, 노동시장으로의 복귀를 결정하는데 있어 학력이라는 인적자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이는 대학교육을 받은 젊은 기혼여성이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음을 반영함과 동시에 노동시장의 여건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출산한 여성의 노동시장 복귀를 보장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저학력 여성들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기도 하여, 저학력 여성들이 지속적으로 비자발적인 비경제활동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처럼 양극화되어 가고 있는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특성을 인식하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성들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이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관련 제반 정책들을 수립하는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많은 비율의 기혼여성들이 출산 후 자녀양육이 끝나면 노동시장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경력단절기간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양육으로 인하여 오랜 기간 동안 비자발적으로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못한 여성들을 위한 재취업 훈련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셋째, 자녀보육대행자가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출산 후 경력단절 상태에서 노동시장으로 복귀할 이행률이 2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분석결과는 여성의 경력단절 고리를 끊어 저활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발점이 어디여야 하는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여성들을 단절상태에 머물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녀양육의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관련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넷째, 출산 전 취업형태가 임금근로일 경우 출산으로 발생한 경력단절상태에서의 노동시장 복귀로의 이행률이 비임금근로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 복귀하기가 용이한 비임금근로가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기혼여성 인력의 질적 수준이 향상이 되고, 노동시장여건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용인으로서 노동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기혼여성들에게는 여전히 장벽이 높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성비용을 사회화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고, 고용주 또는 기업은 기혼여성인력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모성보호가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초석이 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방서연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66

        With the recent increase of highly-educated women and their entry into society, the social interest in the use of female labor force has been emphasized. However, contrary to men, it is difficult for many women to maintain their jobs because of life-historical events related to family. Women's experience in career interruption causes their identity crisis, and also internal confusion with diverse reaction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women-related policies that can provide them with psychological support, and also high-quality system in the aspect of family and social structure. This study aimed to promote positive changes in psychological state such as de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group art therapy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targeting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eir 30s-40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cluding three people with improper responses to a survey out of 19 research applicants through a post targeting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eir 30s-40s in G city, an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seven applicants who could participate in it continuously while other seven applicants were included in a control group. First, before the group art therapy, a pre-test for measur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was conducte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ame test for depression scale and self-esteem scale was performed in the stage of post-test. As research tools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t used Beck(1967)'s BDI, adapted by Lee, Young Ho and Song, Jong Yong(1991) for the depression scale, and also Coopersmith(1967)'s SEI(Self—Esteem Inventory), standardized into Korean-version by Kang, Jong Gu(1986) for the self-esteem scal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times(On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excluding pre/post tests for five months from June to October 2015. Using SPSS 22.0 program for the collected research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th groups while calculating Cronbach'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Also, in order to understand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both groups,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ANCOVA verifying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between groups by using the post-test score of each variable as covariate.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are there any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Second, are there any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group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Also, i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ub-factors of self-esteem such as self-devaluation, family relation, leadership & popularity, self-assertion, and confidence. Even though this study has quantitatively verified the positiv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because of the number of case of limited targets and limited region, so that it needs to be careful to interpret the results by considering different interest in other welfares in each region. Furthermor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es,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itself in more interpretive methods. 최근 고학력 여성이 늘어나고 사회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여성 노동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은 남성과는 달리 가족형성과 관련한 생애사적인 사건들로 인하여 직업유지에 어려움을 가진다. 여성의 경력단절 경험은 자신의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게 하고 다양한 반응의 내적 혼란을 초래한다. 이에 여성 관련 정책에서 심리적 지지가 요구되며 가정뿐 아니라 사회 구조적인 부분에서 양질의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는 30, 40대 경력단절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파악하고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더욱 긍정적인 심리상태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거주하는 30~40대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게시물을 통한 연구 참여 신청자 19명 중 설문조사 시 부적절한 응답을 한 3명을 제외했고, 지속적 참여가 가능한 7명을 실험집단 그 외 7명을 통제집단으로 실험설계 하였다. 먼저, 집단미술치료 실험 처치 전에 우울 수준 및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시행하였고 집단미술치료 실험 처치 후 동일한 우울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 검사를 사후검사 단계로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도구로는 Beck(1967)의 BDI를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우울척도와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I(Self—Esteem Inventory)로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6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5개월간 주 1회, 매회기 9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측정도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인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집단 간 사후 검사 점수 차이를 검증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우울감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가? 이며, 통계검증 결과, 집단미술치료는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 영역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자기비하, 가족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자신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양적으로 검증되었지만 제한된 연구 대상의 사례 수로 일반화에 한계점이 있으며 한정된 지역에서의 연구로 인한 지역마다 다른 복지의 관심의 정도 차를 고려하여 결과 해석의 심중함에 고려되었다. 나아가 질적 연구를 통하여 더욱 해석적인 방법으로 현상 자체에 나타나는 연구의 의미를 파악해 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직업교육을 통한 경력전환과 전환학습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진로코칭 전문가 양성 과정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일권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51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진로코칭 전문가 양성 과정에 참여한 기혼여성들의 경력전환과 전환학습 과정에 대해 심층적인 의미를 살펴본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기혼여성들의 경력단절은 어떻게 이루어졌고 무엇을 경험하는지, 둘째, 경력전환 과정에서 직업교육 경험은 무엇인지, 셋째, 경력전환 과정으로 인한 변화는 무엇인지 이다. 이를 위해 기혼여성으로서 경력단절의 경험이 1회 이상이면서 진로코치 전문가 양성 과정 직업교육의 참여 경험이 있고, 경력전환을 진행 중인 자발적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경력단절 경험은 사회적 고립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경력단절 초기 취업여성에서 전업주부로 역할전환이 되면서 정체성의 상실과 고립감을 호소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일을 그만둔 것을 경력단절로 여기지 않았고 자신이 경력단절여성임을 인지한 시기가 직업교육을 수강하면서부터였다고 하였다. 이는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스러운 딜레마를 경험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직업교육 참여의 경험은 경력탐색 워밍업, 홀로서기 위한 발돋움, 경력이음의 걸림돌, 자립을 위한 디딤돌 놓기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교육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면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게 되었다. 또한, 동료 학습자들과의 만남에서 ‘개발지원기능’의 작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터 재진입 과정에서 불안정한 구직환경과 신입으로서 부담스러운 나이, 부족한 전문성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그런데도 연구 참여자들은 주도적으로 학습을 확장하고 동료 학습자들과 연대하여 경력을 만들어갔다. 셋째, 경력전환 과정의 경험은 일하는 여성으로 사는 삶의 태도 변화, 미완성의 경력전환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력전환 과정에서 적극적인 사고와 신념을 지지고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프리랜서 강사 직업전환의 현실적 어려움과 마주하게 되고, 직업교육기관에서 취업연계가 확실히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한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로코칭 전문가로서의 새로운 역할로 비로소 관점을 전환하게 되고,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삶으로 재통합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일터 재진입 과정에서 전환학습경험은 사회적 고립이라는 혼란스러운 딜레마에서 벗어나는 탈출구가 되었다. 둘째, 기능의 습득에 초점을 맞춘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직업교육은 직업적인 전환에서 오히려 한계를 갖고, 학습 네트워크 구축과 삶의 태도 변화, 삶의 희망을 품는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전환학습을 통한 경력전환이 ‘완성’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관점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로 조명 받는 여성의 경력단절과 진로교육 분야 경력전환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로서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개인과 직업교육, 사회적 측면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포함하였다. 핵심 되는 말 : 경력단절 기혼여성, 경력전환, 직업교육, 전환학습, 질적 연구

      • 자녀 연령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박세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51

        본 논문은 자녀 연령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차~19차 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여성의 경력단절과 경력복귀, 그리고 재단절 요인을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연구는 미취학 자녀가 어머니의 노동공급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영유아 시기도 연령에 따라 모(母)의 노동공급 결정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입학 후 어머니들의 노동공급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나, 기존 연구로는 취학 자녀의 효과를 제대로 알 수 없다.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자녀 변수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연령에 한정하지 않고, 만0세에서 9세까지 자녀 연령 더미를 사용하였다. 자녀 나이가 모(母)의 노동공급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취업에서 경력단절까지의 생존기간, 경력단절에서 경력복귀까지의 생존기간, 노동시장 복귀에서 경력 재단절까지의 생존기간을 콕스비례위험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구직시점을 활용하여, 경력단절에서 경제활동복귀, 경제활동 복귀에서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까지의 생존기간도 살펴보았다. 만 15세-54세 여성 중 퇴직 시기에 만 0세에서 12세 이하 자녀가 한 명이라도 있었던 여성을 표본으로 하였다. 주요 설명변수로 만0세~ 9세 자녀 연령 더미를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만7세 이하 자녀 수 더미, 여성 본인의 나이, 교육연수, 직업 시작 당시 특성, 남편의 임금률과 근로시간, 가구 부채를 설명변수에 포함하였다. 첫 경력단절 분석결과에서 자녀가 7세 미만일 때 경력단절 위험이 높았다. 특히, 자녀가 만 0세일 때 경력단절 확률은 자녀가 만 10세~18세일 때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에 다시 참여하였다. 단절에서 재취업까지의 생존기간을 보면, 자녀가 만 0세, 1세, 3세 일 때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을 낮았다. 가구 부채는 경력복귀 확률을 높였으며, 남편의 시간당 임금이 만원 증가할 때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은 약 18% 감소하였다. 경제활동인구로 유입된 후 약 30%의 여성이 다시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했는데, 두 번째 경력단절에서도 자녀가 만 0세일 때 경력단절 확률이 가장 높았다. 이후 자녀가 성장하면서 어머니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했지만, 자녀가 만 3세와 7세일 때 위험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여성들은 경력지속에 위기를 겪었다. 마지막으로 만0세~6세 아동에게 지급되는 보육료 지원 및 가정양육수당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표본을 퇴직당시 만 0세~만 12세 자녀가 있고, 퇴직사유를 가사와 육아로 응답한 경우로 구성하면 보육료 지원정책은 모(母)의 경력단절 확률을 높였다. 반면, 보육료 지원은 경력복귀와 경제활동 복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children’s age on maternal labor supply in Korea using survival analysis.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South Korean women is characterized by the M-shaped curve. The low labor participation rate of women from their mid-20s to late-30s is largely explained by career interruption after marriage and childbirth. This study uses micro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surveyed in 1998-2016. Instead of using a pre-school child dummy or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as an explanatory variable, 9 children’s age dummies are included to capture the effect of nurturing 0-9 years old children. Previous literature on maternal labor supply has focused on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 This, however, masks age-specific effects, such as the difference in the availability of using childcare facilities or entering elementary school. First, I estimate the hazard of quitting a job. Then I analyze the hazard of returning either to work or the labor force. Lastly, I estimate the hazard of quitting a job or leaving the labor force after the re-entry. The sample of this analysis is the women between 15-54 years old. Most of all, this study restricts the sample to women who had children between 0-12 years old at the time of quitting their job.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estimates show a strong effect of a 0-year-old child on maternal labor supply. The estimated hazard of leaving the labor market indicates that having a newborn child at home, compared to having teenagers doubles the hazard. As the child grows older, the hazard decreases except during a year when the child is 7-year-old and enters elementary school. This finding accords with the reality that many Korean mothers are willing to take a parental leave or temporarily exit the labor market to help their children go through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elementary school. Infants also decrease the hazard of returning to the labor market. The results show that the husband’s hourly incom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married women’s return to the labor market. On the other hand, household debt increases the hazard of returning to work after the first career interruption. Mothers with newborns have a high hazard ratio of labor force exit after the re-entry. The hazard of women with infants is three times as high as those who are raising children aged 10 to 18 years old. Finally, there is no effect of child care subsidies on maternal labor supply. However, further restricting the sample as women (1) who have ever quit their job when they had children between 0-12 years old and (2) who left their job to be a stay-at-home mom indicates a different result. The childcare subsidies increase the hazard of leaving the labor force. On the other hand, the subsidies have no effect on mothers’ labor market return.

      •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정환경이 경력단절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51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정부의 여성인력확보와 활용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30대 여성들은 높은 경력단절율을 보이고, 생애주기로 봤을 때 두드러지는 M-자형 취업곡선의 유형을 나타내어 그 만큼 여성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자녀를 양육하는 기혼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일-가정환경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경력단절위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수행된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103명의 자료를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정환경 요인으로 구성하고 있는 변인인 학력, 연령, 첫 자녀 연령, 가족의 반응, 가족의 지지, 고용형태, 육아휴직 사용 후 경력변화 중 학력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의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정환경 요인으로 구성하고 있는 변인인 학력, 연령, 첫 자녀 연령, 가족의 반응, 가족의 지지, 고용형태, 육아휴직 사용 후 경력변화 중 가족의 반응은 경력단절위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용형태는 경력단절위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기혼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자녀의 양육과 일을 병행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이 갖추어져야 하고 동시에 가족구성원들의 적극적 지지와 양육부담을 분담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배우자를 중심으로 한 가족구성원들이 자녀의 양육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의논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배우자가 가정의 일에 대해서 분담하고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사회의 인식 전환 노력과 부부가 일-가정 양립을 할 수 있는 효율성 있는 정책시행으로 남녀가 평등하게 일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국가경쟁력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여성인력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임금비교분석

        신동협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을 이용하여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임금정보와 연속취업자인 여성의 임금정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취업관찰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한 기혼여성을 비교집단으로 하고, 취업-미취업/실업-취업의 경제활동패턴을 겪은 기혼여성을 처리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처리집단에 대응하는 임금비교시기를 비교집단에서 임의추출 하여 1,000개의 표본 집단을 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재취업시기의 실질임금이 연속취업자인 기혼여성보다 평균적으로 20%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단절기간에 따라서는 약 9%정도의 임금손실이 추정되었다. 재취업시기와 실업직전시기의 임금변화율을 종속변수로 이용한 모델에 따르면, 경력단절여부의 추정치들은 평균적으로 11%의 임금감소율을 추정하였고 경력단절기간의 추정치들은 평균적으로 4%의 임금감소율을 설명하였다. 또한, 미취업기간의 7세 미만 자녀유무와 경력단절이전시기의 해당 가구의 전기(기) 가구소득을 분모로 하고 전기 가구소득에서 기혼여성의 현재기(기)의 연평균임금소득을 차분한 값을 분자로 한 상대비중을 도구변수로 이용하여 경력단절여부와 경력단절기간의 내생성을 동시에 통제하는 도구변수회귀방법을 시도하지만, 추정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선택? 강요! : 엄마됨의 대가 : 한국 기혼 여성의 노동 행태에 관한 연구

        윤미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35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labor participation behavior of married women in Korea. For this purpos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First, we outline the labor participation journey of married women. By tracing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behavior of married women for 10 years before and after childbirth, the pathways were categori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se pathways were revealed. Second,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gender role norms embedded in Korean society distorted the labor market behavior of married women. Third, the effect of parenthood on the combined wage of married couples by group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wages of parents was analyzed by class. We analyzed how these results affect household wage inequality. For analysis data, the Korea Labor Panel was used. This data has the strength to not only identify individual personal information, economic activity status, job information and history since 1998, but also track life history information such as household composition and childbirth. The sample size is also 22,964 as of the 23rd year (2020), maintaining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samples that are easy to analyze in this study. Research methods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from group-based trajectory model and multinomial logit model to McCrary density discontinuity test, pooled OLS, panel fixed effect model, The unconditional quantile regression fixed effect model was also used in various ways.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married women who experienced childbirth continued their journey in the labor market in five types: the unstab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type, the return type after career interruption, the career interruption type, the delayed career interruption type, and the regular employment retention type. Among these, career interrup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Not only socio-economic factors but also gender role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Second, married women disrupted the distribution of marital income by engaging in distorted actions such as reducing labor market participation in order to avoid the burden of violating the gender role norm that husbands should earn more than their wives. It has been shown that married women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while earning more than their husbands are not free from the burden of violating the gender role norm by increasing the number of housework hours.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hood had a different effect on each class of the married couple's combined wage. Parenthood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inequality between households by thickening both extremes of the married couple's combined wage distribution. In particular, new traditional households, where the husband earns more, were leading these negative result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for households in which the wife earned more, but the direction of the coefficient appeared to alleviate inequality. Fourth, it was found that household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6 were working in the direction of resolving inequality among households.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household inequality among households increased as households with children above elementary school age became parents. Fifth, a wage penalty was observed in low-wage fathers. It was found that low-wage fathers had behavioral changes that increased caring hours and reduced working hours than other lower-income fathers. The above analysis shows the reality that married women still have a high rate of career interruption, and when they return to the labor market, they experience a decline in their jobs, and they are becoming weaker in the labor market due to the gender role norms in Korean society. This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led to within households, exacerbating wage inequality between households. This study shows that the different effects of parenthood by wage decile not only widen the wage gap with men, but also lead to wage inequality among households. This result was not observed in households where the wife earned more. This suggests that the couple's decisions are not made solely by utility, and that social structural factors are at work. The effect of the wage penalty of low-wage fathers shows that this problem originates from social structural factors by examining the phenomenon that causes various groups in Korean society, which are in a weak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to become more vulnerable. It means that the social structure is forcing married women to behave in the labor market. It also shows that these labor market outcomes are becoming factors that make the social structure unequal. Combining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here is a need for a fundamental labor market reform towards an egalitarian wage structure for the ‘disconnection’ of career cuts that are taking place at the cost of motherhood. Second, the gender norms in Korean society make women more vulnerable in the labor market and suffer a double burden. Care and labor policies should be designed while recognizing the unequal gender norms of Korean society. In this respect, women's labor policy should contain the direction of gender mainstreaming in order to realize a gender perspective. Third, in the unequal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the marginalized are being marginalized again. The labor market safety net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underprivileged in the labor market, facing the reality that inequality reinforces inequ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a solution to the unequal wage structure is needed to resolve inequality in society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segregation between occupations in the labor market, and to establish an egalitarian wage structure through changes in structured methods within occupations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value of care. The wage penalty of low-wage fathers and married women shows that discriminatory penalties for the underprivileged in the labor market are increasing. In order to complete the Korean society's journey towards equality, the state's fundamental policy efforts to resolve discrimination in the wage structure are required.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기혼 여성의 노동 참여 행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개별 기혼 여성의 노동 참여 여정을 그려보았다. 엄마된 여성의 출산 전후 10년의 노동시장 참여 경로를 유형화하며 이러한 경로의 영향 요인을 밝혔다. 둘째, 한국 사회에 배태된 성역할 규범이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행동을 왜곡시키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부모의 비교 임금에 따른 집단별로 부모됨이 부부합산임금에 미치는 계층별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가구간 임금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1998년부터 개인의 인적 사항 및 경제활동상태, 일자리 정보 및 이력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 구성, 출산 등 생애사 정보도 추적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표본 규모도 23차년도(2020년) 기준 22,964명으로 이 논문의 분석에 용이한 정보와 표본 수를 유지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분석의 목적에 적합하게 집단중심추세(Group-based Trajectory)모형 및 다항로짓 모형부터 McCrary 밀도 단절 검정, 통합 OLS(Pooled OLS), 패널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 무조건부 분위회귀 고정효과 모형까지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을 경험한 기혼 여성은 불안정 노동시장 참여형, 경력단절 후 복귀형, 경력단절형, 지연된 경력단절형, 상용직 유지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노동시장 여정을 이어오고 있었다. 이 중 경력단절형이 가장 많았고, 이러한 노동시장 참여 결정에는 사회・경제적 요인 뿐만 아니라 성역할 인식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혼 여성들은 남편이 아내보다 많이 벌어야 한다는 성역할 규범의 위반에 대한 부담을 피하기 위해 노동시장 참여를 덜하는 등 왜곡된 행동을 함으로써 부부 소득 분포에 단절을 불러왔다. 남편보다 많이 벌면서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기혼 여성은 가사노동시간을 늘림으로써 성역할 규범 위반에 대한 부담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됨은 부부합산임금에 계층별로 영향을 달리 미침으로써 부부합산임금분포의 양 극단을 넓게 만들어 가구 간 불평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편이 더 많이 버는 신전통 가구가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를 이끌고 있었다. 아내가 더 많이 버는 가구의 경우 통계적 유의미성은 발견하지 못했으나 계수의 방향은 불평등을 완화하는 쪽으로 나타났다. 넷째, 6세 미만 자녀를 둔 가구에서 부모됨은 가구간 불평등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와 달리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둔 가구는 부모됨으로 가구 간 불평등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저임금 아버지에서 임금 패널티가 관찰되었다. 저임금 아버지들은 다른 분위 아버지들보다 돌봄 시간을 늘리고 근로시간을 줄이는 행동변화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기혼 여성들이 여전히 높은 비율로 경력단절에 다다르고, 다시 노동시장에 복귀했을때도 일자리의 하락을 겪으며, 한국 사회의 성역할 규범을 마주하며 노동시장에서 더욱 약자가 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동시장의 구조적 현실은 가구 내로 이어져 가구간 임금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이 논문은 부모됨의 계층별 임금 효과가 남성과의 임금 격차를 벌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간 임금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아내가 많이 버는 가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지 못했다. 부부의 결정이 효용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사회 구조적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저임금 아버지의 임금 패널티 효과는 노동시장에서 약자 지위에 있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집단들이 더 약자로 전락하도록 하는 현상 규명을 통해 이러한 문제가 사회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 구조가 기혼 여성들의 노동시장 내 행태를 강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노동시장 결과가 사회 구조를 불평등하게 만드는 단초가 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엄마됨의 대가로 벌어지고 있는 경력단절의 ‘단절’을 위한 평등주의적 임금구조를 향한 근원적인 노동시장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 사회의 성역할 규범은 여성들을 노동시장에서 더욱 취약하게 만들고 이중 부담에 시달리게 하고 있다. 돌봄과 노동 정책은 한국 사회의 불평등한 젠더 규범을 인식하는 가운데 기획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성노동정책은 젠더 관점을 실현하기 위해 성주류화 방향을 담아내야 한다. 셋째, 노동시장의 불평등한 구조 속 주변부 약자들이 다시 주변화되고 있다. 불평등이 불평등을 강화하는 현실에 마주한 노동시장 약자를 위한 노동시장 안전망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사회 전반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불평등한 임금 구조에 대한 해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노동시장 내 직종 간 분리 문제를 해결하고, 직종 내 구조화된 방식의 변화, 돌봄 가치에 대한 사회 인정 등을 통하여 평등주의적 임금구조를 구축해야 한다. 저임금 아버지, 기혼 여성의 임금 패널티는 노동시장 약자를 향한 차별적 패널티가 가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평등으로 가는 한국 사회의 여정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임금구조의 차별을 해소할 국가의 근원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취업교육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 수도권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장희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03

        While the increased opportunities for the education of women as well as social progress increased the married women's demand for employment Still, women's career interruption still happens caused by task performance in the life cycle of married women. Long career interruption lowers married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and makes worse imbalance between their demand for employment and employment conditions in the labor market, which seems to result from prejudices against them and from their lack of understanding of social changes.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ranging from basic training to cope with social change to vocational education arc essential for career-interrupted women who want to be employed. Howev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women cannot get a correct understanding of married women's demand for employment or that of the employment field going through various changes, thus failing to provide efficient vocational education. Since even national employment support projects for married women fail to fully consider their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and associations with employment, with significance given to quantitative increase rather than qualitative improvement, it is hard to expect long-term effectiveness from the projects. Such a phenomenon is more seriou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here disproportionate emphasis is laid on woman resources. Prior studies dealt with causes of failing to activat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mainly in terms of their will and attitude for getting a lob, child-rearing, maternity protection system, or policies. Considering universalization of the phenomenon of hiagher education among women,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compare differences by other employment factors, such as age, career, and the interruption period. So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to conduct a research. First, how do employment motives among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differ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Second, how do views of vocational education among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differ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Third, how do views of employment projects among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differ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A sample was made of 220 marri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at such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as the Seoul Women's Skills Development Institute, the Dongdaemun Wo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and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Women Vision Center to conduct a survey. 179 valid on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C win 12.0, with the exception of 32 which were completed by unmarried women or contained insincere responses, consequently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omposition and background properties of married women, who are trainees in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As for the general composition of trainees in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more than 80% wer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79.4% were at a high education level as college graduates or higher; 80.4% had experience of being employed; and the majority of them had the interruption period of 3 to 5 years. This implies that higher-education married women in the middle class have their consciousness of employment spread positivel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qualitative improvement in vocational education to meet their particip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education background and age in terms of their employment motives, criteria for selecting a job, obstacles of employment, and desired job.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job differed by employment motives: women in their thirties mentioned economic reasons, which reflects realistic matters, such as child-rearing or child education, and many of thos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suggested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Most of the women in their twenties wanted professional work, thos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wanted educational service work, and those in their fifties wanted general service work.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the younger,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they wanted. As for views of necessary support for employment, the majority of them suggested "diversific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regardless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or interruption period, contrary to expectation. This demonstrates that married women urgently need development of various new job models an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ir age group. Third, respondents' views of vocational education are as follows: Most of the married women needed education for employment; as for a proper period of vocational education, women in their fifties or over suggested three months or less while those in their twenties suggested one year or less, which implied that the older women were, the earlier employment they wanted. In other words, older married women have greater anxiety about employment due to the age limits. They were visiting such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women as women development centers and wo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s to get vocational education; as for motives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many of them expected getting a certificate through short-term education or possibilities of association with employment. Most of the married women in their forties or over who lacked information skills were getting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through people around them, and were primarily visi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women to get vocational education because of lower educational expenses or expectation of association with employment. This implies that differentiated types of vocational education are necessary by age or career interruption period. Fourth, respondents' views of nationally-supported employment projects are as follows; As fo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nationally-supported employment support projects, the majority of them had no such experience, mostly because of insufficient institutional PRs. They still have low awareness of nationally-supported projects because most of the beneficiaries are restrictively those in their thirties to 49, probably because of lack of active PRs by educational institu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 can be suggested in term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specifically segmented and divers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according to various requirements and personal skills by regional conditions and their background proper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service equip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rainees.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women mainly have trainees in their thirties to forties. The biggest burden against vocational education for them is child-care and child-rear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them to supplement service facilities for their traine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rational nationally-supported vocational education and projects in consideration of married women's circumstan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expertise of educators in order to improv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married women. In conclusion, as the aging phenomenon and low childbirth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s, it is first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iated, rational support to meet local conditions by fully considering requirements and views of employm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properties and age in order to settle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s employment as a natural social phenome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