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계선 성격특성의 TCI 기질과 애착의 탐색

        우예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의 기질과 애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20~32 세 성인 450 명을 대상으로 TCI 기질 및 성격 검사, 성격평가 질문지(PAI-BOR), 친밀관계경험척도(ECR-R)를 사용해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판별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경계선 성격특성은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애착불안, 애착회피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로, 위험회피 기질과 애착회피유형, 사회적민감성 기질과 애착불안 유형이 각각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로, 경계선 성격특성은 TCI 전체 27 개 기질 유형의 집단을 유의하게 구별하지 못했다. 넷째로,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은 기질 유형을 유의하게 구별할 수 있었으며, 전체 27 개 기질 유형 중 가장 취약하다고 알려진 유형에서 가장 높은 불안정 애착이 발견되었다. 또한, 기질 유형 중 경계선 성격장애와 관련되며 성격장애의 취약성을 갖는다고 알려진 HHH, HHL 유형의 사례수가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기질유형이 실제로 일반군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취약한 유형임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으며, 성격 발달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의 복잡성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경계선 성격특성, 기질, 애착, 판별분석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temperament and attach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450 adults aged 20 to 32 in Korea using TCI temperament and personality tests, personality evaluation questionnaires (PAI-BOR), and intimacy experience scales (ECR-R),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imulus-seeking temperament, hedging temperament, social sensitivity tempera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dging substrate and attachment avoidance type, social sensitivity substrate and attachment anxiety type, respectively. Thir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e the population of the total 27 substrate types in the TCI. Fourth,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were able to significantly distinguish substrate types, with the highest unstable attachment found in substrate types known to be the most vulnerable of the total 27 substrate types. Fifth, among the substrate types, the number of cases of HHH and HHL types, which are known to be related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have vulnerability to personality disorder, was very small.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corresponding substrate type is actually a vulnerable type that is rare in the general group, and means the complexity of the influence of the substrate on personality develop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emperament, attachment, discriminant analysis

      •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SASB) 모형에 나타난 경계선 성격특성의 여대생과 어머니 관계

        박지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2

        This study tested the structural analysis of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introject patterns in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BPD) feature. The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SASB) model is one of the most elaborate circumplex models. The circumplex models have progressed 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diagnostic forms of DSMs, which used in general. But, DSMs doesn't show the causes and how to access when adapted to some actual counseling settings. The circumplex models are useful and dynamic diagnostic methods describing relational trait in detail. SASB contains three surfaces that measures the action and reaction of others, the actions and reactions of self, and internalized of interpersonal experience in the form of the introject(how one acts toward himself or herself). It provides testable predictions about the link between past experience and current problems predictions, the likely effects of various therapeutic processes and the subsequent interpersonal behaviors by others. in other words, SASB model shows the interpersonal·introject of BPD.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like that: Question 1. Is th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attern coefficients on the other·self·introject surface between the BPD featured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Question 2. What is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pattern of the BPD featured group on the other·self·introject surface? Thi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 First, SASB Intrex questionnaire was selected for study. Second, the PAI-BOR, BPD scale, and SASB Intrex data were collected and divided by PAI-BOR scores into two groups - the BPD featured group(15% from the highest rank, cut-off is raw score 39) and comparative group(15% form the lowest rank, cut-off is raw score 19). Third, pattern coefficients are examined through MANOVA whether the pattern difference of other·self·introject surface is significant between groups or not. This procedure is to test the validity of SASB Intrex questionnaire. Fourth, the pattern of other·self·introject surface about BPD featured undergraduates was analysis through SASB computerized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pattern coefficients between two groups was significant〔other surface: Wilk's Lambda = .500 (F= 8.485, p< .05)〕·〔self surface: Wilk's Lambda = .441 (F= 10.573, p< .05)〕·〔introject surface: Wilk's Lambda = .071 (F= 49.368, p< .05)〕. this result supports the validity of SASB model partly. that means SASB Intrex questionnaire differentiate the BPD featured group form the comparative group significantly. Second, the patterns of the BPD featured group in SASB model showed (in each, other·self·introject surface)「attack - recoil - self attack」「neglect - walling off - neglecting of self」 and 「blame - sulking - self indicating」. This conclusion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article including Benjamin's(19 96a). Especially, introject surface the BPD featured group showed self-attack, self-neglect, self-emancipate at their worst. At their best, the BPD featured group didn't apparently. This means the BPDs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the self suddenly by their condition. that implies their affective unstability and ficklenes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pports the validity of SASB model partly. Second, it introduces SASB model to domestic researchers and counselors with the concern about interpersonal relation measures. Third, rela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is very important in actual setting, especially, when it comes to counseling with a BPD featured person. The study revealed the BPD featured person's actions, reactions to other's interactions with them. We can obtain the practical and useful informations and guides about the interpersonal relation mode through SASB model. This helps to understand and solve the problems of clients in detail. Forth, subjects of this study are general undergraduate not patients. We often find that the BPD features were appeared in normal not little. This study implies the educational, preventive, and developmental meaning in relation to normal young adults.

      •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세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0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있거나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종이 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총 1,079건의 사례를 사용해 심리화 척도를 개발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및 집단 간 차이 분석, 군집 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SRMQ), 친밀관계경험검사 개정판(ECR-R), 경계선 성격특성(PAI-BOR), 간이정신건강진단지(SCL-47),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17), 삶의 만족도 척도(SWLS),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 심리화 질문지(MZ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는 자기 및 타인 성찰, 타인마음 확신, 정서 인식 실패, 경직된 사고의 상관 4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최종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심리화 척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는 심리화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애착 불안이 애착 회피보다 더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심리화는 우울, 편집, 대인관계 예민, 불안 등의 정신병리, 경계선 성격특성과도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 사회적 바람직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부정 정서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심리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 경계선 성격특성을 상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심리화 능력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정서 인식 실패, 경직된 사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자기 및 타인 성찰과 타인 마음 확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심리화 척도의 증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화는 애착 불안, 애착 회피, 경계선 성격특성, 우울, 불안, 편집, 대인관계 예민 등이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설명량의 증가를 나타냈다. 다섯째, 심리화 요인들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건한 심리화 집단, 경직된 심리화 집단, 심리화 거부 집단, 혼란형 심리화 집단이 확인되었다. 각 집단들은 애착, 정신병리, 경계선 성격특성, 삶의 만족도, 정적 및 부적 정서에서 모두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ating scale for an assessment of mentaliz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online page and offline paper and involved 1,079 people over the age of 18 who live in Seoul or Gyeonggi-do area. There were three steps for the study : preliminary, study 1, and study 2. In preliminary study,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subscales of mentalization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e aim of the study 1 was to develop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n, in study 2, the analysis of correlation, group differences and regression among the variables was completed to validate the SRMQ and cluster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validation purposes the following additional instruments were used: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Encounter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ECR-R),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orderline Features Subscale(PAI-BOR), Symptom Check List(SCL-47),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17(SDS-17),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Mentalization Questionnaire(MZQ).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a pool of 25 items was developed and an oblique-rotated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extraction of four related factors: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 deficit of affection awareness, absolute certainty about other's mind, concrete thinking. The model fit was check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was .85(in study1) and .77(in study 2).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RMQ scor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negatively, and especially the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RMQ was larger than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voidant and SRMQ. Also, it was found that SRMQ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ymptom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aranoid ideation.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RMQ scores and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and social desirability scores. SRMQ scores are the sum of the four factors. Except the reflection of self and other, other factors were calculated inversely. Thir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group of PAI-BOR scores in scales of deficit of affection awareness and concrete thinking. But there were not found an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scales of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 and absolute certainty about other's mind. Four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predicting negative affect scores was carried out to examine how much of the variance in negative affect was explained by SRMQ. To this end, th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t, SCL-47(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paranoid ideation), and PAI-BOR were entered in the first block followed by SRMQ in block 2. It was found that SRMQ explained significant increasing percentage of the variance in negative affect over and above the insecure attachment, SCL-47, and PAI-BOR. Fifth,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four main clusters emerge from SRMQ: modest mentalizing group, concrete mentalizing group, confused mentalizing group, refusing mentalizing group.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 styl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paranoid ideati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우희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이들의 주요 문제가 대인관계적인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관련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총 611명(남자274명, 여자337명)이었고, 연구도구는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PAI-BOR),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SC),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 거절민감성 척도(RSQ)이다. 자료 분석은 상관관계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에 따른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경계선 성격특성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이 높아지고, 이러한 높은 정서조절의 곤란과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문제를 높이게 된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 두 변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 하였다.

      • 경계선 성격특성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매개효과

        황수미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서울지역의 성인 남녀 2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경계선 성격특성 척도, 한국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각 변인 간 경로를 확인한 다음,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경계선 성격특성과 고통감내력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경계선 성격특성과 충동성,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고통감내력은 충동성과 문제음주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충동성과 문제음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충동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A total of 251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borderline personality, problem drinking, distress tolerance, impulsiv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3.5.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m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Distress toleranc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in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impulsiv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distress tolerance and impulsivity were mediated sequentiall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 경계선 성격특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절민감성과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김연희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의 매개효과 및 순차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29세 이하의 성인 남녀 652명(남성 210명(32.2%), 여성 442명(67.8%), 평균연령 만 24.58세(SD=3.36))의 응답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하여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계선 성격특성은 반응적 공격성 및 거절민감성,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반응적 공격성은 거절민감성과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거절민감성은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여 모든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거절민감성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계선 성격특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계선 성격특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거절민감성과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경계선 성격특성에서 나타나는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개입 시 거절민감성과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을 다루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경계선 성격특성, 반응적 공격성, 거절민감성, 부적응적 정서대처전략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hecking the mediating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reactive aggression. To this end, responses from 652 adults (210 males (32.2%), 442 females (67.8%), average age of 24.58 years (SD=3.36)) between the ages of 19 and 29 nationwide were used to check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onships of the major variables by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active 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reactive aggression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and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confirming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Second, it was observ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s the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on reactive aggression. Third,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were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on reactive aggression. Fourth,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y sequentially mediate the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on reactive agg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al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when intervening for reactive aggression observed among thos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reactive 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strategies

      •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전정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더불어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초기 성인기 가운데 본 연구에 동의한 36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총 361부의 질문지(온라인 360부, 오프라인 1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 하나 이상의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1부의 질문지를 제외한 360부(온라인 360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SPSS Statistics 21.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초기 성인기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경계선 성격 특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넷째,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변수 역할을 하며,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거부민감성의 관계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거부민감성과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경로에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단절 및 거절 도식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 특성을 가진 초기 성인기를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적 개입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in early adulthood? Fourth, what is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In addition, what i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administered online and offline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o 361 male and female young adult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Of the 361 questionnaires (360 online, 1 offline) retrieved, the study used 360 sets of questionnaires (360 online)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one incomplete se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1.0, and SP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was found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in early adulthood was found significant. Fourth, according to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result, rejection sensitivity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 a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had an effect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of early adulthoo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hcemas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social support. The results, accordingly,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as not found significant.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In short,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hcemas and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he analysis verified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exer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identifying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it has provided basic data regarding specific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aused b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

        손민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계선 성격장애에서 두드러지는 충동성과 불안정성은 공격성으로 발현될 위험이 있으며, 높은 수준의 공격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상당한 역기능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공격성은 정서조절곤란에 기인하는 것으로 제안되어왔는데, 이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때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지속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억제하는 능력과 상황적 요구에 기반하여 정서조절전략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 성격장애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로 정서조절곤란의 기질적, 인지적 측면을 세분화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경계선 성격특성이 고통감내력이라는 기질적 측면과 분노반추라는 인지적 측면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격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 1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에는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 고통감내력 부족 척도(DII), 한국판 분노반추 척도(K-ARS), 자기보고식 공격성 및 사회적 행동 질문지(SRASBM)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Process Macro의 Model 4와 Model 6를 통해 단순매개효과와 순차매개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을 예측하는 경로의 간접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을 예측하는 기제에서 정서적, 인지적 요인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론적, 임상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s of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as sequential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Participants were 198 college students (49 males, 149 females) who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agg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stress tolerance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whereas anger rumin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In addition,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on aggression via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expanded the literature by elucidating conjoint roles of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in the mechanism for predicting aggression in relation to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underscores those factors as potential targets for intervention

      •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비행청소년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경험의 양상

        최중현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비행청소년의 초기 부적응 도식 및 정서경험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총 180명으로 대구광역시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보호관찰소와 청소년비행예방센터에 재원 중인 비행 청소년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초기부적응 도식(단절 및 거절, 손상된 자율성과 수행, 타인 중심성, 과잉 경계 및 억제, 손상된 한계)과 정서강도, 정서주의력, 정서조절에 관한 질문지였다. 경계선 성격장애 비행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구분은 PAI-BOR 척도를 사용하였다. 절단점수 39점 이상을 경계선 비행청소년으로 정하고 39점미만을 비행청소년으로 구분하였다. 재원 비행청소년 중 56명은 경계선 성격특성으로 분류되었다. 일반 비행청소년과 경계선 성격특성 비행청소년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특성 비행청소년은 일반 비행청소년에 비해 초기 부적응 도식의 4개 영역(손상된 자율성과 수행, 타인 중심성, 과잉 경계 및 억제, 손상된 한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이들은 정서검색을 잘하고, 긍정적/부정적 정서 강도가 높았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 비행청소년집단과 일반 비행청소년집단 구분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하여 판별분석(stepwise)을 실시한 결과 3 가지 변인(‘부정적 정서강도’, ‘과잉경계 및 억제 도식’, ‘긍정적 정서강도’)으로 구성된 판별함수를 통해 89.45%의 판별정확성을 나타냈다. 경계선 성격특성 비행청소년은 일반비행청소년에 비해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를 더 확대하여 보고하며, 동시에 부정성, 과잉비판, 자기억제, 처벌지향의 특성을 갖는 ‘과잉경계 및 억제 인지도식’의 특성을 나타냈다. 경계선 성격특성 비행청소년의 이러한 심리적 특성은 치료개입 시 고려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본 연구는 작은 표본 크기, 과거 회상에 기초한 횡단적 연구, 진단 및 공존병리의 문제 등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experience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of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a total of 180 juvenile delinquents in Probation offices and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centers located in Daegu and Ansan City in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scale of five kind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damag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centeredness, excess alertness and inhibition, and damaged sense of limits), emotions monitoring, emotional intensity, and regulation of emotions.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were distinguished from regular juvenile delinquents by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PAI-BOR) scale. Juveniles Who got greater than 39 points were classified as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and those with scores less than 39 were classified as general juvenile delinquents. Out of all the juvenile delinquents, 56 were classified as having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howed higher scores than general juvenile delinquents in four areas(damag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centeredness, excess alertness and inhibition, and damaged sense of limits) out of the sub-factor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lso, they are good at emotion searches and they have strong positive/negative emotional intensity. Second, in order to find predicative variables which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eral juvenile delinquents,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stepwise method. As a result, the extracted discriminant function comprised of three variables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excessive alertness and inhibition schematic, and positive emotional intensity) explains 89.45% of the discriminant accuracy. It was found that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those with gener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eported positive/negative emotion in a more magnified way,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cognition schema with such characteristics as neagtivity, hypercriticalness, self-regulation and punishment orient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delinqu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uld be a reference for treatment intervention.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small sample size, cross-sectional studies based on past recalls, diagnosis and coexisting pathology, Further studies controlling for these problem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