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방문 한국어 교육의 개선 방안

        김현숙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Improvement Strategies for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Kim, Hyun Sook(Helen) Dept. Kore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nationwid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ich was implemented in 2008, and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ervice, a par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early settlement support for these immigrants, has been a one-on-one tailored education program. Over 15 years, it has significantly aided the early social settle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and has received a positive response from them. However, as time has passed, limitations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becoming increasingly apparent, with the extent and nature of these limitations growing. This study, recognizing the need and objectives of such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research. For the literature research, academic papers on policie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ystem (RISS). As for the survey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arge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completed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structors of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earch conducted. Chapter 1 serves as the introduction, outlining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its contents and methods, and reviews previous literature on policie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opic, exploring language policies for immigrants and case studies of marriage immigrant policies in five selected immigration countries (Germany, the United States, France, Japan, and Australia). In Chapter 3,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the realities of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South Korea’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issues and solutions are presented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instructors' educational materials, teaching methods, and professionalism. Chapter 4 conducts and analyzes surveys with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completed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ructors. Chapter 5 reestablishes the objectives of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enhances the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and proposes expanding administrative support and benefits for those who have completed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6 concludes by summarizing the content related to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discussing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realities of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skill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conducted a needs assessment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However,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which included 113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53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ructors. It is hoped that future research will conduct more extensive surveys and actively discuss efficient alternatives for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방문 한국어 교육의 개선 방안 본 연구는 2008년 전국적으로 실시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방문 한 국어 교육의 실제와 한계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 다. 여성가족부의 조기정착지원 한국어 교육 서비스인 방문 한국어 교육 은 일 대 일 맞춤교육으로 15년간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조기 정착 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여성결혼이민자로부터 큰 호응도 얻고 있다. 그 러나 방문 한국어 교육은 시간이 지나면서 한계가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 에는 그러한 한계의 내용과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갖는 본 연구는 문헌 분석과 조사 연구로 진행되었다. 결혼이민자 정책과 방문 한국어 교육에 관한 학술 연 구 논문을 조사하였다. 조사 연구로는 방문 한국어 교육을 이수한 여성결 혼이민자와 방문 한국어 교육 지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진행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 고 결혼이민자 정책과 방문 한국어 교육 관련 선행 문헌 연구를 조사하였 다. 2장에서는 주제의 이론적 배경으로 이민자 언어 정책과 5개 선발이민 국(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호주)의 결혼이민자 정책을 살펴보았다. 3장 에서는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과 방문 한국어 교육 정책의 실 제를 한국의 사회통합 정책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교육 자료와 교수 방법, 지도사의 전문성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계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방 문 한국어 교육을 이수한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어 교육 지도사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방문 한국어 교육 의 개선 방안으로서 교육 목표의 재정립, 교육 전문성 제고, 행정적 지원 강화 및 교육 이수자에 대한 혜택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서 이상의 방문 한국어 교육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의의와 한계를 논하 였다.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기여해 온 방문 한 국어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요구조사 대상자가 여성결혼 이민자 113명, 방문 한국어 교육 지도사 53명 등의 적은 표본 집단 수로 한정이 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고 본다. 향후 방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폭넓은 조사 연구와 효율적인 대안 모색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은덕 신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numbe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is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marriage of these people are surfacing as a social issue. The married liv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do not stop at the private problem but influence family and social problems. H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nfluence of background fact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on their marriage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female marriage immigrant residing in Busa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from Philippines, Vietnam, China, Russia, Thailand, and Indonesia were selected. 15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otal of 180 and used 122 questionnaires for final analysis.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 wife abuse measure, and culture adaptation measure. Subordinate variables are marriage satisfaction measur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measure. To measure marriage adaptation, level of life satisfaction, emotional an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level an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level are used. For measuring psychological adaptation, self respect, depression and anxiety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treating the collected data,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is used. For verification of study problem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ing tool, the reliability factor (Cronbach ) that verifies internal unity level was measured. Also, analysis of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disper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mong various fact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marriage adaptation was wife abuse. The reason for abuse was caused b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husband and patriarchal thinking. Because of lack of ability to use mother tongue of the wife, the smooth communication is not taking place. For detailed practice of policies, active support and effort of local welfare centers and related organization is in need. Second, for the factor influencing psychological adaptation, cultural adaptation took place. Cultural adaptation i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learned in short period of time. There should be constant learning involved until being assimilated into the society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understand and adapt to the culture of one society is the way to coexist as a member of a society as anequal human being. Therefore, rather than exclusive consciousness towards female marriage immigrant, it should be improved to a consciousness to accept multi cultural and ethnic social environment. These effort will help female marriage immigrant to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adapt to marriage.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에서 자란 남녀가 한 가정을 이루는 것이 결혼이다. 예로부터 결혼을 인간대사라는 표현을 통해 그 중요성을 강조해 오고 있다. 결혼을 통해 조직된 가정은 사회와 국가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한 가정의 구성원들이 만족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사회, 국가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할 것이다. 이질적인 문화와 환경에서 성장한 남녀가 결혼을 통해서 상호적응 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연발생적 갈등은 서로가 합의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풀어나가야 건강한 가정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자연발생적 갈등들을 양자 간의 대화나 협력으로 잘 해결하기도 하지만 그것을 회피하거나 묵인함으로써 소극적으로 대처하기도 하고 극단적인 경우로써 아내에 대한 폭력의 형태로 표현하는 경향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김정옥, 1993; Scanzoni 와 Scanzoni, 1976 재인용). 특히, 한국남자와 외국인 여성과 결혼을 한 국제결혼 가정은 내국인끼리 결혼한 일반가정과는 다른 특수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언어적 소통의 문제, 문화적 배경의 상이함, 사고방식의 차이 등으로 인한 결혼적응에 어려움은 단순히 한 가정의 부부문제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과 국가에서 함께 노력해야할 문제인 것이다. 단일 민족을 지향해 온 우리국민들의 국제결혼에 대한 의식은 부정적이었다. 우리나라 국제결혼은 1900년대는 한국여성들이 외국인 남성들과의 결혼이 주를 이루고 한국 전쟁 직후 기지촌을 중심으로 참전 군인과 한국 여성들과의 결혼이 이루어 졌기 때문에 편견이 심하다. 그러나 최근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맞아 국제결혼을 통해 우리 이웃사촌이 된 외국여성들을 흔히 볼 수 있는 상황이 되면서 인식도 많이 바뀌고 있다. 외국인과 결혼가능성에 대해 미혼남녀의 54%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 중에서 남성들의 74.4%가 아시아권 국가의 여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국제결혼 형태는 한국여성과 외국인 남성과의 결혼증가율 보다는 외국인 여성과 한국남성과의 결혼이 더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급속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것, 남녀 성비 불균등과 여성들의 사회활동 증가와 학업연장으로 인한 혼인시기가 늦춰지는 것, 독신 등 제반의 이유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국제결혼 증가율에 대조하여 국가의 정책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맞이할 수 있는 준비가 미흡하다. 때문에 한국남자와 결혼해서 살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한 사회적응 문제, 가정 내 폭력, 국적취득의 어려움 등으로 가정과 이웃으로부터 소외되는 불행한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에 제한을 받으면서 국제결혼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 대상 국가도 처음엔 중국 조선족 출신의 여성이 대부분이었으나 점차 확장되고 있다. 그 주요 대상국은 필리핀, 일본, 태국, 몽골, 베트남등 대부분 경제적으로 빈곤한 국가들이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 동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한국 내 이주를 합법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제결혼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국제결혼은 서로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사랑으로 한 가정을 가꾸어갈 의무와 책임감을 갖기보다는 조건부적인 서로의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 결혼관계가 성립되고 있다. 그들 중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로 인한 고충, 차별대우 등으로 고통 받는 사람이 적지 않아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의 주요 수혜 대상 집단으로 등장하고 있다(보건복지부,2005). 사랑 없는 결혼의 선택, 결혼 후 충족되지 않을 결혼에 대한 동기와 기대, 상이한 사고방식과 문화, 한국의 실정 및 상대 배우자에 대한 정보의 무지, 한국인 배우자의 가난과 실직, 폭음, 폭력 등의 문제는 결혼 후 심각한 갈등을 야기 시킨다(손은록, 2004). 국제결혼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 내에서 국제결혼 가정의 여러 가지 갈등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삶의 수단으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은 그 갈등이 더 심각하여 개인의 인권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회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 결혼이민자의 직업문식성 신장 교육 연구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번역 지원사를 중심으로

        김태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먼저 인천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의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취업 희망 직종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에 종사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과 직업문식성 교육 시 요구되는 구체적 항목에 대해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범위를 좁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6개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통번역 지원사의 직업문식성 수준을 평가하고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와 이에 따른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결혼이민자는 한국 국민과 결혼한 한국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서 한국어 교육의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로 분류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연구 분야에서도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어 교육을 받음과 동시에 경제활동 참여에 많은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혼이민자를 위한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직업 훈련 교육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결혼이민자의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은 2016년 이후 연구 분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결혼이민자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 목적의 방향을 개선하여 취업한 후에 한국 직장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 교육뿐만이 아니라 업무 수행에 필요한 범위를 넓혀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업무 수행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직업문식성 능력으로 간주하고 직업문식성 신장을 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대상을 ‘결혼이민자’라는 범위에서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으로 그 범위를 축소하고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통번역 지원사’로 한정하였다. 대상을 3단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1차 조사에서는 김태린(2016)으로부터 4년 후의 변동 추이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욕구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나 희망 직종은 서비스직, 사무직, 교육직 순에서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 순으로 변동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조사에서는 전문직, 교육직, 사무직으로 제한하여 현직에 있는 결혼이민자들의 직업문식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직업문식성 교육 시 요구되는 구체적 항목에 대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90% 이상이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결과와 언어 사용 기능 신장 요구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통번역 지원사는 결혼이민자가 전문직으로 종사할 수 있는 새로운 직종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미 다문화 사회로의 정착 단계에 있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통번역 지원사로 그 대상을 한정해 그 업무를 조사 분석하고 업무에 따른 직업문식성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는 한국어가 부족한 입국 초기의 결혼이민자들을 위해 통번역을 하는 것이다. 업무의 세부사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 주요업무로는 6개의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세부항목으로는 50개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렇게 방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통번역 지원사들은 과연 어떤 직무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될까에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신입 통번역 지원사를 위해 현재 직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관들을 추출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직접 전화 인터뷰를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그러나 현직 통번역 지원사들에게 인터뷰를 하는 과정에서 계획적이고 세부적인 직무 교육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큰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에 유입된 후 학습하기 시작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은 결혼이민자들에게는 새로운 문식성이 형성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전에 취업이라는 전선에 뛰어듦과 동시에 직업문식성이라는 새로운 벽에 부딪히게 된다. 직업문식성은 직장에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과거의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졌던 말하기 교육이나 쓰기, 듣기, 읽기 등의 영역별 세부 교육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직장에서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현재 통번역 지원사로 종사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의 직업문식성 수준은 어떠한지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해 내고자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통번역 지원사들이 처음 업무를 시작했을 때 관련 업무에 대한 어휘, 언어 사용 기능, 한국문화 이해, 관계 형성, 업무 관련 기술 능력은 어떠하였는지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그 수준을 조사하고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현직에 있는 통번역 지원사들은 업무와 관련한 직업문식성 조사에서 어휘 능력의 부족과 언어 사용 기능의 부족 등으로 처음 업무를 수행할 시 많은 어려움으로 인해 가중되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통번역 지원사들은 직업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 90% 이상이 직업문식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항목 요구에서는 어휘 능력 신장과 언어 사용 기능 향상, 한국문화 이해 능력 신장, 관계 형성 능력 신장, 업무와 관련된 기술 능력(컴퓨터 이용 기술 능력) 등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와 관련된 어휘와 언어 사용 기능이 직업문식성에서의 갖는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관계를 연구하였다.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 중에서 가장 비중이 많은 업무를 추출하여 관련 자료와 관련된 어휘를 추출해 내었다. 고빈도 어휘 목록에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부사 순으로 추출하여 제시하였고 통번역 업무와 관련된 언어 사용 행위를 업무와 관련지어 정리하였다. 또한 업무와 관련된 언어 사용 기능이 직업문식성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그 관계를 밝혀 놓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업문식성 신장 방안을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번역 지원사의 직업문식성 신장 방안의 초점은 한국어 교육 기관과 직업 훈련 기관과의 협력 체제 구축의 필요성에서 시작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신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직업문식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 기관과 직업 훈련 기관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하였다. 형식적인 정책이 아닌 실현 가능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 기관과 직업 훈련 기관과의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어휘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과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방안으로는 학습 전략 관련 기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근거에 의하여 통번역 지원사의 업무와 통번역 지원사의 특성에 맞는 기준을 세워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문화 이해와 관계 형성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는 의사소통능력과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어휘 능력이 신장 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을 때 의사소통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맥락 속에서 문화이해 능력과 관계 형성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 넷째, 통번역 업무 수행 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서 작성 업무나 신청서 작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업무 기술 능력 신장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직업문식성 범위는 언어 사용 기능이나 문화이해, 관계 형성, 컴퓨터 활용 등을 위한 기술 능력까지 범위를 넓혔음을 밝혔다.

      • 농촌여성결혼이민자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연구 : 충청북도 괴산군을 중심으로

        이선미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농촌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프로그램 실태를 파악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그들의 이용만족과 이용욕구를 조사·분석하여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여성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이주 생활을 돕는 한편 지역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정착해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농촌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외국인 아내의 교육내용별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농촌여성결혼이민자 남편의 교육프로그램은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활용된 설문지는 외국인 아내를 위한 교육내용 24문항, 한국인 남편을 위한 교육내용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교육내용과 관련된 문항에 대해서 제공되고 있는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을 응답할 수 있도록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응답자가 지각하는 정도에 따라 1점부터 5점까지(1점: 매우 부족하다(전혀 필요없다)~5점: 많이 알고 있다(매우 필요하다)) 표시하도록 구성하였다. 개인변인은 해당 문항에 대한 응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형과 질문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구성된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설문응답자의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에 따라 각 항목간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국인 아내를 위한 교육내용에서는 부부갈등의 원인과 해결책 t=1.863, p<0.1 차이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한국의 인사예절(몸동작, 옷차림, 인사)과 식사예절 t=1.903, p<0.1 나타나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문화체험(박물관․유적지탐방, 전시회, 공연 관람 등) t=1.94, p<0.1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의 임신, 태교, 분만, 산후조리 방법 등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차이가 t=2.58, p<0.05 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자녀의 이중 언어(한국어, 엄마나라 언어) 취득 교육방법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차이에서도 t=2.07,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학습지원 방법, 자녀교육을 위한 부모의 역할 문항에서도 t=1.90, p<0.1 나타나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건강․위생상식 전염병․질병예방, 병원이용 교육내용 문항에 t=1.80, p<0.1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을 위한 교육내용에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간의 나의 가족과 아내와의 갈등을 예방하는 중재자 역할(t=2.83, p<0.05)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단기적인 전시행정 위주의 교육프로그램 지원이 아닌 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실질적인 효과성 있는 안정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부족으로 인한 유의미한 교육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한국어 중․상위권 여성결혼이민자 교육프로그램 전문가를 양성하여 교육프로그램 효과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학문적 제언으로는 충청북도 괴산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로 이루어지고 있는 센터의 여성결혼이민자 관련 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인식하여 실제 그들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탈바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 및 보건의료이용 동향 분석 :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조경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의 건강상태와 보건의료이용 실태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다문화사회에서 결혼이민자들의 건강격차를 해소하고 결혼이민자들의 건강향상에 기여함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감 경험 및 결혼이민자의 보건의료이용의 장애요인과 미충족 의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거주 지역, 혼인상태, 출신국적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우울감 경험과 관련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가구소득, 출신국적에 따른 우울감 경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보건의료이용의 장애요인은 성별, 거주 지역, 연령, 혼인상태, 출신국적에 따라 살펴보았고, 보건의료이용의 장애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충족 의료는 거주 지역,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거주기간, 가구소득, 출신국적에 따른 차이를 짚어보았다. 주관적 건강 인지율은 연령이 낮을수록,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건강상태를 좋게 평가했으며 배우자와 함께 살수록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우울감 경험 정도는 교육수준이 낮고 가구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높았다. 배우자의 유무가 건강상태 평가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건의료이용의 장애요인을 살펴보면 결혼이민의 신규유입이 많던 2009년과 2012년의 실태조사 결과에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가장 컸으나 결혼이민자의 신규유입이 줄고 기존 결혼이민자들의 연령이 높아지고 거주기간이 길어진 2015년의 실태조사에서는 의료비용의 부담이 보건의료이용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었다. 보건의료이용의 장애요인은 곧 미충족 의료로 이어져 결혼이민자들의 건강상태를 나쁘게 만들 수 있다.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가구소득에 따라 미충족 의료경험의 차이가 크게 증가하여 경제적인 이유가 미충족 의료의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혼이민자의 건강은 전염병의 예방과 의료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사회적 부담 및 사회 의료비용의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사회경제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결혼이민자들의 건강문제와 의료이용 행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또는 일정기간을 정하거나, 질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연구가 많다. 우리나라도 이민의 역사가 길어지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른 의료서비스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대비하고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와 보건의료이용 동향을 전국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 결혼이민자,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보건의료이용, 미충족 의료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홍윤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함께 교육할 수 있는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장에서는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와 요리를 주제로 한 한국어 교육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특성과 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는데,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 하는 한국어 1∼6」에서는 음식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요리를 주제로 출간된 단행본인 「요리한국어」, 「중국어 화자를 위한 음식 한국어: 생활편」,「요리로 배우는 맛있는 한국어31(중국어판)」은 교재의 외적구성과 내적구성으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에 제시하고, 교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앞서 마련한 내용과 형식 구성의 설계안을 바탕으로 실제 단원 모형을 제시하였다.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함께 배울 수 있다면 한국어 학습 효율도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textbooks for women married immigrants who have become a member of Korean society. In chapter 1, w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prio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on cooking, while presenting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textbooks using cooking. In Chapter 2,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rried immigrants as Korean learners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Korean textbooks. In Chapter 3, we analyzed Korean textbooks as a basic work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using cooking. In Korean korean 1 ~ 6 with married immigrants, published by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Korean food for Chinese speakers',' Delicious Korean 31 (Chinese version)', which is a book published on the theme of' · Analyzed mainly on grammar, culture, and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4,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s 2 and 3,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using cooking was suggested. First, I presented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Korean textbooks using cooking and designed the textbooks.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contents and the design of the form structure, a real unit model was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ill improve if women married immigrants can learn Korean culture while learning Korean by using cooking.

      • 충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이순숙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성공적인 한국생활 적응 및 평생교육에 주는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남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5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과정, 한국결혼생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해결방안, 결혼이민자의 한국적응을 위한 평생교육적 관점 등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본 연구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제 결혼 동기는 경제적인 이유, 한국에서의 직업 경험, 다른 나라에 대한 동경 등이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인과 결혼을 결심하게 된 이유로는 한국 남자들의 자상함, 현재 남편과의 연계, 여성결혼이민자의 추천 등이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여성결혼이민자가 현재 남편과 결혼을 결심하게 된 동기로는 현재 남편의 성격, 외모, 호감 등이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여성결혼이민자가 꿈꾸는 결혼 생활은 일상생활에서의 행복과 성공적인 자녀 교육 등이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결혼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문제점으로는 언어, 음식, 시부모 등이었다. 둘째, 이러한 문제의 개선은 친구와 남편의 가족들을 통하여 극복하였다. 셋째, 결혼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은 자국 문화에 대한 남편의 무시와 낯선 사람의 접촉에 대한 무서움 등이었다. 넷째, 이러한 문제의 개선은 남편의 가족들을 통하여 극복하였다. 다섯째, 사회적 갈등의 문제해결방안으로 여성결혼이민자는 온정주의, 경제적 지원, 맞춤형 상담을 제시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책 지원에 대한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생활 정착을 위하여 학습 방문 서비스 프로그램 제공,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에 대한 남편들의 의식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착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는 자녀 교육 서비스와 취업을 위한 자격증 취득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문화 이해 한국 생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한국어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정착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평생교육프로그램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경제적 지원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읽기 이해 능력 연구

        안연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 is currently ente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 duration of stay of marriage immigrants, a major member of a multicultural society, is also prolonged. As the residence period enters more than 10 years, it is changing from the demands of marriage immigrants during the initial settlement period. If the initial demands were mainly focused on adaptation and harmony of Korean society, now the demand for social self-fulfillment and economic activities is the main focus. Therefore, Korean society should think and strive together for socialization and ability development for economic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reading skills in order to develop the work capabilities of marriage immigrants. Howeve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has been mainly focused on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iagnose the reading problem of marriage immigrants,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suggest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for marriage immigrants. To this end, the problem of overall reading of marriage immigrants was identified through miscue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y set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s vocabulary, grammar, and fluency. Fluency was composed of speed of reading, accuracy of grasping the level of misreading, and rhyme consisting of emotion and volume control, softness, and cut-off reading to measure the overall fluency. Vocabulary, grammar, and understanding based on text were measured, and misreading types were analyzed and fluency was calculated through reading data.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average difference due to the change in score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text, 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each factor were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due to COVID-19 has been changed to full online,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e mature stage. 한국은 현재 다문화 사회 정착 과정으로 접어들고 있다. 다문화 사회의 주요 구성원인 결혼이민자의 체류 기간 또한 장기화되고 있다. 거주 기간이 10년 이상으로 접어듦에 따라 결혼이민자들의 사회적 요구는 정착 초기의 요구와 달라지고 있다. 초기의 요구는 주로 한국 사회의 적응, 융화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이제는 사회적 자아 충족과 경제 활동 등에 대한 요구가 주를 이룬다. 이에 한국 사회는 결혼이민자들의 적극적인 경제 활동을 위한 능력 개발을 위해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 결혼이민자들의 업무 역량 개발을 위해서는 읽기 능력 향상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간의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 연구는 주로 교수법에 치중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읽기 문제를 진단하고, 읽기 이해 능력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한국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에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와 교수법 개발의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독 유형 분석으로 결혼이민자의 읽기 전반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읽기 이해 능력의 영향 요인을 어휘, 문법, 유창성으로 설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창성은 읽기 속도인 신속성, 오독 수준을 파악하는 정확성, 그리고 감정과 음량 조절, 부드러움, 그리고 끊어읽기로 이루어진 운율성으로 구성하여 유창성 전반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텍스트에 근거한 어휘, 문법, 이해도를 측정하고, 음독 자료를 통해 오독 유형을 분석하고 유창성을 산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대응 표본 t검정을 시행하여 텍스트 난이도에 따른 점수 변화로 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읽기 이해 능력과 각 요인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이 전면 온라인으로 변경되어 충분한 수의 피험자를 모집하여 실험을 진행하지 못했다는 부분에서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읽기 문제를 진단하고 다양한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성숙 단계의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안 마련의 토대가 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관계망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경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결혼은 생애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경험이다. 그 가운데 이주를 결정해야하는 결혼이민자는 더 큰 변화와 모험을 경험하게 된다.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한국 사회는 이들로 인해 파급되는 사회적인 변화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와 정책들을 끊임없이 제안하고 논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관계망이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결혼이민자 와 가정을 위한 정책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적관계망은 어떤 구조적 특성을 지니며, 각 관계망이 제공하는 지지유형에 따라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 사회활동적지지로 구분하였다. 결혼이민자들은 관계망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지지를 받는지 살펴보고, 다양한 지지가 그들의 적응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16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 경기, 대전, 고흥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150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연구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18 통계 분석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복합회귀분석을 하였고,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논의를 통해 결혼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한 결과 자연적 원조관계망이 전문적원조관계망이나 상호원조관계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았다. 이는 친척이나 친구, 이웃 등 지역사회와 같은 대상으로부터 얻게 되는 지지가 그들의 적응요인이 된다는 것으로 결혼이민자를 위한 정책에서 가정과 이웃의 자원을 중요하게 고려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결혼이민자가 종교나 직업을 갖고 있을 경우 그들이 갖고 있는 관계망이 컸는데, 이를 통해 그들이 받을 수 있는 지지 정도가 컸기 때문에 적응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결혼이민자들이 사회적 관계망에서 받는 지지를 네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본 결과,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는 모든 관계망에서 고루 받고 있다고 느끼고 있으나, 도구적 지지와 사회활동적 지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결혼이민자는 전문적원조관계망으로부터 초기 정착에 필요한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이후에는 기관과 만나게 되는 빈도수가 작아지면서 연결망이 작아지게 되어 적응에 필요한 도구적 지지와 사회활동적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가 나서서 친정부모역할을 하는 현재의 다문화가족정책을 되돌아보아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의 오류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요구가 맞지 않을 때 생겨나는 것이라서 수요자의 입장에 귀 기울이는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셋째, 문화적응을 토대로 한국문화적응과 모국문화유지척도를 살펴본 결과, 한국문화적응척도 가운데 한국어 구사는 한국인과 교류, 한국전통이해, 한국매체선호, 한국인정체성, 한국음식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며 상관관계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의 교류는 모국인 교류, 모국어 사용과도 상관관계가 있으며, 한국어 구사는 모국인 교류, 모국어 사용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접촉은 적응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 및 정책적 제언과 함께 본 연구는 임의표집과 조작적 정의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원화라는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지만, 결혼이민자의 사회적관계망을 고찰하고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문화적응과 관련지어 검증한 점은 통합적인 결혼이민자 정책과 다문화가정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