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직무스트레스

        김하은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this study, It seeks to provide basic date that ICU nurse' job stress levels and which is affec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mprovement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stres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ogram development by identifying relevant factors of ICU nurse' job stress levels. Collecting date on this study was performed as investigation to research relevant factors with stress of ICU nurse' job on 195 of working ICU nurse for the university hospital(Daegu, Daejeon, GyeongGi-Do) end General Hospital(Daejeon, Taebaek,Sunchon) experienced nurse more than one year, from second of March, 2011 to twenty-seventh of April 2011. 1) The total 195 surveyed workers. twenties 48.2%, thirties 38.5% over forties 13.3. The period of service was less than 5years 22.6%, 6-10 years 51.8%, over 10 years 25.6% respectively. Also currently their position is nurse of 183, higher position than responsible nurse of 12 respectively and of them married person is 42.1%, unmarried people is 60.0% respectively. According to NIOSH standard, 31.3%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didn't have 68.7%. 2) averagely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3.02%, depression is 8.19%, job stress is 37.84%. 3) It is found the difference among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job stress by totally attribu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ppeared in forty group higher than different age group as average is 3.58(p<0.01). In working years, workers more than ten years appeared 3.64(p,0.01), higher significantly. Also, The married person appeared average 3.50, higher than unmarried person(p<0.001). Not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is appered average 3.38 higher than musculoskeletal group(p<0.001). In depression Not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is appered average 6.56 higher than musculoskeletal group(p<0.001). In job stress, Not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is appered as lower than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as 42.34(P=0.001). 4) The subject's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job stres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f these are as follows.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re appeared -0.473(p=0.001) 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lso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re appeared -0.454(p=0.001) as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but depression and job stress are appeared 0.642(p=0.001) as posi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5)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1 of ICU nurse' job stress is appeared F=40.076(p<0.001) significantly and modified R-Squared indicates that model R-Squared is Adj R²=0.585, R-Squared of which is 58.5%. Major explanatory variable affecting ICU nurse' job stress is appeared musculoskeletal symptoms (𝛽=0.655)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𝛽=-0.252). That is, The more ICU nurses complain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 less ICU nurses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more ICU nurses have job stres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2 of ICU nurse' job stress is appeared F=199.332(p<0.001) significantly and modified R-Squared indicating model R-Squared is Adj R²=0.891, R-Squared of which is 89.1%. Major explanatory variable affecting ICU nurse' job stress are appeared musculoskeletal symptoms(𝛽=0.510), health promoting behavior (𝛽=-0.866) and depression(𝛽=0.857). That is, The more ICU nurses complain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 less ICU nurses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or the higher ICU nurses feel depression, the more ICU nurses have job stress. And R-Squared of models 2 added depression in models 1is increased 29.6%. Thus, Mediated effect are appeared partially in ICU nurse' job stress.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중환자실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근골격계 질환 및 건강증진행위, 우울 등의 관계를 연구하여, 근무환경개선 및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련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4개의 대학병원(대구, 대전, 경기) 및 4개의 종합병원(대전, 태백, 순천)에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2일부터 4월 27일 까지 자료수집을 시행 하였다. 1) 조사대상자는 전체 195명으로 20대 연령의 분포는 48.2%, 30대 38.5%, 40대 이상 13.3%이었고. 근무기간은 5년 이하 22.6%, 6~10년 51.8%, 10년 이상이 25.6%였으며, 현재직위는 일반간호사가93.8% 이였으며, 책임간호사 이상은 6.2%이였다. 결혼여부는 42.1% 기혼 이였으며 57.9% 미혼 이였다. 여가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40.0%였으며 그렇지 않은사람이 60.0% 이였다. NIOSH정의에 따른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가진 사람은 31.3%이였고 증상이 없는 사람이 68.7%이였다. 2) 건강증진 행위는 평균 3.02%이였고, 우울은 평균 8.19%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37.84% 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직무스트레스의 각각의 차이를 살펴보면, 건강증진 행위에 있어서 연령이 높은군 40대에서, 평균3.58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1). 근무년수에 있어서도, 10년 이상이 평균3.64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1).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자가 평균 3.50으로 미혼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근골격 증상 없는 군이 근골격계 증상이 있는 군에 비해 평균3.38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에 있어서는 근골격 증상이 없는 군이 평균 6.56으로 근골격계 증상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직무스트레스에서도 근골격 증상이 없는 군이 평균 35.78, 근골격 증상이 있는 군 평균 42.34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4)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우울,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과 건강증진행위 에 있어서 상관관계는 -0.473(p=0.001)으로 부적인 상관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에서도 -0.454으로 유의하였다.(p=0.001). 우울과 직무스트레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0.642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로 유의하였다(p=0.001).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예측 회귀모형의 모델 1에서 F=40.076 (p<0.001)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는 Adj R² = 0.585으로 설명력은 58.5%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는 근골격계 자각증상(𝛽=0.655)과 건강증진행위(𝛽=-0.252)로 나타났다. 즉, 중환자실 간호사가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호소할수록 또한 건강증진행위를 낮게 실천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예측 회귀모형의 모델 2에서 F=199.322(p<0.001)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는 Adj R² = 0.891로 설명력은 89.1%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는 근골격계 자각증상(𝛽=0.510), 건강증진행위(𝛽=-0.866) 및 우울(𝛽=0.857)로 나타났다. 즉, 중환자실 간호사가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호소할수록 건강증진행위를 낮게 실천할수록 또한 우울을 높게 느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모델 1에서 우울을 추가로 투입한 모델 2에서 설명력이 29.6%로 증가하여 우울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증진행위

        김지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청소년기는 균형 있는 성장과 발달을 필요로 하며 적극적인 건강관리와 지도를 통하여 건강하게 일생을 살아갈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여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건강관련 교육 및 정책을 통해 이에 대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의 건강정보이해능력 향상을 통해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활용한 상관관계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G도 소재 1개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12명이었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로 구성하였다.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KHLAT-4 (Korea Literacy Assessment-4)로 측정하였으며,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KFHLAT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ool)로 측정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임정은 (2012)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적 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t-test,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언어적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평균 점수는 66점 만점에 37.18±17.74점, 기능적 건강정보 이해 능력의 평균 점수는 15점 만점에 11.86±2.77점, 대상자의 전체 건강증진행위 특성의 평균은 2..95±0.34점이었다. 2.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는 언어적 건강정보 이해능력과(r=.405, p<.01), 기능적 건강정보 이해능력(r=.168, p<.01)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경제적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4.168, P=0.017),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학교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8.698, p=0.000), 건강증진행위는 학교성적(F=5.758, p=0.004), 경제적 상태(F=3.199, p=0.043), 주관적 건강상태(F=7.042, 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일반적 특성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성적은 1.6%, 주관적 건강상태는 2.5%, 언어적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16%로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의 20.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정도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hese variables. Further, the study, through the improvement of health literacy, places its target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a better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esearch design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has targeted on the undergraduates in the 3rd grade of a junior middle school in G province. The 212 students has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such as sitting in on the orientation of this study and filling out the questionnaire regarding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With the use of SPSS/WIN 21.0 program,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ubjects, on average, has gained 37.18±17.74 and 11.86±2.77 scores on 'linguistic'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respectively. Also, their mean scores were 2.953±0.344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hole health promotion behaviors. 2.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inguistic'(r=.405, p<.01) and 'functional'(r=.168, p<.01)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3.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economical status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nguistic health literacy.(F=8.698, p=0.000). School achievements have produced a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 in functional health literacy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As for generally characterize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ly different outcome in school achievements (F=5.758, p=0.004), economic status (F=3.199, p=0.043),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7.042, p=0.001). 4.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subjec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re school achievements 1.6%, subjective health status 2.5%, and linguistic health literacy 16%. Each percentage means each factor's scores (F=11.125, p=.001).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dolescents' health literacy has an established connection with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ir health literacy exercis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 진폐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변도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진폐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내용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 이행을 도울 수 있는 기초 자료을 얻고자 시도되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 존중감, 지각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건강증진행위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하고 있는 일개 산재 의료 관리원에 입원 요양 중인 진폐 환자 270명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6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폐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 작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본 조사는 2008년 7월11일부터 8월5일까지였으며, 설문지 내용을 읽어 준 후 작성 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2.97점으로 보통 정도를 나타내었고, 6개의 하부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영역은 영양관리로 총 5점 만점에 3.03점, 그 다음이 건강관리로 총 5점 만점에 3.02점, 대인관계 총 5점 만점에 3.00점, 휴식 및 스트레스 총 5점 만점에 2.95점, 운동 총 5점 만점에 2.88점, 자아실현 총 5점 만점에 2.87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결혼상태(F=3.602, p=.015)와 흡연실태(t=2.244,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총 15점 만점에 평균 4.42점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자아 존중감은 총 40점 만점에 평균 23.90점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익성은 총 40점 만점에 평균 23.86점이었으며, 자기 효능감은 총 50점 만점에 평균 29.90점으로 나타났다. 4. 건강증진행위와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자기 효능감(r=.674, p=.000), 지 각된 유익성(r=.527, p=.000), 자아 존중감(r=.471, p=.000)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이 가운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자기 효능감이었다. 그러나 지각된 건강상태(r=-.019, p=.909)는 건강증진행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수는 자기 효능감으로 40.6%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자아 존중감이 추가되어 49.2%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기 효능감과 자아 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진폐 환자에 있어 자기 효능감과 자아 존중감이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변수이므로 자기 효능감과 자아 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aimed at getting the essential information which helps the achievement of desirable health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health promotive behaviors of pneumonoconiosis patients and understanding health promotive behaviors related material.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ve model and precedent study, independent variable was comprised of perceived health state, self-esteem, perceived benefit of action, self-efficacy and dependent variable was comprised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This study was targeted for 160 patients who agreed in this investigation out of total 270 pneumonoconiosis patients in the hospitals due to industrial disaster in D city.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ranged from 16 Jun into 30 Jun. 2008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made targeted for 20 pneumonoconiosis patients to check out the preparation for questionnaire and potential issues. The regular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11 Jul to 05 Aug. 2008 and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read to them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PC12.0,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of those surveyed averaged 2.97 out of 5 and as an analysis result per sub-category, the highest scored area was nutrition management with 3.03 out of 5. Health management followed next with 3.02, interpersonal skills with 3.00, rest and stress with 2.95, exercise with 2.88 and the satisfaction of own's goal with 2.87 followed in order of high score. 2. The degree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of those surveyed according to general traits and disease related tra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ith whether they were married(F=3.602, p=.015) or whether they were smoking(t= 2.244, p= .026). 3. The perceived health state of those surveyed averaged 4.42 out of 15 and self-esteem averaged 23.90 out of 40. The perceived benefit of action averaged 23.86 out of 40 and self-efficacy averaged 29.90 out of 50. 4. In relation to correlation between survey variables, it was investigated that health promotive behaviors had the strong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r=.674, p=.000), perceived benefit of action(r=.527, p=.000), self-esteem(r=.471, p=.000) in order and of these, self-efficacy demonstrated the strongest correlation.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perceived health state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ve behaviors. 5. The strongest variable in health promotive behaviors was self-efficacy with 40.6% of explanatory adequacy and when self-esteem was added, it showed 49.2% of explanatory adequacy. Therefor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health promotive behaviors wer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re the strong variables that can explain about health promotive behaviors of pneumonoconiosis patients,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grow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노인의 종교성과 건강증진행위 연구

        이연희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건강증진행위는 현재의 건강수준을 유지하고, 질환을 예방함으로써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종교 유형 및 참석빈도 등의 종교성(Religiosity)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갖게 함으로써 건강증진행위를 이끈다. 하지만, 국내에서 노인의 종교성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종교 유형과 참석빈도, 즉 종교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03년 사회조사(Social Statistical Survey) 자료(N=7,845)를 바탕으로 종교성에 대한 총 7개의 독립변수(불교 자주 참석, 불교 드물게 참석, 개신교 자주 참석, 개신교 드물게 참석, 천주교 자주 참석, 천주교 드물게 참석, 종교 없음)를 구성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 유형과 관계없이 종교에 자주 참석하는 노인은 종교가 없는 노인에 비해 건강증진행위를 더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교에 드물게 참석하는 노인은 종교가 없는 노인과 건강증진행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종교에 자주 참석하는 노인 중에서도 천주교를 믿는 노인은 불교, 또는 개신교를 믿는 노인에 비해 건강증진행위를 더 실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을 살펴봄에 있어 종교 유형뿐만 아니라 참석빈도와 같은 종교성을 함께 고려해야함을 제시한다.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health has grown rapidly in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conducted on this relationship in Korea. Using 2003 Social Statistical Survey (N=7,845),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health behavior among Korean older adults. Using the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e found that compared to the non-religious group, Strong Buddhists, Strong Protestants, and Strong Catholics are more likely to take steps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but weak Buddhists, Weak Protestants, or weak Cathol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ur findings suggest that religious people who attended services rarely were more similar to their non-religious people than their more religious people in terms of its impa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Strong Catholic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take steps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than Strong Buddhists or Strong Protestants.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ong Buddhists and Strong Protesta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e combined effects of religious affiliation and religiosity―religious service participation― on health behavior.

      •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건강증진행위 비교 연구

        한성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nurs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worked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 corelation and impact factors among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hindrance, which influence teachers' health promotion behavior. Subjects were 99 nurse teachers and 90 woman teachers of some elementary schools in Jeollabuk-do, with data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07. Tools included Choi Soh Ra(2006)'s modified tool based on the tool originally developed by Walker et al(1987) to measure health promotion behavior, Yoo Sang Hee(2003)'s modified tool to find self-efficacy, and Kim Dong Whan's tool(2004) to fi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hindrance. The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to proceed data, such as actual number, percentage, X²-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d Cronbach‘ α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nurse teachers showed the average of 2.67±.41 point, while woman teachers got the average of 2.56±.30 poin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t=2.220, p<.05). 2. For sub-area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nurse teachers indicated nutr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realization, stress care, health responsibility, and exercise in order, while woman teachers showed nutr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realization, stress care, exercise, and health responsibility in order. 3. For self-efficacy, nurse teachers got the average of 3.57±.46 point, while woman teachers got the average of 3.49±.46 poin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t=1.062, p>.05). 4. For perceived usefulness, nurse teachers marked the average of 3.52±.35 point, while woman teachers marked the average of 3.42±.32 poin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t=1.991, p<.05). 5. For perceived hindrance, nurse teachers got the average of 2.17±.35 point, while woman teachers got the average of 2.32±.31 poin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t=-2.959, p<.01). 6.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hindra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areas marked r=.452, p<.01 for nurse teachers and r=.378, p<.01 for woman teachers, whi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usefulness marked r=.289, p<.0l for nurse teachers and r=.274, p<.01 for woman teachers, showing a net correlation. 7. For impact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nurse teachers noted that 20.4% accounts for self-efficacy, following by working career and perceived usefulness in order, while woman teachers indicated that self-efficacy accounts for 14.3%, following by working career, religion, and ages in order, with the total accountability of 28.9%. 8.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hindra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nurs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working career, while woma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s, religion, and working career(p<.05). For self-efficacy, woma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p<.05). For perceived hindrance, nurs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religion(p<.01). Based on the results above, nurse teachers have showed higher scor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usefulness than woman teachers have done, with a lower perceived hindrance than woman teachers have had. It has indicated that health promotion behavior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whereas i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indrance. It has been noted that self-effica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vely, this study has some suggestions that a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nurse teachers' and woman teachers' practic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at a strategy development should be required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influential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reduce perceived hindrance.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건강증진행위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간의 상관관계와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일부 초등학교 보건교사 99명과 여교사 90명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07년 4월 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Walker 등(1987)이 개발한 도구를 최소라(2006)가 수정한 도구를, 자기효능감은 유상희(2003)가 수정한 도구를, 지각된 유익성 및 지각된 장애성은 김동환(200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X²-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건강증진행위는 보건교사는 2.67±.41, 여교사는 2.56±.30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220, p<.05). 2.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별 정도는 보건교사는 영양, 대인관계, 자아실현, 스트레스 관리, 건강책임, 운동 순위였고, 여교사는 영양, 대인관계, 자아실현, 스트레스 관리, 운동, 건강책임 순위로 나타났다. 3.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자기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보건교사는 3.57±.46, 여교사는 3.49±.46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062, p>.05). 4.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지각된 유익성을 비교한 결과 보건교사는 3.52±.35, 여교사는 3.42±.32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1.991, p<.05). 5.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지각된 장애성을 비교한 결과 보건교사는 2.17±.35, 여교사는 2.32±.31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959, p<.01). 6.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에서 보건교사(r=.452, p<.001), 여교사(r=.378, p<.001) 나타났고,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유익성에서 보건교사(r=.289, p<.01), 여교사(r=.274, p<.01) 나타나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7.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 중 보건교사는 자기효능감이 20.4%를 설명하였으며, 근무경력, 지각된 유익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교사는 자기효능감이 14.3%를 설명하였으며, 근무경력, 종교, 연령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28.9%였다.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의 차이 분석에서 건강증진행위는 보건교사는 근무경력, 여교사는 연령, 종교,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자기효능감은 여교사의 경우 월 평균소득,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지각된 장애성은 보건교사의 경우 종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1). 이상의 결과 보건교사가 여교사보다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유익성은 높았고, 지각된 장애성이 낮게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익성은 순 상관관계를 지각된 장애성과는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중요한 관련요인은 자기효능감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교사와 여교사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건강증진행위의 영향력 있는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익성을 증진시키고, 지각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전략개발이 필요하다.

      •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농촌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강나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중년기 여성은 별다른 질환이 없음에도 여러 가지 불편한 증세로 복합적 폐경증후군을 겪게 되어, 심리적으로도 자기효능감은 떨어지고 건강증진행위는 매우 낮아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악순환 속에 있다.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건강관리에 취약한 실정이므로,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특성과 건강문제, 중년기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감의 결여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시급한 때이다. 이에 농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생활습관의 변화를 통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임의표출방법을 적용하여 J도에 거주하는 농촌중년여성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수락한 실험군 50명, 대조군 50명을 선정하였으나, 최종 자료분석에 이용된 대상자 수는 실험군 43명, 대조군 40명으로 총 83명이었다. 실험적 처치로, 성취완성을 위한 에어로빅운동을 1시간씩 주3회 하도록 하였고, 건강증진행위의 실천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건강일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대리경험으로 그룹토의와 건강증진행위의 실천 경험을 발표하게 하였고, 언어적 설득의 방법으로 중년여성의 건강교육과 개별상담을 하였으며, 과도한 정서적 각성 조절을 위한 단전호흡을 각 각 주1회 1시간씩 수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00년 9월 1일부터 2000년 11월 30일까지 3개월간이었고, 사전조사는 2000년 8월 25일부터 9월 1일까지 일주일간 설문지 조사를 하였고, 사후조사는 프로그램이 끝난 후 12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 일주일간 동일한 설문지 조사를 반복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점수 측정을 위해 박재순(199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은 노유자(1988)가 개발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제특성, 동질성분석을 위해 χ2-test, t-test를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t-test를 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2.82, p=0.0001). 제2가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4.13, p=0.0001). 제3가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삶의 질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2.02, p=0.0001).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켜 행위변화를 유도하였고 그 결과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아졌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음이 입증되었으므로, 이는 곧 Bandura(1977)의 사회학습이론에서 나온 자기효능 학설과, Pender(1987)가 제시한 인지 지각요인 중 자기효능감이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의해 건강증진행위를 동기화 시키고 인지적인 평가과정을 통해서 통합적인 행동에 옮겨짐으로써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어 Bandura의 학설과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지지해 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따라서 농촌 중년여성의 저하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능기대증진 자원을 이용한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based on self efficacy theory, whether the program improves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for rural middle aged women. Self-efficacy is the belief that one has the skill and competence to carry out specific actions. This program i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and Pender's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ory, and consists of exercise and health diaries for performance accomplishments, education and group sessions for verbal persuasion and vicarious experience, and Dan-joen Breathing for control of emotional arousal.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 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from September 1 until November 30, 200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1, 2000. The subjects were rural middle aged women from 40 to 59 years old who resided in Je-ju Do. Among the 83 subjects, 43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to the control group. For each group, there wa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posttest after the 12 week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the Self Efficacy Scal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Park(1995),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Ro(1988) modified to better suit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first hypothesis , "The level of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2.82, p=0.0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4.13, p=0.0001). 3 The third hypothesis,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2.02, p=0.0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when a nurse is planning to improve commun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rural middle aged women, she(he) should always consider the concept of self-efficacy.

      •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정수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효율적인 건강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교사 234명이며, 자료수집은 2016년 10월 5일부터 2016년 10월 3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지각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평점 2.94점이었고, 건강상태 정도는 3점 만점에 평균평점 1.59점이었다. 건강상태 하위영역 중 신체 건강상태는 1.54점, 정신 건강상태는 1.67점이었다. 신체 건강상태 중 다자각 증상 호소가 1.61점, 정신 건강상태 중 신경질 증상 호소가 1.98점으로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평점 2.66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으로는 영적성장이 3.15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책임이 2.00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지각과 건강상태(r=-.592, p<.001),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r=-.407, p<.001)는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r=.316, p<.001)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상태 항목이 유의한 음의 상관성(t=-4.517, p<.001)을 나타냈고, 설명력은 19.6%이었다. 초등학교 교사는 중간보다 높은 정도의 건강지각, 중간 정도의 건강상태 그리고 중간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고 건강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로 나타나 초등학교 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강상태 중 다자각 증상과 신경질 증상의 호소를 낮추는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 및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health perception, health status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ective health improvement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234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istri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 and this had been done through from Oct. 5. 2016 to Oct. 30. 2016. Material was used in the method of the self-reporting survey which includes th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of Ware, Todai health index of Aoki, Suzuki and Yanai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f Walker, Sechrist and Pend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3.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the health perception of the subject was averagely 2.94 out of 4 points, the health status level was averagely 1.59 out of 3 points. For the subordinate scope of health status, the physical health status was 1.54 while the mental health status was 1.67. For the physical health status, multiple symptom report was 1.61 while neurotic temperament report was reported 1.98 as utmost high for the mental health status. The fulfilment level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study subject was averagely 2.66 out of 4, and the spiritual growth was 3.15 the highest for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hile the health responsibility was the lowest 2.00.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health perception level by the disease and the job stress and also the health status leve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obesity, disease and job stress. By the teaching years and job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r=-.592, p<.001) and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r=-.407, p<.001)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erception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r=.316, p<.001)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The factor that affects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subject was the health status which showed the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t=-4.517, p<.001) and its power of explanation was 19.6%. Conclusion: A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of health perception, average level of health status and a little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t appears tha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are needed. Also,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appeared job stress and the health status, the job stress and the health status are need to be managed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specially, the health education and the health improvement program that lower the multiple symptoms and the neurotic temperament report needs to be developed and the systematic policy and the environment to support this need to be established.

      •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이선화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조부모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개발된 Health Self Rating Scale을 신유선과 김은하(2009)가 수정한 도구를,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Walker 등 (1996)이 개발한 건강증진 생활양식도구(Health Promotion Life style Profile-Ⅱ, HPLP-Ⅱ)를 서현미와 하양숙(2004)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Duncan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정도는 평균 2.68±0.58점(범위:1-5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는 평균2.40±0.45점(범위:1-4점)이었고, 건강증진행위의 하위 요인 중 대인관계 요인이 2.62±0.59점으로 가장 높았다. 2.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 상태는 교육정도(F=3.25, p=.042), 주관적 경제상태(F=12.84, p=.001), 질병유무(t=6.07, p=.001), 주당 양육일수(t=2.42, 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성별(t=-2.60, p=.010), 여가활동(t=-4.32, p=.001), 주중 하루 양육시간(F=3.91, p=.022), 주말 중 하루 양육시간(F=3.89, p=.02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는 약한 정적 상관(r=.37, p<.001)을 보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았다. 따라서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건강증진행위 실천의 향상을 통해 신체적, 심리적 지지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 보육교사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경선 신한대학교 특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Park, kyoung sun Department of Art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Majored in Integrated Arts Therapy Special Graduate School Shinh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This researcher will examine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find ways to improv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ncreas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Second, how are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ptimism among ego-resiliency sub-factors has a greater impa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is means that the child care teacher who has an optimistic attitude, in other words, a child care teacher with a high ego-resiliency, will have high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as a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and purpose of life were variables explain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It is positiv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an control oneself. And it means that a child care teacher with a life goal has the high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ird,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showed 49% of explanation power, and to the optimality of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y,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and purpose of life,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re added, may have mor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inforcement are needed to increas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in addition, it can be noticed that the teacher education or program development are needed that can rais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lso, to rais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hild care teacher, encourage participation in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engthen program, and working conditions for the child care teacher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should be improved. These necessity of institutional arrangement is suggested. Key words: Health Promoting Behaviors,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 Care Teacher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이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해서 알아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낙관성이 상대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보육교사, 즉 자아탄력성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 중에는 긍정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이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이는 대인관계에 있어 긍정적이고 자신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고 삶의 목표가 있는 보육교사일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49%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의 낙관성에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긍정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을 더해지면 건강증진행위에 더욱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강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강화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해야 하고, 보육교사가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는 근무여건이 개선되어야 하는 제도적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건강증진행위,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보육교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