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皮膚健康管理에 대한 知識 및 行爲에 관한 硏究 : 濟州地域을 中心으로

        김나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주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및 행위를 파악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피부건강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도에 거주하는 2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요인,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행위에 관련 질문 크게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실태를 살펴본 결과,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는 대중매체를 통해 얻는 여성이 45.1%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은 10.89(13점 만점)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여성은 84.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피부에서는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에 대해 관심을 갖는 여성이 30.4%로 가장 많았다. 둘째,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및 행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피부건강관리를 위해서는 화장품을 사용하는 여성이 73.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여성은 26.6%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입 시에는 평균이 3.69로 자신의 피부타입을 고려하였고, 기초화장품 선택이 피부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3.96으로 기초화장품 선택이 피부관리에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화장품 부작용은 경험한 적이 없는 여성이 64.2%로, 경험한 적이 여성 35.8%보다 많았으며,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에는 3.10으로 제품 설명서를 읽어보고 기능과 방법을 그다지 확인하지 않았다. 연령별 여러 종류의 화장품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3.88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행위에 관련된 요인을 살펴본 결과, 피부관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여성은 49.9%를 차지하였으며,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이 48.3%로 가장 많았다. 피부관리는 잡티 없는 깨끗한 피부를 위해서 하는 여성이 36.0%로 가장 많았고, 주 1회 피부관리를 하는 여성이 29.5%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관리 1회 시에는 1만원 미만을 지출하는 여성이 39.8%로 가장 많았다.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가벼운 마사지를 하는 여성이 48.3%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관리 후 효과에 대해서는 3.56으로 만족하였다. 피부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여성고객 위주 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이 63.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미용성형수술은 할 의향이 없는 여성이 52.5%로, 의향이 있는 여성 47.5%보다 많았다. 피부관리실에서 발 관리, 아로마 관리 등과 같은 전문관리를 받는 것에 대해서는 3.86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담배는 전혀 피우지 않는 여성이 87.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음주는 한 달에 1회 하는 여성이 26.9%로 가장 많았고, 음주 후에는 피부건강을 위해 물을 많이 마시는 편인 여성이 32.2%로 가장 많았고,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과일류를 선호하는 여성이 36.7%로 가장 많았다. 또한 피부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2.71로 그다지 규칙적으로 취침을 하고 기상하지 않았으며, 평소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에 비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3.10으로 그다지 적극적으로 노력하지 않았고, 수영이나 조깅 등의 운동도 2.57로 그다지 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kin-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women in the region of Jeju in an effort to help them take care of their skin in a more efficient and scientific mann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emale residents in Jeju who were in their 20s to 60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three different segment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skin-care knowledge and skin-care behavio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o skin car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he women who acquired information on skin care through mass media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45.1%). They got a mean of 10.89 out of possible 13 points in skin-care knowledge. The majority of them(84.8%) felt the need for skin care, and the largest percentage(30.4%) were intrigued by pigmentation like liver sports or freckles. Second,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skin-care knowledge and behavior, most of them(73.4%) used cosmetics to take care of their skin, and the others who didn't accounted for 26.6%. They took consideration on their skin type when they bought cosmetics(a mean of 3.69), and as to the impact of the choice of basic cosmetics on skin care, they believed that the choice of basic cosmetics was vital for skin care(3.96). The women who didn't undergo any side effects from cosmetics(64.2%) outnumbered those who did(35.8%), and they scarcely read instructions to confirm the function of cosmetics they bought or how to use them before putting them on(3.10).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different types of cosmetics for different age groups(3.88). Third, as for skin care behaviors, 49.9 percent had ever received skin care treatment, and the greatest number of them(48.3%) visited skin care clinics. The largest group(36.0%) took care of their skin to make it clean. The greatest percentage took care of their skin once a week (29.5%), and spent less than 10 thousand won on one time skin care (39.8%). The largest number of them(48.3%) massaged their face lightly, and they were contented with the effect of skin care(3.56). More than half them(63.6%) used skin care clinics for female customers only, and the rate of the women who had an intention to have cosmetic surgery (47.5%)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women who hadn't(52.5%). They took a positive view of receiving foot care treatment or aroma therapy at skin care clinics(3.86). Most of them(87.5%) were non-smokers, and the largest percentage(26.9%) drank once a month. The greatest number of the women tended to drink water for the sake of post-drinking skin care(32.2%), and preferred fruit as food to improve skin care(36.7%). They rarely turned in or got up on a regular basis(2.71), and didn't make efforts to ease stress, either, though they were under pressure (3.10). Moreover, they didn't get exercise like swimming or jogging(2.57).

      •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코칭 영역 개발

        임성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백혈병 생존아동의 치료 종결 후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코칭 영역 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백혈병 생존아동의 부모의 인터뷰를 통해 부모코칭 영역을 확인하고,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코칭 영역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인터뷰를 통한 부모코칭 영역 확인을 위한 연구 참여자는 소아 백혈병 진단을 받고 현재 치료가 종결 된지 6개월 미만의 백혈병 생존아동의 부모 6명으로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9월 13일부터 12월 1일까지였으며, 부모의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 코칭요구에 관한 국내 6편, 국외 2편의 선행연구와 국내 3편, 국외3편의 지침서를 통해 부모코칭 영역을 도출하고, 치료 종결 6개월 미만의 백혈병 생존아동 부모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자녀의 건강관리 코칭요구를 토대로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 부모코칭 영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뷰 참여자의 백혈병 생존아동 연령은 만 6세에서 만 9세로 평균 만 7세였다. 여아 5명, 남아 1명으로, 출생순위는 첫째가 1명, 둘째가 5명이였다. 진단명은 6명 모두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이었고, 진단 후 경과 기간은 2년 8개월에서 3년 10개월까지로 평균 3년이 경과되었다. 평균 치료가 종결되는데 걸린 시간은 각 2년 4개월에서 3년 8개월로 평균 2년 9개월이었으며, 6명 모두 전이는 없었고 치료 방법으로는 항암요법만 사용했다. 또한 6명 모두 연령에 맞게 학교에 복귀하여 참여 하고 있었다. 2)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 코칭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지침서를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영역의 결과를 통합하여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 부모코칭 영역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 부모코칭 영역은 일상생활관리, 교육 및 정보제공, 생존아동의 정서적지지, 생존아동의 사회적지지, 추후관리, 가족지지, 학교생활관리, 증상관리, 성장발달증진의 9개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3)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 부모코칭 영역에 따른 코칭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관리 코칭영역은 감염 예방, 식이관리를 통한 건강 유지, 신체적 활동 증진의 3가지 코칭 세부 항목으로 나타났다. 교육 및 정보제공의 코칭영역에서는 급성 림프구성·급성 골수성·만성 골수성 백혈병 정보, 항암치료 부작용, 항암제 관련 후기 합병증, 방사선 관련 후기 합병증, 이차 암 위험성의 5가지 코칭 세부항목과 생존아동 정서적지지의 코칭영역에서는 정서적안정 도모, 치료 프로그램의 2가지 코칭 세부 항목이 나타났다. 생존아동의 사회적지지 코칭영역에서 경제적 지원 및 생존아동 지원 프로그램, 사회인식 변화 관련 캠페인의 3가지 영역의 코칭 세부항목과 추후관리 코칭 영역에서 치료 종결 후 시기별 주요 건강관리, 항암제 관련 후기 후유증 관리를 위한 자가 체크, 방사선 관련 후기 후유증 관리를 위한 자가 체크, 자가 점검표를 통한 현재 생존 아동 상태 관찰의 4가지 코칭 세부항목을 확인하였다. 가족지지의 코칭영역은 가족들과의 소통 프로그램, 생존아동의 형제지지의 2가지 코칭 세부 항목과 학교생활 코칭영역에서의 학교복귀 정상적 적응, 학교 환경관리, 학습능력향상의 3가지 코칭 세부 항목이 나타났다. 증상관리 코칭 영역에서 신체적 피로관리, 신체상 변화 관리의 2가지 코칭세부 항목과 성장발달증진에서 코칭영역을 통해 정상성장발달 촉진, 효율적 훈육방법, 아동의 독립심 격려의 3가지 코칭 세부 항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GROW 모델에 근거한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 부모코칭 영역을 도출하기 위해 단계별 코칭스킬 질문 유형을 설정하여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코칭의 목표를 설정하고, 건강관리 우선순위 및 문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생존아동의 건강관리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과 대안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때 본 연구에서 부모코칭 영역으로 도출된 9가지 영역을 기반으로 개발된 부모코칭 가이드북을 활용하여 코칭 적용 후 앞으로의 부모의 실행의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GROW 모델에 근거하여 백혈병 생존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9개의 부모코칭 영역을 개발하였고, 추후 실무자가 GROW 모델을 활용하여 계속적으로 부모가 필요로 하는 실제적인 생존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코칭영역을 도출해 내고 새로운 코칭영역에 대한 추가적인 중재간호가 제공되어 백혈병 생존아동의 효율적인 건강관리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사업장 근로자를 위한 계속구강건강관리의 효과연구

        배수명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에게 계속구강건강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치아수명을 연장하고 구강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개발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3년 동안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의류제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 가운데 계속구강건강관리 조사연구사업의 목적에 동의하고 참여한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속구강건강관리는 구강위생사가 직장구강보건실에서 1차예방을 중심으로 구강보건교육과 잇솔질교육 및 치면세균막관리와 치면연마 및 치면세마(Scaling)를 시행하였다. 조사대상근로자들을 1차예방 중심으로 구강건강을 관리하여, 1년 주기 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별 치면세균막지수를 측정하였고 치주건강인식도와 구강보건인식도를 조사하기위해 직접개별 설문조사를 하였다. 계속구강건강관리과정에서 탈락한 경우가 1차에서 31명(31%), 2차에서 36명(36%)이었다. 일반적으로 추적에서 탈락한 경우를 분석에서 제외하면 연구 결과에 편향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1차와 2차 모두 조사된 대상자 집단을 Complete Case로 하여 분석하였고 두 번째는 관리 단계별 대상자에서 탈락한 경우의 관측값을 이전의 관측값으로 대체한 LOCF(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방법을 적용하였다.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paired t-검정,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치면세균막지수는 기초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22.2이었고, 1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19.4이었으며 2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16.5이었다. 1년 주기 계속구강건강관리를 함에 따라 치면세균막지수가 감소하였다(p<0.01). 2. 치주건강인식도는 기초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72.5이었고, 1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74.0이었으며 2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74.6이었다. 1년 주기 계속구강건강관리를 함에 따라 치주건강인식도가 증가하였다(p<0.01). 3.구강보건인식도는 기초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21.2이었고, 1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22.0이었으며 2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22.0이었다. 1년 주기 계속구강건강관리를 함에 따라 구강보건인식도가 증가하였다(p<0.01). 4.기초구강건강관리단계와 1차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에서 성별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5.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별 치면세균막지수, 치주건강인식도, 구강보건인식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각각의 기초구강건강관리단계의 값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6. 계속구강건강관리단계별 치주건강인식도와 구강보건인식도의 각 문항별 인식은 계속구강건강관리를 함에 따라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eline data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incremental dental care program in the workplace for lengthening the life span of the teeth and promoting dental health of workers. The participants were 100 industrial workers worked in clothing manufacturer company located in Seoul for three years, from Jan 2000, till Dec, 2002. All participants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igned an informed form. The dental hygienist executed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fessional tooth brushing, plaque control and scaling, focusing on primary preventive care in the workplace. The dental health was cared focused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the industrial workers, and measured the index of plaque by the stage of comprehensive incremental dental care in a year cycle. The data was collected by direct individual method through a questionnaire ab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periodontal health and dental health. A total number of 36 participants (36%) were finally dropped-out during study. Two data set were applied in order to check a bias due to drop-out. First, it analysed only complete follow-up cases(complete case). Second, it applied the LOCF(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method that substituted the last observed value for the missing values due to drop-out.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ere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AS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index of plaque was 22.2 in the base dental care stage, 19.4 in the first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 and 16.5 in the second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 The index of plaqu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p<0.01) in a year cycle. 2.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periodontal health was 72.5 in the base dental care stage, 74.0 in the first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 and 74.6 in the second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periodontal health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p<0.01) in a year cycle. 3.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dental health was 21.2 in the base dental care stage, 22.0 in the first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 and 22.0 in the second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dental health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al dental care stage(p<0.01) in a year cycle. 4. The index of plaque showed a significant similarity in accordance with the sex in the stages of the base dental care and the first incremental dental care. 5. Each base dental care stage value had a major effect on the index of plaque, the recognition of periodontal health and dental health in the incremental dental care. 6.Therefore, we can see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periodontal health and dental health was changed to the positiv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incremental dental care.

      • 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수행

        이은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teachers were aware of their role as preschoolers’ health managers, their performance in reality, and challenges and needs they have experienced while conducting their responsibility. In this effort to achieve these aims,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what extent teachers were aware of themselves as health managers regarding importance of the role? (2) To what extent their performance in reality was achieved as health managers? (3) Wa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role as health managers and their performance in reality? (4) What were teachers’ challenges and needs regarding their performance as health manag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two hundred sixteen teachers working at nursery and kindergarten in Gyeryong, Daejeon, Yeongdong in Chungbuk, and Jeonju in Jeonbuk. Questionnaire used in data collection was creat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health life from kindergarten curriculum and basic life from standard nursery curriculum with the advice from exper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as a whol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as preschoolers’ health managers greatly. In specific, they showed highest awareness of their role as good dietary life managers among six subcategories of teachers’ awareness. Next, teachers taking care of class younger than three years ol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of rest and sleeping manager’ depending on the factor of teachers’ background. Second, teachers at nursery showed a higher performance in ‘performing role as environment and hygiene manager’ than ones at kindergarten depending on the factor of teachers’ background. Specially, their performance of role as ‘general health manager’, ‘environment and hygiene manager’, and ‘rest and sleeping manager’ showed a higher performance among teachers taking care of class younger than three years old. Third, in genera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in their role as preschoolers’ health managers and their role performance.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in ‘awareness of good dietary life manager’ and ‘performance of good dietary life manager’; on the contrary, the lowest correlation was found in ‘awareness of general health manager’ and ‘performance of infectious diseases and prevention manager’. Fourth, overall, teachers’ performance of their role in managing preschoolers’ health was achieved good; however, most of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felt lack of developed contents and methodology and need for assistance of it even though they were teaching health program. Furthermore, they wanted to attend training session on first aid and sex education as preschoolers’ health managers. In an effort to create pleasant and healthy environment geared appropriately to preschoolers’ development and achieve purpose of education effectively, it is of great importance for teachers to have right awareness of health and safety and to perform appropriate role. Teachers should do their best endeavor for themselves to raise awareness of health managers along with learning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their role performance. On top of that, educational program, materials, and furniture in preschoolers’ health and safety are in desperate need of supply to effectively achieve teachers’ role as health managers. In addition, teache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y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training sessions on preschoolers’ health and safety. Also, a health program guide should be developed to be utilized in education field through administrative and systematic support. All these efforts can establish preschoolers’ health life habit and drive a correct direction for a healthy life through their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교사 역할수행의 정도 및 역할수행을 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실제 교사 역할수행의 정도는 어떠한가? (3) 유아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수행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 유아 건강관리자로서 교사의 역할 수행과 관련된 어려움 및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 논산시를 비롯하여 계룡시, 대전광역시, 충북 영동, 전북 전주시에서 임의 표집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16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사용한 설문지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유치원 교육과정의 건강 생활과 표준보육과정의 기본 생활의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작성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중요성에 대하여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인식의 6가지 하위영역 중 바른 식생활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2세 이하의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휴식 및 수면관리자로서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건강관리자로서 교사들은 비교적 높은 역할수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역할수행의 6가지 하위영역 중 '바른 식생활 관리자의 역할수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환경 및 위생관리자로서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들의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건강관리자', '환경 및 위생관리자', '휴식 및 수면 관리자'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2세 이하로 구성된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역할수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수행 간에는 대체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바른 식생활 관리자로서의 인식'과 '바른 식생활 관리자로서의 역할수행'이며, 가장 낮은 상관을 보이는 것은 '일반 건강관리자로서의 인식'과 '전염성 질환 및 예방관리자로서의 역할수행'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역할 수행은 대체적으로 잘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건강교육을 하면서 교육 내용․방법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지원 받기를 원했다. 또한 유아들의 건강관리자로서 응급처치나 성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발달에 적합한 환경에서 쾌적하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으며 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유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절한 역할수행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교사들은 건강관리자로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스스로가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역할 수행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교사들이 유아의 건강관리자로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과 교재․교구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유아들의 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다양한 교사연수의 기회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 프로그램 지침서를 개발 보급하고 행정적․제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유아들에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향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 예측모형 구축

        안채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우리사회는 출산율 감소, 여성 독신자 증가 등 인구학적 요인과 가치관의 변화와 같은 사회문화적인 요인에 의해 여성결혼이민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상, 동남아 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가정에서 출생하는 자녀수 역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 차이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국내 적응 상의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건강관리행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효율적인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의 간호중재의 개발과 적용을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선행요인과 매개요인을 규명하고, 변수들이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인과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정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영향을 주는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실무 수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개념적 기틀과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가설적 모형에서는 양육지식, 가족지지, 결혼 만족도를 외생변수로, 정신건강, 모성 정체감, 양육행동, 영유아 건강관리행위를 내생변수로 포함하였다. 측정도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한 후 시도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검정을 위해 1개 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5개시와 17개 군&#8228;읍&#8228;면 등 22개 시&#8228;군에 거주하고 있는 출생 후 1개월에서 출생 후 36개월 이하의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영유아 어머니를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편의 표출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이용된 대상자는 43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AS9.1.3(Statistical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서술적 통계, 신뢰도,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PC-LISREL Program(Version 8.53)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및 가설 검정을 위한 경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의 부합도 분석결과 1)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를 검정한 결과 전반적 부합지수에서 자유도가 0인 포화모형(Saturated Model)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포화모형은 식별의 필요조건을 만족하기는 하지만 통계적 모형의 목적이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설명하려는 것에 있다고 할 때, 간명성(Parsimony)의 측면에서 모형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모형의 수정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가설적 모형의 예측변수들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를 설명하는 정도는 79%로 나타났다. 2) 부합도와 간명도가 높은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가설적 모형에서 t값이 1.96보다 작아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양육행동과 영유아 건강관리행위 사이의 경로를 이론적 타당성을 함께 고려하여 수정모형을 확정하였다. 수정모형의 부합지수는 통계량/자유도(df)=.770, 기초부합치(GFI)=0995, 조정부합치(AGFI)=.986, 원소간 평균 차이(RMR)=.007, 표준부합치(NFI=.993), Critical Number(CN)=1348.865로서 모형이 잘 부합됨을 보여주어, 실제 수정모형이 최적모델과 거의 차이가 없이 잘 설명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정 모형의 모성정체감, 정신건강 등 예측변수들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를 설명하는 정도는 가설적 모형에서와 같이 79%로 나타났다. 2. 가설검정 결과 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모성정체감(=.632, t=39.895)이었고, 양육지식은 간접효과(=1.087, t= 15.725)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정신건강은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직접효과(=.041, t=3.540), 간접효과((=.084, t=4.127), 총효과(=.125, t=5.300) 모두에서 가설과 반대 방향으로 유의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지지도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직접효과가 제거되었으며, 간접효과와 총효과(=-.018, t=-2.187)도 가설과 반대 방향으로 유의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는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직접효과가 제거되었으며,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결혼만족도(=-.552, t=-13.066), 양육지식 (=-.969, t=-6.767), 가족지지(=-.140, t=-2.401) 모두에서 직접효과와 총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성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양육지식(=.913, t=18.990)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에서 유의하였고, 결혼만족도는 직접효과(=.105, t=3.128)에서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나 간접효과(=-.074, t=-1.304)에서 가설과 반대 방향으로 유의하여, 총효과((=.0731 t=.080)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134 t=4.149)은 직접효과와 총효과에서, 가족지지(=-.019, t= -2.078)는 간접효과와 총효과에서 가설과 반대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모성정체감(=.140, t=3.601)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면서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지식(=.249, t=3.534)은 간접효과와 총효과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019, t=2.720)은 간접효과와 총효과에서 가설과 반대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지지와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모형검정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는 모성정체감과 양육지식이, 정신건강에는 결혼만족도, 양육지식, 가족지지가, 모성정체감에는 양육지식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는 모성정체감과 양육지식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모성 정체감과 양육과 관련된 지식이라는 것을 확인해 주는 의미 있는 발견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대한 구성개념의 설명력과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모성 정체감과 양육지식이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가족지지, 결혼만족도, 정신건강, 양육행동은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는 양육지식, 가족지지, 결혼 만족도가 정신건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타국에 와서 배우자 등 가족의 지지가 정신건강에는 많은 영향력이 있으므로 다양한 많은 지지원보다 가장 근접한 가족의 지지가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일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에 대한 문제를 주변인과 상담할 수 있은 여건이 안 되어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TV/책자를 통해 얻고 있는 경우도 있어, 인터넷 등을 통한 검증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육방법도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영유아 건강관리행위 뿐 아니라 아동 및 청소년의 건강관리행위를 위한 총체적인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과성을 보이지 않은 제 변수들은 재조작화와 함께 측정의 타당성이 선행되어야만 이론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영유아 건강관리행위에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강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공식적으로 적절한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지지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배우자, 시댁, 친정, 이웃, 기관 등을 연계한 통합적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모국친구나 한국친구들과의 지지모임을 가져, 자녀들의 바람직한 건강관리행위를 위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실천 가능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 지역사회에서도 다양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 모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시도가 요구된다.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에게 단지 한국의 특성만을 가지도록, 그리고 한국의 문화에 동화되도록 강요하기 보다는, 그들 고유의 모국문화도 존중하는 다문화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렇게 된다면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느끼는 문화적 괴리감을 최소화 하면서 바람직한 아동양육과 아동의 건강관리행위를 위한 전략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 Prediction Model for Health Care behaviors of Multi-Cultural Mothers on Their Infants and Toddlers Ahn, Chai-soo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Eun Sook, PhD, R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in towards their infants and toddlers. By understanding the pathway of influence and the power of each variable, the integrated prediction model can promote the positive health care behaviors of multi-cultural mothers on their infants and toddlers.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eline data to develop a nursing care plan for multi-cultural mothers in order to enhance health care for thei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drawn from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health care behaviors of multi-cultural mothers on their young children, was derived. For use in the prediction model, the variables to predict child health care behaviors of multi- cultural mothers were three external ones, including parenting knowledge, famil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four internal ones, which were mental health, maternal identity, parenting behavior, and health care manage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eighteen hypothetical interactions of variables were examined in the model. Data was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from 432 multi-cultural mothers who live in 22 local cities of the southern Cheon-ra province in South Korea. The target population was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less than 36 months old) who had different racial/cultural backgrounds from Koreans. In analyzing data, SAS version 9.1.3 was used to analyze demographic variables of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of measureme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PC-LISREL program (version 8.53) was us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the model,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child health care behaviors of multi-cultural mothers through a multivariate structural analysis (path analysis) method. The final modified structural model, which was corrected from the original hypothetical equation by excluding a path not showing meaningful effects, was revealed to be a good fit by the data. The variables included in this final model explained 79% of multi-cultural mothers' health care behaviors for their young infants and toddlers. The results regarding the effects of variables included in the hypothesis were as follows: 1)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mothers' health care behaviors for their infants and toddlers were maternal identity by direct effect (=.632, t=39.895) and parenting knowledge by indirect effect(=1.087, t=15.725). Mental health, family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all did not show strong direct, indirect, or total effects on mothers' health care behavior for their young children. 2) Marital satisfaction(=-.552, t=-13.066), parenting knowledge(=-.969, t=-6.767), and familial support(=-.140, t=-2.401) all revealed direct and total effects on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mothers. 3) The variables that affected maternal identity were parenting knowledge (=.913, t=18.990) in a direct and total effect.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ly affected maternal identity indirectly(=-.074, t=-1.304) but does not show a total effect(=.0731 t=1.080). Mental health showed meaningful direct and total effects on maternal identity contrary to the hypothesis(=.134 t=4.149) as with familial support (=-.019 t=-2.078) that showed indirect and total effects on mental health. 4) Maternal identity showed a direct and total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knowledge showed an indirect and total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in this sample. Mental health did show a significant effect, also contrary to the hypothesis. In summary, the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mothers' health care behavior for their children were maternal identity and parenting knowledge. There were also meaningfu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knowledge, familial support all affected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mothers. Additionally, parenting knowledge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ed influence on maternal identity. In turn, maternal identity and parenting knowledge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parenting behaviors. As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modified by careful nursing intervention, it is meaningful to define two more significant variables, maternal identity and parenting knowledge, which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mothers' health care behaviors for thei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variables also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mental health, parenting knowledge, famil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Since maternal mental health is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on child-rearing, a thoughtful nursing care plan for the mother from a different cultural setting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enhance parenting knowledge, increase familial support as well as to maintain marital satisfaction by including their spouses. Also, nursing care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mothers, to enhance their health care behaviors for their young children, should include building social networks with extended families and neighbors who are familial with Korean culture. A mutual effort to respect the mother’s original culture by adapting positive and applicable parts into our health care and parenting practices would be required.

      • 생산직 중년 남성 근로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조미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산직 중년 남성 근로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세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영동지방 소재의 제조업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5년 4월 7일부터 4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강수진(2011)이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한국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 도구(KHLS), ?nver & Atzori (2013)의 Questionnaire for Patient Empowerment measurement Version 1.0을 번역 후 대상자에 맞게 수정 ? 보완한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도구와 Walker, Sechrist & Pender(1988)가 개발한 HPLP를 1995년에 수정, 보완하여 Health Promotion Lifesyle Profile-II(HPLP-II)를 서현미(2001)가 한국판으로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1.연구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평균이 18점 만점 중 평균 11.67±3.48점이었으며,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평균은 10점 척도 중 7.27±2.00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는 총 4점 중 평균 2.40±0.44점이었다. 2.건강정보이해능력과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이 전문대학 졸업 이상이고 (p= .001), 소득수준이 월 300만원 이상인 경우(p= .037), 총 근무경력이 21년 이상 ~ 25년 이하인 경우(p= .005), 현 근무지 경력이 21년 이상인 경우(p= .009)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았다. 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비교한 결과 최근 2년 이내에 일반검진을 받았으며(p= .038), 건강정보 접촉빈도가 많을수록(p= .041)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3. 건강관리 임파워먼트와 연구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인 건강관심도가 높고(p= .003), 의료기관 방문빈도가 많을수록(p= .018)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았다. 4. 건강증진행위와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수준이 월 300만원이상이고(p= .020), 현 근무지 경력이 21년 이상인 경우(p= .006) 건강증진행위가 높았다.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 ‘좋다’라고 응답한 경우(p= .022), 건강정보 접촉빈도(p= .003), 주관적인 건강관심도(p= .001), 의료기관 방문빈도(p= .001)가 높은 경우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았다. 5.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리 임파워먼트는 양의 상관관계(r=.427, p= .001)를 보여 건강관리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는 생산직 중년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써 근로자의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업장 내에서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근로자들이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노력과 지속적인 건강프로그램 및 직접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survey the middle-aged men of blue collar workers for their health literacy, health care empowermen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o analyze their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is 163 middle-aged men of blue collar workers of Republic of Korea. From April 7 to April 18, 2015,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survey tools used were Korean Health Literacy Scale(2011), Questionnaire for Patient Empowerment measurement Version 1.0(2013) and Health Promotion Life Profile(1995).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syste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e? post-hoc test,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11.67(±3.48) out of 18 points, health care empowerment was 7.27(±2.00) out of 10-point scale, health behaviors was 2.40(±.044) out of 4 points. 2. The sociodemographic and heath-related factors of health literacy are education(F=7.260, p= .001), incomes(t=2.104, p= .037), total of working duration(F=5.412, p= .005), working duration in current workplace(F=4.889, p= .009), taking a health examination(t=2.098, p= .038), and contact frequency of health information(F=3.267, p= .041). 3. The sociodemographic and heath-related factor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are incomes(t=2.345, p= .020), working duration in current workplace(F=5.397, p= .006), perceived health status(F=3.925, p= .022), contact frequency of health information(F=5.928, p= .003), frequently call medical institution(F=7.520, p= .001). 4. The sociodemographic and heath-related factors of health care empowerment are perceived health status(F=4.237, p= .003), frequently call medical institution(F=3.443, p= .018). 5.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care empowermen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r=.427, p=.001). In conclusion, study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continuing health care service to encourage worker’s health-promoting behaviors.

      • 중년여성의 피부건강관리 관련요인

        김은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건강관리 행동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여 중년이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응답자 245명으로 구성된 편의표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중년여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건강관리 행동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여 중년이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응답자 245명으로 구성된 편의표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중년여성의 피부건강관리 행동 관련요인을 규명하였다. 직업유무에 따라 관련요인이 차이를 보일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분석을 하였다. 중년여성들의 피부건강관리행동은 할 때도 있고 안 할 때도 있다는 정도이었고 소극적인 방법으로 피부건강관리를 하고 있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행동은 월소득과 교육정도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 폐경 유무, 피부상태 및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부건강관리에 관련된 요인은 교육수준, 월소득,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심도이었으며 이들 변수들의 점수가 높을수록 피부건강관리행동은 활발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직업유무에 따라 피부건강관리행동에 관련된 요인은 차이를 보였다. 전업주부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가 관련요인이었으나 직장여성의 경우에는 교육수준, 월소득 및 외모관심도가 관련요인이었다. 직업유무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관련있는 요인은 외모관심도이었다. 중년여성의 경우, 피부건강관리행동은 연령, 폐경여부, 피부상태와 같은 신체적 요인보다는 자아존중감이나 외모관심도와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egree of skin health practice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women. A convenient sample of 245 women aged 35-55 in Seoul and Kyunggi-do areas was employed to do bivariate analyses and multiple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egree of skin health practice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women. A convenient sample of 245 women aged 35-55 in Seoul and Kyunggi-do areas was employed to do bivariate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 focus was given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s of factors related to skin health practices between those with regular job and housewives. Data showed that the respondents tend to do skin health practices in frequence of sometimes, with passive methods. Bivariate analyses found that skin health practices varied across groups of monthly income classes and of educational level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variance in skin health practices was accounted for by variances in educational levels, monthly income, degree of self-esteem, and caring for physical appearance. A separ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to compare factors related to skin health practices between housewives and those with regular job. A variable of carina for physical appearance was shared in two regression models and degree of self-esteem was included in only regression model for housewives. In conclusion, skin health practices among middle-aged women was correlated with socio-psychological factors rather than physical factors such as age, experience of menopause, and condition of skin.

      • 방문건강관리대상자에 대한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일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후향적 연구

        류정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연구목적 : 이 연구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시작한 이후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실증적 자료가 없어 일 보건소의 방문간호사를 중심으로 간호사와 영양사, 간호사와 작업치료사가 각각 협력하여 관리한 후 각 전문 인력이 투입되었을 때성과 차이 및 효과성 검정을 통해 통합건강증진사업에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인력 체계구축과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일 보건소의 집중관리군 및 우선순위관리 대상자 301명이다. 연구 대상자의 심인적 특성, 건강관리 특성, 영양관리 특성, 통증관리 특성, 객관적 검사 특성 등을 사전과 6개월 관리한 후 각 전문 인력 별로 구분하여 보건소 통합보건정보시스템과 자체 설문자료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를 평균, 표준편차, x2-검정, paired t-test, ANOVA, ANC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 첫째, 통합건강증진사업 이전처럼 간호사만 6개월 관리한 결과, 객관적 건강지표를 6개월 관리 전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건강증진 사업의 방문건강관리에 규칙적인 식생활과 부족하기 쉬운 유․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지표 향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통합건강증진사업 효과성을 도출하기 위해 간호사․영양사가 협업하여 6개월 관리한 결과, 질병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영양상담 평가 점수가 좋아졌으며 활동 시 통증 정도와 혈당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통합건강증진사업 효과성을 도출하기 위해 간호사․작업치료사가 협업하여 6개월 관리한 결과, 유산소 운동을 유의미하게 많이 실천하였고 체중과 BMI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의 활동 불편함에 통증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세 분류 대상자 중 통증 정도에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영양사와 작업치료사가 간호사와 통합하여 관리하였을 때 전문 인력간 효과성에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만 관리한 경우에 노령이고 만성질환이 평균 2개 이상인 대상자들에게 영양관리가 유의하게 건강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습관이 질병 수와 통증 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쳐 간호사가 방문건강관리 하는데 전문적인 영양관리 및 운동관리가 필요함이 이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방문건강관리 대상자에게 꼭 필요한 영양관리와 삶의 질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 및 통증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최초로 보건소 차원의 통합건강증진사업의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전문 인력 별로 구분하여 효과성을 도출하였고 전문 인력 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of research : This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see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rsonnel system of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and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health promotion business by verifying the distinctive results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input experts : the management of only nurses without the help of nutrition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the management of nurses with the help of nutritionists, the management of nurses with the help of occupational therapists. I chose to study the project because we haven't secured verified data on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since each a Public Health Center started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for the community. Method of research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1 people who belong to the main management group or are prioritized in the Public Health Center. After I had examined the psychogenic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nutrition management, pain management, and objective examination etc in advance in the course of 6 months, the subjects were examined again after 6 months of the visiting care. I did the retrospective studies by utilizing the integrated health information system of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surveyed materials from my public health center for 6 months. For the research I used mean, standard deviation, x2-test, paired t-test, ANOVA, ANC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of research : Firstly, after a nurse alone visited for 6 month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s haven't worsen at all even after six months although their aging continued. Visit of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Regular dietary habits and the ingestion of dairy protein which tend to be deficient in health care significantly caused the improvement of health indicators through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Secondly, in order to deriv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the nurse with the cooperative nutritionist looked after the 101 subjects for six months. Due to the visiting service, the number of disease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nutritional consultation score got higher, and the degree of pain at the time of activity became lower. Furthermore, the blood glucose level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bjective examination, Thirdly, When the nurse with the help of the work healer managed the project for 6 months, the 100 subjects executed aerobic exercise so regularly that their weight and BMI decreased and the index related to exercise impro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uncomfortable activity of daily life caused by pain, it was confirmed that regular aerobic exercise brought in a good effect. The degree of their pain showed the biggest decrease of the three classified subjects.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integrating system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s, especially when nutrition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integrated with nurses who had the essential role of the project. when nurses managed the visiting care without any help from other medical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trition management significantly affects health index for over 75-year-old subjects with more than 2 chronic diseases on average. Also the regular aerobic exercise habi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number and pain of the disease. It is confirmed by this study that the specialized nutrition management and exercise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health care while the role of nurses is more mandatory. It was found that visiting health care required nutrition management and expert'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exercise and pain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rived the effectiveness from differentiating the integrating system of medical expert personnel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stinctive effectiveness respectively in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which was the first study to be tried domestically.

      •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연구

        김영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남자대학생들은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는 예비사회인으로서 취업을 위한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시기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취업에서 면접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외모는 자기관리능력과 연관된 경쟁력의 하나로 부각되며 ‘신체 자본’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남성화장품시장은 급격히 증대되었으나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실제적인 피부건강관리 교육이나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올바른 태도 형성을 위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남성 피부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12월 14일부터 23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총 400부를 배포하여 356의 설문지가 최종적으로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 지식을 알아본 결과 피부건강관리 지식 점수는 평균 25점 만점기준 16.93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화장품 선택·사용 및 피부자가관리 등에 관한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 태도를 Likert 5점 척도로 알아본 결과 평균 2.99점으로 22세 이상에서와 군필자의 경우, 그리고 친구·이성관계로 고민하는 경우에 높은 태도의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피부건강관리 태도가 높을수록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364, p<.001). 넷째, 남자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 교육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피부건강관리 교육의 중요성과 관심도는 각각 57.6%, 46.1%, 교육의 희망은 53.4%로 나타났다. 피부건강관리에 대하여 교육받았던 장소는 화장품소매점으로 45.2%, 희망하는 교육내용의 과목으로는 ‘올바른 면도 및 세안방법’과 ‘모공·피지조절관리’, 그리고 ‘여드름 피부관리’ 교육내용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태도가 높은 집단, 교육장소, 방법, 횟수, 시간, 희망하는 교육과목을 토대로 한 남성 피부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보건학적 측면에서 건강하고 아름다운 미용문화의 전파와 함께 개인의 차원이 아닌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교육적 차원의 접근을 통하여 남성 피부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확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형 건강관리서비스 모델의 모색과 활성화 방안

        문상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건강관리서비스 관련, 대한민국의 현황과 해외사례를 조사하여 건강관리서비스 제도 개선방안 및 적용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대한민국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감염성 질환은 감소했으나, 만성질환자는 급증하면서 국민의료 보험재정을 압박하는 요인이 됐다. 현재 시행 중인 정책 및 사업 등은 의료비 증가를 제재하는데 한계가 있어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방안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건강관리서비스를 도입한 많은 국가들을 바탕으로 보험정책과 규제가 상이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공급주체를 구별하여 분석했다. 서비스 공급주체가 다른 미국과 일본에 대해 분석했으며, 대한민국의 현황과 관련하여 보건소와 민간으로 나눈 바 있다. 현재 건강관리서비스와 관련하여 법 제정 및 규제들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가운데 향후 대한민국의 의료체계에 부합하는 서비스 도입 및 적용이 요구된다. 나아가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으로 관심을 이끌어내, 국가 의료비 상승의 완화 효과까지 기대해본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system in South Korea while comparing with other foreign cases for a possible solution. Although the rate of infectious disease declined due to the economic growth of South Korea,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have increased, pressuring the government to finance national health promotion. A new way of vitalizing the health promotion system is being suggested to restrain the rapidly rising medical expenses of today’s medical policies and business.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ifferent countries that have already implemented laws regulating the health promotion system,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olutions to establish health promotion laws, resulting towards vitalization of the health promotion system of Korea and set laws. This research investigate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wo countries that have entirely different service providers and laws, alongside Korea’s current condition of public and private health centers. A new policy and law regarding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system in Korea are needed, as it currently lacks regulation, preventing it from health promotion providers expanding. To expand and vitalize the current Korean health promotion system, more public interest in this topic is needed, which can also result in an increasing amount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