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큰징거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i)의 성장, 체색 및 간췌장 구조에 미치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잎의 영향

        김동우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0

        큰징거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i)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새우로, 성장이 빠르고 염분 및 온도내성이 뛰어난 중요한 내수면 양식품종이다. 그러나 양식 과정 중에 나타나는 체색 불량 및 갑각 약화로 인해 상품성 저하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큰징거미새우의 양식은 동물성 원료를 기반의 사료를 공급하여 이루어지지만, 본래 이 종은 야생에서 식물체 비중이 높은 부식물(detritus)을 주로 섭취한다. 새우가 야생에서 섭취한 식물체는 다양한 영양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체색의 재료인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환경에서 발생하는 체색 불량의 원인으로 이러한 먹이의 차이를 주목하였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꽃나무로, 잎에는 황색 당근에 버금가는 양의 카로티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징거미새우에게 개나리 잎을 먹이로 공급하여 체색 및 건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배합사료 100% (대조구), CON, 「배합사료 80%+가공하지 않은 개나리잎 20%, FL, 「배합사료 80%+개나리잎 분말 20%, FP」의 세 가지였으며, 각 조건의 사료를 평균 체중 1.1±0.2 g의 어린 새우들에게 10주간 공급하였다. 실험을 진행한 결과, 체색의 경우, CON의 새우들은 일관적으로 투명한 상아색을 띠었으나, FL과 FP 새우의 경우 사육일의 경과에 따라 푸른색을 거쳐 짙은 암갈색으로 변화하였다. 가열했을 경우를 비교하면, CON의 새우들은 가열 전과 유사한 상아색을 유지하였으나 FL과 FP 새우는 선명한 적색을 발현하였다. 생존과 체중, 다양한 계측형질을 측정한 경우, CON과 FL 또는 FP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증체량, 일간성장률, 비만도의 경우 실험구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10주간의 실험 결과 FP구의 경우는 CON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FL구는 CON 및 FP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췌장을 조직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hepatopancreatic tubule의 구성 세포 중 B cell의 vacuole 크기가 CON에 비해 FL과 FP에서 훨씬 컸다. B cell의 주요 기능은 영양소의 흡수와 소화이며, vacuole 크기의 확장은 개나리 잎의 공급이 큰징거미새우의 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큰징거미새우의 양식에 개나리 잎을 활용하면 체색의 개선 및 건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is the world's largest freshwater prawn and is cultivated as an important inland aquaculture species due to its rapid growth and exellent tolerance to wide range of salinity and temperature. However, challenges are arisen in reducing marketability due to poor body color and carapace weakness in the aquaculture practices. Currently, M. rosenbergii are fed animal-based diets, but their natural diet consists of detritus, with a high percentage of plant matter. In addition to providing a variety of nutrients, the plant matter consumed by prawn in the wild is also a source of carotenoid pigment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ir body color.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is difference in diet for the problem of poor body color. Korean goldenbell (Forsythia koreana) is a flowering tre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and its leaves contain carotenoids comparable to yellow carrots. This plant is a specialty species of Korea, and discovering new uses for it is significant in terms of securing the value of biologic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Forsythia leaves to M. rosenbergii on their body color and health.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00% commercial feed (control), CON, 80% commercial feed plus 20% Forsythia leaf powder, FP, and 80% commercial feed plus 20% unprocessed Forsythia leaves, FL, and each diet was fed to juvenile prawn with an average weight of 1.1±0.2 g for 10 weeks. In terms of body color, the CON prawn were consistently a clear ivory color, while the FP and FL prawn changed from blue to a darker dark brown color as the days of rearing progressed. When heated, the CON prawn maintained a similar ivory color as before heating, while the FP and FL prawns developed a vivid red col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 FL, or FP for survival, body weight, and various morphometric measurements. However, for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and condition facto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groups, with FP showing similar values to CON and FL showing better results than CON and FP after 10 weeks. Histologic comparison of the hepatopancreas showed that the vacuole size of B cells, the constituent cells of the hepatopancreatic tubul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FP and FL compared to CON. The main function of B cells is the absorption and digestion of nutrients, and the expansion of vacuole size suggests that the supply of Forsythia leaves may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M. rosenbergii.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Forsythia leaves in the aquaculture of M. rosenbergii can improve body color and health.

      • 개나리(Forsythia species)의 이화주성에 따른 번식특성의 변이

        고상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11

        타가수분을 통한 종자생산은 속씨식물의 진화를 가져온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타가수정을 이루기 위한 전략으로 식물들은 자웅이체, 자가불염성, 자웅이숙, 이화주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선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주성으로 도로변에 관상용으로 식재되어진 개나리와 미국 개나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화주성 식물의 꽃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어 암술대가 수술에 비해 높게 붙은 꽃을 장주화, 낮게 붙은 꽃을 단주화라 한다. 개나리는 우리 나리 특산 식물이지만 자연개체군이 매우 드물어 분류적 체제 및 번식특성에 관한 연구가 아직 불분명하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관악산(관악), 성신여대 교정(성신), 홍릉의 임업연구원(홍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고양)의 네 지역에서 개나리와 미국개나리의 장주화와 단주화간 형태적, 생태적 특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개나리 장주화의 경우 암식물의 역할인 배주의 수, 생성된 열매의 수, 종자의 수에서 단주화보다 더 많이 생산하였다. 단주화의 경우 수식물의 역할인 꽃가루의 직경과 수, 꽃가루의 발아율에서 장주화보다 더 우수했으며, 단주화에 대한 성적 자원분배에서도 수식물로의 자원분배율이 높았다. 이는 개나리가 다른 이화주성식물처럼 장주화와 단주화가 자웅이체식물과 같이 각기 암식물과 수식물로의 기능을 분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개나리의 장주화와 단주화의 기능 분담을 고려하여 지금 극한의 위기에 처해있는 한국특산 식물인 이화주성의 미선나무보호에도 연구의 폭을 넓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roduction of seeds through cross-pollination is a important factor of evolution in angiosperm plants. Strategies of plants on cross-fertilization are chosen various methods such as dioecy, self incompatibility, herkogamy and distyly. In this studies, Forsythia species, which have been planted on the road sides were studied for distyly characteristics. Distyly of plants has two forms. One is the pin flower, whose style is higher than stamen and the other is the thrum flower, whose style is lower than stamen. Forsythia species are indigenous to Korea, but their natural populations are rare and researches about taxonomical systems, specific reproduction are unclear. Studies about differences of morphological, ecological between pin flower and thrum flower in Forsythia species were carried out at four regions Kwanak mountain, Sungshin women universities, Hongneung and Goyang from 1999 to 2000. The pin flowers of Forsythia species producted more ovules (function of female plant), fruits, and seeds than thrum flowers. The thrum flowers are superior to diameter and counts of pollen grain (function of male plant), germination ratio of pollen grain than pin flowers. Sexual source distribution of pin flower in male plants is higher, and these observations would show that Forsythia species, like other distyly plants which have pin flower and thrum flower, would divide the functions of male and female plants such as dioecy plants. These functions of pin flower and thrum flower in Forsythia species would help to understanding distyly of the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hich is endangered plant in Korea.

      • 개면마와 의성개나리 지하부의 페놀성 화학성분 및 항바이러스활성

        허정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10

        개면마 (Pentarhizidium orientale (Hook.) Hayata) (syn. Matteuccia orientalis) 는 야산고비과 (onocleaceae) 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 중국, 일본, 우리나라와 같은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에서 이뇨 및 구충작용에 사용해온 것으로 전해진다. 이 식물에서 기존에 분리보고된 화학성분들로는 flavonoid 계열, isocoumarin 계열, phthalide 계열, stilbene 계열 등이 보고가 되었다. 개면마 뿌리줄기의 총 MeOH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극성에 따라 CH2Cl2, n-BuOH, 물층으로 분획하였으며,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기법을 활용하여 분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flavonoid 계열 27종, chromone 계열 1종, stilbene 계열 4종을 포함하여 총 32종의 화합물들을 분리하고 이화학적 및 분광학적 분석을 통해 각각의 기존문헌들과 참고하여 구조동정을 수행하였다. 분리한 화합물들 중에서 13종의 flavonoid 배당체 (1-13)와 2종의 stilbene (31-32) 은 신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고, 분리한 flavonoid 들은 naringenin (27)을 제외하고 모두 C-methylation 이 되어있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1-8, 14-16 번은 특이적인 3-hydroxy-3-methylglutaric acid (HMG) 잔기를 포함하는 flavonoid 배당체임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화합물들에 대하여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활성을 평가하였을 때, stilbene 계열보다 flavonoid 계열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flavonoid 배당체보다 flavonoid aglycone (21-23, 25, 26) 에서 더 좋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dl.)는 물푸레나무과 (oleaceae) 에 속하는 식물로 개나리속 식물들은 대부분 동아시아에 11종이 자생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개나리속 식물 8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잘 알려진 약재인 ′연교(連翹)′ 는 의성개나리와 당개나리의 열매를 일컬으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arctigenin 과 forsythiaside A 가 있다. 의성개나리에서 보고된 주된 화학성분으로는 lignan 계열, phenylethanoid 계열 배당체, triterpenoid 계열, flavonoid 계열, iridoid 계열 등이 보고되었다. 항염증, HepG2 세포를 이용한 지질 대사, 항산화 등의 활성연구가 보고되어있으며, 대부분의 분리 및 활성에 대한 연구는 열매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의성개나리 뿌리의 총 MeOH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극성에 따라 n-hexane, CH2Cl2, n-BuOH,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분획물에서 총 16종의 lignan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그중에서 6종의 dilignan (1-6)과 1종의 lignan 배당체 (16)는 신규화합물로 확인하였다. 분리한 화합물들을 CVB3 및 HRV1B 장내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였을 때, 화합물 12, 15, 16 은 CVB3 바이러스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2는 HRV1B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 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유달산 개나리꽃축제를 중심으로

        한연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893

        Currently, many nations emphasize tourism and culture industries. They utilize traditional festival as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Substantial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the quality of cultural products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Not only local administrative organs but civilians are interested in traditional culture festival. Therefore civilians want the festival could be taken firm hold as a kind of offical event in their area, The advantage of festival are the following First, it could be the good chance for transmisson of traditional culture. Second, it also can solidify local culture. Third, it can improve quality of the life for local people. Finally it's possible to supply finances through the tourist industry.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rue that many of the traditions surrounding surviving festivals have been lost because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No festival can maintain its value or meaning if the unique traditions traditions associated with it have been l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and develop local festivals based local tradi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local festivals. The study is consisted of the following.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study method.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festival, its meaning and type, meaningful these days. In Chapter Ⅲ the problem and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 In Chapter Ⅳ the reports introduce Yudalsan Golden Bell Festival of Mokpo City In Chapter Ⅴ the conclusion on this study.

      • 지역축제 이미지가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 목포 개나리꽃 축제를 중심으로

        최명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892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some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boost local festivals which have value as international tourism festivals for attracting foreign tourists, and to diversify tourism destina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outlying regions. While heading toward the 21st century,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settling down within the nation. As new economic conditions built up rapidly in many zones of life, the mood of local competition and independence were building up among the framework of unified regions that transcended broader-based local government. In these changes, the tourist industry has been a reliable income resource industry. Therefore,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diversification of the tourist industry with priority given to festivals. Now, although annual folk festivals take place mostly in Jeonnam province and kwang-ju city, these festivals are planned as part of the tourist industry and the publicity of their specific region with the local autonomy system. Moreover, their establishment history is too recent to avoid government control. Hence, we need to re-emerge drama which relates to local traditional culture so that people who join local folk festivals learn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 not just by putting on regional traditional performances during festivals. In other words, festivals must be performed as a large drama. When the festivals harmonize with nature, they lean toward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for tourism. Therefore, folk festivals must be accomplished by a unique image. In other words,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which depends on distinction, each festival should have a unique image that can't be mimiced by any other local festival. What this study proves is that all of the planners and operators of regional festivals get a satisfactory effect based on an analysis table that image of festival under program affects participation motive using "The Mt.Yudal Goldenbell flower Festival of Forsythias" which has seasonal character and goes with natural. consequently, it can be an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the tourist development around Mokpo.

      • 개나리 뿌리의 抗癌活性 成分

        김미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879

        개나리의 뿌리로부터 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성분들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개나리 뿌리의 성분상을 밝힘과 동시에 단리된 화?d물들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작용을 알아 보기 위하여 개나리 뿌리를 MeOH로 추출하고 분획한 후 예비실험을 통하여 세포독성 작용을 나타낸 n-hexane 분획을 대상으로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들은 IR, UV, 1H-, 13C-NMR 및 MS spectrum 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그 구조를 밝힌 결과 그 구조는 각각 β-sitosterol, oleanolic acid, ursolic acid 및 betulinic acid였다. 이들 각각의 화합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통하여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 4개의 화합물 모두 세포독성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 ursolic acid 와 oleanolic acid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개나리 뿌리가 약용자원으로 사용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성분 및 활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n-hexane soluble fraction of the roots of F. koreana.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y were identified as β-sitosterol (1), oleanolic acid (2), ursolic acid (3), and betulinic aicd (4), respectively. All isolates were tested cytotoxic acitivity against MCF-9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using MTT assay. All tested compounds showed cytotoxic activity. Among them, oleanolic acid (2) and ursolic acid (3) showed cytotoxic activity with dose dependant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