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의 또래간 갈등해결을 위한 교사의 노력과 반성

        전윤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또래간 갈등해결을 위한 교사의 노력이 영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 반성하면서, 영아가 갈등을 이해하고 해결하도록 돕는 교사의 역할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의 S유아원에서 만 2세 영아 10명과 3개월간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행과 반성의 과정을 통해 얻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영아들의 갈등이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 겉으로 보여지는 말과 행동 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생각이 무엇인지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영아가 허락을 구하거나 제안하는 행동은 상대방 영아의 마음을 움직이는데 있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지만 상대방의 부정적인 반응에 의해 원래의 의도를 잃고 이로 인해 갈등이 촉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영아와 이를 받아들이는 영아 모두가 그들 나름의 사고체계 내에서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자는 갈등상황에서 영아가 서로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영아 서로가 만족하는 합의점을 찾고, 영아의 의도와 감정을 읽어주는 실행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영아 서로의 의견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영아 모두가 납득할 만한 명확하고 공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영아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영아의 감정을 공감하려고 노력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영아로 하여금 자신이 겪는 모든 문제를 연구자가 해결하기를 기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연구자는 이를 통해 갈등상황에 먼저 개입해서 상황을 빨리 종결짓기보다는 영아간의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다려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자는 갈등해결을 위해 영아가 능동적으로 해결과정에 참여하도록 지원하였다. 영아 자신의 언어로 상대 영아와 대화할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공동의 문제에 좀 더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보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자신의 감정, 욕구, 생각 등을 직접 표현하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주장하는 행동을 익혀 나가는 모습과 영아 스스로가 제안하고 서로의 동의하에 만든 새로운 규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통해 영아들은 이제 더 이상 갈등해결의 문제를 수동적으로만 받아들이기보다는 자신의 의지로 해결할 수 있는 능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넷째, 실행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개별 영아의 특성에 따른 지원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끊임없이 문제를 일으키는 영아의 변화를 위해 사회적으로 유능한 또래와의 만남을 시도하지만 영아는 이러한 교사의 의도적인 처치가 아니라 또래와의 자연스러운 관계맺음을 통해 변화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갖고 있는 문제 영아라는 선입견을 벗어버리고 영아 개인을 바르게 알 수 있도록 여러 상황에서 보다 그 영아의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와 또래 영아들은 이전의 경험들로 문제 영아를 판단하기에 앞서 긍정적인 경험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계로 나아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행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들의 갈등 상황에서 교사는 영아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입장에서 좀 더 공감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영아간 갈등이 일어났을 때 먼저 개입해서 상황을 빨리 종결짓기보다는 기다리면서 영아간의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시간적 여유를 주어야 한다. 셋째, 교사는 갈등상황에서 영아가 능동적인 주체로서 무한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넷째, 교사는 ‘문제를 가진 아이’라고 생각되는 영아를 바라보는 내면적 태도의 변화를 통해 더 많은 지원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reflect the effects of teacher's effort to resolve the peer conflicts among infants on infants and to find teacher's role to help infants understand and resolve the conflicts. First, the researcher tried to look at something hidden behind the words and behaviors showing why the conflict between infants happened. In this process, we understood that the infant's behavior to seek the permission or to give an offer was the most ideal way to move the infant's mind, but the original intent was lost due to negative reaction from other infant and the conflict was triggered. Second, the researcher tried to help the infants to broaden mutual understanding in a conflict situation.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infants and confirmed that the fair standard was necessary to let both infants accept them. Also we understood that we needed to look at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infants and to make every effort to understand their feeling. Third, the researcher helped infants actively participate in resolution process to figure out the conflict. It was shown that the infant learned the action to claim his/her position through opportunity directly to express his/her own feelings, desires and thoughts and they tried to solve the problems with a new rule that they made with the consent of each other. It demonstrated that the infants showed the active action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ir own willingness rather than accepted the resolution of conflict passively. Fourth, in the overall context of the execution, supports were giv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fants. Researcher attempted to let the infant constantly causing problems encounter the peer who was socially talented, but the infant was changed through the natural relationship with the peer rather than deliberate treatment. We understood that it's necessary to have a new view to look at several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fant to know the individual infant correctly while discarding the biases of infants constantly causing the problems.

      • 어린이집 교사의 성격유형과 개인적 변인 및 근무환경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

        정민자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DISC성격유형과 개인적 변인 및 근무환경에 따른 갈등해결유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개인과 어린이집 조직의 성장을 위해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 중 조정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 중 회피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 중 지배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 중 복종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1-5.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 중 타협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연령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2-2. 교사의 경력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ⅴ- 2-3. 교수의 학력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2-4. 교사의 결혼 유무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2-5. 교사의 자녀수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3.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3-1.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반의 연령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 가? 3-2. 교사의 급여 수준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3-3. 교사가 소지하고 있는 자격증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성격유형과 개인적인 변인 및 근무환경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40부의 설문지를 배부 하였으며, 이 중 221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기입이 누락되는 등의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하고 198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갈등해결 유형을 알아 보기위해 ‘유치원교 교사의 갈등대상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 (권동순, 1999)에서 사용하였던 ROCI-Ⅱ(Rahim's Crganizational Conflict Inventory - Ⅱ)를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고 어린이집 교사의 DISC성격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강인향, 2009)에서 사용하였던 DISC행동유형검사를 사용하였다. -ⅵ- 이 검사 도구는 미국의 Talent Smart 연구소에 의해 제작되어 정부기관과 교육기관 또는 공공기간에 무료로 보급되었고 비즈니스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강인향, 2009). 설문지의 구성은 연구대상자의 배경 부분은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는 연령, 경력, 최종학력, 기관유형, 결혼유무, 자녀수로 구성되었고 연구대상자의 근무환경 변인으로는 평균보육시간, 담당학급연령, 급여수준, 소지자격증, 직급으로 구성되었다. 검사도구의 평정 방식은 5점 평정척도와 4점 평정척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척도의 수준이 높고, 점수가 낮을수록 해당 척도의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때 다중공선성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VIF 계수를 살펴본 결과, 1.766~2.307의 수준으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DISC 성격유형이 갈등해결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주도적 판단적 유형이 높을수록 회피와 복종을 통한 갈등해결 유형이 낮아지고 판단적 유형이 높을수록 지배를 통한 갈등해결 유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지적유형이 높을수록 복종과 타협을 통한 갈등해결 유형은 높아지고 지배를 통한 갈등해결 유형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교사의 연령과 격력이 많을수록 타협과 조정을 통한 갈등해결 수준이 높으며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지배를 통한 갈등 해결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혼인 교사가 미혼인 교사보다 조정과 타협을 통한 갈등해결 수준이 높게 나타난 동시에 자녀수가 많을수록 조정을 통한 갈등해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ⅶ-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을 알아본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과 경력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학급의 연령에 따른 갈등해결 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사의 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조정, 복종, 타협을 통한 갈등해결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가 소지하고 있는 자격증이 많을수록 조정, 복종, 타협을 통한 갈등해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 문제중심학습(PBL)에 의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연구

        김은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갈등은 민주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민주 사회에서는 개인의 관점과 의사를 자유롭게 표명하며, 오늘날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그러한 양상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 민주 사회의 구성원은 갈등을 적극적으로 대면하여 슬기롭게 해결해야 한다. 학생들 또한 현대 민주 사회의 구성원이자 미래 사회의 주체로서 갈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건설적인 발전의 계기로 삼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과거 학교에서는 갈등을 부정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교사 일방의 강의식 수업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로써 갈등해결교육의 한계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갈등해결교육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 구사 능력의 함양과 갈등해결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태도의 제고 및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갈등과 갈등해결, 갈등해결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갈등은 개인이나 관계에 있어 생각이나 이해관계가 달라 충돌하는 것을 의미한다. 갈등해결은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며 그 방법인 갈등해결전략에는 양보, 회피, 지배, 절충 및 협상전략이 있다. 갈등해결교육은 갈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고 갈등상황에서 지혜롭고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배워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다.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협력학습을 통해 학습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문제중심학습(PBL)의 절차에 대해서는 국내외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연순(2006)의 절차를 참고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은 갈등해결교육의 효시라 할 수 있는 Johnson & Johnson의 교육 절차를 기본으로 하였다. 차시별 구체적 내용은 국내 실정에 맞도록 국내 연구자들의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총 27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차시의 수업 모형을 문제중심학습(PBL)으로 하여 본 프로그램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였다. 이 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셋째,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정량적 도구와 정성적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 구사 능력 및 갈등해결에 대한 가치·태도 변화, 갈등해결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각 항목 모두 주분석 방법으로 교사일지, 학생 활동지, 면담법 분석과 같은 정성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 구사 능력의 효과의 객관성 입증을 위해 설문지 조사와 같은 정량 분석을 부분석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수업을 적용하여 분석 및 검증한 후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인 사용이 함양하였다.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결과 갈등해결전략 중 가장 중요한 절충 및 협렵전략의 활용이 증가하여 학생들의 건설적인 갈등해결전략의 사용이 증가하였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갈등해결에 대한 가치·태도가 긍정적으로 발전하였다. 정량 분석의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 적용 전 무관심하거나 타인 의존적이었던 갈등해결이 프로그램 적용 후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변화하였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서 갈등해결에 대한 실천의지가 함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해결교육에 대한 문제중심학습(PBL)의 의의가 도출되었다. 갈등해결교육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함으로써 학생들은 흥미를 가지고 자기주도적으로 갈등해결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학습한 갈등해결전략을 실생활에서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모습과 실제로 실행한 사례가 있어 갈등해결교육에 있어 문제중심학습(PBL)이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아직까지 갈등해결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사례의 연구는 미비하나, 본 연구에서 구체적 교육방법을 제시하여 상황에 맞게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갈등해결교육에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교사들이 갈등해결교육에 대한 애정과 중요성을 인지하여 갈등해결교육을 발전시키길 바란다.

      • 중등 도덕과에서의 갈등해결교육에 관한 연구 : 평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신홍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갈등과 갈등해결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갈등해결교육의 평화교육으로서의 관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갈등해결교육의 통합적 목표체계를 구성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해결교육의 통합적 목표체계를 바탕으로 중등도덕과에서 갈등해결교육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도덕과에서 갈등해결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방향과 도덕과의 영역별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갈등은 인간 존재의 속성상 죽음의 순간까지 함께 살아가야 할 공존의 대상이다. 사람들은 갈등을 회피하고 부정함으로써 없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갈등은 오히려 확대하고 심화될 뿐이다. 그러므로 갈등을 어떻게 다루느냐가 중요한데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가 바로 평화교육으로서의 갈등해결교육이다.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는 갈등해결교육이 1970년 대 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불행히도 우리나라에서는 갈등해결교육에 관한 관심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갈등해결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의 교과 속에 포함되어 책임감 있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갈등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도덕과가 핵심 교과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물론 모든 갈등 문제가 도덕 문제인 것은 아니지만 도덕 문제는 갈등을 내포한다. 갈등이 폭력적인 형태로 표출된다면 이는 곧 도덕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갈등의 평화적인 해결은 도덕적인 삶을 살기 위한 조건이 된다. 도덕교육은 개인의 자율적인 도덕성 함양과 아울러 공동체 속에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동시에 길러주기 위한 교육인데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이러한 도덕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갈등해결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가치와 문화가 공존하며 갈등하는 사회 속에서 주체성을 잃지 않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높임으로써 자주적인 도덕적 주체로서 설 수 있게 한다. 또한 갈등해결교육에서 강조하는 특정한 절차와 과정은 집단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을 중시하며 이는 민주시민이 가져야 할 공적 담론의 장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이 주체자로서 갈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인의식을 갖게 되고 폭력이 아닌 대안적인 문제해결의 방법을 배우게 되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 성장하게 하는 참여 민주주의의 패러다임을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강영진, 2000: 97~98).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자는 중등 도덕과에서 갈등해결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갈등과 갈등해결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갈등해결교육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갈등의 다양한 정의 속에서 ‘양립 불가능해 보임’과 ‘사이에서의 상충됨’이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하여 갈등을 ‘개인의 내면이나 상호의존적 관계에서 서로 충돌하여 상호작용하는 상태(과정)’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갈등해결은 ‘개인 내면이나 상호의존적인 관계에서 서로 상충되는 것으로 보이는 목표와 가치․욕구 등이 충돌하여 상호작용하는 상태를 평화적이고 건설적으로 이끌어 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제Ⅲ장에서는 갈등해결교육이 단순한 기술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 온 면이 있다고 판단하여 적극적인 평화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갈등해결교육의 관점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갈등해결교육의 교육과정체계가 세워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힉스(D. Hicks)의 평화교육의 목표체계 구성에 따라 갈등해결교육의 성격, 목표와 내용체계를 종합하여 지식/내용, 가치/태도, 기술의 통합적인 목표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중등 도덕과에서 갈등해결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후 개선방향과 내용요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는데, 도덕과의 교육내용이 가치관계확장법으로 구성됨에 따라 중학교 1~3학년군의 내용 대다수가 직․간접적으로 갈등해결교육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3년부터 적용되는 (주)미래엔 중학교 도덕교과서 1,2를 분석의 준거기준을 만들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덕교과서는 도덕적 갈등의 문제들을 상당하게 담고 있었고, 갈등의 유형은 주로 가치관 갈등이었으며, 갈등해결의 방법이 당위와 규범적 차원에서 제시되고 있었다. 도덕적 갈등 사태의 해결에 관해서 교과서는 도덕적 덕목과 보편적 원리에 근거하여 해결할 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덕교과서에서 도덕적 갈등해결과 관련된 학생활동의 대부분은 글쓰기였는데 구체적인 방법보다 가치와 태도의 함양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갈등해결을 위한 학생활동이 인지적 요소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사회적․공적 갈등의 교육내용이 매우 거시적으로 다루어져 있어 대화와 토론을 통한 민주적 절차를 연습해 볼 기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논의를 종합하여 도덕과에서의 갈등해결교육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평화적 갈등해결의 기본 능력 신장을 위한 내용 강화, 실천지향적인 도덕교과의 특성 강화, 민주시민의 자질과 태도를 강화할 수 있는 내용 보완, 도덕교사의 부담 경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등 도덕과에서의 갈등해결교육을 위한 영역별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갈등해결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황선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n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ill improv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1-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ill improve the sub factors(conflict comprehension skills, self-comprehension skills, human relations skill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decision-making skills)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2-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ill improve peer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2-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ill improve the sub factors(peer network, conflict and confrontations, peer closeness, making new friends) of peer rel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were from N middle school in D city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12 students in each). The 24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is program for conflict resolution ability was carried out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wo times a week and it was made up of 10 sessions of 45 minutes per session. However,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 special treatment or education. The effect of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as measured by 'Based Conflict Resolution Skills Scale' and 'Peer Relations Scale'. Those scales were performed on the pre-test, the post-test and the follow-up test. This study used Split-Plot Factorial Design and all of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for Windows 18.0.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or hypothetical verification was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improve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1-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improved the sub factors(conflict comprehension skills, self-comprehension skills, human relations skill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decision-making skills)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2-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improved peer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2-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improved the sub factors(peer network, conflict and confrontations, peer closeness, making new friends) of peer relations. In conclusion,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s lasted for after five weeks. Lastly,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and idea for further study was discussed.

      • 이야기를 통한 갈등해결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양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에게 유치원 놀이과정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상황을 주제로 이야기를 제작하고 활용하여 세 집단 유아에게 각각 서로 다른 갈등해결 유형을 들려주었을 때 이러한 갈등해결의 유형이 유아의 갈등해결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갈등해결 유형별, 성별간의 유아의 상호작용 결과 갈등해결전략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에게 갈등해결 유형을 이야기로 들려주었을 때 유아가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가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갈등해결 유형별과 성별간의 상호작용은 유아가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의정부시에 소재하고 있는 J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1학급과 S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남녀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여 한 집단에 20명씩 모두 6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야기 자료는 유희정(2002)이 사용한 동화를 수정하여 유아들에게 자주 일어날 수 있는 갈등 상황을 소유의 문제, 언행의 문제, 불일치의 문제 등 3가지 변인 중 사물소유, 공간소유, 언어공격, 놀이간섭, 규칙지키기, 의견의 불일치에 대하여 6가지 갈등상황을 갈등의 발생, 과정, 종결, 결과의 진행과정을 연결 지어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4컷의 그림으로 그려 총 24편의 이야기를 제작하였다. 유아의 갈등해결전략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김영희(1999)가 사용한 질문지를 연구자의 의도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만 5세 유아 20명씩 세 집단의 유아 60명에게 세 가지의 서로 다른 갈등해결 유형을 이야기로 들려주었으며, 유아의 갈등해결 전략은 개별 면접을 통하여 6개의 사회적 갈등상황에 대한 그림을 보여 주며 질문을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유아의 언어적 반응을 미리 설정한 12개의 해결전략의 기록지에 기록하여 긍정해결전략과 부정해결전략으로 분석하여 채점하였다. 유아가 선택한 긍정해결전략 1개당 1점을 주었고 유아가 받을 수 있는 점수의 총점범위는 6점이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채점과 부호화 과정을 거쳐 컴퓨터 SPSS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고 자료를 분석 검사한 점수에 대하여 집단별로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그 차이를 일원변량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에게 갈등해결 유형을 이야기로 들려주었을 때 유아가 사회적 갈등상황에서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유아의 긍정해결전략은 각각의 사회적 갈등 상황 중 소유의 문제에 있어서는 많이 사용한 반면에 언어 공격에 있어서는 적게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가 사회적 갈등상황에서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 유아의 사회적 갈등상황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긍정해결전략을 약간 더 많이 사용한 반면에, 의견 불일치의 상황에서는 더 적게 사용하였다. 특히 언어 공격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도 긍정해결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가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갈등해결 유형별, 성별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아가 긍정해결전략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유아는 긍정해결 유형을 들려주었을 때가 놀이간섭에서 긍정해결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부정해결 유형을 들려주었을 때는 공간소유, 언어공격, 사물소유 및 규칙 지키기에서 긍정해결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긍정/부정해결 유형을 들려주었을 때는 의견불일치에서 긍정해결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social conflict through stories about the subject selected from the social conflicts that frequently occur among 5 year old children in kindergarten playing situ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design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social conflict using stories on the three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social conflict using same stories depending on their gender?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social conflict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fferent group conditions and children's gender? The research subjects were sixty 5-year-old children randomly sampled from kindergartens affiliated to the "J" Elementary School and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ijeongbu-si, Gyeonggi-Do. The story material used for the research was a modified version of the children's story(Yu Hui Chung, 2002), using social conflict situations that frequently happen to children in kindergarten. Also, The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social conflict were measu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Kim Young Hee, 1999) which was modified to the fit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 a social conflict situation in accordance to the three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showed little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the children's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howed a distinguishable difference in each social conflict situation. Thus, children more frequently used th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 problems of possession than in verbal violence. Second, there was an in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regards to their gender. However, in most social conflict situations, girls used a slightly higher number of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hereas boys used more of them in situations involving opinion discordance. Girls used mor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an boys especially in verbal violence. Third, when the conflict resolution types of the stories were presented differently,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conditions and gender showed no distinguishable influence on the usage of the positive resolution strategies in social conflict situations. However, the children used mor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game interference with the type of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in possession of space, verbal violence, object possession and rule abiding with the type of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and in opinion discordance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types.

      • 갈등해결중심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금경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갈등해결중심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것이 또래 간 갈등해결 전략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원주시에 위치한 W초등학교 6학년들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29명씩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McGill 친구관계 질문지 갈등해결방식(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Conflict Resolution, 1995)을 고윤주, 이은혜, 오원정(2000)이 번안하고, 박옥철(2004)이 초등학생수준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대인관계의 척도는 Schlein과 Guermey(1971)가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하기위하여 개발한 자기보고 형 검사로서 본 연구에서는 문선모(1980)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2012년 4월 30일부터 2012년 6월 13일 까지 총 8회기(40분/1회기)동안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후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해결중심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아동들의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 중에서 절충 및 협력전략과 양보전략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둘째, 갈등해결중심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아동들의 대인관계증진의 하위요인 중에서 감정이해와 신뢰감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갈등해결중심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생의 학교폭력예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onflict resolution among higher-graders at the elementary school on resolu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 ship.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29) of sixth-graders at W Elementary School in Wonju.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were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Conflict Resolution (1995) translated by Goh, Lee, and Oh (2000) and revised by Park (2004) and the self-report scale developed by Schlein and Guermey (1971) and translated by Moon (1980), which measure elementary level personal relation skill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a total of 8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from April 30 to June 13, 2012 and was accompanied by a pre-test and post-tes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onflict resolu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romise and cooperation strategy and the concession strategy among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children. Second,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onflict resolu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fective understanding and the sense of reliance among sub-factors of personal relation skills for childre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onflict resolution will possibly be us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among higher-graders at the elementary level.

      • 통일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 :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New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 focusing on education program for conflict resolution

        하윤영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통일환경이 변화하면서 통일담론은 평화와 공존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통일교육도 이러한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평화와 공존이라는 패러다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통일이전단계에서부터 교육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즉 통일교육은 청소년들이 생활세계에 존재하는 이질성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이로 인한 갈등을 창의적인 방향으로 풀어낼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하여 멀지 않은 미래에 평화로운 공존의 과정적 통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기회를 제공하기에 우리의 현실은 너무나 답답하다. 북한과의 오래된 단절의 역사로 인하여 실제 만남에 있어서 한민족이라는 것이 무색할 정도로 서로 이질감을 거부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청소년층은 이를 통일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낯설음으로 느끼기 때문에 통일과 분단에 대한 회피나 무관심, 또는 분노 등의 극단적인 태도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하여 남북한의 교류는 과거에 비하여 양적으로 늘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시민들의 생활세계와 괴리된 채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반 시민들에게는 실감이 나지 않는 어느 외진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인 것이다. 교육은 교류의 경험을 생활세계로 끌고 와야 하며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만남을 가상으로 연출하는 역할 체험극(Role Play)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만남의 과정과 미래를 철저히 준비해야 하는 순환적인 구조가 만들어져야 하며 또한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고에서 주목한 미국에서의 평화교육이라 할 수 있는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은 평화와 공존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통일교육이 많은 시사점을 준다. 그리고 나와 “다른”이와 직접적으로 만남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가능한 모든 준비와 노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흥미를 끌었다. 또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실질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구체화되어 있으며 학습자들의 입장이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내용구성이 되어 있다는 점에서 통일교육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갈등해결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일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효과를 교육현장에서 일차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론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이 통일교육의 한 부분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학교현장에 실제 적용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갈등해결교육프로그램은 미국의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즉자적인 도입을 경계하고 그 한계를 풀어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갈등해결교육프로그램에 한반도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남북한 문화이해지와의 접목을 꾀하였지만 남한과 북한 사이에는 문화상대주의만으로 대체할 수 없는 지점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남북한의 미래가 보편적인 가치를 지향하기 위한 노력이므로 갈등해결교육의 적용의 포기로 이어지기보다는 앞으로 한반도 상황에 맞게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프로그램으로 섬세하게 손질되어가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As the unification environment changes, discussion on unification focuses on peace and coexistence. The unification education also reflects the atmosphere. To achieve the paradigm of peace and coexistence, it is required to educate people before achieving unification. The teenagers should understand the disparate views of the two countries objectively and find a way to solve the conflict creatively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peaceful unification. But our situation isn't good enough to provide the opportunity. Due to long disconnection from North Korea, we feel North Koreans are very different from us, even though they are all Koreans. Especially, the teenagers are strange to or afraid of unified world. They are indifferent to unification and division of Korea. Some are angry about the unification and division. The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greatly increased. But the exchange is not related to daily lives of general people. The exchange happens in a remote place where the general citizens don't know. The education should bring the experience of exchange into daily lives. If it is impossible, it has to use the role play that enables virtual experience of exchange. Then we can prepare the process of meeting and the future producing feedback structure. This paper focuses on education program for conflict resolution that is the peace education introduced in the USA. The program is based on peace and coexistence. So we can learn something from it for our unification education. Even though we can't meet someone who is different from me directly, the program enables people to prepare and make efforts. The program can actually be used in a school. The learners can express their ideas or requests in the program. So it can give lessons to unification education. This research will form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education program for conflict resolution and check its efficiency at the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gram continually to apply it to actual school education as a part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ducation program for conflict resolution is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USA. We shouldn't apply it to Korean situation immediately. We need to make efforts to expand the limit of the program. Reflecting the special situation in Korea, this paper tried to apply the cultural understanding between two Koreas. But there are obviously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Koreas. This limit is just the effort to pursue for general value of the future of North and South Koreas. So it doesn't lead to giving up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conflict resolution. Instead, it should be adjusted to meet the situation of Korean peninsula making it a reasonable and scientific program.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갈등인식 및 해결방법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아들은 교육기관에 들어오게 되면서 일상의 대부분을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보내게 되고 이 과정에서 흔히 또래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또래갈등에 대처하는 해결방법이 유아의 또래관계와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갈등상황을 다룬 그림책을 활용하여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과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에게 또래관계, 상호이해 및 존중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주고 나아가 부모 및 교사에게도 유아의 또래갈등 중재 시 활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지도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에 나타난 또래갈등상황을 토대로 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그림책에 나타난 또래갈등상황을 토대로 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성남시에 소재한 I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갈등인식 및 해결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방법을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주 2회씩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비교집단은 동일한 그림책을 읽어주고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이혜정, 김미경(2012)이 개발한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사전, 사후검사 자료는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소유적 갈등인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발달 특성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Young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as they enter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often leads to peer conflicts. Conflict resolution method to the peer conflict can affect the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conflict recognition, resolution method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give young children a chance to think of the meaning of peer relationship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to each other and moreover, provide parents and teachers with a desirable guidance that can be used in mediating child conflic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eer conflict recognition and resolution method? 2.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2 children of 5-years-old in I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conflict recognition, resolution method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given twice a week during 6 weeks, totaling 12 times through the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the same picture books but had not story sharing activities. As a research tool, ‘Conflict Recognition and Resolving Test of Young Children’ developed by Haejung Lee and Mikyung Kim(2012) and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PBSYC)’ developed by Young-Ok Kim(2003) were used. All of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conflict recognition and resolution method.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session perception, which can be caused b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children's growth. Second,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