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 개발

        석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암생존율의 증가로 암생존자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간호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 안전 및 감염위험 등의 이유로 임상실습 기간 동안 학생들은 암 치료를 받는 환자를 직접 간호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암생존자들을 위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간호학생은 미래의 간호사이므로 간호학생이 암생존자를 위한 건강증진의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개발된 앱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간호학생을 위한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은 성인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이론, 입체적 간호 시뮬레이션 개념 틀을 기반으로 하고 게임요소(gamification)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ADDIE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수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간호학생 및 간호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암생존자 건강증진에 대한 문헌고찰 및 가이드라인을 조사하여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성인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이론과 게이미피케이션의 요소 를 토대로 학습을 증진시키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규칙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앱의 각 단계별 흐름도와 기능별 흐름도를 작성하고, 설계자와의 미팅을 통해 안드로이드 폰에서 실행 가능한 앱을 개발하였다. 수행,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 5인에게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도구를 적용하여 앱을 평가하도록 하였고, 간호학생 20인에게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uMARS) 도구를 적용하여 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5점 만점에 전문가 평가는 3.66점, 사용자 평가는 3.97점을 기록하였다. 전문가의 앱에 대한 사용의견으로는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대상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앱을 경험함으로써 환자 간호에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사용자인 간호학생의 사용의견에는 3학년 학생의 경우 임상실습 전에 케이스 분석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4학년 학생들은 증상관리와 퀴즈 문제를 푸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되고, 임상실습을 간접적으로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암생존자 건강증진을 위해 필요한 투약, 식이, 운동, 스트레스관리, 증상관리, 건강검진에 대한 지식을 숙지 할 수 있었고, 증상관리를 위한 환자와의 대화 방식을 통해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도전 퀴즈]를 통해 문제를 풀면서 앞서 앱 사용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전문가 및 사용자의 사용성 평가에서 제시된 각 항목에 기술적, 내용적, 미적, 게임 요소 관련 사항을 추가로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앱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은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매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간호 실습 교육의 보조적 매체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앱과 유사한 다양한 환자 사례를 개발할 수 있게 되면 간호학생이 환자 간호에 대한 체험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application on cancer survivorship (CS-App)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gam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necessity to educate nursing students about the long-term and multifaceted cancer survivorship brought the CS-App development come true. CS-App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nalysis, literature reviews and opinions from clinical experts became the basis of CS-App development. The total period of development was from May 1st to August 20th, 2020. CS-App consisted of medication, symptom management, diet, exercise, stress management, and regular checkups for cancer survivors. It is designed for nursing students to learn how to take tailered care for cancer survivors on the given domains, as well as repetitive and regular health 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s. The CS-App was developed with three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ies and complexity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ree-dimensional (3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his app uses the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and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 Rating Scale (uMARS) tool to evaluate users and experts. Overall scores for users and experts ranged from 3.66 to 3.97. This CS-App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and user-friendly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knowledge and self-efficacy performing cancer survivorship care for nursing students.

      •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목표 개발

        김미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간호대학 졸업생의 간호능력 증진을 위해 간호사로서 요구되는 핵심간호능력을 중심으로 한 간호학실습목표의 설정을 목적으로 문헌분석 및 조사 연구 방법을 사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실습교육목표는 실습교육을 통해 최종적으로 달성되어야하는 목표로서 학제에 관계없는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수준이며 또한 과목의 구분 없는 공통적인 실습목표이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1) 일반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핵심간호 능력의 설정과 2)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실습목표의 설정이다. 핵심간호능력의 설정은 핵심간호능력에 대한 국내외 문헌 고찰 및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자료수집능력, 기본간호능력,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교육능력, 지도력, 간호관리능력, 전문직 발전태도 및 실천능력, 윤리적·법적 실무능력이 설정되었다. 간호학실습목표의 설정은 일차적으로 간호학학습목표 2000(대한간호협회)과 16개 대학의 간호학 실습지침서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 포함된 것은 실습에 해당되는 3,333개 목표였다. 해당문헌의 분석은 대상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동일한 행위목표를 진술하고 있는 목표들을 하나의 진술문으로 정리하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수준의 목표는 이를 포괄하는 하나의 목표로 재진술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우선 과목별 분석을 한 후 이를 종합하여 핵심간호능력으로 분류하고 신입간호사 직무기술서와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43개의 간호학실습목표안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문헌분석을 통해 설정된 실습목표안에 대한 타당성 조사는 교수, 학생, 수간호사,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Fehring Validation Model(1987)을 수정, 적용하여 중요성 정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1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0.8점 이상을 타당한 것으로 보고 모든 집단(교수, 수간호사, 일반간호사, 학생)에서 0.8점 이상 받은 39개를 공통간호학실습목표로 선정하였다. 설정된 39개의 간호학 실습목표를 핵심간호능력별로 보았을 때 자료수집능력에 '간호력 수집', '신체검진', '관찰 및 감시', '조사 4개', 기본 간호수행 능력에 '생리적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안전과 안정의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사랑과 소속감의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자존의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자아 실현 욕구의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투약', '검사 및 수술 간호', '상처간호', '임종간호' 9개, 의사소통능력에 '이해 및 전달', '기록', '보고', '자료활용/ 전산활용' 4개, 비판적 사고 능력에 '우선순위결정', '지식 및 이론 적용', '간호과정적용능력' 3개, 교육능력에 '교육', '정보제공', '상담', '교육자료 개발' 4개, 지도력에 '지도력', '협동', '관계형성', '옹호' 4개, 관리능력에 '조직이해 및 평가', '환경관리 및 안전관리', '감염관리', '물품관리', '자원 활용', '입·퇴원 관리' 6개, 전문직으로서의 법적 윤리적 실무 수행능력에 '법적 실무', '윤리적 실무' 2개, 전문직발전 태도 및 실천 능력에 '질 관리', '전문직 역할', '연구' 3개 였다. 이와 같은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공통적인 간호학실습교육목표는 간호학 실습 교육과정 전체에 걸쳐 해당 능력이 확대되고, 심화될 수 있도록 계속성, 연계성, 통합성 있게 효과적으로 조직함으로서 학생의 능력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각 대학 수준에서의 간호학실습교육과정 개발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간호사로서 갖추어야할 핵심간호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통합하여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 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veloped to set up Objectives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by us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which requires to promote the nursing school graduates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set up the Nursing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staff nurse. 2. To set up Objectives for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The goal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guidelines is to be achieved ultimately through the clinical practice. It is the common avenue of work and basic objective regardless of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The Nursing Core Competency was establish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verified by 15 experts. Nursing Clinical Education Objectives are establish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nd the validity of the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has been completed. The result concluded that 257 nursing professors, and 503 head nurses and 509 staff nurses who have less than 3 years clinical experience in 34 acute hospitals and 738 senior student nurses from 81 nursing school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1. Set up the Nursing Core Competency. 9 out of 11 abilities excluding nursing intervention were data collection, basic nursing care,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teaching, leadership, nursing management, developing of professionalism and implementation, legal and ethical practice. 2. Set up the objectives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First, 44 out of 873 objectives were set up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Nursing clinical practice and 44 out of 2460 objectives were set up based on the Nursing Learning Objectives(2000). Secondly, each 44 objectives were classified by the Nursing Core Competency and compared to the job standard for the new staff nurse. 46 objectives were identified and 4 professors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Finally, 43 objectives were set up. 3. Fehring Validation Model(1987) was revised and applied for the content validity. Five scales were used to test for validation. The scale ranged from 0.2 as rarely important to 1 as very important. Every scale had an increment 0.2. Anything above 0.8 were considered as appropriate. Thus, 39 objectives were chosen as the Nursing clinical core competency. 1) Data collection abilities were 4 objectives such as nursing history taking, physical exam, observation and monitoring, investigation. 2) Basic nursing care abilities were 9 objectives which were maintenance of physiological needs, care for physical needs, maintenance of safety and security needs, care for love and belongingness, care for self esteem needs, care for self actualization needs, medication, care for procedure and operation, wound care and hospice care. 3) Communication abilities were 4 objective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documentation, report, utilization of data/computer. 4) Critical thinking abilities were 3 objectives which were prioritizing, knowledge based practic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5) Teaching abilities were 4 objectives such as education, providing information, counseling, designing teaching materials. 6) Leadership abilities were leadership, cooperation, relationship. Client advocacy. 7) Management abilities were 6 objectives which wer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fection control, material management,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management of admission and discharge services. 8) Legal and ethical practice implementation abilities were 2 objectives such as legal practice and ethical practice. 9)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ism were 3 objectives such as quality improvement, professionalism and research. The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will be very helpful to develop student nurses competency by effectively organizing expanding and deepening their abilities and also, will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in nursing college.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by applying the knowledge to the nursing practice to achieve the Nursing Core Competency as a professional nurse.

      • 능력 본위 교육 이론에 근거한 간호학부 교과과정 개발 연구 : -중국 동인대학교를 중심으로-

        모굉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요구에 맞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CBE(Competency Based Education) 이론에 기초하여 동인대학교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CBE에 근거하여 국ㆍ내외 간호학부 핵심 역량, 간호학부 교과과정 등을 문헌 분석한 후 설문지 조사법(델파이법), 면담법 등의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문헌, 설문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분석과 면담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SPSS 22.0를 사용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간호 핵심역량 중요도를 가중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으로, 회수한 설문지를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만점율, 변이계수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최종 요약 정리를 주제별 약호화(Coding)하고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면담 자료는 중화간호지 더펠의 간호연구 활용방법(Dai, Jiang, & Sun, 2012)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개발된 간호학부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 과목의 수업 학기는 1학기에 편성하며, 이론 과목의 총 수업 시간은 280∼520 시간이다. 이론 과목은 필수과목 16과목과 선택과목 12과목으로 총 28과목이다. 필수 과목 16과목은 간호학 기초, 생리학, 병리학, 인체 해부학, 내과 간호학, 외과 간호학, 산부인과 간호학, 아동 간호학, 재활 간호학, 사상도덕수양과 법률기초, 중국 근현대사,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이론체계 개론,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 컴퓨터 이론과 응용, 대학생 영어,컴퓨터 이론과 응용,대학 영어,증빙의학. 선택 과목 12과목은 의료 윤리학, 응급 간호학, 정신 간호학, 지역사회 간호학, 간호 관리학, 간호 예절, 의료 통계, 간호 교육학, 대학생 진로 계획, 대인 의사소통, 대학생 심리 건강, 공통 영어 등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문 소양 능력을 포함하여 임상 간호 종합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박복순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고,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개인특성으로서의 성 역할 정체성이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표집은 강릉지역의 일 간호대학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2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진경(1990)의 한국형 성 역할 검사지(KSRI)를 사용하였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측정은 황성자(2002)가 개발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의 측정은 강현숙과 조결자(1984)가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도구와 이성은(2002)이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도구를 이순희(2004)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version 1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 역할 정체성 유형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은 남성성 지수 4.90±.64점, 여성성 지수 4.42±.73점으로 측정되었다. 이 점수를 기준으로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은 양성성 유형 80명(34.0%), 미분화 유형 77명(32.8%) 남성성 유형 42명(17.9%), 여성성 유형 36명(15.6%)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점수가 3.43±.5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상황특성 3.45±.51점, 개인특성 3.23±.64점, 외부 조정요인 3.62±.67점으로 나타났다. 3)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점수가 2.96±.43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임상실습 만족도는 실습교과 만족 3.46±.87점, 실습시간 만족 3.13±.85점, 실습내용 만족 3.10±.52점, 실습평가 만족 2.87±.83점, 실습지도 만족 2.58±.56점, 실습환경 만족 2.58±.66점으로 나타났다. 4)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양성성 유형 3.43±.58점, 남성성 유형 3.38±.42점, 여성성 유형 3.43±.44점 및 미분화형 3.41±.4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한 차이는 없었다.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양성성 유형 3.01±.47점, 남성성 유형 2.96±.40점, 여성성 유형 2.93±.38점 및 미분화 유형 2.89±.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하위 영역 중 실습교과와 실습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습교과에서 양성성 유형 3.65±.64점과 미분화 유형 3.47±.88점에서 차이를 보이고(p=.048), 실습내용에서는 양성성 유형 3.22±.60점과 여성성 유형 2.88±.48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6). 5) 남성성 지수, 여성성 지수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간 상관성 남성성 지수는 여성성 지수(r=.409, p=.000)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남성성 지수, 여성성 지수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r=-.437, p=.000)에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은 양성성 유형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서는 다른 유형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성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부분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은 간호학생의 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고,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여 임상실습 현장교육에 적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much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may depend upon their sex role identity, and is also to examine potential associations of sex role identity - as one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 with their stres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clinical practices. Total 235 students attending at a nursing college in Gangneung city, were recruited sample and were asked to join a questionnaire survey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rom October 20 to 22, 2008. For research tools, this study adopted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to measure different types of sex role identity, and also used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nventory (Hwang, 2002) to measure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in order to measur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s, this study adopted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ventory (Kang & Cho, 1984) as well as a modified version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ventory (Lee, 2004; originally developed by Lee, 2001).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SPSS(ver. 12.0), a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rform t-test and ANOVA, Scheffe'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Types of sex role identity In regard to types of sex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our nursing students scored 4.90±.64 points in masculinity index on the average, and scored 4.42±.73 points in femininity index on the average. Based on the above scor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major types of sex role identity our nursing students had, such as androgyny, undifferentiated, masculinity and femininity type. Here, most of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androgyny type 80 students(34.0%), and other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undifferentiated type 77 students(32.8%), masculinity type 42 students(17.9%) and femininity type 36 students(15.6%) respectively. 2)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our nursing students scored 3.43±.52 points out of full 5 on average in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upon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45±.51 points in contextual stress, 3.23±.64 points in personal stress and 3.62±.67 points in a stress from external coordination on the average respectively. 3)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scored 2.96±.43 points out of full 5 points on average in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measurement of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46±.87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3.13±.85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duration, 3.10±.52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ontent, 2.87±.83 points in practice evaluation, 2.58±.56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instructions, and 2.58±.66 points in satisfaction at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average respectively. 4)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sex 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types of sex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masculinity type group, femininity type group aundifferentiated type group scored 3.43±.58, 3.38±.42, 3.43±.44 and 3.41±.44 points in their stress on the average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ose four type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In terms of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masculinity type group, femininity type group and undifferentiated type group scored 3.01±.47, 2.96±.40, 2.93±.38 and 2.89±.42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on the averag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atisfaction among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and content, which are part of subcategories of clinical practices, among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ere were certain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between Androgyny type group 3.65±.64 points and undifferentiated group 3.47±.88 points (p<.05), and there were also certain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ontent between androgyny type group 3.22±.60 point and femininity group 2.88 ±.48 points (p<.01). 5) Potential correlations among masculinity index, femininity index,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masculinity index was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emininity index (r=.409, p=.000), whereas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of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with masculinity index, femininity index and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However, it was found that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was i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r=-.437, p=.000). With regard to nursing students' sex role ident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drogyny type group reacted more sensitively to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than other type groups. Moreover,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felt more satisfied partially at clinical practices than other type groups. Thus, it is concluded that as a strategic means to relieve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the ver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sex role identity will possibly open up a good opportunity to get a further profile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also explains the reason why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sex role identity and to reflect those characteristics on educations at clinical practice sites.

      • 看護學生이 認知한 看護員과 看護學生의 臨床看護 遂行程度

        박미영 慶北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807

        간호학생이 인지한 간호원과 간호학생의 임상 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 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의 기초 자료를 알고자 1987년 2월 9일에서 2월 15일까지 대구시내에서 1 년이상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학생이 인지한 전체 간호 수행정도는 간호원에 비해 간호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 수행 정도는 간호원은 입·퇴원 간호, 간호학생은 신체적 안위 간호에서 가장 높았고 정신 사회적 간호와 입·퇴원 간호에서 각각 가장 낮았다. 각 영역별 수행 관계에서 간호원은 입·퇴원 간호와 관찰·기록 및 진료보조간호가 유의하게 높았고 간호학생은 신체적 안위 간호와 정신사회적 간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각 항목별 간호원의 수행도가 비교적 높은 항목은 12항목으로 퇴원시 투약에 대해 지시하는 것. Dressing change시 무균법으로 다루는 것 병상기록을 정확히 하는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은 15항목으로 활력증상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 환자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것, 항상 진실하고 친절한 태도를 보이는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행도가 비교적 낮은 문항은 간호원은 7항목으로 환자를 위해 오락이나 게임을 마련하는 것. 환자의 기분전환을 도우는 것의 순이며, 간호학생은 병실내 온도와 환기조절에 노력하는 것. 주치의와 담당간호원을 소개해 주는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a baseline data for clinical practice of student Nurs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Nursing activities of R.N and S.N according to S.N's perception The data tabulated was based on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clinical practice for over one year in Daegu city. This study was done from the 9th of February to the 15th of February in 19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general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was checked 3.30 of mean in R.N's case and 3.40 of mean in S.N's In the Degree of R.N's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care for admission and discharge was the highest point, psychological care was the lowest point. In S.N's case, the physical comfort care was the highest, care for admission and dischange was the lowest 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N's and S.N's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S.N was presenting more active than R.N in physical comfort care and psychological care. In the case of observation record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medical care, care for admission and dischange of R.N's activity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S.N's. There were rather high 12 items in the degree of R.N's Nursing activity which were teaching about medication when Discharge, keeping aseptic technique while Dressing change in order. In S.N case, there were 15 items checked. There were measuring vital accurately, attention to patient's complans in order. Rather low items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were 7 items in R.N's case and 4 items in S.N's. These were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ventilation, introducing charge Doctor and Nurse to patients in order. Those were preparing recreation or game for patients, helping patient refreshment in order.

      • 프리셉터 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

        이점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nursing science is a practical science, clinical practice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at the real clinical settings to put into application the knowledge and skill they have learned in theory. This study is a descriptive-comparativ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kinds of influences it could make on the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d 80 persons from the preceptor group and 51 persons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whos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May 13 to June 17 in 2005. As for the tools employed, Sun-Hwan Park's(1999)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Won-Hee Lee and et al.(1990) Clinical Competency and Sook-Ja Lee's(1980)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were utiliz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between the preceptor group and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3.74, p<.001). 2. The clinical competency between the preceptor group and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7.95, p<.001). 3.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s between the preceptor group and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34, p<.021). 4. Subjec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along with the clinical competency(r=.356, p<.001) and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r=.517, p<.001). And the clinical competenc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r=.460, p<.001). 5. Scores for subjec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ool years(t=7.49, p=.008) an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10.88, p=.001) among the preceptor group, while i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x(t=5.70, p=.021) an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9.55, p=.003)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6. Scores for subjects' clinic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ool years(t=7.41, p=.008) an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4.34, p=.041), and with satisfaction for nursing major(t=14.38, p<.001) only among the preceptor group. 7. Scores for subjects'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ool years(t=6.61, p=.012) among the preceptor group, while i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4.47, p=.040) and with satisfaction for nursing major(t=10.71, p=.002)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ursing students who had clinical practice under the guidance of the preceptor showed higher scores in the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han those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clinical practices under the conventional method. Consequently, we are quite consciously encouraged to reinforce the preceptorship for realization of an effectiv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일 종합병원에서 6주간의 임상실습을 시행한 간호학생 131명으로서 C 대학으로부터 위임받은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고 임상실습을 한 간호학생 80명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 51명이다. 연구도구는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을 위해 박선환(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원희 등(1990)이 개발하고 최현영(1991)이 수정한 도구를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을 위해서는 이숙자(1980)가 개발하고 김귀숙(200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74, p<.001). 2.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95, p<.001). 3.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4, p=.021). 4.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이 기존의 방법에 따라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학생들의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해 프리셉터 활용을 강화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의 비교

        崔英蘭 全北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와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을 조사 비교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직업과 관련된 간호윤리 가치관 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01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C 지역의 1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10명과 이 기간동안 대학병원에 실습 나온 4개 대학 간호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이영숙(1990)이 고안하고 본 연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이용하여 질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9.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effe' test,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5점 만점에서 간호사 3.11±.26점, 간호학생 3.18±.30점으로 두 군 모두 의무주의나 공리주의 입장이 아닌 중립의 입장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간호윤리 가치관 영역 중 의무주의 입장을 나타낸 영역은 협동자관계 영역으로 간호사는 3.91±.46점. 간호학생은 3.92±.59점이었다. 2. 인간생명과 대상자관계 영역에 대한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간호학생이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 업무관계 영역의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간호사가 간호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협동자관계 영역의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간호사와 간호학생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의 차이 분석에서, 간호사의 경우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근무경력, 근무분야, 직위, 종교유무, 간호윤리 교육경험, 윤리강령의 인지 정도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종교 참여도, 간호직에 대한 태도, 윤리적 기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간호학생의 경우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연령, 간호윤리 교육경험, 윤리강령의 인지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년, 종교유무 및 참여도, 간호직에 대한 태도, 윤리적 기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은 의무주의나 공리주의가 아닌 입장이었고 영역별로는 두 집단 모두 협동자관계 영역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종교 참여도, 간호직에 대한 태도, 윤리적 기준 등의 특성에 따라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인간생명 영역 및 전체적인 간호윤리 가치관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간호윤리 가치관의 확립을 강화시키기 위한 간호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clinical nurses with that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310 clinical nurses who work in a university hospital and 300 nursing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01 through questionnaires. The tool for investigating was used Nurse's ethical valu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ee (1990)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Cronbach's alph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nurses was 3.11±.26 of five point and that of nursing students 3.18 ±.30. This meant that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nurses (p .002). The highest area of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two groups was the co-working relationship. That of nurses was 3,91±.46 and of nursing students 3.92±.59. 2.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nurses in the area of a task relationship showed higher than that of nursing students (p .005).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in the area of a human life and the patient relationship showed higher than that of nurses (p .000 ).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the area of a co-worker relationshi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3. In rela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nursing ethical values, Nurs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ending to religions, the attitude toward nursing, the standard for ethical values (p<.01). In rela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nursing ethical values, nursing studen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ving religions, the grade of nursing students, attending to religions, the attitude toward nursing, the standard for ethical values (p<.05).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ursing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nurses. Both of two groups thought that co-worker relationship were most important.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nursing ethical valu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attending to religions, the attitude toward nursing, and the standard for ethical values. Based on this results, in order to the establish nurse's and nursing student's nursing ethical values in the area of a human life, the nursing ethical education program for positive attitude to nursing job and nursing ethical values will b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