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리셉터 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

        이점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nursing science is a practical science, clinical practice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at the real clinical settings to put into application the knowledge and skill they have learned in theory. This study is a descriptive-comparativ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kinds of influences it could make on the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d 80 persons from the preceptor group and 51 persons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whos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May 13 to June 17 in 2005. As for the tools employed, Sun-Hwan Park's(1999)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Won-Hee Lee and et al.(1990) Clinical Competency and Sook-Ja Lee's(1980)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were utiliz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between the preceptor group and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3.74, p<.001). 2. The clinical competency between the preceptor group and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7.95, p<.001). 3.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s between the preceptor group and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34, p<.021). 4. Subjec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along with the clinical competency(r=.356, p<.001) and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r=.517, p<.001). And the clinical competenc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r=.460, p<.001). 5. Scores for subjec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ool years(t=7.49, p=.008) an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10.88, p=.001) among the preceptor group, while i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x(t=5.70, p=.021) an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9.55, p=.003)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6. Scores for subjects' clinic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ool years(t=7.41, p=.008) an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4.34, p=.041), and with satisfaction for nursing major(t=14.38, p<.001) only among the preceptor group. 7. Scores for subjects'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ool years(t=6.61, p=.012) among the preceptor group, while i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t=4.47, p=.040) and with satisfaction for nursing major(t=10.71, p=.002)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 group.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ursing students who had clinical practice under the guidance of the preceptor showed higher scores in the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han those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clinical practices under the conventional method. Consequently, we are quite consciously encouraged to reinforce the preceptorship for realization of an effectiv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일 종합병원에서 6주간의 임상실습을 시행한 간호학생 131명으로서 C 대학으로부터 위임받은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고 임상실습을 한 간호학생 80명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 51명이다. 연구도구는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을 위해 박선환(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원희 등(1990)이 개발하고 최현영(1991)이 수정한 도구를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을 위해서는 이숙자(1980)가 개발하고 김귀숙(200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74, p<.001). 2.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95, p<.001). 3.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4, p=.021). 4.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프리셉터의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이 기존의 방법에 따라 실습지도를 받은 간호학생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학생들의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해 프리셉터 활용을 강화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돌봄 지각의 비교

        송희란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돌봄 지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돌봄 지각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돌봄 지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사와 간호학생이었다. 간호사는 D시 소재 2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에 신규 오리엔테이션 기간을 제외한 근무 1개월 이상의 간호사로 총 324명이었으며, 대부분 여성으로 평균연령은 27.2세였고, 총 경력은 평균 60.8개월이었다. 최종학력은 간호대학 3년제 졸업이 58.0%, 간호대학 4년제 졸업이 30.3%, 석사이상이 11.7%이었다. 간호학생은 D시 소재 3년제,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학생으로, 각 대학 학년별로 4년제 대학 간호학생 246명, 3년제 대학 간호학생 126명, 총 372명이었다. 평균연령은 20.7세로 대부분이 여성이었고, 조사대상자 중 간호학생의 68.6%가 기본간호 실습경험이 있었으며, 임상간호 실습경험은 51.6%가 있다고 답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1995)가 개발하고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번역한 도구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4점 Likert 척도, 30문항으로 된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로 측정하였으며, 돌봄 지각은 Arthur(1999)가 개발하고 노춘희와 송경애(1999)가 번역하여 한국어로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5점 Likert 척도, 42문항으로 된 돌봄 지각 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 돌봄 지각 측정도구로 일반적 특성을 포함한 88문항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696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돌봄 지각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지각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돌봄 지각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점수는 최저 44점, 최고 119점, 평균 89.35(11.28)점이었고,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점수는 최저 57점, 최고 119점, 평균 95.16(9.55)점이었고,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점수는 최저 44점, 최고 114점, 평균 82.68(9.26)점이었다.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점수가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점수보다 높았다(t=-17.435, p<.001).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역별 점수에서 두 그룹 모두 윤리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만족감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학과를 지원한 동기(p<.001), 학년(p=.001), 임상간호 실습경험 여부(p=.001)가 전문직 자아개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학과를 자신의 의지로 지원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가장 높았으며, 학년은 낮을수록, 임상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연령(p<.001), 최종학력(p<.001), 간호직을 선택한 동기(p=.028), 간호사 총 경력(p<.001), 현재 직위(p<.001), 근무부서(p<.001)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직을 자신의 의지로 선택한 간호사,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석사이상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점수가 높았다. 돌봄 지각은 연구대상자의 점수가 최저 92점, 최고 208점, 평균 163.07(18.35)점, 간호학생의 돌봄 지각 점수는 최저 115점, 최고 208점, 평균168.45(16.54)점이었고, 간호사의 돌봄 지각 점수는 최저 92점, 최고 204점, 평균 156.91(18.43)점이었다. 간호학생의 돌봄 지각 점수가 간호사의 돌봄 지각의 점수보다 높았다(t=-11.535, p<.001). 돌봄 지각의 영역별 점수는 두 그룹 모두 교육적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간호학생의 돌봄 지각은 일반적 특성 중 간호학과를 지원한 동기(F=3.827, p=.01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주위의 권유로 간호학과를 지원한 간호학생의 돌봄 지각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지각은 연령(p<.001), 최종학력(p=.001), 간호직을 선택한 동기(p=.046), 간호사 총 경력(p<.001), 현재 직위(p<.001), 근무부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현재직위가 높을수록 돌봄 지각의 점수가 높았고, 간호직을 자신의 의지로 선택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다. 요약적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이 간호사보다 간호학생의 점수가 높았으며 간호학생은 교양과목을 이수한 학생이 전공과목을 이수한 학생보다 높았다. 간호사는 임상경력 초기에 낮았으며 경력이 올라갈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다. 돌봄 지각은 간호학생은 학년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간호사는 경력이 올라갈수록 돌봄 지각이 높았다.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t=-17.435, P<.001)과 돌봄 지각(t=-11.5

      • 간호학과 학생의 학교구강보건사업 인지도 :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김해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process that attain several objectives such as a conveyance of the right oral health knowledge to the school population involving students and the teaching staff, a change of their oral health attitude and behavior, and an encouragement of their rational, concerted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Currently, school nurses are the only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work in school all the time, and they are responsible for school oral health. Under the circumstances, school nurses have the largest impact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habits of students, and they are major performer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jects. Nursing students who took every teaching course and had the required qualifications serve as school nurses after graduation, and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mselves even after they become school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oral health education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preservice school nurses, and their awar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especially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school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three-year-course nursing and dental hygiene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respectively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cheong Province an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120 dental hygiene students, 150 nursing students and 60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addition, 11 courses related to oral health were selected from among 52 nursing courses in the curriculum of one college among the three where nursing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selected cour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ut of 52 courses of the nursing department, the textbooks of 11 courses were concerned with oral health. Oral healt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0.01 percent of the 11 courses, and the courses mainly dealt with basic dentistry knowledge on the structure of the teeth, the order of baby teeth, names,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oral nursing and oral diseases. The courses gave few explanations about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which was the co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there were few explanations about topical application of fluoride, pit & fissure sealing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s like oral prophylaxis, either. According to the survey, 90.8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24.0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3.3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nd 88.3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15.3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1.7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fissure sealant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s well. The nursing students were a little ahea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awareness of whether to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awareness of barriers to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the program. And the former had a slightly mo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the latter,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ose regards. As for the fissure sealant program, the nursing students quite fell behind as well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issure sealant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it. Concerning knowledg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including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12.61, the highest score, out of possible 18 points. The nursing students got 5.52,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got 3.4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who were preservice school nurses received quite a little education about oral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s a consequence, the nursing students were slightly better aware tha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ould serve as oral health professionals in terms of it. Moreover, they just had a fragmentary and incorrect knowledge about the programs.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to grow into responsible school oral health educators who take good care of the oral health of students. In fact, school nurses are originally nurses, and they don't receive any systematic,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in college before they become school nurses. That's why they are bound to have poor knowledge about oral health, not to be well awa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not to have a sense of mission. In our country, some nurses serve as school nurses, and there is no established system to nurture school nurses responsible for oral health. The establishment of an oral-health-related school nurse system is suggested to make every school equipped with an oral health expert responsible for children's oral health, such as a dental hygienist, in order to step up the promotion of children's or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oral health. 학교구강보건사업이란 학교 인구 즉 학생과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고 그들의 구강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공동의 조직적인 노력으로 합리적인 추구방법을 전개해 나가는 목적달성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에 상근하는 유일한 보건전문인력은 보건교사로써 학교구강보건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들 보건교사는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관리습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효율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수행을 위한 중요한 역할자라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 학생 중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졸업 후 소정의 자격을 가진 사람이 보건교사가 되는바 간호학과 재학시절의 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지식은 보건교사가 되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들이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구강보건교육을 받고, 그로 인해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불소용액양치사업,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고 나아가 현 학교구강보건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가지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년제 간호학과, 치위생과 학생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여 치위생과 120명, 간호학과 150명, 유아교육과 60명으로 총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조사는 설문 조사를 실시한 간호학과 중 1개의 학교의 교과 과정을 바탕으로 52과목의 간호학과 교과서 중 구강보건관련 내용이 있는 11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와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와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학과 52과목 중에서 구강보건관련 내용은 총11과목의 교과서에 다뤄지고 있었고 그 분량은 구강보건관련 11과목 내에서 약 0.01%을 차지하였고 대부분의 내용은 치아의 구조, 유치 나는 순서, 명칭, 구강의 구조, 구강 간호, 구강질환 등의 치의학 분야의 기초적인 지식들이 많았으며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중심인 불소용액양치사업, 전문가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치면세마 등의 구강병을 예방하는 지식과 처치에 대한 내용들의 제시가 미미하였다. 설문조사결과 ‘교과 과정’을 통하여 치위생과 90.8%, 간호학과 24.0%, 유아교육과 3.3%의 학생이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정보는 치위생과 88.3%, 간호학과 15.3%, 유아교육과 1.7%의 학생이 ‘교과 과정‘을 통해 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불소함유치약 사용 여부 인지율, 사업의 건강 장애 발생 여부 인지율, 사업의 유용성 여부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조금 높았으나 치위생과 학생과 비교 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의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 역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의 지식도를 합한 학교구강보건사업 지식도는 치위생과 학생은 18점 만점에서 12.61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학과 학생은 5.52점, 유아교육과 학생 3.45점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의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양은 너무나 작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구강보건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치위생과 학생들보다는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낮은 수준이고 사업에 대한 단편적이고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간호학과 학생들은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구강보건전문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구강보건을 책임지는 학교구강보건교육자로써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보건교사는 간호사이며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건교사로 근무할 때까지 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구강보건지식과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인식과 사명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에는 간호사 직종의 학교보건교사는 있지만 아직도 학교구강보건교사는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에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과 학교구강보건의 발전을 위해서 치과위생사 등의 구강보건전문인력이 상주하여 아동들의 구강보건을 담당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사 제도를 정책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 개발

        석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암생존율의 증가로 암생존자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간호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 안전 및 감염위험 등의 이유로 임상실습 기간 동안 학생들은 암 치료를 받는 환자를 직접 간호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암생존자들을 위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간호학생은 미래의 간호사이므로 간호학생이 암생존자를 위한 건강증진의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개발된 앱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간호학생을 위한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은 성인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이론, 입체적 간호 시뮬레이션 개념 틀을 기반으로 하고 게임요소(gamification)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ADDIE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수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간호학생 및 간호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암생존자 건강증진에 대한 문헌고찰 및 가이드라인을 조사하여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성인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이론과 게이미피케이션의 요소 를 토대로 학습을 증진시키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규칙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앱의 각 단계별 흐름도와 기능별 흐름도를 작성하고, 설계자와의 미팅을 통해 안드로이드 폰에서 실행 가능한 앱을 개발하였다. 수행,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 5인에게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도구를 적용하여 앱을 평가하도록 하였고, 간호학생 20인에게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uMARS) 도구를 적용하여 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5점 만점에 전문가 평가는 3.66점, 사용자 평가는 3.97점을 기록하였다. 전문가의 앱에 대한 사용의견으로는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대상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앱을 경험함으로써 환자 간호에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사용자인 간호학생의 사용의견에는 3학년 학생의 경우 임상실습 전에 케이스 분석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4학년 학생들은 증상관리와 퀴즈 문제를 푸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되고, 임상실습을 간접적으로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암생존자 건강증진을 위해 필요한 투약, 식이, 운동, 스트레스관리, 증상관리, 건강검진에 대한 지식을 숙지 할 수 있었고, 증상관리를 위한 환자와의 대화 방식을 통해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도전 퀴즈]를 통해 문제를 풀면서 앞서 앱 사용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전문가 및 사용자의 사용성 평가에서 제시된 각 항목에 기술적, 내용적, 미적, 게임 요소 관련 사항을 추가로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앱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은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매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간호 실습 교육의 보조적 매체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앱과 유사한 다양한 환자 사례를 개발할 수 있게 되면 간호학생이 환자 간호에 대한 체험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application on cancer survivorship (CS-App)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gam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necessity to educate nursing students about the long-term and multifaceted cancer survivorship brought the CS-App development come true. CS-App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nalysis, literature reviews and opinions from clinical experts became the basis of CS-App development. The total period of development was from May 1st to August 20th, 2020. CS-App consisted of medication, symptom management, diet, exercise, stress management, and regular checkups for cancer survivors. It is designed for nursing students to learn how to take tailered care for cancer survivors on the given domains, as well as repetitive and regular health 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s. The CS-App was developed with three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ies and complexity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ree-dimensional (3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his app uses the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and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 Rating Scale (uMARS) tool to evaluate users and experts. Overall scores for users and experts ranged from 3.66 to 3.97. This CS-App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and user-friendly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knowledge and self-efficacy performing cancer survivorship care for nursing students.

      • 看護學生이 認知한 看護員과 看護學生의 臨床看護 遂行程度

        박미영 慶北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807

        간호학생이 인지한 간호원과 간호학생의 임상 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 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의 기초 자료를 알고자 1987년 2월 9일에서 2월 15일까지 대구시내에서 1 년이상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학생이 인지한 전체 간호 수행정도는 간호원에 비해 간호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 수행 정도는 간호원은 입·퇴원 간호, 간호학생은 신체적 안위 간호에서 가장 높았고 정신 사회적 간호와 입·퇴원 간호에서 각각 가장 낮았다. 각 영역별 수행 관계에서 간호원은 입·퇴원 간호와 관찰·기록 및 진료보조간호가 유의하게 높았고 간호학생은 신체적 안위 간호와 정신사회적 간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각 항목별 간호원의 수행도가 비교적 높은 항목은 12항목으로 퇴원시 투약에 대해 지시하는 것. Dressing change시 무균법으로 다루는 것 병상기록을 정확히 하는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은 15항목으로 활력증상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 환자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것, 항상 진실하고 친절한 태도를 보이는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행도가 비교적 낮은 문항은 간호원은 7항목으로 환자를 위해 오락이나 게임을 마련하는 것. 환자의 기분전환을 도우는 것의 순이며, 간호학생은 병실내 온도와 환기조절에 노력하는 것. 주치의와 담당간호원을 소개해 주는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a baseline data for clinical practice of student Nurs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Nursing activities of R.N and S.N according to S.N's perception The data tabulated was based on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clinical practice for over one year in Daegu city. This study was done from the 9th of February to the 15th of February in 19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general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was checked 3.30 of mean in R.N's case and 3.40 of mean in S.N's In the Degree of R.N's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care for admission and discharge was the highest point, psychological care was the lowest point. In S.N's case, the physical comfort care was the highest, care for admission and dischange was the lowest 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N's and S.N's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S.N was presenting more active than R.N in physical comfort care and psychological care. In the case of observation record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medical care, care for admission and dischange of R.N's activity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S.N's. There were rather high 12 items in the degree of R.N's Nursing activity which were teaching about medication when Discharge, keeping aseptic technique while Dressing change in order. In S.N case, there were 15 items checked. There were measuring vital accurately, attention to patient's complans in order. Rather low items implementation of Nursing activity were 7 items in R.N's case and 4 items in S.N's. These were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ventilation, introducing charge Doctor and Nurse to patients in order. Those were preparing recreation or game for patients, helping patient refreshment in order.

      •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박복순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고,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개인특성으로서의 성 역할 정체성이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표집은 강릉지역의 일 간호대학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2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진경(1990)의 한국형 성 역할 검사지(KSRI)를 사용하였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측정은 황성자(2002)가 개발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의 측정은 강현숙과 조결자(1984)가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도구와 이성은(2002)이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도구를 이순희(2004)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version 1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 역할 정체성 유형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은 남성성 지수 4.90±.64점, 여성성 지수 4.42±.73점으로 측정되었다. 이 점수를 기준으로 성 역할 정체성 유형은 양성성 유형 80명(34.0%), 미분화 유형 77명(32.8%) 남성성 유형 42명(17.9%), 여성성 유형 36명(15.6%)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점수가 3.43±.5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상황특성 3.45±.51점, 개인특성 3.23±.64점, 외부 조정요인 3.62±.67점으로 나타났다. 3)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점수가 2.96±.43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임상실습 만족도는 실습교과 만족 3.46±.87점, 실습시간 만족 3.13±.85점, 실습내용 만족 3.10±.52점, 실습평가 만족 2.87±.83점, 실습지도 만족 2.58±.56점, 실습환경 만족 2.58±.66점으로 나타났다. 4)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양성성 유형 3.43±.58점, 남성성 유형 3.38±.42점, 여성성 유형 3.43±.44점 및 미분화형 3.41±.4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한 차이는 없었다.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양성성 유형 3.01±.47점, 남성성 유형 2.96±.40점, 여성성 유형 2.93±.38점 및 미분화 유형 2.89±.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하위 영역 중 실습교과와 실습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습교과에서 양성성 유형 3.65±.64점과 미분화 유형 3.47±.88점에서 차이를 보이고(p=.048), 실습내용에서는 양성성 유형 3.22±.60점과 여성성 유형 2.88±.48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6). 5) 남성성 지수, 여성성 지수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간 상관성 남성성 지수는 여성성 지수(r=.409, p=.000)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남성성 지수, 여성성 지수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r=-.437, p=.000)에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은 양성성 유형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서는 다른 유형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성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부분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은 간호학생의 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고, 성 역할 정체성 유형에 따른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여 임상실습 현장교육에 적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much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may depend upon their sex role identity, and is also to examine potential associations of sex role identity - as one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 with their stres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clinical practices. Total 235 students attending at a nursing college in Gangneung city, were recruited sample and were asked to join a questionnaire survey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rom October 20 to 22, 2008. For research tools, this study adopted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to measure different types of sex role identity, and also used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nventory (Hwang, 2002) to measure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in order to measur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s, this study adopted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ventory (Kang & Cho, 1984) as well as a modified version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ventory (Lee, 2004; originally developed by Lee, 2001).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SPSS(ver. 12.0), a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rform t-test and ANOVA, Scheffe'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Types of sex role identity In regard to types of sex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our nursing students scored 4.90±.64 points in masculinity index on the average, and scored 4.42±.73 points in femininity index on the average. Based on the above scor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major types of sex role identity our nursing students had, such as androgyny, undifferentiated, masculinity and femininity type. Here, most of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androgyny type 80 students(34.0%), and other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undifferentiated type 77 students(32.8%), masculinity type 42 students(17.9%) and femininity type 36 students(15.6%) respectively. 2)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our nursing students scored 3.43±.52 points out of full 5 on average in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upon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45±.51 points in contextual stress, 3.23±.64 points in personal stress and 3.62±.67 points in a stress from external coordination on the average respectively. 3)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scored 2.96±.43 points out of full 5 points on average in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According to measurement of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46±.87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3.13±.85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duration, 3.10±.52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ontent, 2.87±.83 points in practice evaluation, 2.58±.56 point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instructions, and 2.58±.66 points in satisfaction at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average respectively. 4)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sex 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nursing students'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depending on types of sex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masculinity type group, femininity type group aundifferentiated type group scored 3.43±.58, 3.38±.42, 3.43±.44 and 3.41±.44 points in their stress on the average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ose four type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In terms of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masculinity type group, femininity type group and undifferentiated type group scored 3.01±.47, 2.96±.40, 2.93±.38 and 2.89±.42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on the averag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atisfaction among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and content, which are part of subcategories of clinical practices, among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ere were certain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urriculum between Androgyny type group 3.65±.64 points and undifferentiated group 3.47±.88 points (p<.05), and there were also certain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practice content between androgyny type group 3.22±.60 point and femininity group 2.88 ±.48 points (p<.01). 5) Potential correlations among masculinity index, femininity index,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It was found that masculinity index was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emininity index (r=.409, p=.000), whereas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of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with masculinity index, femininity index and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However, it was found that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was i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 (r=-.437, p=.000). With regard to nursing students' sex role ident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drogyny type group reacted more sensitively to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than other type groups. Moreover, it was found that androgyny type group felt more satisfied partially at clinical practices than other type groups. Thus, it is concluded that as a strategic means to relieve their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s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at clinical practices, the ver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sex role identity will possibly open up a good opportunity to get a further profile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also explains the reason why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sex role identity and to reflect those characteristics on educations at clinical practice sites.

      • 능력 본위 교육 이론에 근거한 간호학부 교과과정 개발 연구 : -중국 동인대학교를 중심으로-

        모굉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요구에 맞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CBE(Competency Based Education) 이론에 기초하여 동인대학교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CBE에 근거하여 국ㆍ내외 간호학부 핵심 역량, 간호학부 교과과정 등을 문헌 분석한 후 설문지 조사법(델파이법), 면담법 등의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문헌, 설문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분석과 면담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SPSS 22.0를 사용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간호 핵심역량 중요도를 가중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으로, 회수한 설문지를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만점율, 변이계수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최종 요약 정리를 주제별 약호화(Coding)하고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면담 자료는 중화간호지 더펠의 간호연구 활용방법(Dai, Jiang, & Sun, 2012)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개발된 간호학부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 과목의 수업 학기는 1학기에 편성하며, 이론 과목의 총 수업 시간은 280∼520 시간이다. 이론 과목은 필수과목 16과목과 선택과목 12과목으로 총 28과목이다. 필수 과목 16과목은 간호학 기초, 생리학, 병리학, 인체 해부학, 내과 간호학, 외과 간호학, 산부인과 간호학, 아동 간호학, 재활 간호학, 사상도덕수양과 법률기초, 중국 근현대사,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이론체계 개론,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 컴퓨터 이론과 응용, 대학생 영어,컴퓨터 이론과 응용,대학 영어,증빙의학. 선택 과목 12과목은 의료 윤리학, 응급 간호학, 정신 간호학, 지역사회 간호학, 간호 관리학, 간호 예절, 의료 통계, 간호 교육학, 대학생 진로 계획, 대인 의사소통, 대학생 심리 건강, 공통 영어 등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문 소양 능력을 포함하여 임상 간호 종합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목표 개발

        김미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간호대학 졸업생의 간호능력 증진을 위해 간호사로서 요구되는 핵심간호능력을 중심으로 한 간호학실습목표의 설정을 목적으로 문헌분석 및 조사 연구 방법을 사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실습교육목표는 실습교육을 통해 최종적으로 달성되어야하는 목표로서 학제에 관계없는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수준이며 또한 과목의 구분 없는 공통적인 실습목표이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1) 일반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핵심간호 능력의 설정과 2)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실습목표의 설정이다. 핵심간호능력의 설정은 핵심간호능력에 대한 국내외 문헌 고찰 및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자료수집능력, 기본간호능력,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교육능력, 지도력, 간호관리능력, 전문직 발전태도 및 실천능력, 윤리적·법적 실무능력이 설정되었다. 간호학실습목표의 설정은 일차적으로 간호학학습목표 2000(대한간호협회)과 16개 대학의 간호학 실습지침서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 포함된 것은 실습에 해당되는 3,333개 목표였다. 해당문헌의 분석은 대상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동일한 행위목표를 진술하고 있는 목표들을 하나의 진술문으로 정리하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수준의 목표는 이를 포괄하는 하나의 목표로 재진술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우선 과목별 분석을 한 후 이를 종합하여 핵심간호능력으로 분류하고 신입간호사 직무기술서와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43개의 간호학실습목표안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문헌분석을 통해 설정된 실습목표안에 대한 타당성 조사는 교수, 학생, 수간호사,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Fehring Validation Model(1987)을 수정, 적용하여 중요성 정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1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0.8점 이상을 타당한 것으로 보고 모든 집단(교수, 수간호사, 일반간호사, 학생)에서 0.8점 이상 받은 39개를 공통간호학실습목표로 선정하였다. 설정된 39개의 간호학 실습목표를 핵심간호능력별로 보았을 때 자료수집능력에 '간호력 수집', '신체검진', '관찰 및 감시', '조사 4개', 기본 간호수행 능력에 '생리적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안전과 안정의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사랑과 소속감의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자존의 욕구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자아 실현 욕구의 유지·충족을 위한 간호', '투약', '검사 및 수술 간호', '상처간호', '임종간호' 9개, 의사소통능력에 '이해 및 전달', '기록', '보고', '자료활용/ 전산활용' 4개, 비판적 사고 능력에 '우선순위결정', '지식 및 이론 적용', '간호과정적용능력' 3개, 교육능력에 '교육', '정보제공', '상담', '교육자료 개발' 4개, 지도력에 '지도력', '협동', '관계형성', '옹호' 4개, 관리능력에 '조직이해 및 평가', '환경관리 및 안전관리', '감염관리', '물품관리', '자원 활용', '입·퇴원 관리' 6개, 전문직으로서의 법적 윤리적 실무 수행능력에 '법적 실무', '윤리적 실무' 2개, 전문직발전 태도 및 실천 능력에 '질 관리', '전문직 역할', '연구' 3개 였다. 이와 같은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공통적인 간호학실습교육목표는 간호학 실습 교육과정 전체에 걸쳐 해당 능력이 확대되고, 심화될 수 있도록 계속성, 연계성, 통합성 있게 효과적으로 조직함으로서 학생의 능력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각 대학 수준에서의 간호학실습교육과정 개발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간호사로서 갖추어야할 핵심간호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통합하여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 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veloped to set up Objectives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by us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which requires to promote the nursing school graduates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set up the Nursing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staff nurse. 2. To set up Objectives for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The goal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guidelines is to be achieved ultimately through the clinical practice. It is the common avenue of work and basic objective regardless of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The Nursing Core Competency was establish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verified by 15 experts. Nursing Clinical Education Objectives are establish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nd the validity of the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has been completed. The result concluded that 257 nursing professors, and 503 head nurses and 509 staff nurses who have less than 3 years clinical experience in 34 acute hospitals and 738 senior student nurses from 81 nursing school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1. Set up the Nursing Core Competency. 9 out of 11 abilities excluding nursing intervention were data collection, basic nursing care,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teaching, leadership, nursing management, developing of professionalism and implementation, legal and ethical practice. 2. Set up the objectives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First, 44 out of 873 objectives were set up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Nursing clinical practice and 44 out of 2460 objectives were set up based on the Nursing Learning Objectives(2000). Secondly, each 44 objectives were classified by the Nursing Core Competency and compared to the job standard for the new staff nurse. 46 objectives were identified and 4 professors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Finally, 43 objectives were set up. 3. Fehring Validation Model(1987) was revised and applied for the content validity. Five scales were used to test for validation. The scale ranged from 0.2 as rarely important to 1 as very important. Every scale had an increment 0.2. Anything above 0.8 were considered as appropriate. Thus, 39 objectives were chosen as the Nursing clinical core competency. 1) Data collection abilities were 4 objectives such as nursing history taking, physical exam, observation and monitoring, investigation. 2) Basic nursing care abilities were 9 objectives which were maintenance of physiological needs, care for physical needs, maintenance of safety and security needs, care for love and belongingness, care for self esteem needs, care for self actualization needs, medication, care for procedure and operation, wound care and hospice care. 3) Communication abilities were 4 objective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documentation, report, utilization of data/computer. 4) Critical thinking abilities were 3 objectives which were prioritizing, knowledge based practic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5) Teaching abilities were 4 objectives such as education, providing information, counseling, designing teaching materials. 6) Leadership abilities were leadership, cooperation, relationship. Client advocacy. 7) Management abilities were 6 objectives which wer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fection control, material management,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management of admission and discharge services. 8) Legal and ethical practice implementation abilities were 2 objectives such as legal practice and ethical practice. 9)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ism were 3 objectives such as quality improvement, professionalism and research. The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will be very helpful to develop student nurses competency by effectively organizing expanding and deepening their abilities and also, will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Clinical Education in nursing college.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by applying the knowledge to the nursing practice to achieve the Nursing Core Competency as a professional nurse.

      • 계획된 기본간호학실습 자율실습 프로토콜 개발

        이지선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s a prerequisite course where a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 first learns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at are basic but essential in nursing practice. In nursing schools, self-directed study program is conducted to provide sufficient time and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o practice fundamental nursing skills while supplementing insufficient instructors and practice hours. However, attendance to the self-directed practice is not high and most of the students are passive in attending the practice, making it difficult to acquire ful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promot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various interventions have been attempted, but there has not yet been a study that has designed and structured a self-directed practice learning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In this study, a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has been developed to promote learning while maintaining autonomy as a nursing student, and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for preliminary assessment of possible implementation and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acknowledges self-directed practice as a type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has selecte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at allows repetitive experience and contemplation of fundamental nursing skill,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otocol. Methodological research design has been implemented to develop a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and a single group pre-post design has been used to verify effectiveness after its implementation. 12 sophomore nursing students were included as subjec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18.0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 and satisfaction in self-directed practice were calculated of numeral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 in knowledge,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the subjects after the practice was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outcome of current study comprises of the following: development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rotocol.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a survey of needs was given to 93 sophomore,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in September, 2020, and based on analysis of its result, a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plan was designed by conceptually conjoining each stage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with self-directed practice. The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of its content after 1 st and 2 nd professional validity assessment, and a 4-stage planned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stage of concrete experience, the student repeats fundamental nursing skill and records his/her performance into a video and watches the video to reflect oneself in 2 nd stage of reflective observation. In abstract conceptualization, one writes own feedback for his/her performance, and in the last stage of active experimentation, the student practices repetitively while improving his/her performance based on own self-reflection and feedback. To verify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Sept. 28th, 2020 to Oct. 21. 2020 to undergo the protocol. After preliminary inquiry, the students were given 4 sessions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that lasted 50 to 70 minutes per each session, and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was evaluated using assessment tool devised by current author, and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was analyzed with practice checklist by S university. Satisfaction of self-directed practice was only measured in follow-up survey using learning satisfaction test tool. After implementing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knowledge of the subjects (Z=-2.831, p=.0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urtherm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4 sessions implemented with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Satisfaction of self-directed practice was also high (4.83/5). Current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to a protocol based on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eliminary assessment showed that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which may improve knowledge,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directed practice satisfaction in a nursing student. As epidemic of COVID-19 allowed only a few intervention for the single group, a full-scale evaluation with more intervention sessions is propose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by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기본간호학실습은 간호대학생이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실무 능력인 기본간호술을 처음으로 학습하는 필수 교과목이다. 간호교육기관에서는 교수요원의 부족, 적은 실습 시수 등을 보완하고 간호대학생에게 기본간호술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제공하고자 자율실습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자율실습 참여도가 높지 않으며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동적 태도로 실습에 임하여 실습 교육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자율실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그동안 다양한 중재가 시도되었으나 자율실습의 학습방법을 하나의 이론적 기틀에 따라 설계하고 구조화하여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자율성을 유지하며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본간호학실습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예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율실습을 하나의 경험학습으로 인식하고, 기본간호술 수행에 대한 반복적 경험과 성찰이 가능한 Kolb의 경험학습이론 모형을 프로토콜의 이론적 기틀로 선정하였으며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 설계와 프로토콜 적용 후 효과 검증을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자는 2학년 간호대학생 1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율실습만족도는 실수와 백분 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지식,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 수행자신감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는 비모수 검정방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율실습 프로토콜의 개발과 효과 검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율실습 프로토콜 개발을 위하여 먼저 2020년 9월에 2, 3, 4학년 간호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하였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olb의 경험학 습이론 모형의 각 단계와 자율실습을 개념적으로 연결하여 자율실습 프로토콜 구성안을 작성하였다. 구성안은 1, 2차 전문가 타당도 평가를 통해 내용을 수정·보 완하여 4단계의 계획된 기본간호학실습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확정하였다. 먼저 구체적 경험의 단계에서 기본간호술을 반복 연습하며 자신의 수행을 동영상으로 남긴다. 반성적 관찰 단계에서 동영상을 관찰하며 자아성찰하고 추상적 개념화 단계 에서 자신에 수행에 대하여 자가 피드백을 적는다. 마지막으로 능동적 실행의 단계에서는 자아성찰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수행을 개선하여 반복 연습한다. 자율실습 프로토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2020년 9월 2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사전 조사 후 1회당 최소 50분 최대 70분 소요된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4회 적용한 뒤 사후 조사를 진행 하였다.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는 S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실습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율실습만족도는 학습만족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 조사에서만 측정하였다. 자율실습 프로토콜의 적용 후 연구대상자의 지식(Z=-2.831,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적용한 4개의 실습 주제에서 모두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와 수행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율실습 만족도(4.83점/5점)는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율실습 학습방법을 이론적 기틀에 따라 체계적인 프로토콜로 구축 하였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예비평가를 통하여 자율실습 프로토콜이 간호대 학생의 지식,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 수행자신감, 자율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있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유행으로 단일군에게 적은 횟수의 중재를 적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추후 중재 횟수를 늘리고 대조군과의 비교로 효과를 평가하는 본 평가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