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지현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사회에 있어서 새로운 정보가 끊임없이 발생하면서 정보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간호 및 건강분야에서도 소비자인 환자의 요구사항 및 간호사와 병원을 둘러싼 환경변화로 인해 간호정보시스템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정보시스템에 대한 간호사의 견해와 각 병원의 전산화 실태를 파악하여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업무적, 조직적, 도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특성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를 위한 간호정보관리에 대한 교육의 기초 자료제공과 향후 간호정보시스템 구축시 고려되어야 할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의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고, 제2장에서는 병원정보시스템과 간호정보시스템, 그리고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내 소재하고 있으면서 병원업무전산화를 실시하고 있는 4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병원정보 및 간호정보와 관련된 문헌을 참고로 하여 응답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7개 문항 간호업무전산화 실태 파악을 위해 7개 문항, 그리고 업무적인 측면에 대해 5개 문항, 조직적인 측면에 대해 7개 문항, 도덕적인 측면에 대해 4개 문항으로 구성된 총 30 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얻은 자료를 SPSS를 이용하여 항목별로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산화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간호, 처치, 투약부분이 53.8%으로 가장 많았다. 2. 간호업무전산화 구축 시 최우선 동기로는 76.6%가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제일 많이 응답하였다. 3. 간호업무전산화의 문제점 및 애로 사항으로는 시스템 중지 시 업무지연이 73.2%로 차지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4. 간호업무전산화가 간호업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으로는 간접간호업무시간의 단축 및 업무표준화를 통해 직접간호의 시간을 증가시켜 간호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5. 간호업무전산화는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직 내 권한을 재분배하고 간호사의 근무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간호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6. 간호업무전산화는 도덕적인 면에 서로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컴퓨터의 사용이 환자간호를 비인간화시키고 있지는 않으며 간호사 및 환자의 사생활 침해도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장에서는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과 향후 간호정보시스템 구축시 고려해야할 사항과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산운영체제 도입시 간호사를 초기 구축 단계부터 참여시켜 간호업무 전산화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개선점을 제안하게 하여 사용자 위주의 전산시스템 구축이 되도록 한다. 둘째, 간호정보시스템 구축시 사용자 위주의 시스템확보에 역점을 두고 전산화시스템의 운영 중단 및 고장에 대비한 업무의 표준화 기준안을 만들어 시스템의 중단에 따른 업무 지연을 방지하도록 한다 셋째, 간호사 및 환자의 정보가 유출되어 사생활의 침해나 개인의 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정보활용 및 접근시 권한을 명백히 하고 통제할 수 있는 관련기구나 감사위원회 등을 설치 운영한다. As a modern society becomes complex and diversifi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more important. This is true of nurse and health. A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to be efficient and effective needs of patients for a high-quality nursing increa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e from the standpoints of service, organization and morals of nursing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nurses on nursing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e basic data for education of nurs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data for setting up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an introduction of this study, the purpose, Metho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es are investigated theoretically in 2nd chapter. The 3rd chapter is designed to explain the method of this research. Four general hospitals with the computerized services near Seoul are selected for surveying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30 question: 7 question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7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mputerization for nursing services, 5 questions to analyze the effects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ing efficiency, 7 questions to examine its effect on nursing organization and 4 questions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morals of nurses. In 4th chapter, the empirical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echnics by using SP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highest computerized works are nursing, treatment and prescription. 2. The most important motive for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the nursing efficiency. 3. The greatest problem caused by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found in service delay. 4. The positiv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ing are to reduce indirect-nursing times and to standardize nursing tasks, thereby improving its quality. 5. Its positive effects of nursing organization are to improve productivity, to redistribute organizational powers to different hierarchical levels, and to satisfy nurses. 6. Its negative effects on morals of nurses are not great. The patients are not cared mechanically and privacy of patients and nurses is protested. The 5th chapter is focused on suggesting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 for effective and efficient nursing information system: Firstly, nurses should participate actively in setting up nursing information system from the beginning nurses must be motivated for successful nursing information system and be induced to suggest diverse alternative. Secondly, nursing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for users by standardizing nursing tasks, work standardization to prevent service delay should be prepared for computer system down. Thirdly, auditor and inspection committee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prevent from infringing on privacy of patients and nurses.

      • 간호정보시스템이 처방전달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을 중심으로

        김윤이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study is building of basic data that optimum of investment, development costs in middle size hospital which should to develop step by step regarding to business environment and manpower instead of package purchasing HIS through to identify the NIS factors affecting OCS operation when added NIS to HIS. The surveys were sent to 280 nurses in two general hospitals which one hospital using the OCS with same NIS and the other using OCS without NIS in Pusan city from 1, May to 15. May, 2006. This survey is consist of sociology of population, computer experience, necessity of hospital computerization, affecting medical practices with OCS, OCS advantage, information literacy, satisfaction. The response rate was93.9%. This study used 254 surveys excluded invalid 9 surveys. In this study, there was difference of perception for Hospital computerization between position and hospital career and was no difference of perception for Hospital computerization between depts. In satisfaction of OCS, there was more difference dependent on department than computer experience, hospital career. The both groups said more "Need" that Perception for hospital computerization with or without Nursing Information system. In affecting to Medical practices with function of OCS, The group without NIS said negative response like "very no need" and "invalidity" and the group with NIS said positive response like "validity "and "very validity" In convenient of OCS with and without NIS, the group said negative response like "very inconvenient", "inconvenient" and the other group with NIS said positive response like "convenient","very convenient" contrastively. In information literacy with and without NIS, the group with NIS has revealed that used more than other group. In satisfaction with OCS, the group with NIS was more satisfied than the group without NIS and declared against original state prior to the OCS installation.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NIS was more satisfied and suitable of OC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So, the middle size hospital ought to calculate the cost each sub system when all subsystem is introduce step by step. The user of OCS and hospital manager can get benefit after analysi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sub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적 측면이나 인적 자원의 측면에서 통합형 병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보다는 단계적 형태의 병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야만 하는 중소병원에 간호정보시스템이 추가로 구성 되었을 때 처방전달시스템의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병원정보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하여야만 하는 중소병원에 투자, 개발 비용의 적절성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2006년 4월 현재 동일한 처방전달시스템에 간호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 중인 병원과 간호정보시스템의 추가 구성없이 처방전달시스템만을 사용 중인 부산광역시 소재의 종합병원 두 곳의 간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IS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컴퓨터 이용, 병원전산화의 필요성 및 처방전달시스템이 진료업무에 미치는 영향, 처방전달시스템의 편리성 및 정보 활용도, 만족도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280부를 배부하여 263부를 회수하여 회수율 93.9%를 보였으며, 응답이 미흡한 9부를 제외한 254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병원 전산화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직위나 병원근무 경력에 따른 병원업무 전산화에 대한 인식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부서에 따른 전산화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처방전달시스템 만족도를 살펴보면 처방전달시스템 사용에서는 컴퓨터 사용 경험이나 병원근무 경력보다는 근무부서에 따른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간호정보시스템 사용 유무에 따른 병원전산화의 인식도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과 사용하는 집단 모두 필요하다 이상의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처방전달시스템의 기능이 진료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전혀 불필요하다 또는 효과 없다의 부정적 응답이,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유효하다, 매우 유효하다의 긍정적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간호정보시스템 사용 유무에 따른 처방전달시스템의 편리성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매우 불편하다 조금 불편하다의 부정적 응답이 높게 나타난 반면,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편리하다 매우 편리하다의 긍정적인 답변이 높게 나타나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고, 간호정보시스템 사용 유무에 따른 정보 활용도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을사용하는 집단이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처방전달시스템의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나타났으며, 현재 병원처방전달시스템의 만족도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집단이 처방전달시스템의 만족도가 높을 뿐 아니라, 처방전달시스템 이전 상태로의 전환에서도 반대의 의견이 더 높아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집단이 간호정보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처방전달시스템의 적응도 및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소병원에서 병원정보시스템의 하부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때 각 시스템 도입에 드는 비용을 먼저 조사하고, 각 하부 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만족도 및 활용도를 비교 분석하여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처방전달시스템의 사용자 뿐 만 아니라 병원경영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 간호정보시스템의 시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오송자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간호정보시스템의 평가기준 주특성 6가지 항목인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안전성, 효율성, 접근성에 대한 품질평가방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간호정보시스템의 품질평가 기준과 항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소프트웨어 베타버전을 직접평가하였고, 간호정보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험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HL7 RIM 기반 간호 정보 시스템의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박정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의료분야의 데이터 전송 표준인 HL7(Health Level 7) 버전 3에서 제시된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이 국내 간호 정보 요구를 포괄하여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객체지향 방법론인 HL7의 MDF(Message Development Framework)를 적용하여 간호정보시스템의 DIM(Domain Information Model)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간호정보시스템은 간호사가 간호서비스와 의료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 이용, 저장, 검색,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간호 실무를 관리하고, 간호지식을 발전시키도록 하는 컴퓨터 시스템 (Manning & McConnell, 1997)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병원 환경 내에서 행해지는 간호활동들을 지원하기 위한 간호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요구분석단계에서는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ICNP: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의 간호 활동 축을 분석하여 주로 병원 환경 내에서 간호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적 요구사항들을 추출하였다. 국제간호실무 분류체계(ICNP)의 간호활동 분류 활동 축(A 축)의 170개 개념들에 대해 개념 트리의 하위 수준에서 상위수준으로 검토하여 전산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서술 할 수 있는 추상성 수준의 60개 개념을 선정하고, 60개의 개념 트리에 대한 정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서술하였다. 이를 다시 핵심 흐름에 집중하여 6개의 상위 군으로 범주화하였다. 2.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ICNP)의 간호활동 개념으로부터 추출된 요구사항에 대해 기존 병원정보시스템에서의 경험과 간호정보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관찰(observation)’, ‘해석(interpretation)’, ‘간호사 배치(staffing)’, ‘수행(implementation)’, ‘투약(substance administration)’, ‘동의(consent)’의 6개 범주의 문제 영역에 대한 유즈케이스 모델(use case model)을 작성하였다. 3. 간호정보시스템의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의 핵심구성요소(key abstraction)를 추출하고, 클래스들에 대한 일반화 과정을 통해 RIM이 국내 간호정보시스템의 요구를 포괄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간호정보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는 간호사(nurse), 환자(patient), 관찰(observation), 해석(interpretation), 기기 장치(device), 수행(implementation), 용어체계(terminology), 템플릿(template), 메신저(messenger), 기존 처방전달 시스템(legacy OCS), 전자환자기록(electronic patient record)이다. HL7 RIM의 임상 활동을 설명하고 있는 ‘Clinical_Act’ 패키지의 클래스들을 핵심 구성요소들과 비교하여 볼 때, 영양, 급식관리 시스템, 원무 행정 시스템과 같이 타 시스템과 연동되는 부분과 이송(transportation)과 같이 타 직종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능을 설명하는 클래스들을 제외하고는 본 연구자가 추출한 핵심 구성요소들은 RIM의 클래스들과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4. HL7 RIM이 본 연구에서 추출된 요구사항을 포괄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의 최종 산물인 간호정보시스템의 DIM(Domain Information Model)도 내용 부분까지 RIM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게 작성되었다. 의료정보 공유나 웹 기반의 시스템 등을 전제로 할 때 국내에서도 HL7(Health Level 7) 버전 3의 적용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L7의 RIM이 국내 간호정보 요구를 수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실제 적용하여 본 사례로서 차세대 병원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병원이나 의료정보 개발업체들이 HL7 버전 3을 적용하는데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호정보 시스템의 객체지향 정보모델은 자유롭게 참조하고 응용하여 실 구현 단계에까지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의료분야와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요구사항이 발생되는 정보 시스템의 사용자 요구분석에 있어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ICNP)와 같은 도메인 용어체계에 기반 한 시스템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는 용어체계의 새로운 활용 분야를 제시한 것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o develop DIM(domain information model)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to which MDF(Message Development Framework) of HL7(Health Level 7:standard of data transportation in medical area) is applied, It was investigated that if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 presented at 3rd version of HL7 could covers domestic needs for nursing information.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system fulfilling functional demands for supporting various nursing activities done in our hospital environmen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below. 1) At the step of user requirement analysis, functional demands for nursing activities mainly in hospital environments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 axis of nursing activities of ICNP(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2) The use case model for the problem areas of 6 categories: observation, interpretation, staffing, implementation, substance administration and consent, was made on the basis of experiences of exist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of literatures on the factors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3) Key abstractions of the system were collected and generalization process was implemented to analyze if RIM covers the demands for domestic nursing information system. 4)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 belong to HL7 RIM. The items of requirement deduced in this study were included in HL7 RIM, and the final product of this study, DIM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shows strong similarity to RIM in contents. All things such as shared medical record and web-based systems considered, application of HL7 version 3 in this country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L7 RIM could take in the domestic demands of nursing information, and concrete methodology was applied in practice. It can be a good reference for the hospitals constructing new information system and for the enterprises develop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s to apply the HL7 version 3 to their works. Furthermore, object-oriented information model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can be used flexibly in developing practice. In addition, it was presented that the system analysis method based on domain terminology like ICNP can be used in the user requirement analysis of information system, in which complicated and various demands occur, like medical areas. It is also meaningful to present a new application field of domain terminology or classification.

      •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를 이용한 내.외과계 간호단위 간호정보시스템 구축

        고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resence of clearly defined knowledge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rofession with autonomy. As a profession, nursing should adduce grounds for what nurses ought to do for the sake of academic progress, what differentiates from other professions, and what sorts of nursing activities can be visualized on how much nurses make contributions to their patients… health. Nursing Information System (NIS) is a computer system collecting, using, saving, searching, and exchanging the data for the nursing services. It is necessary for NIS for the nursing process to establish its profession and to improve its quality through the systematic and yet scientific approaches in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pply and evaluate NIS using NANDA-NOC-NIC linkage (NNN linkage), which is the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in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Based on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NIS was develop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ehring's content valid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 EXCEL and SPSS 13.0. Results of each phase are as followed. 1. Construction of database In order to construct databa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2007 at the third level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 city. The data were composed of the survey from the 72 nurses with over three years experiences and the electronic nursing records of inpatients in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The database of NIS was made up of 57 NANDA, 503 nursing assessment statements, 127 NOC, 482 nursing outcome indicators, and 272 NIC including approximately 2,500 nursing activity statements frequently applied to the inpatients from the 18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2. Development & Implementation of NIS The NI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NIS…s flow diagram-Nursing assessment statement, NANDA, NOC, the 1st Nursing outcome indicators, NIC, and the 2nd Nursing outcome indicators- in order. The developed NIS was linked to the order communication system and was implemented by 202 nurses, learned the use of NIS, working at the 18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The NIS's implementation was tested from October 11th, 2007 to October 14th, 2007. After its primary implementation, problems in NIS were identified and solved. 3. Application & Evaluation of NIS The developed and revised NIS was applied from October 17th, 2007 to November 11th, 2007 in 18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It was applied to the 130 inpatients by the trained 202 nurses. Among the 57 constructed nursing diagnoses, it was 41 nursing diagnoses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 nursing diagnoses were Acute Pain (11.7%), Delayed Surgical Recovery (9.7%), Deficient Knowledge (Specified)(8.5%), Impaired Gas Exchange (6.0%), and Risk of Infection (5.1%) respectively. The 104 Nursing outcomes were identified from the 127 constructed Nursing outcomes. As for the frequency of nursing outcomes were, Pain Control (7.6%),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5.2%), Pain Level (5.0%), Infection Severity (5.0%), Respiratory Status: Ventilation (3.5%). Among the 272 constructed nursing interventions, 166 Nursing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They were prevalent in the order of Pain Management (9.7%), Fall Prevention (5.2%), Wound Care (4.9%), Bleeding Precautions (2.7%), and Fever Treatment (2.7%). In conclusion, the developed NIS for this study is linked with OCS. Both nursing outcome and nursing intervention are to draw from being clicked the appropriate nursing diagnosis, and that’s how supports nurses’ clinical decision. Thus, an application of NIS using NNN linkage can be implied nursing process correctly and systematically in clinical practice. It will be prove superiority of retrospective outcome evaluation uses nursing information to the professional nurse's activity. 자율성을 지닌 전문직의 핵심 요소 중의 하나는 명확하게 정의된 지식체의 존재 유무이다. 전문직으로서의 간호는 학문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간호사가 무엇을 행하고, 타전문직과의 다른 점이 무엇이며, 환자의 건강에 간호사가 어떤 공헌을 하는가에 대해 간호업무를 가시화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간호정보시스템은 간호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 이용, 저장, 검색 및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시스템이며, 이 중 간호과정 정보시스템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제해결과정을 통하여 간호의 전문성을 확립하고 간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간호용어인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의 연계(NNN Linkage)를 이용하여 내·외과계 간호단위에서 간호정보시스템 구축한 후 이를 토대로 간호정보시스템을 적용 및 평가하였다. 간호정보시스템 개발은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Excel과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ehring 기법을 이용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서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연구 단계별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데이터베이스 구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 수집은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G광역시에 위치한 3차 의료기관인 C대학교병원에서 내·외과계 근무경력 3년 이상의 간호사 7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내·외과계 입원환자의 전자간호기록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 간호정보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는 내·외과계 간호단위 입원환자에게 자주 사용되는 57개의 간호진단, 503개의 간호사정 진술문, 127개의 간호결과와 482개의 간호결과지표, 272개의 간호중재 및 2,500여개의 간호활동 진술문이었다. 2. 간호정보시스템 개발 및 구현 간호정보시스템은 ‘간호사정 진술문-간호진단-간호결과-1차 간호결과지표 평가-간호중재-간호활동 진술문-2차 간호결과지표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간호정보시스템을 C대학교병원의 처방전달시스템에 적용하고, 18개의 내·외과계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20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정보시스템 사용에 대한 교육 후 2007년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시범적용하였다. 시범적용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수정보완하였다. 3. 간호정보시스템 적용 및 평가 개발된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를 이용한 간호정보시스템을 18개 내·외과계 간호단위에서 2007년 10월 17일부터 11월 11일까지 적용하였으며, 202명의 간호사가 130명의 입원환자에 대해 간호정보시스템에 입력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였다. 간호정보시스템에 구축된 57개의 간호진단 중 41개의 간호진단이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간호진단은 급성통증(11.7%), 수술 후 회복지연(9.7%), 지식부족(8.5%), 가스교환장애(6.0%), 감염 위험성(5.1%) 순이었다. 간호결과는 127개 중 104개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간호결과는 통증조절(7.6%), 상처치유: 일차유합(5.2%), 통증수준(5.0%), 감염정도(5.0%), 호흡상태: 환기(3.5%)의 순이었다. 간호중재는 272개 중 166개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간호중재는 통증관리(9.4%), 낙상예방(5.2%), 상처간호(4.9%), 출혈예방(2.7%), 고열치료(2.7%)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정보시스템은 처방전달시스템과 연계되어, 간호과정 틀에 따라 간호사정 진술문을 선택하게 되면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이 도출되고, 적합한 간호진단을 선택하게 되면 간호결과와 간호중재가 자동으로 도출되어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전문가의 사고 과정에 따라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본 간호정보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임상실무에서 간호과정의 정확하고 체계적인 활용을 도우며, 나아가 전문직 간호사의 간호활동에 대한 간호정보를 이용한 후향적 성과평가의 수월성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간호업무개선을 위한 간호정보시스템 개발

        김형애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간호업무 개선을 위하여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1단계로 간호행위입력을 위한 간호정보시스템 개발 예비조사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2단계로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3단계로 개발된 간호정보 시스템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간호업무 전산화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는 C대학병원의 입원환자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도구는 연구대상 병원에서 사용하는 9개 영역 86개 간호행위를 기초로 한 간호행위 목록표와 연구자가 개발한 간호행위입력 누락조사지와 간호행위입력 누락요인 설문지, 그리고 Doll & Torkzadah(1988)이 제시한 시스템 만족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신뢰도계수 Cronbach`s .97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1.0을 사용하여 간호행위입력 누락실태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빈도 분석하였고, 유용성 평가는 편리성, 신속정확성, 접근성, 업무만족도, 효율성, 교육효과성의 정도를 산술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정보시스템 유용성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검증으로 Donnett, Turkey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행위입력 누락실태 조사지와 간호정보시스템 개발 시 세트화면 구성의 자료가 된 병동별 간호행위목록은 병동별 간호행위 목록은 중환자실 36개, 신경외과 24개, 정형외과 16개, 특실 13개 내과 25개, 일반외과 18개, 소아과 11개, 산부인과 18개로 순수한 간호행위 56개 외에도 간호사가 보조하여 처방 가능한 항목 15개가 포함된 71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2. 간호행위입력 누락실태는 처방건수 총 3,619건 중 341건의 누락으로 9.42%의 누락율을 보였고 병동별로는 산부인과(32.6%)와 신경외과(12.1%), 정형외과(11.6%), 중환자실(9.2%), 특실(8.2%), 일반외과(4.9%), 내과(1.7%), 소아과(0%)이었다. 직접간호행위가 많은 부서가 누락율도 높았고, 산부인과는 수가 인정기준이 까다로워 간호행위입력을 하고 급여인정을 받지 못한 경우였다. 3. 간호행위입력 누락요인에서는 행위 후 `간호행위 후 시간차가 길어 잊어버려서`, `의료보험 수가와 관련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해서`, `간호행위입력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해서` 등이었으며 간호행위입력 누락요인에 대한 간호사의 요구로는 세트 메뉴로 화면 구성, 컴퓨터 대수 증가, 간호행위입력기준 교육, 간호관리자의 반복 확인을 요구하였다. 4. 간호정보시스템 개발은 누락요인 분석과 그 개발요구에 요구에 따라 화면구성의 절차를 2단계로 간소화하면서 행위, 수가, 재료, 행위의 수가인정기준에 대한 `comment`등을 한 화면으로 구성하여 간호행위로 입력한 수가와 재료를 한 화면내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5. 간호정보시스템 개발 후 유용성은 간호행위입력 누락실태와 간호전보시스템 유용성 평가로 실시하였다. 누락실태는 총 간호행위 2,680건수 중 151건(5.6%)으로 개발 전 9.42%에 비해 3.78% 감소하였고 병동별로는 산부인과가 32.6%에서 6.8%, 신경외과가 12.1%에서 5.6%, 정형외과가 11.6%에서 7.3%, 중환자실이 9.2%에서 8.9%, 특실은 8.2%에서 0%, 내과는 1.7%에서 2.1%, 외과는 4.9%에서 3.0%의 감소율을 보여 간호정보시스템의 개발이 간호행위입력 누락건수를 감소시켜 간호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역별 유용성 평가는 교육효과성이 4.02( 5.4)가장 높았고, 업무만족도 (3.70 .72), 접근성(3.64 .81), 편리성(3.58 .78), 신속정확성(3.53 .85), 효율성(3.57 .72)의 순이었으며, 유용성의 전체평균 3.69( .68)이었다. 다음으로 효율성 측면 중 직접간호시간의 증가가 3.66( .70)으로 58.3%가 긍정적인 평가를 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정보시스템의 사용은 직접간호시간의 증가를 가져와 간호의 질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정보시스템 유용성의 차이 검증에서는 병동별 특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타병동과 내과계가 외과계에 비해 유용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호사들의 개발요구를 반영한 세트화면에 대한 유용성 평가는 화면구성과 조작이 쉽고 편리하여 간호업무가 효율적이어서 간호업무의 질을 변화시키며 전문직으로서의 자긍심과 간호업무가 가시화되고 간호행위의 재해석이 증진된다는 평가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간호의 고유업무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도전을 주었다고 읽혀지므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계속적인 간호업무 개선을 위한 간호사의 요구조사를 충분히 평가 반영하는 고유 간호업무 전산화 개발연구가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환자중심의 양질의 간호제공과 간호생산성 향상으로 환자 및 업무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가정방문간호사를 위한 사정중재를 포함한 모바일 간호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류창모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Today degenerative diseases patients, mental patients, crippled children increase and older people increases rapidly by ageing population and they mainly takes the nursing of the family at home in Korea. So the professional nursing of the visiting nurse is necessary for patients at home. The visiting nurse must record the coherent contents of activity which must accomplish accurate, the coherent nursing for the patient of home care. However the nursing diagnosis, arbitration that is correct by lack of knowledge, manpower shortage, heavy workload are difficult. Therefore, the arbitration according to the nursing diagnosis so that visiting nurse accomplishes more easily works as a specialized nurse is necessary. In this paper, the system helps to record the contents of activity which visiting nurse arbitrate according to the nursing diagnosis. The existing nursing information system that developed in the most application were constituted by Host and a Client cost a lot of initial investment and maintenance expense, and if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of the system often change, the revision of the system is not easy. So I impose ASP.NET of .NET Framework to reinforce the negative element that the application of exiting nursing system. In this paper, initial investment expense decreases and users do not need to install an application because the application of system access a web using internet. The manager registers a patient and manages visiting nursing service by connecting manager system using a computer on Internet. The visiting nurse connects mobile system using smartphone while they care patient by visiting nursing service. Mobile Nurs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nspection-Arbitration is which the visiting nurse care patient by good nursing service that using the system even if they does not know complicated nursing step and they effect nursing education about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Using that system will be computerized informa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 to patient and easy to manage medical supplies to consume while visiting nursing service. And that system has function of the patient satisfaction whether visiting nursing service was satisfied. In this paper, Mobile Nurs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nspection-Arbitration developed ASP.NET offer convenience to user doing home nursing business.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만성퇴행성, 정신질환자, 지체부자유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대부분 가정에서 가족의 간호를 받고 있다. 그래서 가정에서 가정방문간호사에게 전문적인 가정간호가 필요하다. 가정간호사는 대상자의 가정간호를 위해서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간호수행을 해야 하고 그 활동 내용을 일관성 있게 기록해야 한다. 그러나 지식부족, 인력부족, 업무량과다로 인해 정확한 간호진단 및 중재가 어렵다. 따라서 가정간호사가 전문간호사로서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간호진단에 필수적인 간호중재 기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가정방문간호사가 정확한 간호진단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실시하면서 활동 내용도 자동으로 기록된다. 현존하는 간호정보시스템은 대부분이 Host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어져 있어서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들고 시스템의 의료정보가 자주 바뀌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수정이 수월하지 않다. 그래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위주의 간호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단점들을 보강하기 위하여 .NET Framework의 ASP.NET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인터넷을 사용한 웹 접속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므로 초기투자 비용이 줄어들고,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관리자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관리자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를 등록하고 방문간호서비스를 관리한다. 방문간호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방문간호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모바일 시스템에 접속 할 수 있다. 사정중재를 포함한 모바일 간호관리 시스템은 방문간호사가 복잡한 간호조치를 다 숙지하지 않아도 시스템에 접속하여 대상자에게 보다 나은 간호서비스를 수행하고 간호진단과 간호중재업무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면서 간호교육의 효과도 이루어진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방문간호서비스를 제공한 모든 내역이 전산화되고 동시에 소모되는 물품정보도 저장되어 물품관리도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방문간호사의 서비스가 만족하였는지에 대해 조사하는 환자만족도 입력기능도 구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정중재를 포함한 모바일 간호관리 시스템은 가정간호사업을 하는 사업자 및 가정방문간호사들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고, 환자에게는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일조할 것이다.

      • 간호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간호용어 지원 도구 개발

        김화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용어 관리도구로서 간호용어 통합 도구(tools)의 개발함으로써 간호의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표준 용어체계의 구조와 용어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간호진단, 간호결과 및 간호중재분류체계의 연계 도구와 온톨로지 구축 도구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계 도구는 간호학생의 Likert 4점 척도 만족도 조사에서 평균 3.65(±0.22)로 높게 나왔으며, 온톨로지 구축 도구의 검증을 위해 부인과 간호단위 간호기록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간호진단의 문제들을 SNOMED CT의 개념으로 표현한 결과는 112개의 요인이 21개의 간호진단과 전조합으로 매핑된 후에 매핑 데이터는 100% 간호진단 온톨로지로 생성되었다. 검증된 2개의 도구는 통합 도구로 개발하였다. 통합도구의 검증을 위해서 총 510개 개념에 대한 데이터 생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매핑의 일치에 대한 평가는 2인의 전문가에 의한 Likert scale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문가 1은 각각 평균 3.68점, 3.60점을 제시하였고, 전문가2는 각각 3.72점, 3.65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비율로 나타낸 CVI는 0.94로서 매핑 결과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도구의 활용은 간호지식체를 구축할 수 있는 OWL 형식을 지원하며 의미적 활용이 가능한 표준 용어체계 기반의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므로 간호지식의 확보, 의사결정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 terminology for developing integrated nursing management tools. We developed both a tool for linking nursing diagnosis, nursing outcomes, and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and an ontology construction tool. Nursing students gave the linking tool an average score of 3.65 (±0.22) for satisfaction on a four-point Likert scale. To verify the ontology construction tool, nursing records were extracted from a gynecology unit. The extracted nursing diagnoses were expressed using the concept SNOMED, which mapped 83 factors in 112 nursing statements through 21 nursing diagnoses. A pre-coordinated mapping method mapped 100% of the data generated from nursing diagnosis ontologies. The two tools were combined to develop an integrated tool. In order to test the integrated tool, the study conducted the test of 510 created data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the coincidence of mapping, the study employed 4-point Likert scale which had been used by two specialists. The specialist 1 proposed as average scores 3.68 points and 3.60 points respectively, whereas the specialist 2 proposed as average scores 3.72 points and 3.65 points each. CVI which had showed them as percentile, appeared to agree to the mapping result while recording the high score of 0.94. The tool used the OWL format, which can be used to configure the nursing knowledge system. The tool was developed so that it could support a standardized terminology-based nursing information system, enabling meaningful ut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decision-support systems using nursing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