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족의 모-자녀 상호작용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자아지각을 중심으로

        진효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Effect of Group Theraplay Program of Promoting Mother and Child Interac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Forcusing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perception- jin, hyo jye Dept. of Family Welfar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present the method for effective intervention with mother and child of single-parent families in order to help promot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ensure reduction i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positive self-perception. For that, 12 pairs of mother and child in single-parent families were researched who showed difficulty in mother and child relationship in single-parent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at 4 districts of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ivided into 6 pairs each.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group counseling room of single-parent family support center with a total of 10 sessions for the duration of 10 weeks with each weekly session lasting 60 to 70 minute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ann-Whitney U test,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f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perception,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earch methodology of Colaizzi(197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mitigated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test, unlike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brought a positive change to the peer acceptance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peer acceptance, one of the sub-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percep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 of self-perception among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unlike the control group. Third,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in the acceptance of mothers by th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test that investigated the acceptance of mothers, one of the sub-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perception, unlike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cognitive ability and physical ability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test of the cognitive ability and physical ability, one of the sub-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perception. Fifth,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increased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mother and child in single-parent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ncrease in eye contact and soft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with positive perception towards each other, as the counseling made progressed, suggesting that the communication developed in a desirable way. Sixth, the mother and child in single-parent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experience with personal internal change and relational change and encountered some negative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mother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8 themes and 35 sub-themes, along with 3 categories such as personal internal change, relational change, and some negative experience,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 therapeutic elements associated with such changes in interaction included the realization of new aspects related to mother or children and attention to such aspects, feeling of pleasure from playing together, adoption of positive perspective, spontaneous intention, relief of stress through the play, confidence in the play, self-encouragement based on the observation of other families, etc.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validated the positive effect on mother and child in single-parent families when both participated in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dia called 'theraplay' in the implementation of family counseling for families with offspring in child period, and furthermore, substantiated that healthy and desirabl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theraplay group was promoted by the theraplay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woul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using the theraplay for family counseling. Key words: mother and child interaction, single-parent families, child, Theraplay, Parenting Stress, Children's Self-perception, Program, Effect 국 문 요 약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족의 모-자녀 상호작용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자아지각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모-자녀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및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지각 향상을 목표로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한부모가족 모-자녀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4개구 소재의 한부모가족지원센터에서 모-자녀 관계에 어려움을 보이는 한부모가족 모-자녀 12쌍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 6쌍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한부모가족지원센터 내의 집단상담실에서 주 1회 60~70분씩 10주에 걸쳐 총 10회기의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으로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여부는 비모수 통계인 만-휘트니 U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지각의 사전-사후 검사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통계인 Wilcoxon의 짝을 이룬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질적 분석으로는 Colaizzi(1978)의 연구방법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비교집단과는 달리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족 유아의 또래수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 유아의 자아지각 하위요인 중 또래수용은 비교집단과 다르게 실험집단에 참여한 유아의 자아지각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족 유아의 어머니수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유아는 유아의 자아지각 하위요인 중 어머니수용에 있어 사전‧사후 검사에서 비교집단과는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족 유아의 인지능력과 신체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유아의 자아지각 하위요인 중 인지능력과 신체능력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족 모-자녀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에 참여한 한부모가족 모-자녀는 상담이 진행되면서 서로에게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눈 맞춤과 부드러운 신체접촉이 증가하였으며 의사소통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증진되었다. 여섯째,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부모가족 모-자녀는 '개인 내적인 변화', '관계적인 변화' 그리고 '일부 부정적인 경험' 을 경험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자녀의 경험은 질적 분석을 통해 '개인 내적인 변화', '관계적인 변화' 그리고 '일부 부정적인 경험'이라는 3개의 범주와 함께 8개의 주제와 35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 변화의 치료적 요인으로는 '어머니 또는 자너에 대한 새로운 부분을 알게 되었고 관심이 생김', '함께 놀이하는 즐거움을 느낌',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됨', '자발적 의지', '놀이를 통하여 스트레스가 풀림', '놀이에 대한 자신감이 생김', '다른 가족을 보면서 힘을 얻음'이 있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가족구성원인 모-자녀를 모두 참여시키는 것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에게 가족상담을 실시함에 있어 치료놀이라는 매체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 치료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모-자녀의 건강하고 바람직한 상호작용 증진을 촉진시켰다는 점, 가족상담에서 치료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치매노인가족의 주간보호 서비스에 대한 욕구 조사 : s병원 치매 클리닉을 중심으로

        김경아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advancements in medicine, the average life span has increased and along with this the number of aged population who is dependent and suffering from senile diseases have also increased. In a country whose social service system does not fully support the aged, as in out country, the caregiving responsibility falls on the family. However, care giving by family members is declining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re are nuclear oriented families, increase in working woman, decline of filial obligations and increasingly many broken home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social system to support the family's role in care giving. Social services for the aged includes: home helper service, day care service, short-term service (respite care service), the senior citizen's hospitals, and nursing homes (asylums for the aged). Among these, the day care service seems to be ideal for senior citizens suffering from dementia in our community. While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families caring for the aged felt a strong need for a day care service; a study performed by the Korean Welfare Society Research group in 1998, reported that low percentage of population was aware of the day care services and no one had utilized the servi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eed for a day care service in families with aged suffering from dementia and to analyze the degree of the dementia, ADL(Activity of Daily Living) ability, social interest, and human relationship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day care center for dementia patients. For one month from April 1 to April 30, senior citizen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who visited S hospital in Seoul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mentia, the patient's chart was examined for K-MMSE, CDR, and Barthel Index values. Out of 129 survey collected, 100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29 were omitted for incomplete answer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72.07 ± 7.46 (female: 61%, male 39%). The mean value of K-MMSE, and Barthel Index were 18.08 ±6.93 ± and 18.83 ± 2.58, respectively. Many in fifty-four percent range of CDR 0.5-1 had mild dementia. The patients consisted of 53% Alzheimer's disease, 32% vascular dementia, and 15% dementia of other origin. Social interest was very low and they were least interested in famous personnel affairs (entertainer's affairs), followed by occupational activities, political affairs, economical affairs, participation in public gatherings, and religious activities. In observing dementia patients relation to others, their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and family members not living together was the bes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was the worst. The mean age of the family members accompanying the patient was 53.95 ± 13.49 (female: 57%, male 43%). The relationship to the patient was spouses (36%), sons (28%), daughter-in-laws (18%), and others (3%). Among the 15% of patients who experienced day care services, 9% were still using the day care services and 6% discontinued. Fifty-eight percent of the patients replied that they would like to use the services and forty percent replied that they would not. However, many people (78%)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ay care services while only 19% felt there was no need for such services. The factors to consider before using the day care services for dementia patients are the degree of dementia, ability to carry out daily activities, social interest, relationship with others, age, and gender. The progra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choosing a day care service center followed by the location, quality of facility, transportation (shuttle bus), cost, and staff. Areas of improvement in the day care services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xpansion of day care services, continuous advertisement, and easy accessibility are needed. 2) Balanced medical and soci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maintain the remaining abilities and prevent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3) Develop programs t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based on the individual needs and conditions.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생활수준 향상과 보건·의료 기술의 발달로 국민의 평균 수명 연장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만성 질환을 가진 의존성 노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 제도가 미약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부양책임의 대부분이 가족의 몫으로 남겨지게 된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소가족화(핵가족화), 여성의 취업, ‘효’ 사상의 쇠퇴, 가족 해체 등으로 가족 부양 체제가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부양책임이 있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 서비스를 마련하여 가족의 부양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서 노인 부양에 적절히 대응해 갈 수 있도록 사회적인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치매 노인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로 가정 봉사원제도, 주간보호사업, 단기 보호 사업, 노인 전문 병원, 요양 시설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주간 보호 서비스는 지역사회 내에서 거주하는 보통 수준의 치매 노인에게는 대단히 유용한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가족들이 주간보호에 대한 욕구가 높다고 보고하고 있는 반면, 1998년에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실태 조사에 의하면 주간보호 센터에 대한 인지율이 낮고, 이용 경험자도 전혀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치매 주간보호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조사해 보고, 치매 노인의 치매 상태, 일상생활 능력, 사회적 관심도, 대인 관계를 파악해 봄으로써 치매 주간보호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소재 3차 병원인 S 병원의 치매 클리닉을 방문하는 치매 노인과 가족으로서 2000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고, 환자의 치매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차트 리뷰를 통하여 환자의 K-MMSE, CDR, Barthel Index 점수를 조사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총 129부였고, 이 중에서 응답이 미비된 자료 29부를 제외한 100부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치매 노인의 평균 연령은 72.07±7.43세이고, 여성이 61%, 남성이 39%였다. K-MMSE 점수는 18.08±6.93, Barthel Index 18.83±2.58점이었고, CDR 0.5~1인 비율이 54%로서 경중인 치매 노인의 수가 많았다. 치매 유형을 보면, 알츠하이머 치매 53%, 혈관성 치매 32%, 기타 치매가 15%였다. 사회적 관심도는 낮았는데, 사회적 관심도와 참여 정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유명 인사 동정이었고, 그 다음으로 직업 활동, 정치 활동, 경제 활동, 단체·모임 참석, 종교 활동 순이었다. 치매 노인의 대인 관계를 보면 가족 관계 내에서 손자녀 또는 같이 살고 있지 않은 가족과의 관계가 가장 좋고, 배우자와의 관계가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노인과 함께 병원을 방문한 가족의 평균 연령은 53.95±13.49세로, 여성이 57%, 남성이 43%였고 노인과의 관계를 보면 배우자 36%, 아들 28%, 며느리 18%, 딸 15%, 기타 3%의 순이었다. 주간 보호 서비스의 이용 경험이 있는 노인과 가족은 100명의 응답자 중 15%였으며, 현재 주간보호 서비스를 이용 중인 노인이 9%, 과거에 이용하였으나 지금은 이용하고 있지 않은 노인이 6%였다. 주간 보호 서비스 이용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8%, 이용 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40%였는데, 주간보호 서비스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필요하다’ 78%, ‘필요하지 않다’ 19%로 주간보호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다. 주간 보호 서비스 이용을 결정함에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는 치매 노인의 치매 정도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일상생활능력, 사회적 관심도, 대인 관계, 연령, 성별의 순이었다. 주간보호센터 선정 시의 고려할 사항으로는 주간보호센터의 프로그램의 내용, 주간보호센터의 위치, 주간 보호센터의 시설 수준, 셔틀 버스 운행, 주간 보호 센터 이용비용, 주간보호센터의 인력 순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치매 노인과 가족을 위한 주간보호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 노인과 가족을 위한 주간 보호 서비스 제공의 확대와 사회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홍보 작없이 필요하며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치매 증상의 진행을 최대한 억제하여 치매 노인의 잔존 기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 서비스와 사회 복지 서비스의 균형 있는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치매 노인의 상태,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치매 노인의 개별적인 상태에 따른 전문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 무의식 환자 가족의 부담감, 우울 및 적응에 대한 연구

        이영옥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산업화, 과학화, 의료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질환의 형태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무의식환자와 같이 일생동안 의존적 생활을 해야하는 환자가 병원 또는 가정에서 가족의 돌봄을 받고 있다. 무의식환자 가족은 돌보는 과정에서 가족에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부분을 이루어 왔던 일상적인 틀이 해체됨과 더불어 부담감, 우울, 적응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됨으로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가족구성원은 보다 효율적인 지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입원중이거나 또는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무의식환자의 가족이 경험하는 부담감, 우울 및 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전인간호의 기반이 되는 가족간호중재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1개 3차 의료기관에서 입원중인 무의식환자와 2개 가정간호사업병원에 등록되어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무의식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0년 3월 27일부터 4월 25일까지이었으며 수집된 60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부담감, 우울, 적응의 정도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일반적 특성과 변수들과의 관계는 One-way ANOVA를, 변수들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를, 자료분석은 SPSS WI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의식 환자 가족의 부담감은 높았으며 배우자가 가장 부담감이 높았고 객관적 부담감이 주관적 부담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의식환자 가족의 우울정도는 가족의 연령이 51~60세에서, 월수입이 고소득인 경우, 자녀수가 많을수록, 환자를 돌본 기간이 1년 이하인 경우 높았으며 부담감이 높을수록 우울도 높음을 나타내었다. 3) 무의식 환자 가족의 적응은 환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미혼자녀수가 많을수록, 진료비 부담형태는 의료보호, 자동차보험, 산재 순으로 낮았으며 부담감과 적응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부담감이 높아지면 적응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우울과 적응과의 관계는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여서 우울이 커질수록 적응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무의식 환자의 가족은 환자를 돌봄에 있어서 다양한 부담감과 우울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부담감과 우울로 인해 안녕된 삶을 살지 못함을 알 수 있으나 입원보다는 가정, 저학력보다는 고학력, 비종교 집단보다 종교집단, 미혼보다는 기혼, 무직보다는 직업인, 수입이 높을수록, 배우자 보다 기타가족이 적응정도가 높으므로 앞으로 사회적지지, 가족의 사기, 환자에 대한 가족의 인지도 및 가족 자신의 건강상태 그리고 가족들의 관계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담과 우울 정도를 낮추고 적응을 높일 수 있는 가족 간호중재 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have been such changes in the type of diseas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and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is being taken care of at home or in the hospital because he or she needs to rely on their own family. The family who has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has experienced some burdens, depression and difficulties in adaptability, when it should take care of its patient, by being broken up a family framework which has been a crucial part in correlation with family members. Therefore the family members who are faced with these difficulties need more effective supports for themsel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extent of burdens, depression and adaptability that the family with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has experienced, and to examine correlation with them. In result, it might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n arbitration program of family nursing which is based on the all-around nursing. This study targeted for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in the third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and the family with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who is being taken care of by home nursing, which is registered as an institution of nursing hom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7, 2000 to April 25, 2000. And 60 copies of data collected were used for analy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actors like the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targeted person'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is burdens, depression and the extent of adaptability.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to analyze a relation with variables, Cronbach's alpha to verify reliability of a tool, and SPSS WIN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amily with the unconscious patient has the heavy burden, and especially his or her spouse feel the heaviest burden. The burden felt objectively is heavier than the burden felt subjectively. 2) The extent of depression felt by the family with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is high at the age of 51∼60 of the family member and with high income a month on the average. The more children it has and the heavier burden it has, the profounder depression it was attacked by. It showed that the family is attacked by the profound depression when it takes care of a patient for less than a year. 3) The younger a patient and the more unmarried children the family with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have, the lower adaptability it has. The medical treatment cost which the family needs to be charged becomes lower in order of health insurance, car insurance and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between burden and adaptability, and the heavier burden it has, the lower adaptability it has. 4) Statistically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appears between depression and adaptability, too. Therefore it shows the profounder the family is attacked by, the lower adaptability it has. In result of this study as the above, the family with a patient in an unconscious state has experienced various burdens and depression by taking care of the patient. Moreover it doesn't live in corfort and peace at all because of the burden and depr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family has high extent of adaptability, the higher income it has, the more academic career it has, with religion than without religion, with job than without job, at home than being in the hospital, in case it married and it is the rest of family but a spouse. So it is necessary that the measure of family nursing arbitration, which helps the burden and the extent of depression to lower and the adaptability to be high, should be developed to recover normally social supports for them, the morale of the family, its perception of a patient, health condition of the family and the function of correlation with the family members.

      • 가족을 주제로 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 지도안 연구

        최윤정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국의 여론조사기관인 ‘퓨 리서치’에 따르면, 2019년 각국의 스마트폰 보유율 조사에서 한국이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사실을 통해 현재 국내의 스마트 IT 기술이 얼마나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학교현장에서도 4차 산업혁명과 동시에 미술교과 교과 역량으로 삼고 있는 ‘창의·융합 능력’에 맞춰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코딩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코딩 교육은 창의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유익한 수업이며, 문제해결 능력도 기를 수 있어 스마트 IT 기술과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 지도안을 현대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족 단절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가족을 주제로 수업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현대사회의 가족의 형태는 과거 대가족에서 핵가족화 되고 있으며 공동체 가족의식 보다는 개인의 공간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대인이 생각하고 있는 가족의 의미는 여전히 소중하고 각별하다고 여기지만, 가족 간에도 개인의 삶이 우선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가족 해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가족을 주제로 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여 가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할 시간을 가지며 가족 간의 유대감 개선에 도움이 되고 미술교육의 융합적 지도안의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까지 도모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의 교수자 중심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획일화 된 미술교육을 벗어나 스마트폰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이모티콘 캐릭터 제작을 통해 미술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미적능력 향상시키고, 창의적 사고를 함께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모티콘 제작 수업에 앞서 본 수업의 키워드인 ‘가족’과 ‘스마트폰’의 사회적 배경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이모티콘의 종류, 활용 사례, 사용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를 바탕으로 창의력 및 미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수업을 설계하고 차시별 학습활동을 제시한 후, 학교현장에 적용하였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미술교과 흥미도, 미술활동을 통해 변화된 가족 간의 친밀도, 이모티콘 흥미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수업 진행을 통해 얻어진 학생작품을 통한 교육적 분석으로 교육현장 적용 시 기대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교과 소재로서의 이모티콘은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 둘째,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이모티콘에 가지고 있던 편견을 벗어나 창의적이고 개성 넘치는 미술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이끌어 낼 수 있었으며, 창의적 개성표현을 위한 다양한 교과 활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을 이모티콘으로 나타냄으로서 가족 유대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가족에 대한 생각을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미술교과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길 바라며, 창의적 사고를 위한 학습자 위주의 교육 정책 개발이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학교 교육현장에서 가족을 주제로 한 미술교육 수업을 활발히 진행하여 사회적 문제로 주목받고 있는 가족 단절 현상 해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와 동시에 스마트 IT 기술에 관한 교육의 증가로 인해 변화하는 시대에 어울리는 수업 모형이 개발되고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Pew Research' a public opinion poll organization in USA, said that Korea won rank1 in the world as a result of researching 2019 smart phone retention rate. It enables to know how much smart IT technology is used in Korea. Now, 'coding education' is going along on the object of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in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capability of creation and fusion' which the teachers in field of schools regard as fine arts subject competence at the sam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evolution. Coding education is an instruction advantageous to creation and logic thoughts. In addition, it enables to promote problem solving ability. So,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related to smart IT technology gets higher. This paper applies the lessen plan of emoticon design related to the smart IT technology to the instruction in order to improve family severance phenomena on the rise as social problem in the modern times. The family type in the modern society changes into core family from the large family in the past, and the time respective person spends alone in the private space, rather than having community family recognition, is on the rise. The people in the modern times think that the meaning of families is valuable and particular. But many people think that the life of respective person is the more important among family members. So, the phenomena of disassembled family are peculiar. This author intends to go along a study to help teachers think families in the process of 'emoticon design instruction under the theme of families' to help them lead students to emotional stability through amalgamative lessen plan for fine arts education so that the students can think of the family once more and promote family fellowship. In addition this author intends to help teachers overcome the limitation of lecturer-centered instruction at the field of schools, to help them escape from standardized fine arts education, to help them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promote aesthetic ability through emoticon character production applied to smart phone in many ways, and to help them lead the students to creative thoughts. Prior to this paper production instruction of emoticon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ocial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family' and 'smartphone' the key words of this instruction and researched the kind, use case, and use status of emoticons.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this paper shaped the instruction to enhance creation and aesthetic ability, and applied them too the school field. With the purpose of finding out instruction effe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 in intimacy among family members and interest in emoticon through interest in fine arts subject and fine arts activity of the students by performing quest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After analyzing students' works attained from the instructions educationally, this paper leaded to the follows which the teachers can apply at the education field. First, The emoticon as a subject material to the students who use smart phone is a good material which can arouse interest in fine arts activity. Second, through the emoticon design instruction, this paper could draw out confidence on creative and confident fine arts activity, escaping from the prejudice about emoticons and could recognize that it was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perform various subject activities to express their characters creatively. Third, by expressing their family members with emoticons, this instruction was helpful to enhancing family fellowship and offered a chance to help the students think of the family members. This paper wants the research on instruction method of various fine arts subject to be performed positively. This paper thinks that education policy for creative thought with the prime object of the learners must be develop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is paper wants family severance under the big concernment on social problem to be solved by going forward with fine arts instruction actively on the theme of the famil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expects the instruction model to be harmonious with the age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of IT education to be developed and used.

      • 가족간호와 유료간병서비스 제공에 따른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감 비교연구

        최고운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뇌졸중과 같은 중증 질환에서의 전문 인력의 기술적 관리 이외에 간병제공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재조명 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을 통해 환자의 기능 수준 향상에 있어 간병 제공자의 존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있지만, 간병 제공의 형태 및 특성이 환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병제공자의 특성이 환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위치한 D대학병원에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 및 외래 방문한 환자 72명, 가족간호제공자 35명, 및 유료간병제공자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포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환자의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감을 검사하기 위해 PGWBI(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와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으며, 간병 제공자의 간병 부담감을 평가하기 위해 BSFC-s(Burden Scale for Family Caregivers-short version)와 ZBI-S(Zarit Burden Interview-Short version)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가족간호제공자와 유료간병제공자에 따른 환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감, 그리고 간병자의 간병부담감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Independent-t-test)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척도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크게 3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간병부담감의 경우, 가족간호제공자집단이 유료간병제공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간병부담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은 환자와 간병제공자 모두에서 유료간병제공자집단이 가족간호제공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반면 환자의 우울감은 유료간병제공자집단보다 가족간호제공자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병부담감 척도는 환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간병유형은 환자와 간병제공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관련성이 낮았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간병제공자의 간병부담감은 환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흥미로운 결과는 유료간병제공자집단이 가족간호제공자집단보다 간병부담감이 낮았으며, 환자의 심리적 안녕감 또한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가족간호라는 형태가 가지는 “무보수성”, “장기간의 간병” 등의 특징들이 오히려 환자에게 심리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관리방안의 필요성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연구

        이초은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으로 가족건강성, 매개변인으로 자아존중감 변인을 구성하였고, 구성된 변인간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성숙도에 대한 다각적인 상담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선별하였고, 이들 변인 간의 영향 관계 및 매개효과를 연구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광주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를 중심으로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으로 가족건강성, 성별,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자신에 대한 평가가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Baron & Kenny의 매개효과 검증이론에 따라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해 가족건강성의 영향관계 뿐만 아니라 긍정적 자기평가를 통한 자아존중감이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매개 역할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자아존중감은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해서 가족건강성의 중요성을 검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건강한 가족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개입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에서 가족건강성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담학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및 실천적 전략을 모색하도록 제안하였다. 학생상담센터 및 진로지원센터 등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뿐만 아니라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고취에 직접 및 간접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역할을 재조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주요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연구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변인에 대한 심층적 선별과 주요변인 간 다각적 이해를 증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근거로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 범위와 연구내용을 심층적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촉진할 수 있는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을 동시에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고, 대학생을 위한 진로관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성에 대한 실천적 상담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절차에 적합하게 본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지역적으로 국한된 임의표집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 미혼남녀의 가족건강성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미지의 매개효과

        정유화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미혼남녀의 가족건강성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미지의 매개효과 정 유 화 지도교수 전 영 자 가족소비자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현대 사회의 정보화, 세계화로 인한 빠른 변화는 가족의 변화와 더불어 결혼이 필수과정이 아닌 개인의 선택사항이라고 여기는 결혼가치관과 결혼이미지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결혼이미지가 결혼가치관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해 상호영향력의 정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김해시와 창원시, 부산시에 거주하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최종 309부에 대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은 경제적 안정, 상호신뢰성, 가족문화와 사회참여 순이며, 결혼가치관은 낭만형 결혼가치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성별에 따라 가족건강성 전체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결혼이미지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연령, 학력별로 가족건강성 전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인 유무별로는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 결혼이미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생각 유무별로는 소극-배타적, 보수-도구적, 낭만형 결혼가치관과 결혼이미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결혼생각이 있을수록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이 낮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이 높았으며, 가족 건강성 하위요인 중 가족문화와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이 높았다. 결혼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낭만형 결혼가치관이 높았고,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낮았다. 넷째, 가족건강성과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족건강성과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가족건강성과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낭만형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고, 결혼이미지도 영향력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혼남녀의 결혼이미지를 증진하여 결혼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결혼 후에도 결혼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핵심어 : 가족건강성, 결혼가치관, 결혼이미지, 매개효과 Abstract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on the Marriage Values of Unmarried Men and Women: The Mediating Effects of Marriage Images   Jung You-hwa Professor Jeon Young-ja Master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InJe University   The rapid changes caused by the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of modern society are leading to the change of the marriage image and the values for marriage that the marriage is considered as an option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essential process with the change of the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amily health and marriage image perceived by unmarried men and women have an effect on marriage values and to clarify the degree of correlation. To this e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as a measurement tool for unmarried men and women who living in Kimhae, Changwon, and Busan city. The collected survey data of the final 309 cas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using SPSS 23.0 program.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the related variables of survey subjects is as follows: family health was high in economic stability, mutual trust, family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arriage values are higher in order of romantic marriage values,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and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total family health, remuneration–instrumental marriage value, and marital im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female. Passive–exclusive values for marriage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amily health by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lso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vers in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and marriage images. Passive–exclusive, conservative–instrumental, romantic marriage values and marriage im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thoughts. Third, as for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arital values ​​recognized by the unmarried men and women, the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were low when considering marriage with their partner. The male had higher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than the female, and the higher the family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marital value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marriage image shows that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and romantic marriage values ​​were high, while the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 ​​was low. Fourth, the marriage imag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marriage values. Marriage image has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 and marriage imag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to family health and conservative–instrumental, family health and romantic marriage values, respectively. This study confirms that family health as perceived by unmarried men and women influences marriage values ​​and marriage image is an influential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moting the marriage image of unmarried men and wome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rriage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their marriage life after marriage. Key words: Family Health, Marital Value, Marriage Image, Mediating Effect

      • 가족관련 그림검사의 국내 연구 동향 : -1992년~2017년 2월 논문 중심으로-

        고은성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과 관련된 그림검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심리진단과 치료현장의 활용에 도움이 되고 그림검사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가 활성화되는 1992년부터 2017년 2월까지 가족과 관련한 그림검사 DAF, KFD, PSCD, MCD, BND, 물고기 가족화, 동물가족화의 학위논문 82편과 학술지 논문 83편으로 총 16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연도별, 주제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등으로 나누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가족과 관련한 그림검사의 연구동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관련 그림검사에 나타난 연구자료의 연도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KFD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가 점차 다양한 그림검사가 실시되었고, 2012∼2017년도 2월의 논문 발표수가 가장 많았다. 연도별로 석ㆍ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5년 단위로 묶어 비교해본 결과 꾸준히 증가하였다. 둘째, 가족 관련 그림검사에 나타난 연구 주제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모든 그림검사에서 정서 영역의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그림검사 대부분이 가족과 연관된 것들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가족과 관련된 그림검사의 주제로는 가족지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관련 그림검사에 나타난 연구 대상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장애보다 비장애가 가장 많았고 아동 대상의 연구가 많았다. 또 연구대상수로는 인원별로 100명씩 묶어 분석한 결과 100명 이상 400명 미만에서 빈도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넷째, 가족 관련 그림검사에 나타난 연구방법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양적 연구가 가장 높게 나왔다. 그림검사와 함께 객관적 검사를 병행 한 논문이 많았으며 양육과 관계된 객관적 검사도구의 사용이 가장 많았다. 또 집단의 형태는 단일집단이 많았다. 다섯째, 자료수집 및 자료 분석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구지역으로는 경상도가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장소는 아동과 청소년과 관련하여 교육시설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았고 검사기간은 1개월 미만이 가장 높았다. 또 자료의 분석은 그림검사의 반응특성과 객관적 검사 수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변량분석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가족 관련 그림검사는 처음에는 KFD가 압도적으로 많이 실시되었다가 차츰 BND, MCD 등이 실시되면서 빈도수가 낮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KFD에 편중되어 있어 좀 더 다양한 그림검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가족 관련 그림검사는 대체로 다양한 연령층에서 시행되고 있고, 가족은 사회의 최소 기본 단위로 가족의 역할과 영향이 성인까지 이른다는 점에서 정서와 관련된 것들을 연구주제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주제로 확장하여 접근하는 연구가 늘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는 앞으로 그림검사 연구 동향을 예측하고 치료현장에서 적절한 그림검사를 사용할 수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인에 대한 태도가 노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혜경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과 베트남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인에 대한 태도, 노부모 부양의식을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고령 사회에서 노부모 부양에 있어 일차적 책임의 주체가 될 한국 대학생 221명, 베트남 대학생 221명, 총 4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Win 20.0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빈도분석, T-test와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과 Baron & Kenny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을 이용하였고, 매개효과 입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 노인에 대한 태도, 노부모 부양의식의 국가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베트남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에 비해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 더 긍정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를 보였고, 노부모 부양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전통적인 가족주의 가치관을 가질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국가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국가 간에는 한국에 비해 베트남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이 전통적이고 노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가족주의 가치관이 전통적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국가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베트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에게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국가 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일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국가 간에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의 경우는 유의미 하지 않았으나, 베트남 대학생은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부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주의 가치관의 독립변인과 노부모 부양의식의 종속변인과의 관계에서 노인에 대한 태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국가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 대학생의 경우만 유의미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한국과 베트남은 중국으로 부터 유교사상과 문화를 계승하여 여전히 전통적인 가족주의 가치관이 노부모 부양의식에 깊은 뿌리가 되고 있다는 공통분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가치관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국 간에 정치· 사회· 문화와 차이와 경제 발전의 정도 차이에 따른 다름도 입증되었다. 베트남은 현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국가적으로 한국의 사회․보건복지정책과 사회보장제도를 벤치마킹하기 시작했다. 한류 열풍이 문화 ․경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노인복지부분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한국은 노인의 경제적 자립과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지원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 가족주의 가치관, 노인에 대한 태도, 노부모 부양의식. A study on Effect of the Familism Values and Attitude towards the Aged on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Vietnam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college students in the familism values,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in South Korea and Vietnam, both of which witness the fast aging of the population, and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ubjects include total 442 college students including 221 South Korean and Vietnamese ones each who would be the primary subjects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in the super-aged society.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and put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testing method by Baron & Kenny were performed and followed by the Sobel test to demonstrat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milism values,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between the South Korean and Vietnamese college students. The latter had mor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than the latter. Second, the study examined effects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and found that higher traditional familism values led to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Vietnamese college students showed mor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and had them exert bigger influences on thei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than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Third, the mor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resulted in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tnamese college students,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had so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indicates differences between them. Fourth,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led to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ith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among the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but their Vietnamese counterparts showed higher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according to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Finally, attitude toward the aged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familism values, and the dependent one,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ith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s. Only the Vietnamese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was deeply rooted in the traditional familism values based on the Confucian culture in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that inherited the Confucian ideas and culture from China. Given that values reflect social changes,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values according to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he nations. Entering the aging society stage, Vietnam has begun to benchmark the social,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ystem of South Korea at the national level. South Korea needs to search for practical and policy-based support directions to promote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elderly and reduce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on families so that the fever of the Korean Wave will expand from culture and economy to the field of elderly welfare. Keywords: familism value, attitude toward the aged,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parents.

      • 한부모가족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 모자보호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배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the Process of Independence of Single Family House Written by : Jeongbae, Kim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ulture WooSuk University Advisor ; Prof. Sunghee, Lee To remain independent, diverse in the women's refuge this study understand comprehensive form of life of a parent to prepare and be carried out in a healthy independence until, before a retirement To study through the cases of whether or not eight. Analysis and case studies stress through case study in the case. The analysis in the case ‘cognitive system’, ‘self will’, ‘a sense of economy’, ‘change course of life’, ‘After the goal of retirement’ for analysis of the five such as independence. 8 analysis in the case to Case Analysis of Preparation and planning, there are a result of a variety of independence. Distinguish times since, 12 months, be admitted to 12 months, be admitted to be admitted to the analysis of the time, and by independence the process of preparing on our feet, practice is on a case-by-case basis. Wide variety of analysis. Be admitted to 12 months since, entered in the direction for a healthy independence, on going since there are many cases from city centers to take, and independence for the specific goals and plans. Without an awareness of the system and lack of economic and did not set to case, there are more than a year. Common to each case are deriv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nalysis between the case. A case analysis between the analysis results becam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 1 type 2, and preparing for the healthy independence is independence will encourage the will of independence by the feeble efforts will need to be listed, type 3 has independence of action.In a variety of independence for the practice, but can not continue to do work life and continue to do plan for healthy behavior in order to do it to remain independent. Be classified as a type must be corrected. Watching the mother's life course of hat protection, few people lived in a job before entering. Most of them are either housewives or single mothers. However, responsibilities are given in the accompanying roles, accompanied by the responsibilities of serving as the head of state, and the burden of economic responsibilities. Taken together, the independent comprehensive list of the economic part, can not be true independence and the resolution of financial, emotional stability and support for child support. Support for independent institutions, commitment, and changes in the life of life remain independent, diverse and complex problem solving and approach to helping a lot. Simple services in the current social welfare scene is not solve the problem that, in a variety of ways, carry out a complex case management.Figuring out and give priority to the problems. However,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closed environment of strong case management approach is difficult. Mother and Child Protection Facility through this study is away from a closed environment facilities and correctional facilities have to fix the problem in the open and positive direction, and should. The change of time, diverse and complex issues to a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and should be tackling together. A small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for independent, of such facilities for mother and child protection efforts, self-help can be healthy after retirement. In this study, the limit of 100 across the country of Single-Parent Family Welfare Facilities for the women's refuge facilities around the one case studies, and with the United States in the sample. Full facilities for mother and child protection and women I wrote one parent families ar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present study was Moet hat to remain independent, of the family of mother and child protection facilities that did not studied much in the meantime preparing a comprehensive range of the day the world to go study. Unique and meaningful study of food. Therefore, this research facilities for mother and child protection through the self-help support scheme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the basic insight can be used as base data to provide. will In this study, starting with the next, hats, independence for the various policies of the family hope that more studies and realistic system. 한부모가족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 모자보호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복지전공 김 정 배 지도교수 이 성 희 본 연구는 모자보호시설에서 다양하게 자립을 준비하는 모(母)의 포괄적인 삶의 양식을 이해하면서 퇴소를 하기 전까지 건강한 자립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8명의 사례를 통해 연구 하고자 하였다.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내 분석은 ‘제도 인지’, ‘자립 의지’, ‘경제 관념’, ‘삶의 변화 과정’, ‘퇴소 후의 목표’등의 5가지 자립 내용으로 분석을 하였다. 8명의 사례를 사례 내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자립 준비와 계획들이 있었다. 입소시, 입소 12개월, 입소 12개월 이후로 시기들을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고, 시기별로 자립를 준비하는 과정, 자립을 실천하는 과정이 사례별로 다양하게 분석되었다. 건강한 자립을 위한 방향으로 입소시부터 입소 12개월 이후로 진행되고 있는 사례가 많았으며, 입소시부터 자립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경제적인 관념이 부족하고 제도에 대한 인지를 못하면서 1년이상으로 보낸 사례들이 있었다. 각 사례별로 공통으로 도출된 내용을 종합하여 사례 간 분석으로 분석을 하였다. 사례 간 분석으로 분석을 한 결과 3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되었다. 유형1은 건강한 자립을 준비하고 있었고, 유형2는 자립의지가 미약하여 자립의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고, 유형3은 자립 행동의 실천 미약으로 다양한 자립에 대한 실천이 있었지만, 계획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직장생활을 꾸준히 하지 못함으로 건강한 자립을 하기 위해서는 행동을 수정해야 하는 유형으로 분류가 되었다. 모자보호시설의 모(母)의 삶의 과정을 보면 입소하기 전에 직장 생활을 한 생활인은 거의 없다. 대부분 가정주부이거나 미혼모로 입소를 한다. 그러나 입소를 하면서 가장으로 역할이 주어지고, 경제적인 책임도 함께 해야 한다는 부담과 함께 강한 책임감이 부여된다. 자립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종합해보면 경제적인 부분의 해결이 진정한 자립이 될 수 없고, 정서적인 안정과 자녀 양육에 대한 지원, 경제적인 자립지원제도, 자립에 대한 의지, 삶의 변화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 해결과 접근방법이 자립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단순한 서비스 지원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보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례관리를 진행하면서 복합적인 문제들에 우선순위를 주고 해결해 가고 있다. 그렇지만, 사회복지시설은 폐쇄적인 환경이 강해 사례관리의 접근이 힘들다. 본 연구를 통해 모자보호시설은 생활시설이 가지고 있는 폐쇄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시설을 개방하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고, 시대 변화에 맞게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들을 지역사회 자원 개발과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 그런 모자보호시설의 노력들이 자립을 위한 과정에 적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퇴소 후에 건강한 자립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전국 100여개의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중 모자보호시설을 기준으로 진행되었고, 시설 1곳을 중심으로 사례연구가 진행되어 표본이 적어 전체 모자보호시설과 여성한부모가정을 일반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못했던 모자보호시설 모(母)에 대한 모자가족의 자립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괄적이고 다양하게 이해가기 위한 연구로 독특하고 의미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모자보호시설의 자립지원제도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본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모자가족의 자립에 대한 다양한 정책과 현실성 있는 제도를 위한 연구들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