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중 신체어휘 비교연구 : 두부(頭部) 관련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장령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919

        국 문 초 록 관용표현은 한 나라의 역사, 사회,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특별한 표현으로 그 배경을 모르는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관용표현은 한나라에서 오랜 세월을 걸쳐 특정한 뜻을 표현하기 위해 습관적으로 사용되는 언어표현으로 외국인 학습자에게 있어서 단어자체의 의미로는 도저히 이해가 불가능한 표현이 많기 때문이다. 신체어휘 관용표현은 인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에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유행성을 갖는 경우는 거의 없다. 21세기에 들어서 현대의 국가교류 양상을 보면 기본적으로 다원화를 추구하면서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방면에서 활발한 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한 나라의 문화적 근원의 하나로 구성원들의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는 그 민족이 속해있는 사회의 문화 역사‧풍습 등을 빠르고 손쉽게 알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중‧일 삼국어의 관용표현을 비교‧분석한 목적은 외국어의 학습에 있어서 현재까지의 기계적인 암기위주 학습에서 관용표현의 의미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삼국의 관용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서 세 나라 국민들 상호간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의의를 밝히고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선행연구자들의 연구에 대해 논술하고 문제점을 제시하도록 한다. 2장에서는 한‧중․일 삼국어에 있어서의 관용표현의 생성 및 개념, 그리고 본고에서 비교‧분석하게 되는 신체어휘의 개념 및 분류에 대해 논술하도록 한다. 3장에서는 출처에서 수집된 한‧중‧일 삼국어의 신체어휘 관용표현 중에서 ‘두부’에 속하는 ‘눈/目(me)/眼(yan)’, ‘얼굴/顔(kao)/脸(lian)’, ‘코/鼻(hana)/鼻子(bizi)’, ‘머리/頭(atama)/头(tou)’, ‘귀/耳(mimi)/耳朵(erduo)’, ‘입/口(kuchi)/嘴(zui)’, ‘목/首(kubi)/脖子(bozi)’에 관련된 정서표현 한국어 238개, 일본어 151개와 중국어 126개에 대해 비교‧분석하는 과정에서 삼국어 관용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본 논문에서는 정서를 ‘기쁨’, ‘슬픔’, ‘두려움’, ‘놀람’, ‘분노’, ‘미움’, ‘부끄러움’, ‘사랑’, ‘흥미’ 9가지 기본감정으로 분류하고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시 기본감정과 유사한 정서를 하위감정으로 설정하여 세분화하여 비교‧분석하도록 한다. 한‧중‧일 삼국어의 관용표현을 비교‧분석을 통하여 세 나라는 오래 동안 역사를 공유하고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로 공통점으로 동형동의(同形同意)의 관용표현이 많았으며 정서표현에 있어서 부정적인 관용표현이 긍정적인 관용표현보다 훨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차이점에서는 한‧중 양국어의 관용표현은 일본어 관용표현과 비교해 볼 때 표현이 매우 노골적이고 적극적이며 직접적인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비해 일본어의 관용표현은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여 소극이고 간접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韓國語 反復表現에 對한 硏究

        최순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19

        This study aims to search a solution to systematically describe the pattern of realization of repeated expressions in order to establish a category where the repeated expresses are made in Korean language, and discuss the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ed expressions. To do this, this study first set a language unit called “repeated expression” through the repeated emergence of language element's morphology, semantics, and functions in words, phrases, clauses, and sentences, and specified the concept and the range. To understand the repeated expression overall,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basic principle and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wo repeated elements or semantic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petition. In Section 2,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repeated expression were discussed. The repeated expression was defined, and terms such as “repetition’, “overlap”, and “duplication” in previous studies were defined and their types were discussed. The analysis results exhibited that the repeated expression included the language formats such as “repetition”, “overlap”, and “duplication” etc. as the higher category. Through this, the repeated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was defined. That is, the repeated expression was defined as a language expression that repeats one or more homogeneous elements out of morphologically, semantic, or function feature in words, phrases, clauses, and sentences level or discourse level In other words,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language forms whose morphological, semantic, and functional features are homogeneous can be seen as the repeated expression. According to the abov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the system and type list of the repeated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were presented. In Section 3, the emerging pattern of morphologically repeated words and expression revealed in words and sentence level as well as their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morphologically repeated expression. The morphologically repeated word in the word level was divided into “morphologically repeated word whose semantics is unchanged ” and “ morphologically repeated word whose semantics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semantics i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repetition. The morphologically repeated word whose semantics is unchanged was characterized by semantic characteristics such as stress, degree intensification, and repetition inside a simple word whereas the morphologically repeated word whose semantics is changed was characterized by semantic chang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morphology. The morphologically repeated expression in the sentence level was largely divided into lexical-form repeated expression and grammatic-form repeated expression. As a typical example of the lexical-form repeated expression, repeated common noun construction, repeated adjective construction, repeated verb construction, repeated adverb construction, and repeated quantifier construction can be found. The grammatic-form repeated expression formed by repeating the same grammatical elements was largely divided into “repeated ending construction”, “repeated post-positional particle construction”, and “repeated grammatic collocation construction” to discuss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Section 4, a repeated semantic expression which is semantically homogeneous was investigated. In this section, semantically repeated expression revealed in words, phrases, clauses, and sentence level are categorized, and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emantically repeated expressions were not regarded as misuse, but as making a new language form through the “associative method” by people. That is, the combination of semantically repeated two language forms is a combination of stimulus word and reaction word. The semantically repeated lexical expression in the word level and phrases and clauses was divided into “sequential relationship” and “combined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 and reaction words in the analysis. Or, parts whose semantics is repeated were expressed by a diagram, and their semantic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The two-language form, which is made by semantically repeated expression is largely found in the combination of Chinese and native Korean words. Although there is a combination of two native Korean words, its quantity is small. In addition, combinations of loanword and native Korean word, or loanword and Chinese, as well as a combination of three language forms (e.g., native, Chinese, and loanword) are also frequently fou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is combination were also examined. The semantically repeated expression at the sentence level has five categories, which are “lexeme + tagmeme”, “tagmeme + lexeme”, “exclamation + added word (lexeme + phrase)”, “repetition due to substitution”, and “others”. The semantically repeated type due to substitution i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discourse level than in the sentence level. In this study, some examples of substitution expression that are found in the sentence level were chosen to examine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realized by semantic repetition using substitution expression in the discussion. In Section 5, only a functionally repeated expression without morphological and semantic homogeneity was focused in the discussion. Typical types of functionally repeated expression are “repetition of causative and passive suffix that can realize the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 “Combined causative and passive forms”, “repetition of predicative noun”, “repetition of negative force”, “repetition of plurality”, “repetition of post-positional particles”, “repetition via antithesis”, “repetition of exclamation function”, or “double nominative and object sentences”, and repetition by the past tense”. Here, the morphological, syntactic, function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ly repeated expression revealed in words, phrases, clauses, and sentence level were investigated.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서 반복표현이 이루는 범주를 확립하기 위하여 반복표현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방안을 모색하며, 반복표현의 형태·통사·의미론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단어, 구·절, 문장에서 언어요소의 형태, 의미 그리고 기능 등이 반복 출현을 통하여 ‘반복표현’이라는 언어 단위를 설정하고, 그 개념 및 범위를 규정하였다. 또한 반복표현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그 기반이 되는 원리 및 반복된 두 요소 사이의 의미관계 또는 반복전후의 의미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반복표현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반복표현’의 정의를 내리고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반복’, ‘중첩’, ‘중복’ 등 용어에 대한 정의와 유형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반복표현’은 상위범주로 ‘반복’, ‘중첩’, ‘중복’ 등의 언어형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반복표현’의 정의를 내렸다. 즉 ‘반복표현’이란 단어, 구·절, 문장 또는 담화층위에서 형태, 의미, 또는 기능 자질 중에 하나 이상의 동질적인 요소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언어표현을 말한다. 다시 말해, 형태·의미·기능적 동질성이 있는 두 가지(또는 둘 이상) 언어형식의 조합은 반복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의 및 분류에 따라서 한국어 반복표현의 체계 및 유형목록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형태반복표현을 중심으로 단어와 문장층위에서 나타나는 형태반복어 및 형태반복표현의 출현 양상, 그리고 이들의 형태·통사·의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단어층위의 형태반복어는 반복전후의 의미변화 有無에 따라 ‘의미 無變化 형태반복어’ 및 ‘의미 有變化 형태반복어’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의미 무변화의 형태반복어는 주로 [강조], [정도성 심화], [단일어 내부의 반복] 등의 의미적 특징을 보이는 반면에 의미 유변화의 형태반복어는 형태의 변화에 따라 의미도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문장층위의 형태반복표현은 크게 어휘형태 반복표현과 문법형태 반복표현으로 나누었다. 어휘형태 반복표현은 주로 ‘일반명사 반복 구문’, ‘형용사 반복 구문’, ‘동사 반복 구문’, ‘부사 반복 구문’, ‘數量詞 반복 구문’ 등이 있다. 동일한 문법 요소를 반복하여 형성된 문법형태 반복표현은 주로 ‘어미 반복 구문’, ‘조사 반복 구문’, ‘문법적 연어 반복 구문’으로 나누어 통사·의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의미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의미 반복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단어, 구절, 문장층위에서 나타나는 의미반복표현을 유형화시키고 형태, 통사 또는 의미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의미반복표현을 ‘오용’으로 보지 않고 사람들은 ‘聯想方法’을 통하여 새로운 언어형식을 만든 것으로 보았다. 즉 의미 반복된 두 가지 언어형식의 조합은 자극어와 반응어의 조합인 것이다. 단어층위 및 구·절 층위의 어휘적 의미반복표현은 자극어와 반응어의 의미관계에 따라 ‘계열적 관계’와 ‘결합적 관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는 도식으로 의미가 반복된 부분을 표현하였고, 그 의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의미반복표현으로 된 2가지 언어형식은 주로 한자어와 고유어의 조합이다. 고유어와 고유어의 조합도 있지만 수량은 많지 않다. 그리고 외래어와 고유어의 조합, 외래어와 한자어의 조합, 또는 고유어·한자어·외래어 등 3가지 언어형식의 조합도 흔히 나타난다. 이러한 조합의 유형에 따라 의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문장층위의 의미반복표현은 5가지 유형이 있다. 즉 ‘어휘소+문법소’, ‘문법소+어휘소’, ‘감탄사+덧붙은말(어휘소+구문)’, ‘대용에 대한 반복’, 또는 ‘기타’ 등이다. 대용에 의한 의미반복형은 문장층위보다 담화층위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대용표현으로 의미반복으로 실현하는 양상 및 특징을 살피기 위하여 문장층위에서 나타나는 대용표현의 용례를 택하여 논술하였다. 제5장에서는 형태적, 의미적 동질성이 없고 기능적 동질성만 가지고 있는 기능 반복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능 반복표현의 유형은 주로 ‘사동과 피동을 실현할 수 있는 사동/피동 접미사의 반복’, ‘복합 사동/피동법’, ‘서술성 명사의 반복’, ‘부정성의 반복’, ‘복수성의 반복’, ‘조사의 반복’, ‘대우법에 의한 반복’, ‘감탄 기능의 반복’ 또는 ‘주어 및 목적어의 중출’, ‘과거 시제에 의한 반복’ 등이 있다. 여기에서는 단어, 구·절, 문장층위에서 나타나는 기능 반복표현의 형태·통사·기능·의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또래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일반집단과 잠재비행집단 비교

        표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청소년의 또래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또래관계문제를 유발시키는 심리적, 정서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또한 이를 잠재비행집단과 일반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소재 인문계, 전문계, 남녀고등학교 재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래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표현양식, 잠재비행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각각 제시하여 실시했고 t-test,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 모두 또래관계문제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 보다 또래관계문제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비행집단과 일반집단의 비교에서는 두집단 모두 내면화된 수치심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노표현양식에 있어서는 비행집단에서는 분노조절과 분노표출이, 일반집단에서는 분노억제가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내담자를 상담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들과의 관련성과 함께 연구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주요어 :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표현, 또래관계문제, 잠재비행 ABSTRACT The Influences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on Peer Relationship Problem of Adolescents -A Comparison with Nondelinquents and Latent delinquents- Hyun Pyo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of peer relationship problems among adolescents by investigating how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s affect their peer relationship problem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nondelinquent and latent delinquent groups. The data for this study consist of 417 co-ed students of both classic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peer relationship problems, internalized shame, anger expression, and latent delinqu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ternalized sham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nger-out and anger-in Secondly, both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 problems, and internalized shame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among the two. Thirdly, it proved significant that internalized shame had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on both nondelinquent and latent delinquent groups. However, it proved significant that anger expression was more affected among nondelinquent group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wo different groups.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help youth counselors understand characteristic of both highly latent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further discussed. Keywords : internalized shame, anger expression, peer relationship problem, latent delinquent

      • 中學生의 彫塑表現에 있어서 視覺型과 觸覺型의 類型에 關한 硏究

        황인우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1919

        彫塑는 매스(mass)와 공간의상호작용에 依하여 이루어지는 造形藝術로서 視覺·觸覺 等 제작자의 모든 身體的感覺에 依存하는 立體的 空間藝術이다. 따라서 그 창조자가 그 對象을 어떻게 지각하고 형상화 하는가 하는 것은 作品에 나타난 조형세계를 享受鑑賞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效率的인 美術敎育을 實施 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重要한 일이다. 그러므로 學生들이 심미적 對象을 知覺하고 表現하는 過程이나 原理를 제대로 파악해 낼 수 있다면 이를 토대로 보다 能率的인 실기지도의 方案을 수립해 볼 수 있는 것이다. 本 論文은 이상과 같은 사실에 착안하여 學生들이 對象을 知覺 表現하고 있는 양상이 對象體驗에 있어서 어느 感覺에 더 依存하고 있느냐에 따라 視覺型과 觸覺型으로 類型化 하고 各 類型의 境遇에 있어서 表現的 特徵을 考察, 分析하여 이를 美術敎育의 現場에 適應시켜 볼 수 있다는 觀點에서 理論과 實際의 兩面을 통해 이와 關聯되는 問題를 檢討해 볼 것이다. 이 問題를 檢討함에 있어 本稿는 우선 學生들의 彫塑表現의 發達過程을 幼兒期(2~5세),象徵期 (4~8세), 寫實期(9.~14세)로 나누어 考察하면서, 寫實期에 이르러 學生들이 對象을 보다 正確하게 知覺, 表現할 수 있는 能力이 구비되어 가는 過程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 寫實期에 이르러 學生들은 自身의 身體的 感覺을 通해 對象에 接近면서도, 自身의 視覺(Visual Sensation)에 더 依存하는 類型과 視覺 보다는 觸覺(Haptic Sensation)에 더 依存하는 類型으로 분화되고 있다는 事實을 지적하면서 일찌기 이 間題를 硏究한 바 있는 로웬펠드(V. Lowenfeld)의 용어를 採擇하여 두 類型을 各各 視覺型 (Visual Type)과 觸覺型 (Haptic Type)으로 명명 하였다. 연령적으로 보면 思春期에 該當하는 寫實期에 對象의 知覺樣相이 學生들의 個性과 趣向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는 事實은 대단히 重要한 事實이다. 視覺型은 같은 정상인의 경우라도 對象을 通해 分析하면서 部分과 全體의 視覺的 調和를 기하면서 造形的 世界를 完成하는데 비하여 觸覺型은 全體的 근육감각을 通해 對象을 認識하고 知覺하면서 特定部分을 强調하여 象徵的으로 表現하는 過程에서 作品을 完成하는 傾向을 보여 주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事實에 주목하면서 이 視覺型과 觸覺型이 各各 어떤 特徵을 지니고 있는지 類型化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理論的 論理를 토대로 필자는 다시 學生들의 彫塑表現에 있어서 視覺型과 觸覺型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實際 敎育現場에서 檢證해 보았다. 對象 學生으로서는 中學校 1學年生 6學級을 澤하였고 人物과 動物, 즉 知覺經驗이 可能한 境遇와 不可能한 境遇의 表現을 對象으로 이 問題를 調査 硏究해 보았다. 그 結果 學年들의 彫塑表現에 있어서 視覺型과 觸覺型의 表現이 實際로 나타나고 있음이 確認되었고 그 比率은 表現對象이나 學生들의 個性에 따라 差異가 있으나 대개 觸覺型 보다는 視覺型이 우세했으며 中間型도 나타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各 類型이 지니고 있는 特徵과 問題點을 염두에 두고서 各各 類型에 對한 效率的인 實技指導의 方法을 필자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다. 彫塑는 人間의 身體的 感覺에 호소하는 예술쟝르이기 때문에 製作者의 視覺的 體驗과 觸覺的 體驗이 다 같이 重要하다. 藝術作品의 리얼리티는 對象에 對한 모든 感覺的 印象이 두루 反映될 때 더욱 철저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視覺型이든 觸覺型이든 간에 그것 나름의 價値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學生들의 彫塑表現 類型이 視覺과 觸覺의 어느 한쪽 表現에 우세하다고 해서 바로 그 作品의 리얼리티를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어느 한 쪽 感覺에 편중될 境遇 그 作品은 그 나름대로 問題點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藝術表現의 형성기에 있는 學生들의 表現類型을 愼重히 把握하여 이에 適切한 指導를 함으로써 指導上의 效率을 기할 수 있고, 學生 個人의 藝術的 創造의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보다 均衡있고 密度있게 發展할 수 있도록 指導할 수 있게 된다. Sculpture is a plastic art taken shape by the interaction of mass and space. It is a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art which depends on all of the sculptor's bodily senses, such as visual and haptic senses. Accordingly, how the sculptor perceives the objects and puts them into shape is important in that it affects the way how we appreciate the sculptural world realized in the objects d'art and how we carry out art education effectively. So, if we understand correctly the processes or principles through which students perceive and express esthetic objects, we can establish a more effective methodology of teaching sculptural practice by utilizing them. In this thesis we divided sculpture into visual type and haptic type according to the senses which students depend on when they perceive and express objects. We also analyzed expressional features in each type,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ir adaptation into art education. In the first place, this thesis divided the development of sculptural expression into three stages, namely, the infantile stage (from 2 to 5 years of age), symbolic stage (from 3 to 4 years of age) and the stage of realism (from 9 to 14 years of age). In the stage of realism students show great development of perception and power of expression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type of students depend on visual sensation of physical world and the other on tactual sensation. In accordance with V. Lowenfeld, we mamed them visual type and haptic type respectively. It's very important that the development of perception is varying with each student's personality and interest. In the visual type a scalpture is completed by the visual harmonization of the parts and the whole through the analysis of an object. On the other hand, haptic type has a feature of perceiving an object through total sensation and of expressing it symbolically by emphsizing a certain part of the object. In this thesis we explained the features which these visual type and haptic type have respectively, and showed that these two theoretical types were verified in the scene of education. We took six classes in the first grade as objects of study. We studied about their expression in cases where perceptual experience is possible (that is, human objects) and in cases where it is impossible (that is, animal objects). The study showed that both visual type and haptic type of expressions appeared in the student's sculptures, and that the ratio between the visual type and haptic type varied with the object of expression and each student's personality. The sculptures of visual type were more than those of haptic type, and some sculpture were of neutral type. We could find an effective plan for sculptural practice from the study on the features and problems which the two types have. In sculpture, visual and tactual experiences are very important because sculptor appeals to human sense, and reality of an art work is improved when all sensual impressions are reflected in the work. Each type has its own values. We can not say a work of one type is more artistically valuable than that of the other. We should put a value on any type of expression. We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rtisic expressions and develop the power of artistic creation with balance if we understand more exactly the types of expression of students who are in the formative period of artistic experssion.

      • 집단표현예술치료가 맞벌이가정 아동의 우울성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민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맞벌이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아동들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맞벌이가정 아동들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S초등학교의 맞벌이가정 아동 중 우울성향이 있는 초등학교 1, 2학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통제 집단으로 각 6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60분씩 2014년 9월 3일부터 10월 29일까지 총 13회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의 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을 표집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동우울척도 검사(CDI)와 자아존중감척도 검사(SES)를 실시하고 SPSS/WIN 통계프로그램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으로는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를 실시하였으며, 집단표현예술치료 과정에서 관찰되는 개인의 행동 및 태도의 변화와 집단단계별 상호작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표현예술치료는 맞벌이가정 아동의 우울성향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아동우울척도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점수 차이는 7.83점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집단표현예술치료가 맞벌이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척도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점수는 4.33점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다음의 내용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양적검사의 결과를 보완할 수 있었다. 셋째, 맞벌이가정 아동의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먼저 실험집단의 K-HTP 그림에서는 심리·정서적 안정으로 인한 심리적 외상 흔적의 소거와 긍정적인 자아상 향상에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맞벌이가정 아동들은 아동기 우울성향의 증상인 성마름, 분노, 공격성 등을 표출하고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며, 우울감에서 벗어나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후에 참여자들은 우울과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인하여 참여에 저항하는 비협조적인 태도에서 다양한 감정들을 표출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회복됨에 따라 집단원간에 상호작용이 활성화되고 협력하는 모습으로 발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맞벌이가정 아동이 경험할 수 있는 우울성향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심리지원체계로서 집단표현예술치료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처치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실험기간이 단기간이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맞벌이가정 아동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보다 장기적인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연구가 모색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children of dual-income families by clarifying effects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on depression decrease and self-esteem improvement on children of dual-income famil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dual-income familie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ungkido were selected and 6 students each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istributed.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3times in total from 3rd September 2014 to 29th October 2014 with twice a week for 60 minutes for each section.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PRC)’s depression index was used for sampling the study object an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test (CDI) and self-esteem scale test (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SPSS/WIN statistics program 18.0 was used to analyze. For content analysis, kinetic house-tree-person test (K-HTP) was conducted and changes in behavior and attitudes of students and changes of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p level during the process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were analyzed. Firstly, for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there was an effect of depression decrease in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Average score difference of pre and post tests of CDI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7.83 score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Secondly, there was insignificant effect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on self-esteem improvement of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Average score of SES pre and post test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4.33 score and i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results of quantitative tests were supplemented through the result of the following content analysis. Thirdly, there was a positive change during the process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of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Most of all, in K-HTP picture of experimental group, it was analyzed that erasure of psychological trauma signs due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nd change in positive self-image enhancement. Also,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dur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expressed petulance, anger and aggression and sublimate them with art works and by experiencing 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y got out of depression and showed positive self-esteem change. Also, due to personal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they expressed various emotions including uncooperative attitude and as their positive image for themselves was recovered, their interaction among the group members became active and cooperative. Through this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uggest feasibility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which can bring a positive change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which enable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to experience. However, the study period was rather short in order to expect significant treatment effect statistically when it comes to self-esteem. Thus, there shall be a future study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long-term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as an alternative to prevent and resol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 표현기법을 이용한 수업 모형 연구

        정욱경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919

        학교 교육에서 미술교육은 하나의 교과로서 전문적인 미술인을 양성하기보다는 미술을 통한 인격 형성이라는 성격을 띄며, 미술 교육의 특성으로는 미술의 형식면에서는 조형성을, 그 형식의 내용면에서 창의성을, 그리고 그러한 형식과 내용이 감상된다는 면에서 정서성을 들 수 있다. 전문 교과가 아닌 보통 교과로서의 미술교육을 이러한 포괄적인 특성을 모두 소화 할 수 있는 수업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수업의 형식도 포괄성과 개방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은 수업의 많은 부분에 있어 학생들의 정서와 창의성을 전통적 그리기 기법에 의존하여 왔으며, 학생들은 그리기에 대한 부담과 자신감 상실로 패배적 자세로 수업에 임하게 되고 그로 인해 미술 교육의 특성은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식의 흐름과 표현 행위를 중시한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기법 이론을 바탕으로 보다 폭 넓고 다양한 기법을 발하여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의식의 흐름을 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정체성 확립과 정서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먼저 1) 추상표현주의 미술, 2) 추상표현주의의 심리적 특성, 3) 미술에 있어서 우연의 역사를 통해 미술의 역사 속에 이미 경험되었던 추상표현주의에서 사용된 표현 기법과 그 심리적 경향을 알아보고 이것을 기반으로 표현기법을 이용한 수업 모형을 만들어 학생들을 지도한 후 학생들의 작품과 설문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 구산동 소재 예일여자실업고등학교 1999학년도 1학년 168명과 2000학년도 1학년 168명, 총 336명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표현기법을 이용한 수업은 스케치와 구상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 수업의 도입 부분에서 흥미유발이 용이했으며 학생들이 자신감을 갖고 수업을 시작 할 수 있었다. 2. 학생들은 여러 가지 색 재료와 용구의 자유로운 사용을 통해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었으며 표현기법 탐구에 대한 동기유발을 시켜 수동적인 수용 활동이 아닌 자기주도적인 탐구 학습의 실행을 가능하게 했다. 3.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을 학습하고 실제 실습하면서 서로의 제작과정을 살펴보고 표현 효과를 비교, 감상하면서 조형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작품에 접근하는 기초를 다질 수 있었다. 4. 표현기법을 이용한 수업은 표현과 색채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고 미술 교과의 다른 영역에도 응용되었으며 특히 감상 영역에 있어 현대 미술 중 추상 미술의 이해와 감상에 도움을 주었다. 5. 표현기법을 이용한 수업은 표현형식에 대한 방성으로 인해 학생들은 서로 다른 다양한 결과물들을 얻어낼 수 있었으며, 편집 과정을 통해 정리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미적 지각 능력을 발하며 정서를 함양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미술 수업은 우선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식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잠재된 것을 자연스럽게 끌어 낼 수 있도록 자신감을 갖고 자발적으로 수업을 시작 할 수 있는 수업모형의 꾸준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적 정보와 지도 방법이 공유되고 보완되는 교육의 나눔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school education, the nature of art education is more like character- building course than a special one of producing professional artists. And the feature of art education can be listed as plasticity in mode, creativity in content, and emotionality in appreciation of mode and content. To cover those comprehensive features in art education as a regular course, not a special one, art instruction needs to be comprehensive and open in form. In emotional and creativity area, however, art instruction virtually depends in large part on typically letting students draw a picture, which weighs heavily on their mind and thereby results in depriving class, and art education actually bears little fr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techniques, based on abstract expressionism emphasizing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behavior, in order to attract the spontaneous involvement of students in class with more interest and confidence and help them establish proper identity and emotional security in the course of the stream of consciousness. For the purpose, abstract expressionism art, i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y of contingency in art were examined to find out the expression techniques used in abstract expressionism and its psychological trend. And a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by using expression technique, and an instruction was given with the developed teaching model. Then survey result and the works of student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6 students in Yale Girls' Vocational High School in Kusan-dong, Eunpyong-ku, Seoul. Among them, 168 students were in the first grade in 1999, and 168 students were in the first grade in 200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instruction by expression technique lowered the load of the students about sketch and conception. So it's easier in the introduction stage to draw their interest, and they were able to begin class with confidence. 2. They could enrich their expression by using different color materials and tools on their option. And they were motivated to make inquiry into expression technique, which naturally led to self-directed inquiry learning, instead of passive acceptance. 3. They learned and practice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bserved what's done by other students, and made a comparative appreciation of the effect of expression techniques. All this activities enabled them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plastic art and better approach to the works of art. 4. The instruction by expression technique improved their general comprehension of expression and color, and its application was extended to other areas of art. Specifically, that was mor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bstract art in the appreciation area of modern art. 5. Owing to the openness of expression mode, the students produced different outputs. By editing the outputs, they could represent their own feelings or ideas in free way, and subsequently developed esthetic perception and emotion. As discussed above, art teaching model should be developed on a continual basis to further their spontaneous involvement in art class with more confidence and draw out their potentialities naturally, without disturbing their fre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diverse educational information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shared for further advancement.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에게 사이코사이버네틱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p시의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중 20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 1회기 60분씩, 주 2회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한국형치매진단척도(MMSE-K)점수가 15-23점인 경증 치매노인 10명이 실험집단, 10명이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2회 16회기 사이코사이버네틱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미술치료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추후에 미술치료를 원하는 대상자에 대해서 미술치료를 제공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 후에 상태불안 (STAI-Y1)검사와 자아존중감(RSES)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PPAT)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같은 시기에 PPAT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경증 치매노인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의 효과성을 보기위해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측정하였다. 미술치료 16회기 중 같은 기법을 사용한 4회기 작품과 14회기 작품을 선정하여 4명의 평정자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실시하였다. 그 중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점수가 많이 향상된 세 명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집단미술치료는 Nucho(2003)가 제시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을 활용해 네 단계로 구조화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상태불안 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자아존중감 점수는 높아졌으며 PPAT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 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상태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미술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심리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구조화된 미술치료적 개입을 실행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중증치매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손원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증치매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경기도 Y시에 위치한 요양시설 두 곳에 거주하는 MMSE-K 점수가 7-14점 사이의 여성 중증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2014년 9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약 9개월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모두 16명으로 매주 2회 약 60분씩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자기표현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중 주제와 미술 매체 사용이 비슷한 초기 1회기와 후기 15회기 이미지를 미술적 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집단미술치료적 개입을 하였다. 그 결과 중증치매노인의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에서 형식적요소(FEATS)가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중증치매노인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