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대 도예가 가와이 간지로(河井寬次郞) 작품 연구

        김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divided the career of the modern Japanese potter Kanjiro Kawai into his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nd examined his works and the context of their production over the course of these periods. He learned ceramic production techniques at the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and the Kyoto Municipal Ceramics Examination Center, and based on this training, his works drew on existing artistic ceramics. Kawai's works reveal,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influence of Joseon ceramics and other crafts on him. In Korea, he has so far only been studied from a single perspective and within a narrow scope, while his involvement in the Folk Craft Movement has been largely ignored. This study of Kawai's works aim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folk elements emerged in his somewhat extravagant and decorative works. the early period of Kawai's career, he mainly produced artistic ceramics which were based on ancient pottery and employed colorful glazes and various decorative techniques. However, in the middle period of his career, he produced practical, everyday ceramics incorporating functional and simple decorative techniques, which were influenced by Joseon ceramics and crafts. During the postwar period, he produced ceramics of amorphous design, and created insightful plastic art works in a variety of media, such as sculptures and designs. The trajectory of his work can be seen in the "Creative Ceramics Exhibition," which is an exclusive exhibition of his work. 1924 on, simple styles influenced by those of Joseon White Porcelain began to emerge in his work, as can be seen in the exhibition. Along with Muneyoshi Yanagi and Shoji Hamada, Kawai adopted elements of folk arts and began to incorporate other characteristics of Joseon ceramics art into the work he produced from 1929 onwards. In addition, Duchang Son's works made of straw and gras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f Joseon, also inspired him in his creative work. In this study, based on his writings, Kawai's perception of Joseon ceramics and crafts as well as his adoption of folk elements were analyzed, focusing on ceramics and crafts that were collected and referenced. characteristics of Kawai's postwar works can be explained through his expansion of the media he adopted and employed. He expressed his artistry through various media, including wooden artefacts and designs, in this way responding to everything that inspired him, such as trains or the joints of iron pipes, and thereby moving beyond or supplementing the ceramics and crafts that had originally inspired him. Based on the changes in his creative output, he can be recognized as an artist who overcame the contradictions of folk arts, and as one on whom the continuous influence of Joseon crafts is evident. study periodized the various parts of Kanjiro Kawai's vast oeuvre in order to analyze the turning points in his work as well a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Joseon ceramics and crafts on it.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focusing on artists who were involved in the Folk Craft Movement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일본 근대 도예가 가와이 간지로의 작품을 전기·중기·후기로 나누어 전 시기에 걸친 제작 배경과 작품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가와이 간지로의 작업 전반에 조선 도자와 공예품에 대한 인식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그가 민예 운동과 관련된 작가임에도 지금까지 국내에서 다뤄진 가와이 간지로 연구는 단일한 주제와 좁은 범위 아래 진행된 연구에 그쳤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와 화려하고 장식적이었던 그의 작업 전면에 민예적 요소가 등장하게 된 이유와 수용 과정에 대한 궁금증에서 가와이 간지로의 작품 연구가 시작되었다. 가와이 간지로의 도자 제작 전기에는 화려한 유약과 다양한 장식기법을 활용하여 고도자를 차용한 감상도자를 주로 제작하지만, 중기에는 조선 도자와 공예품의 영향으로 소박하고 단순해진 장식기법으로 실용적인 일상용품을 제작한다. 그리고 전후에는 무정형의 도자를 제작하고 도자뿐만 아니라 조각, 디자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조형 세계를 표현했다. 가와이 간지로는 도쿄고등공업학교와 교토시립도자기시험장에서 도자 제작 기술을 습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감상도자를 모방한 작품을 주로 제작하며, 그의 개인전이라 할 수 있는 ‘창작 도자 전람회’ 출품작을 통해 제작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 백자의 영향으로 1924년부터 그의 창작 도자 전람회에서 간결한 작품 제목과 조선 백자 같은 소박한 양식이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하며, 야나기 무네요시와 하마다 쇼지 등과 함께 민예를 수용하여 1929년부터 본격적으로 작업에 조선 도자를 활용한다. 또한 손두창의 짚·풀 공예와 조선의 자연은 그의 작업에 많은 영감을 주었다. 조선 도자와 공예품에 대한 인식과 민예 수용 과정은 그가 남긴 글을 바탕으로 수집·차용한 도자, 공예품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가와이의 전후 작업의 특징은 매체의 확장과 수용의 확장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수용의 대상이 된 도자와 공예품을 넘어 전철이나 철관 연결 부품 등 작업에 영감을 주는 모든 것에 반응하여 도자뿐만 아니라 목조, 디자인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하여 표현했다. 그의 제작 경향의 변화와 작품 활동에서 민예의 모순을 극복한 작가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작품에서 조선 공예품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가와이 간지로는 조선 도자 및 조선 공예품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이것을 작품에 어떻게 표현했는지 그리고 그의 작업에서 조선은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방대한 가와이 간지로의 작품 세계를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의 작업에서 전환기를 맞게 되는 과정과 그의 작품 속에서 조선 도자와 공예품의 인식과 의미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밑거름으로 앞으로 민예 운동을 전개한 개인 작가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 西周 金文 干支 銘文 硏究

        조성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西周 金文 銘文 중에서 干支日이 포함된 銘文(이하 干支銘文) 233개를 干支別, 月相別, 時期別, 內容別, 月別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여, 각각의 기준에 따라 干支銘文들이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각각의 기준들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干支銘文에 나타난 干支日들이 商代의 周祭와 日名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 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동기와 목적은 商代의 周祭가 특정 干支日에 맞춰서 행해졌으며, 商代 金文 銘文에 나타난 日名들과 干支日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商代의 문화와 제도를 그대로 이어받은 周代에서도 商代의 金文 銘文의 日名과 周祭의 干支日과 관계처럼 西周 金文 干支銘文에서 유사하거나 비슷한 패턴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그 관계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西周 金文 干支銘文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간략하게 西周 金文 干支銘文의 형식과 내용을 소개하고, 西周時期 전체의 銘文 중에서 干支日이 포함된 銘文, 즉 干支銘文 233개를 추린 후 干支日 별로 정리하고, 그 銘文 내용을 우리말로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干支日, 銘文內容, 製作時期, 月相, 月의 다섯 개의 기준을 가지고 銘文을 분류하여 그 기준에 따라 나타나는 西周 金文 干支銘文들이 어떠한 경향성이나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우선 干支日을 기준으로 하여 干支日에 따른 干支銘文의 전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干支日과 나머지 네 기준들 간 각각 짝지어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銘文內容을 기준으로 하여 銘文內容에 따른 干支銘文의 전체적인 분석과 나머지 네 기준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製作時期를 기준으로 製作時期 따른 干支銘文의 분석과 나머지 기준들과 연관성을 찾아보았다. 넷째, 月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月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西周時期 金文 干支銘文의 干支日과 張光直이 주장하는 商代 日名과 수치적으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張光直은 商代 日名에서 10개의 天干 중 甲, 乙, 丁, 庚, 辛이 전체 日名에서 5/6 이상을 차지한다고 밝혔는데, 본 논문에서 西周 金文 干支銘文에서 이와 유사한 경향성이 남아있음이 확인하였다. 특히 기물을 바치는 대상의 이름이 日名인 경우로만 한정하였을 경우는 수치적으로 더욱 정확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西周 金文 干支銘文의 干支日 해석함에 있어 西周 金文 干支銘文의 干支日은 銘文의 記事日과 연결시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記事과 관련되지 않는 독립된 날짜로 보았다. 둘째, 干支日과 月相 분류 결과, 月相의 二系說을 지지한다. 즉 月相 중 初吉은 나머지 旣生覇, 旣望, 旣死覇와 다른 성격으로 月相이라기 보다는 한 달의 첫 一旬 중의 하루로 파악하는 것이 좀 더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진다. 가장 큰 이유로 干支日의 月相과 대응에 있어 불균등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며, 수치적으로도 初吉에 대응하는 干支日의 숫자는 98개로 나머지 月相에 대응하는 干支日의 합인 76개보다 많았다. 셋째, 특정 干支에 따른 銘文 內容의 특별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西周時期 金文 銘文의 內容을 관통하는 것은 바로 冊命과 그에 따르는 賞賜로 특정 干支日에 상관없이 모든 干支일의 내용의 80% 이상이 冊命과 賞賜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또한 干支銘文 중에서 특별한 記事의 內容이 없이 干支日이 표기된 명문이 33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서, 干支日과 記事 內容이 별개일 가능성을 방증하고 있다.

      • 상호 호완성 있는 임플랜트 지대주와 고정체간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김미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32236

        Dental implantology has been one of the most rapidly widespreading and developing fields of dental practice Recently, various implant systems were supplied, especially interchangeable implant abutments and fixtures were su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 of various implant interchangeable abutments - Steri-Oss fixture interface The maginal fit was measured by means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largest gap was shown when Estheticone abutment of Branemark system was connected with Steri-Oss fixture (28 10± 6 69 ㎛) 2 In case of UCLA type abutments were connected with Steri-Oss fixture, the size of gap was shown in the order of the case of Bra˚nemark UCLA abutment (5.67±3 43 ㎛), the case of Steri-Oss HL Hexed abutment (3.96± 1.15 ㎛), the case of 3_(1) Gold UCLA abutment (3 01±l35㎛) 3 It seems that the interchangeable abutments, except the case of Estheticone abutment of Bra˚nemark system, can be used because most of intechangeable abutments don't have large difference in gap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ide area bus users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고지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32232

        행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이 완전히 합리적일 수 없다고 가정한다. 합리적이고자 노력하지만 세상이 너무 복잡하여 우리의 제한된 지적능력으로 완전히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2002년 다니엘 카네만 교수(프리스턴대학교 심리학과)가 행동경제학을 대표하는 전망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데 이어, 2017년에는 리처드 세일러 교수(시카고대학교 부스경영대학원)가 행동경제학을 체계화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이미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에서는 행동경제학을 이용하여 각종 제도를 재설계하고 있다. 최근 버스 노선 지․간선체계 개편에 실패하거나(경기도 여주시, 2013), 개편 이후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례가 있었다(인천시, 2016). 노선의 중복도와 굴곡도를 개선하여 운행효율을 높이고자 추진한 노선개편이었다. 도심의 혼잡이 완화됨은 물론 운행횟수 증가로 배차간격이 줄어들어 이용자의 편익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용자의 환승불편과 기존 버스 시간 변경에 따른 혼란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노선개편 전 철저한 이용자 특성 분석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경기도 여주시와 인천시의 사례를 접하면서 버스 이용자에 대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특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행동경제학 이론을 이용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연구는 광역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는데 이는 입석승객 해소를 위해 광역버스 지․간선체계 개편 방안이 논의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용자의 특성을 알아낸다면 여주시와 인천시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노선개편의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의 버스 지․간선체계 개편에 대한 연구는 노선의 굴곡도, 중복도, 운행횟수 등을 진단하고 노선개편의 필요성을 도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지․간선체계 개편을 가정한 상황 속에서 행동 경제학 이론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적용한 행동경제학의 특성은 사람들이 확실한 것을 특별히 중시하는 경향인 “확실성 효과”(Maurice Felix Charles Allais, 1952), 현재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으려는 관성이 작용한다는 “현상유지편향”(Kahneman, Daniel, and Amos Tversky, 1979), 감정이 가장 고조되었을 때와 가장 최근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인 “절정-대미효과”(Kahneman, D., Fredrickson, 1993)이다. 버스 이용자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지․간선체계 개편과 관련한 상황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노선개편 전후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지․간선체계로 개편되면 광역버스의 노선은 거점 정류소 위주로 운행하면서 운행효율이 높은 노선(환승발생, 좌석확보 확실, 이하 통행방법①)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는 현재 굴곡도가 높고 운행효율이 떨어지는 노선(환승없음, 좌석확보 불확실, 이하 통행방법②)과 다른 점이다. 두 가지 통행방법 중에서 어떤 통행방법을 선호하는지를 확실성 효과를 근거로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노선개편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가정한 연구이다. 지․간선체계의 대표적인 노선 형태는 (대중교통+광역버스, 이하 통행방법③) 또는 (광역버스+대중교통, 이하 통행방법④)이다. 두 가지 통행방법 중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현상유지편향과 절정-대미효과를 근거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통해 광역버스 이용자가 반드시 통행시간이 최소화되는 통행방법을 선호하는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석확보에 대한 확실성 효과를 연구한 결과 통행방법①과 통행방법② 중에서 광역버스 이용자의 62.3%는 통행시간이 14.2분이 더 길어지더라도 통행방법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좌석확보에 대한 확실성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로짓모형을 통해 환승통행객이 단일통행객보다 확실성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 광역버스 탑승시간이 길어질수록 확실성효과가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역버스 이용자에 대한 확실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정책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은 환승통행객이 많고 장거리 운행 노선에 대해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통행방법에 대해 현상유지편향이 나타나는지 연구하였다. 광역버스 이용자 중 환승통행객(광역버스 이외에 타 대중교통수단을 함께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행방법③과 통행방법④ 중에서 환승통행객 중 71.1%는 통행시간이 14.4분이 더 소요되어도 현재 통행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자신의 통행방법에 가중치를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로짓모형 분석결과 관행추구성향이 강하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신의 통행방법을 유지하려는 현상유지편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환승통행객이 많은 노선에 대한 지․간선체계 개편 검토 시에는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방법을 분석하고, 그 형태가 최대한 유지되도록 노선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고령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광역버스 이용자의 연령대도 높아질 전망이므로 노선개편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셋째, 통행방법에 대한 절정-대미효과를 연구하였다. 광역버스 이용자 중 단일통행객(환승없이 광역버스만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 하였다. 통행방법③과 통행방법④중에서 이용자의 72%는 통행시간이 최소화되는 통행방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환승통행객들과 달리 단일통행객들은 특별히 선호하는 통행방법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단일통행객이 많은 광역버스 노선을 개편할 때에는 특정 통행방법을 설정하기 보다는 어떠한 형태이든 통행시간을 최소화하는 노선개편이 필요하다. 행동경제학 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은 확률 이론에 따라 논리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간단한(heuristic) 방식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어떤 결정을 내림에 있어 편향(bias)이 발생한다. 앞으로의 대중교통 정책은 시스템 전체적인 운영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이용자의 특성, 예컨대 통행 시간이 증가해도 좌석확보가 확실한 통행방법을 선호하거나, 통행시간이 더 소요되더라도 현재의 통행방법을 선호하는 특성을 이해하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Behavioral economics assumes that humans cannot be completely rational. We try to be reasonable, but the world is too complicated for us to make completely rational decisions with our limited intellectual capabilities. In 2002, Professor Daniel Kaneman (Department of Psychology, Princeton University) received the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his prospect theory, a key concept in behavioral economics. In 2017, Professor Richard Sailor (Booth School of Business, University of Chicago) also received the Nobel Prize in economics in recognition of his systemization of behavioral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Canada, and Australia, various systems are being re-designed based on behavioral economic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stances of failure in reorganizing the branch or main bus route systems (Yeoju, Gyeonggi-do, 2013) and of difficulties in settlement after reorganization (Incheon city, 2016). Reorganization of a route is undertake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by improving the redundancy and curvature of routes. It was expected that congestion in the city would be eased and the convenience of users would increase thanks to the reduction in the dispatching interval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buses in operation, but the result was unsatisfactory. Confusion caused by the inconvenience of transfer and the change of the previous bus times seemed to be the main cause. It is also necessary to thorough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efore reorganizing the routes. In the city of Yeoju in Gyeonggi province and in the city of Incheon,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ome characteristics that planners had not previously known about bus users, and this is why behavioral economics theory is adopted in this research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on wide area bus users because a reorganization of the branch/main routes of wide area buse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standing passengers was under discussion. By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the ill effects of route changes like those in the cities of Yeoju and Incheon could be avoided. In the past, studies on the reorganization of branch and main bus routes had mainly focused on diagnosing the curvature, the redundancy,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then used this information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a route reorganiz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y applying behavioral economics theory to the assumed context of reorganization for the branch and main route systems. The concepts from behavioral economics applied for the study are the "certainty effect" (Maurice Felix Charles Allais, 1952), which holds that people tend to emphasize certainty; the "Status Quo bias" (Kahneman, Daniel, and Amos Tversky, 1979), which states that inertia works to keep it from moving in its current state; and the "peak-end effect" (Kahneman, D., Fredrickson, 1993), which holds that people tend to place an emphasis on peak emotions and their most recent experienc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us users, the researcher set up a situation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branch/main route bus systems and collected the data through questionnaires. First, this study assumed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route. When reorganized into the branch/main systems, the routes of the wide-area bus will be changed into routes with high efficiency (transit possible, seats secu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ffic method ①’) as the buses are operated mainly through the hub points. This is in contrast to the current curved and less efficient routes (transit impossible, seats not secu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ffic method ②’). Based on the certainty effect, the hypothesis was set up and the study proceed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passage methods is preferred. Next, a survey was carried out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oute cannot be changed any more. The typical transportation types in the branch/main route system are (public transit + wide area b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ffic method ③’) and (wide area bus + public trans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ffic method ④’). Based on the Status Quo bias and the peak-end effects, the study proceed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passage methods is preferred. Through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wide area bus users do not necessarily prefer the passage method that minimizes travel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on the certainty of securing seats, 62.3% of the wide area bus users preferred traffic method ① when asked to choose between traffic method ① and method ②, even if the travel time was 14.2 minutes longer. This shows that the certainty effect on securing the seats was valid. Through the logit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ransit passengers are more likely to show the certainty effect than single passengers, and that the longer the bus riding time,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the certainty eff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olicy to ensure seat certainty for wide area bus users. This policy needs to be implemented first on the long routes that have many transit passengers. Secon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tatus quo bias appears for the traffic methods was investigate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ransit passengers (people who use other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to the wide area bus) among wide area bus users. 71.1% of transit passengers using traffic method ③ and traffic method ④ preferred the current traffic method, even if the travel time takes 14.4 minutes long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giving weight to their current traffic methods. The results of the logit model analysis show that the possibility of a status quo bias toward maintaining their own traffic methods increases as their tendency to stick to their usual routine becomes stronger and their age becomes higher. In this way, we can see that when reviewing the revision of branch / main routes with many transit passeng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raffic methods using traffic card data and to design the route so that the shape of the previous route can be maintained to the extent that this is possible. As our society develops into an aging society, the age range of wide area bus users will also increase. Therefore, this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vision of routes. Third, the peak-end effect on the traffic method was examined. Of the wide area bus users, only the simple passengers (those who use only wide area buses without transit) were analyzed. Between traffic method ③ and traffic method ④, 72% of the users preferred the traffic method with the minimum travel time. Unlike the transit passengers, simple passengers did not have a particularly preferred traffic method. Therefore, when rearranging the wide area bus route with many simple passenger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routes in a manner that minimizes the travel time of any type rather than setting a specific traffic method. According to behavioral economics theory, people use biases in making decisions because they judge through a simple(heuristic) method rather than a logical one based on probability theory. In the future,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should not be set up in a way that simply optimiz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but also in consideration of users' characteristics as presented in this study; for example, considering that they may prefer their current traffic method even if it takes longer, or they may prefer a longer route only if seats are secured.

      • Effect of hemisphere-specific training on inter-limb learning transfer (ILT) for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유인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3 국내박사

        RANK : 2319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inter-limb learning transfer (ILT) to the contralateral upper limb after both hemisphere-specific and -unspecific ipsilateral upper limb training. Twenty-four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participated. All participants were in Brunnstrom recovery stage five or higher for arm and hand function and ha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scores ≥25. This study used a training task involving a customized static cone, customized box and block, and customized pegboard tasks. The hemisphere-specific training group performed reaching movements in a customized training setting in which non-dominant limb training participants began from a single starting location and proceeded to one of three target locations (1S3T condition); the dominant limb training participants started from one of three starting locations and proceeded to a single target location (3S1T condition). The hemisphere-unspecific training group performed these movements starting under reverse-start and target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non-dominant to dominant limb transfer, the hemisphere-specific training group performance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pre-training session (p < 0.05). Dominant to non-dominant limb transfer in the hemisphere-specific training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RMS amplitudes from the pre-training session in the biceps brachii and triceps muscles (p < 0.05). However, the hemisphere-unspecific training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limb learning transfer (ILT). Specially, in the hemisphere-specific training group, each limb transfer isolation contraction rati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training session in the upper trapezius and biceps brachii muscles (p < 0.05). Additionally, the percent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 RVC)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in the biceps brachii and triceps lateral head muscles, and the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hemisphere-specific training (p < 0.05). On the other hand, the hemisphere-unspecific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muscle activity only in the upper trapezius after training (p < 0.05). Consequently, the transfer of hemisphere-specific training from one arm to the other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functional recovery than did hemisphere-unspecific training for patients with stroke and hemiparesis.

      • γ-Alumina에 擔持된 酸化銅과 亞黃酸가스 간의 反應特性

        오준옥 全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199470

        γ-Alumina(입자 직경 350-1200μ, 표면적 270 ㎡/g, 세공용적 0.38㎤/g)상에 몇가지 다른 양으로 담지된 산화동과 아황산가스 간의 반응이 고정층 반응기내에서 온도, 입자 레이놀드수, 아황산가스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수행되었고, 플러그흐름 가정에 바탕을 둔 콤퓨터 모사 결과와 실험에서 얻어진 파과독선을 비교하여 흡착제의 유효표면적을 평가 하였으며 고정층내 최적 조업조건을 설정하였다. 담지된 산화동의 흡착효율과 흡착제의 유효표면적으로부터 최적 조업 조건은 산화동의 담지농도 6.30%, 반응온도 300℃, 업자 레이놀드수 1.7, 아황산가스 농도 2000 ppm이었다. Reaction between sulfur dioxide and copper oxide impregnated in different amount in γ-Alumina (particle diameter 350-1200μ, surface area 270m²/g, pore volume 0.38cm³/g) was carried out in a fixed bed reactor varing temperature, particle Reynolds number,and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The effective surface area of the adsorbent could be estimated by comparing experimental break-through curve with the results from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plug flow assumption.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adsorbent, which can be determined with the effective surface area and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the copper oxide were copper oxide concentration 6.30% reaction temperature 300℃, particle Reynolds number 1.7, and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2000 p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