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토기의 조형적 특성 표현을 통한 현대 도자 연구

        강성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919

        예술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그 시대적 상황과 유기적인 관계를 통하여 변화를 모색해 왔으며 끊임없이 혁신적인 표현의 영역을 개척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특히 공예미술의 분야에 있어서는 더욱 인간과 생활환경과의 밀접한 관계를 통하여 용(用)이라는 목적을 기반으로 기술과 표현양식이 다양하게 변하여 왔음은 우리 모두가 인식하고 있는 바이다. 공예미술 중에서도 도예(陶藝)는 도자기라는 자체가 분명 미적 가치를 지닌 조형물이기는 하나 그 이전에 먼저 인간의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아 일상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이해되어져 왔었다. 그러한 생활 속의 도구에 심미성을 가미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어져 우리 문화의 현대의 도자예술로 발전해 나갈 수 있었다. 도예는 흙을 재료로 한다는 공통된 조형적 성격이 있지만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생활용기(生活容器)와 비실용적이고 조형성이 강한 예술로서의 도자로 변화되어 왔었다. 이렇듯 흙을 재료로 하는 도예는 순수한 형태에 대한 미적 체험과 관련하여 대체로 그 형태 나름의 특징을 가지면서 작가의 내면에서의 표현을 위한 하나의 조형예술로 볼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국 현대도자에 있어서 조형 형태는 용기(用器)라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순수한 조형예술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공간에 대한 새로운 변화이다. 이런 변화는 전통 예술의 개념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의 충분한 상호 교류를 통해 조형 활동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도예의 범주 안에 있는 토기는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수렵채취 생활에서 농경 사회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생활 속에서 양식을 운반하고 저장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토기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그 시대의 생활상과 지역성을 반영하듯 형태의 다양성과 장식성을 가지고 만들어졌다. 즉, 토기의 발전과정은 인간의 생활과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고대인들의 토기에 대한 의미는 용기(容器)에 무엇을 담는다는 의미 외에도 미적 욕구와 함께 조형행위(造型行爲)가 이루어졌음을 토기의 장식행위(裝飾行爲)에서 볼 수 있다. 토기에 선을 긋고, 붙이고, 구멍을 뚫는 장식적 효과에서 우리는 고대인들의 조형의식을 알 수가 있다. 즉 고대 토기시대의 조형적 특성은 형태를 포함한 모든 것들이 하나의 전통 조형물이기보다는 실용적인 기(器)의 개념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이러한 구분은 현대에 와서 실용성의 유무와 상관없이 다만 순수한 시각적 조형물로 접근해 가고 있는 양상이 뚜렷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역사를 그대로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 토기의 형상을 통해 전통적 미감과 현대적 감성의 미의식을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형상의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토기의 이미지를 구체화시키고, 의식의 흐름과 행위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율적인 조형요소를 일치시키는데 있어 토기의 조형성이라는 표현양식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원시적인 토기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 토기에 이르기까지의 시대 변천에 따른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형태와 문양,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토기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미적 요소를 상징적인 개념의 예술로서의 본질로 이해함으로서 작품제작에 있어 조형적 특성을 유추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현대도자 조형에 응용하여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하고자하며 이러한 조형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옛것에 대한 형태의 모방이 아닌 한 시대의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생명력이 느껴지는 조형물로 표현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전통 예술의 조형적 측면을 살려 우리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의식을 이끌어내고 다른 문화와 구별되는 아름다운 한국의 미를 이어나가 창조활동에 바탕을 이룰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고 흙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도자예술로 표현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한국 토기에 대한 전통문화로서의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차원에서의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신석기,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와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등의 토기와 시대별 토기에 나타나는 문양의 상징성과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조형적인 기초 자료를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도예의 형성과 전개, 한국의 현대도예의 성립과정 및 조형표현의 유형과, 표현기법을 분류 분석하여 현대도예에 나타난 토기의 조형 및 조형물이 내포한 상징성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작품 연구에서는 토기의 대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상의 내재성에 의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고, 또한 작가 자신이 자연물을 접하고 관망하면서 느끼는 아름다움에 대한 관념적으로 인식을 작가적 미의식으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흙이 지닌 폭넓은 물성과 토기 조형적 특성의 접목이 도자문화예술에 끼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자연의 재료에 의한 기능적 용기인 토기를 생활미술로 끌어들인 선인들의 예술 행위처럼, 자연의 정서가 담긴 고전적 형태와 문양이 우리의 전통요소로써 심미적인 생활공간과 예술적 조형 작품으로의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토기의 특성이 응용된 도자에 대한 재평가와 조형적 탐구로의 모색을 위한 연구자의 작품으로 표현되어졌다고 할 수 있다.

      •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 연구

        이명헌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y refers to a new style of Baekje’s Sabi pottery pottery of a new style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Koguryo. Among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y, this study examines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and a flat mouth, jars with bridge-shaped handles and a flat mouth, bowls with flat-bottomed and bridge-shaped handles, steamers, bowls with hoof, bowls with extended rims, plates, earthen chimneys, pots with a long body, jars, earthen boxes, and earthen caldrons, as well as pottery fragments with brush marks. The potteri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excavated in Buyeo, Iksan, and other cities. Most of them were found in the ruins of living spaces. Most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tombs are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and bowls with flat-bottomed and bridge-shaped handles.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ttery, and examines the time of emergence and changes of each type using chronological data such as subsistence patterns and accompanied artifac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jars, bowls with hoof, and pots with a long body began to be made in Baekje’s Ungjin period, and the other potteries began to be created in the mid-to-late 6th century. A comparison between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nd Koguryo potteries showed that Koguryo potteries in the 5th century were related with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and bowls with flat-bottomed and bridge-shaped handles in Baekje’s Ungjin period, and the other potteries were related to Koguryo potteries in the 6th century. However, unlike Koguryo potteries,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show signs of Baekje’s traditional pottery crafting techniques, as evidenced by the mouths and flat-bottoms of bowls with flat-bottomed and bridge-shaped handles, the holes of earthen chimneys, and the two-piece e earthen chimneys. In addition,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Koguryo potteries by traces of tanal found in the former potter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were created by Baekje artisans, and Baekje’s traditional pottery techniques and the style of Koguryo potteries began to merge after the emergence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The development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can be explained in three stages. In Stage 1, which center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cultural encounter with Koguryo resulted in some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including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and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and a flat mouth. These potteries were mainly excavated from areas outside the capital (Ungjin). Some of them were found in coastal areas (Seocheon) while others were found in inland areas (Gongju and Buyeo). The potteries found in coastal areas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echniques closely resembling the techniques used for 5th century Koguryo potteries. On the other hand, while the potteries found in inland areas have similar shapes to 5th century Koguryo potteries, they are distinguished from their coastal counterparts by their smaller sizes and traces of tanal. In addition, among the potteries found in inland areas, Koguryo-style potteries excavated from Hwajisan Mountain and Gungnamji Pond in Buyeo are estimated to show signs of slave labor by Koguryo prisoners. Stage 2, which ranges from the mid to the late 6th century, marks the full-fledged production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Potteries from this period encompasses most types of the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The stage 2 potteries a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under central supervision, and estimated to have been used by royalties and noblemen given the fact that they were excavated in major ruins within the capital. In terms of shape, the stage 2 potteries are similar to Koguryo potteries in the 6th century. The influence of 6th-century Koguryo potteries found in the stage 2 potteries appear to be at least partially related to the adoption of Buddhism by the Baekje royal court aimed at expanding the king’s authority.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tage 2 potteries are found in the capital and related to 6th-century Koguryo potterie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stage 1 potteries in terms of their nature and places of excavation. There appears to be no continuity between the stage 1 potteries and the stage 2 potteries. In Stage 3, which la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o the fall of Baekje,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began to show its own development trajectories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potteries in the era. These potteries suggest that, even though Baekje produced Sabi style potteries under the influence from Koguryo, the Baekje artisans developed their own styles outside the influence from the north. However, some pottery types such as bowls with hoof, bowls with extended rims, and plates are presu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Chinese potteries and metal potteries. Next,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Some researchers previously argued that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were shaped by the cultural encounter between Baekje and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However, this position is refuted by the fact that only a small part of the pottery types were the results of the cultural encounter between the two kingdoms. Others have speculated that the potteries were the results of the coming of Koguryo and old Baekje migrants. However, it is unlikely to be true because the standing of such migrants is not congruent to the status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lternatively, this study attempts an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onal background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using the Peer Polity Interaction model.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red stone tombs that became popular in Baekje’s Hanseong period, and the cultural homogeneity between Koguryo and the Tree Yan Kingdoms. The analysis showed that, unlike the red stone toms and the cultural homogeneity,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by more indirect interactions (transfer of non-material culture and technology transfer). In addition, the decline in Baekje’s traditional elements in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could have been caused by the spread of Sabi-style Baekje potteries that inherited the convenience of Koguryo potteries. In other words, although it may not have been a major driver for Baekje’s adoption of Koguryo’s pottery culture, the convenience of Koguryo potteries appears to have been one of the causes behind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Sabi-style Baekje potteries.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란 백제 사비기에 고구려토기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는 새로운 양식의 토기를 말한다. 연구대상은 양이부호, 직구호, 직구옹, 자배기, 시루, 대부완, 이배, 접시, 연통, 장동호, 옹, 합, 부형토기 등의 기종이 해당되며, 여기에 암문이 시문된 토기 편도 해당된다. 연구대상의 출토지는 부여, 익산 등 도성을 중심으로 확인되며, 대부분 생활유적에서 출토된다. 그리고 분묘 출토품은 옹관으로 사용된 양이부호와 자배기가 대다수이다. 이후 개별기종에 대한 특징들을 파악하고, 층위양상 및 공반유물과 같은 편년 자료를 활용하여, 기종별로 등장시기와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이부호, 동이, 대부완, 장동호 등이 웅진기부터 등장하고, 나머지 기종들은 대부분 6세기 중엽~후엽에 등장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 고구려토기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5세기 고구려토기는 백제 웅진기 양이부호, 자배기와 관련 있음을 파악하였고, 나머지 기종들은 대부분 6세기 고구려토기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에서는 고구려토기와는 다르게 자배기의 주구와 원저, 반원형의 증기공과 원저완 계통의 대부완, 연가의 투공형태 및 결합식 연통 등과 같이 백제의 전통적 토기 제작기법이 확인되었다. 또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에서는 타날흔이 다수 확인되고 있어 고구려토기와 큰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생산주체는 백제공인이었음을 알 수 있고,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등장한 후 백제의 전통적인 토기 제작기법과 고구려토기의 형태가 융합되어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형성되고 정착되어 가는 과정은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6세기를 전후하여 고구려와의 문화접변으로 인해 양이부호, 직구호 등 일부 기종이 등장하는 단계이다. 도성(웅진) 외 지역에서 주로 출토되는데, 출토지역에 따라 해안지역(서천)과 내륙지역(공주, 부여)으로 구분된다. 해안지역은 5세기 고구려토기와 거의 동일한 제작기법으로 제작된 토기들이 확인되어 특징적이며, 내륙지역은 5세기대 고구려토기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크기가 작고, 타날흔이 확인되는 등 해안지역 출토품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내륙지역 출토품 중 부여 화지산, 궁남지 등 부여 내부에서 출토된 고구려계 토기들은 소수의 고구려 포로들이 노역했던 흔적으로 추정된다. 2단계는 6세기 중엽에서 후엽으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단계이다. 이 무렵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거의 모든 기종이 출현한다. 그리고 2단계 토기는 중앙통제 하에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도성 내 주요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을 볼 때 왕실 및 귀족계층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2단계 토기는 형태적으로 6세기대 고구려토기와 유사함이 확인된다. 2단계 토기에서 6세기대 고구려토기의 영향이 확인되는 이유로는 위덕왕대 백제 왕실이 왕권 강화를 위해 주도한 불교의 수용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단계 토기는 도성 내에서 출토되는 것, 6세기대 고구려토기와 관련 있는 것 등으로 보아 1단계 토기와는 성격과 출현 경로가 다르며, 두 단계의 토기는 서로 연속적인 관계가 아니라 단절적인 관계로 파악된다. 3단계는 7세기를 전후한 시점부터 백제 멸망까지로, 고구려토기의 변천 양상과는 상관없이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자체적으로 변화해나가는 단계이다. 이는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비록 고구려와의 영향 관계 하에서 도입되었지만 백제 공인들에 의해 제작되면서 고구려와는 관련 없이 자체적인 변화 발전을 거쳤음을 의미한다. 다만 대부완, 이배, 접시 등과 같은 기종은 형성 및 변화과정에서 중국 자기·금속기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배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기존에 제시된 고구려와의 문화접변으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성립되었다는 견해는 문화접변으로 등장한 기종이 매우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으며, 고구려주민·舊백제민의 이주로 인해 형성되었다는 견해는 이주민과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격이 맞지 않아 가능성이 낮다. 기존 견해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배경에 대해 Peer Polity Interaction 모델을 이용해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백제 한성기에 유행한 적석총과 고구려와 삼연의 문화적 동질성 등의 유사한 사례를 참고하였다. 그 결과 위의 두 사례와는 다르게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는 비교적 간접적인 상호작용(비 물질문화의 전이, 기술의 전달 등)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에서 확인되는 백제토기의 전통적인 일부 요소의 쇠퇴현상은 고구려토기의 편리성을 이어받은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확산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고구려토기의 생활 편리성이 백제가 고구려토기 문화를 도입하는데 중요한 요인은 아니었을지라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확산 및 발전하는데 있어 하나의 동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4세기 토기생산체계의 전이 : 김해지역의 토기생산을 중심으로

        안한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19

        3세기 후반 새로운 토기생산체계가 출현하고 4세기 동안 생산체계의 전이가 이루어진다. 이는 경주와 그 주변, 함안, 김해지역 등 영남 전역에서 확인되는 현상으로 다만 전개 양상에 있어 지역차는 존재한다. 경주는 4세기 중반까지도 와질토기 제작전통이 우세하여 도질토기로의 전환이 비교적 늦은 편이다. 함안은 4세기 전반에 이미 대부분의 기종을 도질토기로 생산하지만 그 이전 시기의 와질토기 자료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김해지역은 기존 와질토기 생산체계에서 도질토기 생산체계로의 전환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편이다. 따라서 생산체계의 변화를 보여주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토기 자료를 살펴보면 기술적인 속성들이 상당히 얽혀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두 대조적인 토기생산체계가 어떻게 공존하며 통합되었을까? 그 과정에서 확인되는 유사성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이미 기존에 와질-도질토기 생산체계로의 대체·통합에 대한 논의는 일부 이루어졌으나 세부적인 과정에는 접근하지 못했다. 따라서 성형기술과 토기 작업연쇄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먼저 김해지역 내 와질토기와 도질토기가 공존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종별로 타날문단경호, 노형토기, 노형기대로 나누어 자료를 검토하였다. 제작공정이나 그와 관련된 성형기술, 토기 표면의 흔적 등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토기 작업연쇄 개념에 주목해 제작에 있어 연속적 변화를 구성하는 동작의 설명, 각 행동과 관련된 기술적 요소 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성형기술을 살펴본 후 표면 흔적을 조합하여 작업연쇄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타날문단경호 작업연쇄 A~E와 노형기대 작업연쇄 a~d로 분류하였다. 물론 이는 구분되어 확인되는 특정 작업연쇄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 외의 작업연쇄 또한 당시 존재했을 수 있다. 세부 편년이 본 연구의 목표는 아니었기 때문에 기존의 안정된 편년안을 수용하였다. 앞서 분류한 작업연쇄를 나열해보니 세 가지 단계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Ⅰ단계는 이전 시기에서 이어지는 와질토기 생산체계와 함께 도질토기 생산체계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와질토기는 장식성이 강하고 노동이 비교적 많이 투입된 비효율적 생산체계이다. 도질토기는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단일 기종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생산체계이다. 신기술이 수용되어 사회 내에서 하나의 생산체계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사회·경제적인 조건들이 요구된다. Ⅱ단계는 도질토기 생산체계가 더욱 확대·발전되어 우세한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다. 전단계에 비해 새로운 형태와 작업연쇄가 추가된다. 이 단계에는 별개의 두 생산체계가 하나로 통합됨을 볼 수 있다. Ⅲ단계에는 대부분의 기종이 도질토기로 변화한다. 와질토기 생산체계는 축소되고 도질토기 생산체계는 크게 확대된다. 주변지역인 함안과의 제작정보 공유나 토기 교환 등을 통한 기술적 요인들이 기존의 토기 생산체계에 더해진다. 공존하던 두 생산체계는 결과적으로 도질토기 생산체계로의 통합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원삼국시대의 와질토기에서 삼국시대의 도질토기로의 전환을 기종별 기술과 작업연쇄, 나아가 생산체계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김해지역 내에는 분명히 와질토기 제작전통과 도질토기 제작전통을 유지해 간 생산조직이 있었으며, 그것은 분리되어 있다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결국 통합된다. In the second half of the third century a new pottery production system emerges, and the transi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takes place during the fourth century. This phenomenon is confirmed throughout the Yeongnam region, including Gimhae, Haman, and Gyeongju. However, regional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development. Since the Gyeongju area has been dominated by the tradition of making Wajil pottery(soft stoneware;瓦質土器) until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he transition to Dojil pottery(earthenware;陶質土器) was relatively slow. The Haman area already produces most of its types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with Dojil pottery, but the pottery data from the previous period are not confirmed. In particular, the Gimhae region gradually shifts from the existing Wajil pottery production system to the Dojil pottery production system. Therefore, it is suitable to show changes in the production system. In this study, a detailed analysis was attempted by setting it as a target. If you look at the pottery materials at that time, you can see that the technology is quite intertwined. So how did the two completely different production systems coexist and eventually become integrated? For what reason are the similarities identified in the process? There have already been some discussions on the replacement and integration of the system into the production of Wajil-Dojil pottery. However, in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no detailed approach to the proces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look at the forming technique and the ceramic chaîne opératoire together. First, only the sites with both the Wajil pottery and Dojil pottery technology in Gimhae were selected. In terms of pottery types, so called Tanalmun dangyeonho(beaten short-neck jar;打捺文土器) and Nohyeonggidae(brazier-shaped pedestal;爐形器臺) were the main targets. More focus was placed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related forming techniques, and the marks of the surface of the pottery. Focusing on the concept of ceramic chaîne opératoire, I tried to explain the motion that constitutes a continuous change and the technical elements associated with it. After examining the forming techniques, the chaîne opératoire was classified by combining the surface marks. As a result, Tanalmun dangyeonho chaîne opératoire A to E and Nohyeonggidae chaîne opératoire a to d were classified. Of course, this is aimed only at specific chaîne opératoire that I can distinguish from, and other things may also have existed at the time. Since the detailed chronology building was not the goal of this study, it followed the chronology of existing research. Listing the chaîne opératoire previously classified, they were able to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Stage Ⅰ is the time when the production system of Dojil pottery emerges, with the production system of Wajil pottery continuing from the previous period. Wajil technology is an inefficient production system that is highly decorative and involves relatively long working hours and labor. Dojil technology is a production system to minimize working hours and mass-produce a single type. In order for new technologies to be accepted and settled as a production system within society, various socio-economic conditions are needed. Stage Ⅱ begins to show a dominant tendency as the production system of Dojil pottery is further expanded and developed. New forms and chaîne opératoire are added compared to the previous stage. At this stage, we can see the integration of two separate ceramic production systems into one. Stage Ⅲ, most types are transformed into Dojil pottery. The production system of Wajil pottery is reduced and the production system of Dojil pottery is greatly expanded. Technical factors such as sharing production information with Haman, the surrounding area, and exchanging pottery are added to the existing ceramic production system. The two co-existing production systems are eventually integrated into the Dojil pottery production system. As such,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transition from Wajil potter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Dojil pott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ith different types of technology, chaîne opératoire, and even ceramic production system. Within the Gimhae region, there were clearly production organizations for Wajil and Dojil pottery, and they were separated,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and eventually integrated.

      • 新羅土器 硏究

        남익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4∼6세기 신라양식 토기에 대한 것으로서 여러 선학들이 마련해놓은 신라고고학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신라양식 토기의 발생’, ‘신라양식 토기의 확산과 의미’, ‘신라양식 토기의 편년과 역연대’, ‘신라토기 양식론’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과제와 방법,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신라양식 토기 연구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연구의 시공적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후 ‘양식’과 ‘신라양식 토기’에 대한 정의를 내렸으며, 신라양식 토기의 제작기법과 본고의 연구목적을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신라양식 토기의 편년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먼저 경주지역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 중 이단투창고배, 개, 일단투창고배, 대부완, 대부장경호 등의 기종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각 기종의 형식분류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 기종의 조합상과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토대로 Ⅰ∼Ⅻ기까지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경주지역을 시작으로 대구, 경산·영천, 성주, 창녕·청도·의령·합천, 구미·김천·옥천, 상주·문경·보은·청원(청주), 군위·의성·안동, 예천·영주·단양, 부산·창원, 울산·양산·밀양, 포항·영덕·울진, 강릉·삼척·정선지역의 편년을 각각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설정한 Ⅰ∼Ⅻ기의 각 단계에 절대연대를 부여하기 위해 먼저 신라양식 토기의 역연대에 관한 연구사를 검토하였고, 일본의 초기 스에키와 관련한 연륜연대측정법과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결과를 기준으로 황남동 109호분 3·4곽을 4세기 말엽, 황남대총 남분을 TK23형식 보다 한 단계 앞서는 5세기 중엽으로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고의 Ⅰ기는 4세기 초엽, Ⅱ기는 4세기 전엽, Ⅲ기는 4세기 중엽, Ⅳ기는 4세기 후엽, 황남동 109호분 3·4곽이 위치하는 Ⅴ기는 4세기 말엽, Ⅵ기는 5세기 초엽, Ⅶ기는 5세기 전엽, 황남대총 남분이 위치하는 Ⅷ기는 5세기 중엽, Ⅸ기는 5세기 후엽, Ⅹ기는 5세기 말엽, Ⅺ기는 6세기 초엽, Ⅻ기는 6세기 전엽에 각각 비정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신라토기 양식의 분포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세부적으로는 4세기 전엽을 시작으로 6세기 초·전엽까지 각 분기별로 어느 지역에 신라양식 토기가 새로이 확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4세기 전∼중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발생하기 이전 시기로, 원삼국시대 토기의 전통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토기의 경도(硬度)가 점점 강해지고, 주류를 이루던 단경호에서 경부가 점차 길어진 초기 형태의 장경호가 등장하였다. 이후 4세기 후엽은 ‘신라양식 토기’가 발생하기 직전 시기로, 고배의 경우 뚜껑받이턱이 형성되고, 나팔형의 대각이 완성되며, 고배와 짝을 이루는 개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제지역에서 확인되는 토기가 상당부분 형태적인 공통성을 보이고, 기종 구성 역시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대구, 포항, 울산, 부산지역 등에서는 약간의 공통성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다음 시기에 ‘신라양식 토기’가 성립되고 인근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 유입될 수 있는 토대는 이미 성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4세기 말엽에는 전형적인 신라양식 토기가 경주지역에서 등장하고, 이와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경주지역 인근의 영천, 포항, 울산지역과 부산, 상주지역 등에서 확인되었다. 5세기 초·전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산-대구-구미-성주지역, 밀양-창원-김해지역, 강릉지역으로 확산되고, 그 분포범위가 4세기 말엽에 비해 상당부분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5세기 중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북 북부의 안동지역, 추풍령 방향의 김천지역, 동해안의 울진-삼척지역, 낙동강 중하류역의 창녕지역 등으로 확산되고, 5세기 초·전엽에 비해 그 분포범위가 조금 더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5세기 후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북 북부의 예천, 문경지역, 상주에서 청원지역으로 향하는 보은지역, 동해안의 영덕지역까지 확산된다. 전시기보다 신라양식 토기의 확산 범위가 조금 더 넓어지고, 수량은 적지만 일부 가야지역까지 신라양식 토기가 확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세기 말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북 북부의 영주지역, 추풍령을 넘어 대전지역으로 향하는 옥천지역, 상주에서 보은지역을 지나 위치하는 청원지역, 남해안의 고성지역까지 확산되고, 이전 시기와 비교하자면 확산 속도와 범위가 조금은 줄어든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6세기 초·전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죽령을 넘어 단양지역과 남해안의 진주, 하동지역까지 확인되고, 영남지방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주지역과 형태적, 양식적으로 거의 동일한 토기가 제작·생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신라토기 양식의 분포 변화를 통해 4세기 말엽∼6세기 초·전엽에 해당하는 신라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Ⅴ장에서 확인한 시기별 신라양식 토기의 확산 양상을 바탕으로 ‘토기의 생산체계, 기술’, ‘정치적 통제행위’, ‘매장의례’ 등의 세 가지 측면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4세기 말엽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은 고식도질토기로 대표되는 전 시기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을 기본 바탕으로 하였을 것으로 생각되고, 영천, 포항, 울산지역 등은 경주지역으로부터 강한 양식적 선택압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고분에서 출토되는 토기의 기종조합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토기제사법(매장의례)은 양식적 선택압과 마찬가지로 포항, 영천지역 등에서는 ‘고배+장경호+단경호’라는 경주지역과 유사한 기종조합이 확인되었다. 다음 5세기 초·전엽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은 전시기와 달리 고식도질토기 생산체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품으로 대표되는 전형적인 신라양식 고배의 조형이 이 시기부터 등장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주지역에서 거리가 먼 성주지역의 경우에는 지역색이 강한 토기가 등장하기도 하고, 부산, 상주지역 등에서도 경주지역 토기를 모방하여 제작된 신라양식 토기가 재지 토기와 함께 확인되었다. 이에 양식적 선택압 수준은 4세기 말엽과 비슷한 수준이나, 약간 더 외연을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경주지역에서는 이 시기에 ‘유개고배+장경호+단경호+소호’라는 기종조합이 등장하고, 특히 4세기대부터 확인되는 ‘소호’는 경주식 토기제사법, 매장의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기종으로 자리 잡게 되며, 경산, 의성지역 등 경북 북부지역으로 경주지역과 유사한 경주식 토기제사법이 확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5세기 중엽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은 고식도질토기의 생산체계와 기술에서 벗어나, 회청색의 기벽이 얇은 경질토기를 제작할 수 있는 신라 고유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이 정착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양식적 선택압 역시 신라영역 내에서는 전시기 보다 한층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성주, 의성, 창녕지역 등에서는 지역색이 강한 토기가 제작되지만, ‘신라양식’이라는 대양식 속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이 시기에는 ‘유개고배+장경호+단경호+소호’라는 기존 기종조합에 ‘대부완’이 추가되고, 경주식 토기제사법 혹은 매장의례가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5세기 후엽은 신라 고유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영남지방의 여러 지역에서도 경주지역과 비슷한 수준의 토기를 제작할 수 있는 생산체계와 기술이 전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양식적 선택압은 전시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영남지방 내 대부분의 지역과 동해안의 영덕-울진-삼척-강릉지역 등은 경주지역으로부터 강한 양식적 선택압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시기의 토기 기종조합은 전시기에 완성된 ‘유개고배+장경호+단경호+소호+대부완’으로 대표되고, 경주지역을 기점으로 동해안의 대부분 지역과 예천지역을 제외한 경북 전역에 경주식 매장의례가 전해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5세기 말엽은 토기양식에서 지역색이 사라지고, 경주지역과 형태적, 양식적으로 거의 동일한 토기가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이 경주지역과 지방이 큰 차이가 없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신라 중앙으로 부터의 양식적 선택압 수준 역시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고, 이 시기에는 가야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남지방에서 경주지역과 유사한 토기 기종조합이 확인되어 경주식 매장의례가 대부분의 신라영역에 완연하게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6세기 초·전엽에는 영남지방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주지역과 형태적, 양식적으로 거의 동일한 토기가 제작·생산되고,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 신라양식 토기는 공장에서 찍어낸 듯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데, 이를 통해 신라 중앙으로 부터의 양식적 선택압 수준 역시 최고조에 이른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경주식 토기제사법은 가야지역을 제외한 全영남지방에 확산된 것으로 보이는데, 죽령 이북의 단양지역까지 전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Silla's pottery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by scholars in the past. And this study researched on 'emergence of Silla style pottery', 'spread and meaning of Silla style pottery', 'chronology of Silla style pottery', 'styles theory of Silla style pottery'. First, chapter Ⅰ describes the tasks, method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this study was organized by scholars for the study of Silla style pottery and established a constructive scope for this study. It was then defined for 'style' and 'Silla style pottery'. Chapter Ⅱ describes the chronology of the Silla style pottery. First, among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Gyeong-ju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mounted cup, cover, mounted dish, and mounted jar with long neck and type classification of each kind of pottery was carried out. After steps were then established from I to XII based on the variation in the phase and time of each kind of pottery. And starting with the Gyeong-ju area, it presented chronologies from Dae-gu, Gyeong-san, Yeong-cheon, Seong-ju, Chang-nyeong, Cheong-do, Ui-ryeon g, Hap-cheon, Gu-mi, Gim-cheon, Ok-cheon, Sang-ju, Mun-gyeong, Bo-eun, Cheong-won, Gun-wi, Ui-seong, An-dong, Ye-cheon, Yeong-ju, Dan-yang, Bu-san, Gim-hae, Chang-won, Ul-san, Yang-san, Mir-yang, Po-hang, Yeong-deok, Ul-jin, Gang-neung, Sam-cheok, Jeong-seon area. Chapter Ⅲ analysed the history of absolute age of Silla style pottery. Af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methods related to Japan's early Sueki, absolute age from the early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was given at each steps. Chapter Ⅳ examines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illa style pottery. In detail, Silla style pottery was newly distributed in each quarter from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First, in the late 4th century, typical Silla pottery appeared in Gyeong-ju area, and similar types of pottery were found in Yeong-cheon, Po-hang, Ul-san, Bu-san and Sang-ju areas near Gyeong-ju. In the early 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o Gyeong-san, Dae-gu, Gu-mi, Seong-ju, Hap-cheon, Mir-yang, Gim-hae, Chang-won areas,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distribution has increased substantially from the late 4th century. In the mid-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spread to An-dong, Gim-cheon, Ul-jin, Sam-cheok and Changn-yeong area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Later in the 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will spread to Ye-cheon, Mun-gyeong, Bo-eun, Yeong-deok, Ui-ryeong, San-cheong, and the Jang-su area of Jeollabuk-do Province. And the spread of Silla style pottery was slightly wider than during the earlier times, and Silla style pottery was found to be found in some parts of Ga-ya area, although its quantity was small. By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spread from Yeong-ju of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Ok-cheon, Cheong-won, and Go-seong area on the southern coast, and the speed and scope of expansion have decreased slightly. Finally, in the early 6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was identified as Dan-yang, Jin-ju and Ha-dong areas in the south coast, and almost same type pottery was produced in most areas of Yeong-nam region. Chapter Ⅴ examined the trends of Silla, which correspond to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through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illa style pottery. Based on the proliferation of Silla style pottery by time, I examined three aspects, namely 'pottery production system, technology', 'political control act' and 'burial rites'. First of all, it was judged that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pottery in the late 4th century were based on the system and technology of Old-Type Cermics Pottery produced in the previous period. In addition, the burial rites were confirmed by a similar association to the Gyeong-ju area, as were the case with selective pressure.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pottery products in the early 5th century were somewhat deviated from the production system of Old-Type Cermics Pottery. It was also noted that the level of selective pressure was similar to that of the late 4th century, but slightly more external. In addition, there is a "mounted cup, cover, jar with long neck, jar with short neck and little jar" in Gyeongju. In particular, the newly added little jar was established as a model of Gyeongju-style burial rite, and it was judged that the burial rites similar to that of Gyeong-ju were widespread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ncluding Gyeong-san and Ui-seong areas. In the mid-5th century,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pottery products were determined to be characteristic in Silla, in order to produce pottery with thin walls. Selective pressure was also assumed to have been stronger in Silla than in the previous period. In addition, the existing type combination "mounted cup, cover, jar with long neck, jar with short neck and little jar" was added to 'mounted dish', and the burial rites of Gyeong-ju area was complete. Later in the 5th century, Silla's unique pottery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became more advanced, allowing various areas of the Yeong-nam region to produce pottery similar to that of Gyeong-ju area. Selective pressure was also thought to have been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with most areas in the Yeong-nam region under strong selective pressures from the Gyeong-ju area. At this time, pottery combination with "mounted cup, cover, jar with long neck, jar with short neck, little jar and mounted dish" is completed in earlier times where the eastern coast areas of Gyeong-ju area as its starting point.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burial rites of Gyeong-ju were held in all area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except Ye-cheon area. In the late 5th century, local character disappears from the style of pottery, and almost identical pottery was found in each area of Yeong-nam reg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the pottery were no different from the each area of Yeong-nam region. It was also judged that the level of selective pressure from the center of Silla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at burial rites of Gyeong-ju were introduced in most areas of Yeong-nam region, excluding Ga-ya areas. Finally, in the early 6th century, almost identical po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style as Gyeong-ju area in most areas in the Yeong-nam region, and Silla style pottery found in each area is a similar form as if it were taken from a factory. And selective pressure levels from the center of Silla were also estimated to have reached a peak. Also, the burial rites of Gyeong-ju were believed to have spread to all areas of Yeong-nam region except the Ga-ya area, and it was decided that the area was spread to Dan-yang area, north of Jung-nyeong(Ridge).

      • 漢城 都邑期 百濟人의 美意識 考察 : 風納土城 出土 百濟土器를 中心으로

        이해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19

        美意識은 어떤 대상에 대상적 특성 혹은 의미를 부여하는 주체이며, 대상을 대하는 방식이자 태도이다. 美의 주된 성격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더욱 구체화될지언정 전혀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美意識을 통해서 시대의 변화상을 포괄하는 주된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美意識에 담긴 전통성을 강조하는 까닭은 靑磁나 白磁에 선행하는 백제 토기에서 이미 그 原型이 되는 美感이 싹텄을 것임을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단순·소박미로 귀결되는 한국의 美感을 조선의 도자가 대표하고 있지만, 그것은 백자에 이르러 비로소 비롯된 것도, 비단 백자에만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이미 백제의 토기를 통해 구현되고 있었던 것이다. 풍납토성 토기에 구현된 백제인의 미의식은 自然美的 立場과 規範美的 立場으로 고찰될 수 있다. 우선 전자의 입장으로는 器形의 적당한 이지러짐이 주는 경쾌한 율동미 내지는 음악성을, 부분에 있어 세밀하지 않지만 그것이 전체적으로 어우러져 어색하지 않아 보이는 순박함을 느낄 수 있다. 형태가 좌우대칭이 아니어서 오히려 자연스럽고 느긋하다. 완벽에의 강박에서 벗어나 그것으로부터 무심해짐으로써 획득한 차원 높은 멋스러움은 토기 제작 기술력의 한계 노정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백제인의 생활 속에 내재한 낙천성 내지 자연 순응성의 발로라 여겨진다. 백제 토기를 통해 드러나는 아름다움의 진수는 이렇듯 잔재주를 부리지 않고 마음을 비우는 데서 비롯된다. 이런 요소들에서 단순함, 소박함, 질박함 등의 自然美가 도출된다. 이에 반해 규범적인 입장으로 파악되어야 할 미의식도 분명히 존재한다. 풍납토성의 층위는 네 개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상층부로 가면서 고급화된 有蓋器種과 儀器들이 출현하면서 점진적으로 세련된 면모를 갖춰간다. 향상된 기술력은 재질을 견고히 하는 기능적인 역할 외에 제품을 정돈되고 품격 있어 보이게 하는 등의 심미적 요소가 작용한 것이다. 이런 기종들은 고위 계층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했을 것이니, 상층부로 갈수록 양질의 토기가 제작되는 것은 사회의 계층 분화와 유관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시간 경과에 따른 토기의 고급화 추세는 제작 기술력의 향상 이상을 뜻한다. 또한 발전된 기술이 기존의 전통을 단절시키지 않고 점진적·단계적인 양상을 보이는데, 이로 인해 ‘토기 문화의 연속성’의 맥락 내에서 技術과 審美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풍납토성에서 출토되는 고급화된 기종의 차별성은 단순함을 잃지 않은 가운데 격식을 갖춘 고전적인 꾸밈새로 정리된다. 기대나 고배 등에서 느껴지는 整齊美는 바로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形과 線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기서 형식성, 정제성, 현실성 등의 規範美的 要素가 추출된다. 풍납토성 토기의 미의식이 이렇듯 양면에서 고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토기가 완벽에 대한 강박 관념을 보이지 않는 탓에 핵심적인 정서에서는 자연성이나 규범성의 경향이 초월되면서 상통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풍납토성 토기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자연미’이지만 미학 체계와 정치 체제의 유기적 관련 속에서, 이미 규범미적 요소 또한 이후 전개되는 고전적이고 세련된 그릇 역사의 萌芽로 배태되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endeavored to describe the Paekje potteries in aesthetic point of view in order not to simple explain the style but also to containing hearts, gestures and expression of the Paekje people. The aesthetic of harmonious the Paekje that blend into nature; the beauty of potteries created by an unknown pottery maker; handicrafts where simple sense of beauty is manifested in every life that have filtered into the lives of the people-each volume containing their living. All the creations are made by the will to model on the nature. Potteries excavated from Pungnaptoseong were not exception to that point. They were another nature made by the Paekje. Potteries previously stated, have the unrestrained freedom-the simple, the artless, the plain. And it also have the dignity, the refinement, and the reality. It shows how to Paekje people have successfully cope well with their own beauty of art midst of correlation between natural beauty and physical beauty. But both of them came from natural beauty inherited in Paekje people. Principal current is a "natural beauty", but also physical beauty is in a germinal stage clearly. Both of the beauty of natural and physical of the people who get well over the difficulties of living and display their ability all the more at such times, and of the art of Paekje which preserve a sense of optimism. The design, the sense of space, the humor, and the elegance of the potteries were introduced because they represented the identity of the Pakje. The aesthetic and periodic taste of Paekje people at middle of the history of art fully showed the introducing and model on nature that had happened the magnanimity and the high spiritual state full of vital power; for example the full moon shape jar and the egg-shaped pottery. In this study described the essence of Paekje beauty as a "natural beauty", "a craft of non craft", which excluded one's self and minimizes artificial traces as much as possible, and tried to find where the characteristic came from. Nature; live with nature and fallow nature; might be one of the sources. It maintains that an optimistic view of life also had a great effect an Paekje art. Due to this respect of nature, a nature oriented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result, nature became the primary and building the secondary; potteries was used as it was, that is, untrimmed.

      • 土器를 應用한 器 開發에 관한 硏究

        박진선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1919

        인간은 살아가면서 도구의 사용으로 양식의 저장과 보관에 필요한 용기를 흙으로 구워 사용하였다. 이렇게 인류가 필요에 의해 흙으로 만든 그릇을 우린 토기라 알고 있고 이러한 토기들은 문명이 발달됨에 따라서 더욱더 단단한 강도를 지닌 자기로 발달되어 왔으며 오늘에 이르러서는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용기는 물론이고 급속도로 변모하는 생활속에서 휴식과 안정을 얻기 위하여 보고 느낄 수 있는 목적이 있는 도조나 환경도자 등 도자기의 쓰임 또한 여러 목적으로 급변해 가고 있다. 이러한 도자기의 급변은 도예에 대한 새로운 방향과 다양함을 추구할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물레 성형으로 나타날 수 있는 器의 중요성을 잃기 쉽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이나 책에서만 접할 수 있는 토기를 주제로 삼아 현대인들에게 어렵지 않고 누구나 쉽게 인식이 될 수 있도록 토기의 형태와 기법을 현대감각에 맞게 디자인하여 생활환경에 따라 용도를 부여할 수도 있고 아울러 실내공간과도 어울리는 장식적인 효과도 나타낼 수 있는 器를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기를 응용한 器를 제작하기 위하여 토기의 시대별 분류를 알아보았다. 토기는 인류가 태어나 생활한 원시시대부터 자기가 생겨나기 전까지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특히 가야·신라시대의 토기는 아름답고 특이함을 지니고 있으므로 본 연구자의 시작품 제작은 가야, 신라시대의 토기를 중점으로 응용하여 제작하려 한다. 또한 투각이라는 특이한 평면장식과 고리를 다는 등의 입체 장식을 응용하여 좀더 아름답게 만들도록 노력하였으며, 옛 토기의 분위기를 거부감 없이 나타내고자 재유약과 여러 가지 유약을 이용하고 기존의 토기 강도보다는 단단한 강도를 지닌 토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작품이 현대인들에게 토기에 대한 재인식과 함께 쉽게 접할 수 있고 생활환경을 보다 정적이며 여유 있는 분위기로 이끌어 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After making use of tools, man utilised his vessels burnt from earth, which were needed to contain and lay up foods. We call it as crockery, and it has developed into porcelain which is harder than ever as civilization grows to be developed. Today, the utility of porcelain is changed into various purposes such as one aimed to be apprehended and feet relex and stability in the radical changing life, and environmental porcelain, not to mention of vessel. This change may bring about a new direction or variety on the procelain, whereas it is apt to make loss the importance represented by traditional spin on a spinning wheel. In this theis, therefore, I took the crockery which could be approached in museum or book as a theme, and designed its form and technique in order to be recognized easily by modem people. I would make a vessel with which we could give utility as well as we could seek for an ornamental effect matching well with interior space. I investigate in the thesis the sort of crockery by ages in order to produce the vessel with application of it. The crockery had close relation with life from the primitive age to the time before porcelain was made. Especially the crockery in the age of Kaya and Shilla has a beautiful and unique characteristic. My sample work would be produced applying them, and I tried to make it beautiful, applying its flat ornament by potted holes and its three-dimentional one by chains. Various glazes, including ashy one, will be put to express without rejection the atmosphere of old crockery. I will make it stronger then existing crockery. My work may be helpful for modern man to rethink on the crockery, to approach to it and guide to more stable and comfortable life condition.

      • 삼국시대 호남지역 발형토기 고찰

        송공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919

        Balhyeong pottery(鉢形土器)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earthen vessel in whole South Korea of Three Kingdoms as a representative relics in excavated in various area, period and relics. Particularly, this has been recognized as a universal and basic relics as a result found in living relics with long-egged pottery, steamer and others. Balhyeong pottery was subdivisibly named in Simbal(深鉢), Cheonbal(淺鉢), Daebal(大鉢) and was categorized into classification by height, base diameter, rim diameter, Saejangdo, etc. Cheonbal, Among these, is also called by ‘Janbal(잔발)’ sometimes, but ‘Cheonbal’ is more valid term as a name calssified into Simbal. The primary analysis into Balhyeong pottery has been used into classification criterion with the property of the pattern that potteries retained and rim diameter, base diameter, height, bodymax diameter, changing curve point of the body, narrow part(neck) diameter , and so on that can be measured. These quality is perceived to be related closely in molding course such as casting(mouth, body, pattern) and plasticity(colors, hardness). This is observed the meaning shown both in changing process and in approximating phase throughout the rel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Balhyeong pottery has a great changes in order of base, mouth, body and this pottery, moreover, shows variation in new pattern, colors, hardness. First, the thing that was shaped in the foot of the base degenerated, as hard part disappeared. And beating patterned potteries were found in about the 3th century. The greatest change of mouth pattern was begun in about the 4th century and inner part of the mouth formed dented shape, as the mouth was emphasized by the front side of water-spinning method. In addition to this, it is examined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contracted into inside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bodymax diameter is moved into the middle part gradually. With these distinguishing things, it is traced that the whole number of Balhyeong pottery increased rapidly and the pattern aspect Cheonbal and Daebal became various. And there appeared new patterns of Seungmun(straw rope pattern) and Pyeonghangmun(Parallel pattern) in the midst of prevalence of Kyekjamun(lattic pattern) and Sakuekjamun. These changes in Balhyeong pottery from the 3th century to the 4th century show changes of the weather and business economy, and also show the close connections with changes of settlement in ancient Mahan which were caused by social systematic establishment and regional expansion in Baekje. Changes of the body in Balhyeong pottery emerged in Simbal remarkably in about 5th century. The shapes of the body molded like cylinders, and the bodymax diameter molded close to the middle and bottom parts. Mouths were made horizontally, and in the base of mouths were formed grooves. Generally there showed the finishing touches by water-spinning method. In the aspects of patterns, colors and hardness, reddish brown softness was shown continuously, but the rate of newly appeared patterns such as Seungmun, Pyeonghangmun, Geochimun and Chochogmun was increasing relatively. However, the total amount of excavation of Balhyeong and the rate of excavation of Balhyeong in a certain settlement dropped sharply. Especially compared with Simbal, the rate of excavation of Cheonbal and Daebal decreased suddenly. General changes in Balhyeong shown in the 5th century were found in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which was due to the overall changes of surrounding society such a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 in Baekje(A.D.475). That is, the changes were revealed by the increase of the rate of excavation in circular of Wongkwan(Jar coffin) and carved pattern in Chochogmun. These aspects are founded in the changes of Long-egged pottery, steamer, and Jar-shaped pottery. But in the relation with shell-mounds, ancient mounds and kilns, it is needed more detailed studies to reveal the fact that the matters of regions and periods caused by the result of plain cultural exchange or political influence in the changes of forms in Balhyeong. Also, Cheonbal has to be studied more deeply through the comparison of development between Bungumyo(mounded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in Jeonbuk province and large the Jar-coffin mound tombs in Jeonnam province. 鉢形土器는 다양한 지역·시기·유적에서 출토되는 대표적인 유물로서 三國時代에 南韓 전역에 퍼졌던 토기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장란형토기, 시루 등과 함께 생활유적에서 많이 확인되어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유물로서 인식되어 왔다. 발형토기는 深鉢, 淺鉢, 大鉢로 세분되어 명명되어 왔고 기고, 저경, 구경, 세장도 등에 의해 서로 대별되어 분류가 이루어진다. 이 가운데 천발은 ‘잔발’로 불리기도 하지만 深鉢과 대별되는 명칭으로는 ‘淺鉢’이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발형토기에 대한 분석은 토기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 속성과 계측이 가능한 구경·저경·기고·동최대경·동체변곡점·속경 등을 분류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속성들은 성형(구연,동체,문양)과 소성(색조,경도) 등 토기의 제작과정에서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각 속성간의 관계를 통해 그 변천과정과 공반관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발형토기는 저부-구연-동체의 순서로 큰 형식변화가 이루어졌고, 새로운 문양의 등장과 색조·경도의 변화가 생겼다. 먼저, 저부에 굽이 형성되었던 것이 경질무문의 속성이 사라지면서 퇴화하였고, 3세기를 전후하여 타날이 이루어진 새로운 형식의 발형토기가 확인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구연 형식의 가장 큰 변화는 4세기를 전후하여 이루어지는데, 구연이 회전물손질의 정면에 의해 비교적 강조되어지며 구연단 내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동체의 상부는 내경하고 동최대경의 위치가 동체 중부로 조금씩 이동된다. 이와 함께 발형토기의 전체적인 수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천발과 대발의 형식이 다양해지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격자문·사격자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승문·평행문의 새로운 문양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3세기 전후~4세기대의 발형토기 변화는 기후 및 생업경제의 변화 뿐만 아니라 백제의 국가단계의 사회구축과 영역확대로 인한 마한 고지역의 취락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발형토기의 동체는 5세기를 전후하여 심발에서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동체의 형태는 원통형에 가깝게, 동최대경은 중·하부에 형성된다. 구연 또한 수평에 가깝게 외반되고 구연단에는 홈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회전물손질에 의한 마무리 성형이 강하게 나타난다. 비록 문양과 색조·경도에서는 대부분 적갈색연질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만, 승문·평행문·거치문·조족문 등 새로이 등장하는 문양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한편, 발형토기의 전체적인 출토량과 하나의 주거지 내에서 발형토기의 출토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데, 특히 천발과 대발의 출토량이 심발에 비해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이 보여진다. 이렇게 5세기대에 나타나는 발형토기의 전반적인 변화는 백제의 웅진천도(A.D. 475년)와 같은 주변사회의 전반적인 변화에 따른 직·간접적인 영향 즉, 옹관고분 주구에서의 출토량 증가 및 조족문의 시문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주거지에서 많이 출토되는 장란형토기와 시루, 호형토기의 변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발형토기의 형식변화에 있어서 지역과 시기의 문제는 단순한 문화적인 교류인지 또는 정치적인 영향력에 기인한 것인지에 대한 것은 패총, 고분 및 가마와 같은 다른 유구와의 연계속에서 좀더 세밀하게 파악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천발은 전북지역의 분구묘와 전남지역의 대형옹관고분의 발전의 비교검토를 통해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질 필요성이 있다.

      • 百濟土器를 利用한 用器 開發에 關한 硏究

        김태성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1919

        인류의 출현으로 시작된 흙의 사용은 여러형태로 나타난다. 그들은 언제부터인가 생활에 필요한 그릇을 구워 만들기 시작하였다. 그들의 지혜가 발달함에 따라 표면을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했고 아울러 여러 가지 형태를 고안하여 유약을 발라 사용하거나 제사용기로까지 기능을 발전시켰다. 신라 시대까지는 유약을 입히지 않은 토기가 주류이며, 통일신라말기부터 유약을 씌워 도기를 생산했다. 오늘날에는 실용성을 목적으로 한 용기류와 일상 생활 환경속에서 휴식과 안정을 얻고 느낄수 있는 환경도자와 도조 등 도자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쓰임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졌다. 이렇듯 현대 도예의 다양함과 새로운 방향의 추구는 도예 작업을 하는 도예인들에 있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물레성형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법을 표현해 보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기의 발전시기라고 할 수 있는 4세기형의 삼국시대 토기중 신라, 가야와는 기종이나 문양이 다른 백제시대토기를 주제로 하였으며 이중 항아리는 신라나 가야에서의 세련된 형태보다 질박한 형태와 다양한 형태로 백제의 대표적인 기종이라 할 수 있다. 또 항아리는 다른 기종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형태로 전의 모양나 외형이 다양하여 시작품 제작에 많이 응용하였다. 또 삼족기는 신라와 가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백제만의 특이한 기종으로 접시나 발의 몸체에 3개의 다리를 붙이고 몸체에 뚜껑을 씌우거나 씌우지 않은 형태로 부장용기로 많이 쓰였다. 여기서 우리가 흔히 토기라면 신라, 가야시대의 토기로 알고 있는데 신라, 가야의 토기가 발전할 수 있도록 토기를 전파시켜 백제시대의 흙냄새가 나는 찌그러지거나 좌우대칭이 맞지않은 토기를 주제로 현대감각에 맞게 재구성하여 일상생활 환경에 따라 용도를 부여하고 아울러 실내공간의 장식적인 효과와 실용적인 미를 나타낼 수 있는 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에 기존문헌과 연구자료, 사진 및 박물관 견학으로 토기를 고찰하였고 시작품 제작은 백제시대의 토기를 응용하여 제작하려 한다. 또한 제작기법은 옹기토, 백자토+산청토, 옹기토+백자토를 50대 50의 비율로 조합한 점토와 조합토를 사용하여 타렴, 물레성형, 판성형 기법으로 제작하고 장식 기법으로 투각기법, 인장기법과 귀를 다는등 입체장식을 이용하였으며 옛 토기의 분위기를 거부감 없이 현대적인 토기로 나타내고자 유약을 재유, 분청재유, 혹유 등을 사용하거나 2중시유를 하였다. 소성은 기물을 820도까지 초벌한 후 다시 1260도까지의 환원소성과 1차소성을 1100도까지 소성한 후 노천소성으로 연을 입히는 방법으로 단단한 강도를 지닌 토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작품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어려운 토기에 대하여 쉽게 접하고 여유있는 분위기와 풍요로움을 주며 도자문화의 확대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The human race had used the soil to take a something long long time ago. They stared to make the necessary vowels which had been boiled. The more his knoweldge was developed around life styles the more he expressed the beauty and the various of types on it which put glaze on pottery. But the glazed pottery was only producted since the end of a united Shilla. These days the pottery which are used in our life and environmental vowel has effected on the comfortable it are developed and varified all over the human's life. I want tell that this change may bring about a new direction or variety on the procelain, whereas it is willing to make loss the importance represented by traditional spin on a spinning wheel. This thesis analys that an earthen vessel of Pak-je which is different from Shil-la or Gaya on the types and symboles, B.C 4. And among the vesseles, a pot represents the Pak-je period with the symple model and various types. This pot has used the standard model to take the crokery of the next centery. In this reserching, we are willing to reform various shapes and crafts Is be suitable to modern sensibility and furnish us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everyday life, while the theme of pot which is hard us to see in everyday life. When generally talking about an earthern vessel we are mainly reminded of one of Shil-la and Gaya but here,m on the base of the earth-smoked and imperfect earthen vessel of Pak-je which made a kind of earthrn vessel popular, so that one of Shil-la and Gara could be developed, I plan to reorganized it suit for the mordern sensation inorder to use i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ordinary life and also make an earthern vessel which have decorating effect and is able to show practical beauty. This pot has intended to the earthern vessel used the pot Pak-je and investigated the papers, Phothographics, and museum's things. Also, the meathod of making pot is mixed the Pak-je mud + Sanchung mud, Wongi mud + Pak-je mud with 50 and 50 (%) and use the TARUM, SPINNING WHEEL. To give the mordern image, it was put glaze on pottery twice with Bun-Chung oil and Black-oil. The plasticity is fired and controlled it with 820℃ and 1260℃ again and then the returned plasticity is fired this with the temperature 1260. So, this thing is very strong and to be good vessel. This earthern vessel gives the uncontacted this for common people the understanding mood, beauty. And enlarges the culture of Pot for our life.

      • 嶺南地方 3-4世紀 鴨形土器 硏究

        김성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영남지방에서 출토되는 3~4세기 와질소성 압형토기의 제작지 및 공간적 분포 의미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토기의 형태 및 제작기법을 관찰하고, 압형토기 출토 유적과 공반유물의 성격을 복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압형토기의 용도 및 특징적인 부장방법을 확인하였다. 제작지 검토는 먼저 압형토기 유형분류를 통해 상대적인 순서를 확인하고, 실물을 관찰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작기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유형분류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총 네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편년은 다음과 같다. Ⅰ・Ⅱ유형은 3세기 중엽(1단계), Ⅲ유형은 3세기 후엽(2단계), Ⅳ유형은 3세기 말엽~4세기 초엽(3단계)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압형토기는 존속기간이 짧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태적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적 변화는 제작기법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몸통과 대각의 성형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압형토기의 제작기법에서 시간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과 달리 지역적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토기가 타 기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준화되지 않은 기종임을 염두에 두면, 압형토기는 한 곳에서 만들어져 주변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제작지는 압형토기가 가장 많이 출토되고 모든 유형이 출현하는 경주지역이라고 판단된다. 공간적 분포의 의미는 압형토기의 용도 및 부장 의미를 먼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출현 의미를 검토하였다. 압형토기는 분묘 축조시 행해지는 매장의례 전용용기로 개발된 것으로, 단계별로 그 용도와 부장의미가 변화하였다. 특히 대부분 두부(頭部)가 훼기된 채 출토되어 압형토기가 ‘영혼의 전달자’라는 부장 의미 외에도 복합적인 의미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훼기 현상이 경주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주변 지역에서도 확인되므로, 압형토기는 단순히 용기만 전파된 것이 아니라 이와 관련한 제사법도 같이 전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전파의 주체는 당시 경주를 거점으로 성장하였던 사로국으로, 사로국이 주변지역 國들에 대한 통제 및 영향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지역적 거점을 중심으로 분여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duction place and the meaning of spacial distribution of soft-paste firing duck-shaped pottery of 3rd ~ 4th century excavated in Yeongnam region. To achieve this, the form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pottery were observed and the excavation site and associated artifacts of duck-shaped pottery were examined comprehensively. This led to identification of the usage and distinctive burial method of duck-shaped pottery. To study production place, the relative order was verified through typology of duck-shaped pottery, and the chronological change of production method was studied based on observation of the actual pottery. Typology is based on existing study results, by which potteries were categorized into 4 different types. Type Ⅰ・Ⅱ(phase 1) is set to have been produced in mid 3rd century, type Ⅲ(phase2) in late 3rd century and type Ⅳ(phase3) from late 3rd to early 4th century. This led to a conclusion that although duck-shaped pottery had a short duration, it showed morphological changes by the lapse of time. This morphological changes regard method of production, and in particular, the chronological change in the shaping method of torso and mount was distinctly identified. Unlike the temporal changes shown in the production method of duck-shaped pottery, however, no regional change was identified. Considering this pottery was not relatively standardized compared to other potteries,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duck-shaped pottery was produced in one location and spread to neighboring areas. That production location is deemed to be Gyeongju area, where all types of potteries are found. The meaning of spatial distribution was examined by comprehending the usage of the duck-shaped pottery and the meaning of it being buried with the corpse, and then by studying the meaning of its regional appearances. Duck-shaped pottery was designed exclusively for the burial ritual of tomb construction, and its usage and the meaning of burial had changed phase by phase. In particular, most of the duck-shaped potteries excavated showed head destructions. indicating the these potteries contain multiple meanings other than being buried with the corpse as 'messenger of the soul'. This destruction phenomenon was found not only in Gyeongju area but also in other regions, which indicates that the spread of duck-shaped pottery was not limited to the pottery itself but also included the spread of burial rituals associated with it. The main agent of the spread was 'Saro' State, a state which was on the rise based in Gyeongju,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ottery was distributed centrically to key locations of neighboring states as Saro State was expanding its influence on them.

      • 백제토기를 모티브로 한 화분제작연구

        진소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백제시대 토기를 모티브로 한 화분 제작에 관한 연구로서 백제토기 중 호(壺)를 중심으로 조형적 원류와 제작배경, 출토 유물의 분석, 조형적 특징을 유추해 내 실용성과 미적 기능을 갖춘 화분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기는 우리 문화유산의 하나로 한민족의 삶과 문화를 담은 그릇이다. 지역과 시대, 생활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였으며, 한반도 전국에 그 가마터와 생활터, 고분 등의 유적을 중심으로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실물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하여 4세기경 삼국시대 토기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백제시대 토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백제토기는 고구려·신라에 비하여 장식을 적절히 배제하고 조절하여 담백하고 질박한 순진성과 단순하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갖는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백제토기의 호(壺)는 신라나 가야의 장식적이고 세련된 형태에 비해 질박한 순진한 느낌이 더욱 극대화된다. 타렴성형기법으로 제작된 백제의 항아리에서 느껴지는 원초적인 선문과 자연스러운 형태는 이 시대의 요구와 흐름에 맞는 화분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중요한 화두는 행복한 삶이다. 19세기 전후로 한 산업시대에서 부와 물질적인 풍요가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했던 반면, 최근의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행복한 삶인 것이다. 즉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자신과 주의 환경의 양(良)적인 측면보다 질(質)적인 측면의 더욱 큰 관심을 쏟고 있다. 그렇다면 질적인 측면의 핵심에는 무엇이 있을까? 다양한 요소가 논의될 수 있겠지만 분명한 점은 바로 인간이 자연과의 상호작용과 교감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들 수 있다. 산업화를 거듭하면서 현대인들은 자연과는 괴리된 공간과 환경, 즉 아파트 주거 및 도시빌딩 속 사무실에서 필연적으로 인공물을 주로 경험하는 생활에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정된 공간에 자연을 구현하는 식물 분재(盆栽)는 예부터 지금까지 사랑받아 왔으며 현 시대에 들어서는 자연을 구현하는 목적과 함께 예술적 차원의 의미가 더해져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식물을 심는 화분에 있어서도 심미적 관점이 부각되고 있다. 화분에 대한 연구 범위는 실내식물 중에서도 실내정화 기능이 우수한 관엽식물의 분재(盆栽) 용기를 제작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먼저 화분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화분의 개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화분의 발생과 유형, 또한 화분의 현황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코일 성형, 목물레 성형, 타렴성형 제작법을 사용하였다. 형태변형 및 문양의 단순화, 확대, 축소를 하였고, 타렴을 통한 시문된 장식을 잘 드러냄과 동시에 화분의 과습 조절 기능을 살리기 위해 유약을 사용하지 않았다. 태토는 토기화분을 제작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태토 색상실험과 태토에 커피박을 섞어서 다공성을 높여주었다. 때문에 형태의 제약이 없이 화분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었다. 형태는 백제토기의 호(壺)의 미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둥근 곡선미를 강조한 형태로 제작하였다. 또한 질박한 질감을 담고자 타렴 기법을 응용하여 화분의 외부 장식에 시문하고자 하였다. 타렴 성형방법으로 백제 토기의 질박한 선문을 구연하고자 하였으며 자연으로의 회귀를 원하는 현대인들의 생활공간에 조화될 수 있는 화분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번조방법은 전기가마로 1160도 산화번조 하였다. 번조온도대별 흡수율 실험을 통해 번조온도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심도 있게 진행되지 않았던 토기 화분에 대한 제작 연구를 통해 고대의 백제토기의 미적요소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고대 토기인 백제시대 항아리가 주는 질박한 순진성과 자연스러운 선의 미를 담은 화분의 제작을 통해 고대의 토기가 현대 생활공간에 새롭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