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조미영 한영신학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인성에 대한 문제의식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문적이며 소집단적인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출발하게 되었다.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설청소년에게 실시하여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00아동보육 시설청소년 180명을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그들 중에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에 참여시키기 위해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의 5가지 성격으로 분류한 시설청소년 각 10명씩(실험집단)과 분류하지 않은 시설청소년집단(비교집단) 10명을 무작위 배정 하였다.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는 2007년 3월 19일부터 2007년 6월 20일까지 총 15회기, 매 회기 50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고, 보조자 2명과 함께 하였다. 효과적인 실시를 위해 Rhyne이 개발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동적 집-나무-사람(K-HTP)그림 우울검사, 자아존중감(Self-Esteem Scale- SES), 삶의 질 만족 평가검사(WHOQOL-BREF)를 실시하여 SPSS WIN12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성격구조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평가를 사후에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집단(실험집단)과 유형별 구분을 하지 않은 집단(비교집단)에 실시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우울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6.13, p<.000). 모든 집단에 사전보다 사후에 우울이 낮아져 질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2.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집단(실험집단)과 유형별 구분을 하지 않은 집단(비교집단)에 실시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에 대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t=-34.95, p<.000). 3.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집단(실험집단)과 유형별 구분을 하지 않은 집단(비교집단)에 실시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의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로 실험집단에 교류분석 성격유형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삶의 질 만족 정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 하였다(t=-10.35. p<.000). 4. 시설청소년에게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의 변화로는 AC 주도적 성격구조가 많은 변화를 보였고, FC, CP, A, NC, 비교집단의 순으로 성격구조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5. 교류분석 성격구조 유형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후의 설문지 평가 분석 결과로는 청소년 설문지 분석에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71.6%로 많았다. 교류분석 성격유형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활동을 해 본 결과 어떤 느낌이 드는가에서는 재미있게 미술치료활동을 한 것 같다가 61.6%, 집단미술치료활동이 지금까지의 개별미술치료활동에 비해 재미있는 작업이다 라는 응답이 89.9% 였다. 집단미술치료활동으로 어느 부분이 향상되었다고 생각되는가?의 질문에는 사회성이 좋아졌다가 38.3%, 학교생활적응력이 좋아졌다가 31.6%, 협동심이 생겼다가 30.0% 였다. 시설지도교사의 설문 응답은 집단미술치료 활동을 재미있게 한 것 같다가 80% 였다. 미술치료활동이 학교생활에 자신감을 만들어 주었기 때문에 집단 간 상호관계성이 좋아져서가 80%의 응답을 하였다. 또한 시설청소년에게 필요한 활동인가?의 응답은 집단의 역동성이 생겨 공동체의식을 심어준다 와 대인관계를 돕는다는 것을 꼽았다. 집단미술치료 활동 결과에 만족이 100%였으나, 미술치료사의 자질 문제로 필요하다고는 생각하나 현장에서 활용할 때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 문제의 효과성을 규명하였으므로, 시설청소년 사회복지상담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쓰이길 바란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교류분석 성격구조로 (CP, NP, A, FC, AC)로 분류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들의 심리적사회적 외상의 극복과 효과적인 치료기법이 되었으나,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심리치료 이론과 기법들을 통한 미술치료 기법들이 연구·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치료 연구 분석에 있어서 치료자의 주관적인 관점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활동 결과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 준거틀이 개발되어야겠다. 셋째, 집단미술치료에서는 집단원 모두가 동일한 재료와 획일적인 주제를 다루는 경우이므로 이 점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의 특성을 좀 더 세밀히 접근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치료자 중심의 진행에서 내담자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옮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시설청소년들이 시설에 머물러 있다가 퇴소하는 특수한 환경 속에 있지만, 추후지도와 사후 평가를 실시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놀이치료자의 수련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미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s during their training process and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for themsel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selected play therapists. They were interviewed six to eight times each to gather data from November, 2016, to December,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Max van Manen(1990)’s procedure, which is on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ining experiences of the play therapists, 14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themes were as follows: The play therapists started their training by learning new language such as psychology, pathology and diagnostics terms. And they learned the language of play to communicate with child clients, and also learned how to apply theories they had acquired while they gained a variety of hands-on experiences. Their play therapy training was composed of ceaseless self-opening and self-exploration. They couldn't but feel embarrassed and discomforted when it's pointed out that they did something not therapeutic. Furthermore, they had doubts about themselves and felt more ashamed as they kept on making the same mistakes that the supervisors had pointed out. They had to endure hours of uncertainty because they weren't sure what they were doing as play therapists. In particular, it reminded them of their own early childhood experiences and unresolved challenges when they dealt with the psychological wounds and difficulties of child clients and their parents. They actively worked on their own personal challenges by analyzing what they were educated about and through the supervision of their supervisors. Indeed, the training process that they underwent as professional play therapists was so uncertain and lengthy that they were especially in need of a compass that could show them the way. Supervision functioned as a compas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clients and help them to check their own ways of proceeding with play therapy. That enabled them to foster their competencies as play therapists. The way they looked at cases started to change as they acquired various training and clinical experiences, an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attempt a new counseling style of their own. 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process was quite costly. but the play therapists were willing to pay for that since they admitted that being a play therapist required prolonged training. The subjects wanted to find their own unique style as they became skilled play therapists. The process that they found their own style was the process of self-acceptance. Meanwhile, they were totally dependent on their supervisor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but they stopped being supervised due to the suggestion from the supervisors, changing jobs, childbirth or parenting. They felt anxious when they provided play therapy on their own, but it was a time for them to confirm they grew enough to become self-reliant by piecing all together what they'd acquired and learned. They got accustomed to "training themselves" as they learned to think in a self-reflective and introspective way. They became increasingly mature while they reinterpreted their own training experiences and became enlighten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lients. But having to meet new clients all the time was a new challenge. Sometimes they were skeptical about their own professionalism, and sometimes they had a hard time in personal daily life. They underwent training as a way of self-protection and self-care to tide over the difficulties. Thus, they tri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ir lives as professionals and personal lives. For this researcher, the training experiences of the subjects as play therapists could be interpreted in three different ways. The first is "from you toward me" When they were beginners, they were trained to foster professionalism as "ones who took care of others" After they became skilled, they were trained to protect and take care of themselves to overcome frustration and burnout. The second is "being a new person." The experiences that they looked back on themselves to understand and help children not only contributed to their own professional growth but to turning them into new people by facilitating their self-acceptance and subsequent personal growth. The third is “an endless journey for growth” The main goal of their training was not to acquire "certification in play therapist" but to become play therapy specialists who could be recognized by themselves. And they thought there's still a long way to go, which requires endless training. In this study, the training experiences of the paly therapists were vividly and "plainly" described through their own voices, and what their experiences meant was interpreted to see their experiences in the training process in a new light and understand them.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가 놀이치료 수련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그 수련경험이 놀이치료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네 명의 연구 참여자들과 6〜8회에 이르는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에서 Max van Manen(1990)이 제안하는 절차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하였다. 놀이치료자의 수련경험을 분석한 결과 14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그 주제를 통해 드러난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의 수련과정은 심리학적 용어들과 병리적·진단적 용어와 같이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내담아동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놀이라는 언어를 배워나갔다. 그리고 다양한 체험위주의 실습경험을 통해 이론으로만 배워왔던 놀이치료의 기법을 실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혀나갔다. 한편 놀이치료 수련은 끊임없는 자기개방과 자기탐색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치료적이지 않은 자신의 모습이 지적이 되는 상황은 당황스럽고 불편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슈퍼바이저의 지적을 받았음에도 반복해서 실수하는 모습이 드러날 때는 자신에 대한 회의감과 함께 부끄러움이 더욱 커지기도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놀이치료자로서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할 정도로 모호함의 시간을 견뎌야 하였다. 또한 놀이치료자로서 내담아동과 부모들의 심리적 상처와 어려움을 다루는 과정은 놀이치료자 자신의 초기 아동기 경험을 활성화시키고, 미해결된 과제를 다시 일깨웠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분석이나 슈퍼비전을 받으면서 개인적 과제들을 적극적으로 다루어 나갔다. 이렇게 놀이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한 수련과정은 불확실하고도 긴 과정이었기 때문에 길을 안내해주는 나침반의 기능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슈퍼비전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내담자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놀이치료 전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나침반 역할을 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놀이치료자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수련경험과 임상경험이 쌓여가면서 사례를 보는 눈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제 자신만의 상담 스타일을 시도해 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수련과정은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놀이치료자가 되는 과정은 지속적인 수련이 필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면서 기꺼이 수련을 위해 경제적인 비용을 지불해야 할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숙련자가 될수록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만의 색깔을 찾고 싶어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색깔을 찾는 과정은 자기수용의 과정이었다. 그동안 슈퍼바이저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수련을 해왔던 연구 참여자들은 슈퍼바이저의 제안에 의해 또는 이직이나 아이출산과 육아로 인해 슈퍼비전을 쉬는 시기를 갖게 되었다. 혼자 사례를 진행했던 시간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불안한 상황이기도 하였지만, 그동안 몸에 익히고 배운 것들을 종합해 보면서 자신이 자립적으로 해나갈 수 있을 만큼 성장하였다는 것을 확인하는 시간이기도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련을 통해 자기 반성적 사고와 성찰적인 측면을 내재화시켜 나가면서 놀이치료자로서 ‘스스로의 수련’이 활성화되어갔다.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적인 삶의 체험 속에서 그동안의 수련경험들이 재해석되고, 내담자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깨달음으로 이어져 치료자로서 더욱 성숙되는 경험을 하였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늘 새로운 내담자를 만나야 되고 이는 새로운 도전이 되었다. 때때로 전문적 역량에 대한 회의감과 마주하기도 하였고, 때때로 일상생활에서 개인적 어려움들과 마주하기도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다루기 위해 스스로 자기보호와 자기돌봄 차원에서 수련을 해 나갔으며, 주체적으로 전문가로서의 삶과 개인적인 삶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놀이치료자 수련경험을 통해서 발견된 본질적 의미를 다음 3가지로 해석하였다. 첫째, ‘너에게서 나에게로’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초심자 때는 ‘타인을 돌보는 자’로서, 놀이치료자의 전문적인 역량을 키우기 위한 수련을 해 나갔다면, 숙련자가 되면서는 놀이치료자로서 자신의 좌절감과 소진을 다루고 극복하기 위한 자기보호와 자기돌봄의 차원으로 수련을 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새로운 나로 거듭나다’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아동을 이해하고 도와주기 위해 놀이치료자로서의 자신을 들여다보고 다루었던 경험들은 결국 자신에게 놀이치료자로서의 전문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자기 수용을 통한 개인적 성장을 이끌어 새롭게 거듭나는 경험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장을 위한 끝없는 여정’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놀이치료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수련의 중심 목표가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가 인정할 수 있는 놀이치료 전문가가 되는 것이 수련의 목표였으며, ‘놀이치료 전문가’로 가는 길은 끝없는 수련이 필요한 과정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수련경험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있는 그대로’ 생생하게 담아내고 그 체험의 의미를 해석해 봄으로써, 놀이치료자들이 수련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새롭게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 광주시 주공아파트 주거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5년 공공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조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 주택공사에서 건설한 5년 공공임대아파트의 개인과 가구의 취향과 선호에 따른 주거만족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주거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임대 후 분양의도를 파악하여 주거만족도와 분양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주거만족도가 분양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주거만족도는 아파트시설, 아파트 내부구조, 경관감, 단지시설, 쾌적성 등 5개의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아파트시설 평가항목은 난방시설, 주방시설, 욕실시설, 주차시설 등 4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아파트 내부구조 평가항목은 평수, 거실, 방 크기, 방수 등 4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경관감 평가항목은 개방감, 경관, 규모 등 3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단지시설평가항목은 옥외환경, 근린시설 등 2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쾌적성 평가항목은 보안, 이웃, 주변 쾌적성, 소음, 청소 5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설문응답자의 개인 및 가구특성에 따라 주거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주거아파트, 성, 연령, 학력, 가족생활주기, 세대총수입액 등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02년 10월 28일부터 2002년 11월 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광주 광역시 주공아파트 중 5년 공공임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총 403부의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SPSS/WIN 10.0을 이용하여 평균, 빈도, 교차 등 기술적 통계와 주거만족을 측정한 독립변수 요인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 분석, 주거만족요인들이 주거만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년 공공임대아파트 주거만족도는 개인 및 가구 특성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시설, 내부구조, 경관, 단지시설, 쾌적성은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 건설한 아파트와 가족수가 적은 세대, 학력이 낮고 소득이 적은 세대일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주거만족도에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소음과 개방감으로 나타났다. 소음의 원인으로는 고속도로 소음과 아파트의 층 간의 소음이 가장 큰 문제점이였다. 평수가 적은 세대일수록 아파트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 개방감이 낮으며, 서로의 사생활이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만족도는 임대 주거자의 분양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대 5년 후 분양을 받는다는 세대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최근에 건설한 아파트에 거주하는 세대와 가족 수가 적은 세대, 연령이 높은 세대, 학력이 낮은 세대일수록 임대 후 분양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level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aste and preference of individual who resides in public 5 year-rental apartment constructed by Housing Corporation, and to analyze the problems in it.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a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buy apartment through installment.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was assessed by these five factors; 1) apartment facility, 2) interior structure, 3) view, 4) annex facility, and 5) amenity. Each factor consists of these following items respectively: 1) Apartment facility: heating, kitchen and bathing facilities, and parking lot 2) Interior structure: apartment area, condition of living room, room size and room number. 3) View: sense of openness, availability of visible objects and size 4) Annex facility: external circumstance and service facility around complex 5) Amenity: security, neighborhood, circumstance amenity, noise and clearance. The specification of responders was reflected into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considering housing type, 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life cycle, and total house income. Research was done from October 28, 2002 to November 6, 2002, for the subjects who live in public 5 year-rental Jugong apartment, GwangJu, Korea. The data from this research was analyzed with reference of 403 related books, and SPSS/WIN 10.0 was used to calculate average, frequency, and range. Multi-regression examines the adequacy and the relationship of independent factors appli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tes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presented that: Firstly,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in public 5 year-rental apartment indicated that most residents feel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vironment, although a little gap lies among responders. Secondly, the most serious problems affect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the noise and the sense of openness. The noise passing through between floors and by express high way were main causes to lower the level. The smaller the area is, the poorer openness and the higher likelihood of privacy invasion the residents felt. Lastly,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affects the residents decision on whether they acquire the property by installment sale method. However, the number of the residents who actually hope to acquire apartment after 5 year-rental period was comparatively small. The subjects who show the higher interest on buying apartment by installment are those who live in newly constructed apartment, with small family, in old ages, or with poor educational background.

      • 토기를 응용한 기하학적 도자 표현 연구

        조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그 시대적 상황과 유기적인 관계를 통하여 변화를 모색해 왔으며 끊임없이 혁신적인 표현의 영역을 개척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낡은 것은 교체되고 한계들은 극복되며 가치들은 변화하여 정신의 새로운 현상들이 계속 일어난다. 하지만 하나의 진리는 다른 진리와 교체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진리로부터 부단히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본인은 지난 역사의 한 장으로 남아있는 토기와 기하학적 형태와의 접목을 시도함으로서 외적인 모방이 아닌 변형을 통하여 과거의 것을 현대적인 조형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토기 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유물중의 하나인 즐문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여 그 속에 담겨진 미의식을 고찰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설득력과 정돈성이 강하고 단순화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형태와의 접목을 통한 재해석으로 조형성을 갖는 도자 표현으로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있다. 그 방법으로 즐문토기의 형태와 문양에 관한 조형적인 시각으로의 접근이 필요했으며 일반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을 예술의 본질로 이해함으로서 작품제작에 있어서 토기의 형태와 기하학적 형태와의 재해석으로 표현가능성을 유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기의 일반적 고찰을 통한 토기의 특징이나 표현장식을 살펴보고 본 연구자의 작품의 모티브가 되는 즐문토기의 형태와 문양의 지역별 특징을 살펴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조형사례를 들어 관찰함으로서 즐문토기의 형태를 기하학적인 형태와의 변형으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즐문토기의 형태와 표면에 시문된 문양은 구체적인 기하학적 도형과 함께 그 심미성을 살펴 볼 수 있었으며 즐문토기의 조형성은 정제된 원추형으로 기하학적 형태인 원기둥과 다면체와의 접목으로 정리하여 고찰하였다. 제작방법은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물레성형, 코일링, 판성형, 모델링, 이장주입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도자 표현에 따라 적합한 표현을 위하여 다양한 태토를 사용하였으며 석기질 점토와 산백토, 백자토, 청자토, 세인토, 실크소지를 사용하였다. 경우에 따라서 표면질감을 고려하여 석기질 점토와 백자토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작품에 따른 유약의 발색효과를 고려해 한 작품 내에서도 다양한 태토를 사용하였다. 표면처리는 형태에 따라 스프레이로 시유하거나 산화철과 망간을 사용하고 색화장토와 고화도 안료, 저화도 안료를 사용하였다. 소성은 0.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을 한 후에, 2차 소성은 0.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1250℃로 9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 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에 있어서 즐문토기와 기하학적 형태와의 접목을 통한 재해석으로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무한한 가능성을 디자인 전개과정에서 모색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예술에 있어서 기하학적 형태와의 변형이 객관적인 단순화가 아닌 조형성의 재창조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즐문토기와 현대적인 기하학적 형태와의 접목으로 조형성을 갖춘 도자 표현을 함으로써 무한한 창조적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우리 나라 전통의 美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써 본 연구를 대하는 사람들에게 토기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이 생길 것을 기대하고 연구자가 앞으로 새롭고 폭넓은 도예예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basic analysis on the Jul-moon(combed surface) earthenware of Korea, which is one of the oldest forms of pottery that developed along with our civilization. In this study, each stage of the ceramic development was carefully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the geometrical aesthetics of ancient art. Then the ancient forms were experimented with to recreate new and modern shapes for practical use. This took many different turns as well as methods. The clay was transformed using the wheel-throwing, slab-building, coiling, carving and slip-casting techniques. Different methods were incorporated to create different expressions. To further enhance the forms, different clay bodies had to be also understood and experimented. Therefore a variety of clay bodies were used - white stoneware, white porcelain, celadon clay and a smooth silky white clay body. The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for the geometrical forms. This was also mixed together with the white porcelain body at a ratio of 1:3 for smaller forms. The surfaces of the work were decorated with different oxides and slips. The high-fired slips and the low-fired slips were both used with iron and manganese oxides. The work was first fired in a 0.5㎥ gas kiln for 8 hours, to 900℃. Then the second firing took place for 9 hours reaching a temperature of 1250℃. This was an oxidized firing. The Jul-moon(combed surface) earthenware has unlimited design possibilities and the study has opened new paths to discover then even further.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geometrical shapes and modifications, in art, are recreations and not simply transformations. It is important for us to research and examine ancient art to learn about our civilization and ourselves. By doing this we can also modernize the old to fit the contemporary taste. Furthermore, they are our most valuable source of inspiration, particular in design.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교사와 학생의 참여 경험 연구

        조미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roduction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required to provided measurers in response to the recent social change caused by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low birth rate. The reality in education, dominated by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demands improving unindividualized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t leading schools before it takes effect in full. It examines what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of leading school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eachers and eight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which had operated a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ree years from 2019 to 2021. School-related materials like school websites, school newsletters, the plans for each department, operation plans for leading schools, and case reports were also analyzed for this study. Teachers initially used to have a sense of rejection and resistance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ill, they were gradually adapting to the system by lessening the burden on teacher evaluations by having more elective subjects related to a career, which became an opportunity to offer students activity-oriented classes leading them to experience changes in courses. However, there was a real obstacle in supplying teachers with an organized curriculum to expand subject options for students and have it relate to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Despite these institutional limitations, teachers were still trying to manage the curriculum as experts guiding the students' careers. In term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were struggling to prepare with the practical difficulties but consenting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with an aspect of change in the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they were experiencing a collaborative culture with other academic subjects through mor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departments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ost students were not familiar with this system, but students with clear career goals were satisfied with the options available when choosing elective subjects with great satisfaction. However, for those who have not yet grasped their aptitude and career path, selecting a subject was a factor adding difficulties and worries to their lives. Moreover, students were profoundly contemplating whether to choose what they wanted or the subject that made it easier for them to prepare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Nevertheles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subjects related to their aptitude and future careers than ones advantageous for entrance exams. It implies that students have an active and independent attitude of learners who desire to choos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career path. They also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striving for their futures by hoping to hav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develop career and academic competencies before retaining the subject op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ould help devise measures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is system.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등의 사회 변화에 따라 현재 우리 교육이 다가올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데 적절한가에 대한 문제의식, 그리고 우리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입시 중심의 개별화되지 못한 교육에 대한 개선의 요구에 따라 고교학점제가 도입되었다.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기 이전에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서 고교학점제가 실행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선도학교 운영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은 무엇을 경험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를 운영했던 한 광역시의 A고등학교의 교사 10명과 학생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A고등학교의 학교 홈페이지, 가정통신문, 각 부서의 운영 계획 및 선도학교 운영 계획과 주요 운영 사례 보고서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를 경험하기 전 제도에 대한 거부감과 저항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고교학점제 운영 과정에 참여하며 점차 제도에 적응하고 있었다. 진로 선택 과목이 확대 편성 되면서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부담이 점차 줄어들고 이는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면서 수업에서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 교사 수급 문제와 입시제도와의 연관성이라는 현실적인 장벽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이러한 제도적 한계 속에서도 교육과정 편성 및 학생들의 진로 지도 전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고교학점제로 인한 교육 현장의 변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교육의 방향성이라는 측면에 동의하며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도 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또한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해 교과 교사들 사이에서나 부서 간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지면서 이전보다 교육 주체들 간의 협력이 이루어지는 문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고교학점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었으나, 진로 목표가 뚜렷한 학생들의 경우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기대감과 만족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아직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파악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과목 선택의 기회는 오히려 어려움과 고민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 역시 교사와 마찬가지로 입시제도라는 현실에 부딪혀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내신 성적을 받기 수월한 과목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입시에 유리한 과목보다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학업에 보다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살펴볼 때,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배우고 싶은 과목을 선택하고 싶어 하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자의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과목 선택권 확대를 보장하는 것 이전에 진로 및 학업 설계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자신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고교학점제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제도이지만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통해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단계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들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조미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in counseling and education by investigating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and subjectiv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and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failure-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in 5, 6 grad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5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and 6, first, th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grades, family form and subjectiv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were analyz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failure-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were verifi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by AMO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artially in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grades, family form and subjectiv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girls were higher than the boys'. Overall school adjustment, school lesson and school rules of grade 5 students were higher than grade 6 students. Students in two parent families were higher than stud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in terms of parental support as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entire academic failure-toleranc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ubfactor, behavior subfactor, and entire school adjustment and subfactors of it. The higher students subjectiv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s the higher students'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an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Third,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failure-tolera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It was shown that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failure-tolerance. With results of this study,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maladjustment were provided by predicting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at school adjustment and considering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at hav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failure-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we know parents and teachers need to provide sufficient social support to students. These social support can improve ultimately school adjustment by increasing academic failure-toler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education about what should do parents and teachers for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이 학생의 배경변인과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상담과 교육현장에서의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57명을 대상으로 첫째, 학생들의 성별, 학년, 가족형태,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성별, 학년, 가족형태,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에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지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 모두 높고, 5학년 학생이 6학년 학생보다 학교적응 전체와 학교수업, 학교규칙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부모 가정의 학생이 한부모 가정의 학생보다 사회적 지지의 부모지지 요인, 학업적 실패내성 전체와 과제수준선호, 행동요인, 학교적응 전체와 그 하위요인에서 높았다.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 사이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학업적 실패내성은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사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실패내성에 직접 영향을 주고, 학업적 실패내성은 학교적응에 직접 영향을 주어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예측하고 학생 개인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게 되어 학교부적응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가 제시되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이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을 매개한다는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나 교사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실패 내성을 높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해 부모와 교사가 학생의 교육 및 상담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관한 교육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한국 SF영화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 2000년도 이후 SF영화를 중심으로

        조미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on the fantastic nature of Korean SF films after the year 2000. More than half a century has passed since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fiction films began. Most of Korean science fiction films up to the late 1990s had children as the main target. Korean science fiction films could not draw public attention due to the limited demographic appeal, the week story plot, and the poor production environment. In reality, science fiction movies for adults were provided from Hollywood. They caught people's attention with well-created plots and outstanding technology. Despite various efforts from the film industry, most science fiction movies for adults produced after the year of 2000 did not perform well in theaters. In fact, only a handful of films were considered successful.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SF Film after the year 2000. A Study choose all 14 movies.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assumption that SF films act as the mediators that unveil the problems of re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ety through fantastical devices called Science Fiction.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e Brainwave(2005), Yesterday(2002), Thirst(2009), Natural City(2003), Heavenly Creature: the creation of heaven(2011), Young Gun in the Time(2011), Save the Green Plant(2003), The Uninvited(2010), Teenage Hooker Became Killing Machine(2000), Never Belong To me(2005), 2009-Lost Memories (2001), Heaver's Soldiers(2005), The Host(2006), and SECTOR 7(2011). Fourteen movies are divided two themes. One shows how humans display their ambition and the other reveals the problems of reality. Basis of selecting works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F needs to maintain logical probability in the films. Second, they need to fit into the subjec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films chosen. Third, the cinematic quality and amusement quality have to be satisfied, or at least one of them. This paper will assume the deviation from reality 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fantasy as Humm has said, and by combining the theory of fantasy of Jackson, which states that this deviation allows closer examination of social problems, it will ultimately take a look at the message Korean SF movies carries in terms of fantasy.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Part II of this paper organizes theoretical basis to analyze the films. Part III and IV categorizes the films and analyzes them. Part III analyzes human ambition that mutated human bodies carry and the diverse problems caused by them. Part IV anayles the realationship between the fictional world and its characters and the problems of the reality. Part V discusses the potentials of Korean SF film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ield. The fantasy of Korean SF films revealed through this research takes charge of two large roles. First, SF films more clearly reveals the nature through the expansion and the overturn of reality. Second, the temporal and spatial background that grants fantasy quality and the ones that experience this background are Korea and Koreans, respectively. This is very important in obtaining understanding and sympathy from Korean audiences despite the fact that the method of description is fantasy. In a number of respects, This study holds two meanings. Researches were limitedly carried out until now to foreign or Korean SF films, but this research carrie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vers the general aspects of only Korean SF films. the other significance is that this research reestablishes the 'Korean' characterstics unique only to Korean SF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