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교사효능감에 관한 비교 연구

        박보라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62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교사동기, 교사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각 그룹간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교사동기, 교사효능감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와 더불어 초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교사효능감 변인들의 상호 관계성에 따른 두 집단 사이의 차이를 확인함에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유아교사(대학유형, 자격증, 성별)와 초임교사(연령, 기관유형, 유 아연령, 교육경력)의 배경변인의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 는가? 연구문제 3.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사동기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는 교사효능감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전북지역에 위치한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3(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관련 3(4)학년 230명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경력 2년 이하의 초임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교사효능감에 관하여 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및 미회수 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12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의 통계처리 방법은 독립표본 t-test검증, Pearson's Correlar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경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열정에 대한 차이는 ‘열정’과 ‘열정 전체’에 있어서는 초임교사가 예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조화로운 열정’과 ‘집착적 열정’의 경우에는 예비유아교사가 초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사동기의 차이는 ‘지적자극’, ‘애타주의 정신’, ‘일의 성격’, ‘교사동기 전체’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아이들과의 활동성’,과 ‘자아평가’의 경우 초임교사가 예비유아교사보다 교사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나 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학생참여’의 경우에 초임교사가 예비유아교사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전략’, ‘학급관리’, ‘교수효능감 전체’의 경우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초임교사가 ‘학생참여’ 즉, ‘공부에 관심 없는 학생 흥미유발 가능’, ‘자신감 갖도록 함’, ‘배움의 가치 깨닫도록 도와줄 수 있음’과 ‘부모님이 자녀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에서 예비유아교사 보다 높게 나온 것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숙련된 경험에서 얻어질 수 있는 효능감이라고 볼 때, 예비유아교사에게도 대학생활에서의 ‘교육실습’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 모두의 경우 교직에 대한 열정과 교사동기의 하위변인 중 교사효능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조화로운 열정’과 ‘일의 성격’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유아교육의 현장에서는 교직과정의 새로운 지식들에 대한 자부심이나 경험의 폭을 넓혀주는 등의 ‘조화로운 열정’과 예비교사나 초임교사의 지위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지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일의 성격’과 관련된 교사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동기 유형 탐색

        이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5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motives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influenced by, and to derive motive types through this. For th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o teaching?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profil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in commitment to teaching according to the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the influence of each type of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were measured. The type of motiva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otivation type. In the analysis process, SPSS 25.0 and M plus 7.0 were used. The main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3-profile model was most suitable for the work motivation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The names of each group were named ‘low motivation', ‘control-motivated', and ‘autonomous-motivated' based on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rofiles. The low motivation type was 13.48% of the total, control-motivated type was 44.61%, and autonomous-motivated type was 41.91%.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teaching behavioral behavior profil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career and marital status, and the variable of position status showed a weak influenc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were not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difference in the profile distribution. Third, as a result of measuring teaching commitment to verify that there is actu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behavior according to the teacher's teaching behavioral behavior profile, the overall teaching commitment and all sub-indices are in the order of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 motivation, and low motivation. measured hig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 who has low-career are more likely to come under the low motivation type and control-motivated types reveal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fact,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the cause. Seco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autonomous motives and controlled motive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behavior, and there are groups in which all types of motives with completely different personalities have high influence. Also, the 6 sub-motivation type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may not be hierarchically understood on the continuum in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There were motives that were observed to be particularly high or low compared to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ng types of workers in other organizations. Third, although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have continued to reveal the motives for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eparate study on teacher motives considering that the motives of teachers constantly change according to various experiences after entering the job. In addition, the ne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various variables rather than examining the unilinear effect of a specific motive was sugges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examine individual teachers' individual teaching behavior in a complex manner and further explore how the types of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classifi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직수행 과정에서 어떤 동기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지 그 동기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특성을 살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프로파일 분포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동기 프로파일에 따라 교직헌신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408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 유형별 영향력과 교직헌신을 측정하였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기 유형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SPSS 25.0 과 M plus 7.0 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동기 프로파일은 3-프로파일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집단의 이름은 프로파일 간 구별되는 특질에 기반하여 ‘의욕 저하형’, ‘통제 동기형’, ‘자율 동기형’으로 명명하였다. 의욕 저하형은 전체의 13.48%, 통제 동기형은 44.61%, 자율 동기형은 41.91%에 해당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경력, 결혼여부 변인에 따라 교직수행동기 프로파일 분포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보직여부 변인도 약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에 비해 성별과 최종학력은 교직수행동기 프로파일 분포 차이에 영향력 있는 변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사의 교직수행동기 프로파일에 따라 실제로 직무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교직헌신을 측정한 결과, 교직헌신 전체 지표와 모든 하위 지표가 자율 동기형, 통제 동기형, 의욕 저하형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의욕 저하형과 통제 동기형 유형에 상대적으로 적은 교직경력을 가지는 교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동기 중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는 상관관계에 있지 않으며, 성격이 전혀 다른 여러 유형의 동기가 모두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집단도 존재한다. 또한, 자기결정성 이론의 하위 동기 유형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의 동기에 있어 연속선 상 위에서 위계적으로 파악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조직 근로자의 자기결정성 동기부여 유형에 비해 특히 높거나 낮게 관찰되는 동기가 있었다. 셋째, 그간 초등학교 교사 및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 입문 동기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계속되었으나, 교사의 동기는 교직 입문 이후 여러 경험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사동기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특정 동기의 단선적인 효과를 살피는 것 이상으로 여러 변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교원 개인의 교직수행동기를 복합적으로 살피고, 나아가 초등학교 교사의 동기부여 유형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탐색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