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지식과 전문가적 책임에 대한 태도 및 공감능력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해진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71

        Child abuse has increased year after year in Korea, and the number of damage report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report rate of medical personnel is reported to be low. Nurses are medical personnel who are obligated to report child abuse and contact children and families most closely. Therefore, to protect and intervene with children in the early stages of child abuse,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child abuse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society, and detect it early, it is very important to raise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of undergraduates of nursing who will the future personnel bound in duty to report. Therefore, by investigating how such variables as knowledge of child abuse, attitudes about responsibilities as a professional, and empathy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university students of nursing,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ir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based on the result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7, 2022 to October 20, 2022, and the subjects were 196 university students of nursing who were the juniors and seniors of the nursing department in B Metropolitan City and P City. Concerning study tools, for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this researcher used the Child Abuse Report Intention Scale (CARIS) developed by Feng and Levine (2005) and then revised and complemented properly for the status of Korea by Kim Soo-jeong (2012). For knowledge about child abuse, this author utilized the child abuse knowledge measurement tool among the Child Abuse Report Intention Scale (CARIS) developed by Feng and Levine (2005) and then revised and complem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y Kim Gyeong-hwa (2018). Also, for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bout child abuse, this study used the tool to measure ‘attitudes towards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bout child abuse’, one of the subareas of the attitudes among the Child Abuse Report Intention Scale (CARIS) developed by Feng and Levine (2005) and then revised and complemented by Jeong Hee-jeong (2019). Lastly, for empathy, this author used the empathy measurement tool of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TEQ) developed by Spreng et al. (2009) and then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Hwan and Han Su-mi (2016).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WIN 25.0 program with a raw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ean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 maximum,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우리나라의 아동학대는 매년 증가하여, 피해 신고건수도 크게 증가했으나 의료인의 신고율은 저조한 것 보고되고 있다. 간호사는 아동학대신고의무자로서 아동과 가족을 가장 밀접하게 접하는 의료인이다. 따라서 아동학대 발생 초기에 아동에게 보호 및 중재를 제공하고, 아동학대가 아동의 발달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조기발견하기 위해 예비 신고의무자인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신고의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 때부터 아동학대에 대한 지식과 전문가적 책임에 대한 태도 및 공감능력 및 제 변수들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신고의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0월 17일부터 2022년 10월 20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와 P시 지역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의 간호대학생 196명이었다. 연구도구로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Feng과 Levine (2005)이 개발한 아동학대 신고의도 척도(Child abuse Report Intention Scale, CARIS)를 김수정(2012)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아동학대 신고의도 측정도구를, 아동학대에 대한 지식은 Feng과 Levine (2005)에 의해 개발된 아동학대 신고의도 척도(Child Abuse Report Intention Scale, CARIS)중 아동학대 지식 측정도구를 토대로, 김경화(2019)가 문헌 고찰을 통해 수정 보완한 아동학대 지식 측정도구를,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적 책임은 Feng과 Levine(2005)이 개발한 아동학대 신고의도 척도(Child Abuse Report Intention Scale, CARIS) 중 태도 하위영역인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적 책임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를 토대로, 정희정(2019)이 수정 보완한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적 책임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공감은 Spreng 등(2009)이 개발한 토론토 공감질문지(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TEQ)를 김환과 한수미(2016)가 한국어로 번안한 공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IBM SPSS/WIN 22.0(SPSS Korea, Data Solution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과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과 평균평점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 간호대학생의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오승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63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구이다. 자료수집방법은 1단계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내용 분석으로,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내용 분석은 체계적 문헌고찰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문헌고찰의 선택기준(inclusion criteria)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을 수행한 연구, 적절한 결과지표를 보고한 연구, 적절한 통계량을 보고한 연구이며, 배제기준(exclusion criteria)은 동물실험(non-human) 및 전임상시험 연구, 원저가 아닌 연구(non-systematic reviews, editorial, letter, comment, opinion pieces, review, guideline, note, news article 등), 한국어 및 영어로 출판되지 않은 연구로 하였다. 2단계는 간호대학생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로 1단계에서 추출된 최종 10편의 문헌을 토대로 간호대학생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와 세부 모듈 내용을 개발하였다. 다음은 3단계로 개발된 간호대학생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를 위해 서울시내 일 간호대학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실험군 35명, 대조군 35명이었다. 개발한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은 1박 2일의 교외 캠프형태로 구성하여 강의, 팀 활동과 개별 활동, 팀 토론, 팀 발표 및 연구자 피드백의 형태로 체계적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진행 틀을 구성하였다. 다양한 활동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내용 분석 리더십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졌으며 리더십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타 분야에서도 연구주제로 많이 다루어졌으나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주제는 많지 않았으며 리더십 향상을 위한 방안들도 소수에 불과,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의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대학생의 리더십 향상 관련 핵심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간호대학생 캠프형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에서는 강의위주의 프로그램이 아닌 활동위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인 리더십에 대한 학습경험이 많지 않은 2학년 간호대학생에게 리더십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좀 더 쉽게 이해시켜 간호관리학 교과목에 대한 학습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켜, 간호조직에 대한 이해 및 리더의 역할을 이해하는 계기를 갖도록 하고자 하였다. 3) 개발된 간호대학생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의 다양화를 위해 팀활동 중심으로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셀프 리더십 전체에 대한 집단 간 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실험군이 3.88점(SD=0.50), 대조군 3.51점(SD=0.58)보다 높았으며(p=.006), 변혁적 리더십 전체에 대한 집단 간 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실험군이 3.84점(SD=0.51), 대조군 3.44점(SD=0.55)보다 높았다(p=.003). 또한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집단 간 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실험군이 3.90점 (SD=0.49), 대조군 3.52점(SD=0.64)으로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p=.007).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근거기반 간호 관리 연구 및 실무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기존의 리더십 교육이 이론 수업에 치중한 주입식교육 위주였다면,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 스스로 리더십 향상을 위한 참여 형태의 교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성과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추후 임상에서의 간호사, 간호 관리자 또는 지역사회에서의 간호경영자를 위한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간호대학생, 리더십,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캠프형 리더십 프로그램

      • 간호대학생 대상 사회정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종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58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진행되었다. ADDIE 모형의 프로그램 개발 방법에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의 역량 요구도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델파이 조사,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여자간호대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각 회차별 학습목표에 따라 이론교육 6시간과 봉사학습 27시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설문지를 통해 사회정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참여 의지, 전문직 정체성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하였고, 자기 성찰일지를 통해 비판적 인식, 비판적 참여, 사회변화 추구, 자기 도전 변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질적 자료는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정의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사회정의 태도(F=6.69, p=.001), 사회정의 지각된 행동통제력(F=6.32, p=.001), 사회정의 참여 의지(F=9.83,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정의 주관적 규범은 교육프로그램에 적용 후에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33, p=.069). 사회정의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받은 후 전문직 정체성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전문직 정체성이 유의하게 향상(F=8.77, p<.001)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 성찰 내용분석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의 비판적 인식, 비판적 참여, 사회변화 추구, 자기 도전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대학생 사회정의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의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참여 의지, 전문직 정체성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자기성찰을 통하여 참여자의 사회정의 비판적 인식, 비판적 참여, 사회변화 추구, 자기 도전이 향상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회정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간호대학생의 사회정의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대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조현병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조현병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류의정 전남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1583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조현병 환자간호 교 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평가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2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였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 시 소재 1개 간호대학의 정신건강간호학 이론교육을 이수한 간호대학생이다. 요구 분석은 간호대학생 5인, 내용 타당도 평가는 전문가 10인, 사용성 평가는 간호대학 생 및 전문가 각 5인, 형성평가 및 총괄평가는 간호대학생 15인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sio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조현병 환자간호 지식,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및 학습자신감은 Wilcoxon signed Ranks test,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통해 산출하였다. 사용자 질적평가, 교수자 질적평가는 전통적 내 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프로그램은 RPISD 모형에 따라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 ment), 실행(Implementation) 및 평가(Evaluation)의 5단계 과정으로 개발하였다. 구성 내용은 Kolb의 경험학습이론(ELT)에 따라 주 차별로 구체적 경험(CE), 반성 적 관찰(RO), 추상적 개념화(AC) 및 능동적 실험(AE) 단계를 적용하여 학습 내용 을 구조화하였다. 동시에 학생의 학습 참여와 상호작용을 높여 학습경험의 질을 향 상하기 위하여 학습 내용에 따라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 방법을 적용하는 수업설계를 하였다. 2. 개발된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조현병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의 양적평가인 간호 대학생의 조현병 환자간호 지식(z=-2.38, p=.017), 학습실재감(z=-3.05, p=.002), 학습몰입(z=-2.73, p=.006), 학습만족도(z=-2.08, p=.037)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습자신감(z=-1.75, p=.080)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 편, 사용자 질적평가 결과에서는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한 본 연구는 디지털 변환 시대에 부응해 에듀테크 기반 간호교육의 변화를 시도한 사례이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메타버스 기반 간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방법론 개발에 기여함과 동시에 강의실 교육 후 실습교육으 로 연계되는데 시간적 거리가 있는데 그 시기에 학생을 위한 학습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본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교실 수업의 한계를 넘어 메타버 스 공간 안에서 입원 전, 입원 중 및 퇴원 후 재활로 이어지는 환자 상황을 통합적 으로 이해하고 시기별로 필요한 간호가 무엇인지, 어떻게 환자를 바라보고 공감하 면서 환자의 경험을 이해해야 할 것인지를 퍼소나(Persona) 작성과 환자여정지도 (Patient Journey Map)를 만드는 팀학습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제한점으로 기술적인 구현 한계로 학습 활동의 일부 제약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술적 보완이나 행·재정적 지원을 통한 교육기관 차원의 메타버스 기반 간 호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추 후 연구가 필요하고, 본 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에 이루어진 임상실습의 효과나 실 습경험에 어떤 변화나 차이가 있는지 종단 연구를 제안한다. 주요어: 간호대학생, 조현병, 교육

      • 중국 호남성 간호대학생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공 만족도와 간호 전문직관의 매개효과

        무잉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581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in career valu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f 2nd to 4th-grade nursing students in China. It also examines how these trends differ based on gender, grade level, and whether their family or relatives are nurses. By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our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mployment prospects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programs. The research questions formulat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rends in career valu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in Hunan Province, China?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career valu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in Hunan Province, China,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grade, family or relatives have nurses or not)? Thirdly,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valu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in Hunan Province, Chin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866 nursing college students from 8 universities in Hunan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using mobile App from July 1, 2023 to July 30, 2023. Amo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the career values scale is used by Oh, Ji Hyun& Lim, You Jin(2022) (=.934)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eight. The major satisfaction scale is used by Hwang, SungWoo& Cha, HyunSu(2020) (=.970)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six.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cale is used by Ahn, SungSik& Park, InSuk(2022) (=.936)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seventeen.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cale is used by Seo, Yeonu et al.(2022) (=.926)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nine. Each scale is a Likert's five-poi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mart PLS 4.0,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to perfor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rst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overall model fit. Then,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research model were examin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valu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mong Chinese nursing students. First, For gende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the average of career values was 4.03 out of 5, the average of major satisfaction was 3.67 points,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97 poi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3.7 points, which was generally high. Second, for gender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girls' career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re higher than boys'. In the case of grades, in terms of career values and major satisfaction, Grade 2 is higher than Grade 3 and 4. Grades 2 are higher than 3,4 and 4 are higher than 3 i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family or relatives have nurses or not,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family members/relatives with nurses have higher career valu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an those family members/relatives without nurses. Third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s career values have a positive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plays a positive role as a medium between career valu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plays a positive role as a medium between career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identified as dual mediators between career valu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job guidance education system aimed at fostering the employ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through professional courses and non-professional courses training, nursing home visits and other service activities, to promote nursing college students to form correct career values and cultivate nursing professionalism, promote nursing college students to fully grasp the theoretical basis for employment, operation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teamwork and other professional abilities and nursing, service, independence and other professional spirits. Therefore, we should populariz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employment, guide nursing college students to develop and complete career plans that meet their own needs and abilities as soon as possible through orientation lectures and employment guidance courses, and support nursing college students to find jobs smoothly. 본 연구는 중국 2~4학년 간호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준비행동 경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경향이 성별, 학년, 가족·친지 중 간호사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네 가지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취업 수준을 향상시키고 취업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호남성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준비행동의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중국 호남성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및 취업준비행동은 인구학적 변수(성별, 학년, 가족·친지 중 간호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 호남성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준비행동의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호남성 8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으로 총 866명이며, 2023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척도 중 직업가치관 척도는 오지현과 임유진(2022) 것을 사용하였으며(=.934) 총 문항은 8개이다. 전공 만족도 척도는 황성우 외(2020)의 것을 사용하으며(=.970) 총 문항은 6개이다. 간호 전문직관 척도는 안성식 외(2022) 것을 사용하하으며(=.936), 총 문항은 17개이다. 취업준비행동 척도는 서연우 외(2022) 것을 사용하으며(=.926) 총 문항은 9개이다. 각 척도는 5점 리커트(Likert)이다. 수집된 자료는 Smart PLS 4.0 및 SPSS 26.0, AMOS 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적 관계 적합성 및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한 연구모형의 직접 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중국 간호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준비행동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관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03점, 전공 만족도의 평균은 3.67점, 간호 전문직관 3.97점, 취업준비행동 3.7점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인 변수에 따라 성별의 경우, 여학생의 직업가치관, 간호 전문직관은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직업가치관과 전공 만족도는 2학년이 3, 4학년보다 높다. 간호 전문직관과 취업준비행동은 2학년이 3, 4학년보다 높고, 4학년은 3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족의 간호사 유무의 경우, 가족·친족이 간호직에 종사하는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과 취업준비행동은 가족·친족이 없는 간호직에 종사하는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직업가치관은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준비행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만족도는 간호 전문직관과 취업준비행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만족도는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전공 만족도는 직업가치관과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더욱이, 전공 만족도와 간호 전문직관이 직업 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 간에 다중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약하면, 전반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는 취업지도 교육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대학 기간 중 전공 과정과 비전공 과정 교육, 경로당 견학 등 봉사활동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올바른 직업가치관 형성과 간호 전문직관 함양을 도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욱이 간호대학생들이 취업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 운영 기술, 의사소통 능력, 팀워크 능력 등의 전문 능력과 돌봄, 봉사, 독립 등의 전문직관을 충분히 습득하도록 촉진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취업 관련 법규를 대중화하고 오리엔테이션 강좌와 취업지도 과정을 통해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요구와 능력에 맞는 진로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함과 동시에 간호대학생의 원활한 취업을 지원할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 국내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역량 및 교육요구 분석

        이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580

        전염성 질환의 유행이나 의료인의 국제적 활동과 같은 보건의료 분야의 세계화는 임상 현장뿐 아니라 교육 현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간호대학생은 국제사회에서 건강증진과 건강형평성 강화를 위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예비 보건의료인이지만, 간호대학생 국제보건역량 등의 실태와 성인학습자로서 간호대학생이 기대하는 국제보건교육을 연속적인 시선으로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역량을 평가하고, 국제보건교육의 필요성과 형태 등 교육요구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2020년 5월부터 8월까지 전국의 간호대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참여자 중 12명을 대상으로 3개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역량 평균 점수는 4.0점 만점에 2.8±0.7점으로 나타났다. 여성, 더 높은 학업 성취도, 매우 유창한 영어, 더 많은 횟수의 국제보건교육 경험은 국제보건역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은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국제보건교육 횟수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208명 중 202명이 국제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그 중 94.2%인 196명이 국제보건교육을 받겠다고 응답하였으며, 2회 이상의 세미나 형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요구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 결과, 간호대학생은 그 동안 국제보건교육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껴왔다. 그럼에도 국제보건에 대한 관심은 높았는데, 이러한 데에는 이전의 국제보건교육, 다문화 경험, 미디어를 통한 정보 획득 등이 영향을 미쳤다. 간호대학생들은 국제보건교육에 실습과 수준별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주제에 가장 큰 관심을 가졌다. 사회적, 정치적 변화 속에서 간호대학은 교육을 통해 국제보건역량을 갖춘 간호인력을 배출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교육요구와 현재 역량을 기반으로 학습자 관점에서 국제보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globalization of health care, such as epidemics and international activities of medical personnel, has affected not only the clinical field but also the educational field. Nursing students are preliminary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can practice nursing to promote health and strengthen health equity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too little studies on global health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that nursing students expect to learn as adult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global health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dditionally, with focus group interviews, this paper examines the need for global health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From May to August 2020, 208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inall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interviewees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global health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as 2.8 out of 4.0 with a margin of ±0.7. Being a woman and “very fluent in English”, and having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 experience in global health education seemed to affect their global health competency significant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the number of glob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d by the nursing students.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shown, and 202 out of 208 study participants answered that global health education was necessary. Among the 202, 196 participants (94.2%) said they would receive global health education, and two or more seminars were the most preferr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in detail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nursing students have expressed that global health education opportunities are insufficient. Nevertheless, they showed a lot of interest in global health, and this is due to their previous global health educatio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media. Nursing students emphasized the need for practical training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global health education. In addition, nursing students had the greatest interest in educational topics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To sum up, in the midst of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nursing colleges have the obligation to nurture competent nursing personnel through global health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 direction of global health education from a learner's perspective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global health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 간호학생의 부검에 대한 태도

        오송이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567

        간호학생의 부검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D시 K대학교, G시 C대학교 간호대학생 433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29일에서 11월 12일까지 Botega 등(1997)이 개발한󰡐Questionnaire comprised of 26 attitude statements on necropsy VAS 100mm󰡑부검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로 조사한 후, SPSS for windows ver.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학생의 부검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조사되었으며 부검참관 유무에 따른 부검에 대한 태도 전체 점수의 차이는 없었으나, 부검참관에 따른 부검에 대한 세부문항 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학 교육과정 중 부검참관 실습은 간호학생의 부검에 대한 긍정적 태도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며 앞으로 부검참관은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실습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검참관 실습과 함께 부검에 대한 사전교육, 부검에 대한 토론기회 등이 다루어져 심도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1) 연구대상자 무작위화에 의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부검참관 유무에 따른 문항별 부검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므로 간호학 교육과정에 부검참관 실습을 포함시킬 필요성이 있다. 3) 간호학생의 부검에 대한 태도 변화를 위해 부검에 대한 올바른 지식함양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 Spielman의 수면장애 모델을 근간으로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567

        목적 : Spielman의 수면모델을 근간으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하는 3, 4학년 총 119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와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 간호대학생 119명의 자고보고식 수면의 질 측정에서 70.6%의 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았다. 액티그래피에서 간호대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4.34시간으로 총 수면시간 5시간 이하 학생이 58.5%이었고, 수면효율성은 평균 82.55% 였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일주기수면유형(β=.27, ρ=.005), 알코올 섭취(β=.20, ρ=.032)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총 수면시간에 좌식생활(β=-.23, ρ=.018), 주간졸림증(β=-.29, ρ=.003)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상당 수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이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수면측정과 객관적인 생리적수면측정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주기수면유형이 저녁형인 학생들은 수면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좌식생활과 주간졸림증은 수면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추후 수면장애를 연구할 때 주관적 측정과 함께 객관적 측정을 병행하여 수면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수면, 액티그래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leep patterns of nursing students, to examine influencing on factors sleep patterns in based on Spielman’s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ctigraphy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When sleep was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84 students (70.6%) showed poor sleep quality. Mean total sleep time measured by actigraphy is 4.34 hours, and the number of student who sleeps for 5 hours and less was 70 (58.5%). Mean sleep efficiency was 82.55%, and the number of students showed low sleep efficiency (less than 85%) was 67 (56.3%).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leep pattern measured by KMLSEQ were circadian sleep type (β=.27, ρ=.005) and alcohol use (β=.20, ρ=.032). The factors affecting total sleep time were sedentary behavior (β=-.23, ρ=.018) and daytime sleepiness (β=-.29, ρ=.003). Conclusion: Man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eriod perceived sleep disturbance. Affecting factors on perceived sleep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objective sleep evaluated by physiologic measure were different. The evening type of students perceived poor sleep quality, however, sedentary life style and daytime sleepiness caused short sleep time. Sleep consists of su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studies measure o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are needed.

      •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과 임종간호태도

        김수언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56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임종간호태도를 확인함으로써 학부과정에서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체계적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Ross 등(1996)이 개발한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와 Frommelt(1991)가 개발한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로,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2.4%이고, 학년은 3학년이 70.3%이였다. 51.7%가 종교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호스피스 교과목 개설유무에서는 61.4%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호스피스 교육시간은 2학점 이상이 24.8%이고, 학점없음이 61.4%으로 응답하였다. 호스피스 정보는 학교에서(책 또는 교과과정)가 6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필요하다’가 48.3%로 응답하였고 ‘필요하다’가 51.7%로 응답하였다. 호스피스제도 도입이 활발하지 않는 이유로는 병원의 경제성(타산이 맞지 않으므로)이 51.7%로 가장 많았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운영 찬성여부는 찬성이 99.3%였고, 호스피스 찬성이유로는 통증 및 증상을 관리해 주니까가 88.2%로 가장 많았다. 임종경험 유무에서는 임종경험이 없다가 75.9%, 호스피스 받을 의향은 95.9%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2)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의 평점은 0.52점이었다. 3개 하위 영역별 지식의 평균을 살펴보면, 통증 및 증상관리영역의 문항은 0.56점이었고, 철학과 원칙영역의 문항은 0.37점, 심리사회영역의 문항은 0.54점이었다. 3)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평점은 3.74점이었다. 2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개인에 대한 태도영역은 3.59점이었고, 가족 구성원에 대한 태도영역은 4.15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호스피스 교육시간(F=4.56, p=.012)과 호스피스 필요성(t=2.88, p=.05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는 학년(t=-3.64, p<.001), 호스피스 필요성(t=4.95, p<.001), 임종경험(t=3.18,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임종간호태도(r= .287, p<.001)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간호교육과정에 호스피스․완화간호 이론과 실습을 정규교과목으로 마련하여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의 말기 돌봄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삶과 죽음에 대한 가치관과 임종환자를 돌보는 건전한 태도를 형성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호스피스, 완화간호, 지식, 임종간호, 태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