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간 보강판을 갖는 단일 등변 ㄱ-형강 압축재 거동

        김종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63

        ㄱ-형강 압축재는 트러스의 복재 및 건물의 브레이싱(bracings)과 같은 부 구조재로는 물론, 송전탑, 송신탑, 그리고 래티스 타워와 같은 주 구조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ㄱ-형강이 중요한 구조재로 많이 사용되면서 형강 단면의 내하력에 대한 연구 또한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박판 개단면에서의 압축재는 휨이나 비틀림 또는 휨-비틀림의 조합에 의해서 좌굴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부재의 세장비, 단면의 폭-두께비, 단부의 구속도, 그리고 작용하중의 편심에 의해서 좌우된다. 본 논문의 주목적은 단일 등변 ㄱ-자 형강 압축재에 삼각형 보강판을 부착시킴으로써 파괴거동시 내하력과 연성의 증가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시험체는 단일 등변 ㄱ-자 형강으로 모두 42개를 제작하였고, 양단부는 단순지지 시켰으며, 보강판 수는 0개, 1개, 3개이고, 세장비는 80과 120이다. 실험 결과, 중간 보강판을 부착시킴으로써 내하력과 연성이 모두 약간씩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좌굴이 일어나는 곳에 보강판을 가진 형강을 공장에서 직접 제작하게 된다면, 압축재의 보강 효과는 더욱 향상되리라 사료된다. Angle struts are being used extensively as web members of trusses, bracings of buildings, and they are widely used as main members in transmission and lattice towers. Because of their growing importance in structural applications, interest in the study of the load-carrying characteristics of these angle sections has dras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struts within the thin-walled open section can buckle by bending or twisting or by a combination of bending and twisting, which depends on the member slenderness ratio, the width-thickness ratio of the angle leg, the end connection detail, and the eccentricity of the applied load.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riangular plate stiffeners on the failure behavior of the single equal leg angle struts. A series of tests were carried out for forty-two angles with triangular plates at their midlength. The angles have equal legs and are simply supported at their both ends. The slenderness ratios of the specimens were 80 and 120. From the test results, it could be generally observed that both the ductility and load bearing capacity were increased by stitching a triangular plates to the equal leg angles.

      • 비아파트형 주택의 전세가격과 주택공급량의 인과관계분석

        김종근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housing is the Living quarters and recognized as the investment goods which occupy 76.8% of Korea household property. In terms of investment goods, the house supplier will build the more houses the more revenue. The revenues through suppling houses are the sale revenue and lease revenue. Generally, the apartment supply is the object of sale profit supplied. However the non-apartment supply is the object of lease profit(Jeonse, monthly rent). Also, the house supply is the other characteristic from the general goods. As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non-apartment housing market, this study hypothesized the increase of lease profit(Jeonse price) should have increased housing supply. This research Analyzes casuality between the non-apartment houses Jeonse price and housing supply. and It analyzes with the under classifying market of the non-apart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housing market. It is as follow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ynthesizes. First, the supply quantity of the non-apartment housing was the multiplex housing, Multiple dwellings, row house, and single house net and appeared with a region that the Kangnam area was more than. Second, in the Kangbuk area, the single, Multiple dwellings did not show up except that the supply quantity gave an influence on the price of Jeonse in the fourth quarter of a year. When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period, after constructing, directly, an influence seems to be given. Third, as to the price of Jeonse of the row house, multiplex housing, in the Kangbuk area 2·3 lags and Kangnam area 4·5 lags, there were exposed to supply quantity and causal analysis. As to the difference of the lags, there are many old building and single house and the Kangbuk area has a lot of the potential demand about the house improvement than the Kangnam area. and the rate of the sale price contrast price of Jeonse is high, the investment comparison earning rate is high. Th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is concentrated and the demand for housing increases by the enormous migration and the acknowledgement of the possible point is determined as a reason.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irst, the supply of the Seoul non-apartment type housing has a meaning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 and characteristic at the supply of the non-apartment type housing and securing of diversity of the housing and secure of the cheap housing for the common people and in the side including the substantiality of a city. Second,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rise in Jeonse price of a vicinity due to housing regeneration project increases the parcel unit reconstruction. So the management plan through districts unit planning is needed by incurring the adverse effect including the infrastructure shortage. The limitation of a research is an Economic, Political, Social, and influence of the cultural factor and the existing housing were unable to be considered as the limit of a research and this just analyzed the new housing. And it is necessary that a complementary this is analyzed in the later research because there is the limit in which it sets extensively as the Kangbuk area and Kangnam area and it analyzes the under classifying market in Seoul. 주택은 삶을 영위하는 ‘거처’(Living quarters)이며, 우리나라 가구자산의 76.8%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식보다도 높은 수익률을 갖는 투자재로 인식되고 있다. 주택을 투자재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주택공급자는 수익이 높을수록 많은 주택을 공급하려고 할 것이다. 주택공급을 통한 수익은 매매수익과 임대수익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급은 매매수익을 목적으로 공급되며 비아파트형 공급은 임대수익(전세, 월세)을 목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주택공급은 한정된 대지와 건설에 상당한 자본과 시간이 소요되는 점에서 일반적 재화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며, 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아파트로 이루어져 비아파트형 주택시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비아파트형 주택시장의 특성분석을 위해서 임대수익(전세가격)이 실제로 주택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비아파트형 주택을 지역별, 형태별로 분류하여 전세가격과 주택공급량의 인과관계분석과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비아파트형 주택의 하위시장별로 분석하고 비아파트형 주택시장의 특성과 아파트형 주택공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아파트형 주택의 공급량은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연립주택, 단독주택 순이며 지역으로는 강남지역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독·다가구주택은 강북지역에서 공급량이 전세가격에 4분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공사기간을 고려하였을 때 준공 후 바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립·다세대주택의 전세가격은 강북지역 2·3시점, 강남지역은 4·5시점에서 공급량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의 차이는 강북지역이 강남지역 보다 노후건물과 단독주택이 많아 주택개량에 대한 잠재수요가 많고,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이 높아 투자대비 수익률이 높고, 주택정비사업이 집중되어 대규모 이주로 주택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인지(認知)가 가능한 점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서울시 비아파트형 주택의 공급은 주택의 다양성 확보, 서민을 위한 저렴한 주택의 확보, 도시의 지속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비아파트형 주택의 공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특성을 분석한 것은 의미가 있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주택재정비사업 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전세가격 상승은 필지단위 재건축을 증가시켜 기반시설 부족 등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구단위계획지정을 통한 관리 등의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경제적·정치적·사회적·문화적 요인과 중고주택수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고 신규주택만을 분석한 점, 서울시의 지역별 주택하위시장을 강북지역과 강남지역으로 광범위하게 설정하여 분석한 한계점이 있어 추후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 위키 비디오 노트를 위한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 자동생성 방법

        김종근 崇實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강의 동영상에 대한 활용성과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2가지의 핵심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이를 연구하였다. 첫 번째는 위키 비디오 노트라는 개념이다. 위키 비디오 노트의 개념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이 함께 노트를 작성하는 개념이다. 노트를 작성함에 있어서 중심 콘텐츠가 텍스트가 아닌 동영상이 된다. 기존의 동영상에 여러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하이퍼 프리젠테이션 개념으로 연결하고 영상 위에 메모를 작성하고 요약보기를 설정하는 편집 작업을 통해 하나의 노트를 만드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노트를 만드는 작업을 여러 사람이 함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콘텐츠의 양과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두 번째는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라는 개념이다.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는 위키 비디오 노트를 편집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위키 비디오 노트를 편집할 때 사용자의 편집 작업이 일어날 수 있는 후보 시점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강의 동영상에서 내용이 변화하거나 특징점이 있는 부분을 검출하여 이에 대한 시점 정보와 특징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이다.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는 위키 비디오 노트를 편집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뿐 아니라 비디오의 인덱싱이나 검색을 위한 정보도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위키 비디오 노트를 정의하고 내부적인 데이터를 기술(description)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에 따라 MPEG-21 DIDL을 이용하여 위키 비디오 노트를 기술하기 위한 요소와 태그 및 속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를 정의하고 이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한 가지는 강의 동영상에서 판서가 변화하는 변화량을 분석하여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를 생성하는 방법이며 다른 한 가지는 자막의 주요 단어에 대한 분포를 분석하여 다이나믹 링크 포인트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각 방법들에 대한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nd investigates two new core concepts aimed at improving the application and learning effects of online lectures. The first concept is Wiki Video-Note. This concept would allow people to write notes together using multi-media such as videos. The core content when writing notes would not be texts but instead would be videos. This concept makes a single note, through editing work that connects various multi-media content to a previous video with a hyper presentation concept, writes a memo on the video, and then sets up a browsing system. This system improve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ontent by providing an environment where many people can make notes together. The second concept is Dynamic Link Point. This concept facilitates editing in Wiki Video-Note by users, and means a candidate time for users editing work to be applied to Wiki Video-Note. Dynamic Link Point allows detection of places in the video where changes are made in the content of the online lectures or where interesting points are made, and provides the relevant time data. Dynamic Link Point provides data for indexing the video and searching its content, as well as offering convenient editing of Wiki Video-Note. This study defines these new concepts of Wiki Video-Note, and suggests a method to describe internal data. Elements, tags, and features are suggested to describe Wiki Video-Note using MPEG-21 DIDL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his study suggests two preliminary methods for defining a Dynamic Link Point and generating it automatically. One is to generate the Dynamic Link Point by analyzing the variation that writing on the blackboard causes in online lectures, and the other is to generate the Dynamic Link Point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key words found in subtitles. Finally, this study perform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formance of each method, which is suggested by tests, and then describes the results.

      • 호주의 예술 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 고찰

        김종근 서울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꾸준히 변화하는 세계 안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을 되돌아보고자 호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는 것이다. 현 2007년 개정 교육과정(2007. 2. 28)은 제7차 교육과정(1997. 12. 30)이후 제시된 교육과정으로 음악과의 목표는 “다양한 악곡과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한다.”로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음악 교육과정은 음악 자체에만 중점을 두어 현 시대에 필요한 통합교육적, 다문화적인 내용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외국인 등록 인구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세계화 시대에 맞는 교육을 위해서는 타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영역간의 통합교육에 대한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해봄으로서 우리나라와 다른 점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대표적인 이민국가로서의 호주에 대해서 살펴보고 통합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실제와 동향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둘째, 호주의 이민자수가 가장 많은 주와 가장 적은 두 주를 선정하여 예술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통합교육은 음악을 중심으로 여러 예술교과인 무용, 드라마, 미디어, 시각디자인 등과의 통합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은 David Elliot(1998)과 방금주?조효임(2005)의 관점으로 타문화에 대한 내용을 어떻게 소개하였는지 고찰해보았다. 넷째, 호주에서 쓰이는 음악교과서중 Music Room 4를 선정하여 저학년 단계인 middle primary 단계의 교과서와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악곡을 지도함에 있어 어떠한 통합적 요소를 적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렇게 호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해 봄으로서 우리나라의 음악 교육이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Australia. Australia is a country consisting of thousands of immigrants. In this rapidly changing world, it is important to compare other countries curriculum and textbooks. Korea’s 2007 Curriculum(2007. 2. 28) is the revised version of the 7th Curriculum(1997. 12. 30) and its aim, in regard to music education, is to "Build musicality and creativity through lots of activities with songs and enhance musical emotion." In this way, Korea’s music curriculum is focused on the music itself rather than on multicultural or integrated educatio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has increased every year, so to catch up to this global tre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about other cultures as well as integrated education. Also, integrated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rapidly gaining popularity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Arts curriculum of two states in Australia, namely Victoria and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The Arts curriculum will be examined in reference to music education. The method of study is outlined below: Firstly, Australia will be examined as an immigrant country and also in relation to integrat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ly, states in which immigrants rate are high as well as low, such as Victoria and Australia Capital Territory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differences in Arts curriculum. Thirdly, the organization of integrat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Music education with other arts subjects such as art, drama, media, and dance, will be examined. Lastly, the textbook "Music Room 4", which is widely used in primary school music education,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its relation to Victoria's curriculum. The integrat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es to music education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and diversity. Also, students will b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of their own culture and reali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music culture and other countries.

      • 장기간 트레드밀 프로그램이 폐경여성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근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women's life expectancy has grown to be more than 78 years of age, they now face spending one third (about 30 years) of their lives in menopause. Consequently, researches about menopausal women's health care have become necessary for health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fter middle years of their lives. Therefor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longtime treadmil programs on menopausal women's high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s researchers have tried biochemical tests of new members of Pupyong H Health NARA and selected menopausal women with high cholesterol rates and then calculated workout intensity of 60%HRmax and TarrgetHR of 70%HRmax by measuring RestHR and MaxHR and until they reached the target heart rate they were put under 24 week thead mill program. To find out what influence 24 week treadmil program has on the two groups and the experimental factors of variation based upon the period of treatment (TC,LDL-c,HDL-c,TC/HDLratio) blood has been drawn before the exercise, after 12 week, and after 24 week exercise, successively. Blood was then biochemically tested and the results analys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drawn; 1. TC,LDL-c,HDL-c,TC/HDL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ecreased on both pre-exercise and post -exercise.

      • 유통경로구성원간 상호의존성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재조명

        김종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존성은 파워와 함께 오래 전부터 유통연구에서 중요시되어 왔던 개념이며, 유통경로구성원간 의존적 관계형성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1990년대를 거치면서 의존성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마케팅 영역에서는 별로 진행되지 않았으며, 과거 Emerson(1962)이 제시한 개념적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채 유통상황에 적용되어 왔다. 이후 의존성 개념을 실제 거래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의존성의 발전된 개념인 상호의존성 개념을 제시한 연구들로는 Gundlach and Cadotte(1994)와 Kumar, Scheer and Steenkamp(1995, 1998) 등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상호의존성의 개념과 함께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유통경로상에서 중요시되어 왔던 또 하나의 개념인 갈등을 제시함으로써 상호의존성과 갈등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상호의존성의 두 차원과 갈등 간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연구마다 다소 상이하게 도출되었으며, 이는 개념적 불완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쌍무적 억제이론과 함께 의존성과 갈등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적 이론으로 갈등나선형이론을 활용하여 상호의존성과 갈등 간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상호의존성의 두 차원과 갈등간 선형적(linear) 관계에 대한 연구가설외에도 상호의존성과 갈등 간 비선형적 관계를 개념적으로 제시하고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 유통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상호의존성의 총합이 증가함에 따라 갈등은 감소하였으나, 상호의존성의 불균형성과 갈등간 관계는 대안적으로 제시한 두 이론(쌍무적 억제이론과 갈등나선형이론) 중 어떠한 이론으로도 일관되게 지지되지 않았다. 상호의존성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에서 상호의존성과 다양한 관계변수들간 선형적 관계만을 가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통연구들과 쌍무적 억제이론 및 갈등나선형이론을 토대로 상호의존성의 불균형성과 갈등간 비선형적 관계를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상호의존성의 총합이 높은 경우 상호의존성의 불균형성과 갈등간 비선형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설은 구매업체집단과 공급업체 모두에서 지지되었다. Dependence and power, two of the major constructs that have been regarded critical in marketing channel research. Especially, formation of channel members' dependence has been weighted heavily in consideration of essential elements. Past 80's, study of power and dependence was abundant and even recent days work of dependence, as the elements of relations, has been quoted and apostrophized heavily. However, during 90's progress of study on dependence theory lagged and caught no attention from marketing research. These studies were applied in the market within the guideline studies by Emerson (1962). At this period, study to be noticed is the works of Gundlach and Cadotte (1994), and Kumar, Scheer and Steenkamp (1995, 1998), who came up with new interdependence theory as further evolved from mere dependence theory in applying conceptual theory into real market situation. They also suggested theory of conflict, with interdependence, to be reconsidered its importance in the market and channel study, and developed relation of independence and conflict conceptually, followed by thorough empirical analysis. Each analysis on relations of two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had different results and these refer to conceptual inconclusiveness. Therefore, work of Gundlach and Cadotte (1994) failed to establish conceptual reasoning, while Kumar, Scheer and Steenkamp suggested bilateral deterrence theory as conceptual base but only partially accepted after the experiment analysis. On this study, in its attempt to establish conceptually clear relations of two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magnitude and asymmetry) and conflict utilizing bilateral deterrence theory, suggests conflict spiral theory to be conceptual base. The author submits hypothesis on linear relations of two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and performed analysis utilizing real market data. Also past studies on interdependence had picked one party member to answer their dependence and other party members' dependence. This could be lined in self-perception bias error. Therefore, this study chose whole members of party to participate in answering their dependence and other party members dependence to observe various measuremen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when each members measured their dependence as their perceptions on dependence, the hypothesis was acceptable. Observing the result of analysis, accumulation of interdependence decreased conflict, as past studies show, and this supported bilateral deterrence theory. However, relations of asymmetry of independence and conflicts failed to show that two theory were constantly supportive. On past studies on interdependence, they only hypothesized linear relations of interdependence and other various variables. Here, the author suggests non-linear relations of asymmetry of independence and conflicts, based on bilateral deterrence theory and conflict spiral theory. The result show, as the magnitude of interdependence is high, the hypothesis on the non-linear relations of asymmetry of independence and relations of conflicts was acceptable on both suppliers and distributors.

      • 3단계 동시증발공정의 단계별 Se 분압의 변화가 CIGS 박막 태양전지에 미치는 효과

        김종근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Cu(In,Ga)Se2 박막은 칼코피라이트 구조를 갖는 미래 지향적 재료이다. 현재 CIGS태양전지는 약 19.9%의 최고 효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양질의 태양전지는 3-stage evaporation 공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NREL은 고효율의 Cu(In,Ga)Se2 (CIGS) 셀의 경우 CIGS 광 흡수 층이 (220)/(204) 우선 배향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고하였다. 한편, 이러한CIGS 박막 미세구조의 우선 배향성 (112)와 (220)/(204)의 결정 인자로 Se 분압(flux)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e 분압(flux)이 클 때 CIGS박막은 (220)/(204) 우선 배향성을 가지며, Se 분압(flux)이 작을 때 (112)의 우선 배향성을 갖는다. 특히 CIGS의 표면 미세구조는Se 분압(flux)의 조절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며, 적절한 Se 분압(flux)은 CIGS 박막의 표면 기공을 제거 함으로써 셀 특성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3-stage공정의 각 단계에서 Se 분압(flux)의 변화를 통해, 각 공정 단계에서 Se 분압(flux)에 의한 CIGS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고, 이러한 미세구조의 변화가 셀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Se 분압(flux)의 조절을 통해 (220)/(204) 우선 배향성을 가지며, 표면의 기공이 없고 결정성이 좋은 양질의 CIGS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실험 결과에서Se 분압(flux)의 변화에 따른 CIGS 박막 특성은 Se 분압(flux)이 클수록 (112)의 결정 방향이 강화 되고 표면의 기공이 많아졌으며, Se 분압(flux)이 작을수록 (220)/(204)의 결정 방향이 강화되고 표면의 기공이 줄어드는 반면 결정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보였다. 보통CIGS 박막의 우선 배향성은 1st stage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낮은 Se 분압(flux)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CIGS 박막에 비해, 1st stage 이 후 Se flux의 증가시킨 경우, 낮은 Se 분압(flux)에서 성장된 CIGS박막과 비슷한 수준의 우선 배향성을 보여준다. 이는 1st stage 직후의 Se 분압(flux) 증가가 1st stage에 형성된 박막의 우선 배향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높은 Se 분압(flux)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CIGS 박막에 비해,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을 감소시킴으로써 CIGS 박막 표면의 기공은 감소하였고, 결정성도 향상시켰다. 이것으로 보아 주된 결정 성장은 2nd stage (Cu excess time)에서 이루어 지지만, 1st stage에서 Se 분압(flux)의 양도 결정성에 있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을 감소시킨 CIGS 박막의 우선 배향성 역시 1st stage의 Se 분압(flux)에 의해 결정되므로 (112)의 결정 방향으로 성장하였고,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을 증가시킨 결과와 마찬가지로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의 양은 우선 배향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2nd stage(Cu excess time) 시작 시 Se 분압(flux)을 감소시키는 것 역시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우선 배향성의 경향을 보였고, 2nd stage(Cu excess time) 이 후 Se 분압(flux)을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표면의 기공을 제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CIGS 박막 표면의 기공이 3rd stage에서 In, Ga의 공급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영역에 대한 정밀한 공정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험으로 얻어진 CIGS 박막은 셀로 제작하여 그 특징을 살펴 보았다. CIGS 태양전지는 일정하게 높은 Se 분압(flux)으로 박막의 표면에 기공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개방전압의 감소가 있었다. 그리고 일정하게 낮은 Se 분압(flux)으로 박막의 결정성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캐리어 수집률(carrier collection rate)의 저하는 단락 전류의 감소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해,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을 증가시킨 경우 CIGS 박막 태양전지는 결정성이 좋아져 단락 전류(Jsc)의 향상의 결과를 가져 왔으나, 높은 Se 분압(flux)의 영향으로 인하여 표면의 기공이 발생해 개방 전압이 감소하였다. 1st stage 이 후 Se 분압(flux)를 감소시킴으로써 CIGS 박막의 기공은 현저히 줄어 들었으며 이는 곧 개방 전압(Voc)의 증가를 가져왔고, 1st stage 에서 충분한 Se 이 공급 되면 결정립 성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곧 단락 전류(Jsc)에서도 큰 손실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3단계 동시 증발법에서 각 단계에서의 Se 분압(flux)을 제어 함으로써, (220)/(204) 우선 배향성 강화, 결정성 향상, 박막 표면의 기공 감소의 효과의 결과를 얻어 더 높은 효율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다.

      • 都市土地利用의 效率化에 관한 硏究

        김종근 檀國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our limited land and poor cultivative land, we need to utilize it reasonably in order to make use of efficiently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re is any satisfaction not to be fulfilled about the demand of land. So we must establish the device or policy which can be used efficiently in problems of land. But we should lay emphasis on the unbalance of land possession which shows in composed of land user, and the inequality of wealth which due to rise suddenly of land price. The aim of policy that a land could be utilized most efficiently is the utility factors. The utility factor are judged from not individual using condition but totally by-products (profits) which appear on cultivated land. The other side, there is the valancing standard which evaluate the policy of land by size of possession in the relations of social rung, classes, region, and generations. This has more interesting in the distribution of values than the size of producted values and approach to the land problems. Our land policy seems to be managed such like putting stress on the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polic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policy of land focused on the efficiency brought about the private ownership of land in unearned income. Second, the government's intentional decision of policy allowed to the particular person private ownership of development. Third, the distribution of profits was not balanced in the relations of peoples, classes, and departments so, violent difference of income was produced. Forth, owing to unjustifiable distribution af cultivative profits the desires of labour in peoples was depressed, and it produced the social dissolution. These throubles result from the land policy of development which is based on efficiency. Now, I'll suggest a new alternative plan for solving the troubles. It must be worked out the phenomenoa of lack of land. First, a limit of land supply infinitly widen the rise in price of land, so, it bring out the sudden rise in price of land. Therefore, we should restraint a speculation of real estate, and establish the social and lawful device which can defend the rise in land price. Second, insufficient land can be brought into efficient utility according to form of using. The high utility replaced horizontal concept of land with perpendicularity one. Nowadays, the use of land means that it is through the surface,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These three elements are able to utilize efficiently by high storied buildings a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establishment. Third, we can divide a city into dwelling, business, industry agriculture, and community area etc. Like this division leads the efficiency that function of city become re-distribution over the whole city. Forth, the object of urban re-development must be chosen seriously by haw old projected city. Therefore, we can achieve the efficiency of urban re-development.

      • 힐버트 규브에 대한 연구

        김종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상수학은 100여년동안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는 유클리드 기하학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위상 공간, 거리공간, 수열의 극한, 유계, 노름공간, 콤팩트 공간의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고 분리공간인 space , space , space (Hausdorff) , space (정칙공간) , space (정규공간)에 대하여 알아본다. 유클리드공간과 힐버트 공간에 대하여 알아보고, 힐버트-슈미츠의 작용소에 대하여 정의를 하자. 이고 이라고 주어진다면 이는 힐버트 공간 의 부분집합이 됨을 보이고, 이 때 힐버트 큐브는 폐집합이고 유계인 집합임이 됨을 증명하여 보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