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화가 완료된 도시지역 토지적성평가 수립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이세광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ABSTRACT The Study of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mpleted of Development Lee, Se Kwang International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The study began when asked whether the results of the land aptitude Assessmen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 completed urban area, meet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land aptitude evaluation and are appropriate as basic data for the urban basic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Land Suitability Assessment comprehensively analyzed environmental ecological,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examined the location status, establishment status,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to select optional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mpleted its metropolitanization, so there are no managed areas and agricultural and forestry area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nd aptitude assessment for the green area,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tendency were shown. In terms of urban planning, green areas are located in areas that need conservation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protect animals and plants,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protect farmland, preserve it, and prevent urban sprawl. As a result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these areas were assessed with some developmental tendencies. Seco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ided to select the distance from the Biotop Class 1 in consideration of the city'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its policy direction to preserve green areas. Although it was induced to preserve natural green areas, the results of the land aptitude evaluation were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aptitude of the "라" and "마" class for a certain area (0.28fi) of the first grade of Biotop land.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land aptitude assessment alone did not represent the values derived from the selection of optional indicator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o the green area using qualitative absolute assessment (designation of the conservation target area) could be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The establishment of a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mandatory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green area designation, even if the selection of optional indicators and qualitative absolute evaluation of separate conservation areas were adde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ew relevant regulations, such as exclus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a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uch as Seoul, where only the preservation area remains subject to a land aptitude assessment, since the average of land aptitude and standard deviation are converted to standardized values. 국문초록 이 연구는 개발이 완료된 도시지역인 서울특별시의 토지적성평가 결과가 토지적성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는지와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의 기초자료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서울특별시의 토지적성평가에 대한 서울시 환경 생태적·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입지현황, 수립현황, 수립의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선택지표 선택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례에서 기도시화가 완료되어 관리지역과, 농림지역등이 존재하지 않고 보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녹지지역만을 평가대상으로 토지적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개발성향의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녹지지역은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호, 휘기 및 멸종위기 야생 등 동식물의 보호, 환경오염의 예방, 농경지보호, 보전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에 입지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역이 토지적성평가 결과 일부 개발성향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서울시는 녹지지역을 보전해야 한다는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서울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비오톱1등급지와의 거리를 선택지표로 결정하여 자연녹지지역을 보전하려고 유도하였으나 토지적성평가 결과는 비오톱1등급 토지의 일정면적(0.28㎢)이 “라”,마“등급의 개발적성으로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토지적성평가의 정량적평가 결과만으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선택지표의 선택으로는 평가결과 값을 유도한 대로 나타내지 못하였기에 정성적 절대평가(보전대상지역 지정 부록1참조 )를 활용한 녹지지역을 최대한 보전할 수 있었다. 현재 국토계획법 규정에 따라 전 국토에 대해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토지적성평가 수립에 대해 기개발이 완료된 도시지역에서의 토지적성평가의 수립은 지역적합성을 반영한 선택지표 선택과 별도보전지역 지정에 따른 정성적 절대평가를 추가하더라도 녹지지역 지정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 값이 나타났다. 따라서 토지적성평가 전체 평가대상 토지의 적성값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곡선상의 표준화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적성등급의 비율이 일정하게 나타나므로 보전지역만이 토지적성평가 대상으로 남은 서울시와 같은 도시지역에서는 토지적성평가 수립에서 제외하는 등 관련 규정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물리적 요소에 따른 보행만족도 변화 : -서울시내 3개 주요 광장을 중심으로-

        이하정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nmental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has been used for various cultural events, social/political gatherings by particular interest groups, and sometimes pan-national gathering purpos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being operated and managed under Seoul municipal government as well as Gwanghwamun Square,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by citizens featured with its location,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gnition and other multiple factors despite it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s our daily place excluding its extraordinary nature of these square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those squares are where we want to walk and stay and they are places to naturally lead the steps of pedestrians. It was remarkable that these places seem isolated rather than being harmonized as a public space excluding significant events such as peaceful gatherings or world cup cheering. Therefore, I thought its main cause is coming from internal/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Gwanghwamun Square and finally hypothesized that walkability of the pedestrian is influenced by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pen space with a logic of the research as follow. Firstly, advanced research on pedestrian’s walkability will be studied, and key factor securing walkability of urban open space will be comprehended. Secondly,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alk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comprehended and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be verified by this research will be extracted. Thirdly, numeric value will be surveyed by applying the extra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eoul Square, Cheonggye Square, and Gwanghwamun Square.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by Google Map, Naver Map, and site visiting. Fourthly, walkability on three squares will be verified by question survey and their walkability will be comprehended by analyzing survey result with advanced research ca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er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considered for urban planning at the initial stage. Keywords: Open Space, Square Plaza, Walka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lk Space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광화문 광장에서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 이해집단의 사회․정치적 집회의 장소로 쓰이며, 범국민적인 화합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광화문광장과 함께 서울시 관리 하에 운영되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 역시 그 규모와 형태는 다르지만 광장의 위치, 역사적 배경, 기타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서울시민들에게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광장이 지닌 이러한 특수성을 배제하고, 우리의 일상의 장소로 생각하였을 때, 과연 이 광장이 정말 가고 싶은 장소인지 머물고 싶은 장소인지, 보행자의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이끌게 하는 곳인지 의문이 들었다.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는 평화적 시위, 월드컵응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화문광장은 ‘화합’보다는 ‘격리’의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이러한 원인을 광화문광장을 구성하는 내외부 물리요소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오픈스페이스는 보행환경의 특정 물리적요소가 보행자의 보행성(wal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보행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는 데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둘째, 보행공간 및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본 연구의 대상에 적용할 물리요소를 선별한다. 셋째, 선별된 물리요소를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조사한다. 조사는 구글맵, 네이버지도,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수행한다. 넷째, 3개 광장을 대상으로 보행자 설문을 통하여 대상지의 보행선호도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선행연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보행성 확보여부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여 보행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행공간 물리요소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도시계획 초기단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광장, 보행성, 보행공간의 물리적요소

      • 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이초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都市管理手段으로서의 高度地區에 관한 硏究 : 서울시 최고고도지구를 중심으로

        정성국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토 및 도시의 토지이용에 있어서 주요한 제어수단에는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도시계획시설, 각종 도시개발사업 및 지구단위계획이 있다. 이중 고도지구는 15개 용도지구(서울시 기준)중 하나로서 건축물의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하므로서 지정목적을 달성하는 도시계획수단이다. 서울시에 지정되어 있는 고도지구는 남산, 북한산 주변 등 모두 10개소에 최고고도지구가 지정되어 있다. 지정목적별로는 주로 경관보호를 위해 지정되었으며, 김포공항주변 고도지구 1개소는 시설물 보호 목적으로 지정되었다. 1972년 남산주변 충현동(현 신당동) 영빈관 주변에 고도지구가 처음 지정되었다. 지정 초기이던 1970년대에는 정부요인의 경호, 공항 시설물의 보호, 국가기관의 권위를 목적으로 지정되었다. 1980년대에는 고도지구 지정이 미미하다가 1988년 이후 경제 및 사회적 발전과 함께 경관에 대한 관심이 일어났으며, 1990년대 북한산, 남산 주변 등에 더 이상의 경관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도지구 지정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2000년 이후에는 경관지구 해제지역 등 주변과의 형평을 고려한 고도지구 대체지정은 있었지만, 고도지구의 신규지정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도시관리수단인 고도지구에 대해 현시점에서 운용이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데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된다. 논문의 구성은 크게 4개 부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연구방법은 문헌 및 자료분석과 설문조사와 지가조사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는 도시내 건축물 높이제한에 관한 고찰이다. 여기에서는 법제적 차원에서 고도지구에 대한 개념, 의의, 등장 및 변천을 살펴보았다. 고도지구 이외에도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 등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건축법에 의한 높이제한 및 기타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높이제한을 다루었으며, 기존 연구를 통해 관련 논문과 학술기관 연구성과물을 검토하였다. 둘째는 고도지구의 지정 및 유형별 특성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고도지구 결정에 대한 절차와 서울시 고도지구 지정 및 관리현황을 배경을 포함하여 자세히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정현황을 유형화 하여 지정목적별 및 고도제한 방법별로 특성을 정리 및 분석하였다. 셋째는 설문조사와 지가조사를 통해 현재의 고도지구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설문조사의 경우 주민, 전문가, 공무원 그룹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시행하므로서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고도지구의 필요성 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가조사의 경우에도 고도지구 내부 및 외부 필지간 지가를 확인 비교분석하므로서 고도지구 지정으로 인한 지가 및 지가상승율의 유사성 및 차이점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넷째는 이러한 현황분석, 설문조사, 지가조사를 통한 시사점를 살펴보고, 고도지구의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정리하였으며, 고도지구 이외 타 도시계획 수단과의 관계 고찰을 통해 고도지구의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설문조사 결과는 서울의 경관관리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부정적(79%)이며, 경관관리를 위해 고도지구 등의 높이제한이 필요(82%)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차분석 결과 고도지구의 추가지정이나 높이제한 강화를 묻는 설문에서는 소유자 그룹이 타 그룹보다 오히려 높은 비율로 고도지구 신규 지정 및 고도제한 강화 의견을 표명한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경관관리가 필요한 지역에 대해서는 고도지구의 추가지정 등 고도지구의 활용 의견 및 주변지역을 포함한 경관관리 검토구역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가분석 결과에 따른 건폐율 완화방안, 고도지구의 유형별 분석을 통한 높이산정기준 보완 의견 및 여타 도시계획 수단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제·사회 수준의 향상과 함께 시민들은 더 나은 주거 및 도시환경을 제공받기를 바라고 있다. 주거환경의 만족도에 있어서도 산·공원 등 주변환경이 가장 중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1972년 최초 지정 이래 지정목적을 성실히 담당하고 있는 고도지구는 앞으로도 도시경관 확보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서 그 활용의 여지가 크다는 점이 본 논문의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t policies to regulate the use of country’s and city’s territories include the special use area, the special use district, the special use sector, the city planning facility and the district planning. The height limited district is one of 15 special use districts (Standard of the city of Seoul), which is a means of the city planning that regulates the maximum or minimum heigh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pecial use. There are 10 maximum height limited districts designated in Seoul, which include the areas around Mt. Nam and Mt. Bukhan. As to the purposes of designation, most of them are for the preservation of natural and city scenery, except for a case of the area around Kimpo airport, which was designated to protect facilities. The Yeongbinkwan at Choonghyeon-dong (currently Shindang-dong) around Mt. Nam was the first height limited district, designated in 1972. In the 1970s, when the designation began, the main purposes were to guard important government officials, to protect airport facilities, and to show off the authority of governmental institutions. In the 1980s there was no active designation, but after 1988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s there arouse the concern about natural scenery. In the 1990s there were active designations of height limited district around Mt. Bukhan to prevent further damages to natural scenery. After 2000, there were designations similar to height limited district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with the surrounding areas, such as scenery cancellation area, while there was no new designation of height limited district. The startingpoint of the present study was being aware of the problem that the height limited district, which is an effective means of city management, is currently being operated in an extremely limited way. The thesis consists of 4 large parts, and the study involved the analysis of literatures and data, a survey and the investigation of land price. First, the height regulation of buildings in city was considered: Here the concept, meaning,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the height limited district were studied in a legal aspect. Besides the height limited district, also were dealt the Land Use Planning and Development Regulation Law, which regulates the special use area and special use district, and also the regulation of height by the Building Law an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Previous literatures and research reports from relevant institution were reviewed. Second, the designation of height limited districts and the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types were attempted to be analyzed. Above all, the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height limited district was summarized in detail; and also the designation and current management of height limited districts by the city of Seoul were summarized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the current designations were classified to be summa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signation and to the means of height regulation.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the current height limited districts, through survey and the investigation of land price. As to the survey, it involved residents, professionals and public officials separately to obtai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ir understanding about city scenery and about the need of height limited district. As for the investigation of land price, the land prices of the lots inside and outside the height limited distric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which wa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the land price and the land price rising rate resulting from the designation of the height limited districts. Fourth, the meaning of the result of such an analysis about current situation, survey and the investigation of land price was considered to summarize the ways of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height limited districts. Also the means of utilizing the height limited districts were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means of city planning. Particularly,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scenery management of Seoul is generally negative, and that the city required height regulation such as the height limited districts for the scenery management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about the survey regarding the additional designation of height limited districts or regarding the reinforcement of height regulation showed that the group of owners are more active than the other groups in supporting the additional designation of height limited districts or the reinforcement of height reg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refore, a suggestion was made to utilize the height limited district, such as the additional designation of height limited districts, for those areas needing scenery management; also was suggested the tentative areas including the surrounding areas for scenery management. Still additional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alleviation of the building coverage ratio according to the investigated land price, regarding the complementation of height evalu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height limited districts, and regarding the connection to other means of city planning. With the improvement of economic and social levels, the citizens wish to be provided with better residential and urban environments. Such environments as mountain and park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s. Therefore, the height limited district, which has been achieving its purpose of designation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in 1972, has a big potential of being util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securing city scenery; which would be the meaning of this thesis.

      • 지하철 방재성능 향상을 위한 방재설비기준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유민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Underground structures and subway are in recent under the construction.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is made to mitigate any hinder on the sky line of existing land mark building. The lack of risk assesment of the construction of domestic subway do not reveal all the potential risk. And there is some design restriction to the application of Fire Safety Regulation becaus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tunnel and station buildings. The fire raised in the tunnel area would lead to the huge damage to of civilized personnel and equipments. The damages could be lead by the deep underground facilities. In this regards, the fire protection is urgently needed. There is code of NFPA 130 in USA, BS 6853 in GB, EBA in Germany, and LAR in Hongkong. And the fire regulation in Korea are described in the Building Act, Fire-fighting Act, and Urban Railway Construction Regulation. However the applicability is not clear for these regulations; the Boundary for fire prevention, Smoke exhaustion/prevention, and Emergency evacuation. A prevention of disaster equipment must be constructed to the subway because there is any opening such as entrance or ventilation shaft in the subway system. These openings may be constituted as a chance of any flooding or earthquake damag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example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 of subway incidents and explained the analysis results of data from Seoul Metro line 1, 2, 9, Sinbundang line and AREX.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 of subway and accident instance of domestic and overseas are analyzed to develop guide 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fire protection system. Secondly, the Daegu instance is studied to investigates a countermeasure to the fire which is giving a severe impact on the life and property. Last is grasping a present condition of fire protection equipment which is controlled by operating organization of Seoul Metro and City Metro. And the efficient use and the integral part of fire protection system is digged up. Here is the summary for the study. 1. The severe life injury may be induced due to the features of subway station and tunnel vent shaft, meanwhile open area station would not. The discrimination of the prevention plan should be made for the subway station. 2. In case of incident in the subway station would de developed to the severe case. It is needed to have a close coordination between subordinate units. 3. The design team must carefully apply all the regulation, functional requirements in terms of the Building Act, Fire-fighting Act. 4.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should be kept in view during the design phase. But the performance based design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re is any difficulties on the application of related Acts because of structural limitation. 5. No mater how the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is excellent, the maintenance method and the training of the equipment must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the professional staff must master SOP(Standard Operation Process) to cope disaster situation. This dissertation is deemed to be a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of fire-prevention system to be performed by fire-fighting design personne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and the fundamental concept of development for the subway fire-prevention. 최근 도시지역의 교통 문제 특성상 도시의 지상기능 및 도시환경과 미관을 고려하여 주로 도로하부에 지하 건축물로 지하철도를 건설 하고 있다. 국내 지하철은 설계 및 건설 단계 에서부터 지하철이 가지고 있는 잠재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평가가 없이 건설되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지하철 역사 및 터널 공간은 기능적 특성상 기존의 건축․소방 법규를 수용할 수 없어 고도의 안전이 요구되는 지하철 역사 및 터널 공간에 있어 설계상 어려움이 있다. 지하공간의 도시철도의 경우 이용률의 증가와 지하철노선 의 증가 등으로 도심 지하철은 대형화 고심도화 되어 도시철도 지하역사 및 터널에서의 화재는 대형 인명손실과 막대한 재산피해로 이어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도시철도가 도심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임을 감안 할 때 도시지하철의 이용자와 근무자의 인명 안전의 위험성은 증가 되며 시민들의 일상적인 안전에 매우 큰 위협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하철 역사(地下鐵 驛舍)의 국내외 방재안전기준을 살펴보면 외국의 경우 미국의 경우 NFPA 130, 영국의 경우 BS 6853, 독일의 경우 EBA, 홍콩의 경우 LAR등으로 지하철관련 Code 등이 규정되어있으나 국내법령의 경우 건축법, 소방법, 도시철도 건설규칙 등에 규정되어 있어 방화구획, 방․배연, 피난관련기준들을 적용하기 모호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지하철역사의 특성상 출입구 및 환기구등 지상 노출물의 수해(水害), 지진(地震) 등의 자연적 재난뿐만 아니라 방화, 독가스 살포 등 인위적 재난에 대한 방지 대책을 포함한 방재설비를 구축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은 국내외의 지하철도관련 사고사례를 분석하고, 서울시지하철 1․2기 지하철 및 9호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등의 방재설비를 중심으로 방재 설비의 특성을 분석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재 시스템의 구성하는데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지하공간의 공적 특성과 국내 및 국외의 지하철관련 사고사례를 분석함으로서 사고의 유형과 사고의 피해상태 등을 파악하고 이에 적절한 방재설비 구축을 위한 기준 등을 검토 하였으며, 대구 지하철사고 사례를 분석 하여 지하철도 공간에서 가장 빈번하며 인명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하철 역사에서의 화재 발생을 중심으로 화재시의 인명안전대책, 피난대책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서울시 지하철을 비롯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방재설비 현황을 파악하고 방재설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방재계획 등에 구성요소 등을 검토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로 지하철 방재설비 구축 및 운영 시 방재시설에 관한 합리적 업무 수행 방안에 대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역사의 특성상 정거장 부분과 본선터널 부분의 경우 동일한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재해로 인한 피해 양상은 차이가 있으므로 정거장과 본선구간은 별도의 공간으로 고려하여 방재대책의 구성 역시 별도의 대책을 강구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하철 공간의 경우 사고 사례에서 본 바와 같이 사소한 부주의로서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재난발생시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 체계가 필요하며 재난 유형별 대응정보 등의 활발한 교류가 필요하다. 셋째, 지하철역사의 방재대책 구축 시 건축법, 소방법 등의 관련기준 적용 시 방재시설이 필요로 하는 기능적, 법적인 요구사항을 잘 이해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반영 하여야 한다. 넷째, 방재시설의 원래 목적과 취지를 달성하기 위한 성능이 구현될 수 있어야 하므로 다양한 한계성을 고려하여 건축구조적인 문제나 공간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관련법의 적용이 곤란한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성능위주 설계제도의 제도적 정착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방재시설은 아무리 성능이 우수한 장비들이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장비의 성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 및 교육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방재관련 전문 인력으로 하여금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유지, 관리하고 각 상황별로 적절 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관련인 각자의 업무를 숙지(熟知)하고 훈련할 수 있는 대책으로서 표준대응절차(SOP)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논문을 통해서 지하철 방재시설에 대한 계획 및 적용에 대한 개념과 방재설비의 특성을 기술하여 지하철 방재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고자 한다. 핵심어 : 방재안전기준, 방재시설, 표준대응절차, 성능위주

      • 1970년대와 2000년대 주거단지계획의 비교 연구

        우상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보다 나은 주거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시공공공간을 생활공간으로 인식하고, 도시계획의 영역이 아닌 주거지계획의 영역을 다루게 되는 계획경향의 변화는 우리나라 공동주택계획의 성격과 흐름을 전환시키는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과거의 대규모 단지들이 도시 수준의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단지와 같은 개념으로 계획됨에 따라 도시로서의 체계성과 도시의 활력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던 것에 반해 도시계획에 해당하는 지구단위계획이 설정이 되고, 그러한 계획에 따라서 단지의 연계성과 도시성을 통한 도시차원의 공간구조에 대한 새로운 고려들이 시도되었다. 이런 점에서 1970년대 강남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탄생한 잠실아파트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에 있어 새로운 계기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한 대단지아파트인 잠실 아파트는 처음으로 근린주구론을 적용하여 종래의 단지개념에서 벗어나 자족적인 단위생활권 측면에서 여러 가지 디자인 컨셉을 보였다. 잠실은 각주구마다 공공시설 및 부대복지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을 단지 중앙에 집중 배치하고, 가구단위의 생활권을 계획하는 등의 여러 가지 시도는 높이 평가 할 수 있으나 아쉬운 점도 있었다. 도시와의 관계에 있어 단지와 도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가로의 활성화 저하와 도시공공 공간의 황폐화를 초래하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이런 잠실단지가 30년이 지난 지금 재건축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 단지가 당대를 대표하는 사례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집값의 최고를 자랑하는 강남권에 위치한 대단지로써 이 논문을 통해 잠실아파트의 70년대 사회문화적 상황과 오늘을 비교하고 그 안에 담겨 있는 계획적 개념을 상호 비교하는 논문으로써 30년 동안의 간격을 통한 단지설계 다지인 페러다임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4년 잠실종합개발기본계획안을 통해 개발 당시의 단지계획과 주거이념을 알아보고 2000년대에는 잠실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과 각 단지 설계사와 건설회사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잠실단지계획의 주거 이념 통해 도시성의 해석, 단지와 외부공간의 구성방법, 주거의 평면구성을 통해 우리의 잠실의 주거문화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알아본다. 주요어 : 공동주택, 단지계획, 잠실지구, 잠실단지, 잠실계획

      • 지자체별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 비교 분석 : -화성시를 중심으로-

        김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개발사업을 통한 용도지역 변경, 도시계획시설 변경 등의 도시·군관리계획 변경은 토지가 상승으로 이어져 막대한 계획이익을 유발하기 때문에 사유화되는 계획이익을 환수하기 위하여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사전협상 절차를 통하여 민관이 적정한 공공기여 방안을 합의한 후 도시계획 변경을 진행하는 사전협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화성시 또한 지속적인 인구증가 및 다양한 유형의 도시개발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도시·군관리계획 결정(변경)으로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사회적 공유체계 마련을 통하여 공공과 민간이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화성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을 2021년 제정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2009년 처음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영된 사전협상제도 관련 문헌·선행연구를 검토해보고, 국내에서 운영 중인 11개의 지자체 사전협상제도들을 사례지향적 연구(Case-oriented Study)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및 비교하여 유형화하며, 「화성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은 어떤 유형에 속하며 다른 지자체와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왜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살펴본다. 그 결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의 사전협상제도를 ‘대도시권에서의 도시지역관리형’, ‘대도시권에서의 도시·비도시지역 관리형(이하 “복합형”이라 한다.)’, ‘중도시권에서의 도시지역관리형’, ‘중도시권에서의 복합형’, ‘중도시권에서의 비도시지역관리형’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화성시는 ‘중도시권에서의 복합형’에 속하고 제도를 통해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서의 도시·군관리계획 결정(변경)으로 발생하는 계획이익을 환수하기 위한 사전협상제도를 운영 중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화성시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된 화성시의 동측·서측의 지역간 도시적인 불균형을 「화성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을 통하여 관리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지침 내 ‘공공기여 산정기준’을 지역별로 편차를 두어 관리하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성시의 사전협상제도는 ‘공공기여량’을 통하여 지역의 개발과 인구 유입을 유도 및 촉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다른 지자체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 연구를 통하여 지자체별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들을 유형화 해보고 「화성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는데, 연구 과정에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근간으로 하는 사전협상제도는 만으로는 도시지역에 비하여 관리체계의 한계가 있는 비도시지역에 대한 제도적인 관리(공공기여량 산정 등)는 어렵다는 것 또한 살펴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큰 틀에서 법적인 제도개선이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사전협상 운영 시 지침을 지자체의 조례로 제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공공기여 기준과 이행에 대한 부분을 법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하며, 지자체 차원에서는 사전협상을 전담하는 조직을 운영하는 등의 공공의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Changing urban city and county management plans in Korea, such as change of land use plans(upzoning) or urban planning facilities for developmen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land prices. In order to prevent the planning from being privatized, some local governments are operating a 'Pre-Negotiation Guideline', which ensures that both parti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gree on an appropriate public contribution plan through a pre-negotiation process and then proceed with urban planning change. Hwaseong City, in Korea, also prepared a social sharing system for development profits generated from urban planning decisions in line with the continuous population growth and demand for various types of urban development so that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can mutually cooperate while following the "Pre-Negotiation Operation Guideline for Urban Planning Change Operation Guidelines" prepared in 2021.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pre-negotiation system,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2009 in Seoul and has been operated to date. Besides, ten local government pre-negotiation systems used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a case-oriented study. Further, by analyzing, comparing, and categorizing the type of Pre-Negotiation Operation Guideline for Urban Planning Change Operation Guidelines in Hwaseong, its differences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guidelines and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were explored. From the analysis, the domestic pre-negotiation guideline currently in operation in Korea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These are the urban area management type in metropolitan areas, urban/non-urb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lex area") management type in metropolitan areas, urban area management type in mid-city areas, complex area management type in mid-city areas, and non-urban area management type in mid-city areas. Through analysis, Hwaseong City's guideline is classified as a 'complex area management type in mid-city areas'. In addition, the city was identifi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city being managed following the 'Public Contribution Calculation Standard'. It differs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in that it seeks to induce and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inflow through the 'Public Contribution Quantity' guidelines. Through this study, the Pre-Negotiation Operation Policy for each local government was categoriz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Pre-Negotiation Operation Guideline for Urban Planning Change Operation Guidelines for Hwaseong」 were examined. It was identified that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manage non-urban areas with limitations in the management system compared to urban areas using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using an extensive framework. It is recommended that the pre-negotiation guideline is enacted as an ordinance to ensure that a more stable operation is achieved, the public contribution and implementation are legally managed, and the local government in charge of the pre-negotiation guideline is strengthened.

      • 전국 지자체 쇠퇴현상 분석 연구 : 도시재생법 5개 쇠퇴지표를 기준으로

        강은석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외곽개발 및 성장위주의 도시정책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도시문제의 해결과 경쟁력 강화는 국가적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기존의 뉴타운 등 도시 재개발 사업 등의 대규모 철거방식은 부동산 가격의 급등과 기존 원주민과의 갈등을 증폭하여 많은 후유증과 부작용을 보이게 되었다. 이런 배경으로 정부는 생활밀착형 도시재생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도시쇠퇴와 도시재생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도시쇠퇴 지표를 개발하고, 그 기준으로 도시를 분류하여 연구 시, 연구자의 주관적 의견이 반영되어 그 결과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쇠퇴지표를 연구하는 대신에 정부의 도시재생법 시행령에 따른 5개 도시쇠퇴지표 기준으로 쇠퇴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역들의 지역분포, 인구수 규모 등에 따른 쇠퇴양상들을 분석하는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를 기초자치단체 229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국 지자체 중 57%에 해당하는 지자체에서 쇠퇴지역으로 분석되었고, 3,488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더 높은 쇠퇴양상(65.9%)을 보였다. 쇠퇴지역의 지역별 분포로는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경상북도의 높은 분포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 규모별 도시쇠퇴 분석결과 인구수 규모가 작은 중소도시에서 높은 도시쇠퇴비율을 보였고, 쇠퇴지역으로 선정된 130개 지역 중 91개(70%)지역에서 인구수 감소율이 50%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반면에 산업경제적 측면의 쇠퇴양상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물리환경적 측면의 노후건축물 비율은 예상과 반대로 인구수 규모가 높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의 대도시들에서 높은 노후건축물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2014년 쇠퇴수준과 2016년의 쇠퇴수준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도시쇠퇴율은 50%에서 57%로 증가함을 보이며, 점점 도시쇠퇴가 전국에 걸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점점 도시문제의 해결과 도시쇠퇴가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쇠퇴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 사업은 계획수립 중심으로 그치고 있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미약하고, 사업당 지원 수준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전국적인 도시쇠퇴확산양상 및 쇠퇴특성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쇠퇴 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방안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As urban development policies focused on outsourcing and growth have reached the limits due to low growth, low fertility, and aging,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re becoming a national task. The large-scale demolition methods such as the existing re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New Town have increased the price of real estate and the conflict with the existing indigenous peoples, resulting in many aftereffects and side effects. In this context, the government is pursuing various studies on urban decline and urban regeneration as the importance of life - friendly urban regeneration policy is emerging. However, when developing a new urban decay index and classifying cities by that standard, subjective opinions of the researchers are reflected and the results are limited. In this study, instead of studying the decline index, we selected the decline regions based on the five decline indexes according to the Urban Regener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government and analyzed the decline patterns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population size of the selected regions Respectively. The research scope was analyzed with 229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7% of them in the whole country were analyzed as declining area, and in the case of 3,488 small municipalities, 65.9% of them showed a higher urban decline rate than decline rate of local governments. The distribution of the declining regions was analyzed to show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Seoul, Jeollanam - do, and Kyungsangbuk - do provin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urban decline by population size, urban decline rate was high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70% (91 cities) of the 130 declining regions showed very high population decline rate. On the other hand, the decline of the industrial economy is analyzed to be insignificant. The percentage of aged buildings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nticipat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oportion of aged building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Busan, Daegu, and Seoul is high. Compared with the decline in 2014 and the decline in 2016, the overall rate of urban decline has increased from 50% to 57%, and urban decline is increasingly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Although urban solutions and urban decline are becoming increasingly national challenge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to date are still focused on planning, resulting in weak performance and lack of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wide urban decline and declin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interest and plans will be established for various urban decline problems.

      • Impact of urban forests on housing prices in Nanjing

        Liao Wang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conduct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mpact of urban forests on housing pric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s and distance from the urban forest, so that to announce the value of urban forestry. The study takes Nanjing city as the case study, applies the hedonic prices method as the research guide, utilizes GIS technology as the tool to measure the distance,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to explore the impact of urban forests on urban housing prices. During the study, all the residential areas (totally 125 units) in the south of Zhongshan scenic spot in Nanjing city within a 3km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mountain are chosen. The factors related to housing prices such as housing age, bus, subway, hospital, school, distance to CBD, and distance to the urban forest are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effect of urban forests on housing pric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1km far away from the urban forest, around 3375.80 Yuan/m2 will be lost. Thus, urban forests can bring obvious value and benefits to the city, so that to affect housing value and price. 본 연구는 도시숲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주택가격과 도시숲과의 거리 간 관계를 규명하고 도시임업의 가치를 알리고자 한다. 본 연구는 난징시를 사례 연구로 채택했고 헤도닉 가격방법(Hedonic Prices Method)을 연구 지침으로 적용했으며, 거리 측정 도구로 GIS 기술을 활용하고 도시숲이 도시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산에서 직선거리 3km 이내 난징시 중산(Zhongshan) 경승지 남쪽에 위치한 모든 주거 지역(총 125개 주택)이 선택되었다. 주택연식, 버스, 지하철, 병원, 학교, 도심까지의 거리, 도시숲과의 거리 등 주택가격과 관련된 요인이 고려되었다. 연구 결과, 도시숲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숲에서 1km 떨어진 곳의 경우, 약 3375.80 위안/m2가 손실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도시숲은 도시에 명백한 가치와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으므로 주택 가치와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長期未執行 都市計劃施設 중 小路 類型別 特性 연구 : 경기도 九里市를 중심으로

        간광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 문 초 록 세계적인 경제위기 및 경기침체로 인해 2006년 각광을 받았던 뉴타운 계획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가 2011년 구리시 지역에서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기존의 뉴타운은 도심의 저층구조인 단독주택, 다가구, 다세대 주택, 연립주택, 또는 5층이하 아파트를 철거하고, 고층의 아파트를 계획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고밀도 주거정책이다. 도시계획을 잠깐이라도 접한 공무원으로 여건은 다르지만 구리시를 영국의 게이츠 헤드(Gateshead)와 같이 문화도시로의 도시재생을 꿈 꿀수는 없을까 하는 고민이 시작되었다. 이 고민은 아직도 꿈만 꾸고 첫 단추를 끼우지 못한 채 시간만 흐르고 있다. 기존의 건물과 기반시설을 놔두고 문화를 접목해 도시재생을 꾀하는 문화도시, 생명과 감성이 깃든 공간, 시민 모두는 아닐찌라도 대다수의 시민들이 머무르고 싶은 도시, 예술로 도시에 생명력을 불어 넣고, 예술로 도시를 아름답게 만들어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도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를 고민하다 일단 구리시의 장기 미집행 시설들은 무엇이 있으며, 어떤 시설들이 많을까 또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후 20년이 지나서도 집행하지 않으면 도시계획 결정이 실효되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 있을까 등등...이 궁금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구리시의 도시계획 시설 중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대다수를 차지하는 도시계획도로(소로)에 대한 현황을 살펴 보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거 시가지가 조성된 지역과 뉴타운지역내 도시계획도로(소로)는 현황도로에서 1~2m 확폭이 필요한 도시계획도로(소로)와 신규로 개설해야하는 도로로 나뉘어 있으며, 두 경우 모두 도시계획도로를 대체할 수 있는 현황도로를 이용하고 있었고, 주차장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 차들이 도로 양쪽에 주차되어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주차문제와 폭원이 좁아 재난(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녹지지역에서 도시관리계획(재정비)에 의거 용도지역이 주거지역으로 바뀐 지역의 도시계획도로(소로)의 특성은 현황도로를 확폭해야 하는 경우보다 신규로 도시계획도로(소로)로 결정한 경우가 많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대부분 자연녹지지역의 경우 토지임야 또는 전, 답의 농경지가 주거지역으로 변경되면서 도시계획도로를 결정한 경우이다. 셋째 개발제한구역에서 우선해제되어 지구단위계획에 의거 도시계획도로(소로) 결정된 지역 또한 현황도로를 도시계획도로로 지정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 지역들 모두 도시계획도로(소로) 미집행으로 인한 도시계획결정 실효시 기존의 현황도로를 이용해 표면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 같이 여겨 질 수도 있으나, 현황도로 미불용지에 대한 보상이 선결 과제라 할 것이다. 주요어 : 토지구획정리사업, 뉴타운, 도시계획도로(소로), 미집행 Abstract Characteristics research of Small Road by Type among Long-term No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Focused on Gyeonggi-do Guri City-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sluggish economy, residents' opposition to the newtown plans highlighted in 2006 began to emerge in Guri area from 2011.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xisting newtown plans are based on the high-density housing policy as they plan to demolish the low-rise structures such as detached house, multi-family houses, town houses and apartments below fifth floor and construct high-rise apartment houses. As an city official to had an access to urban plans for a short period of time, I began to try devising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to change Guri into a cultural city like Gateshead in the UK, but this attempt has not yet been implemented. Cultural city to promote urban generation in conjunction with culture, leaving the existing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space infused with vitality and sensibilities, city in which the majority of citizens want to stay and city where ecological,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exists due to the artistic implementation of the city.. I didn't know where to start, but managed to start the research by investigating long-term non-executed facilities in Guri and problems due to a lapse of urban planning determination resulting from the non-execution even after 20 years.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ty the status of city planning roads (small road) that account for the majority of no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Guri, and to analyze the typ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rban area created based o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urban planning roads (small road) within the new town area are divided into the urban planning road (small road) that requires the expansion of its width to 1-2m and the road that needs to be newly established. In two cases, the status road that can replace the urban planning road has been used. Due to the lack of parking space, most cars are parked on both sides of the roa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passage, and they are vulnerable to disasters (fir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ning roads (small road) in the area whose use is changed from natural vegetation area to residential area based on the urban management plan(readjustment) are that there are more cases where urban planning roads (small road) are newly determined than those in which the width of the status road needs to be expanded since most of natural vegetation areas are determined as areas for urban planning roads due to the change in the land use from agricultural area to residential area. Thir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status roads are designated to be urban planning roads even in the area relieved from the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and determined as the urban planning road(small road) pursuant to the district-unit plan. The above areas are considered to have no problems since they can use the existing status road in case of a lapse of the urban planning determination due to non-execution of urban planing roads (small road). However, it is regarded is a prerequisite to the compensation for the uncompensated land of the status road. Key words: Land readjustment project, new town, urban planning road (small road), non-exec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