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사회봉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학학협동(學學協同) 프로그램 중심으로

        선우현 湖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71

        최근 각 대학에서는 대학의 사회봉사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봉사학점제를 점차적으로 늘리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봉사 활동이 대학의 특성과 부합되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대학 사회봉사활동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은 대학생들이 봉사를 통해 배우게 하는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실현과 지역사회에 대한 열린 대학으로서 대학과 지역사회의 담을 허물며, 사교육비 문제와 같은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를 통한 의식 및 태도조사를 통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인식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국내외 대학들의 사회봉사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대학 사회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의 조직화 및 체계화를 통하여 봉사학습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이러한 제반 내용에 근거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대학의 사회봉사 활성화에 우리 나라 교육체계 전반에 활용 가능한 사회봉사활동의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이러한 연구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남대학에서 시도하고 있는 대학과 초중고 협력방안에 대한 모형인 '학학협동'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따라서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학학협동 시범학교로 지정한 광주하남중학교와 어등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호남대학교 자원봉사자, 하남중·어등초등학교 교사, 하남중학교 학생, 어등초등학교 학생, 어등초등학교 학부모 대상으로 중간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근거로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시범운영 과정의 제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의 기술적 통계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사가 77.07%로 가장 만족했고, 학생 69.67%, 대학생 봉사자 65.26%, 학부모 63.7%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68.92%가 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특히 교사선생님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교사들의 업무과중을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일정부분 해소시킨 것이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사교육비 절감여부에 대한 기여도는 대학생 봉사자가 69.13%, 교사 64.56%, 학부모 61.96%순으로 전체 65.22%가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사교육비 절감에 기여한다고 했다. 셋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을 다음 기회에 참여하거나 참여 시키겠다는 의견에 대해 학부모 88.47%, 학생 80.6%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봉사자의 경우는 33%를 차지했다. 대학생 봉사자가 낮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학기 단위로 운영 및 학점제 운영으로 교과선택상의 문제와 시간적인 여유 등의 문제로 다른 학생들에게 소개한다는 내용이 과반수가 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목 운영체계 확립의 조직화 및 체계화가 필요하다. 대학 사회봉사센터는 학학협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대학생 봉사자들이 지속성 확보를 위해 교과목 운영체계의 확립이 절실하리라 본다. 둘째, 학학협동 활동 인증제가 필요하다. 사회봉사센터는 봉사활동을 하는 봉사자들에 대한 보상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봉사 활동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원과 역할 분담을 위하여 국가차원이나 대학에서 봉사활동의 실적과 수준에 따라 인증제도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봉사자들에게 장학금 제도, 사회봉사상, 교통비 지급, 보험제도 등의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교생 실습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대학생 봉사자의 교육의 질을 굳이 따진다면 교생실습과정을 방과후 교육활동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사범대학, 사회복지학과 계열, 사회교육전문요원 등의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에 대해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습과 동일하게 인정해 주는 방안이다. 대학의 사회봉사는 실용중심의 대학교육을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열린대학 정신이 강조되어야 한다. 대학은 지역사회와 더불어 공존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상급학교로써 초중고등학교와의 연계활동은 대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Lately every university recognize importance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y and is trend of increasing service mark system gradually. But It's true that mostly social service activations to become operative present are full of discrepant program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realized service- learning that students learn through service and break down the fence between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at open university on a local community and i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esent matter such as personal educational expense matter. This is link next. First, it grasp recognizing standard of a study cooperation program through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investigation. Second, it grasp the realities of home and aborad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grape a device for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ation. Third it grope a service study device through systemation and organiza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th, by reason of these various contents,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exhibit a pattern of social - service activities to practical use in our general education system. This treatise study method considered a study cooperation program in theory on cooperation device of university,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senior high school to being attempt in Honam university to solve this - study subject So, education organ of Kwangju city appoint it Kwangju Hanam middle school and Adng elementary take part in it education activities program after school Honam university volunteer Hanam middle school·Adng elementary teachers, students, parent of students on object it's conducted a study cooperation program exhibition running that it's middle question investigation data from base. To summaries this investigation finding is like next First, to look around statsfaction standard of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participant is like this. It's come out in order of teacher 77.07%, student 69.67%, university student servicer 65.26% and parent of student 63.7%, also general statisfaction standard is researched in 68.92% part of teacher's bussiness overweigh. it may be this reason that statisfaction standard of teacher is high specially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is solve requlor. second, contribution standard of personal educational expenses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come out in order of university student servicer 69.13%, teacher 64.56% parent of student 61.96%, 65.22% of all think that a study cooperation program contributed to personal educational expenses. Third, the opinion to participate and be participated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come out parent of student 88.47% student 80.6% and occupy 33% in case of university student . University student servicer come out lowly for reason of subject select in tern unit, accreditong system running and timely reserve, etc on this investigation, to exhibit activation device is like next First,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ubject running system is needed. in policy fola study - cooperation activation, social service center need establishment of subject running system for continuous insurance. Second, attenstation system of a study - cooperation is needed social service center need to build compensation system on servicer attenstation system must be put in force for more systematic support and part assignment on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national or university situation through actual and standad of service activities. Third, It must grope activation device like a scholarship system, social service statue, traffic expense provision, insurance system to servicer to participate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Forth, student and teacher exercise disposal device need. If it distinguish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 servicer. it can think way to alternate student teacher of exercise course with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it is a device to recognize samely between the college of educational professionally worker, etc and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Social service of university has to emphasize university education of forcalized practical using to open university spirit contributes to community university has to recognize in fact that it has to coexisted with community. It is important that joint activity as an advanced school a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 체육 계열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팡팡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한국대학의 중국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이며, 대상은 학부, 석사과정, 박사과정을 이수 중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들이다.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피조사자들은 온라인 링크를 클릭하여 설문에 응답했다. 609명의 중국유학생들 중 설문에 동의한 588명의 유효한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남학생 339명, 여학생 249명으로, 회수율은 96.6%이다. 최근 몇 년간 한국에 입학하는 중국유학생수가 계속증가하고 있으며, 유학생수증가의 이유는 한국과 중국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 문화적 공통성이 있기 때문이며, 또한 한국 정부가 제시한 유학정책, 한국과 중국대학이 함께 진행하는 행사 등이 있으며, 중국의 고등 교육 시장의 공급-수요 문제 등도 있다. 한국으로 온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의 생활에 잘 적응하며 학업을 완수할 수 있는지가 중점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창의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현재 한국 정부의 유학 정책을 고려하여 중국 유학생의 한국 유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연구 모형을 제안하여 보다 미시적인 연구 관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유학 요인에 기반 하여, 한국 정부가 더 유리한 학습 정책을 제정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주요 연구대상은 학문적인 전문성을 가진 체육 계열 중국유학생으로, 체육 계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보다 포괄적이고 집중적이며, 이전 연구와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는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학업탄력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 생활적응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간에 인과 관계가 나타났다. 대학 생활에 더 잘 적응하기 위해서 자신에게 단기적인 목표와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동기부여와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목표를 관리 가능한 작은 단계로 분해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진행 상황을 조정하고 어려움이나 질문이 생기면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한다. 학업 지도, 상담사, 교수 및 동료들은 도움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새로운 도전과 경험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스스로가 적응하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tivations for studying abroad,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Chinese exchange students majoring in spor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undergraduate, graduate, and doctoral program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respondents clicked on an online link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 total of 588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out of 609 Chinese exchang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with 339 male students and 249 female students,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96.6%.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hinese exchange students enrolling in South Korea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xchange students can be attributed to the close geographical proximity and historical/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Additionally, the exchange student policies implemented by the Korean government, joint events organized by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and supply-demand issues in China's higher education market are contributing factors. There is a growing focus on whether Chinese exchange students who come to Korea can adapt well to Korean life and successfully complete their studie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provides a research framework that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decision to study in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current study abroad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t offers a more micro-level perspective on research. Secondly, ba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decision to study abroad,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the formulation of more favorable learning policies by the Korean government. Thirdly, the primary focus of this paper is on Chinese exchange students with academic expertise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majors can be more comprehensive, focused, and potentially yield different conclusion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22.0 Version. The statistical analyses performe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with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aforementioned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resilience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urth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college life adjustment. Fifthly, a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nd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better adapt to college life setting short-term and long-term goals can help with motivation and maintaining focus. Breaking down goals into manageable small steps, regularly evaluating progress, and adjusting as needed are beneficial. Don't hesitate to seek help when encountering difficulties or questions, whether it be from academic advisors, counselors, professors, or peers. They can provide assistance and support. Maintaining a positive mindset is crucial for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Maintaining an open attitude towards new challenges and experiences, believing in one's ability to adapt and overcome obstacles, is essential.

      • 대학생이 지각한 낙관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효산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낙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상담 장면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치료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대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문제, 회복탄력성은 어떠한 상관관계사 있는지 살펴보고, 대학생의 낙관성은 대인관계문제에 어떠한 영향 있는지 파악하며, 대학생의 낙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G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33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13명의 자료를 제외한 31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측정도구는 한국판 낙관성 척도(LOT-R), 한국판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SC), 회복탄력성 척도(YKRQ-27)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낙관성,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낙관성은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인관계문제와도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문제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낙관성은 대인관계문제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낙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별 회귀분석에서는 낙관성이 영향을 미치는 점이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낙관성은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에서 영향을 미쳤다. 통제지배와 과관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낙관성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문제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 중 냉담, 사회적 억제, 자기중심성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학생의 낙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낙관성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보다 회복탄력성을 매개로하여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들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낙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의 구체적인 경로를 발견하고, 상담치료 과정에서 긍정성 사회성 통제성 중 어떤 특성을 향상 시켜야하는지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 재한 중국유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몰입경험이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 효과

        마저리앙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유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적응이라 할 수 있다. 문화와 사회적 배경이 다른 낯선 나라인 외국에서 살아가고, 나아가 외국어로 학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가정하는 사실이고,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중요한 과정이 적응이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으로의 유학 동기 및 초기 적응 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개인적 성장과 학문적 성취를 이루기 위한 활동들은 대학 생활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이러한 활동에 재미를 느끼고 몰입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대학 적응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전공에 대한 몰입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의 최종 결과는 학생들이 얼마나 학업을 성공적으로 잘 이수하였는지 이다. 이러한 학업의 성공여부는 학업중단의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과학자들은 개인이나 상황 특성이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 개인과 상황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적합성을 이룰 때 그 효과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즉 인지된 적합성은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고, 학업중단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몰입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전공몰입경험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전공몰입경험, 대학생활적응,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전공몰입경험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전공몰입경험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높게 지각하고 반대로 학업중단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수업에 대한 몰입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직업가치관 중 내재적 가치관에 대해 높게 지각하도록 교육을 하여야 할 것이며, 전공수업이외의 이중 언어 수업지원이나 한국어 보충수업을 개인차에 따라 단계별로 운영하여 체계적인 학업지원과 중도탈락을 방지 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 지원 및 제도적인 절차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익숙한 전담 교수진 및 인원이 배치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권위주의적이고 위계적이며 남녀차별적인 한국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문화이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전공몰입경험과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한 인지된 적합성은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고, 반대로 학업중단의도를 낮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에 대해서 비전을 느끼고 스스로의 길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학습참여, 현장실습, 산학연계 등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스스로 선택한 전공 및 학교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통해 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대 사회봉사과목 수강 대학생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정진희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사회봉사에 대한 사회적인 필요성과 요구로 인해 대학차원에서의 사회봉사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대학생들의 학습을 도모하는 교육활동으로 봉사학습이 폭넓은 지지를 받음으로써 대학 내 사회봉사과목을 통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급증하고, 이들의 봉사활동 관리 및 활성화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2004년 사회통계조사에 의하면 전체 자원봉사자의 60%이상이 6개월 이내에 봉사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중도 탈락 현상은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교육시키고 훈련시키는데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기관의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대상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등 사회 전체적으로 많은 비용 손실을 초래하여 자원봉사자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의 시급함이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봉사 과목 수강을 통해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지속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급증하고 있는 사회봉사 과목을 통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개인요인(개인적 속성, 사회봉사과목 수강동기, 봉사활동 경험,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기관요인(기관의 유형, 봉사활동 내용, 봉사활동 시간, 담당자와의 관계, 기관에서의 교육), 학교요인(사회봉사과목 구성과 내용, 정책적 지원 및 관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호남대학교 재학생중 지역사회봉사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중 대입이후 봉사활동 경험과 학년,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봉사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봉사활동을 지속하며, 사회봉사 과목을 통해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학생 수는 저학년일수록 많으나 중단하는 비율이 높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참여하는 수는 적으나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관요인 중에서는 봉사활동 내용, 봉사활동 시간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노력봉사나 업무보조 등 간접적인 봉사활동보다는 프로그램 진행 및 보조, 학습 및 생활지도 등 직접봉사활동을 할 경우 지속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봉사활동 시간이 3-4시간 인 경우보다 1-2시간인 경우가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요인은 사회봉사과목 구성 및 내용과 정책적 지원 및 관리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봉사과목 구성 및 내용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책적 지원 및 관리에서는 전담부서의 역할과 프로그램 개발의 적극성, 지역사회와의 연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전담부서의 역할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의 적극성에 따라,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요인 중에서는 학년과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이, 기관요인 에서는 봉사활동 내용, 학교요인에서는 사회봉사 교과목의 다양성이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성화 방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자 활용 기관 및 담당자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과 배려 둘째,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성향을 고려한 봉사활동 배치 셋째, 대학의 사회봉사 전담부서 설치 및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조직 구성 넷째, 학교교육의 활성화 및 학교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ocial service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is considered important due to the social necessity and request on social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as a educational activity is having support for enhancing th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As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attend university lectures of social service is on the increase, it is necessary to draw up programs for managing and encouraging the students'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ocio-Statistical Survey in 2004, however, more than 60% of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re shown to give up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the middle of volunteering. Considering the cost and time used for educating and training new volunteers, the dropping-out of the volunteers causes enormous social cost loss including the efficiency decline in the operations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 quality deterioration in the services provided for those who need the services. Preliminary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urgent to take a measure for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to be able t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attend university lectures of social service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and find out measures by which the rapidly-increas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can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author divided the factors into the individual fact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otive by which the students attend the social service lecture,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the recognition on volunteer activity), agency factors (types of agencies,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hours of service activities, relations with persons in charge, training by agencies), and university factors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and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146 male and females students in Honam University who took the local social service lecture were presented of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0.0. First, as for the individual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fter entering university, academical year,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The more the students had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more they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mong those who were lower-year students, the number of those who did volunteer work was high but the rate of dropout was also high. Meanwhile, in higher-year students, the number of volunteers was low but the rate of continuing was high.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tinu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due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Second, as for the agency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inu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hours of servic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ended t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longer when they performed direct service activities such as progressing and assisting programs or teaching and life-guiding rather than indirect service activities such as mere labor-intensive activities or office assisting. Also, those who spent one to two hour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ended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longer than those who spent three to four hours. Third, as for the university factors including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and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the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role of agencies in charge, the positiveness of developing programs, and the connection with communities in the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ents' continuing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showed differences due to the role of agencies in charge, the positiveness of developing programs, and the connection with communities. Fourth,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ademical year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in the individual factors,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the agency factors, and curriculum diversity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wer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continuing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presents proposal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encouragement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ocial welfare agencies and persons in charge on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2) the arrangement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individual inclinations, (3)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ervice department and the positioning of experts in universities, and (4) Promo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active support of university author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promoting volunteer work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 유학생의 스트레스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양웨이웨이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학생활 겪는 대학 유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만족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유학생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만족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고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6년 10월 24일부터 2016년 11월 04일까지 10일으로 하고 공간적 범위는 전라남도 광주시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더불어 실증분석을 위해 무작위 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고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사회과학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PSS for Windows 19.0을 이용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조절 회귀분석 등의 통계처리기법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학생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만족의 개념은 제고해줬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생활 스트레스 세부질문 문항들을 ‘교수·가족관계, 친구관계, 경제, 학교주위환경, 장래와 가치관, 학업’ 등의 여섯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세부질문 문항들을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등의 넷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만족의 세부질문 문항들을 “학교생활전반만족, 학교교육과 시설 만족” 등의 두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만족의 분석결과로는 생활 스트레스의 “교수·가족관계”, ”경제“과 “친구관계”요인들이 대학교육의 질과 시설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생활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유학생 유학생활 교육프로그램,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유학생들이 상황과 개인의 특성에 맞는 스트레스 대처자원을 개발하여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활 스트레스의 ”경제“, “친구관계”과 “학업”요인들이 대학생활 전반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에 따른 유학생 생활 스트레스(교수·가족관계, 경제, 친구관계, 대학주위환경, 장래와 가치관, 학업)과 대학생활만족(대학교육의 질과 시설, 대학전반만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먼저 사회적 지지 중인 평가적 지지는 유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만족의 대학교육의 질과 시설만족의 관계에서 부분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 정보적 지지는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교육의 질과 시설만족의 관계에서 도 부분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다음 사회적 지지 중인 평가적 지지는 유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만족의 전반만족 관계에서 조절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였지만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 정보적 지지는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전반만족의 관계에서 부분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에 따라서 학교는 물질적으로 지원해주는 장학금과 교내 아르바이트를 통한 물질적 지지를 강화하고, 소속감 지지를 높여주는 학교동아리 활동이나 학과활동을 다양하게 만들어 학교와 자신이 속한 학과에 대한 소속감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존감 지지가 너무 낮아 자신을 미워하고 극도의 스트레스와 극단적인 자살로 연결되는 요즘 시대에 이런 것을 막고 예방하는 프로그램과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볼 수 있다. 자기를 사랑하고 자신의 존재가 소중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학교 내에 상담시설을 더 강화하여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유학생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가족기능을 향상하며 친구에 의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대학생의 노인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송란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앞으로 급증하게 될 노인층을 부양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중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과 그 이외의 전공자 338명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개인적 속성(성별, 연령, 종교), 학습경험(전공, 노인학 수강경험), 노인과의 접촉 기회(조부모 생존,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조부모의 인생연향) 등이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속성 중 성별의 차이에 따른 인식수준에 따라 신체적 학대의 시나리오, 정서적(심리적·언어적 학대 포함) 시나리오, 방임에 관한 시나리오로 분석 조사하였으며, 시나리오 12개 중 4개에서 남.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4가지 중 3가지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강하게 학대라고 인식하였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2개의 시나리오에서 20세 미만의 학생이 20-24세 미만의 학생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종교적인 차이에 따라서는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목의 차이(사회복지학전공과 비전공)에 따른 학대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서는 3개의 시나리오에서 의미 있는 인식의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 2가지 시나리오에서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학대에 예민하게 반응하였다. 셋째, 노인학 수강 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3개의 시나리오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중 2가지 시나리오에서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수강 경험이 없는 대학생에 비해 더 강하게 학대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조부모 생존 여부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3개의 시나리오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3가지 시나리오 모두에서 조부모가 별세한 학생이 생존해 계신 학생에 비해 더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는 기존의 연구와 같이 의미 있는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조부모의 자신의 인생 영향의 유무에 다른 인생의 차이는 2개의 시나리오에서 유의미 했는데,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대학생이 학대라고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학대 예방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노인학과 같은 노인과 관련된 과목을 대학의 교양과목으로 채택하고 대학생들로 하여금 학대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인식하도록 하며,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과의 접촉기회 및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노인을 좀 더 이해하고 세대간의 차이를 좁히며,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해 사회 전반적으로 노인학대 인식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As we observe the graying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increasing life spa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the society, elder abuse and neglect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has explor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not only to prevent elder abuse in the community but also to improve the adult protection system in Korea by way of investigating the realm of elder abuse, neglect, and maltreatment.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using vignettes as they are regarded as a valuable technique for exploring people's perceptions, beliefs, opinions and attitudes about specific situ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 vignettes and each required a response of either strongly agree, agree, do not know, disagree, or strongly disagre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38 participants who were university students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s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but no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Second, whether a student i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r not, at least in part,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Third, the students who have taken Welfare for the Aged have more rigid attitude toward elder abuse than is the case for the other students. Fourth, the existence of grandparents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udents are living with their own grandparents. Finally, the students who think they have been influenced the most by their grandparents have more strict attitudes toward elder abuse than is the case for the other students.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is designed to examine th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o the elderly. A number of recommendations are made, including education of specific subjects, public relations, and so on.

      •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지이미지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양디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the exchanges between the China and Korea became active since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each other in 1992, As Korea designated China as a country for free overseas travel since May 1998, the demands of Koreans for travel to China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Korea from China is also increasing day by day. Korea eased the conditions on visa issuance for Chinese since August 2010 in order to attract Chinese tourists, and among the total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11 (979 million persons), the Chinese tourists account for 22.7%, which is the second highest ratio next to that of Japanese tourists.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re on the ris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atistics of entra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to Korea are also recording a high growth rate every year. As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re staying for a long time, the ratio of their demands for tourism in the tourism market is getting increasingly higher. In addition, as the student tourists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the tourism behaviors of general tourists, the need to grasp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s being raised. This study has its primary purpose to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Korea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study in the sector of student tourism targeting students studying abroad which is lacking currently and to thereby constantly increase the visits of foreign tourists to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by studying the differences in degree of provision of tourist destinations and selection attributes depending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which account for a great ratio among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Korean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fram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60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Korean college students who are in Honam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the subject at the same university since December 1st, 2011 until December 20th, 2011 (for 20 days). In addition,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the data coding and also conducted the descriptive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samples t-test and Two-way ANOVA by utilizing the SPSS 18.0 for Windows, which is an analysis package for social science survey. First, for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for the degree of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 destination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differences in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ender, grade and age,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nnual income and number of sibling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differences in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tourism behavio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commodations, means of transportation, form of travel and the length of visi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accompanying to visit.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ender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rade, age, annual income and number of siblings.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tourism behavio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accompanying to visit and form of travel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commodations, means of transportation and length of visit. Sixth,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degree of provision-degree of importance o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the location was on the Quadrant I, which represents a high degree of provision and a high degree of importance in the IPA graph o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and thus it was evaluated that a consta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is needed from now on. Quadrant II represents a high degree of provision but a low degree of importance, and thus the items shown in this quadrant require an intensive management and operation. Quadrant III represents a low degree of both provision and importance, and even if the degree of importance is low, the improvement and investment should not be excessively concentrated. In Quadrant IV, it belonged to the self-orientation and universal value pursuit group. 한국은 1992년 중국과 국교가 수립된 이후 양 국가 간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1998년 5월부터는 중국을 해외여행 자유국가로 지정하면서 한국인의 중국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중국에서 한국으로의 방한 관광객의 수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은 중국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중국인에 대한 비자발급조건을 완화하였고, 2011년 전체 방한 관광객(979만 명) 중 중국인 관광객은 22.7%로 일본인 관광객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유학생의 한국입국통계 또한 매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국유학생의 관광수요는 이들이 장기적으로 체류하는 특성 때문에 관광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학생관광객 또한 일반관광객의 관광행동과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중국유학생들의 장기적인 체류의 특성으로 볼 때 관광지이미지에 대한 선택속성 차이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지이미지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일차적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학생들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대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지이미지에 따른 관광목적지 제공도와 중요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현재 부족한 실정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생관광부문에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는 외래 관광객의 한국방문을 지속적으로 높여 관광산업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호남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360명을 연구대상으로 호남대학교에서 2011년 12월 1일 - 2011년 12월 20일 까지(20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사회과학조사 분석패키지인 SPSS 18.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첫째, 관광지이미지는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관광목적지의 선택속성도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국적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성별, 학년, 연령 등은 관광지이미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연간소득, 형제자매 수 등은 관광지이미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적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숙박시설, 교통수단, 여행형태, 체류기간 따른 관광지이미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정보취득, 동반형태 따른 관광지이미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적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성별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학년, 연령, 연간소득, 형제자매 수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적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정보취득, 동반형태, 여행형태 등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숙박시설, 교통수단, 체류기간 등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제공도-중요도의 IPA 분석결과,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IPA 그래프에서 높게 나타나는 제공도와 중요도는 제Ⅰ사분면에 위치하여 앞으로 지속적인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Ⅱ사분면은 제공도는 높은 반면, 이에 대한 중요도는 낮게 나타나, 이 면에 나타난 항목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관리와 운영이 요구된다. 제Ⅲ사분면은 제공도와 중요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중요도가 낮다고 하여 개선 및 투자가 과도하게 집중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 부분의 속성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낮은 우선순위 부분에 대해서는 제한된 자원이 소비되어져야 한다. 제Ⅳ사분면에서 자기지향 및 보편적 가치 추구 집단이 이 면에 나타났다.

      • 학교급별 미용전공 학생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도

        강보라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in preparing an effective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 after identifying the awareness toward practice by the main structuring system of field practice called students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argeting th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t a point in time in which the importance of field practice is being emphasized as a process for improving the practical ability of th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related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the high school and two year college students have high interest toward hair beauty care and the four year university students were shown as having high interest toward skin beauty care for the interested major and desired area of field practice. The career after graduation was shown as hoping for the major area of study for the most part and enrollment of university was shown as being high in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el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The most important purpos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hile the practice of major field in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rowth of field adaptation ability in case of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have been shown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s. Also,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necessity of the field practice course than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ield practice than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ile the high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cultivation of sociability and the assistance of field practice in deciding career. For the time period of field practice, the students have replied that 1-2 semester of twelfth grade is appropriate in case of high school, 1-2 semester of second grade in case of two-year college and second semester of second grade or second grade of fourth grade in case of university. About one month was shown as being appropriate time period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For the frequency, the instance of replying five times or more was shown as being high in case of the high school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he reply that about once is appropriate was shown as being highest in case of the two-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quality of apprentices, the high school students said that an attitude of actively trying to learn is most necessary in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ile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aid a diligent attitude is most necessary. As the ability of apprentices for an effective field practice, the high school students replied that the ability to accept field work is most necessary while the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aid that a specialized practical ability is most necessary to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For the quality of the person in charge of field practice, the interest toward apprentices was shown as being most necessary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In case of the ability,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wo-year college students replied that an abundant field experience is most necessary while the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replied that an experience of teaching apprentices is most necessary to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ird, the overall mean score of expected attribute before the field practice was 3.83 points while the ‘expectation toward career influence’(M=3.89) was the highest to be shown in the order of ‘expectation toward self development’(M=3.86), ‘expectation toward the business of field practice'(M=3.80) and ‘expectation toward school education'(M=3.75). Fourth, the overall expected attribute before the field practice, expectation toward school education, expectation toward the business of field practice, expectation toward self development and expectation toward career influence have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hile we could see that the two-yea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expectation standard compar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major and fiel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rough the results above, we could see that they generally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ield practice. They also had high expectation toward the expected attribute toward the field practice and the college students were shown as having high expectation level of field practice compar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se asp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ce in being able to use as basic material in searching for an effective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hile suggesting fac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that a differentiated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For the limitations shown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ation in interpreting the study result by extension because it was only targeted on Gwangju and Honam area while also having a limitation from the fact that the field practice awareness investigation items according to the major of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by each school level not being abl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y each majo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task to generalize the result by extending the boundary of investigation area and the performance of a little more systematic study by identifying on the expected attributes of apprentices with more diversity would be necessary. 미용 산업은 고용 창출을 높일 수 있는 신 성장 동력 사업으로 부각되면서 인력 양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 미용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미용 교육 측면에서도 양적‧질적 제고가 이루어졌다고 보지만, 실무 중심의 현장 교육 시스템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교의 정규 수업만을 통해서는 현장 중심형의 교과 운영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학교급별에 따라 현장실습의 합리적인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실습의 주요 구성체계인 실습에 대한 인식도 및 실습 전 기대정도를 파악하고,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현장실습 운영 방안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심 전공 및 희망 현장실습 분야는 고등학생과 2년제 대학생들은 헤어미용, 4년제 대학생은 피부미용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는 전공 분야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대학 진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장실습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현장실습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학교급별에 차이를 보였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전공 분야 실습, 2년제와 4년제 대학생들은 현장 적응 능력 신장이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실습 교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2년제와 4년제 대학생들에 비해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 참여에 있어서는 고등학생들이 대학생들에 비해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 함양 및 진로결정에 현장실습이 도움이 된다는 의견에서도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의 시기로는 고등학교는 3학년 1-2학기, 2년제 대학교는 2학년 1-2학기, 4년제 대학교는 2학년 2학기 또는 4학년 2학기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기간은 학교급별에 관계없이 1개월 정도가 적절하다는 것이 높게 나타났다. 횟수는 고등학생과 4년제 대학생들은 5회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에 비해 2년제 대학생들은 1회 정도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습생들의 자질에 있어서는 고등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배우려는 자세, 대학생들은 성실한 태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효율적인 현장실습을 위한 실습생들의 능력으로 고등학생들은 현장업무 수용 능력, 대학생들은 전문적인 실기 능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실습 담당자의 자질에 있어서는 학교급별에 관계없이 실습생에 대한 관심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능력에 대해서는 고등학생과 2년제 대학생들은 풍부한 현장 경험, 4년제 대학생들은 실습생 지도 경험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현장실습 전 기대속성 전체 평균은 3.83점이었으며, ‘진로영향에 대한 기대’(M=3.89)가 가장 높았고, ‘자아발전에 대한 기대’(M=3.86), ‘현장실습 업체에 대한 기대'(M=3.80), ‘학교교육에 대한 기대'(M=3.75)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현장실습 전 전체적인 기대속성, 하위요인별 학교교육에 대한 기대, 현장실습 업체에 대한 기대, 자아발전에 대한 기대, 진로영향에 대한 기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대학생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기대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학교급별에 따른 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 및 현장실습 관련 특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현장실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장실습에 대한 기대속성에도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등학생들에 비해 대학생들의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