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의 MBTI성격유형과 교과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미선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scheme to rais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 and to propose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BTI tests and measuring curriculum satisfaction were carried out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 were verified. The study objects were 155 students of beauty course at the two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one of which was located in Jeollanam Province and the other in Gwangju Metro City. As for the study tools, the Korean language version of MBTI test paper was used. And in the case of curriculum satisfaction, the data in preceding studies was modified in order to be adapted to this study, and the Cronbach's coefficients for subject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0.845 and 0.838 respectively. The SPSS Win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was used in the material analysis, and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16 personality types, the ESFP type, ENFP type and ESFJ type occupied 33.5% (52 students), 26.5% (41students), and11.0% (17 student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ference indicator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s, the extroverted type that occupied 89.7% (139 students) outnumbered the introverted type, the sensing type that occupied 61.3% (95 students) outnumbered the intuition type, the feeling type that occupied 81.9% (127 students) outnumbered the thinking type, and the perceiving type that occupied 75.5% (117 students) outnumbered the judging type that occupied 24.5%(38 students). As for the functional personality type that occupied 50.3% (78 students)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the sensitive feeling type, intuitive feeling type, sensitive thinking type and the intuitive thinking type in order. As for the temporal personality types, the sensitive perceiving type that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with 45.2%(70 students) was followed by intuitive feeling type, sensitive judging type and the intuitive thinking type in order. Second, as for the curriculum satisfaction by factor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subject satisfaction was 3.31±.706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was 3.19±.616. Third, as for the preference indicator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s and curriculum satisfaction, the extroverted type appeared to have th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 satisfaction(p=.036) than the introverted type. And the perceiving type appeared to have lower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p=.005) than the judging type.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the preference indicator of personality type of the extroverted, introverted, judging and perceiving type had effects on the education satisfaction. Fourth, a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by preference indicators, the highest preference of judging type was hair beauty, skin beauty and entering a college in order, and in the case of perceiving type, the highest preference was entering a college, which was followed by hair beauty, career that is not related to the major, skin beauty. 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was observed. And also, as for the temporal personality type,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areer selection after graduation. Fifth,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satisfac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major, regretting the admission to the school and the career after graduation.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 전공 학생들의 특징은 미용과목에 대한 소신 있는 지원과 뚜렷한 진로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교과에 대한 흥미, 적성, 관심도가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미용교과는 빠르게 변화되는 미용 산업 분야에 종사할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미용 실무를 수행할 능력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교과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미용 전공 학생들의 특성에 맞춰 교육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이 학습자들의 성격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미용 전공 학생들의 교과 성취도 제고 방안 및 효율적인 교수 방법 제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MBTI 성격유형과 교과만족도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요인별 교과교육 만족도는 과목만족은 3.31±.706 이었으며, 교육환경은 3.19±.616으로 조사되었다. 선호지표별 성격유형과 교과교육 만족도는 외향형(E)이 내향형(N)에 비해 과목 만족(p=.036)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인식형(P)이 판단형(J)보다 교육환경(p=.005)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따라서 외향형(E)과 내향형(N), 판단형(J)과 인식형(I)의 성격유형이 교과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졸업 후 진로와의 관련성에서 판단형(J)은 헤어미용, 피부미용, 대학진학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식형(P)은 대학진학, 헤어미용, 비전공분야 취업, 피부미용 순으로 두 성격유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기질별 성격유형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학생들의 성격 유형과 교과교육 만족도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적성과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윤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ubmitted by: Kang Yoon-jin Advisor: Jeon Hyun-jin Recently in college education, classes are being conducted by uploading recorded class videos such as YouTube or the school portal site 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s like ZOOM in contrast to face-to-face methods of the past due to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and quarantine guidelines resulting from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bstantiate the impact of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ho are taking online class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cause-effect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enrolled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o recently took online classes, and they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ere the respondent enters responses manuall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March 30, 2021 on 30 college students currently majoring in cosmetics at a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2 to April 30 of 2021.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20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that were incomplete or had insincere answer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o use a total of 305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SPSS for Windows 21.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test was performed for follow-up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he four factors of class activity expression of opinion, class passion, continuing participation level, and class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s a single asp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p<.05,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evels.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while the learning achievement aspect was categorized into the two factors of learn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self-control learning.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p<.01,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levels. Thir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achievement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achievement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s a single asp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evels. Fourth, upon identifying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mediating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it was verifie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indirec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p<.01, p<.001).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class activity expression of opinion, class passion, continuing participation, and class confidence per sub-factor of learning participation used learn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self-control learning per sub-factor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at was partially mediated. Fifth, it was foun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rate, learning achievement rate, and learning satisfaction rate of online education had partial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detail, learning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1), online class impact for continuing academics (p<.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01), recognition level of online classes (p<.01), online class preference status of theory textbooks (p<.05), impact of online class for continuing academics (p<.0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01), recognition level of online classes (p<.001), preferred classes for online classes (p<.05), online class preference status of practical textbooks (p<.05), impact of online class for continuing academics (p<.0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Through such results, it was evident that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ntact-free classes at universities because of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are impact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by verifying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had greater direct impact compared to indirec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empirically proven that there is no cause-effect relations for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ath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learning satisfaction. 논문개요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강 윤 진 지 도 교 수 : 전 현 진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COVID-19로 인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지침에 따라 기존의 대면 방식에서 유튜브(Youtube)와 학교 포털사이트 등에 녹화된 강의 영상을 올리거나 ZOOM과 같은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각 변인들 간 인과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최근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을 편의 추출 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직접 응답에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예비조사는 현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2일~3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2021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0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무성의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05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s 21.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설정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참여도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수업활동의사표현, 수업열정, 지속참여도, 수업자신감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01). 이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참여도 차원을 분류한 결과, 4요인으로 분류 되었으며, 학습성취도의 차원은 학습지식능력태도, 자기조절학습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1, p<.001). 이는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성취도의 차원을 분류한 결과, 2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는 학습성취도를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학습참여도와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1, p<.001). 즉 학습참여도의 하위요인별 수업활동의사표현, 수업열정, 지속참여도, 수업자신감이 학습성취도의 하위요인별 학습지식능력태도, 자기조절학습을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학습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참여도는 학년(p<.01),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습성취도는 학년(p<.001), 온라인수업 인지정도(p<.01), 이론 교과서 온라인 수업 선호상태(p<.05),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가 파악되었으며, 학습만족도는 학년(p<.001), 온라인수업 인지정도(p<.001), 온라인 수업 시 선호 교과목(p<.05), 실기 교과서 온라인 수업 선호상태(p<.05),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COVID-19로 인해 대학에서 비대면수업으로 온라인교육에 대한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학습만족도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이 간접적인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독립변인들인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가 종속변인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경로에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가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 미용특성화고등학교 중심으로

        최선락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대한 연구로 독립변수를 학교요인과 가정요인을 두고, 매개변수는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 종속변수는 진로의식으로 두었다. 연구는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은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한 후, 설문을 통한 조사 방법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미용특성화고등학교로 지정된 강원도, 전북, 광주광역시, 전남지역 총 6곳의 전공 관련 방과 후 교육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였으며, 400부를 모두 수집하여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 20부와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360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 방법으로는 설문의 측정도구의 검증을 위해 타당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프로그램 12.0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 현황, 주요변수의 기본통계량 등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5.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검증 등을 수행하였다. 수행된 가설 연구모형검증을 확인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학교요인에 따라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표준화 경로계수 0.370, C.R 2.711)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1-1은 채택되었다. 학교요인으로 학교 성적, 학교생활 만족, 선생님의 관심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인 가정요인에 따라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표준화 경로계수 0.069, C.R 0.707)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1-2는 기각 되었다. 가정요인은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인 학교요인에 따라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표준화 경로계수 0.550, C.R 3.732)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1은 채택되었다. 학교요인으로 학교 성적, 학교생활 만족, 선생님의 관심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진로의식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독립변인이 가정요인에 따라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표준화 경로계수 -0.091, C.R -0.923)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2-2는 기각되었다. 가정요인은 진로의식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에 따라 진로의식(표준화 경로계수 0.370, C.R 5.207)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3은 채택 되었다.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가 높으면 진로의식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요인이 높을수록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진로의식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가 진로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연구∙분석되었다. 그러나 가정요인은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진로의식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살펴보면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전반적인 학교요인에 관련한 하위 항목 만족도가 높을수록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와 진로의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학교 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의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가정요인의 높고, 낮음은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와 진로의식에 큰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이라는 학문의 특수성을 고려해보면 가정생활에서 받는 만족감보다 학교생활에서 받는 만족감이 학생들에게 방과 후 학교 교육 만족도나, 진로의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부분이 많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investigated on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In the research, school factor and family factor were chosen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was chosen as a parameter, and the career awareness was chosen as the dependent variable. First, the research made an analysi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ubject after examining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n applied the investigative method through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form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object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the after-school program of the 6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provinces of GangWon, JeonBuk, Jeon Nam, and KwangJu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mong which 20 sheets of insincere replies and 20 sheets of abnormal replie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360 sheets were put to statistical analysis. As an analysis method of the results, the research carried out the validity analysis and credibility analysi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 of the survey as a measurement tool and used SPSS 12.0 to confirm the general state of the surveyees and the fundamental statistics of the main variables. Also, AMOS 5.0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study model are as follows: 1. Hypothesis H1-1 was adopted because the school factor,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turned out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0.370, C.R 2.711)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gets higher, as the grad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nd teacher's concern, of the school factor, get higher. 2. Hypothesis H1-2 was discarded because the family factor,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turned out not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0.069, C.R 0.707)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the family factor is not influential to eleva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3. Hypothesis H2-1 was adopted because the school factor,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turned out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0.550, C.R 3.732)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gets higher, as the grad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nd teacher's concern, of the school factor, get higher. 4. Hypothesis H2-2 was discarded because the family factor,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turned out not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0.091, C.R -0.923)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the family factor is not influential to elevating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5. Hypothesis H3 was adopted becau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their career awareness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0.370, C.R 5.207)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the career awareness of the students gets higher, a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gets higher in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shown that the school factor of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en it is higher, has an influence on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and the career awareness. Also, according to the study and analysis,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areer awareness. Looking at closely the above results, you can see that students of the beauty-art specialized high school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and get higher career awareness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 sub-items related with the overall school factor, and that they get higher career awareness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 family factor, high or not, is not very influential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and the career awareness.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beauty-art, it can be concluded that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the school life rather than the family life is more influential to elevat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and the career awareness

      • 피부 관리 교과목의 피부 관리 이론과 실제 단원을 중심으로 한 u-러닝 교수·학습모형

        송태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u-러닝(u-learning)이란 보다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맞춤식 학습이 가능한 학습형태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자가 원할 때 학습이 가능하다. u-러닝이란 유비쿼터스(ubiquitous)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언제 어디서나 학습자가 원할 때 학습할 수 있는 교육이다. 이것은 보다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맞춤식 학습이 가능한 학습 형태이다. 고객에 맞는 맞춤식 피부 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장교육을 통한 경험이 매우 중요하고 신속한 새로운 기술 습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습자중심의 수업방법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모형을 제시 하였다. 피부 관리 교과목의 피부 관리의 이론과 실제 단원을 선택하였다. 이 단원을 구성하는 3장중에서 제1장-피부유형에 따른 관리방법-은 프로젝트학습모형을, 제2장-피부 관리 화장품과 기구-는 체험학습모형을, 그리고 제 3장-클렌징 하기-는 직접교수법에 적용한 교수․학습모형을 만들었다. U-learning, which is based on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is a more creative and more individually suited learning model that the learner can study anytime and/or anywhere. To provide individually suited skin-care services to customers, it is essential that the estheticians get enough experiences and new techniques through field practice. To meet the demand of the times, learner-centered teaching process is more effective way rather than traditional instructor-led teaching process. In this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ich are able to conduct education that meet for demander's request in these days, are suggested. From Skin Care subject, the unit-The skin care theory and practice-is selected. Among the 3 chapters in this unit, the 1st chapter-The care methods according to skin types-is applied to the project learning model, the 2nd chapter-The skin care products and instruments-is applied to the experiential learning model, and the last chapter-The cleansing-is applied to the direct instruction model, respectively.

      • 중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통한 영양교육 효과 :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윤영란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ugust to December, 200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 boys and 90 girls, residing in Gwangju, Korea. To assess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re and post-questionnaire were developed an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oys and girls were analyzed separately in order to draw gender-specific inferenc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ents with working mothers were high(75%). Main activities after school included study, TV watching, and computer(85.5%), suggesting their low physical activity. Parents(46.5%) were served as the source of nutrition education rather than teachers(13.4%), suggesting greater influence of home. 2. Students were likely to choose foods for taste(boys 59.8%, girls 73.3%) before nutrition education, both students showed som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 after education. The preference for favorite snacks had a little change after nutrition education. Ramen which was responded highest before nutrition eduction(both students 30.2%) decreased to 25.0% and intake of dairy products increased to 21.5% from 9.9% after education. 3. Both student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on 'three meals a day, breakfast, and regular meal' after nutrition education. Boys who had breakfast everyday increased to 65.9% from 52.4% and girls, to 57.8% from 33.3%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n instant, sweet, and salted foods, and eating out, suggesting that it was not easy to change food taste which has been formed since the childhood by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In hygiene and table mann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brushing after meals(P=0.0276), 'having a meal with thanks(P<0.0001), having a meal with a good attitude(P<0.0001), helping table setting and cleaning(P<0.0143), and not spooning before adults doing(P<0.0005). 4. Nutrition knowledge was improved positively for both students. Both students increased in the recognition of school meals to 80.8% from 50.6%(P<0.0001) after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knowledge for daily calorie intake(boy 24.4%, girl 30.0%), foods for vitamin C deficiency(boy 12.2%, girl 8.9%), foods for anemia(boy 29.3%, girl 36.7%), and side effects of a low-calorie diet(boy 39.0%, girl 50.0%)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P<0.0001). 5.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characteristics(having working mothers, perception of body shape, having a low-calorie diet experience,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 and nutrition education was examined. Boys increased nutrition knowledge, and scores of regular eating and well-mannered eating regardless of boys'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 education. Boys having wrong perception of body shape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 had greater nutrition education effects than who had regular dietary habits. Girls increased nutrition knowledge, and scores of regular eating and well-mannered eating regardless of girls'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 education. However, a score of healthy eating did not increase regardles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both students. 6. In food preference, boys liked kimchi stew, fried rice with vegetables, noodles, curry and rice, ice cream, and fried potato, while girls liked juice, kimchi stew, curry and rice, dairy products, and bulgogi. Both students greatly preferred carbohydrate foods and meat except dairy products. Thus, since it is not expected to change food taste formed in the childhood will change soon after education, some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to take foods equally through long-term nutrition education through school meals and a variety of cookery. 7. In program assessment after nutrition education, main changes of lunch time in the school included 'no leftovers'(33.7%), eating habits(27.88%), and keeping order(20.1%). Sixty four percent of students responded 'very useful' or 'useful' and 66.3% of students responded 'interesting' for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suggesting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nutrition education methods, culinary practice was the most effective. As a result,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 activities in middle school could provided important motivation to improve basic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tailored to subjects to improve nutrition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생에 대한 기초 영양지식 제공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하여 2006년 8월부터 12월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재량활동 시간을 통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효과 평가를 위하여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은 영양지식(학교급식, 식품구성탑과 영양소, 아침식사, 간식, 비만), 식생활태도(규칙적인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균형잡힌 식생활, 위생적인 식생활, 예절바른 식생활), 식생활습관(편식, 간식, 식사시간), 음식에 대한 기호도, 영양교육 프로그램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교육 전․후 식생활 태도 및 식습관 조사, 음식 기호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 등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점수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으며, 영양교육 전․후 효과 비교를 위해서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차이를 검정하였고, 일반특성, 체형 인식도 및 다이어트 여부, 편식 등의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전․후의 차이 비교를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est를 이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효과를 검정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version 9.0, SAS Institute Inc., 20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남․녀 학생의 신체적 성장속도와 특징 및 영양섭취기준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남․녀 학생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을 살펴보면, 어머니가 직장이 있는 학생이 75%였으며, 방과 후 주된 활동은 공부, 컴퓨터 이용, TV 시청 등이 85.5%를 차지하여 평소 활동량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 영양정보․출처에서는 부모님(46.5%)의 영향이 크고 학교 선생님(13.4%)의 영향은 비교적 적어 학교에서 영양교사에 의한 전문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신의 체격에 대하여 남학생의 22.0%, 여학생의 21.1%가 비만하다고 응답하였고, 남학생의 22.0%, 여학생의 27.8%가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2. 식생활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 남․녀 학생 모두 음식 먹는 기준으로 맛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영양교육 후 맛에 의한 음식 선택 경향이 감소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한다고 응답하여 교육 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관심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즐겨먹는 간식으로는 남․녀 학생 모두 전체 응답률 중 라면 선호도 (30.2%)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영양교육 후 감소(26.9%)하였다. 영양교육 후 햄버거․치킨을 간식으로 즐겨 먹었던 남(9.7%)․녀(12.2%) 학생이 모두 감소(남학생 2.4%, 여학생 2.2%) 하였고 유제품 섭취가 증가하였다. 3. 식생활 습관 변화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영양교육 후 ‘하루 세끼 식사, 아침식사, 규칙적인 식사‘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에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영양교육 전 52.4%에서 영양교육 후 65.9%, 여학생은 영양교육 전에 33.3%에서 영양교육 후 57.8%로 증가하였다. 인스턴트식품, 단 음식, 짠 음식, 외식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어릴 때부터 길들여진 입맛이 단기간의 영양교육에 의해 쉽게 변화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생과 예절바른 식생활에서 ‘식사 후 양치질하기(p=0.0276), ‘감사하는 마음으로 식사하기(p〈0.0001), 바르게 앉아 식사하기(p〈0.0001), 상차림․뒷처리 돕기(p<0.0143), 어른 먼저 수저 들지 않기(p<0.0005)등의 예절바른 식사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4. 영양지식 변화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학교급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 효과(p〈0.0001)가 있었고, 영양교육 전에는 하루 필요 열량(남학생 24.4%, 여학생 30.0%), 비타민C 공급식품(남학생 12.2%, 여학생 8.9%), 빈혈 예방식품(남학생29.3%, 여학생 36.7%), 지나친 체중조절의 부작용(남학생 39,0%, 여학생 50,0%)에 대한 정답률이 매우 낮았으나 영양교육 후 유의적으로 영양지식이 증가하였다. 5.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비교할 때, 남학생의 경우, 어머니의 직장여부, 자신의 체형 인식도, 다이어트 경험 여부, 편식여부 등의 특성에 관계없이 영양교육 후 영양지식 및 규칙적인 식생활과 예의바른 식생활에서 영양교육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한 식생활은 대상자의 특성에 관계없이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장기간에 걸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자신의 체형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남학생 보다 비만하거나 말랐다고 생각하는 남학생과 편식을 하는 남학생의 경우에 영양교육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건강한 식생활, 균형잡힌 식생활, 위생적인 식생활에서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양지식, 규칙적인 식생활, 예의바른 식생활에서 어머니의 직장여부, 자신의 체형 인식도, 다이어트 경험여부, 편식 여부 등의 특성에 관계없이 영양교육 후 점수가 향상되었다. 6. 음식에 대한 기호도 순위에서 남학생은 김치찌개, 볶음밥, 우동, 카레라이스, 아이스크림, 감자튀김 등의 순이었고, 여학생은 주스, 아이스크림, 김치찌개, 카레라이스, 유제품, 불고기 순으로 응답하여, 유제품을 제외하고는 남․녀 학생 모두 선호하는 음식이 주로 탄수화물 식품과 육류에 치중되어 있었다. 어릴 때 형성된 입맛은 단기간의 교육으로 개선효과를 기대하는 것보다 장기적인 영양교육과 함께 다양한 조리방법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선호하지 않는 음식에 대해서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7. 영양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최근 한 달 동안 학교 급식소에서 조사 대상자의 변화된 분위기로 ‘잔반을 남기지 않는 것(33.7%), 바른 자세로 식사하기(27.8%), 질서 지키기(20.1%) 등으로 응답하였으며, 식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 로 응답한 학생이 63.9%였고, 영양교육이 흥미 있었다라고 응답(66.3%)하여 영양교육 내용이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효과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업 진행시 흥미를 느끼는 교육 형태는 남․녀 학생 모두 견학 및 조리실습 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영양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에 따른 교육 형태와 매체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중학교 재량활동을 통한 영양교육 실행은 기초 영양지식 향상과 식생활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교육 실시에 앞서 교육 대상자에게 맞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학습자료 개발이 요구되며,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통하여 더욱 발전하는 학교급식․활성화된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 미용분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준비행동,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보람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2017년도 미용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시행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진행된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을 통해 분석된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교육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진행될 미용분야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의 지속적 연계 및 한국 실정에 맞는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의 기초 자료로서의 발판을 마련하며, 궁극적으로 학생 교육에 중요한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 분석을 통해 미용분야 도제학교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 및 참여 지속 의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으로 현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5개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유효표본 21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도제학교의 선택 동기는 자신의 미래를 위해, 희망전공분야는 헤어, 도제학교결정요인으로 적성, 능력, 흥미 고려한 자신의 판단으로, 진로계획은 취업으로, 도제교육 분야로의 진로결정 또한 ‘매우 그렇다’로 도제교육을 선택함에 있어 개인의 의지와 선택으로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제학교 참여 학생의 전체 82.8%가 도제교육 분야로의 진로를 결정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과 같은 도제교육 참여 학생들의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사이에 가지는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도제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 향상 및 교육서비스품질의 질적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미용분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결과, 정보수집행동에 있어서는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별 신뢰성, 공감성, 확신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용분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간에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별 유형성, 공감성, 확신성이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이 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별 정보수집행동, 도구준비행동, 목표달성행동이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넷째, 미용분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정보수집행동과 도구준비행동, 목표달성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3가지 모두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용분야 도제교육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도제교육 참여로 인하여 단순히 지식과 기술을 확장하는 것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흥미나 적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용분야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의 요인별 개발과 개선에 의해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의 요인별 개발과 향상, 미용특성화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교육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뷰티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교육성과, 학습자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 광주`전남 미용학원을 중심으로 -

        박혜정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he rapidly changing beauty industry trends, cosmetology academies that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to students who want diverse and specialized cosmetology training have become more importa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veil the effects that are needed for changes to achiev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s that can respond to consumer needs as a more competitive educational service marketing strategy. For this,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i) What effects does beauty & cosmetology academy relationship marketing have on educational performances?, ii) What influence does beauty & cosmetology academy relationship marketing have on a learner’s voluntary behavior?, iii) What effects does beauty & cosmetology academy educational performances have on a learner’s voluntary behavio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ose participating in training programs of cosmetology academies in Gwangju and Jeonnam. For thi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 people on August 17, 2017. This was then revised and improved and implemented from August 11 to October 18, 2017.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15 copies were collected. Excluding 41 poorly answered ones, 374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lationship marketing-related scales were developed with the survey tool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proven in the domestic studies written by Kim Yeong-gyu (2002) and Park Geun-mi (2015). For educ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factors, the previous studies written by Chung Yong-geun (1997), Lee Ok-seon (2003) and Kim Chae-ho (2008) were referred to. In terms of learners’ voluntary behavior measurement tools, the measurement tools and questionnaires used by Bettencourt (1997), Lee Yong-gi (2001), Ji Sung-goo (2008) and Kim Hye-gyeong (2013) were adjusted and improved for this study. To determin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 cosmetology academies’ relationship marketing and educational performances. As a result, relationship 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al performanc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 marketing and learners’ voluntary behavior, relationship 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communication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hird, according to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erformances and learners’ voluntary behavior, educational performanc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said result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To enhance educational performances and learners’ voluntary behavior, beauty & cosmetology academies need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and encourage them to sign up for the program again by maintain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learners through communication and actively taking advantage of relationship marketing such as prompt response to their educational desires and complaints. Therefore, to prevent current learners from leaving, there should be efforts to improve learner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al performances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related agencies using diverse media and methods. Keyword : educational performances, relationship marketing, educational performances, learner’s voluntary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뷰티산업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화, 전문화된 미용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교육서비스를 담당하는 뷰티미용학원의 역할이 커짐에 따라 효과적인 관계마케팅의 활동으로 전문성의 부여와 보다 더 경쟁력 있는 교육서비스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질적 향상과 경영성과를 위한 변화를 위해 필요한 영향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뷰티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 요인은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뷰티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학습자 자발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뷰티미용학원의 교육성과는 학습자 자발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주·전남지역 뷰티미용학원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7년 8월 17일에 3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 한 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2017년 9월 11일부터 10월 18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1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충분한 응답을 한 설문지 41부를 제외한 37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관계마케팅과 관련한 척도는 국내연구 김영규, (2002), 박근미, (2015)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조사도구를 바탕으로 제작되었고 교육성과 측정요인은 정용근(1997), 이옥선(2003, 김채호(2008)의 선행연구를 따랐고 학습자 자발적 행동 측정도구로는 Bettencourt(1997), 이용기(2001), 지성구(2008), 김혜경(2013)의 측정도구와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다음 사용하였다.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 요인은 교육성과 간에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계마케팅은 하위요인별 관계지향성, 고객지향성, 의사소통이 교육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학습자 자발적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계마케팅의 하위요인별 의사소통, 고객지향성, 관계지향성이 충성도, 참여, 협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미용학원의 교육성과는 학습자 자발적 행동 간의 관계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성과는 학습자 자발적 행동 하위요인별 충성도, 협조,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뷰티미용학원은 교육성과와 학습자 자발적 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우호적이고 지속적인 관계유지, 학습자의 교육적 욕구와 불만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는 등의 관계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 충성도를 높임으로써 학습자의 재등록 유도, 추천의도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 학습자의 이탈을 막고 유지하기 위해 매체와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마케팅 전략과 교육성과를 통한 수강생 만족도 제고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뷰티미용학원, 관계마케팅 요인, 교육성과, 학습자 자발적 행동

      • NCS기반교육과정만족도와진로탐색행동, 진로선택몰입간의연계성 : 미용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양혜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교육과정만족도, 진로탐색행동, 진로선택몰입 변인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시도 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으로 구성하였고, 지역은 서울특별시와 강원도,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미용특성화고등학교 1, 2, 3학년 재학 생 31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3년 7월 4일부터 2023년 7월 25 일까지 총 22일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설문지는 응답자들이 직접 온라인과 오프 라인에서 설문을 보고 기재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317부를 배포해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혹은 무성의한 응답을 한 33부를 제외한 총 284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데이터 코딩(data coding), 데이터 크리닝 (data cleaning)의 기본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빈 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 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육내용만족 과 교육방법만족은 진로탐색행동의 하위요인인 자기탐색행동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탐색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NCS기반 교육 과정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육방법만족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NCS기반으로 진행되는 교육과정의 방법에 있어 다 양한 실습 도구와 장비, 재료 등의 사용과 미용서비스 과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 는 방법, 시간 계획이나 수업 진행의 융통성, 지난 시간에 대한 복습 기회 제공 등 과 같은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클수록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가 진로선택몰입에 미 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육내용만족은 진로선택몰입의 진로목표몰입과 진로확신몰입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방법만족에 있어서는 진로목표몰입과 진로확신몰입에 유의미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NCS기반 교 육과정의 교육내용에 만족할수록 진로확신몰입을 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용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한 결과, 진로탐색행동의 하위요인인 직업탐색행동과 자기탐색행동 순으로 진로 선택몰입의 하위요인인 진로목표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직업탐색행동, 자기탐색행동의 진로탐색행동이 높을수록 자신의 진 로목표에 대한 몰입의 경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선택몰입의 하위 요인인 진로확신몰입의 경우, 진로탐색행동의 하위요인인 자기탐색행동과 직업탐색 행동과 자기탐색행동 순으로 진로선택몰입의 하위요인인 진로확신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탐색행동, 자기탐색행동의 진 로탐색행동이 높을수록 자신의 진로확신에 대한 몰입의 경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는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선택몰입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미용특성화고등학생들이 지각한 NCS기반 교 육과정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육방법만족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이 높으며 이를 통해 진로선택몰입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NCS(국가직무표준능력), 교과교육과정만족도, 진로탐색행동, 진로선택몰입

      • 학습몰입이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특성화 고등학생들의 미용 방과 후 학습을 중심으로

        조상훈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방과 후 학습몰입이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업지속의도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방과 후 학습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을 높일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방과 후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지역의 미용특성화고등학생들로, 2017년 3월 15일부터 4월 3일까지 총 20일 동안 진행되었다. 총 280부를 배포하여 최종 회수된 223부(89.2%)를 본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환과정을 거쳐 SPSS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변수를 측정하는 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변수를 측정하는 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s alph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학습몰입 및 수업지속의도의 측정도구와 변수들을 구성하는 개념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전반적 인구 통계학적 특성,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업지속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업지속의도의 전반적인 응답결과와 변수들이 얼마나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analysis)을 실시하여 결과 치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다음은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와 수업지속의도와의 관계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 검증하였다. 이때,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가 수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모형과 경합 모형 그리고 수정모형별로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와 수업지속의도의 측정변인 간 상관과 각 측정변인의 기술통계값을 살펴보았으며, 학습몰입이 수업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의 중다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이루어진 관계모형의 학습몰입과 수업지속의도의 중다매개효과로 교육만족도가 적합한지 탐색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업지속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몰입이 높아질수록 진로자기효능감이 증가하고,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며, 수업지속의도 또한 높아졌다. 또한, 진로자기효능감 및 교육만족도와 수업지속의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각각 보고되었다. 이는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수업지속의도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와 수업지속의도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와 수업지속의도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처음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던 학습몰입을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수업지속의도의 경로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학습몰입이 진로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습몰입이 수업지속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수업지속의도에는 유의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연구 집단의 관계모형을 검증한 실증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연구가설 H1의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H1은 채택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H2의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수업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학습몰입이 수업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는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수업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H2은 채택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H3의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H3은 채택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H4의 ‘진로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과 수업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는 진로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과 수업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H4은 기각되었다. 다섯째, 연구가설 H5의 ‘교육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수업지속의도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는 교육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수업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에 대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H5은 채택되었다. 가설 검증으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수업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몰입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해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학습몰입이 교육만족도를 매개하여 수업지속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자기효능감보다는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인 지도교사, 시설 및 교육환경, 프로그램 운영, 수업내용, 평가 및 효과 등이 학습몰입을 수업지속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향후 제한된 조건들을 확대하여 연구한다면 방과 후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들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