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시범 경연 대회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총장배 대회를 중심으로

        심종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태권도 시범 경연 대회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총장배 대회를 중심으로 심 종 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태권도 전공 본 연구는 총장배(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 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 총장배(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가 질적으로 향상 되고, 총장배(기) 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규정 문제점은 어떠한가? 둘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규정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운영의 문제점은 어떠한가? 넷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운영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한국체육대학교 총장배 전국 태권도 대회, 용인대학교 총장기 전국 태권도 대회, 경희대학교 총장기 전국 남·여 고등학교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에 3회 이상 참가한 심판 및 지도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배(기) 시범경연대회 뿐만 아니라 현재 치러지고 있는 대부분의 시범경연대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난이도에 따른 채점규정을 정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회전기술격파의 경우 회전각도에 따른 난도를 정하고, 높이와 비행거리 등에 대한 명확한 채점규정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들은 부상의 위험, 청소년기 성장의 저해 등의 요인을 들어 특정 기술에 대한 제한에 긍정적이었으나 심판들의 경우 시범경연대회 본래의 목적인 태권도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의 제한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수, 지도자, 심판 등 태권도시범경연대회의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경기규칙 강습회 등을 개최하는 등의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한국체육대학교, 용인대학교, 경희대학교 총장배(기) 대회와 같은 대학주최의 시범경연대회에서 변별력이 떨어지는 경기운영규정에 대해 문제가 나타났다. 특히 한국체육대학교 총장기대회의 채점, 경기운영 규정에서는 예선과 결선의 지정격파가 같고, 경희대학교 총장기 대회에서는 예선의 지정기술의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대학 규정에 맞춰 예선 혹은 결선의 규정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격파 경기에서 보조자가 격파물을 격파자의 발에 맞추는 경우와 같은 부정행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격파의 성공여부에 따라 점수가 차이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순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서 기인한 것으로 이를 위한 경기규정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의 시범경연대회에서는 격파위주의 대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격파를 보조하는 ‘보조자’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범경연대회의 특성상 경기에 참여하는 보조자와 관련하여 참여인원의 제한, 격파별 보조인원의 제한 등과 같은 상세한 규정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격파에 필요한 보조인원을 지정하여 대회 주최측에서 필수인원을 제공하는 방안과 함께 격파종목에 맞는 격파대의 제작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태권도시범경연대회의 특성에 비하여 전체 대회를 소화하기에 경기 일정이 무리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선수들의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선수들이 상위 단계(결선)로 진출하는 경우 자신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회를 주최하는 대학은 추가적인 관련 예산 확보를 통해 전체 경기 일정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경기규정, 경기운영.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 with the focus of the university president cup Jong-In, SIM Graduate Schoo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are occurring at present when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s being activated to find ways to improve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improve and revitalize the quality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blem with the contest rules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Second,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contest rules for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Third,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Fourth,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The even judges and leaders who participat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national taekwondo contest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long-term national taekwondo contest of Yongin University, and the long-term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s of Kyung He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verhaul the scoring ru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of technology available for most demonstration contests as well as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tational technical breaking, difficulty of each angle of rotation is determined, and clear scoring regulations for height, flight distance, etc. need to be established. Second, leaders were positive about limiting certain skills, citing factors such as the risk of injury and hindering growth in adolescence, but judges were negative about restricting the technolo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emonstration contest.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activities to promot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such as holding competition rules classes where athletes, leaders and referees can participate together. Third, problems with the regulation of contest management, which is not discriminative in demonstration contests hosted by universities such a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Yongin University, and Kyung Hee University. In particular, the scoring and competition management rules of th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s President Cup contest has the same specified breaking skill for the preliminaries and final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pecified breaking skill in the preliminary competition at Kyung Hee University is low, so the distinction ability is necessar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change in the rules of the preliminary or final round wa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each university. Fourth, it was found that in the breaking contest, there was cheating, such as the case where an assistant fits the breaking object to the foot of breaker. These phenomenon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cores vary depending on the success of the breaking, which greatly affects the ranking. It has been shown that this requires a change in the rules of the game. Fifth, the demonstration contest is currently focused on the breaking game, and a "assistant" to assist in breaking game is essential. Due to the nature of these demonstration contest, detailed regulations regarding assistants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such as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assistants per the breaking, appear to be insuffici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designate the number of assistants necessary for breaking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number of people for the competition organizers, as well as to produce the breaking team suitable for the breaking event. Sixth,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the game schedule is currently too short to handle the entire competition. Therefore, the chances of rest and recharging of the athletes are reduced, and as a result, when the athletes advance to the upper level (finals), it is found that they do not fully demonstrate their skill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for the universities hosting the competition to discuss extending the entire competition schedule by securing additional relevant budgets. Key words: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competition regulations, competition management.

      • 골프교습시설의 지도자 코칭역량, 교육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브랜드 애호도의 구조적 관계

        전민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Abstrac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 Coaches’ Coaching Competency,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Jeon, Min­sik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 coaches’ coaching competency,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o this end, it collected the sample of a total of 345 trainees,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of the population of trainees enrolled in a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 and a total of 305 copies of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BM SPSS Statistics 21 and AMOS 2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confirmator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itially analyzed to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by the gender were analyzed to show that the economic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loyalty for the brand loyalty were more highly recognized by males, than by females. Second, th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of the age were analyzed to show that the self-development competency for the coaching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the subjects in their 40s, than by those in their 20s. Third, th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by the academic background were analyzed to show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for the coaching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high school graduates, than by graduate school graduates; the expertise fo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by university graduates; the economic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by high school and university graduates, while the service satisfaction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by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attitudinal loyalty for the brand loyalt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by high school and university graduates, while the behavioral loyalt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by high school graduates. Fourth, the differences in the sub-variables by jobs were analyzed to show that the teaching competency for the coaching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other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and others, than by self-employed persons,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other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self-employed persons, the relationship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self-employed persons, and the self-development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self-employed persons and others, than by self-employed persons and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than by professionals; the usefulness fo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was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students and other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recognized by students, civil servants and others, than by self-employed persons, the reliability and confidence were more highly recognized by professionals, civil servants and others, than by self-employed persons, and the professionalism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other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and others, than by self-employed persons; the program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and other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self-employed persons; and the attitudinal loyalty for the brand loyalty was more highly recognized by professionals and others, than by company employees and recognized by professionals, civil servants and others, than by self-employed persons. Fifth, th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by the frequency of use were analyzed to show that the teaching and self-development competency for the coaching competency, and the usefulness, empathy and confidence fo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were more highly recognized at 4-5 times a week, than at 2-3 times a week;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etency for the teaching competency, and the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fo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were more highly recognized at 4-5 times or ≥6 times a week, than at 2-3 times a week; the economic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was more highly recognized at 4-5 times a week, than at 2-3 times a week, while the program satisfaction was more highly recognized at 4-5 times a week, than at ≤ once a week or 2-3 times a week and recognized at ≥6 times a week, than at 2-3 times a week, and the service satisfaction was more highly recognized at 4-5 times or ≥6 times a week, than at 2-3 times a week; and the attitudinal and behavioral loyalty for the brand loyalty were more highly recognized at 4-5 times or ≥6 times a week, than at 2-3 times a week. Sixth, th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by the frequency of strokes were analyzed to show that the teaching competency for the coaching competency was more highly recognized at 10 strokes ≤ and >30 strokes, than at 11-20 strokes and 21-31 strokes, and the communication, relationship and self-development competency were more highly recognized at >30 strokes, than 11-20 strokes and 21-31 strokes; and the usefulness, empathy, confidence and professionalism fo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were highly recognized at > 30 strokes, than at 21-31 strokes; the economic and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were highly recognized at > 30 strokes, than at 21-31 stokes, while the program satisfaction was highly recognized at > 30 strokes, than at 11-20 strokes and 21-31 stroke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tested to show: First, the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 coaches’ coaching compet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 coaches’ coaching competenc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brand loyalty. Third, the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s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the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s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loyalty. Finally,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private golf training fac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loyalty. 국문요약 골프교습시설의 지도자 코칭역량, 교육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브랜드 애호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전 민 식 이 연구는 골프교습시설의 지도자 코칭역량, 교육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브랜드 애호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골프교습시설의 수강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총 345명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이중 최종분석에는 총 305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1과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의 경제적 만족과 브랜드 애호도의 행동적 애호도를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의 자기개발역량을 20대보다 40대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의 의사소통역량을 고등학교 졸업생보다 대학원 졸업생이, 교육서비스품질의 전문성을 대학교 졸업생보다 대학원 졸업생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만족의 경제적 만족을 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생보다 대학원 졸업생이, 서비스만족을 대학교 졸업생보다 대학원 졸업생이, 또 브랜드 애호도의 태도적 애호도를 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생보다 대학원 졸업생이, 행동적 애호도를 고등학교 졸업생보다 대학원 졸업생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의 지도역량을 회사원보다 기타가, 자영업보다 공무원과 기타가, 의사소통역량을 회사원과 자영업보다 기타가, 관계역량을 회사원과 자영업보다 공무원이, 자기개발역량을 회사원과 자영업보다 공무원과 기타가, 전문직보다 공무원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서비스품질의 유용성을 회사원보다 학생 및 기타가, 자영업보다 학생과 공무원 그리고 기타가, 신뢰성과 확신성을 자영업보다 전문직과 공무원 그리고 기타가, 전문성을 회사원보다 기타가, 자영업보다 공무원과 기타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만족의 프로그램 만족을 회사원과 자영업보다 공무원과 기타가, 브랜드 애호도의 태도적 애호도를 회사원보다 전문직과 기타가, 자영업보다 전문직과 공무원 그리고 기타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횟수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의 지도역량과 자기개발역량, 그리고 교육서비스품질의 유용성과 공감성 그리고 확신성을 주 2-3회보다 주 4-5회가, 지도역량의 의사소통역량과 관계역량, 그리고 교육서비스품질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주 2-3회보다 주 4-5회와 주 6회 이상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만족의 경제적 만족을 주 2-3회보다 주 4-5회가, 프로그램 만족을 주 1회 이하 주 2-3회보다 주 4-5회가, 주 2-3회보다 주 6회 이상이, 서비스만족을 주 2-3회보다 주 4-5회와 주 6회 이상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브랜드 애호도의 태도적 애호도와 행동적 애호도를 2-3회보다 주 4-5회와 주 6회 이상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타수에 따른 하위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의 지도역량을 11타-20타와 21-31타보다 10타 이하와 30타 초과가, 의사소통역량과 관계역량 그리고 자기개발역량을 11타-20타와 21-31타보다 30타 초과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서비스품질의 유용성, 공감성, 확신성, 전문성을 21-31타보다 30타 초과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만족의 경제적 만족과 서비스 만족을 21-31타보다 30타 초과가, 프로그램 만족을 11타-20타와 21-31타보다 30타 초과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교습시설의 지도자 코칭역량은 고객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교습시설의 지도자 코칭역량은 브랜드 애호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교습시설의 교육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교습시설의 교육서비스품질은 브랜드 애호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골프교습시설의 고객만족은 브랜드 애호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체육단체 선진화 방안

        김승곤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단체 종사자들의 체육단체 선진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선진화 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지 구성을 위하여 체육행정 전문가 3인과 관련 연구교수 3인과 함께 한국체육 현안과 관련된 논의쟁점을 중심으로 관련된 문항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2009년 4월 1부터 4월 15일까지 체육단체 현장 방문 또는 우편 배포를 실시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5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 중 458(92%)부를 최종자료로서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ver 1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논의 쟁점을 첫째, 체육단체의 세계화 수준과 업무수행 성과가 국민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둘째,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과 스포츠 기본법의 제정에 대한 인식, 셋째, 체육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도, 감독 및 자율성 제고에 대한 인식, 넷째, 체육단체의 조직 개편에 대한 인식, 다섯째, 체육 분야 예산비율 및 체육단체의 재정 확보에 대한 인식, 여섯째, 대한체육회의 예산 구성비율에 대한 인식, 일곱째, 체육단체의 기능 조정에 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체육의 국제적 위상을 확고히 하고 지속적인 성과 달성을 위하여 체육단체의 통합운영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체육조직의 개편은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이 통합되는 것을 우선해야 한다. 둘째, 스포츠기본법 또는 국민체육기본법으로 체육관련 법령을 재정비를 해야 한다. 이에 따라 국민 모두가 함께 하는 자유로운 스포츠. 문화. 복지국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도 및 감독을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체육관련 예산의 확충을 위해 자율적이고 자립화된 수익창출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한다. 넷째, 체육단체의 기능조정을 통한 효율적인 체육 역량 강화를 이룩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n advancing Korea sport organizations among people working in the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plans for the advancement. Questionnaires to draw the plans were developed in company with three experts and research professors for sport administration, based on issues and controversies currently associated with Korea sport, and from 2009 April 1st through 15th were mailed to or distributed by visiting the organizations.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458 out of 500 subject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by using SPSS WIN ver 16.0. The main issues and controversies to discuss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as understanding on the followings: (1) the effect of organizations' level of globalization and task achievement on Korean people, (2) revision of Korea sport promotion law and the fundamental law of sport, (3) sport organizations guided and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enhancing their autonomy, (4) reforming sports organizations, (5) budgetary allocation for sport and securing finance for the organizations, (6) budgetary allocation for Korea Sports Council, and (7) functional coordination for th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all the sport organizations in Korea should be integrated as and managed by one organization to reinforce Korea sport in the world. Also, it is priority that all the sport organizations including elite sport as well as sports for all should be integrated. Second, laws related to sport should be re-organized based upon the fundamental law of sport or the advancement law of national athletic. Accordingly guidance and control by the government should be minimized to realize free sport culture welfare state together with Korean people. Third, to expand sport-related budget, autonomous and self-supporting profitable model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Fourth, reinforcement of effective roles played by sport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functional coordination for sport organizations.

      •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박광수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요약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 체육 비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박광수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체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체육교육목표 달성 및 학교 체육의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체육교과서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구현하기 위해 체육을 전공하지 않은 서울소재 초등학교 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현 체육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내용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률을 보여 교사들이 체육수업에 교과서를 활용 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또한 교과서의 외형 체계에 대해서는 대체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여 재구성을 용이하게 하려는 교과서의 제작 의도가 잘 전달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내용과 난이도에 대해선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는데, 이것은 각종 행사가 주로 체육시간에 실시됨으로써 절대 시수를 확보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고, 80% 이상이 여자 교사들이며 대부분이 체육 비전공자인 초등학교의 특성상 실기지도에 자신이 없어 난이도를 높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교과서의 중요 기능에 대해서는 ‘학습내용 제시 기능’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여 여전히 교육 현장에서 교과서가 수업의 기본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체육교과 영역 중 교과서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은 보건영역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이론 수업 중심이기 때문이며 교과서 활용 빈도는 ‘일주일에 1-2번 정도’로 다른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긴 하지만 야외활동 및 실기 위주인 교과 특성상 자연스러운 일이다. 교과서가 실제 체육수업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에 대해선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나 ‘보통이다’ 이하의 응답자도 20.7%나 되어 보다 유용한 교과서의 보급이 필요하다. 교사들이 교과서를 가르치는 방법으로는 ‘교과서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가르친다.’는 교사가 많았지만 ‘교과서 내용 그대로 가르친다.’ 와 ‘교과서를 무시하고 가르친다.’는 교사도 19%나 되어 교사들이 보다 창의적으로 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체육교과서를 소홀히 다룰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교사들은 ‘기구, 체육관등 시설, 재정 문제’와 ‘실기 지도에 대한 내용 부족’을 많이 지적했으며 체육교과서의 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도 위의 문제들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 사설 주말체육학원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원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요약 사설 주말체육학원의 서비스품질이 소비자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 산업 ‧ 경영전공 김 주 원 본 연구는 사설 주말체육학원의 서비스품질이 소비자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사설 주말체육학원의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10곳을 토대로 총 195명의 이용자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 전문가 검토에 의해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 .711~.817로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Windows SPSS 11.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편리성, 신뢰성 및 안전성, 커뮤니케이션, 근접성 순으로 서비스품질을 지각하고 있으며 서비스품질은 학년,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 또한 소비자 만족도는 학년,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고, 재구매의도는 성별, 학년, 기간에서 차이가 없다. 서비스품질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신뢰성 및 안전성, 편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커뮤니케이션, 편리성 순으로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 분석

        조건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 분석 조 건 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에 대해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혼합연구방법으로 질적, 양적 연구를 통한 통합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참여자로 질적 연구를 위한 연구자는 4명의 증등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양적 연구 대상은 168명의 중등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으로 질적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Spradley(1980)의 문화기술방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양적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와 문헌분석 그리고 전문가의 협의 및 현장교사와의 세미나를 통해 만들어진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는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에 의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분석 및 해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조직적, 사회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우선, 개인적 환경요인은 개인적 경험이나 개인의 사고에 의해 형성되는 요인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으로 경험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조직적 환경요인은 관리자요인과 구성원간의 관계, 학교규정, 형식적 업무형태, 학교운영재정 요인과 같은 조직 내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으로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요인은 사회 속에서의 인식이나 지역, 학부모, 교과의 발전에 관한 사회전반의 환경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으로 부정적인 영향과 발전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 유형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순응전략과 회피전략, 타협전략, 경쟁전략이 있다. 순응전략은 체육교사의 초기적응을 위한 전략이었으며, 다음의 전략으로 나타나는 것이 구성원간의 회피전략과 타협전략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의 우월성이나 인식의 재형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경쟁전략이 있다. 셋째,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관계적 특성에 따른 전략적 행위는 네 가지 상황으로 나누어 나타났다. 우선 체육교사와 학생간의 교수(teaching)상황에서는 교과지도를 위한 상황과 학생지도 측면에서 교수전략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교사와 구성원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전략으로서 회피전략과 인간관계적인 측면의 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경쟁전략 그리고 타협전략이 있다. 교사와 구성원간의 관계 중 교사와 관리자 간의 상호작용전략은 업무상황 외에 공식적, 비공식적 관계를 통한 협상과 신뢰 전략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사회구성원 간의 관계는 잘못된 풍토적 인식을 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전략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체육교사 교직활동의 전략적 행위과정은 탐색기, 형성/유지기, 변환기의 과정으로 교직활동과정이 이루어졌다. 우선 탐색기의 과정은 초기사회화의 단계와 연계하여 교직 초기에 많이 나타나는 과정으로 열정적인 자세와 솔선수범, 그리고 순응하는 전략들을 통해 탐색화하는 과정이었다. 다음 단계는 형성/유지기로서 탐색기 단계에서의 학교조직의 탐색이 일차적으로 이루어 진후에 이를 바탕으로 수업이나 업무, 개인의 이미지에 대한 전략이 형성되고, 이러한 형태들이 유지되는 시기였다. 변환기는 탐색기와 형성/유지기 이후의 전략과정으로 교직활동을 통해 보여졌던 전략을 통해 개인의 신념화를 이루는 시기였다. 마지막으로 체육교사의 전략적 교직활동 영향요인의 전략적 행위에 영향요인은 전략적 행위유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서 질적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과 유사하게 인과적인 관계분석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교사들이 전략적 교직활동 영향요인에 의해 전략적 행위를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직활동을 원만하게 수행하고 있다.

      • 서울시 소재 대학교 평생교육원 무용프로그램 운영 현황 분석

        김은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dance programs operated in the first half of 2021 at the university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in Seoul and suggest future solutions regarding their genre, subject. We performed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ed investigation through the websites, yield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genre of dance programs needs to be diversified. It follows that genre of the dance programs is confined in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which are familiar to the public. As adult learners do not have a wide range of choices due to the lack of diverse genres,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more genre, including line dance, exotic dance, modern dance, etc. Second, the program should be diversified with age of learners. As extension colleges provides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dance programs would need to be adaptively designed and provided for various age group of the learners such as young, middle-aged, and old adults. Third, university professors should get more involved for the programs as advisors or instructors. Despite their variety,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s a degree course which requires desired expertise of the field so that it would be recommended to vitalize particip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which would further enhance both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encouragement for the learners. Finally, information needs to be detailed and correctly listed on the website. As websites become the main route for applying the programs of extension colleges, it is mandatory to indicate the information of a program clearly with correct details and easily accessible manner. This study proposes four ways to vitalize the dance program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ance program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Seoul.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vitalizing the dance program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2021년도 1학기에 운영되고 있던 무용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장르별, 대상별, 교육 기간별,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과 평생교육에 관련된 문헌고찰과 함께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여, 서울시 소재 대학교 평생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한 프로그램 운영에 관련된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무용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총 네 가지로 논의하였다. 첫째, 무용프로그램 장르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평생교육에서 무용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장르인 한국무용, 발레 그리고 실용댄스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하지 않는 장르로 인해서 성인 학습자의 선택의 폭이 넓지 않다. 따라서 라인댄스, 해외댄스, 현대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평생교육에 적용시켜 무용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대상자의 폭을 세분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평생교육은 성인에게 제공하는 교육이다. 하지만 성인이라는 대상에서도 청년, 중·장년, 노인 등 각각의 나이대마다 할 수 있는 동작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을 파악하여 무용프로그램에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소속대학 교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유형별로 차이가 있지만, 학점은행제의 경우 학위를 얻을 수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외부 강사진뿐만 아니라 소속대학 교수가 전임으로 위치해 있으면 그 대학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홈페이지에 정확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성인 학습자의 경우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을 하게 된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가 나와 있지 않은 경우 어떠한 프로그램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선택의 이유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홈페이지에 프로그램의 특성이 명확하게 표시하여 인터넷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대학교 평생교육원의 2021년 1학기 무용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평생교육원 무용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원 무용프로그램이 활성화 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의 종주국 유학 경험과 태권도 문화의 재생산

        나윤호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that affect foreign Taekwondo trainees' decision to study abroad in South Korea - the dominant country in Taekwondo -, the adaptation process to Korean culture during the study abroad, and how they reproduce the Taekwondo culture they acquired in Korea after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based on Altbach's (1998) Push & Pull theory, Lysgaard's (1955) the U-curve adjustment hypothesis, and Berry's (1980) Acculturation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data. We have selected a total of 15 participants suitable for this research; 8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in Korea for more than one year after they received lessons from a Korean Taekwondo instructor in their home country and 7 participants among those who are now working as Taekwondo instructors in their home country after studying abroa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ization. The veracity and ethics of the study were continuously verif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affect foreign Taekwondo trainees’ decision to study abroad in Korea, a home country of Taekwondo, were examined through Altbach's (1998) Push & Pull model. There are Push factors in their home country and the corresponding Pull factors in Korea in their decisions. These factors ar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factors, economic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educa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 lack of Taekwondo infrastructures, such as insufficient equipment, supplies, and institutions, ar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Pull factors of their home country. The economic factors are related to the marketability and profitability of Taekwondo gyms in their home country. The institutional factors cover the unsystematic operation of local institutions in the home country. The level of local leaders, training methods, and outdated content were categorized as educational factors, whil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Korean instructors is classified as a social factor. Pull factors of Korea, the home of Taekwondo, are the opposite. Environmental factors contain a new environment, high-quality facilities, and abundant equipment. Economic factors include scholarships and profits from part-time jobs. Systematic operation and screening of the related institutions were distinguished as institutional factors. Educational factors cover high-leveled educ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new content. Social factors include social position after studying abroad, formation of a global relationship, and the possibility of choosing various careers. The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foreign Taekwondo trainees’ while they are studying in Korea were examined step-by-step based on Lysgaard's(1955) U-curve adjustment hypothesis. In the honeymoon stage, the stage where people become interested and curious in the process of encountering a new culture, foreign Taekwondo trainees’ were interested in the culture of Korea, universities, and Taekwondo departments. Korea's environment combines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ports-related settings. University provides them with global university surroundings, organized management on foreign students, and high-quality education. Taekwondo department cultures include Taekwondo training environments such as members, training methods, supplies, etc., and a sense of belonging. The culture shock stage is a stage where people feel foreignness and uncomfortable in the process of encountering a new culture. The trainees experienced problem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the Taekwondo department at this stage. Problems adjusting to Korean culture appeared to be language, food, and financial problems. On the other hand, problems in adapting to the Taekwondo department were identity confusion due to the ability gap and nationality. In the adaptation stage, in which people endeavors to overcome problems they encountered, learners also made efforts to deal with issues in adapting to Korean culture - language, food, and financial problems - and to the Taekwondo department - identity confusion due to ability gap and nationality. Finally, in the mastery stage of adaptation, where people adapt well to a new culture and become functionally competent, the trainees lead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their home country, taking a role as cultural missionaries and growing into Taekwondo experts through successful study abroad. The way foreign trainees reproduce the Taekwondo culture they acquired in Korea after studying abroad was investigated through classification based on Berry's (1992) Acculturation model. Integration attitude is an attitude toward preserving the original cultural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and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with it. The Taekwondo culture reproduced by foreign Taekwondo trainees’ with an integration attitude emerged as facility cultures such as a formation and elements of a Taekwondo gym or a Taekwondo training space, training cultures presented as training programs and methods, and ceremony culture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manner of the screening system. Assimilation attitude is defined as an attitude that removes the original culture instead of accepting them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in favor of the mainstream culture. The assimilation attitude is expressed through equipment cultures such as training equipment, uniform, and books, role cultures referring to the role and mindset of the Taekwondo trainers, method culture such as the purpose of the Taekwondo training, semantic cultures including spirit, philosophy, and value of Taekwondo, and moral norm culture such as etiquette. A separation attitude involves an attitude that does not accept a new mainstream culture but keeps the existing authentic culture. It appears through training cultures such as training programs and institutional norm culture, represented in the way institutions operate. The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the Taekwondo trainer selection process determine whether trainees will have a training culture. Learners acquire a separation culture shown in the institutional norm culture when they endeavor to gain the assimilation attitude and reproduce it but have to give up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ir home country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s. The marginalization attitude was excluded because it was not suitable for the aim of the study as it is an attitude that does not accept both cultures. 이 연구는 Altbach(1998)의 Push & Pull 이론, Lysgaard(1955)의 U 곡선 적응 이론, Berry(1980)의 문화 변용을 통해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이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으로의 유학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 유학 중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 과정, 유학 과정에서 습득한 태권도 문화를 모국으로 돌아가 어떻게 재생산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고찰, 심층 면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진과 같은 추가 자료 수집을 통해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적합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총 1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이 한국으로 유학을 결정하는 요인과 유학 중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모국에서 한국인 태권도 지도자에게 태권도를 지도 받았으며, 한국에서 1년 이상 태권도 유학 중인 유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유학 후 모국으로 돌아가 어떻게 태권도 문화를 재생산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유학 후 모국으로 돌아가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태권도 지도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지속적으로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이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으로의 유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Altbach(1998)의 Push & Pull 모델을 통해 살펴보았다. 유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모국의 추진 요인과 이에 상대되는 한국의 유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해당하는 요인은 환경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제도적 요인, 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모국의 유학 추진 유인 중 환경적 요인은 부족한 태권도장과 용품, 기관 등 태권도 인프라의 부족에 해당하는 요인이다. 경제적 요인은 모국의 태권도장의 시장성, 수익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제도적 요인은 모국의 체계적이지 못한 현지 기관의 운영 실태, 교육적 요인은 현지 지도자의 수준, 훈련 방식, 오래된 콘텐츠, 사회적 요인은 한국인 지도자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의 유학 유인 요인은 이와 상대되는 것으로 환경적 요인에는 새로운 환경, 좋은 시설 및 풍족한 용품, 경제적 요인은 장학금과 아르바이트를 통한 수익, 제도적 요인은 체계적인 관련 기관의 운영 및 심사 제도, 교육적 요인은 높은 수준의 교육 및 새로운 콘텐츠의 도입, 사회적 요인은 유학 후 사회적 위치, 글로벌 관계 형성, 다양한 진로 선택 가능성이다. 둘째,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의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에서의 유학 중 경험과 문화 적응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Lysgaard(1955)의 U 곡선 적응 이론을 기반으로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과정에 있어 흥미를 느끼고 호기심을 가지게 되는 단계인 허니문(honeymoon) 단계에서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이 한국의 환경, 대학, 태권도학과의 문화에 흥미를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환경은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과 스포츠 관련 환경, 대학은 글로벌한 대학 환경,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질 높은 교육 수준, 태권도학과 문화는 구성원, 훈련 방식, 용품 등과 같은 태권도 수련 환경과 소속감을 느낀 것이 해당된다.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과정에서 이질감, 불편함을 느끼는 단계인 문화충격(culture shock) 단계에서는 크게 한국 문화 적응 과정 중의 문제와 태권도학과 적응 과정 중의 문제가 나타났다. 한국 문화 적응 과정 중의 문제는 언어, 음식, 재정적 문제로 나타났으며, 태권도학과 적응 과정 중의 문제는 실력 차이로 인한 정체성 혼란과, 국적에 의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adjustment) 단계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한국 문화 적응 과정 중 경험한 언어, 음식, 재정적 문제와 태권도학과 적응 과정 중 경험한 실력 차이로 인한 정체성 혼란, 국적에 의한 정체성 혼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문화에 잘 적응하고, 기능적으로 유능해지는 통달(mastery) 단계에서는 문화 전도사로서 한국과 모국 간의 문화를 전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유학을 통해 태권도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태권도 수련생이 유학 후 모국에서 한국의 태권도 문화를 어떻게 재생산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Berry(1992)의 2차원적 문화 변용 모델을 통해 각 태도 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고유문화의 정체감과 특성을 유지하며 주류문화를 수용하고 관계를 유지하는 통합 태도를 가지고 재생산하고 있는 한국의 태권도 문화는 태권도 수련공간인 태권도장의 구성, 요소와 같은 시설 문화, 훈련 프로그램, 훈련 방법과 같은 수련 문화, 심사 제도의 구성과 방식과 같은 예식 문화로 나타났다. 주류문화를 선호하여 이를 수용하고 관계를 유지하는 대신 고유문화를 제거하는 태도인 동화 태도를 가지고 재생산하고 있는 한국의 태권도 문화는 태권도 수련 장비, 도복, 책과 같은 용구문화, 태권도 지도자의 역할과 지녀야 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행동문화, 태권도를 수련하는 목적과 같은 수단문화, 태권도 정신, 철학, 가치와 같은 의미문화, 예절과 같은 도덕적 규범문화로 나타났다. 새로운 주류문화를 수요하지 않는 대신 기존의 고유문화를 그대로 유지하는 태도인 분리 태도를 가지고 있는 태권도 문화는 훈련 프로그램과 같은 수련문화, 기관의 운영방식과 같은 제도적 규범문화로 나타났다. 수련문화는 태권도 지도자의 선별과정을 거쳐 통합 및 분리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도적 규범문화는 연구 참여자가 동화 태도를 가지고 재생산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연구 참여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모국의 상황에 의해 포기하게 되어 분리 태도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 일제하 YMCA체육의 조직과 보급 운동에 관한 연구

        성상수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YMCA의 지난 발자취를 돌아보고 한국 사회 문화의 발전에 공헌한 많은 분야 중에서 특히 체육 발전에 미친 활동과 영향을 규명·분석함으로써 이 시기의 YMCA 사회체육활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객관적인 역사적 견해를 갖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YMCA가 창설된 1903년부터 1945년까지의 YMCA체육활동을 살펴보았다. 먼저 1903년부터 해방 전까지 실시된 체육활동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설기 체육활동(1903~1909)은 대교 경기의 시초이며 사회체육의 일환으로 일반인에게 널리 운동 경기를 보급했던 운동회의 개최이다. 그리고 체육부 설치와 한국에 처음으로 근대스포츠의 도입, 보급한 점은 획기적인 신기원으로서 스포츠의 양적 발전에 공헌 하였다. 둘째, 무단통치기의 체육활동(1910~1919)은 1914년 4개 팀이 〈연합 경쟁〉을 한 최초의 야구 리그전과 1916년부터 농구와 배구의 보급을 들 수 있다. 특히, 1916년 한국 역사상 최초의 실내체육관 준공과 증축 그리고 체육전문가의 구비는 전국민의 관심과 기대 속에 본격적인 체육사업 출발점과 사회체육 발전의 바탕이 되어 스포츠 진흥의 총 본산이 되었다. 셋째, 문화정치기의 체육활동(1919~1931)으로 서울 YMCA는 농구 등 각종 경기를 연례 행사로 발전시켜 점차 건전한 학교체육과 사회체육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공식적인 실내운동 대회의 출전 경험을 바탕으로 강습회나 운동부를 신설하였으며 해외 진출을 통해 각종 운동 경기의 본격적인 보급 확대의 전기를 마련하여 민족을 위한 운동체적 성격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한국고유의 스포츠인 씨름 및 궁술 대회를 개최하여 우리의 전통 경기를 계승하고 민족 정신을 함양하였다. 넷째, 민족 말살기의 체육활동(1931~1945)으로 서울 YMCA는 전국 농촌에 전통적 경기 외에 농구, 배구, 야구, 축구 등을 보급하였으며 1920년대 시작한 각종 경기 대회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켰다. 또한 덴마크 유연체조를 도입하여 일반 대중에게 널리 전파하였다. 그리고 평양, 함흥, 광주 등 지방 YMCA는 보건 체조 강습회에서 대외 체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과 보건을 증진시키는데 일조를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back the past of YMCA,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YMCA in the area of physical-education. And YMCA had a lot of influence in cultural development, especially physical-education. Also, I want to have the objective historical opinion.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history of YMCA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from its foundation in 1903 to 1945 was reviewed. First of all, the points of social activities of education from 1903 to under the Japanese colony an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rom 1903 to 1909, the period which we were not under the Japanese colony, were the origin of the sporting events between schools. They spread games to the general public widely as a social physical education and held an athletic meeting which played important roles as the promotion of physical education. The athletic meetings were flourishing from 1905 to 1909. They emphasized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based on physique, intelligence, and morality and trained sports leaders in the department of athletics. They contributed to spread modern physical ideas and modern sports(baseball, basketball, skating, and etc)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 think these may play an important part in guiding young men in having a wide outlook on the world when they have games in foreign countries. Second, so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rom 1910 to 1919, the period of military government, were the first baseball league organized four teams in 1914 and the diffuse of basketball and volleyball in 1916. So the physical projects began in earnest and every kinds if modren sports were great successes continuously. And they became to know the Western sanitary thoughts through the perfection of bathing facilities. Especially, in 1916 the indoor sports hall was comple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At that time the possess of the physical specialists became the beginning point of real physical projects and wa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Third, during the period of cultural politics from 1919 to 1931 Seoul Y.M.C.A developed every kinds of sports in an annual event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und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and society. They held an institute class and established the athletic clubs on the bases on the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public indoor sports tournaments. And they could have a chance to spread every kinds of sports through the athletics in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they made modern sports extend through holding games of basketball, volleyball, boxing, judo and apparatus gymnastics which were Western sports and succeeded to our traditional sports events including ssirum and archery and cultivated our national spirit. They made popular basketball and volleyball to women athletes from 1925 and held an institute class about them. So the first Korean regular boxing match, the gymnastics on the bar, the first Chosun table tennis tournaments, the Chosun weight lifting, ssirum, and judo tournaments in a party were spread all of a sudden and became active. The local Y.M.C.As influenced by the physical education of Seoul Y.M.C.A. held exten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There were many kind of sports, for example, field and track events, skating, tennis, swimming, soccer, and etc. I think thes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sports through the technical growth of local sports and the regional equality of sports activities. Fourth, Seoul Y.M.C.A spread basketball, volleyball, baseball, soccer to the whole rural community from 1931 to 1945, the period of war, and supported continuously all kinds of games which started from 1920. They also spread widely the danish flexible gymnastics to the general public. The local Y.M.C.A.s in Pyungyang, Hamheung, and Gangju tried to increase the health of the local residents through exten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Next,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f Korean Y.M.C.A. had these significations of physical education for society. First, the athletic meetings having a meaning of a communal festival were so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indoor sports hall which was established in 1916 and could be operated against any seasonal of weather conditions was a starting point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Second, they introduce and spread various modern sports which are typical so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o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physical education. And they place the social physical education on a firm basis as women participate in sports like basketball, volleyball, and etc and all people, from students to the general public, are guaranteed the equal participating chances which are emphasized by the so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s "Sports of all." Korean Y.M.C.A. let us recognize the importances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holding and supporting games under the Japanese colony and strive for the enormous influences and developments as a social physical educational institute which has the ability to do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they diffuse Korean sports through seizing an opportunity of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modern sports and making up a party nationally. Besides, they serve as a momentum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ports, the leading roles of internationalizations, and the beginning of cosmopolitanization through exchanging sports. First, social physical education acti early modern Korean history since it's introduced. Specifically, YMCA physical-education activities played a crucial role in systemizing Korean physical education and in putting it on the right track. So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YMCA, to delve into the start and ideology of its field meet regarded as the most marked characteristic of that organization in early modern age, to define the nature of the mass-education drive by YMCA physical-education programs during the colonial rule of Japan, and finally to look into the physical-education activities of YMCA and the thought of popular enlightenment during that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e mass-education drive by YMCA physical education under the occupation of Japan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popular enlightenment campaign by YMCA physical education was basically in pursuit of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nation, and that sought after the independence of individuals as one of prerequisites for that as well. Mass education was provided by YMCA by encouraging contemporary people to use the Korean language. Second, the belief of YMCA was that national independence should be achieved by all the people, while governmental affairs were handled just by a minority of people concerned. YMCA physical-education activities made a huge contribution to having this idea accepted by people in general, instilling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m and inspiring them with national pride. Third, YMCA woke up to the fact that the only way to modernize the nation was educating people to cast away their formalities and to think and behave in a realistic manner. And that took the lead in spreading practical learning, introducing the technical civilization of the West and educating women. As discussed above, YMCA physical education played different roles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 First of all, that served to stir up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people in general, and Korean players who beat Japanese ones let them take more pride in the nation. Secondly, that organization agreed to a theory of national reconstruction, part of national independence campaign logics based on national reformism. Since that believed that Japanese rule could be eliminated by building up the physical fitness of people, that tried to promote the physical strength of people to boost the efficiency of independence movement. Thirdly, Japan that advocated imperialism took advantage of it as part of efforts to solidify its colonial rule.

      • 한국 육상 발전을 위한 요인 추출 및 우선순위 분석

        윤신혜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육상발전을 위한 요인을 추출하고, 계층화분석법을 적용하여 한국육상발전을 위한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한국육상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대한육상연맹 관계자 및 시·도 육상연맹 실무행정가(3명), 육상지도경력 5년 이상의 육상전문 지도자(7명), 전·현직 국가대표(2명), 선수경력 10년 이상의 선수(5명), 연구전문가로 체육학·행정학교수 및 체육학박사(3명) 총 20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외적비평과 내적비평을 상호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은 총 4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3차 설문조사는 델파이방법을 사용하였고 마지막 4차에서는 계층화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항목과 28개의 하위항목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한국 육상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육상 발전을 위하여 지도자의 고용안정, 지위향상, 복지증진 등의 처우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지도자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강습회와 그에 따른 평가제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육상 전문지도자를 위한 자격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 육상의 인재육성을 위하여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인재 발굴 및 관리가 중요하며, 체계적인 인재육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 육상의 저번확대를 위하여 방과 후 육상교실개설과 생활체육 활성화가 필요하다. 넷째, 한국 육상의 경기력강화를 위하여 선수 개개인의 기량수준, 특성, 연령, 심리상태 등의 환경적·심리적 부분에 중점을 둔 평가 및 관리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검증된 외국인 지도자의 영입, 국제화 강화를 위해 국제담당부서의 신설, IAAF의 한국인 임원 진출 그리고 육상 선진국과의 교류가 요구되어진다. 다섯째, 한국 육상의 발전을 위하여 지도자 및 선수의 복지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한국 육상의 발전을 위하여 지도자와 선수의 포상금 확대, 시합출전비 및 체재비 지원, 육상경기대회 개최 등의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