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ODA 초청연수 활용 방안 : 베트남 철도 시장에서 서울교통공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상윤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최근 세계 철도 시장은 선진국 시장 중심에서 개발도상국 시장으로 영역이 넓어지면서 차량, 철도 부품과 시설, 시스템의 판매에서 운영과 관리까지 더해지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사업의 규모는 더욱 커지고, 기술과 운영의 깊이는 더욱 깊고 세밀해지고 있다. 철도 선진국에서는 자금의 규모가 커진 것은 ODA로, 기술과 운영의 깊이와 세밀함은 해외 시장 진출을 전담하는 전문기관(철도사업 통합 추진체계)의 설립으로 대응하고 있다. ODA의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의 JICA, 전문기관으로는 프랑스의 SYSTRA, 일본의 JARTS, JIC 가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은 개발도상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경험을 활용하고 단일 국가에 역량을 집중하는 ODA의 전략적 대응과 2009년 한국철도협회를 설립하여 해외 철도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해외 철도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으로 철도 선진국을 뒤쫓고 있다. 오늘날 세계 철도 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한국의 철도 관련 기관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력, 경험, 자본을 짜내어 전력을 다해 맞서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17년 5월 서울시의 도시철도 양대 운영 기관인 1,2,3,4 호선의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메트로와 5,6,7,8 호선의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서울교통공사(영문명 SeoulMetro)로 통합 되었다. 통합된 서울교통공사의 규모는 하루 평균 이용객 680만 명, 8개 구간 노선 총 연장 300km, 보유 차량 3571량으로 세계에서 4 번째의 단일 도시철도 운영기업으로 성장 했다. 큰 기업에는 큰 안목과 큰 비전을 갖추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 또한 한국의 철도 운영기관으로 한국 철도의 해외 진출에 그 규모에 걸맞은 책임을 갖아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구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초청연수 담당자의 인터뷰,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하여 하노이 국립 기술대학교 대학생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 과정에 대한 조사, 이외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서울교통공사가 시도 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통공사의 개선된 정책의 제안에 앞서 철도 수출의 두 축이 되고 있는 ODA 와 철도사업 통합 추진체계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한국의 대응과 전략을 파악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과 서울교통공사의 해외철도 시장 진출을 살펴 서로 겹치는 부분에서는 서로 협력하여 힘을 모으고 아직 활용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울교통공사가 먼저 시도 할 수 있는 다음의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하나, 기존 단기 초청연수에 서울교통공사 만의 독립적인 연수 사업이 아닌, 한국철도공사와 철도시설관리 공단과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둘, 단기 초청연수에서 조금 더 나가. 장기적인 성과를 위한 베트남 대학생을 초청하는 학사, 석사의 학위 과정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양대 도시철도 운영 기관인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의 통합 이후 해외철도시장 진출 방향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보다 큰 기업으로 성장한 서울교통공사가 대한민국 철도의 해외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교통약자 사고예방 감소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정경호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2000년 이후 우리나라 연령층별 인구수를 살펴보면 전국의 인구수는 연평균 0.5%의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13세 미만 어린이의 인구수는 감소 추세인 반면, 65세 고령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세 미만의 어린이 인구의 경우 2000년 이후 연평균 2.3%가 감소하고, 13~64세 인구는 0.5% 증가, 그리고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4.4%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힘들고 어려운 분들을 상대로 사회적 약자라는 말이 있듯이 교통에는 교통약자라는 말이 있다. 65세 이상 노인과 13세 미만의 어린이, 장애인 등을 말한다.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사망자 비율이 OECD 국가 평균 19.7%에 비해 우리나라는 40%에 이르는데 보행사망자 중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이다. 연령별로 보면 13세 미만 어린이(0.6명), 13~64세(1.9명), 65세 이상 고령자(12.8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인 사망률은 OECD 국가 평균의 5배이다(2014~2017) 1995년부터 시작된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및 정부의 각종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대책은 사회적 여론과 사회 각층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그동안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노인 교통사고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단순히 위반자 개인의 잘못으로 인식해 버리는 분위기로 인해 노인 교통사고 피해자는 제대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통 사망사고를 줄이고자 비젼 ZERO 운동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어린이와 노인 구분 없이 교통사고로부터 안타까운 목숨을 잃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재의 추진방향은 한쪽으로만 치우쳐져 있는 포퓰리즘은 아닌가 하는 반론 또한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약자(어린이와 노인) 간의 교통사고 현황을 비교분석, 검토한 후, OECD 가입국의 교통약자 교통사고 통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관련 법률과 관리 규정이 현장에서 적용함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사례를 찾아 적정성과 효율성,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치안 현장에서 교통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신임경찰관을 상대로 교통약자 교통사고에 대한 인식과 대안을 설문 조사하여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위한 정부와 범국가적인 홍보와 교육, 노인 보호 시설 개선 및 설치 확대, 적합한 단속 활동 등 교통약자의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한 균형에 맞는 사회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철도 매력도에 관한 연구 :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방은수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철도 매력도에 관한 연구: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현재 가장 많은 시민들의 발이 되어주는 대중교통은 철도라고 할 수 있다. 대중교통 중 철도는 우리나라의 교통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민들은 다른 교통들보다 철도의 매력에 이끌려 점점 시민들의 발걸음이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시민들은 모든 것을 다 고려해 봤을 때 가장 합리적인 교통수단을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 시민들이 더 많이 찾을 수 있도록 철도의 품질은 갈수록 좋아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의 철도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 편의성과 예측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민들의 철도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편의성과 예측가능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환경친화성, 접근성, 신속성, 안전성, 정시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시민들이 이용하는 철도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환경친화성, 접근성, 신속성은 편의성과 철도교통의 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전성은 예측가능성과 철도교통의 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정시성은 예측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편의성과 예측가능성은 철도교통의 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ICAO 역량기반 훈련 및 평가(CBTA) 체계에 따른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정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potential impediments of the domestic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 to deduce improvement factors, and the necessary measures for advance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 based on the latest trend in education and training called Competency-based Training and Assessment (CBTA) as recommended by ICA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BTA system that aligns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y formulating policies, strategies, and measur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domestic adoption of CBTA in the ATC training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setting of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its analysis; relevant surveys; statistics analysis, and conclusion. The study first looks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BTA method as recommended by ICAO to its contracting states, by examining the basic concepts and requirements. The study procee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including domestic law and training systems in order to discern differences from the CBTA, and identify margins for improvement. Surveys and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domestic training systems, the utility of the CBTA method, and the reliability/satisfaction; from the conclusion, the study deduced improvement factors and potential impediment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s based on CBTA.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deduces the following improvement factors: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course development and essential workers with expertise, and standard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easures should be taken in the following direction. Domestic laws should be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BTA;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essential workers with expertise(course developers, instructors, evaluators, etc.) should be further cultivated and appropriately allocated. Upper laws should also be reformed so that CBTA training systems and facilities may be more extensively appointed. Training systems should be standardized with distinct directions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ach individual training course. 본 연구는 국내 민간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요인과 방향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가 체약국에 권고하고 있는 최신 교육훈련 추세인 항공교통관제사 역량기반 훈련 및 평가(CBTA, Competence Based Training and Assessment) 체계를 중심으로 국내 항공교통관제사 교육훈련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국제수준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훈련 및 평가 체계의 이행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수립과 성공적 국내 정착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는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 현황 조사/분석 등 사전 준비 조사단계, 설문조사, 통계분석 및 결론 도출 순으로 진행하였다. ICAO가 체약국에 권고하고 있는 CBTA 방식에 대해 ICAO 국제기준 분석을 통해 기본 개념과 이행요건 등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국내 관련 법 규정과 교육훈련 체계 등 현황 분석을 통해 항공교통관제사 교육훈련 방식에 있어 CBTA와 어떤 차이점과 문제점이 있는지를 도출하였고,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통해 교육훈련 체계에 대한 인식도, CBTA 유용성, 신뢰도/만족도 수준 등을 확인하고 개선 요인과 방향을 도출하여 CBTA 체계에 근거한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CBTA 체계 중심의 국내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 개선 요인으로 교육훈련 제도와 조직, 과정 개발 및 필수 전문인력, 표준화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개선 요인에 따른 교육훈련 체계 개선 방향으로 충분한 준비단계와 함께 법 규정 개정 등을 통해 ICAO CBTA 체계에 맞추어 국내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종류와 단계를 다시 분류하여 개편하는 작업이 우선 필요하고, 역량기반에 근거한 교육훈련에 필수적인 인력(과정설계자, 교관, 평가관 등)의 점진적 양성과 배치 등 교육훈련 조직에 대한 재편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상위 법령 개정을 통해 CBTA 적용대상 교육훈련 과정과 시설/기관을 확대 지정하고, 교육과정별 기본 방향과 세부 가이드라인 등의 제시로 교육훈련의 표준화의 기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鐵道交通 管制士의 CRM 導入을 위한 非技術的 力量(Non Technical Skill) 識別 및 分析에 關한 硏究

        정의석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철도사고 대부분이 철도 종사자의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철도 안전과 직결되는 철도교통 관제사와 관련된 철도사고들은 철도교통 관제사의 의사결정, 상황판단, 의사소통 등에서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철도와 유사한 고위험 산업인 항공분야에서는 이러한 인적오류를 저감하기 위해 CRM(Crew Resource Management)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공의 CRM을 철도교통 관제사의 업무환경에 맞게 도입하여 철도교통 관제사의 인적오류를 저감하기 위하여 CRM의 교육 내용이며 평가요소가 되는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을 식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을 식별하기 위하여 철도교통 관제사의 직무와 사고에 대한 분석을 통해 48개의 행동지표들을 도출하고 요소로 단순화 하였다. 상호연관성이 있는 요소별로 그룹화 하여 8개의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을 식별하였으며, 유럽의 NOTECHS와 호주 철도 RRM의 비기술적 역량 체계를 토대로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체계를 제시하였다. 관제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검증을 시행한 결과,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과 역량 체계, 세부항목별 분류 및 식별은 타당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행동지표별 우선순위에서는 열차의 통제, 절차의 준수 등과 같은 철도교통 관제사의 본연의 임무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동지표별 중요도를 토대로 과업관리, 의사소통, 상황인식 및 의사결정, 비상상황 관리, 위험관리, 리더십과 팀워크 순서로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별 교육의 우선순위를 정립하였다. Most of railroad accidents are caused by human errors of railroad workers, and railroad accidents related to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railroad safety, are caused by errors in decision-making, situation judgment, and communication by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In the aviation sector, a high-risk industry similar to railroads,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training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o reduce such human errors.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non-technical skills for rail traffic controllers that are the content and evaluation factor of CRM training in order to reduce human errors of rail traffic controllers by introducing aviation CRM training to suit the work environment of rail traffic controllers. In order to identify the non-technical skills of the rail traffic controller, 48 behavior markers were derived and simplified into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ail traffic controller's job and accident. The 8 non-technical skills of rail traffic controllers were identified by grouping them by interrelated elements, and the non-technical skill system of rail traffic controllers was presented based on the non-technical skill system of NOTECHS in Europe and RRM of Australia railroa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the non technical skills and skills system of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suggested,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are found to be reasonable, and in the priority of behavioural markers, the nature duty of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such as train control and compliance with procedures is analyzed as important.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behavioural markers, the priority of training by non technical skills of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is established in the order of Task Management, Communication, Situational awareness and Decision-making, Emergency management, Risk Management, Leadership and Teamwork.

      • 통합 유고정보 처리를 위한 Tiny IoT 플랫폼 개발

        김대호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도로에서는 교통정보 외에 각종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발생되고 있다. 교통정보는 교통시설 및 교통수단 등에 의하여 수집 또는 가공되는 총체적인 정보로서 크게 정적(Static)정보와 동적(Dynamic)정보로 구분된다. 두가지 정보들을 합하여 교통정보라고 보는데 유고정보는 교통정보 와 기상정보, 도로공사정보, 사고정보들을 포함한 정보를 유고정보라고 한다. 현재 각종 교통정보 제공시스템들은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주는 반면 그 외의 교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정보들은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상정보는 제공하는데 사고정보와, 도로공사정보들이 제공되지 않는 시스템들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는 기상과 교통 등등의 변수들을 데이터로 수치화하고 그 데이터들을 분류한 유고정보를 활용하고 통합 유고정보 처리를 위한 Tiny IoT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시스템들이 교통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결정하고 더불어 Tiny IoT 미들웨어를 설계하여 데이터베이스, 분석서버, 어플리케이션과의 효과적인 연결에 대하여 개발하고 분석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 옐로카펫 시인성 증진 효과 검증 및 교통안전 영향 분석 연구

        안효섭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63

        옐로카펫은 아이들이 많이 건너는 횡단보도에 안전하게 서있을 수 있게 마련된 노란색의 카펫이란 의미로 횡단보도 대기공간에 서있는 보행자 인지수준을 향상 시킨다고 인식되어 교통사고 예방차원의 안전시설로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옐로카펫이 실제로 보행자 인지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인지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옐로카펫 설치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인성 증진효과를 검증하고 이로 인한 교통안전 수준 증진효과를 객관적인 분석을 통하여 점검한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하여 (1) IT 기반 시인성 분석 모의실험 모형인 Visual Attention Software(VAS)를 적용하여 현장 13개 지점 옐로카펫 시인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고, (2) 드론 무인항공기로 영상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옐로카펫 설치된 곳과 그렇지 않은 현장 6 곳을 주행하는 차량들의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속도저감 효과를 진단하였다. (3) 이용자(어린이, 학부모, 교직원) 설문조사로 수집한 800여 개 기초 자료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수행하여 옐로카펫 이용자 교통안전증진 효과를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연구수행 결과 옐로카펫 설치 전과 후의 시인성 향상 값은 지점별로 달랐지만 전체적으로 시인성 향상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설치장소 적정성 측면에서 옐로카펫은 집산도로 수준의 도로 및 신호교차로 접근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감속효과가 없으나, 신호등이 없는 생활권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감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자들의 교통안전증진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1) 옐로카펫 설치 전에 먼저 시설에 대한 교육 수행 및 (2) 설치장소 적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in visibility of yellow carpet on the traffic safety. Yellow carpet is a safety facility provided for children waiting in space in pedestrian crossing to prevent traffic accident. It provides much stronger visual recognition to drivers to slow down and play it safe. No scientific evaluation has been made yet to analyze whether yellow carpet improves pedestrian safety or not.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yellow carpet through objective analysis. The objectives are (1) To apply Visual Attention Software(VAS) Simulation model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yellow carpet at 13 different sites (2) The speed reduction effec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driving speed of vehicles driving at 6 locations each with and without yellow carpet by analyzing video image data recorded through a drone camera. (3) More than 800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users(children, parents, and staff) were used to analyze "Factor analysis" and a method of the traffic safety improvement effect of yellow carpet was derived. The results shows that visibility improvement value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yellow carpe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ot, but it confirms that yellow carpet improves visibility. From the location point of view, the yellow carpet has deceleration effect in vehicles driving on non-signalized intersection. There is no deceleration effect on vehicles driving on signalized intersec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of the users, it was analyzed that it is desirable to (1) educate users about the facility before installing yellow carpet and (2) install yellow carpet on proper site.

      • 무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이규훈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197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을 계기로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자동차 보유대수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의 증가는 교통사고 등 다양한 교통문제의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으며,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로까지 발전하였다.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나타나며, 이는 교차로의 교통안전 향상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것임을 의미한다. 기존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연구들은 교차로의 교통량, 기하구조, 환경과 같은 요인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이를 통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가산 모형(Count Model)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고정모수(Fixed Parameter)를 이용한 가산모형은 이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할 수 없으며, 과도한 t-값이 도출되어 모형의 신뢰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은 확률모수(Random Parameter)를 이용한 가산모형으로 기존 모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각의 요인들의 이질성을 고려한 교통사고 예측모형으로 접근할 수 있다. Random Parameter를 이용한 신호교차로의 사고모형 개발 연구는 지속되어 온 반면, 무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무신호교차로의 낮은 교통사고 발생빈도로 자료의 수집이 어려운 점과 정확한 분석과정에 많은 통계적 한계가 있는 점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Fixed Parameter를 이용한 가산모형(FPM)과 Random Parameter를 이용한 가산모형(RPM)을 구축하여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2014년까지 4년간의 자료를 토대로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56개소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사고모형은 과분산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포아송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7개의 변수(로그 일평균 교통량, 횡단보도 유무, 제한 속도, 주도로 교통섬 유무, 주도로 우회전 전용차로 유무, 주도로 속도제약시설 유무, 토지 이용)가 교통사고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2개의 변수(횡단보도 유무, 제한 속도)가 정규 분포에 의한 Random Parameter로 이질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방부 교차로의 횡단보도에 대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된 회귀분석이 아닌 Before-After Study와 같은 새로운 분석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하구조의 시간적 변화를 반영하여 이질성을 도출한다면 현실적인 모형의 구축 및 교차로 개선사업 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뿐만 아니라 도시부 무신호교차로, 단일로 등 범위를 확장하여 모형을 구축한다면 전반적인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교통안전 예방대책 수립 및 우선순위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도시철도의 고객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 부산교통공사를 중심으로

        김명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 급속한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우리 인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했으며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커졌다. 현대사회의 기업은 다양한 경영체계와 운영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감동·고객만족 경영을 바탕으로 공공성·투명성·윤리성을 강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교통공사의 경영체계로 안전보건경영, 서비스 품질경영, 사회적 책임경영, 재무 건전성을 4가지 독립변수로, 고객만족과 기업신뢰를 매개변수로 마지막으로 고객시민행동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부산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부산교통공사의 전반적인 내부 경영체계와 운영 시스템을 분석하여 각 요인이 이용객의 고객만족과 기업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와 관련한 친부산도시철도 활동 즉 고객시민행동을 유도하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부산교통공사의 경영체계로 안전보건경영(안전설비, 신변보호 프로그램, 안전보건활동, 전반적인 안전), 서비스 품질경영(운영 서비스, 시설 환경, 이용요금 대비 효과), 사회적 책임경영(사회봉사활동, 법규준수, 윤리경영)이 강화될수록 부산교통공사에 대한 고객만족과 기업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경영의 효율성과 윤리성을 나타내는 재무 건전성(수익성 및 경영효율성 증대, 재무 건전성 확보)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기업신뢰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성립했다. 또한 고객만족(이용·선택·서비스 만족)은 기업신뢰(신뢰·믿음·예측가능성)와 고객시민행동에 유의미하며 기업신뢰는 고객시민행동에 유의미한 관계가 성립했다. 향후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고객감동·고객만족 경영을 실현한다면 기업을 위한 자발적인 고객시민행동을 강하게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교통조사부문 드론 활용시 비용절감효과 분석 연구 : 해외사업을 중심으로

        김동준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통조사는 대부분 인력에 의한 조사방식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교통량 조사시 일부 지역에 한해 영상장비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영상장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도로시설물이 존재해야 하는 환경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수치지도나 위성사진 등의 정보가 오래 되었거나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인력조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만, 인력수급조차 어려운 곳에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조사에 투입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특히 해외사업에서 가중된다. 본 연구는 해외사업 교통조사시 기존 방법과 제안 방법간의 비용절감효과 분석을 통해 교통조사에 드론을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며, 교통조사 분야 중 교통조건 조사와 도로조건 조사를 연구범위로 한정하고 해외사업 사례를 토대로 각 조사 부문별 드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교통조건 조사부문에서는 교통량 조사와 대기행렬길이 조사에 드론 활용을 제안하였고, 기존 방법 대비 16%~27%의 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로조건 조사부문에서는 도로 평면선형 조사, 기하구조 조사, 지장물 조사에 드론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기존 방법 대비 39%~93%의 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외사업뿐만 아니라 인력수급이 용이하지 않거나 기초자료가 부족한 국내 지역에서도 교통조사 시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시간과 비용절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