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 및 학교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미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 학교충성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이 학교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이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및 학생의 학습조직문화가 전공학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이 학생의 학습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인천, 경기지역의 일곱 개의 전문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863부가 배포되어 그 중 827부가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78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인구통계학적인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연구 변인들의 빈도분석 등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변인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개념들 간의 관계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AMOS 18.0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교충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학교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습조직문화와 전공학과몰입을 매개로 하여 긍정심리자본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전공학과몰입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습조직문화를 매개로 전공학과몰입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습조직문화에 정(+)의 직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들의 학교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둘째, 학생의 전공학과몰입은 학교충성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이는 전문대학 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이 선행됨으로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and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oyalty to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ha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n effect on loyalty to school. The second one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have an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third one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and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have an effect on student's commitment to major. The fourth one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s an effect on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date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obtained from a survey of 780 juni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drawn from junior colleges located in Kyunggi-do and Incheon. To test hypotheses and the validity of the entir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conducted using AMOS 18.0, as well as SPSS 18.0 software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oyalty to school and had an indirect effect shown through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student's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shown through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Fourth,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development for an effective development of loyalty to school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Second, student's commitment to major was proven to be important to develop loyalty to school and the relationship can be enhanced when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s preceded.

      •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과 자기주도학습 및 오센틱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 : 사립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시남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대학교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은 조직 학습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 학습 문화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은 자기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와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은 오센틱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대학 행정 조직의 형태인 팀제와 과부제에 따라 각 잠재변인 간 잠재평균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고 20개 사립대학교에서 근무하는 745명의 정규 직원이 표본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는 AMOS(18.0)와 Mplus(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통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조직 학습 문화에 긍정적 직접효과가 있다. 둘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에 긍정적 직접효과가 있고 조직 학습 문화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 셋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행정 직원의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 직접효과는 없으나 조직 학습 문화와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 넷째, 사립대학교에서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 개발에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긍정적 직접효과와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 다섯째, 팀제가 도입된 사립대학교가 과부제를 시행하는 대학보다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자기주도학습 및 오센틱 리더십의 잠재평균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하여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특히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은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에 영향력 있는 주요 변인이었다. 또한,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한 간접효과가 실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직 학습 문화가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하여 오센틱 리더십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조직 학습 문화는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데 여전히 중요한 변인 임이 추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irected learning and authentic leadership at private universities in order to seek for the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influence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ve on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Second, what influences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have on th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what influences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nd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on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what influences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on authentic leadership? Fifth, what differences of latent means did there exist among latent variables between bureaucracy and team structure at private universiti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745) was drawn from administrators at 20 private universiti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18.0) and Mplus(6.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EM were as follows. First,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Secon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d a indirect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Thir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no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ministrators' self-directed learning but had indirect positive influence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nd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had indirect positive influence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Fifth, all latent means were higher in team structure than those in bureaucracy at private universities. Conclusions fro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positive influences of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ith authentic leadership at private universities. In particular,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In addition,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Although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ith research indicating that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had affected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it may be inferred that enhancing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would be still an effective way to boost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민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detail, we examined how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 First, wi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will the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thei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wi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Fourth, will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lleg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a department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s of 2023, and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600 copies to 6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Daejeon. Participa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ssessment method, and 579 copies, excluding questionnaires from unfaithful respondents such as non-response or incorrect information,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ed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n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the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x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venth,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s and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se programs will help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areers and build their confidence in making career decision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 complex approach that considers these factors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ollow-up research. First, there is a need to study ways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for career preparation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with different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the size and diversity of the research subjects.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민주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과 전공만족 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체육전공 대학 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넷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전공만족 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전공 관련 학과에 2023년 현재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서울, 경기, 충청, 대전에 있는 6개 대학의 600부를 배포하여 자료 를 수집하였다. 참여 대상자들은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 였으며 무응답, 오기입 등 불성실 응답자의 설문지를 제외한 579부를 분 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신뢰도 분석과 구조방적식 모형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 다.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 각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 진로장 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미쳤다. 여섯째, 체육전공 대 학생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 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미쳤다. 일곱번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진 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이중매개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 에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복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체육전공 학생들의 진로준비를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을 달리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연구 대상의 규 모와 다양성을 확대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The Study of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Work Behavior of Vietnamese University Instructors : Focused Universities in Ho Chi Minh City

        영안 티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ing behavior has been one of the key tasks of the Vietnamese education sector in recent years, aiming at a modern education. In universities, staff and faculty share their knowledge through teaching, supporting and research activities. Therefore, how to effectively share knowledge in universities to create the greatest value is becoming the concern of many universities in Vietna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Ho Chi Minh City, Vietnam.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 2022 to April 10, 2020 for a period of 20 days. The total number of surveys collected 383 samples, after removing the invalid samples, and 350 samples were used to conduct the analysis. The study use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and the impact of knowledge sharing on innovation behavior of the lecturer. Research results show that Enjoyment in helping others, Knowledge self- efficiency, IT use, organization reward, 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instructors' knowledge sharing -viibehavior. And sharing knowledg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individual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author evaluat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n different fields. The obtained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knowledge level of university lecturer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and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지식 공유와 혁신적인 업무 행위는 최근 몇 년 동안의 베트남 교육 부분의 핵 심 과제 중 하나였다. 대학에서 직원과 강사는 교육, 지원 및 연구 활동을 통해 지식을 공유한다. 따라서 최고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대학에서 지식을 효과 적으로 공유하는 방법은 베트남의 많은 대학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호치민시 대학교의 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는 2022년 3 월 20일부터 2020년 4월 10일까지, 20일간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총 조 사수는 383표본을 부적합표본을 제거한 후 수집하였으며, 350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 방정식 모델링(SEM)에 의한 질적 및 양적 연구 방법의 조합을 사용하여 지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지식 공유가 강사 의 혁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알아냈다)연구 결과, 남을 돕는 즐거 움, 지식 자기 효율성, IT 활용, 조직 보상, 신뢰가 강사의 지식 공유 행동에 정 -ix-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지식 공유와 혁신적인 업무 행동 또한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자는 다른 분 야의 이전 연구를 평가하고 비교했다. 얻어진 결과는 베트남 호치민에 있는 대 학 강사들의 지식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향후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 다.

      • 대학생이 지각한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the school environment, learning agility, and university coordination. To this end, we set up and confir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impact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learning agility and college adjustment?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on learning agility and college adjust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45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re variables were measured by creative home environment test (Lee Ka-hyung, Lee Kyung-hwa, 2019),,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est(Lee, Kyung. Hwa., Yang, Hye. Jin., & Lee, Ga. Hyung.), , learning agility (Lim Chang-hyun, Eui-young, Lee Hyo-sung (2017), and university adjustment scale(Im Chang-hyun, Wee Young-eun, Lee Hyo-seon, 2017). The inspection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 to May 14, 2021, and 345 of the 360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excluding 15 people who were dishonest or inappropriate for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agility and college adaptation,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correlates college students' learning agility with college adaptation. As a result, the hypothesis was adopted that the creative family environmen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gility and university adaptation. Second, the hypothesis is that the creative school environmen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gility and inter-university adapta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education and systems will be establish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take measures to create a creative hom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gility and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college education, and to develop and develop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adapt to the new school environment and realize their potential.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학습민첩성, 대학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력에 어떤 변인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첫째, 창의적 가정환경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창의적 학교환경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권 대학에 재학 중인 3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창의적 가정환경검사(이가형, 이경화, 2019), 창의적 학교환경 검사(Lee 외, 2021),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임창현, 위영은, 이효선, 2017), 대학적응 척도(정은이, 박용한, 2006)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한 기간은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였고, 360부의 데이터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연구대상에 적합하지 않은 15명을 제외한 총 34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량, 왜도와 첨도,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학교환경 또한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첫째 대학생이 인지한 창의적 가정환경은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대학생이 인지한 창의적 학교환경은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앞으로 이제 창의적 가정환경을 특징을 이해하고, 창의적 가정환경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하는 교육과 제도들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대학교육에서는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역량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대학생들이 새로운 학교환경에 적응하여 학생들의 잠재성을 발휘하기 위한 창의적 학교환경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려는 대학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사립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와 직무만족도 연구

        유예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는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는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사립 대학교에서 직업으로 학과 행정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조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3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두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LSD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직업형 학과 행정조교의 연령, 현 직장 근무기간, 담당학과 교원 수, 월 급여 수준, 학과 내 직업형 학사조교 수에 따른 직무동기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 직장 근무기간, 담당 학과 계열, 월 급여 수준, 학과 내 직업형 학사조교 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 중 동일시 동기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특성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직무동기는 내재적 동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들의 직무만족도는 일부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긍정적 동료관계와 긍정적 관계가 있었다. 셋째, 동기유형 중 무동기와 같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발성 및 내면화의 정도(동기 수준)가 낮다고 해서 직무에 대한 만족감까지 낮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private univers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work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Th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work motiva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based on the demographic factor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based o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hird, what does the work motivation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of 253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Seoul. 202 women and 51 men ranging in age twenty to forty were participated through a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8.0, frequency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LSD multiple range test,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work motivations of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work period, the number of professors in department, salary, and the number of colleague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cademic ability, work period, major of the work department, salary, the number of colleagues. Third,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Three major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trinsic motiva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work motivation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demographic factors. Second, with regarding to job satisfa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mographic factors, a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Third, the degree of amotivaion of the assistants has no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김승분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enial of undergraduate students is rejection sensitivity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ffect dating violence, but verify tha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can yiel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ating violen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328 undergraduat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who go to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for final 321 students were used in this study. SPSS18.0 and SPSS25.0programs were used for statistics verification.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testing reliability for each scale. Also,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respectively analyzed to figure out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jor variables and a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ajor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Lastly, 3-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dating violence,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Aroian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on the dating aggression, the rejection sensitivity was confirmed as the static relation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ting aggression. In addition, cognitive-emotional adjustment strategy show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ectors. However, especially, it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statistic relationship with maladaptive strategy and, with an adaptive strategy,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was identified to have the part parameter effect on the maladaptive strategy of the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ate aggression. Third,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by dividing the gender into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le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full parameter effect on the criticism of others and catastrophizing which is the subordinate sector of the maladaptive strategy,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 the part parameter effect in catastrophizing. These results can explain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the rejection sensitivity, the easier they become to face the criticism of others and catastrophizing, and also can be finally developed to the dating aggressi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o reveal what parameter effect the cognitive-emotional adjustment strategy will ha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ject sensitivity and the dating aggression, and such research suggests that the cognitive-emotional strategy may be a basic data to prevent the dating aggression, when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a student says the problem as the conflict between lovers in the counselling s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폭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21명의자료를분석에이용하였다.통계검증을 위한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및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수집된자료는빈도분석을실시하여인구학적특성을살펴보았고, Ch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파악하기위한기술통계분석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의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인들이 종속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로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유의성을검증을위해AroianTest를실시하였다(Aroian, 1947). 연구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폭력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데이트폭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적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이 둘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특히 부적응적 전략과는 정적관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적응적 전략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적응적 전략에서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남자 대학생은 부적응적 전략의 하위요인 타인비난과 파국화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여자 대학생은 파국화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이 거부민감성을 경험할수록 타인비난과 파국화에 이르고, 마침내는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짐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어떤 매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친밀한 연인관계에서 발생되는 데이트폭력성의 원인과 기제를 밝혀 문제에 대한 갈등을 해결하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폭력성의 예방적 전략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이해를 넓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 장면에서 연인 간의 갈등을 폭력으로 해결하려는 불안과 분노의 근원인 거부민감성의 정서를 다루어 데이트폭력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대학생의 어린 시절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초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s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experiencing trauma. As a result, a total of 256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of SPSS 28.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emotion dysregulation and internalized sha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emotion dysregulation and each sub-factors of internalized shame in detai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most of all sub-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 dysregulation, it shows tat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 dysregulation. This means that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has a greater influence on emotion dysregulation indirectly by internalized shame than in direct wa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d to empirical studies of internalized shame.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studies on the distinction between shame and guilt and state shame related to body imag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found a research model that confirmed the psychological variable of internalized shame as a direc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 dysregulation amo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y focusing on the difficulty of emotion dysregulation due to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through the psychological variable of internalized shame. Through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strategy based on internalized shame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element in the counseling field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In other words, this study has unique significance in that it not only reconfirmed the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like the previous studies accumulated by verifying a research model thar has not been tried before, but also statistically verifi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internalized shame.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nceptualize and organize the cases of college students who came to the counseling due to psychological and emotion difficult because of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For example, when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internalized shame meet counselor, this study can serve as a evidence for choosing whether the counselor needs to explore the clients’ childhood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can also education clients who automatically feels shame when they express of feel emotions without knowing why, that understand their symptoms and manage their emotions in the life. That is, this study judged the importance of exploration in childhood and confirmed empirical evidence for counseling related to emotion dysregulation is important.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 needs to help build interpersonal resources so that the clients can receive emotional support and acceptance from others even outside the counseling room after the ends of the counseling session. Even if the clients experiences new emotional support and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there is a risk that the clients change will be seriously hindered if he of she forms or experiences relationship with people similar to the past outside the counseling room. On the other hand, having someone with whom the clients can emotionally depend and feel safe will help them express and feel their emotions, and futhermore, their internalized shame will gradually become flexible. If so, positive changes through counseling will be able to maintain and develop those changes in the life of the clients outside the counseling roo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어린 시절에 경험했던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56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8.0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외상 경험, 정서조절 곤란, 내면화된 수치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세부적으로 정서적 외상 경험, 정서조절 곤란 그리고 내면화된 수치심의 각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모든 하위요인들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변수 영향력을 밝혀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정서적 외상 경험이 정서조절 곤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간접적인 효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의 실증적 연구 및 경험적 연구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들은 그동안 수치심과 죄책감을 구분 짓는 연구와 신체이미지 등과 관련된 상태수치심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었다. 또한 국내 및 국외 문헌들 중에서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심리적 변인을 직접적으로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살펴본 연구모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심리적 변인을 통해 정서적 외상 경험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서조절 곤란에 초점을 두어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에 기반을 둔 상담전략이 어린 시절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상담 현장에서 중요한 치료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본 연구는 이전에 시도하지 않았던 연구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축적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각 변수들 간의 영향을 재확인하였다는 점뿐만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어린 시절 정서적 외상 경험으로 인하여 심리적 및 정서적으로 힘들어하여 상담실을 찾아온 대학생 내담자들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조직화하는 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정서조절 곤란과 수치심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들이 상담자를 만날 때, 본 연구는 상담자가 그들의 어린 시절 경험을 탐색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선택할 때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일상에서 정서를 표현하거나 느낄 때, 자동적으로 수치심도 함께 느껴져서 힘들어하는 내담자에게 자신의 증상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어린 시절 탐색의 중요성과 여부를 판단하고, 정서조절 곤란 관련 상담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하나의 경험적 증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담 종결 이후에 상담자는 상담실 밖에서도 내담자가 타인으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수용을 받을 수 있도록, 대인 관계적 자원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내담자가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새로운 정서적 지지와 수용을 경험한다고 하더라도, 상담실 밖에서 과거와 유사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거나 경험한다면 내담자의 변화를 심각하게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내담자가 정서적으로 의지할 수 있고 안전하다는 사람이 곁에 있으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느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 내면화된 수치심도 차츰 유연하게 변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상담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가 상담실 밖에서의 내담자의 삶 속에서도 그 변화를 유지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SNS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차소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SNS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내 대학교에 재(휴)학 중인 대학생 310명에게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을 살펴본 결과, 60.6%의 연구참여자들이 평생 동안 자해를 한 번 이상 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자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 비율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종속변수인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는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 SNS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비난 수준이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 수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자기비난의 수준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 수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학학생상담센터의 정신건강문제 고위험군 조기발굴과 타 기관(예. 정신의료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으로의 적극적인 연계, 대학 내 SNS 활용 교육 시 중독예방 교육 진행,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단 지켜줌인(人)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대학생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이용자 중심의 정신건강 사회복지 정책 확대와 SNS를 통해 공유되는 자살유발정보를 막기 위한 현실적인 규제방안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factors (emotion dysregulation, self-criticism) on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its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310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dence were analyzed.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60.6%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self-injury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revealed that female participants’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participant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non-suicidal self-injury of study participant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factors (emotion dysregulation, self-critic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emotional factors (emotion dysregulation, self-criticism) of college students had an positive effect on non-suicidal self-injury. Fifth, the moderating effect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non-suicidal self-injur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non-suicidal self-injury of college students, such as early detec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of collage students by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and active referral systems among related agencies (e.g., psychiatric institutions,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addition, user-centered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policies should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alistic regulatory measures to prevent suicide-induced information shared through S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