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19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로봇코딩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과학탐구과정에 미치는 효과

        강경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로봇코딩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과학탐구과정에 미치는 효과 강 경 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과학교육전공 ( 지도교수 장 신 호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재학생들의 탐구 과정 기능 신장을 위하여 로봇코딩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수․과융합영역 초등영재학급 4학년 총 36명(남 25명, 여 1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진수(2011)가 개발한 PDIE 모형 절차에 따라 로봇코딩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5 과학과 교육과정 및 로봇코딩 관련 STEAM 교육 프로그램 분석하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STEAM 교육을 위한 학습준거와 통합유형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활동주제와 교육활동 목표를 선정하고, 학습주제와 학습활동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학습 활동에 따른 STEAM 요소 및 탐구 과정 기능(기초 과학 탐구 기능, 통합 과학 탐구 기능) 요소를 수업에 반영하였다. 이에 따라 ‘속력’을 주제로 총 12차시 로봇코딩 STEAM 교육 교수․학습 과정안과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탐구 과정 기능 검사를(TSPS :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를 실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로봇코딩 STEAM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구 과정 기능 검사 결과를 통계 처리하고 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수업 상황에 대한 녹화 및 학생들이 나눈 담화를 녹음하여 질적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직후에 로봇코딩 STEAM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 및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코딩 STEAM 수업은 초등영재학생들의 기초 과학 탐구 기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기초 과학 탐구 기능 영역 중에서는 측정 능력과 관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봇코딩 STEAM 수업은 초등영재학생들의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통합 과학 탐구 기능 영역 중에서는 자료해석 및 가설설정과 변인통제 능력 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코딩 STEAM 수업은 초등영재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탐구 활동에 참여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STEAM 수업은 로봇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위하여 해결 방범을 모색하고 탐구 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여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을 얻거나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가는 탐구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로봇코딩 STEAM 수업이 초등영재학생들의 탐구 과정 기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본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영재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로봇코딩을 활용한 과학 기반 STEAM 수업이 탐구 과정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로봇코딩, 탐구 과정 기능, STEAM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 국어 교과서 '쉼터'에 관한 연구

        민경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쉼터’의 설정 취지와 특징,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쉼터의 내용(body) 구성과 교육 현장에서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쉼터의 활용 및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의 논의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의 1, 2학년을 시작으로 2002년에는 5, 6학년까지, 초등 학교 전 학년에 걸쳐 제7차 교육 과정이 반영된 새 교과서가 사용되었다. 쉼터는 국어과 새 교과서에 처음 나타났다. 새 교육 과정의 시행 초기인 현 시점에서, 공부하기에 재미있고 부담이 없어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위해 도입되었다는 쉼터가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 모습을 살펴본다. 둘째,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교 현장에서는 쉼터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교사들에게 쉼터의 지도 실태, 쉼터에 대한 인식, 쉼터의 개선 방안의 세 가지 방향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경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추출한다. 셋째, 쉼터를 더욱 다듬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현행 쉼터의 개선 방안과 구성 및 활용의 방향, 그리고 쉼터 개발에 대한 제언을 생각해 본다. 위와 같은 논의의 초점을 중심으로 Ⅱ장에서는 쉼터의 설정 취지, 기본 거푸집과 특징을 고찰한 후 쉼터가 갖는 교육적 의의와 역할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쉼터의 내용 구성을 활동 형태의 긴밀성과 활동 내용의 정체성 두 방향에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서울 소재 초등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쉼터에 대한 현장의 반응과 기대를 알아보았다. Ⅴ장에서는 3장과 4장의 논의를 토대로, 현행 쉼터의 개선 방안과 구성 및 활용의 방향, 그리고 차후 쉼터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주요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쉼터는 교과서가 재미없다는 인식의 전환을 위해 설정되었고, 상당 부분 활동 중심의 말놀이 수업 형태를 띠고 있으며 만화, 그림 자료 중심이다. 쉼터는 국어 교과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견인차가 될 것이며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을 높여 준다. 둘째, 현행 교과서에 구현된 쉼터를 활동 형태의 긴밀성과 활동 내용의 정체성이라는 두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쉼터는 활동 형태의 긴밀성에 따라 크게 말놀이와 관련 있는 것과 말놀이와 관련 없는 것으로 구분한다. 말놀이와 관련 있는 것은 다시 상호 작용 형태에 따라 연결형 말놀이와 문답형 말놀이로 세분된다. 말놀이와 관련 없는 것으로는 학습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읽을거리’와 ‘생각거리’로 다시 나눌 수 있다. 활동 내용의 정체성에 따라서는 ‘우리말과 우리 문화’, ‘바른 국어 사용’, ‘창의적 국어 사용’으로 하위 분류할 수 있다. 셋째, 쉼터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시내의 초등 학교에서 근무하는 430명의 교사들에게, 13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을 작성하여, 이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쉼터의 활용과 개발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쉼터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는 쉼터의 학습량을 초월한 국어과 전체 학습량의 경감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더 나은 쉼터의 개발을 위해 쉼터를 쉽고, 재미있으며, 학습에 부담을 주지 않는 내용과 다양한 말놀이 형태로 구성한다. 끝으로 쉼터를 가급적 마당의 학습 내용과 유기적인 관련을 맺도록 구성해야 한다. 넷째, 앞으로 쉼터를 개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먼저 쉼터의 기본 틀은 말놀이 중심의 활동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내용 선정에서는 우리 문화와 우리말의 전통적 표현 구조가 중심이어야 하며, 쉼터를 구성할 때의 지향점은 의미 형성 능력의 신장이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쉼터를 학습하는 궁극적 도달점이 긍정적 상호 작용을 통한 의사 소통 능력의 활성화임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이 연구는 제7차 교육 과정의 새 교과서에 처음 나타난 쉼터의 현 모습과 현장의 반응 및 기대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쉼터를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은 2002년 11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nten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top-points(‘Swim-teo’), the construction of its body and teachers’ view of that, in a bid to seek ways to make the most of it in school education. The students who were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of elementary school in 2000 started to study with new textbook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and in 2002, every grader is going to use new textbooks. The stop-points were introduced into the new Korean textbooks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since it’s considered interested and encouraging to students. Therefore, it’s meant to find out in which way it was inserted into the textbooks, how teachers capitalized on it for Korean class, how they looked at it, and how it could work better in the future. Chapter II described the intents of the stop-points, the characteristics of its basic framework, its educational merits and role. Chapter III explained the construction of its body in terms of the activity form of coherence and the activity form of identity. Chapter Ⅳ conducted a surve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o figure out their responses toward and expectations for that. Chapter Ⅴ presented possible reform measures and made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stop-points.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p-points were selected to make the textbooks more appealing, as students didn’t find it interested. That’s mostly presented in the form of activity-centered language game, and the major materials were cartoons and illustrations. That would stimulate learner interest in the Korean textbooks and enhance his or he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Second, the stop-points were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the activity form of coherence and the activity form of identity. According to the former, that could largely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what’s related with language game, and the other is what’s unrelated with language game. The first one is subdivided into connective language game and question-answer language game, and the second is subdivided into reading materials and thinking materials according to what skills are required for learning. And the stop-points could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ctivity form of identity: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orrect use of Korean language, and creative use of Korean language. Third, 13-item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make a survey for 4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o find out how they saw the stop-points. As results, it’s first required to diminish learning quantity in Korean language clas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top-points, and that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easy, interesting and various types of language games and be in line with the contents of lesson. Fourth, when stop-points are developed in the future, these should basically be composed of language games, and focus on teaching our culture and the traditional expression pattern of our language. Its major object should be to help learners have a better ability to construct meaning, and its ultimate goal should be to facilitate positive interac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take a close look at the stop-points in the textbooks of the 7th national Korean curricula,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it and what they expected from it, and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a more successful development of stop-points in the future.

      • 서울다솜학교에서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먼리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research is aimed to evaluate the role performance of bilingual teachers at Seoul Dasom School, which provides immigrate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public education, and investigate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bilingual teachers. In order to draw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 combined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all students, regular teachers, and bilingual teachers of Seoul Dasom School.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even though bilingual teachers of Seoul Dasom School were originally trained for elementary education, they perform various roles related with students, such as collaborative teaching, counseling support, educational guidance, Korean teaching, native language teaching,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and academic as well as play diverse roles required at Seoul Dasom School of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ir own voluntary adjustment process. First, the lower Korean language ability the students had or the higher native language ability they had, the more satisfaction they showed. At collaborative classes, students with low Korean language ability received assistance from bilingual teachers, but ones with high Korean ability had a difficulty concentrating in class because of bilingual teachers’ participation. As for native language teaching, there are cases that students want education of their friends’ languages and cultures. In respect of counselling support, students asked bilingual teachers to intervene in and support the satisfactory relationship of students with low Korean language ability and national backgroun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Regular teachers mostly showed satisfaction about of bilingual teachers’ roles to support them because of students with low Korean ability. Particularly,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from counselling support, educational guidance,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Regular teachers asked bilingual teachers to use Korean if possible instead of native language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Korean ability and remov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with regular teachers when they have a talk with students or other bilingual teachers. Bilingual teachers revealed high satisfaction about their roles required by Seoul Dasom School. It was reflected by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that they performed difficult roles for regular teachers. Bilingual teachers wanted chances to take a subject training for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a specialized counselling training. They express excessively heavy duties of various roles and feel an anxiety about employment status, with which they are newly positioned by re-contraction every year.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raining bilingual teachers specialized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ounselling and guidance for students having adjustment problems at Korean life, a chance to provide native language education, a chance to communicate between regular teachers and bilingual teachers, documentation of duties of bilingual teachers, their own voluntary effort to improve professional ability, and employment guarante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were concluded as an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bilingua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bilingual teacher system of Seoul Dasom School and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ted adolescents.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공교육 제공을 위해 설립된 서울다솜학교에서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을 평가해 보고 향후 이중언어강사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선택하여 서울다솜학교에 재학 또는 근무 중인 전체 학생, 일반교사, 이중언어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울다솜학교 이중언어강사는 본래 초등교육과정에 맞춰 양성되었으나, 협력수업, 상담지원, 생활지도, 한국어지도, 모국어지도, 통번역, 교무업무 등 학생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자발적인 적응과정을 거치며 고등교육과정인 서울다솜학교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고 있었다. 먼저, 학생들은 한국어 수준이 낮거나 모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협력수업에서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이중언어강사의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한국어 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이중언어강사의 수업참여가 오히려 수업에 집중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모국어지도에서 학생들은 친구 나라의 언어와 문화에 대해 교육 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상담지원에서 학생들은 이중언어강사가 학생들 간에 개입하여 학기 초에 국가 배경과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 간에 관계가 원만하게 형성되도록 도와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일반교사들은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로 인해 일반교사를 보조하는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에 대해 대체로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특히 상담지원, 생활지도, 통번역 역할에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일반교사들은 학생과 이중언어강사 또는 이중언어강사간 대화 시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일반교사의 불필요한 오해를 없도록 하기 위해 이중언어강사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가급적 모국어 대신 한국어를 사용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중언어강사들은 서울다솜학교에서 요구하는 역할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보였는데, 이는 일반교사가 수행하기 어려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이중언어강사 자신의 성취감이 반영된 것이었다. 이중언어강사들은 전문 지식 습득을 위한 교과목 연수, 전문 상담 연수 기회 제공을 원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역할 수행에 의한 과도한 업무 가중을 호소하고 매년 재계약을 통해 학교 배치를 새롭게 받는 고용형태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효과적인 이중언어강사 활용방안으로 중등 직업 교육 전문 이중언어강사의 양성, 한국생활 적응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에게 생활 전반에 대한 상담과 지도, 학생들에게 모국어 교육 기회 제공, 일반교사와 이중언어강사가 소통할 수 있는 자리의 마련, 이중언어강사 업무 내용의 문서화, 이중언어강사 스스로 전문 능력 신장 노력, 이중언어강사의 일정기간 고용 보장 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다솜학교 이중언어강사 제도 정착과 중도입국청소년,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서울시교육청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최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이해하고,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생태전환교육 중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여 생태전환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태전환교육의 목표 및 내용 요소를 탐색하고,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운영 기관 중 성과공유회에 참여한 운영 규모 상위 6개 기관에서 실시한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을 서울교육정책연구소(2021) 생태전환교육 목표 체계를 활용하여 세 가지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가치와 지향점’영역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고, 다음으로 ‘실천과 행동’영역, ‘기후위기 인식’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기후위기 인식 영역에서는 ‘기온 상승’ 요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생물다양성 감소’, ‘미세먼지’가 그 뒤를 차지했다. 셋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가치와 지향점 영역에서는 ‘미래지향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참여와 실천’, ‘인간과 자연의 조화’가 그 뒤를 차지했다. 넷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실천 행동 영역에서는 ‘나무 심기’ 요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물 절약’, ‘분리배출’이 그 뒤를 차지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생태전환교육의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생태전환교육이 향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내용 영역과 세부 교육내용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내용의 수립과정에서는 지역 내의 기후변화 대응이나 환경 현안을 생활 속에서 탐구하고 기후적응을 위한 생활 실천방법 등에 대한 기초조사활동이 필요하며, 운영 기관 차원에서 지역사회 내의 인적·물적 네트워크 기반 마련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서울시교육청의 생태전환교육 정의에서도 표현하고 있는 생각 행동양식의 총체적 변화를 위해서는 교육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학교, 가정, 지자체와 모두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objective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analyze the content of Focusing on the case of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at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21. The study analyzed the objectives and content element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examined the program details of the top six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sharing session among the operating the case of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when analyzing the 2021 program using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goal framework developed by the Seoul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2021), it was observed that the "Values and Orientation" domain was the most prominently featured, followed by "Practices and Actions" and "Climate Crisis Awareness."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2021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content, the "Temperature Rise" element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domain of climate crisis awareness, followed by "Biodiversity Decline" and "Fine Dust."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2021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content, the "Future-oriented" element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domain of values and orientation, followed by "Participation and Practice" and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Last, in the analysis of the 2021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content, the "Tree Planting" element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domain of practical actions, followed by "Water Conservation" and "Waste Separation." In conclusion, the meaning and goal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should be accurately understood,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goal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s reflected in the defini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should all work together to continue to change the overall behavioral style.

      • 초등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유형화 : 교육내용의 범위를 중심으로

        김시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 their implications. To analyze the program, a standard framework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was developed, with such program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analytical standards. This study is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Four domains analyzing the programs are presented. The first analytical standard is Multicultural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last is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e 'Multicultural Literacy' domain helps the teacher reflect their own cultural ident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specificsof Korean society and the nee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global perspective Second, the '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domain is divided into 2 parts: The first ' Knowledge of General Content ' and the second ' Knowledge of Subject Content'. This includes programs obtaining background knowledge on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 understanding of minorities in Korea and the diversity of Korean society. It also includes Korean language or bilingual education and 'Subject Knowledge' which can connect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e subject.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domain is divided into 'Personality Guidance Ability' and 'Subject Teaching Ability'. The former improves teacher guidance skills, and the latter encompasses the development and use of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s, multicultural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divided into 'Class Observation' and 'Teaching Practice'. 'Class Observation' includes special lectures from practition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al institutes. Based on the four domains above, the programs for each education agency conducted for over 15 hours 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researched. The list is as follows: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2 (JungAng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Gyoenggido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teacher training institutes : 8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Daejeon training institute, Busan trai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Cyber institutes: 3 (Teacherville, Unitel, Hangook training institute) The progra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the Deajeon, Unitel, Seoul, Jeonju, Jeju, Cheongju, and Hangook institutes are focused on multicultural literacy. Of these institutes, multicultural literacy is most focused upon. The institutes that focused most on '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were Daegu and Busan. The institutes with the most emphasis on '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re Gyeonggido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Gongju, and Teacherville. The JungAng Multicultural Center and Gwangju Training Institutes have a good balance of the four analytical standards. Several suggestions stemming from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programs should be refined to increase training density by eliminating irrelevant programs in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Second, most of the institutes are focused on multicultural literacy. The program's emphasis needs to be refocused on the demands of teachers so that teachers include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nd Practice. Finally, the network of instructors in charge of these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and organized to ensure high quality training.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그 내용 범위를 유형화하여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사연수를 분석할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기관별 다문화교사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한 후 영역별 강조점에 따라 연수프로그램을 유형화하였다. 우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할 분석 기준으로 네 가지 영역을 설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첫째, ‘다문화 소양’ 영역,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 영역, 셋째, ‘다문화교육 방법’ 영역과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 실습’영역으로 나누었다. 첫째, 다문화 소양 영역은 교사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반성할 수 있으며,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특수성과 지구적인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이해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 프로그램을 말한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 영역은 일반 내용 지식과 교과 교육 지식으로 나누어 한국 사회의 소수자의 이해와 사회의 다양성을 토대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배경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과 이중언어 교육, 그리고 다문화교육과 교과교육을 연결할 수 있는 지식 측면의 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 방법 영역은 상담 및 생활지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성관련 교수 능력과 다문화교수법, 다문화교육자료, 다문화교육 평가 등을 개발 또는 활용 할 수 있는 교과관련 교수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다문화교육 실습은 학교 현장·다문화 지역사회 현장의 참관 및 실무자의 특강을 포함한 참관 실습과 수업실습으로 나누었다. 위의 네 가지 기준 개념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을 주제로 실시하는 15시간 이상의 직무연수를 실시하는 다문화교육 센터 2 곳(중앙 다문화교육 센터, 경기도 다문화교육 센터), 교육연수원 교원연수 기관 9 곳(공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광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대구교대부설 교육연수원, 대전 교육연수원, 부산 교육연수원, 서울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전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청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과 원격 연수원 3 곳(티처빌, 유니텔, 한국 교원연수원)의 연수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내용 분석법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소양을 강조하는 연수 기관으로는 대전 교육연수원, 유니텔 교육연수원, 서울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전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청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한국 교원연수원으로 그 수가 가장 많았고, 다문화교육 내용을 강조한 연수 기관은 대구 교대 부설 교육연수원과 부산 교육연수원이 있었다. 다문화교육 방법을 강조한 연수 기관으로는 경기 다문화교육센터와 공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그리고 티처빌 교육연수원이 있었다. 또한 분석 기준 네 가지 영역의 시간 분포를 고르게 보이는 곳으로 중앙 다문화교육센터와 광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이 있었다. 이상 다문화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유형화 하면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다문화 연수에 포함되어 있는 다문화교육과 상관없는 프로그램을 제외하여 다문화 연수 프로그램을 정제해야 한다. 둘째, 영역별 유형화에서 가장 많은 기관이 다문화 소양을 중심으로 하는 다문화 연수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들의 수요에 맞춰 다문화교육 내용, 다문화교육 방법, 다문화교육 실습 등 영역별 강조점을 달리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연수를 담당하는 연수 강사진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질 높은 연수를 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박하누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by grasp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swimming education in the third grade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f the total 541 questionnaires collected, 493 items except duplicate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with low validity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x2 test was performed for some variables. The responses to the problems of swimming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together with the questionnaire item analysis of the oper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place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was relatively uniform except for the intramural swimming pool. It was found that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swimming education were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walking, pool shuttle bus, chartered bus, and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vel time (one - way) for swimm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could be a disruption in the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s. Regarding the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swimming education place', 'traffic accident in swimming education', 'financial · administrative suppor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wimming classes were operated by the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In regard to swimming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competence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 and ' Number of students in swimming education ’. The number of annual hours of swimming education was about half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nual, and it was found that other curriculum hours were used for swimming education. In relation to swimming education hour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with 'actual hours of swimming classes' and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 Survival swimming education did not meet the guidelin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a whole in terms of frequency an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hours and frequency' an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Second,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swimming ability. The teacher’s participation method in swimming class wa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that the guidance from outside the water in the pool is appropriate. And it was founded that pool facility expansion is most needed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manual. Third, teachers' perception about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영교육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을 시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으로 3학년 수영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541부 중 중복 응답한 설문지와 타당도가 낮은 설문지를 제외한 49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요소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부 변인에 대해 x²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영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응답은 범주화하여 관련 실태의 설문 문항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장소는 본교 수영장을 제외한 다른 수영장의 비율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수단은 도보, 수영장 셔틀버스, 전세버스, 대중교통 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시간(편도)을 조사한 결과, 다른 과목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여건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수영교육 장소’, ‘수영장 이동 시 안전사고’, ‘재정적·행정적 지원’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수영수업은 대부분 전문수영강사에 의해 수준별 수영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수영교육 지도방법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전문수영강사의 역량 및 태도’와 ‘수영교육의 학생 수’에 대해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수영교육의 시수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시한 시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비율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실제 수영교육을 운영하면서 타 교과 시간이 수영교육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시수와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실제 수영수업의 시수’와 ‘타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생존수영교육은 실시 횟수, 실시 방법 등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생존수영교육 횟수 및 시간’,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생존수영능력 함양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참여 방식은 수영장 내 물 밖에서 임장지도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사항으로 수영장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 지침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A B S T R A C T Effects of Integrated Music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Musical Attitude by Kim, Jin 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Kim, Chang B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on the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Musical Attitud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 1.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1-1.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Singing? 1-2.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Playing an instrument? 1-3.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Expressing your body? 1-4.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Make Music? Question 2.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Musical Attitude? 2-1.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Quest? 2-2.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Expression? 2-3. How do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ffect Children's reflex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50 five-years old children(25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and 25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in S city, Seoul. The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were assigned to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and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a musical activities by Nuri curriculum in music.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16 sessions between September 5th to November 2th, 2 times a week, for 8 weeks.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musical expressive ability of young children, John W. Lorton and Bertha L. Wallet revised 89 questions in 89 areas of listening, singing, instrument handling, rhythm, Kim Kwangja (2004) used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y test tool. This is a musical expression ability measurement test tool composed of 20 items including song expressive ability ability 5 items, musical instrument expressive ability - ability 5 question, body expressing ability ability 5 question, music making expression ability ability 5 question. This test tool was designed to listen to the directive instructed by the teacher and to check the evaluation form of the observer who observed the reaction when the infant reacts. In order to measure musical attitudes, Ahn Jae-shin and Han Ae-hyang (1999) measured the musical attitudes of children by using items related to musical attitude change in the content elements of emotion, expression(2006),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teacher 's observation checklist for the curriculum by Jung Hye-young (2006). This is a musical attitude measurement test tool composed of 5 search items, 15 expressions, and 8 appreciation items. Pre - test and post - test were administered to the infants of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study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SPSS V 20.0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pre -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verifi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 and the post - test result was verifi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 because the homogeneity was secu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integrated musical activity experienc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fter analyzing the pre - test of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musical attitude of young children. Second, after analyzing the post test results of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attitude by comparing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than comparative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 factors of musical expression ability such a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expressing body and making music,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improv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 factors such as search, expression, and impression pre - tes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rated musical activity experience has an effect on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musical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musical attitude of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integrated musical activity program related to this and to actively perform integrated music activities Keywords : Integrated Music Activity Experience, Musical Attitude, Musical Expression Abilit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18. 논 문 요 약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 진 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창 복) 본 연구는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적 음악활동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표현 능력의 하위영역인 ‘노래 부르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표현 능력의 하위영역인 ‘악기 연주하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3.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표현 능력의 하위영역인 ‘신체 표현하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4.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표현 능력의 하위영역인 ‘음악 만들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탐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2.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3. 통합적 음악활동이 음악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감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S구에 소재한 A, B병설유치원을 선정하였으며 A병설유치원의 만 5세 25명을 실험집단으로 배정하고, 교육 환경이 비슷한 인근의 B병설유치원 만 5세 25명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16회기 동안 음악영역 내 통합 활동 즉, 노래 부르기, 신체 표현하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활동과 음악과 다른 영역과의 통합 활동(확장활동)으로 음악활동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와 관련된 음악활동을 각각 진행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으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 측정을 위해서 John W. Lorton과 Bertha L. Wallet가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에서 제시한 89문항의 음악발달검사를 수정 보안한 김광자(2004)의 음악적 표현 능력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다. 이는 음악적 표현 능력의 하위영역인 노래 부르기 5문항, 악기 연주하기 5문항, 신체 표현하기 5문항, 음악 만들기 5문항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음악적 표현 능력 검사 도구이다. 본 검사 도구는 검사자가 유아의 반응을 관찰하여 체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악적 태도 검사를 위해서 안재신과 한애향(1999)이 제시한 음악적 태도 교사용 관찰 체크리스트를 교육과정에 맞추어 정혜영(2006)이 수정 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음악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탐색 5문항, 표현 15문항, 감상 8문항 총 28문항으로 구성된 음악적 태도 검사 도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 가정을 충족하여 모수통계를 사용하였고.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 결과로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어 사후검사를 독립표본 t-검증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음악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음악적 표현 능력의 하위영역인 노래 부르기, 신체 표현하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의 검사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음악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탐색, 표현, 감상의 사전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들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통합적 음악활동의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유아들의 음악적 표현 능력 및 음악적 태도 향상을 돕기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음악적 태도, 음악적 표현 능력, 통합적 음악활동 *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택시 기하를 활용한 초등 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백소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Recently, more gifte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expanded because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placed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building students' future. Students can learn how to think creatively, as well as, expand and develop their knowledge in various school subjects and academic curriculum through gifted education programs. With an increasing demand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my research study intends to examine 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effects. Though, most gifted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re limited and at times, they replicate existing school program topics. 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reated a program, which used new content known as taxi geometry, which encouraged high mathematical creativity for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and evaluated gifted students' reactions and feedback of the program.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 content of the taxi geometry program suitable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Are the program methods of taxi geometry suitable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analysis was done on taxicab geometry theory and mathematical literature creativity. Afterwards, a gifted education program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80 students at th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s a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fifth grade and sixth grade students. Also, in 2015, grade 4 and grade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gifted class at Gabong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Researchers made observations as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researchers also utilized instructional materials including a video taken of the program, student lesson journals, and activity worksheets. Furthermore, they asked students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 program. The researchers classified the data they collected according to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n,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and reactions on students from the programs. Firstly, the taxicab geometry program at the elementary level involves distance in taxicab geometry, taxi polygons, taxi circles, and taxi perpendicular bisectors. In taxicab geometry, the concepts of points and lines are the same in Euclidean geometry. So students were able to draw a line connecting a point at one point and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without difficulty. In addition, because the concepts of polygons are the same in taxicab geometry and Euclidean geometry,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riangles, squares, diamonds, circles and vertical bisectors, which are already a part of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for the taxi geometry concepts, the gifted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and define them because some of the same principles were taught to them in Euclidean geometry. During this program, unlike Euclidean geometry, gifted students explored different shapes and their properties and how interesting these differences were. Secondly, the taxicab geometry program helped gifted students make associations to real-life problems and helped them find solutions to them. And the program directly enhanced students' motivation and drive to learn. Taxicab geometry is not classified as an Euclidean geometry theory. The theory is applied to how a city and its streets appear when taking a taxi cab. So the first activity in the introductory lesson presented in the program tackles urban geography problems related to the real world, such as problems encountered by the locations of a family and the construction of a power plan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tudents. Through these authentic real-life problems, students could better relate to the different scenarios presented in the program and had the opportunity to solve these problems more proactively. Also, to fix the problems introduced in the activity, students built a new facility in the city with the purpose of facilitating efficient movement between distances between buildings using a taxicab plane. Through this activity, students checked and applied their understanding of taxicab geometry. As a result, many of the students were more intrinsically motivated to learn. Thirdly, the taxi geometry program is an effective way to grasp the essence of mathematics and deductive thinking, and it can raise students’ proactive inquiry. In the taxicab geometry program, students observed that when the concept of distance had changed, the shortest distance and appearance and properties of shape were changed. While observing these changes, students gained insight about the fundamentals of mathematics. Som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alized that they can be mathematicians through discovering the significance of mathematics and why it's important to learn. Because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the taxicab geometry program can inspire active exploration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 students. Through the taxicab geometry program,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having fun learning and they discovered mathematical rules and principles from a variety of taxicab situations. Along those lines, students were able to transfer the habits, attitudes, and thinking that they learned through the program to real-life situations such as following directions on a city map. This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nables students to think creatively through math and understand the nature of mathematics. The taxicab geometry program can be expanded to other schools and utilized in many other places in the future. And a variety of different programs on different topics should be developed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 Taxicab geometry, gifted student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 육성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영재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학생들은 영재 교육을 통해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고 교육과정 외의 다양한 지식을 확장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영재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영재 교육 프로그램과 적용 효과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초등수학 영재 프로그램들은 제한적이며 중복적인 주제의 프로그램이 고착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재인 ‘택시 기하’를 활용하여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등수학 영재 교육 대상자에게 적합한 택시 기하를 이용한 초등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초등수학 영재 교육 대상자에게 적합한 택시 기하를 이용한 초등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방법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택시 기하 프로그램에서 초등수학 영재들이 보이는 인지적, 정의적 반응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택시 기하의 이론과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후,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 프로그램을 2015년 서울특별시 남부교육지원청 초등수학 영재교육원 5, 6학년 학생들과 서울개봉초등학교 영재학급 4, 5학년 학생 총 80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자는 수업 과정동안 적극적으로 참여 관찰하며 비디오 촬영과 수업 일지, 활동지,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들을 수학적 창의성의 인지적, 정의적 요소에 따라 분류하고 학생들의 반응과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각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택시 기하 내용 중 초등 수준에 맞는 주제는 택시 거리, 택시 다각형, 택시 원, 택시 수직이등분선이다. 택시 기하는 유클리드 기하와 점, 선의 정의가 같다. 그래서 학생들은 어렵지 않게 한 점에서 한 점을 잇는 선분을 그리고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택시 기하에서 도형들은 유클리드 기하에서의 정의와 같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의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원, 수직이등분선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택시 거리와, 택시 도형, 택시 수직이등분선을 공부하면서 이들의 모습과 성질이 유클리드 기하와 달리 어떻게 다른지 탐구하고, 차이점에 대해 흥미로워하였다. 둘째, 택시 기하 프로그램을 실생활 문제와 연관하거나, 직접 문제를 만들어보는 활동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인다. 택시 기하는 비유클리드 기하 이론 중 하나로, 도시에서 택시를 타고 이동할 때 나타나는 모습을 적용한 수학 이론이다. 그래서 프로그램에서 모든 차시의 첫 번째 활동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가족의 이사위치, 공장의 건설 위치 등 실생활과 관련된 도시 지리학적인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 실생활 문제를 통해 학생들은 문제에 친밀감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문제의 조건을 바꾸어 직접 문제를 만들어 보는 활동에서 학생들은 건물들 간의 효율적인 이동거리를 고려해 택시 평면의 도시 속에 새로운 시설들을 지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택시 기하 이론을 적용하며 자신의 이해를 점검하였고 교사는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었다. 셋째, 택시 기하 프로그램은 수학의 본질을 파악하고 연역적 사고를 기르는 데 효과적이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탐구력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택시 기하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거리의 개념이 바뀌었을 때 익숙했던 선, 도형, 수직이등분 점, 도형의 성질 등이 모두 변하는 것을 관찰한다. 그 관찰 속에서 그동안 알고 있던 수학의 본질을 파악하고 마치 처음 수학을 발견하고 배우는 수학자가 된다. 자연스럽게 택시 기하 프로그램은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고 적극적인 탐구력을 기를 수 있다. 택시 기하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수학 영재 학생들은 택시 기하의 다양한 상황 속에서 수학적 원리와 규칙을 발견하며 즐겁게 학습하였다. 또한 도시 지리학과 관련된 실생활 문제 속에서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이나 태도를 신장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택시 기하 프로그램은 앞으로 다른 많은 곳에서 활용할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주제의 초등수학 영재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주요어: 택시 기하, 수학 영재, 프로그램 개발 * 본 논문은 2016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