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毋岳地域 立地에 관한 風水地理 硏究 : 4개 大學校를 中心으로

        정경애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서울 毋岳地域 立地에 관한 風水地理 硏究 - 4개 大學校를 중심으로 -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 풍수지리전공 정경애 본 연구는 무악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징을 연구하고, 무악지역에 위치하는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의 풍수지리적 분석을 하는데 있다. 풍수지리적 분석을 하는 기준은 첫째로 용세로 용맥의 기복과 위의 및 주산의 수두 여부, 둘째로 국세로 사신사의 발달여부로 이루어지는 보국의 여부와 생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수구가 잘 관쇄되었는지 여부, 셋째로 수세로 수원의 길이 여부와 역수 여부, 넷째로 학교건물의 배치여부, 본관의 위치, 비보여부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무악지역은 안산(鞍山)을 주산으로 하여 노고산, 와우산, 성산으로 환포된 신촌역 지역, 마포로터리 지역, 홍대역 지역이 국세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체로 수원이 짧은 편이며 명당이 작은 편이었다. 그리고 무악지역에 있는 대학교의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악지역에 있는 연구 대상 대학교 모두 안산(鞍山)에서 분기하여 내려온 용맥들로 한북정맥의 기운을 받고 있어 그 용세는 대단히 크다. 그러나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주산은 명당을 향해 수두하고 환포하여 양팔을 벌리고 있으나, 서강대학교와 홍익대학교의 주산은 학교를 향해 수두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가 있는 지역은 사신사가 구비되어 있고, 국세를 이루고 수구도 잘 관쇄되고 있으나,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는 국세를 이루지 못하고 수구 역시 관쇄되지 못하였다. 셋째, 홍익대학교를 제외한 다른 대학은 모두 좌청룡에서 발원하여 우백호 방향으로 흘러 외당수인 한강과는 역수를 이루고 있어 길(吉)하다. 넷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모두 본관건물이 내룡이 입수하여 기맥이 살아 있는 곳에 안산과 내당수와의 관계를 살펴 볼 때 풍수적으로 합법적인 향을 잡아 건립되었다. 서강대학교는 좌청룡, 우백호가 미흡한 부분을 건물을 잘 배치하여 비보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용도의 지역을 선정할 때 어떻게 선정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건물을 어떻게 배치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형태별 미용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홍은정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n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Department of Beauty Art Students by Each School Form - Hong Eun-Jung Dept. of Beauty Art,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entoring function is autonomously used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students but a study on mentoring in the beauty art education sector i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re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by each school form of beauty art department and to contribute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relevant to beauty art by providing a basic data for an effective mentoring.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questionnaire data of total 567 copies by targeting the students of beauty art department of continuing education school,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located at Seoul, Gyeonggi area as survey candidates. In this survey, analyses of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urvey candidates were female students aged below full 19 years old residing in Seoul. By each school form, ratio of continuing education school,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and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was similarly represented and in terms of grade, ratio of 1st grader was represented to be highest and in terms of major, that of hair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observing perception for the major,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ere motivated to select major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hair as they considered future vision of hair to be promising. Subject stu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solve the problem of any insufficient contents in class at private academy or through personal tutoring and they thought beauty art department of college/university is a place where technique of beauty art is practiced in preparation for future occupation and as an objective of majoring in beauty art, an objective of advancing into beauty art-related arts sector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and as a life course after graduation, hair designer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Third, dimension of mentoring function of the beauty art department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two factors including psychosocial function and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s dimension of self-efficacy, it was classified into 3 factors including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As dimension of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lassified into 2 factors including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mentoring function of beauty art department in continuing education school was increased, the more was self-efficacy increased in the order of self-regulation,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and self-confidence and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Fifth, it was also revealed that as mentoring function of beauty art department in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was increased,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rder of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Sixth, it was revealed that as mentoring function of beauty art department in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was increased, self-efficacy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and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rder of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As a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if an appropriate mentoring should be performed by developing a mentoring system of enhancing self-confidence of the students in continuing education school, self-confid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and positive problem handling ability in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such mentoring would be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in the subsequent study, more broad survey area would be selected and more concrete study on what kind of effect mentoring function by individual beauty art major would exert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ould be performed.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형태별 미용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멘토링 기능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미용 교육 분야에서 멘토링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미용학과 학교형태별로 미용전공 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용 인재양성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평생교육원, 2년제, 4년제 대학교의 미용학과 학생들을 예비조사 후 수정 보완하여 총 56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하의 여학생이 대부분이었다. 학교형태별로 평생교육원, 2년제, 4년제 대학교의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학년은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대한 인식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공 선택 동기로는 적성을 고려해서, 전망이 좋다고 생각되는 분야는 헤어를 선택했다. 수업 내용 중 부족한 부분은 학원이나 개인교육을 통해서 해결하고,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에 대한 의견으로는 장래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해 미용기술을 연마하는 곳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미용학을 전공하는 목적은 미용관련 예술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 졸업 후 진로는 헤어디자이너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미용학과 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의 차원은 사회 심리적 기능, 경력 개발 기능의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자기효능감의 차원으로 고난도 과제 선호, 자신감, 자기효능감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학업성취도의 차원은 수업만족, 학습만족의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평생교육원 미용학과의 멘토링 기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감, 고난도 과제 선호, 자신감 순으로 높아지고, 학업성취도는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멘토링 기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고난도 과제 선호, 자신감, 자기조절감 순으로 높아지고, 학업성취도는 수업만족, 학습만족 순으로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4년제 대학교 미용학과의 멘토링 기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고난도 과제 선호, 자기조절감 순으로 높아지고, 학업성취도는 수업만족, 학습만족 순으로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평생교육원은 학생들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멘토링, 2년제 대학은 자신감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멘토링, 4년제 대학교는 능동적 문제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멘토링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절한 멘토링이 이루어 진다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조사 지역을 선정하고, 각각의 미용전공별로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지형지세를 활용한 상권 및 점포입지의 풍수론적 연구 : 서울시내4개 대학상권을 중심으로

        안호형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점포입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같은 금액이면 조금이라도 좋은 상권, 좋은 입지에서 하고자하는 업종을 한다면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업자들이 좋은 상권, 좋은 입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오랜 부동산 경험과 노하우에 풍수지리이론을 접목 시켜 관찰해 보았다. 점포입지는 영업을 준비하는 창업주들에게 가장 중요한 성공과 실패 원인이다. 그래서 창업을 하는 업주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본 논문을 연구하고 작성하게 되었다. 서울시내4개 대학상권을 중심으로 지형지세가 점포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현실에 맞게 비교 분석하고 풍수론 적 연구를 통하여 접근한다면 점포입지분석 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상권 배후지라 할 수 있는 대학교 4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A권역은 배후지 주변, B권역은 배후지에서 지하철역 및 다른 배후지 사이, C권역은 지하철역 주변 및 배후지가 연결되는 곳으로 정하고 점포 두 곳을 선정하여 점포이력과 추정매출액을 인터넷 사이트 BC카드(스토아스토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권정보시스템 등을 참조하고, 관찰대상점포를 방문해 지형지세 중 물길을 중심으로 주변을 확인하고 점포내역도 확인하였다. 쾌적성을 추구하는 주택풍수와 고객의 마음을 움직여서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상가풍수는 서로 입지조건이 다름을 연구하였다. 주택풍수는 배산임수와 타고 들어오는 맥이 중요하고 물이 굽이굽이 집을 향해 다가오면 좋으며 주산이 봉긋하면 더욱 좋게 본다. 하지만 상가풍수는 지형지세 중 배후지인 사격과 도로인 물길의 형태가 중요한데, 주거지는 물길에 위치하면 소음과 위험성으로 쾌적성을 잃어버리지만 점포입지는 물인 고객이 물길을 따라 도로를 따라 차량과 도보로 이동하기에 물길과 접해있어야 했다. 상권은 와혈인 소쿠리모양의 지형 안에 점포가 입지해 있느냐가 중요하였다. 물이 고이고 서서히 빠져 나가 듯이 사람이 모이고 고객이 되었다. 평지이거나 점포입구로 경사가 있는 점포는 고객이 편안하게 이용을 하면서 영업이 잘 되었다. 반면에 경사가 있는 점포는 물이 빠르게 흐르듯이 유동인구의 속도가 빨라 영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폭이 넓은 도로는 물인 사람이 차량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거나 도보로 빠르게 이동을 했고, 넓은 도로를 경계로 양쪽에 동일 경쟁점포가 있을 때 비록 횡단보도가 있다 하더라도 적은수의 고객이 건너편으로 건너가서 점포를 이용했다. 지상으로 지나가는 철길과 같이 넓은 도로가 상권단절요인을 만들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배후지 인구의 규모와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을 통한 유입인구의 수는 유동인구의 수를 결정했고 유동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비율은 상권의 크기를 결정했다. 점포입구는 물길의 형태에 의해서 달랐다. 도로가 평지이거나 입구 쪽으로 경사가 살짝 있는 점포는 점포이력이 복잡하지 않았고 매출액이 대부분 높았다. 하지만 도로가 경사가 있거나 입구 반대쪽으로 경사가 조금 있고 안으로 들어간 경우의 점포는 점포이력이 복잡하고 매출액이 대부분 낮았다. 대부분의 점포가 업종에 맞는 적절한 평수를 찾아서 평수는 적당했다. 주택입지와는 다르게 상가입지에서 배산임수는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고 물길과 접해있는 점포는 방향도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았다. 경쟁업체의 유무는 점포이력과 매출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권리금과 임대료가 높거나 낮은 점포는 이러한 요인에 의해서 거의 대부분 결정이 되었다. 지형지세가 점포입지분석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항목임을 보여주고 있음을 연구 하였다. 따라서 점포입지분석 시에 풍수지리이론을 적극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입지선정으로 창업자는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ermining the store location, the type of business opened in a good trade area and in a good location if possible could minimize its failure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ren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to long experiences and knowhow about real property to assist business founders in determining a good trade area or a good location. The store location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failure and success for business founders in preparing their operations. So this study came to investigate a Feng-shui study of the trade area and store location using geographical features in order to help business found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elect and survey four colleges of trade-area hinterlands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an attemp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geographical features on the store location with a focus on four college trade areas in Seoul to fit the reality and to approach it through Feng-shui theoretical study c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store location analysis. The 'A' area was set as around the hinterland, the 'B' area was set as between the subway station and the hinterland and the 'C' area was set as the place connected between the place around the subway station and the hinterland. And two stores was selected. To find out their store history and estimated sal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ult the Internet website BC Card(store story) and the trade area information system of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SEMAS), visit the store subject to observation, check its perimeter with a focus on the water route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check the store histor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ational condition between housing Feng-shui pursuing comfortableness and store Feng-shui moving the customer's mind and pursuing profits. In case of the housing Feng-shui, the housing site, which is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and towards which water comes meanderingly, is considered to be good and to be better if the main mountain is gently high. But in case of store Feng-shui, Sageok corresponding to the hinterland and the form of water route corresponding to the road, geographical features, are important, but if a place of residence is located on the water route, it comes to lose comfortableness due to noise and riskiness. But the store should border on the water route as the customers corresponding to water, and the traffic moves along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water route and along the sidewalks. In relation to the trade area, whether or not the store is located in the basket-shaped terrain, the external point, is important. People come along and become customers as water stagnates and then slowly flows out. On the other hand, the store located on the slope has difficulty in operation because of the rapid speed of the floating population as water flows rapidly on the slope. On the road of large width, people corresponding to water have moved by car at a faster velocity or on the sidewalks. And when the competitive stores engaged in the identical business are located on both sides with the wide road as the boundary, a small number of customers have crossed to the other side and used the store though there is the crossing. The broad road like the railroad passing underground was found to make the factor of cutting off the trade area. The size of the hinterland population nd the number of the incoming population through bus stops and subway determined the number of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percentage of the floating population by gender and by age determined the size of the trade area. The store lease varied according to the form of water route.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on the flat land or towards which the small slope exists, has the uncomplicated history and high sales for the most part. But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sloped and the opposite side of whose entrance is uncomplicated, has high sales for the most part. But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a little sloped or towards the opposite side of whose entrance there is the slope and which is located inside, has the complicate history and low sales for the most part. Most of the stores have the floor space suited to the type of business. In case of the store location, unlike the housing location, being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is not greatly important, and in case of the store bordering on the water route, the direction has an effect on sales. The store whose goodwill and rent are high or low is almost determined by this factor. If was found that geographical features, topography, are the item of high weight in store location analysis. Accordingly, the active use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store location analysis could enable business founders to minimize their business failure through efficient location selection.

      •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다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경대학교 재학 중인 4년제, 평생교육원(4년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여성 417명, 남성 33명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190명, 3학년 129명, 4학년 99명, 1학년 32명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유형은 4년제 238명, 평생교육원(학점은행제) 212명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 164명, 메이크업 159명, 피부 85명, 네일 4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 시 고려사항은 직업이나 흥미 361명, 학과 인기도나 취업전망 58명, 성적 및 입학점수와 주변의 권유가 각 14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실기능력성취와 이해능력성취 향상을 위해서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정서적요인, 행동적요인, 지적요인, 변화적요인 향상을 위해서는 인지몰입, 행위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성취능력이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정서적요인, 행동적요인, 지적요인, 변화적요인 향상을 위해서는 실기능력성취, 이해능력성취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이 미용 활동 중 몰입을 통해 미용성취능력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용전공대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미용 활동에 몰입하게 되고 다양한 기량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몰입경험과 미용성취능력, 전공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용전공 활동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단순한 만족도 뿐 아니라 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미용 교육 시장에서 학생들의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을 넘어 이후의 진로결정에 몰입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실용음악전공 학생의 전공 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웅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대사회는 대중문화예술분야가 사회문화 분야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경제까지도 거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k-pop의 열풍은 문화전파효과를 넘어서 매우 긍정적인 외교효과, 경제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 많은 대학들에서 전문적인 대중음악인을 양성시키고 체계적인 교육을 시키기 위해 실용음악과 관련한 학과를 설치하였으며, 해마다 입시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은 학과를 실용음악학과의 보컬전공이 차지하고 있다. 실용음악전공에 대한 예비대학생들의 관심과 기대가 높은 만큼 대학 입학에서의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하고 전공으로 선택하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높은 경쟁률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이후 이들이 얼마나 향후 직업과 관련한 진로준비를 얼마나 하고 있는지는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용음악 전공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고 이들이 대학 졸업 이후 기능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 이들에 대한 세부적인 진로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결정한 대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이들의 진로준비행동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실용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진로준비를 도우며, 이들의 기대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대학 졸업 이후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진로지도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설정하였다. 독립변인은 성별, 학년별, 전공별, 전공결정시기이며 종속변인은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5가지가 변인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세 가지로 나누어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독립변인인 성별, 학년별, 전공별, 전공결정시기에 따라 종속변인인 실용음악전공생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가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것이다. 둘째, 실용음악전공생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자가 설정한 구조모형이 적합한지를 보는 것이다. 연구자의 설정한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는 이러하다. 전공만족도는 우선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인으로 보았다. 그래서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용음악전공생의 대학진학여부를 조절변인으로 놓고 고등학생 집단과 대학생 집단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및 전북 소재 5개 대학의 실용음악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과 서울 및 대구 소재 5개 실용음악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대학생 총 230명, 고등학생 228명의 총 458건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이중에서 대학생 9건, 고등학생 7건의 자료는 성실하게 응답되지 않은 자료로 자료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대학생 221건, 고등학생 221건으로 총 442건이었다. 실용음악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도구는 전공만족도(21문항), 학습몰입(29문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25문항), 진로준비행동(17문항), 진로성숙도(26문항)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모두 Likert(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의 링크를 발송하여 응답을 수집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설문 별로 항목을 나누어 필수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 패키지 R 3.6.2와 IBM SPSS Statistics 26.0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좋은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고 각 변인의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 확인을 위하여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집단 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test 검정과 ANOVA(아노바)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립하고 모수의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Sobel(소벨) 검정을 이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음악전공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의 성별, 학년별, 전공별, 전공결정시기에 따라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진로성숙도가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전공만족도는 고등학교 1학년보다는 대학교 1학년이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 3학년보다는 대학교 1학년이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이 겪는 상황과도 매우 유사한데, 실용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어려운 입시관문을 통과하여 최고의 목표치를 달성한 이후 가장 전공만족도가 높으며, 이후 대학 시기를 거치면서 재능에 대한 현실적 자각, 무한경쟁, 구직에 대한 현실적 자각 등으로 인하여 자신의 전공에 대해 재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는 없었으며 그 수준이 같았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에 있어서 여학생과 남학생의 차이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대외적 활동의 제약이나 소속감의 제약, 악기나 장비의 사용과 연습 등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실용음악 전공의 만족도가 남녀가 가지는 생물학적 특성에 의한 불가피한 제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문의 발전에 있어 긍정적인 측면으로 볼 수가 있다. 그러나 진로성숙도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진로성숙도 보다 남성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진로계획 및 직업세계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낸다(Super, 1990). 이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탐색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되는 것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학년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는데, 고등학교 3학년이 대학교 3학년보다 진로준비행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음악전공생들은 입시에 대한 경쟁률이 다른 어떤 전공보다 높은 만큼 대학입시까지가 진로준비가 최고조에 다르고, 대학 입학 이후 오히려 진로준비행동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현실을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 자신의 한계, 구직에의 어려움, 직업에 대한 현실적 자각 등으로 대학교 상위학년으로 갈수록 진로이탈이나 진로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이번 조사에서도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에서의 진로지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연구자가 실제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을 지도하면서도 그 필요성과 그리고 실용음악전공생들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된 진로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학년은 진로성숙도에도 역시 영향을 미쳤는데, 대학교 1학년이 고등학교 1학년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별로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공의 차이는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결정 시기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공 결정 시기는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음악전공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의 가설적 연구모형은 지지되었는데, 전공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직접효과를 가지며,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살펴본 결과,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나서 대학진학여부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In modern society, pop culture and arts have enormous influence not only in social and cultural fields but also in politics, diplomacy, and the economy. The global craze for K-pop has gone beyond the cultural propagation effect to create a very positive diplomatic and economic effect. Currently, man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departments related to practical music to train professional pop musician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nd vocal majors in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take up the most competitive department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every year. As prospective college students have high interest and expectations in practical music majors,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are choosing their majors despite the high competition rate in college admission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how much they are preparing for their future careers after entering college through high competition rates. Nevertheless, competition for practical music majors is fierce and detailed career programs are essential for them to grow up as functional members of society after colleg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career decisions for colleg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decided t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ee how thei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ffer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prepare for their careers, prepare courses that meet their expectations, and provide career guidance that can affect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Accordingly, in this study,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Independent spokesmen are gender, grade, major, and major decision period. The five subordinate variables were set up as variables: satisfaction level of major,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In this study, a total of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major, and major decision-making period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satisfaction level of practical music majors,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will be different. Second, it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and see if the structural model set by the researcher is appropriate. This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established variable of the researcher. First of all,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jors is expect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And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seen as parameters. Therefore,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through the medium effect of study immersion, and also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through the medium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Finally, we put the university entrance status of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s a control variable and looked at whethe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were different. To solve such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Jeonbuk, and students enrolled in five practical music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nd Daegu. A total of 458 cases of data from 230 college students and 228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mong them, nine cas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even case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excluded from the data analysis because they were not faithfully answered. The data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21 for college students and 221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 total of 442 cases. The survey t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us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atisfaction level (21 questions), immersion (29 question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25 questions), career preparation (17 questions), and career proficiency (26 questions), all consisting of a scale of five point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 which collects responses by sending links to online questionnaires, and the required responses were divided into sections for each survey. Data analysis used statistical packages R 3.6.2 and IBM SPSS Statistics 26.0. In order to make the data a good form to analyze, data preprocessing was performed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lower factors of each variable. The t-test and ANOVA (Anova) tests were performed to test the group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the significance of parameters was tested, and the significance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as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showed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ender of career preparation, grade, major, and major decision tim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ajor was found to be higher for first-year college students than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first-year college student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ajor was higher than for third-year students. This is very similar to the current situation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who a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ir major since they passed difficult entrance exams and achieved the highest goal, and later went through college to re-recognize their major due to realistic awareness of talent, unlimited competition, and realistic awareness of job opening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ficiency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level was the same. This means that there is no longer a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in practical music majors, a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use and practice of musical instruments or equipment, as analyzed in prior research. This result means that satisfaction in the major of practical music is not affected by the inevitable constraints of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which can be seen as a positiv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earning.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career advancement, and men's career advancement was higher than women's career advancement. It turns out that boys have higher levels of career proficiency than girls, indicating that boys are more realistic about career planning and the world of work than girls (Super, 1990). This result has a similar context to that reported in the preceding study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an female students. The grade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high school seniors having hig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ores than college seniors. As the competition rate for entrance exams is higher than any other major,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end to prepare for their careers at their peak until college entrance,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nds to decrease after entering university, which reflects the reality very well. The survey also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s senior year, due to his limitations, difficulty in finding a job, and realistic awareness of a job, the harder it is to get away from or prepare for a career. Therefore, there is much to suggest how important a career path in college is. This suggests that researchers need to guid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but also need customized career maps for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e school year also affected career proficiency, with university freshmen showing higher career proficiency than high school freshmen. According to a study of the impact on each variable by major, the difference in major does not affect major satisfaction,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ficiency.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variable according to the period of major decision, it was found that the timing of major decision does not affect major satisfaction,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oficiency. The researcher's hypothetical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is support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major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and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The mediated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s been confirmed. The study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s control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ing that college entrance was acting as a control variable.

      • 방과후학교 음악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배진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의 방과후학교 교육은 1995년 교육개혁안 이후 “특기·적성교육활동 활성화”를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러 공교육강화를 위한 질적 성장을 목표로 부처별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대학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방과후학교의 내실화를 도모하고자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수요자중심으로 운영되어지는 방과후학교는 그 특성상 학생 및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이 단위학교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대학들은 짧은 방과후학교 교육경험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비교적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및 공급하고 있었다. 2012년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학교 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으로 현재 총 49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그중 서울권역은 8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가 교과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분야 교육도 실시하고 있었다. 서울권역 (예비)사회적기업 중 음악으로 특화되어 운영되는 기업은 서경대학교·(사)서경뮤직스쿨과 이화여자대학교·(사)챔스 단 2곳으로 파악되며, 음악특화 운영을 목적으로 음악관련 교육과정으로 개설 및 운영하고 있어 대학의 전문성과 특성화를 모두 반영하여 단일과목으로 특화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서경뮤직스쿨은 유일하게 기악을 통한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교육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이는 음악분야로 특화하여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대학 중 유일하게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 교육운영으로 특화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주요요인 중 학생의 경우 1명이 2가지 이상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받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확장과 장기적인 교육시행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 졌다. 교원의 경우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에 위탁을 통해 업무경감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오케스트라교육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전문기관이라는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앙상블, 합창 등의 협동수업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수업을 개설해 장기적인 교육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활동이 가능한 우수강사를 육성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물론 교육부 지자체, 대학 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속적인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이 미용대학의 학습효과와 취업능력향상에 미치는영향

        송지혜 서경대학교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23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이 미용대학의 학습효과와 취업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4년제 대학의 교육목적은 연구 활동을 통하여 끊임없이 지식을 창조하고, 새로운 기술을 생성해 내는 핵심적 역할로서, 인격을 도야하고,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며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한다(고등교육법 제 28조)는데 있다. 미용대학의 교육은 ‘전문미용인력 양성’을 위해 철저한 현장중심의 교육체계 도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교수법의 개발, 미용교육교제 개발, 학습자 중심의 교과과정 개선 및 전공세분화의 특화교육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학과명에 따른 교과과정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으며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여 최근 한국의 몇몇 대학들이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학과를 소지한 대학들과 공동 학위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고등교육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의 두드러진 차이로는 학습기술(Study skills)과 자기개발계획(Personal Development Plan:PDP) 교과목의 유⦁무인데 영국은 이 두 과정을 대학에서 학생들이 선택적 혹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 영국의 대학에서 실행하는 학습훈련과 자기개발계획 과목이 학습효과 향상과 취업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을 분석하고자 한국의 학사학위과정에 해당하는 피부미용교과과정을 소지한 학교 25곳 중 12곳과 영국의 학사학위과정에 해당하는 Beauty therapy관련 대학 3곳을 임의 선정하여 교과과정을 비교하였다.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 분석은 학교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요람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영국의 Bradford college에서 학습기술(Study skills)과 자기개발계획(Personal Development Plan:PDP)과정을 학습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1일부터 6월 20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하여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동의한 사람들에게 실시하였고 학습전략, 학습동기, 자아실현,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가 성적향상과 취업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에게 설문 목적을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였고 총 210부를 회수하였다. 셋째, 영국교수 5인과의 면담을 통하여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이 학생들에게 주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인터뷰의 질의내용은 녹취와 기록과정으로 정리되었으며 E-mail을 통하여 면담대상자들의 의견이 정확히 기술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교과과정 비교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은 피부미용관련 교과목의 다양성, business관련 과목의 비중,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과정의 유∙무 차이로 정리해 볼 수 있다. 한국은 다양한 피부미용관련 교과목이 이론과 실기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영국은 Business과정이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과정이 학습효과와 취업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의 공통분모로 잠재변수인 학습전략, 학습동기, 자아실현,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가 학습효과 향상과 취업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학습전략, 자아실현, 자기개발 동기는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하여 취업능력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동기, 목표몰입, 대인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에서 나타나지 않은 유의한 경로를 알아보기 위한 수정모델을 채택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학습동기,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가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하여 취업능력향상에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취업능력현상에는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학습전략, 자아실현, 자기개발 동기는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하여 취업능력향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학습동기,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는 직접적으로 취업능력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개의 잠재변수 중 유일하게 자기개발동기만이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한 취업능력 향상에 간접적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서 자기개발동기의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자기개발 동기는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꾸준한 자기개발과 시대와 유행에 맞춰 변화하는 피부미용 시장의 다변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야하는 피부미용인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자기개발계획과정을 정규교과과정에 포함한다면 학생들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졸업앨범 작품분석 :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준비됐나요” ,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를 중심으로

        김만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졸업앨범 작품분석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최 태 완 음악학과 컨템퍼러리뮤직 전공 김 만 영 본 논문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컨템퍼러리뮤직의 석사 과정동안의 함축·함양된 지식에 대한 역량을 입증하는 논문이다. 수록되어진 3가지 작품에 대한 배경과 의도, 작품의 형식, 선율의 형식, 리듬 형식, 화성 형식을 기술하였다.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3가지 작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석사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작품 가운데 도입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의 입체감을 더하기 위해 감성적 서술 또한 더하여졌으며 리듬, 화성, 멜로디라는 재료와 편곡적 요소가 자연스레 도입됨으로써 작품들을 창작하였고 완성하여 나갔다. 필자는 작품의 대중성을 추구하는 바이기에 억지스럽지 않은 화성과 선율의 자연스러움에 주안점을 두었다. 3가지 작품의 악기편성은 Drum, Bass, Guitar 의 밴드적 구성을 근간으로 하여 장르의 세분화와 음악적 공간감의 부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더하기 위하여 Rhodes Piano, Egg shaker, chime bell 등을 도입하여 편곡의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수록되어진 작품들은 전음계(Diatonic Scale)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에 임하였으며 전위화음(Inversion Chord),차용화음(Modal Interchange)등의 적용, 전조(Key Change) 등의 도입으로 역동성과 편곡의 풍성함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음악인으로의 입장으로써는 우리의 삶 가운데 “음악의 역할이란...”에 대한 고뇌와 “음악은 어떠하여야 하는 가” 에 대한 고뇌 가운데 창작되어진 작품들이며 또한 음악인과 동시에 학도로써 음악의 학문적 객관성과 편곡의 배치에 대한 이유의 타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즉 작품·음악 가운데 모든 배치와 생략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성을 논문을 통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Abstract Interpretation of the Master Thesis Kim Man Young Contemporary of Music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is thesis was written to prove the knowledge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implied during the Contemporary Music master’s course at Seokyeong University. I have included the three works’ background, purpose, structures, melodic form, rhythmic form, and harmonic form. 1. Are You Ready 2. When I Think of You Again 3. My Love as Music to You The thesis is composed of the three pieces above, and the learning content of the master’s course is introduced in the middle. To add the three dimensional effect to the analysis of the three pieces, emotional description has been added as well. The main elements: rhythm, harmony, and melody were introduced naturally and the arrangement helped to create and complete the pieces. Since the writer had sought after the popularity of the pieces, he focused on the naturalness. The instruments played in the three pieces consist of the drums, guitar, and bass guitar which are the basis for the band’s setup. The Rhodes Piano, Egg shaker, and chime bell have been added to express the segmentation of genres, the sense of space, and colorful tone. The pieces contain the Diatonic Scale as the basis, and the Inversion Chord, and Modal Interchange also appear. There are 9th, 11th, 13th notes that apply tension, and a key change that pursue the fullness of dynamics and the arrangement. The writer has written this thesis in the point of view of a musician. The three pieces were composed while thinking about “What is the role of music in our lives,” and “What the music should be?” Furthermore, the writer wanted to argue about the academic objectivity of music, and the logic behind the arrangement placement. In other words, the writer wanted to consider all the arrangements and omissions in all the pieces, and wanted to show the objectivity through this thesis. [국문초록] 졸업앨범 작품분석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최 태 완 음악학과 컨템퍼러리뮤직 전공 김 만 영 본 논문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컨템퍼러리뮤직의 석사 과정동안의 함축·함양된 지식에 대한 역량을 입증하는 논문이다. 수록되어진 3가지 작품에 대한 배경과 의도, 작품의 형식, 선율의 형식, 리듬 형식, 화성 형식을 기술하였다.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3가지 작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석사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작품 가운데 도입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의 입체감을 더하기 위해 감성적 서술 또한 더하여졌으며 리듬, 화성, 멜로디라는 재료와 편곡적 요소가 자연스레 도입됨으로써 작품들을 창작하였고 완성하여 나갔다. 필자는 작품의 대중성을 추구하는 바이기에 억지스럽지 않은 화성과 선율의 자연스러움에 주안점을 두었다. 3가지 작품의 악기편성은 Drum, Bass, Guitar 의 밴드적 구성을 근간으로 하여 장르의 세분화와 음악적 공간감의 부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더하기 위하여 Rhodes Piano, Egg shaker, chime bell 등을 도입하여 편곡의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수록되어진 작품들은 전음계(Diatonic Scale)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에 임하였으며 전위화음(Inversion Chord),차용화음(Modal Interchange)등의 적용, 전조(Key Change) 등의 도입으로 역동성과 편곡의 풍성함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음악인으로의 입장으로써는 우리의 삶 가운데 “음악의 역할이란...”에 대한 고뇌와 “음악은 어떠하여야 하는 가” 에 대한 고뇌 가운데 창작되어진 작품들이며 또한 음악인과 동시에 학도로써 음악의 학문적 객관성과 편곡의 배치에 대한 이유의 타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즉 작품·음악 가운데 모든 배치와 생략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성을 논문을 통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최영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how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influence the career-decision making style,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to become a professional person.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was carried out on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hair, skin esthetic, make-up, nail art) in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April and June 5, 2014, and 332 copies among them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 of analysis. Collected data was used for SPSS 18.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the majority with 309 persons (92.0%), 99 respondents among them were senior students (29.5%), and 235 students (69.9%) respond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beauty art major was ‘because they had interest and aptitude’, implying that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selecting their major. Yet 181 students (53.9%) answered that ‘I did not take an aptitude test upon entering the college’, implying that still there are more colleges that do not administer an aptitude test. Presently, the skin esthetic was taken up by most students as a detailed major, with 181 students (53.9%), followed by majors of Make-Up, Hair, and Nail Art. Most desired field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was opening a personal shop or franchise shop, with 145 respondents (43.2%), followed by working at a hospital,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department store or goods corporation. Sightly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187 students (55.7%), said that they obtained esthetic-related national certificat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factors for values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practicality orientation, emotion-orientation, social-rel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major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cluded satisfaction with subjects, class, relation, and awareness; and factors for career maturity were purposefulness, decisiveness, preparedness,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were rationality, intuitiveness, and dependence. Thir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for values, except for material-oriented and emotion-oriented values; an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maturity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r values. Gratification with major of beauty art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except fo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also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urth,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tudents in upper grades showed higher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and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and students in lower grade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emotion-oriented values. With regard to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material-oriented values and ego realization-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skin esthetic, and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practicality-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hair.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social relation-orientation.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career maturity,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preparedness, and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high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kin aesthetic majors, and students intending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high rationality in decision making.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values, satisfaction with majo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turned out to influence every factor for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maturity, especially the values of ego-realization orientation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fluence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Satisfaction with majors by beauty art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an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is research outcomes are significant in that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rational decision making concerning the caree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impact of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rough this research, a career educational course for the right and accurate career decision-making by beauty art students, as well a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이 전문직업인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로지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04월부터 06월 05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미용전공대학생(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으로 332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여학생이 309명(92.0%)으로 높았으며, 학년은 4학년이 99명(29.5%)으로 나타났고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관심과 적성이 있어서’가 235명(69.9%)로 나타나 학생들이 전공 선택 시,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입학 시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다’가 181명(53.9%)으로 아직 적성검사를 하지 않는 학교가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세부전공은 피부가 178명(5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 헤어, 네일 전공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희망분야는 개인 샵 또는 프랜차이즈 샵이 145명(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 백화점 또는 제품회사의 순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하였다는 187명(55.7%)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요인은 물질지향 가치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실용지향 가치관, 감성지향 가치관, 사회관계지향 가치관,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요인은 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요인은 목적성, 결정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요인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간에는 물질지향, 감성지향가치관을 제외한 모든 가치관 요인과 뚜렷한 상호관련성을 보였으며, 가치관과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가치관과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도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는 수업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에도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학년일수록 사회관계지향, 감성지향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물질지향과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은 피부전공이 높았으며, 사회관계지향과 실용지향 가치관은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은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사회관계지향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헤어·피부 전공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고학년 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나 헤어전공학생이 다른 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준비성을 보였으며,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의 차이는 고학년과 피부 전공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에게서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유형간의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인 것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전공대학생의 바르고 정확한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교육과정 개발과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 직무만족 향상 및 자부심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미용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대학 뮤지컬 전공자의 무용 수업 선호도에 관한 실증 연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손원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23

        Abstract An Empirical Study on Dance Class Preference of College Musical Theater Majors using Conjoint Analysis In musicals, dance has to be various functions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not just to do the action, so the university musical dance education should be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systematic curriculum design through analyzing of each student’s needs in dance classes specialized in college musical major dance class. To this end, The conjoint analysis for analyzing needs of college musical major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dance class types.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dance in musicals, the scenes of musical wor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unction of dance. And the curriculums for musical majors in each university were examined to explore right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The analysis of dance class preferences for musical majors in this study would be an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concrete dance education plans, and be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musical components. First, By the orthogonal design in the conjoint analysis, the attribute and the attribute level of the dance class were made into nine profiles and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m were distributed.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questionnaires which represent the preference for dance classes is the combined class type that is composed of practice & theory, basics: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and assigned & creative choreography class. Second, Estimating the attribute importance and attribute level utility of dance classes, the evaluation method is the highest in attribute importance. practice & theory, basic :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and creative choreography are the highest for the utility of attribute levels. Thi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ttribute importance and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are as follows. For attribute importance by gender, the evaluation method is the highest in men, and the class course is the highest in women.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by gender,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7:3),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and evaluation are higher in men.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and evaluation are higher in women. For attribute importance of each grade, class course is higher in 1st grade, evaluation method is higher in 2nd grade, class content is higher in 3rd grade, evaluation method is higher in 4th grade.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of each grade, In 1st-grade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assigned &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2nd grade,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team task,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3rd grade,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7:3), personal task,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4th grade,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3:7), personal task, assigned &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For attribut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the external dance class, Evaluation method is higher in ‘Yes’ group, and Class course is higher in “No’ group.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of the experience of the external dance class,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Yes’ group, while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7:5), personal tasks, assigned choreography is higher in ‘No’ group. For attribute importance of dance level of respondents, evaluation method is higher in high level, class course is higher in middle level, evaluation method is in low level.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of dance level of respondents, In high level,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assigned &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middle level,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low level,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7:3),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For attribute importance of the number of dance classes per week, In class 1 times a week, evaluation method is higher (30.4%). In class 2 times a week, class course is higher (30.6%). In class 3 times a week, evaluation method is higher (36.8%).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of the number of dance classes per week,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7:3), personal tasks, assigned choreography is higher in class 1 times a week. practice & theory,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class 2 times a week. practice,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in class 3 times a week. Fourth, The analysis values of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class type by the group are as follows. For attribute importance by groups, In Group 1 of 157, it is higher in class course, In Group 2 of 165, it is higher in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is, group 1 is classified as course–oriented type, and group 2 is classified as evaluation-oriented type.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of course–oriented type, practice, basic: choreography (5:5), personal tasks, assigned &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For utilities of attribute levels of evaluation-oriented type, practice, basic: choreography (3:7), personal tasks, creative choreography is higher. Fifth, Simulating of four virtual courses, C-types class has highest point that is based on practice & theory, the ratio of basic to choreography is 5:5, and is to be evaluated personal tasks and creative choreography. These analyses have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oretical educ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art form is needed. Second, a balanced curriculum of basic and practical should be done Third, the task focused on developing individual competencies should be done. Fourth, creative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vement is needed. [국문초록] 대학 뮤지컬 전공자의 무용 수업 선호도에 관한 실증 연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뮤지컬에서 무용의 역할은 단순히 동작을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완성도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기에 대학 뮤지컬 전공 무용 교육은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뮤지컬 전공 무용 수업에 있어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 뮤지컬 전공의 학습자 요구 분석을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여 원하는 수업 유형의 선호도를 조사했다. 또 뮤지컬의 기능에 따른 뮤지컬 작품의 장면을 분석하여 뮤지컬에서 무용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나아가 각 대학의 뮤지컬 전공 무용 수업의 과목을 살펴보고 무용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되는 뮤지컬 전공자들을 위한 무용 수업 선호도 분석은 구체적인 무용 교육 계획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더 나아가 뮤지컬 구성요소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할 것이다. 첫째, 무용 수업의 속성, 속성 수준을 컨조인트 분석의 직교설계를 통해 9개의 프로파일로 만들어 설문 배포하였다. 응답자의 무용 수업 선호도 순서가 작성 된 설문지를 모아 기술 통계 실시한 결과실기 & 이론, 기초:안무 5:5, 개인과제, 지정 & 창작 안무의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 수업의 속성 중요도와 속성 수준 효용을 추정한 결과 속성 중요도는 평가 방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속성 수준의 효용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개인 과제가 창작안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설문 응답자 특성에 따른 속성 중요도, 속성 수준의 효용은 다음과 같다. 성별 속성 중요도는 남자는 평가 방법, 여자는 수업 과정이 높게 나타났다. 속성 수준의 효용에서 남자는 실기&이론 기초:안무 7:3, 개인 과제, 창작 안무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여자는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개인 과제, 창작 안무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 별 속성 중요도는 1학년은 수업 과정, 2학년은 평가 방법, 3학년은 수업 내용, 4학년은 평가 방법에서 높게 나타났다. 속성 수준의 효용은 1학년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개인 과제, 지정&창작 안무높게 나타났다. 2학년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팀별 과제, 창작 안무가 높게 나타났다. 3학년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7:3, 개인 과제, 창작 안무가 높게 나타났다. 4학년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3:7, 개인 과제), 지정&창작 안무가 높게 나타났다. 외부 무용 수업 경험 유무에 따른 속성 중요도는 ‘있다’가 평가방법, ‘없다’가 수업과정에서 가장 높았다. 속성 수준의 효용은 ‘있다’의 경우 실기&이론, 기초:안무5:5, 개인과제, 창작안무9)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없다’의 경우 실기&이론, 기초:안무7:3, 개인과제, 지정안무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용 수준에 따른 속성 중요도는 상인 경우 평가방법, 중인 경우 평가 방법, 하인 경우 수업 과정이 높게 나타났다. 무용 수준에 따른 속성 수준에서 상의 효용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개인과제, 지정&창작 안무로 나타났다. 중의 효용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창작안무, 하의 효용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7:3, 개인과제, 창작 안무 가 높게 나타났다. 주당 무용 수업 횟수에 따른 속성의 중요도는 1회의 경우 평가방법이 30.4%, 2회의 경우 수업과정이 30.6%, 3회의 경우 평가 방법이 3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속성 수준의 효용은 1회의 경우 실기&이론, 기초:안무 7:3 개인 과제, 지정 안무가 높게 나타났다. 2회의 경우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개인 과제, 창작 안무가 높게 나타났다. 3회의 경우 실기, 기초:안무 5:5, 개인 과제, 창작 안무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군집 분석을 하여 군집에 따른 선호 유형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군집1은 157명으로 수업 과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군집 2는 165명으로 평가 방법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군집 1을 과정지향형, 군집 2를 평가지향형으로 분류하였다. ‘과정지향형’의 속성 효용은 실기&이론, 기초:안무 5:5, 개인과제, 지정&창작 안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지향형’은 실기, 기초:안무 3:7, 개인 과제, 창작 안무가 나타났다. 다섯째, 4개의 가상 강좌에 대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실기 & 이론 중심의 기초:안무 5:5에 개인 과제와 창작 안무로 평가 받는 경우인 C타입의 수업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술 형식 이해에 관한 이론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기초와 실제의 균형 있는 수업 과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개인 역량 개발 중심의 과제가 이루어 져야한다. 넷째, 움직임 개발 구성을 위한 창작 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