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울 毋岳地域 立地에 관한 風水地理 硏究 : 4개 大學校를 中心으로
정경애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서울 毋岳地域 立地에 관한 風水地理 硏究 - 4개 大學校를 중심으로 -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 풍수지리전공 정경애 본 연구는 무악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징을 연구하고, 무악지역에 위치하는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의 풍수지리적 분석을 하는데 있다. 풍수지리적 분석을 하는 기준은 첫째로 용세로 용맥의 기복과 위의 및 주산의 수두 여부, 둘째로 국세로 사신사의 발달여부로 이루어지는 보국의 여부와 생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수구가 잘 관쇄되었는지 여부, 셋째로 수세로 수원의 길이 여부와 역수 여부, 넷째로 학교건물의 배치여부, 본관의 위치, 비보여부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무악지역은 안산(鞍山)을 주산으로 하여 노고산, 와우산, 성산으로 환포된 신촌역 지역, 마포로터리 지역, 홍대역 지역이 국세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체로 수원이 짧은 편이며 명당이 작은 편이었다. 그리고 무악지역에 있는 대학교의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악지역에 있는 연구 대상 대학교 모두 안산(鞍山)에서 분기하여 내려온 용맥들로 한북정맥의 기운을 받고 있어 그 용세는 대단히 크다. 그러나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주산은 명당을 향해 수두하고 환포하여 양팔을 벌리고 있으나, 서강대학교와 홍익대학교의 주산은 학교를 향해 수두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가 있는 지역은 사신사가 구비되어 있고, 국세를 이루고 수구도 잘 관쇄되고 있으나,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는 국세를 이루지 못하고 수구 역시 관쇄되지 못하였다. 셋째, 홍익대학교를 제외한 다른 대학은 모두 좌청룡에서 발원하여 우백호 방향으로 흘러 외당수인 한강과는 역수를 이루고 있어 길(吉)하다. 넷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모두 본관건물이 내룡이 입수하여 기맥이 살아 있는 곳에 안산과 내당수와의 관계를 살펴 볼 때 풍수적으로 합법적인 향을 잡아 건립되었다. 서강대학교는 좌청룡, 우백호가 미흡한 부분을 건물을 잘 배치하여 비보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용도의 지역을 선정할 때 어떻게 선정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건물을 어떻게 배치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방과후학교 음악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국내의 방과후학교 교육은 1995년 교육개혁안 이후 “특기·적성교육활동 활성화”를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러 공교육강화를 위한 질적 성장을 목표로 부처별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대학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방과후학교의 내실화를 도모하고자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수요자중심으로 운영되어지는 방과후학교는 그 특성상 학생 및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이 단위학교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대학들은 짧은 방과후학교 교육경험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비교적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및 공급하고 있었다. 2012년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학교 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으로 현재 총 49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그중 서울권역은 8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가 교과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분야 교육도 실시하고 있었다. 서울권역 (예비)사회적기업 중 음악으로 특화되어 운영되는 기업은 서경대학교·(사)서경뮤직스쿨과 이화여자대학교·(사)챔스 단 2곳으로 파악되며, 음악특화 운영을 목적으로 음악관련 교육과정으로 개설 및 운영하고 있어 대학의 전문성과 특성화를 모두 반영하여 단일과목으로 특화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서경뮤직스쿨은 유일하게 기악을 통한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교육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이는 음악분야로 특화하여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대학 중 유일하게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 교육운영으로 특화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주요요인 중 학생의 경우 1명이 2가지 이상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받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확장과 장기적인 교육시행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 졌다. 교원의 경우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에 위탁을 통해 업무경감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오케스트라교육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전문기관이라는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앙상블, 합창 등의 협동수업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수업을 개설해 장기적인 교육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활동이 가능한 우수강사를 육성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물론 교육부 지자체, 대학 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속적인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다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국문요약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경대학교 재학 중인 4년제, 평생교육원(4년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여성 417명, 남성 33명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190명, 3학년 129명, 4학년 99명, 1학년 32명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유형은 4년제 238명, 평생교육원(학점은행제) 212명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 164명, 메이크업 159명, 피부 85명, 네일 4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 시 고려사항은 직업이나 흥미 361명, 학과 인기도나 취업전망 58명, 성적 및 입학점수와 주변의 권유가 각 14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실기능력성취와 이해능력성취 향상을 위해서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정서적요인, 행동적요인, 지적요인, 변화적요인 향상을 위해서는 인지몰입, 행위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성취능력이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정서적요인, 행동적요인, 지적요인, 변화적요인 향상을 위해서는 실기능력성취, 이해능력성취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이 미용 활동 중 몰입을 통해 미용성취능력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용전공대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미용 활동에 몰입하게 되고 다양한 기량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몰입경험과 미용성취능력, 전공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용전공 활동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단순한 만족도 뿐 아니라 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미용 교육 시장에서 학생들의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을 넘어 이후의 진로결정에 몰입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지형지세를 활용한 상권 및 점포입지의 풍수론적 연구 : 서울시내4개 대학상권을 중심으로
안호형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점포입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같은 금액이면 조금이라도 좋은 상권, 좋은 입지에서 하고자하는 업종을 한다면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업자들이 좋은 상권, 좋은 입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오랜 부동산 경험과 노하우에 풍수지리이론을 접목 시켜 관찰해 보았다. 점포입지는 영업을 준비하는 창업주들에게 가장 중요한 성공과 실패 원인이다. 그래서 창업을 하는 업주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본 논문을 연구하고 작성하게 되었다. 서울시내4개 대학상권을 중심으로 지형지세가 점포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현실에 맞게 비교 분석하고 풍수론 적 연구를 통하여 접근한다면 점포입지분석 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상권 배후지라 할 수 있는 대학교 4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A권역은 배후지 주변, B권역은 배후지에서 지하철역 및 다른 배후지 사이, C권역은 지하철역 주변 및 배후지가 연결되는 곳으로 정하고 점포 두 곳을 선정하여 점포이력과 추정매출액을 인터넷 사이트 BC카드(스토아스토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권정보시스템 등을 참조하고, 관찰대상점포를 방문해 지형지세 중 물길을 중심으로 주변을 확인하고 점포내역도 확인하였다. 쾌적성을 추구하는 주택풍수와 고객의 마음을 움직여서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상가풍수는 서로 입지조건이 다름을 연구하였다. 주택풍수는 배산임수와 타고 들어오는 맥이 중요하고 물이 굽이굽이 집을 향해 다가오면 좋으며 주산이 봉긋하면 더욱 좋게 본다. 하지만 상가풍수는 지형지세 중 배후지인 사격과 도로인 물길의 형태가 중요한데, 주거지는 물길에 위치하면 소음과 위험성으로 쾌적성을 잃어버리지만 점포입지는 물인 고객이 물길을 따라 도로를 따라 차량과 도보로 이동하기에 물길과 접해있어야 했다. 상권은 와혈인 소쿠리모양의 지형 안에 점포가 입지해 있느냐가 중요하였다. 물이 고이고 서서히 빠져 나가 듯이 사람이 모이고 고객이 되었다. 평지이거나 점포입구로 경사가 있는 점포는 고객이 편안하게 이용을 하면서 영업이 잘 되었다. 반면에 경사가 있는 점포는 물이 빠르게 흐르듯이 유동인구의 속도가 빨라 영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폭이 넓은 도로는 물인 사람이 차량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거나 도보로 빠르게 이동을 했고, 넓은 도로를 경계로 양쪽에 동일 경쟁점포가 있을 때 비록 횡단보도가 있다 하더라도 적은수의 고객이 건너편으로 건너가서 점포를 이용했다. 지상으로 지나가는 철길과 같이 넓은 도로가 상권단절요인을 만들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배후지 인구의 규모와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을 통한 유입인구의 수는 유동인구의 수를 결정했고 유동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비율은 상권의 크기를 결정했다. 점포입구는 물길의 형태에 의해서 달랐다. 도로가 평지이거나 입구 쪽으로 경사가 살짝 있는 점포는 점포이력이 복잡하지 않았고 매출액이 대부분 높았다. 하지만 도로가 경사가 있거나 입구 반대쪽으로 경사가 조금 있고 안으로 들어간 경우의 점포는 점포이력이 복잡하고 매출액이 대부분 낮았다. 대부분의 점포가 업종에 맞는 적절한 평수를 찾아서 평수는 적당했다. 주택입지와는 다르게 상가입지에서 배산임수는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고 물길과 접해있는 점포는 방향도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았다. 경쟁업체의 유무는 점포이력과 매출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권리금과 임대료가 높거나 낮은 점포는 이러한 요인에 의해서 거의 대부분 결정이 되었다. 지형지세가 점포입지분석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항목임을 보여주고 있음을 연구 하였다. 따라서 점포입지분석 시에 풍수지리이론을 적극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입지선정으로 창업자는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ermining the store location, the type of business opened in a good trade area and in a good location if possible could minimize its failure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ren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to long experiences and knowhow about real property to assist business founders in determining a good trade area or a good location. The store location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failure and success for business founders in preparing their operations. So this study came to investigate a Feng-shui study of the trade area and store location using geographical features in order to help business found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elect and survey four colleges of trade-area hinterlands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an attemp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geographical features on the store location with a focus on four college trade areas in Seoul to fit the reality and to approach it through Feng-shui theoretical study c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store location analysis. The 'A' area was set as around the hinterland, the 'B' area was set as between the subway station and the hinterland and the 'C' area was set as the place connected between the place around the subway station and the hinterland. And two stores was selected. To find out their store history and estimated sal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ult the Internet website BC Card(store story) and the trade area information system of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SEMAS), visit the store subject to observation, check its perimeter with a focus on the water route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check the store histor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ational condition between housing Feng-shui pursuing comfortableness and store Feng-shui moving the customer's mind and pursuing profits. In case of the housing Feng-shui, the housing site, which is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and towards which water comes meanderingly, is considered to be good and to be better if the main mountain is gently high. But in case of store Feng-shui, Sageok corresponding to the hinterland and the form of water route corresponding to the road, geographical features, are important, but if a place of residence is located on the water route, it comes to lose comfortableness due to noise and riskiness. But the store should border on the water route as the customers corresponding to water, and the traffic moves along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water route and along the sidewalks. In relation to the trade area, whether or not the store is located in the basket-shaped terrain, the external point, is important. People come along and become customers as water stagnates and then slowly flows out. On the other hand, the store located on the slope has difficulty in operation because of the rapid speed of the floating population as water flows rapidly on the slope. On the road of large width, people corresponding to water have moved by car at a faster velocity or on the sidewalks. And when the competitive stores engaged in the identical business are located on both sides with the wide road as the boundary, a small number of customers have crossed to the other side and used the store though there is the crossing. The broad road like the railroad passing underground was found to make the factor of cutting off the trade area. The size of the hinterland population nd the number of the incoming population through bus stops and subway determined the number of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percentage of the floating population by gender and by age determined the size of the trade area. The store lease varied according to the form of water route.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on the flat land or towards which the small slope exists, has the uncomplicated history and high sales for the most part. But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sloped and the opposite side of whose entrance is uncomplicated, has high sales for the most part. But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a little sloped or towards the opposite side of whose entrance there is the slope and which is located inside, has the complicate history and low sales for the most part. Most of the stores have the floor space suited to the type of business. In case of the store location, unlike the housing location, being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is not greatly important, and in case of the store bordering on the water route, the direction has an effect on sales. The store whose goodwill and rent are high or low is almost determined by this factor. If was found that geographical features, topography, are the item of high weight in store location analysis. Accordingly, the active use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store location analysis could enable business founders to minimize their business failure through efficient location selection.
실용음악전공 학생의 전공 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웅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현대사회는 대중문화예술분야가 사회문화 분야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경제까지도 거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k-pop의 열풍은 문화전파효과를 넘어서 매우 긍정적인 외교효과, 경제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 많은 대학들에서 전문적인 대중음악인을 양성시키고 체계적인 교육을 시키기 위해 실용음악과 관련한 학과를 설치하였으며, 해마다 입시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은 학과를 실용음악학과의 보컬전공이 차지하고 있다. 실용음악전공에 대한 예비대학생들의 관심과 기대가 높은 만큼 대학 입학에서의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하고 전공으로 선택하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높은 경쟁률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이후 이들이 얼마나 향후 직업과 관련한 진로준비를 얼마나 하고 있는지는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용음악 전공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고 이들이 대학 졸업 이후 기능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 이들에 대한 세부적인 진로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결정한 대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이들의 진로준비행동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실용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진로준비를 도우며, 이들의 기대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대학 졸업 이후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진로지도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설정하였다. 독립변인은 성별, 학년별, 전공별, 전공결정시기이며 종속변인은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5가지가 변인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세 가지로 나누어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독립변인인 성별, 학년별, 전공별, 전공결정시기에 따라 종속변인인 실용음악전공생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가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것이다. 둘째, 실용음악전공생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자가 설정한 구조모형이 적합한지를 보는 것이다. 연구자의 설정한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는 이러하다. 전공만족도는 우선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인으로 보았다. 그래서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용음악전공생의 대학진학여부를 조절변인으로 놓고 고등학생 집단과 대학생 집단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및 전북 소재 5개 대학의 실용음악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과 서울 및 대구 소재 5개 실용음악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대학생 총 230명, 고등학생 228명의 총 458건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이중에서 대학생 9건, 고등학생 7건의 자료는 성실하게 응답되지 않은 자료로 자료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대학생 221건, 고등학생 221건으로 총 442건이었다. 실용음악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도구는 전공만족도(21문항), 학습몰입(29문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25문항), 진로준비행동(17문항), 진로성숙도(26문항)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모두 Likert(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의 링크를 발송하여 응답을 수집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설문 별로 항목을 나누어 필수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 패키지 R 3.6.2와 IBM SPSS Statistics 26.0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좋은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고 각 변인의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 확인을 위하여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집단 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test 검정과 ANOVA(아노바)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립하고 모수의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Sobel(소벨) 검정을 이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음악전공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의 성별, 학년별, 전공별, 전공결정시기에 따라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진로성숙도가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전공만족도는 고등학교 1학년보다는 대학교 1학년이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 3학년보다는 대학교 1학년이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이 겪는 상황과도 매우 유사한데, 실용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어려운 입시관문을 통과하여 최고의 목표치를 달성한 이후 가장 전공만족도가 높으며, 이후 대학 시기를 거치면서 재능에 대한 현실적 자각, 무한경쟁, 구직에 대한 현실적 자각 등으로 인하여 자신의 전공에 대해 재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는 없었으며 그 수준이 같았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에 있어서 여학생과 남학생의 차이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대외적 활동의 제약이나 소속감의 제약, 악기나 장비의 사용과 연습 등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실용음악 전공의 만족도가 남녀가 가지는 생물학적 특성에 의한 불가피한 제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문의 발전에 있어 긍정적인 측면으로 볼 수가 있다. 그러나 진로성숙도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진로성숙도 보다 남성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진로계획 및 직업세계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낸다(Super, 1990). 이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탐색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되는 것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학년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는데, 고등학교 3학년이 대학교 3학년보다 진로준비행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음악전공생들은 입시에 대한 경쟁률이 다른 어떤 전공보다 높은 만큼 대학입시까지가 진로준비가 최고조에 다르고, 대학 입학 이후 오히려 진로준비행동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현실을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 자신의 한계, 구직에의 어려움, 직업에 대한 현실적 자각 등으로 대학교 상위학년으로 갈수록 진로이탈이나 진로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이번 조사에서도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에서의 진로지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연구자가 실제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을 지도하면서도 그 필요성과 그리고 실용음악전공생들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된 진로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학년은 진로성숙도에도 역시 영향을 미쳤는데, 대학교 1학년이 고등학교 1학년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별로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공의 차이는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결정 시기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공 결정 시기는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음악전공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의 가설적 연구모형은 지지되었는데, 전공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직접효과를 가지며,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살펴본 결과,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나서 대학진학여부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In modern society, pop culture and arts have enormous influence not only in social and cultural fields but also in politics, diplomacy, and the economy. The global craze for K-pop has gone beyond the cultural propagation effect to create a very positive diplomatic and economic effect. Currently, man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departments related to practical music to train professional pop musician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nd vocal majors in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take up the most competitive department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every year. As prospective college students have high interest and expectations in practical music majors,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are choosing their majors despite the high competition rate in college admission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how much they are preparing for their future careers after entering college through high competition rates. Nevertheless, competition for practical music majors is fierce and detailed career programs are essential for them to grow up as functional members of society after colleg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career decisions for colleg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decided t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ee how thei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ffer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prepare for their careers, prepare courses that meet their expectations, and provide career guidance that can affect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Accordingly, in this study,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Independent spokesmen are gender, grade, major, and major decision period. The five subordinate variables were set up as variables: satisfaction level of major,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In this study, a total of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major, and major decision-making period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satisfaction level of practical music majors,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will be different. Second, it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and see if the structural model set by the researcher is appropriate. This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established variable of the researcher. First of all,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jors is expect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And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seen as parameters. Therefore,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through the medium effect of study immersion, and also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through the medium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Finally, we put the university entrance status of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s a control variable and looked at whethe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were different. To solve such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Jeonbuk, and students enrolled in five practical music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nd Daegu. A total of 458 cases of data from 230 college students and 228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mong them, nine cas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even case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excluded from the data analysis because they were not faithfully answered. The data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21 for college students and 221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 total of 442 cases. The survey t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us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atisfaction level (21 questions), immersion (29 question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25 questions), career preparation (17 questions), and career proficiency (26 questions), all consisting of a scale of five point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 which collects responses by sending links to online questionnaires, and the required responses were divided into sections for each survey. Data analysis used statistical packages R 3.6.2 and IBM SPSS Statistics 26.0. In order to make the data a good form to analyze, data preprocessing was performed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lower factors of each variable. The t-test and ANOVA (Anova) tests were performed to test the group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the significance of parameters was tested, and the significance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as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showed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ender of career preparation, grade, major, and major decision tim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ajor was found to be higher for first-year college students than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first-year college student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ajor was higher than for third-year students. This is very similar to the current situation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who a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ir major since they passed difficult entrance exams and achieved the highest goal, and later went through college to re-recognize their major due to realistic awareness of talent, unlimited competition, and realistic awareness of job opening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ficiency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level was the same. This means that there is no longer a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in practical music majors, a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use and practice of musical instruments or equipment, as analyzed in prior research. This result means that satisfaction in the major of practical music is not affected by the inevitable constraints of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which can be seen as a positiv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earning.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career advancement, and men's career advancement was higher than women's career advancement. It turns out that boys have higher levels of career proficiency than girls, indicating that boys are more realistic about career planning and the world of work than girls (Super, 1990). This result has a similar context to that reported in the preceding study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an female students. The grade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high school seniors having hig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ores than college seniors. As the competition rate for entrance exams is higher than any other major,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end to prepare for their careers at their peak until college entrance,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nds to decrease after entering university, which reflects the reality very well. The survey also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s senior year, due to his limitations, difficulty in finding a job, and realistic awareness of a job, the harder it is to get away from or prepare for a career. Therefore, there is much to suggest how important a career path in college is. This suggests that researchers need to guid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but also need customized career maps for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e school year also affected career proficiency, with university freshmen showing higher career proficiency than high school freshmen. According to a study of the impact on each variable by major, the difference in major does not affect major satisfaction,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ficiency.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variable according to the period of major decision, it was found that the timing of major decision does not affect major satisfaction, immersion in learning,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oficiency. The researcher's hypothetical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is support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major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and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oficienc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ectiveness. The mediated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s been confirmed. The study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s control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ing that college entrance was acting as a control variable.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형태별 미용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ABSTRACT An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Department of Beauty Art Students by Each School Form - Hong Eun-Jung Dept. of Beauty Art,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entoring function is autonomously used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students but a study on mentoring in the beauty art education sector i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re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by each school form of beauty art department and to contribute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relevant to beauty art by providing a basic data for an effective mentoring.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questionnaire data of total 567 copies by targeting the students of beauty art department of continuing education school,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located at Seoul, Gyeonggi area as survey candidates. In this survey, analyses of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urvey candidates were female students aged below full 19 years old residing in Seoul. By each school form, ratio of continuing education school,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and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was similarly represented and in terms of grade, ratio of 1st grader was represented to be highest and in terms of major, that of hair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observing perception for the major,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ere motivated to select major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hair as they considered future vision of hair to be promising. Subject stu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solve the problem of any insufficient contents in class at private academy or through personal tutoring and they thought beauty art department of college/university is a place where technique of beauty art is practiced in preparation for future occupation and as an objective of majoring in beauty art, an objective of advancing into beauty art-related arts sector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and as a life course after graduation, hair designer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Third, dimension of mentoring function of the beauty art department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two factors including psychosocial function and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s dimension of self-efficacy, it was classified into 3 factors including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As dimension of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lassified into 2 factors including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mentoring function of beauty art department in continuing education school was increased, the more was self-efficacy increased in the order of self-regulation,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and self-confidence and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Fifth, it was also revealed that as mentoring function of beauty art department in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was increased,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rder of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Sixth, it was revealed that as mentoring function of beauty art department in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was increased, self-efficacy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preference to task of high level and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rder of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As a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if an appropriate mentoring should be performed by developing a mentoring system of enhancing self-confidence of the students in continuing education school, self-confid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college of 2-year education system and positive problem handling ability in university of 4-year education system, such mentoring would be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in the subsequent study, more broad survey area would be selected and more concrete study on what kind of effect mentoring function by individual beauty art major would exert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ould be performed.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형태별 미용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멘토링 기능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미용 교육 분야에서 멘토링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미용학과 학교형태별로 미용전공 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용 인재양성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평생교육원, 2년제, 4년제 대학교의 미용학과 학생들을 예비조사 후 수정 보완하여 총 56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하의 여학생이 대부분이었다. 학교형태별로 평생교육원, 2년제, 4년제 대학교의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학년은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대한 인식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공 선택 동기로는 적성을 고려해서, 전망이 좋다고 생각되는 분야는 헤어를 선택했다. 수업 내용 중 부족한 부분은 학원이나 개인교육을 통해서 해결하고,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에 대한 의견으로는 장래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해 미용기술을 연마하는 곳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미용학을 전공하는 목적은 미용관련 예술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 졸업 후 진로는 헤어디자이너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미용학과 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의 차원은 사회 심리적 기능, 경력 개발 기능의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자기효능감의 차원으로 고난도 과제 선호, 자신감, 자기효능감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학업성취도의 차원은 수업만족, 학습만족의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평생교육원 미용학과의 멘토링 기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감, 고난도 과제 선호, 자신감 순으로 높아지고, 학업성취도는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멘토링 기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고난도 과제 선호, 자신감, 자기조절감 순으로 높아지고, 학업성취도는 수업만족, 학습만족 순으로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4년제 대학교 미용학과의 멘토링 기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고난도 과제 선호, 자기조절감 순으로 높아지고, 학업성취도는 수업만족, 학습만족 순으로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습만족, 수업만족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평생교육원은 학생들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멘토링, 2년제 대학은 자신감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멘토링, 4년제 대학교는 능동적 문제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멘토링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절한 멘토링이 이루어 진다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조사 지역을 선정하고, 각각의 미용전공별로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지우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2023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실용음악학과는 일반 대학 73개, 사이버 대학교 6개, 콘서바토리(예술교육원) 14개에 달한다. 개설된 실용음악학과에서 높은 입시 경쟁률을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 특히 수도권 내의 실용음악학과의 경쟁률이 꾸준히 높은 수치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대중음악인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실용음악 교육을 위해 높은 입시 경쟁률에도 실용음악학과 대학 진학을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 수많은 k-pop 그룹이 계속해서 활발한 해외 활동을 이어나가며 영향력을 확장시켜 긍정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실용음악학과 진학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용음악 전공의 높은 선호도에 비해 진학 이후 진로 준비 교육 과정과 관련하여 소홀한 부분이 있어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 스스로 본인이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요건을 준비하고, 차별화된 자신만의 전략과 계획을 바탕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파악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용음악학과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분석하여 전공생들을 위한 전공 교육 과정의 발전과 진로 프로그램 개발을 돕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용음악학과에 현재 재학 중인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에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URL을 제공하여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주요변수들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을 살펴보았으며,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 Model4를 활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은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전공몰입 또한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모든 변인은 서로 정적인 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이 성별, 학년별, 전공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년과 전공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는 모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진로준비행동에서 다른 분류보다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성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 대해 하위요인을 자세하게 분석해보면 특히 목표달성활동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수집활동에 있어서도 실용음악 전공 남자 대학생이 더 높은 수치를 보이며 여자 대학생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몰입도는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매개변인인 전공몰입이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공몰입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공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는 결과는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이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진로를 준비하고 탐색하는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진로 상담 시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전공몰입과 전공에 대한 애착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실기 활동을 지향하는 프로그램이 활용된다면 진로준비행동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실용음악 전공생의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적극적인 수업 활동 참여를 통해 전공학습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진로 결정과 관련 있는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도우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s of 2023, there are a total of 73 practical music departments in general universities, 6 in cyber universities, and 14 in conservatories (art education institutes) nationwide. High competition rates were observed in the established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ularly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 aspiring to become popular musicians are preparing for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despite the high competition rates, to recei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practical music. Furthermore, the continuous active overseas activities of numerous K-pop groups are expanding their influence, which is expected to sustain the interest in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focus on career prepar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cesses after students enter practical music programs, despite the high preference for practical music maj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identifying this ga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is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major education programs and career programs for practical music students, based on their strategies and plans.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 total of 170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rough a provided URL. Descriptive statistics was examined for the major variables and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was used. Bootstrap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major engag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all variabl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exhibited positive associations.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evel, and major,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variables. Although grade level and maj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gender-based difference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observed in goal achievement activities. Additionally, mal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ird,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jor engagement, and major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major engagement. Recogniz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during career counseling and implementing systematic educational processe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enhance major engagement and attachment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ne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is research aims to assist in enhancing students' confidence in successfully resolving tasks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s. This can be achieved by actively and systematically engaging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ring their university studies, participating in active class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heir confidence. As of 2023, there are a total of 73 practical music departments in general universities, 6 in cyber universities, and 14 in conservatories (art education institutes) nationwide. High competition rates were observed in the established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ularly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 aspiring to become popular musicians are preparing for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despite the high competition rates, to recei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practical music. Furthermore, the continuous active overseas activities of numerous K-pop groups are expanding their influence, which is expected to sustain the interest in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focus on career prepar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cesses after students enter practical music programs, despite the high preference for practical music maj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identifying this ga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is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major education programs and career programs for practical music students, based on their strategies and plans.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 total of 170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rough a provided URL. Descriptive statistics was examined for the major variables and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was used. Bootstrap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major engag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all variabl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exhibited positive associations.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evel, and major,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variables. Although grade level and maj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gender-based difference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observed in goal achievement activities. Additionally, mal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ird,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jor engagement, and major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major engagement. Recogniz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during career counseling and implementing systematic educational processe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enhance major engagement and attachment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majors, this research proposes and aims to assist in enhancing students' confidence in successfully resolving tasks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s. This can be achieved by actively and systematically engaging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ring their university studies, participating in active class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heir confide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미용전공 대학생의 마인드셋이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매개효과
도민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박사
Unlike general education, beauty majors are not a process of naturally acquiring new knowledge, but a process that requires active knowledge acquisition. In order to prepare for career and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acquire skills through long-term practical education.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how to manage psychological factors in this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ducational direction for achieving long-term goals and to provide academic data for career counseling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set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on learning flow,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empirical research, 43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men, junior colleges, first graders, and hair major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 most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was in the beauty industry (salons). Second, when examining the dimensions of variables, mindset was extracted as two factors: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learning flow was extracted as two factors: "action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self-efficacy was extracted as two factors: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extracted as a single factor, and grit was extracted as two factors: "interest" and "effor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ctors such as mindset, learning flow,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rit. Fourth, growth mindse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flow (action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rit (interest, effort). Fifth, a fixed mindse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and grit (effort, interest).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affect cognitive commitment,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learning flow,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all had mediating effec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learning flow,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though studies on mindset and grit are underway, studies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e insufficient, so this study can be a useful basic data for grasp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auty students and suggesting educational directions that help them achieve their goals continuously, and it is judged that continuous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o strengthen grit and present guidance plans according to the mindset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programs such as after-school activities, major club activities, and collaboration systems with other departments that students can feel motivated and accomplished by themselves because growth mindsets are important factors in enhancing learning achievements, processes, and learning performance activities toward goals. Second, the belief that one's abilities do not change becomes less active in the activities of concentrating and planning in learning and finding one's career path, and if persistence to achieve long-term goals is strengthened, positiv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the professor is believed that students can achieve their goals and psychological guidance that students can achieve their goals, and psychological maps that students can be carried out together in long-term learning process. Third, sinc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has been verifi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grit. In order to improve the driving force and motivation of beau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support a leading learning environment, present a goal for growth along with setting long-term goals and setting long-term goa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activities that can hear and experience practical growth processes, difficulties, and ways to overcome through seminars, interview programs, and special lectures by field practitioners who are active in the fiel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that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students are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the beauty major that requires a long period of train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psychological factors for beauty majors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l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Subsequent studies will be a useful study by teaching data developing data development and academic data that can identify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i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of students'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identify the psychological factors. 미용전공 대학생의 마인드셋이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의 매개효과 미용 전공은 일반 교육과는 다르게 새로운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과정이 아닌 적극적인 지식 습득이 필요한 과정으로 학습을 바라보는 개 인의 마음이 중요하며, 진로와 취업을 준비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실무교 육을 통한 기술 습득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심리적 요소를 어떻 게 관리하는 가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 의 마인드셋과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그릿 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여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시하 고, 진로상담을 위한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실증조사를 위하여 미용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설문지 43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 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쨰,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여성, 전문대, 1학년, 헤어전공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 후 희망 진로는 미용업 종사(살롱) 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변수들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마인드셋은 ‘성장마인드셋’, ‘고정마 인드셋’의 두 가지 요인으로, 학습몰입은 ‘행위몰입’, ‘인지몰입’의 두 가지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의 두 가지 요인으로, 진로준 비행동은 단일 요인으로, 그릿은 ‘관심’, ‘노력’의 두 가지 요인으로 추출되 었다. 셋째,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마인드셋, 학습몰입, 자기 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그릿은 요인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넷째, 성장마인드셋은 학습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 자기효능감(자신 감, 자기조절), 진로준비행동, 그릿(관심, 노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정마인드셋은 행위몰입, 그릿(노력, 관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지몰입,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진로 준비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마인드셋과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 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마인드셋과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 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인드셋과 그릿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미용 전공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 고 지속적인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미용 전공 학생들의 마인드셋 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하고 그릿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활동이 이 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학습에 대한 성취와 과정, 목표를 향한 학습 수행 활동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므로, 성장마인드셋 강화 를 위하여 학생 스스로 동기부여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수준별 방과 후 활동, 전공 동아리 활동, 타 과와의 협업 시스템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자신의 능력은 변하지 않는다는 신념은 학습에 있어 집중하고 계 획하여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는 활동에 적극적이 않게 되는데 이때에 장 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끈기가 강화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교수자는 학생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학생들이 이루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고 장기적인 학습 과정에 있어 좌절하지 않 도록 그릿을 강화 시켜 줄 수 있는 학습적, 심리적 지도가 함께 이루어져 야 한다고 사료된다. 셋째, 그릿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기 때문에 미용 전공 학생들의 원동 력과 동기를 향상시켜 주기 위하여 교과서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건강한 미용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하고 장기적인 목표 설정과 더불 어 성장을 위한 방향 제시, 주도적 학습환경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현장실무자 들의 세미나, 면담 프로그램, 특강 등을 통하여 실질적인 성장 과정과 어 려움, 극복 방법 등을 듣고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랜 수련의 기간이 필요한 미용 전공의 특성상 학생들의 심리적 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로 알 수 있으므로 향후 미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 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미용 전공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학년별, 전공별로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학생들 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상담자료 개발과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 는 데에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국 문 요 약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수준별, 무용 능력별, 무용 경력별에 따라 무용멘토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무용 수준별(고등학생, 대학생), 무용 능력별(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 무용 경력별(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라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무용멘토링 하위요인(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3개의 예술 고등학교와 3개의 대학무용학과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했다. 총 472명을 대상으로 무용 수준별 분포는 고등학생 223명, 대학생 249명, 무용 능력별 분포는 콩클 안나감 103명,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221명, 수상함 148명이다. 또한, 무용 경력별 분포는 1-5년 미만은 225명, 5년 이상은 24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되었으나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M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수준별 집단(고등학생, 대학생)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 수준별에 따른 무용멘토링은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수행지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수준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의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수준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 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능력별 집단(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능력에 따른 무용멘토링 사후분석(Scheff) 결과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들이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점수상으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하지 못한 무용수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능력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별 평균에서는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 요인에서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경력별 집단(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
남자대학교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채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최근 현대인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남성들 또한 외모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 가운데 남자대학생들이 외모관련 시장에서 소비 트렌드의 주체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 하위차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보며, 둘째, 남자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하위차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며, 셋째, 남자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하위차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 443명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는 신체만족, 외모지향, 외모평가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하였고, 남자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신체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출신지역, 대학 소재지, 학년, 전공계열, 월 평균 용돈에 따라 신체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우월적 자아요인과 열등적 자아요인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대학 소재지, 학년, 전공계열, 월 평균 용돈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남자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헤어․피부․체형․패션․미용성형관리행동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하였고, 남자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대학소재지, 전공계열, 가정 월평균 수입, 월 평균 용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지향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외모관리행동이 향상하였다. 외모관리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외모지향 수준이 높아지면 헤어․피부․체형․패션․미용성형관리행동이 향상되었고, 외모평가 수준이 높아지면 피부․미용성형관리행동은 낮아졌으며, 신체만족 수준이 높아지면 패션관리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월적 자아요인과 열등적 자아요인 수준 모두가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이 향상하였다. 외모관리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우월적 자아요인의 수준이 증가하면 헤어․피부․체형․패션관리행동이 높아졌고, 열등적 자아요인의 수준이 증가하면 피부․체형․미용성형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남성들의 외모관리산업은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이며, 남성시장 안에서도 남자대학생들은 변화에 주저하지 않고 새로운 트렌드에 얼리어답터(early-adopter)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이들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부합하는 시장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남성 외모산업은 여성 외모산업 못지 않게 그 시장을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현대인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남성들 또한 외모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 가운데 남자대학생들이 외모관련 시장에서 소비 트렌드의 주체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 하위차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보며, 둘째, 남자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하위차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며, 셋째, 남자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하위차원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 443명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는 신체만족, 외모지향, 외모평가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하였고, 남자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신체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출신지역, 대학 소재지, 학년, 전공계열, 월 평균 용돈에 따라 신체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우월적 자아요인과 열등적 자아요인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대학 소 As recently modern people's interest in appearance has increased, men also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mong those who act actively, male university students have come to the fore as the subjects of consumption trends in the market related to appea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investigate the sub-fact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s and the differences of body imag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second, the sub-factors of self-respect and differences of self-respec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third,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differenc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and fourth, the effect of male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s and self-resp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targeting subjects are 443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in the capital area. The collection of data was conducted through survey and for the analysis of data,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v.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for post hoc test, Duncan test was conducted.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body image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re classified as 3 sub-factor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body, appearance-orientation and appearance 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body imag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emerge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depending on age, hometown, location of university, grade, major, and average allowance by the month. Second, self-respect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re classified as 2 sub-factors such as superior self factor and inferior self fa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self-respec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emerge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depending on age, location of university, grade, major, and average allowance by the month. Thir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re classified as 5 sub-factors such as hair, skin, body shape, fashion, and cosmetic & plastic surgery management behaviors. As a result of analyz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emerge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depending on age, location of university, major, average monthly income by the house, and average allowance by the month.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ale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s the level of appearance orientation increases,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improv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ub-factors, as the level of appearance orientation gets higher, hair, skin, body shape, fashion, and cosmetic & plastic surgery management behaviors are improved. As the level of appearance evaluation gets higher, skin and cosmetic & plastic surgery management behaviors decrease. In case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body increases, fashion management behavior gets higher.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ale university students' self-resp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s both the superior self factor and inferior self factor get higher,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improv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ub-factors, as the level of superior self factor gets higher, hair, skin, body shape, and fashion management behaviors are improved. In case the level of inferior self factor increases, skin, body shape, and cosmetic & plastic surgery management behaviors get higher. The industry of men's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future will be the field which has a big potentiality. In the market for men, male university students do not hesitate to the change and play as a role early-adopters of new trend, so if the chance of the market understanding and conforming to them is provided, the industry of men's appearance management will be extended no less than that of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As recently modern people's interest in appearance has increased, men also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mong those who act actively, male university students have come to the fore as the subjects of consumption trends in the market related to appea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investigate the sub-fact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s and the differences of body imag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second, the sub-factors of self-respect and differences of self-respec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third,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differenc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and fourth, the effect of male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s and self-resp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targeting subjects are 443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in the capital area. The collection of data was conducted through survey and for the analysis of data,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v.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for post hoc test, Duncan test was conducted.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body image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re classified as 3 sub-factor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body, appearance-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