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道路接境地의 地質關聯 山沙汰 特性과 防止對策에 對한 硏究

        김진석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Ⅰ. 연구목적 산악지형이 대부분인 삼척지역은 태백산백이 동.서로 분수령을 이루어 오십천, 가곡천, 마읍천 등 1개의 지방1급 하천과 12개의 지방2급 하천이 있으며, 총연장은 188.6km이다. 이 주요하천을 따라 도로망이 개설되어 있다. 특히 삼척지역은 하천을 끼고 주요 지방 도로망이 개선되어 있어 지형적인 특성 및 지질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산사태 발생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요인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매미의 영향으로 삼척시를 비롯한 영동지역에는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하여 주요 지방도로 및 간선도로의 산사태가 발생됨에 따라 이 산사태의 발생상황, 발생규모, 기상자료 및 지표지질조사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향후 태풍과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도로접경지의 지질관련 산사태 위험지에 대한 방재방안을 강구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가 없도록 함에 연구 목적이 있다. Ⅱ. 연구내용 1. 산사태 발생의 이론적 고찰 2. 산사태의 발생특성 3. 산사태와 관련된 자연재해 4. 산사태 분석요소 5, 강우 시 침투에 의한 불포화사면의 산사태 거동 6. 산사태와 관련 지질과 지형이 땅밀림에 미치는 영향 7. 불연속면의 지질공학적 특성 8. 삼척지역의 도로점경지 지질관련 산사태의 발생요인 분석 Ⅲ. 연구결과 1. 지형 지세 1)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지형요인 중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사면경사를 들 수 있는데 삼척지역의 도로망은 장년기 지형이 대부분인 급경사 절개지 하부로 도로가 개설되어 있음에 따라 2003년 태풍 매미때 산사태 발생개소의 사면경사도는 현지조사 결과 심한 곳은 70˚이며, 대부분 30~35˚경사도를 지닌 역에서 산사태 발생하였다. 이는 사면경사가 클수록 사면이 활동하고자 하는 지표수 유동속도가 증가하여 산사태 발생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라 보여 진다. 2. 토질(토류) 1) 금번 산사태 발생지역은 토출(Soil seam)인 사암, 셰일, Siltstone의 모암에서 풍화된 잔류토층이 오랜 세월동안 풍화작용(Weathering Process)을 받아 집중호우시 기반암과의 경계면에 물이 스며들어 풍화토의 팽창력에 의해 산사태가 발생하였다. 2) 삼척지역 도로접경지의 지층경사는 산사면 경사와 거의 비슷한 지층 구조를 지니고 있어 호우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변화를 주게 되면 절토지의 상부는 스스로 전단력이 약화되어 산사태 발생의 요인이 되기도 하며, 특히 석회질 점토층이 많은 삼척지역의 경우 입자간의 결합력이 교란되어 응집력의 감소와 포화된 점토층이 토층의 액상화로 발전하여 산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태풍 루사 및 매미 때 삼척지역의 경우 산사태의 형태는 대부분 지반이 움직이는 Rotational floe 형태로 산사태가 발생하였음이 연구결과 분석되었으며, 이는 사암류의 풍화, 셰일 및 석회질 암석이 점토층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토류 층이 수분의 팽창력에 의해 유동하여 산사태 발생의 원인 제공을 하였을 것으로 보여 진다. 3. 지질 1) 삼척지역의 지질은 원덕읍 및 미로면의 댓재 일대의 화강암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고생대의 조선누층군의 석탄층을 경계로 홍점통, 고방산통, 동점규암층과 주변부의 외곽지대에는 광범위하게 석회암층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퇴적암층은 풍화작용을 많이 받아 약면(Weak Plane)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불연속면의 지질구조의 이차적 지배(단층, 습곡, 부정합 등)를 받아 강우시 산사태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니고 있다. 2) 특히, 삼척지역의 도로 절개지의 사면에 있어서 절리의 경사방향이 사면의 경사방향과 같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산사태 발생이 용이하고, 또한 암석은 풍화가 많이 진전 될수록 지질, 토괴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산사태 발생이 용이해 진 결과라 사료되어 진다. 3) 암질이나 토질은 강도가 약하거나 침투율이 클수록 산사태가 일어나기 쉽고, 이는 지질경계선에 따른 파쇄대 및 단층들도 산사태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특히, 단층은 지하수의 공급원이 되어 단층면이 붕괴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사면의 층리와 경사관계도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강우 삼척시 재해대책본부의 자료에 의하면 읍.면별로 일간 평균 강우량은 2002년 8월 31일 태풍 루사 및 2003년 9월 12일 태풍 매미 때 각각 473mm 및 239mm로 기록되어 강우와 산사태의 연관성이 매우 밀접한 강우량은 100mm 이상일 때 산사태 발생의 가능성 기준과 200mm 이상에서는 대규모의 산사태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결과로 보아 삼척지역의 강우량은 산사태발생 기준치 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어 향후 이에 대한 방재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 절개사면의 문제점 및 대책방안 신규 노선인 7번국도 및 38번 국도를 제외하고 삼척지역의 기존도로의 절개사면에 대한 조사에서 확보된 문제점 및 대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삼척지역의 기존 도로는 사면을 구성하는 암반의 지질 및 지반 사항들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도로가 개설되어 대부분 암반사면이 불안정한 요인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향후 도로 설계 조사시에 지질조사 및 물리탐사를 반드시 수행하여 현지상황에 맞는 도로가 설계, 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절토(밑도려냄) 법면의 안식각이 초과된 삼척지역 도로망의 문제점은 암반이 있는 개소에서는 안식각을 초과하게 되면 사면붕괴를 야기 시킬 수 있는데 이런 유형을 지닌 개소에 바닥면 자체에 옹벽의 설치가 없는 상황에서는 사하중의 발생과 동시에 과도한 집중 하중이 발생하여 사면붕괴의 촉진을 가져오게 하였다. 3) 따라서, 장년기 산악지형이 많은 삼척지역의 경우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존도로의 지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현지에 적합한 공법(발파공법, 배수공법, 사면보강 공법)을 도입하여 불안정한 급경사 사면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방법을 점진적으로 실시하여 산사태 발생을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해서는 산사태 발생요인에 대한 문제점 및 대책 방안도 동시 수립하여 집중호우 시 지역주민에 조기 경보체제를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ost regions of Samcheok are formed with mountainous terrain and Taeback Mountains divide this region from east to west. These geological properties result in frequent landslides during heavy rainfall. Significantly, local roads and arterial roads were damaged by the landslides caused by typhoons Rusa in 2002 and Maemi in 2003, following is the analysis of the cause and countermeasure of landsiides. 1.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on the cause of landslide resulting from typhoon Rusa and Maemi, the landslide was more serious in the place where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joint wa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slope. The highest slope gradient was 70˚ dip and most of the gradient was 25~30˚ dip in the landslide place. 2. When the seriousness was classified by the rocks of the landslide spot, the most serious places were those that consisted of limestone clays and where the sedimentary rock seam distributed sandstones. The place weathered with granite and schists was second. Landslides happened frequently in those places in the bedrock contact field where rain infiltrate through the bottom by gravity. 3. When the typhoons, Rusa and Maemi hit Samcheok, most of the landslides happened in a form of a rotational floe which happens when the ground mov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weathering on kinds of sandstones, shales and limestones flow by soil layers which are formed of clay layer combinations. And it is inferred that the movement of sandstones, shales and limestones are the cause of the landslides. 4. The analysis of the geolog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amcheok's landslide place suggests that the reason for the acceleration of slope failure and landslide was that there were dead loads and intensive loads in the upper incision slope. This was caused by an absence of a retaining wall in the section having a tendency slope failure. This tendency was due to the exceeding angle of repose caused by the problems of road alignment in the steep slope. 5. To prevent landslides and slope failures caused by heavy rainfalls in the Samcheok area and to help warn of possible landslides, we needs to establish an early reporting system and to carry out appropriate reinforcement methods which take into consideration the geological property of the region.

      • 地域開發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삼척시를 중심으로

        강길석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1960년대 이후 가속화된 우리나라의 지역개발정책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집권적 통제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인 사업운영능력을 저하시켰으며, 수도권 집중의 심화와 지역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의 조직구조와 행정능력으로는 효과적인 지역개발을 할 수 없다는 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개발을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지역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기초자치단체인 삼척시의 지역개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지역개발사례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지역개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산업기반을 정비하고, 농림수산업과 공업의 진흥 및 인재의 육성을 위해 장단기적인 계획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둘째, 삼척시는 지구촌시대 및 환동해시대에 있어 경관이 수려한 동해안 지역을 접하고 있으므로 국가의 국토개발정책 수립시 중앙정부에 대한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식량농업과 특수농업의 생산기반을 확충하여 농축산업을 진흥시켜야 하며, 고부가가치의 특산임산물의 산지 및 가공·유통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개발전략 수립이 필요하고, 중국·러시아·일본등과 교류증대를 염두에 둘 때 목재가공업, 석재가공업, 석회석가공업 등을 단지화해서 육성하여야 한다. 넷째, 교통정비의 개선을 위해서 동해안 고속도로의 조기건설, 삼척-안중 고속화도로 건설계획의 조기확정, 동해안 고속철도건설 등 광역교통시설 확충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다섯째, 도계 고원지대와 해양지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광연계지대망을 형성하고, 삼척시를 세계적인 동굴휴양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마스터플랜의 작성과 개발체계를 갖추어 동굴도시로서의 특성화에 박차를 가하여야 한다. 여섯째, 지역인재의 육성은 지역발전의 핵심이므로 지역에 위치한 삼척대학교를 특성화하여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각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시민에 대한 재교육 및 훈련기능 확충을 위한 산·관·학 협동체계를 강화하여 지역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 지역개발과 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 삼척지역 신광산 개발사업 중심으로

        고광명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경제발전 우선주의 정책으로 절대빈곤의 탈피와 물질적 풍요를 이루었으나 지역간 개발 불균형과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시대 시작으로 각 자치단체들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무분별한 지역개발이 추진될 우려가 높다. 개발과 환경보전은 서로 상반되어 있는 관계로 지역정책은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사이에서 갈등을 야기한다. 현재 삼척지역은 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낮고 과거 석탄광산의 폐광에 따른 환경피해와 석회석광산의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황에서 동양시멘트의 신광산 개발은 지역주민이나 관련단체들 간에 갈등이 심화되고 서로의 주장을 반영하기 위한 힘겨루기 양상으로 전개되었고 삼척지역의 최대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척시 자치단체의 결정아래 동양시멘트가 추진하는 신광산 개발은 불가결정이 내려졌고, 초당관광지 조성사업만이 일부 완공과 나머지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개발에 대한 지역정책은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환경오염에 대한 피해를 겪은 지역일수록 환경보전에 대한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어 개발과 보전을 둘러싼 지역갈등은 더욱 심화되게 된다. 본 논문은 삼척시 신광산 개발사례를 들어 개발과 보전 사이의 갈등관계들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발과 보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지역개발과 환경보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신광산 개발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제1절에서 삼척지역 특성과 경제적 여건을 살펴보고 제2절에서 동양시멘트의 신광산 개발 추진과정을 기업체의 입장, 주민 및 지역 단체의 입장, 삼척시의 대응전략 순으로 살펴본 다음 제4장 결론에서는 앞장에서 기술한 이론과 논리들을 가지고 삼척시의 상황을 기술하였고, 과거 삼척시의 석탄 및 석회석광산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던 만큼 지금의 환경오염문제가 국지적인 요소가 아니라 광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삼척시의 경제적 상황이 열악하여 자치단체의 혼자의 힘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경제적인 부분을 정부차원의 지원으로 대체산업을 육성하여야 한다는 결론으로 끝을 맺었다. Our country succeeded in material richness and got out of absolute poverty as economic policy, but it brought abou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disproportion of local development. In 1995 as the beginning of local self government, each local government was worried about thoughtless local development to active local economics. Because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 contrary to each other, local policy will cause to the complications between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Now the financial independence degree of Samcheok is low among other local self governments. In the past the environmental damage which the abandoned coal mine brought and nature destruction of calcium mine and environment pollution are very serious. The new mine development of Dong-yang cement co. made the conflicts of the local citizens and related communities be more serious. They made every effort to express their opinions. It is the one of Samcheok's greatest interests. In this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new mine which Dong-yang cement co. has promoted are not right under the decision of Samcheok city self government. The make up business of Cho-dang tour were finished a little and the left of the business is proceeding. The lower financial self independence, the stronger the local policy of development. The bigger the damage of the environment pollution, the stronger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conservation. So the local conflict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s more serious. In my thesis I wrote the conflicts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ranging in a row the cases of new mine development in Samcheok. In the first chapter, I wrote the target, the area and the way of the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I studied the theory of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to look into the relation of self governments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n the third chapter I look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Samcheok local and economic condition, and then I looked around the position, the position of citizens and self governments, the correspondent strategy of Samcheok city in order. In the fourth chapter I wrote the situation of Samcheok city with the theory and logics which I told in the former chapters. In the past the coal and calcium mine of Samcheok city was the motive power of government development. The problem of today's environmental pollution is not the local elements but the wide characteristics. Because the economic situation of Samcheok city is bad, Samcheok city can't solve the bad economics for itself. So I made conclusion that Samcheok city has to raise substitution business as the support of governmental position.

      • 행정구역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 동해·삼척시를 중심으로

        윤명기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전국적으로 행정구역 개편이 친행 중에 있고, 동일권역 내에서 인접한 지방자치단체가 앞 다투어 도시 간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도시 구성 요소의 효율적인 통합을 통해 지자체 운영의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자립적이고 안정적인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들면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나름대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는 있으나, 각종 정책적·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에 도시 운영은 물론 지역경제까지 위임해 놓게 되면서 기존의 행정구역을 고수하는 현 자치체제로는 지역경제 개발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선진국에서도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광역 행정협의회, 지방자치단체 조합 결성 등 도시 간 협력체제 구축 방안을 여러모로 모색해 왔으며, 그에 따른 실효성을 거두어 온 것을 볼 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경제 분석과 정책이 뒤따라야 할 상황인 것이다. 지역경제가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하다면 도시체제의 재정비와 통합 방안이 고려되어 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동안 조심스럽게 논의되어 오던 동해·삼척시의 통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두 도시가 통합을 위해 그동안 지역혁신협의회 구성을 통해 경제권역 통합을 위한 노력을 해 오고는 있지만, 그 이면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과연 지방정부가 스스로 경제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인구나 산업기반 등 기초적인 경쟁력 부족으로 발전이 저해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립적 지역 발전을 위한 적정 공간 단위란 존재하는 것인지 등을 심층 깊게 살펴보고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경제 경쟁력 향상에 필요한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동해시와 삼척시를 중심으로 통합방안이 과연 어떤 효과를 가져 올 것인지 또 그것의 구체적 경제적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지역의 산업 구조와 동해시와 삼척시의 지역경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두 도시의 경제활동 인구, 산업별 구조, 지방재정 능력, 지역경제 생산액 등을 통한 문제점과 한계 등 경제적인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이 되었을 때의 효과를 행정적·경제적 편익 두 가지로 나누고 이에 대한 사례 제시를 위하여 최근에 지역 구분을 개편하였거나 논의 중에 있는 도시를 함께 병행 분석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분석을 위하여 자료 포락 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통한 시의 효율적 분석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효율성을 결정짓는 여러 요인을 도출하여 동해 삼척시의 특성과 효율성을 소개하였다. 또한 DEA 분석을 통하여 통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와 이를 위해 필요한 조건을 도출하여 동해·삼척시의 통합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개발을 통한 외자 유치 지역개발, 경쟁력 강화, 행정낭비방지, 주민의 생활편익 도모, 지역 이미지 게선 등의 효과가 상당 수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데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고 있어 생산비용 측면을 고려해 정부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면, 일정 정도 규모의 경제 확보와 달성을 위한 행정구역 개편논의는 바람직하다고 보여지며, 이는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단, 두 개의 시가 통합된 이후 통합 체제가 완전 정착되어 효율성이 높아지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는 다소 지연되거나 연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다양한 실질적인 정책과 방향으로 통합을 추진해 나아간다면, 이는 대표적이고 성공적인 도시 통합 및 개편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cently the government proceeds on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steadily carrys out various projects to integrate among near cities. This moving is getting the competitiveness by effective integration and driving the independent steady local economy development. The past, advanced nations tried to slve the problem by city integration like many different types of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And it is true that the plan caused many effectiveness. So we should analyze the overall plan and policy. To achieve the global local competitiveness, the reorganization and integration of c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ituation, the Dong-hae · Samcheok city integration could be look around. Two cites tried to economic range integration by RIS(Region Innovation System), but the other side this system holds many problems. We should consider the what cause this trouble whether fundamental incompetence like population, SOC or insufficient area for independent local economy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o get the solution to achieve local competitiveness which could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difference between cities, I show the effects of the integration of Dong-hae, Samcheok, and what specific economic influence is. So I analyze the local economic situation of Dong-hae, Samcheok city and industry structure like population infrastructure, capability of public finance and amount of products. And I divede the effects of integration in to economic one and administrative one and that are supported specific examples. To get the economic effects, I use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bring the elements that deter mine the effectiveness of city. And I find out the synergic effects of Dong-hae · Samcheok city and the conditions to get these effects. The results the integration could cause the invitation foreign capital, the strength of competitiveness and the improvement local brand image. Specially I find out there is a scale economies in government public service which could maximiz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 cost efficiency. Even though we could think that the visible result take a time to settle down, in the long respect various real policy to the integration could lead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 生活廢棄物 燃料化 方案에 關한 硏究 : 三陟市 中心으로

        張石九 삼척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금까지 생활폐기물의 처리방법은 매립시설, 소각시설 등을 설치하여 처리하였다. 매립시설은 침출수의 발생 및 토양오염 등의 2차 환경문제가 유발되고, 소각시설은 불완전연소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및 소각재 발생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하였다. 생활폐기물의 처리방법은 예전의 매립, 소각방식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종류와 성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에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을 시멘트 소성로에 대체연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분, 발열량, 염소에 대한 실험을 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1999~2001년까지 삼척시의 가연성 생활폐기물 종류별 일일 평균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총 발생량 24톤 중 종이류 7.3톤, 목재류 6톤, 고무·피혁류 2.4톤, 플라스틱류 2.6톤, 기타 5.7톤이 발생되었다. 이를 근거로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종류별 발생비율을 적용하여 시멘트 소성로에 1회 투입할때마다 시간당 300kg을 투입하였고, 총 6회에 걸쳐 1,800kg을 투입하였다. 1. 수분 측정 시멘트 공장에서 수분에 의한 CO 발생은 공정의 가동중지를 일으킬 수 있을 만큼 크게 작용한다.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수분을 많이 함유한 연료는 소성로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연소효율을 떨어뜨려 불완전연소로 CO 발생량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시멘트 소성로에 공정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 CO의 발생량은 1,000ppm이하이다. 2002년 10월11일 15%의 수분을 함유한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투입하였더니, CO 평균 발생농도가 925ppm으로 공정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수분함량이 15%이하일 경우 CO 발생 량이 1,000ppm이하로 시멘트 제조 공정상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발열량 분석 건조된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발열량이 6,617kcal/kg으로 시멘트 공장에서 연료로 사용되고 있는 유연탄의 발열량 6,000kcal/kg보다 높은 발열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염소 분석 건조된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염소농도가 833ppm으로 시멘트 공장의 염소 기준치인 1,500ppm보다 낮아 시멘트 제조공정과 품질에 안전한 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ods of treatment for life waste until now were incineration, landfill etc. In case of landfill, it causes environment pollution such as soil pollution and leachate. In case of incineration, it also causes environment pollution such as fire ash and atmosphere pollution. Now it is time to introduce various methods to deal with life waste including incineration and landfill. So, we experimented and analyzed the moisture, calorific value and chlorine of the combustible life waste in order to use it as alternative fuel for cement kiln.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daily combustible life waste occurrence in Samcheok City until 1999~2001 were 7.3 tons of paper, 6 tons of wood, 2.4 tons of leather and rubber, 2.6 tons of plastic, and 5.7 tons of etc. among 24 tons of total.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decided how much combustible life waste. we put in 300kg one time by cement kiln per hour, and put 1,800kg over total six times. 1) Moisture measurement The CO occurrence by moisture can be stopping an operation of process in a cement plant. High moisture of fuel increased CO occurrence because of imperfect combustion by reduces combustion efficiency. Therefore, CO that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cement plant in a process at cement kiln must be less than 1000ppm. 11th of October 2002, we put combustible life waste that contain 15 percent of moisture there is no problem in process as 925ppm of CO. In conclusion, in case of combustible life waste that contains less than 15 percent of moisture there will be no problem in cement product process as less than 1000ppm. 2) Analysis of calorific value According to analysis of a dry combustible life waste that an average of calorific value was 6617kcal/kg. This result is high value (6000kcal/kg) to calorific value of fuel that used in cement plant. 3) Chlorine measurement As a result of analysis a dry combustible life waste that an average of chlorine concentration was below 1500ppm that is chlorine standard in cement plant with 833ppm. This proves chlorine concentration of combustible life waste is safe in cement product process and quality.

      • 三陟 五十川 周邊 民家에 관한 硏究

        朴吉洙 삼척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민가는 일반적으로 지역별, 유형별 분류방법으로 정립하고 있다. 강원도 지방은 영동지방의 민가와 영서지방의 민가가 서로 다르고 삼척을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이 다르기 때문에 많은 민속학자가 민가에 대하여 각자의 시각에서 이론을 전개하고 또 추정도 많이 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의 조사지역 민가를 답사 정리한 결과로는, 지역마다 별 다른 특색은 보이지 않았고, 조사 지역의 모든 민가가 일자의 구들구성 전자집과 두렁집 으로만 축조 되었는데, 이런 이유는 조사 지역이 산간지역인 관계로 인하여 도적이나 짐승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보호 본능으로 인하여 폐쇄적 형태인 일자의 구들 구성집과 두렁집 으로만 축조했다고 판단되어 진다. 구들구성의 전자집은 주로 삼척지방 북쪽에 분포되어 있으면 취침공간 부분이 구들로 구성되고 나란히 정지와 붕당 그리고 마구와 고방이나 방앗간이 있다. 특히 一자의 구들구성 전자집은 산간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자연지형에 순응하고 오수의 흐름을 중시한 배치방법을 선택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민가 여러 부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두렁집의 특성은 내향, 보호적 주거공간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영서와 영동의 서로 다른 주거문화를 혼합 절충한 주거형식이며, 일반적으로 너와집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래의 명칭은 두렁집으로 칸수에 따라 아홉칸 두렁집과 여칸 두렁집으로 분류하고 그 의미는 둘레, 둘레를 돌아가며 주위에 실들이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Korean fork house, generally, is separated a way of classification through regionally and typically. Kang Won province is the region where forklorists practice their theories and assumptions according to their own views because Young Dong district and Young Seo district' fork house is different, also North and South has an own way the centering around Samchuck.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researching the fork house. There is no any particular feature in the each region. Most of fork houses in the research area were constructed the -shaped Gudul in 田-shaped Jip and DuRung Jip. The reason of the constructing of the closed -shaped GuDul in 田-shaped Jip is the instinct of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and burglars. The 田-shaped Jip of the Gudul was mainly distributed on the north of Samcheok district. The sleeping area in the house was constructed with GuDul along with a kitchen, a BongDang( unfloored area between two rooms), Magu(harness) and a mill. Especially, 田-shaped Jip with Gudul can be found at the remote mountain villages where adopted nature features and chose the best way th flow the sewage. Those are the facts that people who were lived in tried to harmonize with the nature and fork houses in many aspects. Distinctive quality of DuRung Jip was the accepting the form of the introverting and protecting habitation. Also DuRung Jip was the house which was combined and developed the Young Seo and Young Dong distircts' fork houses. Generally, through known as the Newha-Jip, originally it was called DuRung Jip which was separated from nine-Kan Durung Jip and Yea-kan DuRung Jip, which mean Girth. The reason of having the name of Durung Jip was rooms were built around th girth.

      • 고압분사공법에 의한 석회암 공동구간 교량기초의 보강효과 연구

        정태현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오늘날 세계는 경제 문화등의 글로벌화로 국제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물류 유통의 역할이 보다 중요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산업의 발달로 급증하는 물동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접근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국책사업 특히, 철도 및 고속 도로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석회암 공동이 발달한 강원도 삼척지역에 건설되는 도로의 대형 구조물 안정성 화보를 위하여 석회암 공동의 분포상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지반특성에 맞는 구조물 보강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지역에 건설되는 국도 확장 및 포장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석회암 공동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보강공사를 시행한 후 검증을 실시한 사례를 배경으로 하였다. 우선 석회암 공동의 분포특성 파악을 위해 HFTM, 전기비저항탐사, 시추조사, 탄성파반사법탐사, 탄성파토모그래피탐사 등의 정밀조사를 시행 하였으며, 이를 통해 파악된 석회암 공동이 교량 기초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으로 검토한 후 적절한 보강공법을 선정하였다. 보강공법은 여러 공법중 비교를 통해 현장 여건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던 고압분사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등의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보강효과를 사전에 파악하였으며, 보강 전 · 후에 각종 현장 및 실내시험을 시행하여 실제적인 보강효과를 검증하였다. These days the world economy culture interchange proceeds actively and is more important than the role of logistical circulation. Even in development of Korean industry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uddenly increasing the amount of logistics enforces the access to improvement of variety national industries, especially the Railroad and Highway Corporations.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give definite report about formative structure of limestone cavities for the effective Highway development in Gangwon-do Samcheok region, and to represent the supplementary study plan for understanding distribution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and choosing the structure that appropriate to the specific lan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arrying out investigation of limestone cavities discovery on national highway construction in the Gangwon-do Samcheok city area. The results were used for reinforcement work as effective background for verification. First of all to understand full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cavities close investigation was carrying out through the HFTM,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Drilling examination, Seismic reflection survey and Seismic tomography survey; the appropriate reinforcement method was found after analyze the influence of limestone cavities on bridge foundation stability. Compare to the various methods the reinforcement method is the most compatible and good to understand the Super Injection Method, numerical analysis as one of the analytical methods helps us to understand reinforcement effects. before and after reinforcement various spots and indoor experiments was carrying out and verified the practical reinforcement results.

      • 환경 지리정보 체계에 의한 하천오염 평가

        장호근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최근 하천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삼척오십천 유역을 대상으로 장래 수질을 예측함과 아울러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도를 공간적으로 예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삼척 오십천 유역의 장래 수질예측은 BOD와 DO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갈수기, 평수기, 그리고 풍수기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오십천의 12년후 BOD는 갈수기, 평수기, 그리고 풍수기일 때 각각 5등급 3등급 그리고 2등급으로 나타났으며 DO는 풍수기, 평수기, 갈수기 때 각각 1등급의 수질의 변화를 보였다. 2) 삼척 오십천의 공간적인 오염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GIS를 구축하여 오염발생 현황, 오염배출분포 및 하천지점별 수질상태 등을 시각화하였으며 이는 향후 구역별로 오염발생원을 분석하는데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3) 오십천의 수질예측 결과 지속적으로 수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목표수질인 1등급의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공간적인 오염분포도를 통하여 구간별로 적절한 삭감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water quality of Oship-river basin in the samcheok city by using GIS and the water quality model, QUAL2E. 1. Concentrations of BOD nd DO were measured and were used for the future classification(2016) of the river system into three parts; low water level(LWL), mean water level(MWL) and high water level(HWL). When water levels in the Oship-river is low, mean and high conditions, classifications of BOD were Ⅴ, Ⅲ and Ⅱ respectively. classification of DO in the Oship-river was Ⅰ. 2. On the basis of estimation on the reach, the water quality becomes pollut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h but recovered up to the water quality standard due to river purification. 3. Water quality modeling such as QUAL2E and GIS system were suitable for management of the regional river and for reduction of point source contamination.

      • 삼척의 주지리 지방 민가에 관한 연구

        옥재석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삼척지방을 중심으로 각 마을에 분포되어 있는 여러가지 유형의 민가들의 공간구성과 두렁집의 공간구성의 형성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기 위하여 두렁집이 다수분포 되어 있는 오십천과 가곡천 그리고 마읍천 상류지역 마을 민가를 채록하였다. 각 지역별 민가의 분포는 오십천 주변지역의 심포리, 점리, 발리지역 민가는 온돌구조의 전자집과 두렁집이 분포하고, 남쪽의 가곡천 주변의 오저, 오목, 신리지역 민가들은 마루구조 전자집과 두렁집이 분포하고 있으며, 마읍천 주변의 주지리 에는 온돌구조의 전자집과 마루구조 전자집의 분포와 영동지역민가의 전자집과 영서지방의 겹집의 영향을 받은 두렁집이 분포되어 있었다. 여러 유형의 민가 중에서 두렁집의 형성에 대하여 주변적 상황과 주거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고 주변지역의 민가로부터 받은 영향에 대하여 서술한다. 주지리의 두렁형민가의 형성된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면 자연에 의존하던 시절 정치, 사회적 불안을 피하기 위한 사람이나 재산의 몰락이나, 현세에 적응을 하지 못한 사람들이 은둔하며 지역의 민가로 정착성화전민 이라 한다. 자연환경요인인 추위와 짐승으로부터 가족을 지키고, 사회적 여건인 도적으로부터 식량을 보호하기위해 영서지방의 겹집에서 취침공간을 도입하고 생활문화나 관습이 같은 영동지방에서 가사노동 공간 부분을 도입하여 주거형태를 창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to arange the formation and space construction of Dureong-jip is distributed at secluded place in Sam cheok Jujiri region. The region of case study is the village at upriver region of OsipCheon, MaUpCheon, GaGokCheon, its villege is well preserved the original form of Dureong-Jip. The location of river is OsipCheon at north, is GaGokCheon at south toward the seaside in Mount Tae Beak, and is MaUpCheon between the two rivers. In the folk housing type, the 田-shaped-jip and the Dureong-Jip with OnDol(=Korea hypocaust) were distributed at Jom-Ri, Sim Po-Ri, Bal-Ri in the north region of OsipCheon, the 田-shaped-jip and the Dureong-Jip with modified MaRu(=wooden floor) were distributed at OMok, OJeo, Sin-Ri in GaGokCheon where is in the south of 田-shaped-jip with OnDol affected by the northern area, the 田-shaped-jip with MaRu affected by the southern area, the Dureong-Jip affected by the 田-shaped-jip in Young Dong district and by the Kyup-Jip in Young- Seo district were distributed at Juji-ri MaUpCheon and its outskirts. That is to say, the type of folk house at Sam cheek Jujiri region is the 田-shaped-jip of OnDol in the north district of Sam cheek, is the 田-shaped-jip with MaRu in the middle district of Sam cheek. In the case of folk house with the several types described, this study described the formation of Dureong-Jip and the surrounding conditions, its effect on the housing space and the influence of folk house at the neighboring region. The people introduced the sleeping space from the Kyup-Jip of Young Seo district to protect their famillies from the coldness and a fierce animal, to keep their food from the thief. At the same time they introduced the houseworking space from Young Dong district similar to a cultural life and custom, so that created new housing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