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말적 현상으로서의 동성애 연구

        이봉연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 몬 초 록 종말적 현상으로서의 동성애에 관한 연구 이 봉 연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재림 전에 나타날 동성애에 대하여 알고,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동성애에 문제와 재림성도들이 가져야 할 동성애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신학적 정립을 세우는데 목적이 있다. 재림 전의 사회현상으로서의 동성애에 대하여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과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방법과 및 제한을 통하여 재림 전에 나타날 동성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동성애가 종말론적 사건임을 진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동성애에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살펴보았고, 동성애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역사를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대표적인 3가지 원인들을 나누어 학자들이 써놓은 실험내용들과 발표들을 통하여 동성애의 원인들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동성애에 관한 논의로 성경에 나타난 동성애 문제들과 동성애의 본질에 관한 신학적인 옹호와 반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는 동성애를 중심한 재림 전의 현상을 성경에서 노아와 롯의 시대에서 살펴보았으며, 현시대에 나타난 동성애의 다양한 문화와 사회 그리고 교회에 미치는 문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6장에서는 신학적 이해를 가지고 동성애에 대한 신학적 평가와 교회들의 입장들을 알아보았으며, 동성애에 목회적 대안으로 동성애에대한 포용과 애해 그리고 교인들의 자세, 치유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제7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요약하여 결론을 맺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재림전의 사회현상인 동성애에 대하여 올바른 신학적 애해와 변화에 준비해야한다. 동성애에 대한 배타적인 이해보다 시대적 상황에 올바르게 대체해 나가는 신학적 정립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동성애에 대한 이해와 사상이 복음을 전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지막 종차점을 향하여 이 지구는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살고 있는 재림성도들은 마지막 남은 백성으로써 예수의 믿음과 거룩한 계명을 가진 자들이다. 영원한 복음을 가진 재림성도들은 주님께서 주신 지상 명령을 쫓아 동성애자들과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재림교회는 동성애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아울러 동성애에 대한 선교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수하다. 마지막시대에 선교의 중심이 되는 재림교회가 되길 바란다. ABSTRACT Study on Homosexuality as a Eschatological Event Lee, Bong Yeon Major in Practical Theology Department of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ahmyoo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about homosexuality before the Second Coming, homosexual problems influencing the society, and for the Adventists to have right concept and theological thesis about homosexuality. About homosexuality as a pre-advent social event, each chapter deals with the following. In chapter 1, I stated the necessity of study on homosexuality before Second Coming and that homosexuality is an eschatological event through problem statement, importance and purose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 and limits. In chapter 2, various terms related with homosexuality and the history of homosexuality is discussed. In chapter 3, I divided three outstanding reasons for homosexuality and looked at them through experiments and presentations of scholars. In chapter 4, I looked at theological defenses and offenses on the nature of homosexuality and homosexuality in Bible. In chapter 5, I put my focus on homosexuality as the pre-advent event viewed through the times of Noah and Lot. Also, I dealt with the problems occurred in today's church, society, and cultures-all influenced by homosexuality. In chapter 6, I looked at theological evaluation and church stands in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suggested acceptance, understanding, attitudes of church members, healing methods, etc. toward homosexuality as pastoral alternative. In chapter 7, I evaluated the result of study and made a conclusion. In short, through this study, we must prepare for right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changes in homosexuality as a pre-advent social event. Rather than exclusive understanding of homosexuality, it is necessary to have theological position which takes appropriate actions. If not, wrong knowledge and ideology of homosexuality may become an obstacle in spreading the gospel. The earth is moving toward its end. Living in this world, the Adventists are the remnant who keep the holy commandments and have the faith of Jesus. As Adventists having the everlasting gospel, we must put all our efforts in spreading the good news to all people over all the earth, even homosexuals, according to the Great Commission given by the Lord.

      • 바울서신에 나타난 출애굽 모티프

        장석원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구원의 청사진인 이스라엘 백성을 구속하는 출애굽 사건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주제들과 바울서신의 중심주제인 구속사상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과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을 통하여 출애굽 사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출애굽 모티프가 바울서신을 이해하는데 첩경이 됨을 진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출애굽 사건의 이해에 대하여 이스라엘 민족의 출현과 하나님의 역사, 출애굽과 구속을 확인하여 출애굽 사건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 모세, 구속, 언약, 유월절, 어린양, 하나님의 백성(공동체) 등 각각의 출애굽 모티프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바울의 사상과 신학을 유대적 배경과 헬라적 배경, 그리고 기독교적 배경을 통하여 바울의 사상과 신학이 구약의 사상이 녹아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바울서신에 나타난 출애굽 모티브를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 모세, 구속, 언약, 유월절, 교회(공동체) 등을 알아보았는데, 특히 바울신학의 기독론적 사상의 핵심인 구속에 대하여 화목제물과 속죄물, 희생, 양자, 칭의, 화목, 성화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출애굽 사건은 성경 전반에 걸쳐 구속의 배경과 핵심으로 위치해 있으며, 바울서신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에 있어서 출애굽 배경 속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themes of the Exodus from Egypt which redeemed the Israelites as the blueprint of salvation and the idea of redemption in Pauline epistles. Chapter Ⅰ, clarify the problem, the importance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roughout mentioning the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ould tell that the Exodus motif is the shortcut to understand Pauline epistles and how important to study this subject. Chapter Ⅱ, examine the appearance of the Israelites and the works of God and to have confirmation of the redemption and exodus about the understanding of exodus itself to know the importance. Chapter Ⅲ, study the thoughts and theology of apostle Paul through his Jewish, Greek and Christian background to know that the Paul's ideas and theology could contain the ideology of Old testament. And also investigate the exodus motif appeared in the epistles of St. Paul such as the theophany, revelation, Moses, redemption, God's verbal promise, the passover and the church(community). And especially this study gives a full detail of the redemption which is the core theme of christological ideas of Pauline theology and that are propitiation, expiation, sacrifice, adoption, justification, reconciliation, and sanctification. To conclude, this study try to find that the Exodus is the background and the core of redemption throughout Bible, and the work of Christ's cross is the background of Exodus in Pauline epistles.

      • 서울삼육고등학교 선교 방안 연구

        조중근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청소년은 보호받는 아동의 시기를 벗어나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성숙 과정에 있다. 청소년 선교는 청소년이 안고 있는 문제, 즉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을 해결해 주며, 바람직한 그리스도인이 되도록 돕는 일이다. 특별히 학원 선교는 단순히 복음을 증거하는 것 이상으로 청소년으로 하여금 그 주변 환경에 있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전인격적인 만남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도록 하고, 개인이 하나님을 영접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복음을 증거하는 일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삼육고등학교에서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선교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본 논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신앙 실태를 살펴보고 연구하였다. 학생들이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기는 중․고등학교 시절이며, 중학교보다 고등학교가 비율이 더 높다. 그러므로 학원 선교를 신앙의 정체성 유지와 신앙의 결심은 고등학교시기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서울삼육고등학교 선교 실태와 학생들의 신앙 실태를 종합하여 서울삼육고등학교 선교를 위한 선교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신앙을 받아드릴 수 있는 프로그램과 활동들이 준비되어야 한다. 많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신앙을 선택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스스로 활동할 수 있는 동아리, 기도모임, 봉사활동, 선교모임 등 구체적인 장을 마련해 주고,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하나님께 다가 갈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이 신앙의 강요하는 듯한 모습을 많이 가지지만, 정작 신앙적 영향력을 끼치지 못하는 교사들에 대한 선교적 교육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스스로 학생들과 인격적인 만남의 장을 만들 수 있는 노력해야 하며, 교사의 개인적인 신앙뿐만 아니라 각 이수 과목에 대한 신앙적 접목을 통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강요의 주체로 느끼는 교사들과 목회자에 대해서, 교사와 학생, 목회자와 학생 간의 중재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다수의 학생전도사나 교육전도사, 청소년지도사, 또는 기타 인력이 충원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충원은 학생과 목회자 교사 간의 중재 역할뿐만 아니라 목회자 1인당 학생 수를 적정수준에 있도록 하고 선교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넷째, 학생 제자양육 등 인재 양성을 강화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또래집단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같은 학년의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전도하며, 특별히 선배가 후배에게 신앙을 전수 해 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교회와 밀접한 연계를 가진 선교활동이 필요하다. 지역교회는 수동적 입장이 아닌 주체성을 가지고 학원 선교에 임하여야 하며, 학교는 지역교회가 적극성을 가지고 학원 선교에 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모든 선교적 활동과 프로그램에 학교의 행정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학교의 교사들에 대한 인사권과 행정을 총괄하고 있는 학교장의 신앙적 결심과 선택은 서울삼육고등학교의 선교의 총체적인 역할을 좌우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시된 선교방안에 대한 학교차원의 이해와 행정적 지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들은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존재들이 아니라 바로 곁에 있는 존재들이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예수님의 사랑을 나누어주어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따라서 청소년을 지도하고 선교하기 위해서는 일선의 청소년 지도자들의 각성과 노력뿐만 아니라 재림교회의 지도자들의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비전과 장기적인 투자, 그리고 재림교회의 기성세대의 적극적인 관심만이 청소년 선교의 힘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본 교단의 지도자들이 이러한 총괄적인 청소년 선교를 연구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청소년 전담 선교팀 또는 위원회를 구성 운영해야 한다고 보며, 이를 통한 지속적, 전문적, 효과적,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청소년 선교 사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 모세오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 영광모티프

        조준일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Glory of God" in the Old Testament. It will particularly focus on the meaning of the "Glory of God" in the Pentateuch and investigate the i) substantial Biblical symbol, ii) theological meaning, iii) real meaning of the "Glory of God," and iv) the characteristic of God by comparing the commentarial studies and illustration of 'Glory.' Chapter Ⅰ presents the problem, which i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research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Glory of God" is a shortcut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od and the theological meaning as to how important it is to study this subject. Chapter Ⅱ examine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Glory' and the lexical understanding of it. The overall study of 'Glory' can be established by studying the illustration of 'Glory' in the Pentateuch. Chapter Ⅲ provides annotations on the text focused on the appearance of the "Glory of God" in the Pentateuch and studi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people.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the "Glory of God", this chapter especially examines the various meanings of 'presence,' 'protection,' 'ratification,' 'divine assent,' 'judgment' and 'punishment' in connection with the word 'Glory.' The study reaches its conclusion in Chapter Ⅳ which synthesizes all the chapters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Glory of God" appears in connection with the core events and the overall context of the presence of God in the entire Pentateuch. The "Glory of God" is therefore the symbol of the presence of God who wishes to dwell with His people. At the same time, it is an expression of the continuous love and concern that God has toward His people. Second, the "Glory of God" has a dual character of blessing and judgment according to each situation. It confirms that God is the Savior and Comforter of the world, and that He possesses the authority of reprobation and judgment of the world. Finally, the "Glory of God" deduces the contents throughout the response of the human against the presence of 'Glory' bringing about different results. It alludes that the intention of human beings cannot affect the "Glory of God" directly, but could affect the characteristic of 'Glory.' 본 연구의 목적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특히, 모세오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영광’의 용례 및 주석적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의 의미와 하나님의 속성 및 본질적인 성서적 상징과 신학적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과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주석적 연구가 하나님의 속성과 신학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첩경이 됨을 진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영광’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사전적인 이해를 연구하고 모세오경에 나타난 ‘영광’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영광’의 의미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확립하였다. 제3장에서는 모세오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의 출현 사건을 중심으로 본문을 주석하고 그에 대한 의미와 하나님과 그의 백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특히, “하나님의 영광”의 출현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임재’, ‘보호’, ‘비준’, ‘동의’, ‘심판’, ‘처벌‘ 등의 ‘영광’과 관련된 다양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각 장의 연구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하나님의 영광”은 모세오경 전반에 걸쳐 하나님의 임재의 배경과 핵심적 사건에 관련하여 등장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영광”은 끊임없이 사람들과 함께 거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동시에, 그의 백성에 대한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의 표현이다. 두 번째로, “하나님의 영광”은 각 상황에 따라 축복과 심판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하나님이 세상에 대한 구원자요 위로자인 동시에, 정죄와 심판의 권세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영광”은 '영광'의 출현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통해 내용이 상이하게 되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은 직접적으로 인간의 의지에 따라 좌우될 수 없으나 '영광'의 속성은 변화될 수 있는 관계임을 암시한다.

      • 요한복음에 나타난 고별강화의 구조 연구 : 요한복음 13-17장을 중심으로

        이동수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요한복음 13-17장에 나타난 예수의 고별강화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에서 고별강화는 시간적 경과에 따른 구조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파격적일 정도의 비중으로 다뤄지고 있다. 첫 번째 의문점은 요한복음 다른 복음들서에 비해 고별강화를 강조하고 있는 이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고별강화는 동일 내용이 반복되는 부분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결함을 가진 것으로 보이게 한다. 두 번째 의문점은 고별강화의 구조적 혼돈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의 고별강화를 구조적으로 연구한 바, 1) 고별강화가 분량상, 구조상 강조된 이유는 신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요한 사후의 교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예수의 고별강화가 상당한 분량으로 다루어진 것이다. 2) 고별강화의 구조적 혼돈은 문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며 그것은 요한의 기록방식의 한 형태로서, 중요 내용의 반복현상 때문이었다. This study is to surbey the Farewell Discourses of Jesus Christ in John Chapter 1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some points in question i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aspect of the time passage of structure. The first question on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is its remarkable emphasizing than the other Gospels. And similar statements for the farewell discourses are found repeatedly. It seems there are some structural defects. The second question is the confusion of the structure in the Gospel of John about Farewell discourses. To solve these questions I have approached as followed. In chapter Ⅱ, the fact that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is much more emphasized and mentioned than the others is investigated. In chapter Ⅲ the purpose of writing, characters of general discourses, characters of farewell discourses, and his distinguished description of discourses are researched. Through this study, I figured out the theological and liteary characters in the farewell discourses. To sum up, this structural study of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its structural and remarkable emphasizing is to stabilize church after his death. And the structural confusion of Farewell discourses is understood as literary character, reiterating the significant statements.

      • 인터넷 선교의 전략과 방법

        김정식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시대에 인터넷 선교의 중요성을 알고,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해외 선교 방법과 인터넷 선교를 위한 교회의 준비 및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전략과 자세한 방법을 통해 네티즌에게 복음을 전하고 인터넷 공간을 복음화 시키는 일에 목적이 있다. 인터넷 선교의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과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을 통하여 인터넷 선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인터넷 선교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에 대해서 진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인터넷 시대에 대한 이해와 인터넷 선교의 신학적 배경에 대하서 살펴보았고, 인터넷 선교가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인터넷 시대의 교회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방법과 해외 선교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인터넷 선교사 양성 훈련 과정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교회 인터넷 선교 전략 및 기관 인터넷 선교 전략을 살펴보았고,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21세기 정보화 및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상황과 변화를 올바로 인식해야 한다. 인터넷을 세계선교와 복음 그리고 목회에 잘 활용하기만 한다면 한국과 세계복음화의 마지막 추수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터넷 선교사 및 인터넷 선교 전문 사역자를 양성하여 인터넷 공간 속에서 선교 활동을 펼쳐 나가야 할 때이다. 마지막 시대에 마지막 주자로서 쓰임 받기 위해서는 선교 정보화 및 인터넷 선교에 전 역량을 집중하여 주님께서 주신 지상 대 명령인 네티즌 전도와 세계 복음화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가 인터넷 선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터넷 선교를 다 방면으로 펼쳐 나가서 인터넷 공간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고, 인터넷 공간을 복음화 시키고, 네티즌들을 주님의 품으로 인도하는 역사가 이 시대 안에 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internet mission in the internet ages and to preach the gospel to netizens through the methods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s in the internet, the preparation of the churches for the internet mission, and the concrete strategies and the detail methods of the internet mission, and to evangelize the internet, the cyber space. To present the strategy and the method of internet mission,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proceeded.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it was stated on the statement of the matter, the importance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 internet mission through the method and the restriction of the research, and the reason about the internet mission. In Chapter 2, I mentioned about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net ages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internet mission, and the necessity of the internet mission for us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s, and the image of the church in the internet ages. In Chapter 3, I mentioned about the method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 in the net, and the internet missionary training process and programs. And I also mentioned the internet mission strategies of churches and agencies, and the concrete method of the internet mission in detail. In conclusion, we should correctly realize the new circumstances and the changes of the information and internet ages in 21st century. If we make the good use of the internet to the world mission, the gospel and the ministry, Internet will be capable of the decisive role in the last harvest time for the Korea and the world gospelization. Ant it's time to raise internet missionaries and pastors specialized in the internet mission and let them do the mission activities in the internet. As the last runners in the last days, to be used by God, we have to focus on the information-oriented mission and the internet mission, and we have to devote all our strength to evangelization for the netizens and the world gospelization, God's greatest command. I hope that God's work Korean church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mission, do internet mission works in various fields, construct God's space in the net, evangelize the internet space, and lead netizens to God will be accomplished quickly in this time.

      • 재림교회 예배음악과 그 중요성 고찰 : 재림교회 음악철학 지침을 중심으로

        김지현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에 대한 예배음악 교육의 중요성에 있다. 예배회복의 중심에는 예배음악이 있다. 그러나 예배시 구별됨이 없이 무분별하게 음악들이 사용되어지는 요즘의 현실 속에서 올바른 찬송과 예배를 위해 재림교회 목회자들에게 있어서 예배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밝히고 나아가 신학대학원 커리큘럼에 예배음악 교육의 제도적 개선을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을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예배와 예배음악에 대하여 고찰해 보면서 예배의 어원 및 정의와 목적, 예배음악의 관계 및 개념과 역할을 기술하면서 예배와 예배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예배음악에 대한 이해로 시대적 변천을 살펴보면서 구약성서시대로부터 근대 부흥운동 시대까지 예배음악이 매 시대마다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재림교회음악 철학에 나타난 예배음악의 위치와 기능을 살펴보았는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대총회에서 재림교회 음악철학 및 지침서를 작성하여 발표된 것을 분석하여 재림교회 음악철학은 성서적, 예언적, 교회적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보았고 예배적, 전도적, 교육적 기능들을 강조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재림교회 음악철학이 강조하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이 듣고 연주하고 작곡하는 모든 음악은 그것이 성곡이든 세속곡이든 관계없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음악이어야 하고 때와 장소에 맞아야 하며 음악의 3요소인 선율, 화성, 리듬이 전통적인 것에 기초하여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함 보여주었다. 제5장에서는 목회 현장에서 접해야하는 예배음악에 대한 실제적 문제들을 제시하며 기술하였다. 제6장은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고 종합하였다. 예배음악은 인간이 창조되기 전 하늘에서부터 존재해 왔던 것으로 새 하늘과 새 땅에서도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예배음악은 지상교회에서 역시 더 중요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목회자는 예배음악에 대해 알아야 하고 그래서 교육되어질 때 현대의 각종 세속화된 종교음악들 속에서 재림교회 예배음악을 보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ministers about worship music. In the centre of worship and its restoration, there is a worship-music. In recently, we face a situation of confusion when we use the worship music without distinctively. Thus, we need a systematical improvement of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y. Throughout this studies, we ma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worship music in our worship services. In chapter 1, this thesis tried to describe the importance and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2, this thesis planed to study an etymology of worship, definition, and its purposes. We also striv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service and worship music. In chapter 3, this thesis pursed to study the history of worship music throughout all Christian history since the old testament time until the modern revival movement. In chapter 4, this thesis tried to look arou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worship music which shown on the philosophy of Seventh-day Adventist' music carefully. The philosophy of Seventh-day Adventist's music emphasizes that all worship musics that adventists play should glorify God whether it's hymn or it's secular music. And it should be correct time, place and the 3 elements of music which are melody, harmony and rhythm to be harmonized based on the tradition. In chapter 5, this thesis describes and indicates the realistic problems of the worship music in the ministry. In chapter 6, this thesis summarizes and synthesizes the result of this study. Since the worship music had been existed on heaven even before human was created and it will be existed on new heaven and land. Thus, how it would be more important for the earthly church! Therefore, the ministers should know and learn more about worship music to protect adventist's music from the influence of the secularized sacred music.

      • 세대주의 천년전 재림론에 관한 비평적 연구

        김형길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주의의 천년전 재림론에 관한 주장들을 분석하여 성경적으로 옳은지 비평하고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은 문제의 진술,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연구 방법 및 제한 등을 진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천년전 재림론의 역사적 발전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역사적 천년전 재림론은 초대 교회 3세기 무렵에 시작 되었고 끊임없이 그 명맥을 유지해 온 천년왕국에 대한 정통 학설이며 세대주의적 천년전 재림론은 근대 신학적 소산물임을 확인하였다. 제3장은 세대주의의 천년전 재림론의 주요 구도를 고찰하고 비평하였다. 첫째로 일반적인 모든 세대주의자들의 70이레 예언에 대한 해석은 간격 이론을 지지하며 교회의 휴거와 예수 그리스도의 2단계 재림론을 주장한다. 하지만 그것은 성경으로 증명되지 않는 가설에 지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둘째로 세대주의자들은 70이레 예언의 마지막 1이레를 예언상으로 분리를 시켜 놓았고, 곧 그것은 말세의 7년의 환난기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예언의 통일성을 오해하는 것이며 성서적인 근거가 없다. 단 9:24-27은 가장 심원한 메시아적 예언이다. 그러므로 70이레의 예언은 세대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미래의 적용보다 역사적인 메시아적 계산으로 해석해야 바람직하다. 셋째로 세대주의자들은 하나님께서 교회와 이스라엘에게 다른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계신다고 믿는다. 팔레스타인의 지리적 복원과 함께 현대 이스라엘 민족의 부활은 세대주의자의 말세 종말론에 전환점이 될 것이다. 그들은 신약과 구약을 이스라엘에게만 속한 것이고 단지 천년기안에 성취될 것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하나님 지도하심 아래 사도들은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모든 신학적 차별을 제거하였다. 한 나라로써 이스라엘이 계약적 약속 성취를 실패하였을 지라도, 하나님께서 스데반의 순교 후 민족적 이스라엘 대신에 하나님의 계약적 약속을 지킬 영적 이스라엘을 충성스런 남은 자손이 되도록 선택하셨다. 넷째로 세대주의자들은 아마겟돈 전쟁을 정치적 군사적인 실제적 전쟁으로 해석하지만 이 전쟁은 상징적인 것으로, 하나님과 사단간의 우주적이고 범세계적인 최후의 결전으로 보아야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로 세대주의자들은 천년왕국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왕으로 직접 지상에서 통치하실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의인들의 부활 후, 그들과 살아있는 의인들은 공중에서 주를 맞이하도록 들릴 것이고 하늘의 새 예루살렘으로 인도 될 것이다. 그래서 천년왕국은 천년기가 끝날 때까지 이 땅에 내려오지 않을 것이다. 이 지구는 천년기 동안 사단이 결박당할 무저갱이 될 것임을 살펴보았다.

      • 요한복음에 나타난 사도요한의 예배사상에 관한 일 연구

        최병규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요한복음을 통해서 사도요한이 말하고자 하는 예배를 고찰함으로 기독교가, 더 나아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가 참예배를 하나님께 올리고 가납됨으로 마지막 시대에 대쟁투의 중심에서 승리하고, 또한 마지막 남은 자손이 예배의 갱신을 통해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전혀 다른 예배를 보여 주시기 위해 오신 것처럼 이 시대에 참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덕을 선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종교의 중요성과 그 종교에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예배임을 말하였다. 인간이 예배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그 예배가 하나님께서 가납하시고 기뻐하시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서적으로 예배를 이해하여야 하며 제한적으로 요한복음을 통해 예배를 이해하고자 문제를 제기하였다. 제 2장에서는 언어적으로 예배에 대한 고찰이 있었으며 히브리어, 헬라어를 통하여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구약시대와 신약시대의 예배의 변천을 통해 시대적 예배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제 3장에서는 요한복음의 신학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신론, 구원론, 기독론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 4장에서는 요한복음에 나타난 사도요한의 예배사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요한복음 속에서 나타난 사도요한의 예배사상을 이끌어 내었으며 이는 예배의 대상, 예배 장소, 예배 방법, 예배 목적, 예배를 통해 바쳐져야 할 것 그리고 예배의 궁극적 실현이라는 주제를 통해 성서적 예배를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요한은 이런 지상의 예배를 통해 궁극적으로 하늘예배로 우리를 이끌며, 지상에서 참예배, 전혀 다른 예배를 드린 자들은 영원토록 하늘에서 그분을 세세토록 그분께 영광과 찬송을 돌릴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hristianity - furthermore Seventh-day Adventism - triumph over at the center of Great Controversy in the Last Days by offering true worship to God and be received by Him, and let the Remnant proclaim the virtue of God through true worship in this generation by renovating the worship as Jesus came to this world to show a totally different kind of worship by studying what Apostle John has to say about worship in the Book of John. The first chapter, which is introduction, talks about the importance of religion and states that the core of religion is worship. Human needs enough understanding of worship and the worship needs to be acceptable and pleasing to God. In order to make it so, one needs to understand worship biblically. Therefore the writer proposed a question and narrowed the topic to Book of John to understand worship. The goal of second chapter is to approach the meaning of worship linguistically through Hebrews and Greek, and to study the flow and transition of worship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times.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the theology of Book of John in the area of theodicy, soteriology, and christianity. The fourth chapter looks at Apostle John's worship ideology in the Book of John. There is an attempt to do so by studying the object of worship, place of worship, method of worship, purpose of worship, what needs to be offered in worship, and the ultimate realization of worship biblically. In conclusion, John eventually leads us to heavenly worship through earthly worship and those who offered true worship, different worship, will praise and glorify God eternally in hea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