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ODA 초청연수사업의 성과지표와 현업적용도 측정 개선방향 연구 : KOICA-부경대 석사학위 연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ases of KOICA scholarship program currently operated b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ts effect and performance idicators through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and literature studies. In ODA fellowship program,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result when trainees apply their learning to their jobs after graduation, and the actual effects of the work and society have been shown. An case analysis of KOICA's scholarship program show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dividual competency, but the training process was not always linked to positive results becaus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rainee's current application and th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country to which the trainee belongs, but also the effect derived in developing countries can be involved.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performance indicators set by KOICA to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scholarship program. First, focusing on quantitative assessments,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outcomes that cannot be quantified such as trainees’ personal competency. The second is simplifying assessment factors, excluding various factors that may interven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exposure, such as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y country. Third, the long-term tracking system after the graduation is not established as an indicator.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rvey to colleagues and direct supervisors within the organization to track the trainee's performance in the long term and assess the trainee's competence and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Moreover, the indicators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 in developing countire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its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process and seek ways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ject. 이 연구는 현재 부경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참여연구를 통해 KOICA 연수사업의 효과성과 성과관리체계를 분석했다. ODA 초청연수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내생적 발전을 도모하고 원조사업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연수생이 연수내용을 업무 현장에 적용하여 개발도상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연수를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연수생의 자국에 적용하는 개념을 “현업적용”이라 하며, 연수사업의 성패여부를 결정하는 성과로 볼 수 있다. 학위연수사업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핵심 전문인력의 학위취득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연수사업에서 가장 규모가 크지만,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여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부경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성과를 설문조사, 에세이, 심층면담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연수사업은 연수생 개인역량과 연수생이 속한 조직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성과관리 체계는 연수사업 성과를 단기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에 집중하고 있으며, 성과도출에 개입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배제한 채 평가요소를 단순화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연수사업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수사업 환류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연수사업의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ODA 사업으로서의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체계에 질적조사 방법을 확대하여 연수생 개별사례를 수집하고, 졸업한 연수생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과 성과관리 전담부서신설이 필요하다.
기술경영가족회사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사례
As business paradigm shifts toward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industry, so-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enterprises is becoming the core capability of growth momentum for the future. Accordingly, Management of Technology (MOT) is being paid attention to construct systematical planning and operations on technological strategy, thereb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relationship in MOT-relevant domains. Due to this reason, academia manages the family membership system that enables mutual collaborations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to achieve their win-win strategy and makes customized cooperative systems to share their human and property resources systematically. Particularly, it is vital to operate the family membership system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the MOT domain because family enterprises need to endeavor the establishment of value-toward technology strategy within the framework of those cooperative systems. For such the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state-of-the art of the family membership system managed by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of Technology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also proposes vitalization strategies of this membership system so that famliy enterprises located in the east-southern area in Republic of Korea can gain MOT-oriented innovative capability.
건설프로젝트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되는 설계변경이라 함은 시공 도중 예기치 못하였던 사태의 발생 등이 있을 때 당해 계약의 목적을 변경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설계의 일부를 변경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공사량의 증감이 발생한 때에는 계약금액을 조정하게 되는 제도이다. 건설사업은 사업 초기에 합리적인 계획을 한다 하더라도 사업조건상 불확실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시공과정에서 설계변경의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충분한 사업기획 및 조사의 미흡으로 인한 설계변경은 심각한 품질의 문제와 처리절차의 부재, 계약규정의 미비, 책임소재의 불명확성 등으로 그 처리과정에서 전체 공사비의 상승 및 공기지연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립대학교의 교육시설 확충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설계변경 원인들을 분석하고 설계변경에 따른 피해 정도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사립대학의 교육시설 확충 사업에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해당 사업의 사업기획 단계 또는 시공 단계에서 불필요한 설계변경을 막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 발생되어지는 설계변경은 공사를 감독하는 관리자가 사전에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시공도중 설계변경으로 이어짐에 따라 부실공사의 원인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로 하고 있는 설계변경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향후 공사비 증가나 공기지연 등의 문제를 일부나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9일부터 10월 26일까지 대학생을 5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구 개발을 실시하였다. 개발 절차로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 고찰 및 전문가 대상 면담을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내용타당도 및 예비검사를 실시를 통해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Q행렬을 개발한 후, 자카드 계수, 중다회귀방법 및 문항타당도 검증을 통한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 Q행렬 및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핵심역량 개인 및 집단 프로파일의 특성 및 검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Excel 2016, SPSS 25, R-4.0.4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Q행렬 타당화 과정에서 자카드 계수, 중다회귀방법 및 문항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예비문항 55문항 중 변별력이 떨어지는 6문항을 삭제하여 총 49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 대학생 핵심역량 프로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문항패턴에 따른 역량 보유수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인 프로파일 뿐만 아니라 집단별 프로파일 분석에서도 문항패턴에 따른 역량보유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존 검사도구와 달리 총점이 같더라도 문항반응패턴에 따라 개인 맞춤형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대학이나 기관 등 그 규모가 큰 현장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집단별 개입방안 수립의 근거에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한 진단도구 개발을 통해서 검사 소요시간 단축 및 해석이 용이하고, 검사 후 총점이 같더라도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진단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실제적인 개입 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a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To this end, after collecting data from 505 college students from October 19 to October 26, 2021, a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The development procedur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review of prior research on core competenc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elected final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preliminary tests. After developing the Q matrix based on the final preliminary item, the validity of the Jacquard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item validity were verified to confirm the final Q matrix and item.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test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individual and group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nd Excel 2016, SPSS 25, and R-4.0.4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a total of 49 items were selected by deleting 6 items with poor discrimination among 55 final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Jacquard coefficient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Q matrix verification proces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e competency profile of college students, the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the item pattern was presented. Third, not only individual profiles but also group profile analysi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the item pattern. Unlike existing inspection tools, even if the total score is the same, a personalized profil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question response pattern.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for each group in consideration of large-scale sites such a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ctual intervention plans by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that reflec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even if the total score is the same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using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s.
대학경쟁력향상을 위한 관광관련학과의 이미지 포지셔닝 전략에 대한 연구
This paper analyze an image positioning about department hotel tourism at colleges of Busan area.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n positioning strategy for improving competitive power about department hotel tourism at colleges of Busan area. Recently, It is aggressive competition of department hotel tourism at college in Busan area, because it is created department of hotel tourism and decreased in education population. Many research and the efforts are concentrated in each university for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 power. There are almost no researches related to College's enhancement of competitive power. Therefore, it is urgent to the research for the enhancement of department competitive power at college. In this paper, the consumer of colleges is determined as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workers who work in service industry. This paper is established a Positioning Strategy through this kind of a result in the point of view of the consumer of the education. This study is a empirical analysi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MD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about consumer of colleges. By using the MDS analysis, it was analyzed to the image positioning of department hotel tourism at colleges of Busan area and the competitive relation between an colleges. By using the IPA, it was found to the attributes that is able to improve for every department hotel tourism at colleges of Busan area. This paper established an Positioning Strategy for improving competitive power about department hotel tourism at colleges of Busan area. 본 연구는 부산지역 전문대학의 호텔관광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경쟁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각 대학별 장점은 더욱 증진하고 단점으로 작용한 속성에 대해서는 빠른 보완을 함으로써 향후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무한경쟁의 시대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향 과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문대학의 관광관련학과 수요자를 예비신입생(고교 3학년 학생)과 산업체 인사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유사성분석, 선호도분석을 실시하여 각 대학별 관광관련학과에 대하여 상호 경쟁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중요 선택속성 분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선택속성별 경쟁관계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유사성 분석에서는 예비신입생(고3 학생)들은 경남정보대학과, 동의과학대학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주대학과 대동대학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으며 또한 동주대학은 부산경상과도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여자대학과 부산정보대학도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사성분석에서 산업체인사들은 부산정보대학과 부산여자대학 경쟁관계에 있고 동주대학과 부산경상이 서로 밀접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대학들은 독자적으로 존재하여 상호 경쟁관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호도 분석과 이상점분석에서 예비 신입생(고3 학생)들은 경남정보대학이 가장 이상적인 대학으로 인식하고 있고 동의과학대학이 약간의 차이로 다음으로 이상적인 대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부산정보대학과 부산여자대학 부산경상대학이 다음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대동대학 동주대학 동부산대학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인사들을 대상으로한 대학의 선호도 분석과 이상점 분석에서는 경남정보대학, 동의과학대학, 동부산대학이 비교적 이상적인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대학들도 비슷비슷한 선호대학으로 나타났다. 속성벡터을 이용하여 속성값들간의 경쟁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다. 예비 신입생(고3 학생)들은 다중 회귀분석 결과 속성점들이 1사분면에 모여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속성들에 대한 경쟁관계는 경남정보대학이 가장 속성값이 높고 약간의 차이로 동의과학대학이 경쟁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부산경상대학, 부산여자대학, 부산정보대학이 위치하고 있고 다음으로 동주대학, 대동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부산대학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인사들은 다중 회귀분석 결과 속성점들이 4사분면에 모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속성들에 대한 경쟁관계는 경남정보대학이 가장 속성값이 높고 약간의 차이로 부산여자대학, 부산정보대학, 동의과학대학이 경쟁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어서 부산경상대학, 동부산대학, 동주대학이 많은 차이로 위치하고 있으며 끝으로 대동대학이 가장 속성값이 낮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남정보대학과 동의과학대학은 서로 밀접한 경쟁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대학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하여 교육의 각 수요자별로 집중노력에 해당하는 속성들을 더욱 개선하여 학과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살펴보면 예비신입생(고3 학생)들이 전문대학 호텔관광관련학과를 진학하기 위해서 대학을 선택할 때 학과의 인지도나 학과의 선택속성보다 대학의 브랜드이미지가 우선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치열한 입시 경쟁에서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가 그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학과 브랜드 이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의 적극적인 개선이 최우선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예비 신입생(고3 학생)들이 대학과 학과에 대한 입시 정보의 부족으로 기존의 대학 브랜드 이미지로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대학과 학과의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업체 인사들은 전문대학 호텔관광관련학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을 채용을 위해 대학을 선택할 때 학과의 브랜드 이미지가 그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로 작용하기 때문에 학과의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는 재학생들의 전공실력 향상을 위해 우수한 교육과정과 우수한 실습환경 및 실질적이고 교육적인 산학협력을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만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차원척도법에서 경남정보대학과 동의과학대학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두 대학에 대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여 각 대학별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향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유지해야 할 속성,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속성은 더욱 관리하고 과잉투입이나 불필요한 상태의 속성들은 더 이상의 자원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도록 분류하였다.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 결정 요인 분석 : 한국을 중심으로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determina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Universities. Along with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Korea is also continuously expanding investment in R&D, and universities are emphasizing their role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gents that can create future growth engine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et. However,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f each university is deepening.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univers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 fundamental problem was not solved, and it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the capabilities related to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Universit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solve the capacity building related to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Universities.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ere composed of human resource factors and financial resource factors, knowledge and technology dimension factors, and management resource and strategy factors. The impact of determina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universities was analyzed using panel data for seven years from 2014 to 202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full-time university profess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Second, suburban research expen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ird, suburban research expenses have a stronger influence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an in-school research expenses. Fourth, the personnel dedicated to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Fifth, the size of co-utilized equi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suburban research expense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an in-school research expenses. In addition, unlike the latitudinal analysis, the time serie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the size of co-utilized equipmen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gradually increased.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each university should consider for creat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university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rather than immediate changes. 본 연구는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에 따라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지식기반경제로 패러다임이 변화하였으며, 대학은 기술과 인력양성 등의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사업화 주체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다만, 각 대학의 기술사업화 역량의 차이는 심화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학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을 실시하였으나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 대학 기술사업화 성과와 관련된 보유 역량의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않았다. 이에 따라 대학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과 관련된 역량 강화의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적자원 요인 및 재정자원 요인, 지식·기술차원 요인, 관리 자원·전략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요인이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인 기술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개년도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대학 전임교원의 수는 기술사업화 성과에 정(+)의 영항을 미친다. 둘째, 교외연구비는 기술사업화 성과에 정(+)의 영항을 미친다. 셋째, 교외연구비는 교내연구비보다 기술사업화 성과에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넷째, 기술이전·사업화 전담 인력은 기술사업화 성과에 정(+)의 영항을 미친다. 다섯째, 공동활용 장비 규모는 기술사업화 성과에 정(+)의 영항을 미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교외연구비가 교내 연구비보다 기술사업화 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횡적 분석과 달리 종적 분석에서 공동활용 장비 규모가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을 위해 각 대학에서 즉각적인 변화가 아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학별 상황에 따라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에 대해 건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evention plan of brain drain through analysis of determinants of brain drain in terms of creating a structure of fostering manpower with a good quality from provincial universities, supplying them in local industry and expanding employment of graduates from local universities in the local area. If considering the goals of the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Project to foster middle-grade workers necessary for the local area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rain drain. Through the analysis, we have tried to identify the ways to take advantage of human resources for community development while relieving the poor labor market situation of provincial university graduates by making local talent remain in the area.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brain drain based on the data of 28,100 four-year provincial university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the NURI Project. University locations have been divided into 11 locations and the labor markets into 6 regions considering their geographic accessibility. Factors affecting brain drain from local universities graduates have been analyzed by examining brain drain determinants through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locations and outside these regions. Also we have identified the features of the metropolitan area employment and other local area employment compared with the local employment by extending to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determinants of brain drain from locations showed that the higher GPA and SAT scores a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This shows brain drain from local. The larger the number of the entrance quota/employment location employee is and the smaller GRDP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This indicates that brain drain happens by the lack of jobs within local. The larger the enterprise scale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This also partly explains that brain drain happens looking for decent jobs. These results show that jobs are important factor in the brain drain of the local. The nearer the distance to Seoul City Hall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It indicates that the easier the metropolitan accessibility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of local talents is significantly and that spatial distance is an important factor to local talent brain drain. The results of determinants of regional brain drain show that the higher GPA and SAT score a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This means brain drain of regional outstanding talents. The probability of regional brain drain is less than that of local brain drain. The larger the number of the entrance quota/university graduate employee is and the smaller GRDP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Brain drain happens by the lack of jobs in the region. The larger the enterprise scale is and the smaller the numbers of employment location and employee of large enterprises/employment location employee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This shows that brain drain happens looking for decent jobs as well as jobs within regions. The regional analysis results shows that job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regional brain dr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create decent jobs within regions is more important task in order to reduce the brain drain. The nearer the distance to Seoul City Hall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This shows that the spatial distance acts as an important element in brain drain and that the nearer the distance to the metropolitan area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ain drain is significantly. For distance variable, the probability of regional brain drain is smaller than that of local brain dr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gionalization of labor market is efficient for community development making local talents remain in their own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social responsibility is required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so that higher educated human resources may play their own role within the community. Second, if finance supporting policies for education which are highly linked with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are utilized, employment will increase within local regions. Third, it is more important to create decent jobs within regions of labor market in order to use talents who are educated in local universities as a key factor for community development. Fourth, it is needed to find the ways to take an advantage of talents by widening regional labor market beyond administrative locations.
국립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인식조사 : P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t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located outside the capital area. It also examined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Curriculum.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by analyzing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Curriculum at stage one of the medium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2019-2023) of P University. The research selected more than 3,000 students studying at national universities outside the capital area to compare P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Liberal Art Curriculum with them. It aimed at analyzing each university’s educational polic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re Competency program and its sub-elements, goal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nagement condi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e analyses used the ‘Student Planning and Evaluation Team’ report organized by P University in 2021. It contain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number of respondents to the objective questions was 1,235, and that to the subjective questions was 1,237. For further investigations, five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Students’ opinions and understanding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by looking at its development, operation, performance, an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The following is the analytical result: First, although the Core Competency program classifies Liberal Arts subjects and sets various standards for each Liberal Arts subject, students cannot understand its aim due to the lack of guidance and promotion of the Core Competency program. Thus, they are unable to develop their abilities. Second, further discuss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program is needed. According to the ‘Student Planning and Evaluation Team’ report, many students requested the opening of courses in various subjec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which reflects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rd, to achieve the goal, the institutions must systematically tackle the proble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Through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had a low perception of P University’s attempt at curriculum improvement. The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al system to feel its reform and innovation directly.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reforming P University’s Liberal Arts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