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지역중심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운용실태와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대학도서관은 교육 및 학문 연구 등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대학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중심 국립대학과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예산운용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지역중심 및 지방거점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 운용 실태를 분석한 후, 다시 지역중심 국립대학 중 순천대학교와 지방거점 국립대학 중 전남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현황 및 예산 운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황으로는 조직 및 인원, 장서개발 및 확충, 시설확충, 이용자서비스 등 4개 분야를 들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해 개선방안으로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대학교의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는 4개 분야의 실태를 진단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예산확보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및 인원을 확충해야 한다. 지역특성상 목포대학교는 해양․역사분야 주제전문사서와 디지털 도서관 인적 인프라로써의 전산전문요원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유사규모의 지역중심 국립대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장서개발 및 확충을 해야 한다. 셋째, 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해야 하며, 지하 보존서고의 설비 개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 해결 및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용자를 위한 제2도서관 신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학술정보 이용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 프로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구축된 홈페이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여 확대 실시하며 특성화자료 열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도서관 예산확보 방안이다. 방안으로써는 먼저 목포대학교 도서관이 대학 내에서만 머물지 말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서, 인근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도서관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이 대학본부의 각종 예산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참여 하여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중요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도서관이용자의 요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구성원들에게 주요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문, 기업 등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4개 분야의 예산 집행의 개선방안과 위에서 언급한 예산확보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목포대학교 주변 환경의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University libraries have assigned important duties to assist supposed functions of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and to lead the universities prospe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n improved scheme for efficient budget operation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get operations of main universities in the region. For this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budget op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regional universities such as Suncheo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ir actual conditions of budget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llection development and expansion, facility expansion, and user services are us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fi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an efficient budget planning scheme is proposed. The four main ground data for budget operation planning were used to find problems along with an improved schemes and present a budget allocation scheme as follows. First, shoul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kpo National University needs special librarian for the ares of marine and history and computer operators for digital library according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should expand the collections to match the levels with similar size regional hub national universities. Third, should expand the facilities and boost the environments along with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stack rooms. The second library is required for IT environment and more space for users. Fourth, should boost the user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usage program. And need to develop a Web site with foreign languages along with guid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lso, need to activate the open libr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llocation scheme for the budget of the library. A scheme is to utilize the municipal government’s budget through co-working with local societ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the director of the library need to be a committee member of the university budget evaluation. Also, library users opinion are important, so deman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lanning the budget for the main projects. Other than these,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from alumni, companies and so on. Previously mentioned budget secure schemes and the four aspects of budget execution improv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brary budget operation planning. A policy direction for the library budget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Mokpo National University.
목포대학교 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대학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숙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목포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필요 영역 등 금융분야 선호도를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 및 이용교육 경험 여부와 연계하여 금융교육 제공기관으로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의 한 방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이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동향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대학생의 금융 분야 선호도 및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현황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의 금융교육 실태와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을 얻고자, 목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도서관 이용실태, 금융교육의 필요성,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대학도서관 개설에 대한 타당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사회 봉사적 역할을 강화하여,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나아가 여력이 된다면 지역주민에게까지 유용한 교양 프로그램 특히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둘째, 금융전문 사서가 금융교육을 담당하여 제공한다. 대학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 이용교육에서 나아가 평생학습기관으로서 교육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이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금융관련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또는 대학생과 지역민에게 금융전문사서가 금융교육 관련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동아리를 운영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금융교육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하고 유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을 활성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financial education of mokpo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investigates undergraduates and then makes the financial information needed by the library as the targe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six par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and attitude of financial sector, library’s use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library’s financial knowledge. Using SPSS18.0 statistic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paper makes reliability test. In addition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ach survey area, the paper makes range analysis of students in each specialty and in each grad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are that, the mor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financial education, th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al, once the library opens courses in related financial education, the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and regardless of high and low ages, all like to take part in the courses. According to above contents, the best solu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ibrary’s education function and community services, and opening financial education courses; second, financial professional officia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finan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find out diversified education plans, and improve activate use of university library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education, but also in all sorts of fields.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권의 산업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성원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이 논문은 새로운 국제기술 질서의 재편과 관련되어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경제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발전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에서 목포권의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를 중심으로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산학협동의 기본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권의 제조업체 대표와 종합대학의 산합협동과 관련있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회과학 통계기법 가운데 하나인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권의 산합협동의 실태,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와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학협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는 첫째,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계와 산업체 모두 알고 있었다. 둘째, 산학협동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는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는 ⌜산업체에 대한 이해 및 현장감 증진의 계기⌟와 ⌜산학현장의 기술상 애로 사항 해결⌟이라고 하여 대학과 산업체와의 인적 교류 측면에서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학협동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이며 그 역할을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목포권의 산학협동에 관한 실태 인식에서 잘 이루어진다라고 견해보다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산학협동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의 소극적인 자세라고 응답하여 산학협동의 원칙인 자발성의 원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음으로 산합협동의 문제점을 형태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의 산업체 강의는 산업체에서 교수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둘째, 산업체 인사의 대학 강의는 학교에서 산업체 인사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산업체 인사 참여는 산업체에 의한 문제점보다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현장실습은 ⌜산업체와 대학의 현장실습 목포의 괴리⌟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산업체 위탁생 교육은 ⌜산업체 위탁생에 대한 학자금 보조, 근무시간 단축 등의 배려가 미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장학금 지급은⌜선발된 우수 학생이 장학금을 받게 하고, 졸업 후에는 장학금을 지급한 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조치가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일곱째,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험기기 및 시설 대여는 ⌜산업체의 실험기기 및 시설이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아홉째, 대학에 대한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은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하는 산업체에 대한 면세등의 혜택이 미흡⌟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권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학 측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에 맞는 인력 양상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에 노력해야 하며, 현장 실습의 대상 사업체 선정 기준 및 교수의 의식 전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측에서는 졸업학생에 대한 인턴제 활용을 통한 우수 인력 확보에 노력해야 하며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재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고, 정부에서는 중재를 위한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object this thesis is to promote technic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achive the thesis' object, the followings have been done; first, the need for this stud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n,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surveyed, which are from the recofnition which university professors and industrial workers ha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Mokpo Area. Next, som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re suggested. Finally the rational university-industrial cooperation methods which are outlined to the industry stucture in 21C; This Thesis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a flexible curriculum which are suitable to foster industry which the intern studeunt will practice, and the professor's consciouness on cooperation system are converted. On the other side, industry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an excellent worker through the intern system. And, above all, a positive evaluation on local university of industry must be made. However, the mutual efforts of both university and industry are crucial for those suggestions to be effective.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정에 관한 연구 : 목포시를 중심으로
박남규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혀냄으로서 효율적인 예산편성과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지역은 목포시에 초점을 맞추며, 지방의회가 개원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목포시 일반회계로 한정한다. 연구자료는 지방재정연감,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기본지침, 세입‧세출 결산서, 통계연보, 의사록, 관련 문헌 및 논문 등을 주로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목포시 예산은 자체수입이 매우 빈약하며 불합리한 제도와 운영 등으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연구 겨로가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자체수입의 확대 방안이다.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지역간 균형 발전과 지방재정의 책임성 제고를 위해 일부 세율과 세목을 지방자치단체가 결정하는 독립지방세를 도입한다. 그리고 토지 및 소득에 대한 과세권과 세율 조정권을 지방자치단체에 부여하고 지방교부세율을 상향조정한다. 또한 지역 특성을 살린 지역개발세‧관광세‧지방주행세‧지방소득세‧지방소비세를 신설하고, 각종 수수료 사용료 등을 현실화‧유료화 하며 국세의 일부를 지방세로 전환할 것을 주장한다. 둘째, 제도 개선 방안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이 갈수록 확대됨에 따라 경비구조가 복잡해지고 행정기술도 고도화‧전문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잇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현행 단일 회계연도에서 장기화‧계획화‧연동화 할 수 있는 예산편성 제도로 바뀌어야 하고, 이와 함께 복식예산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시의원 선거구를 동 단위제를 폐지하고 시 전체를 하나의 선거구로 조정하여 나누어 먹기식 예산 심의를 방지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예산심의 기간을 국가예산이 확정된 이후에 지방자치단체예산이 심의될 수 있도록 조정이 필요하며 예산편성 지침도 현행과 같은 획일적 규제를 지양하여 포괄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업무 중 민영화가 가능한 부분은 과감히 민영화 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여섯째, 재정성적표를 공개하는 방안이다. 지방재정 성적표를 공개하여 지방재정운영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재정운영에 모범을 보인 곳과 문제를 야기 시킨 부서 및 관련자를 공개하여 시민‧의원‧공무원들이 모두 자신의 재산을 운영한다는 자세로 임한다면 효율적인 예산운영이 될 것이다.
목포권에서는 수많은 개발사업에 대한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또 이런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많은 개발계획서도 발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계획서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개발계획서를 통해서 목포권 개발사업의 동향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목포권 개발사업의 특징을 파악하고,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이루어지는 타당성분석의 실시내용을 살펴보고, 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분석의 항목과 기법을 제안하여 목포권 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1. 목포권 개발계획서의 유형은 제안부처별로 보면 목포시에서 발표한 개발계획서가 다른 주체들보다 많았고, 시기별로 살펴보면 1989년과 1994년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서해안 개발 계획이 발표된 이후에 개발계획서가 주로 발표되었고, 또 1994년의 지방자치제의 시작으로 인한 공약 발표에 대한 개발 계획서들로 목포권 개발계획서는 서해안 개발계획과 지자체의 공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개발사업에 대한 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단계별로 살펴보면, 비법정계획단계와 실시계획 및 실시단계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비법정계획의 사례가 많은 것은 법정계획으로 결정되기 전에 준비·수정을 계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계획 및 실시에 대한 사례가 많다는 것은 개발 계획서의 내용이 개발계획의 실시현황만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므로, 계획서로서 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2. 목포권 개발사업의 동향을 살펴보면, 도로부문의 상당수 개발사업이 서해안개발계획 이후 법정계획화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부문의 각 개발사업은 우선 순위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철도부문의 개발사업의 경우 구상단계가 많고, 법정계획이 된 사업조차 실시되지 못한 경우가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호남선복선화와 대불공단 인입철도의 개발사업은 조속한 마무리가 필요한 시점이며, 도로부문과 연계를 통해 사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항만부문의 개발사업은 모두 법정계획이거나 법정계획화 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차질 없는 사업의 실행이 필요하다. 개발사업의 완료시기에 따라 지역간 연계를 살펴보면, 2001년까지는 무안국제공항과 서해안고속도로의 완공으로 목포권의 골격이 잡히게 되며, 2006년에는 대부분의 개발사업이 완공되어 목포와 무안공항의 연계와 대불산단과 목포 및 다른 지역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질 것이다. 2006년 이후에 목포신외항이 완공되면 목포권 개발사업이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부문의 고른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31개 개발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2006년 전후에 목포 및 목포권의 개발은 상당한 수준이 될 것이다. 그러나 2001년에 무안 국제공항이 완공된 이후에 무안국제공항-목포간 고속도로가 2005년에나 완공됨으로 무안국제공항과 목포간의 연계가 시기적 차이를 보이고 있음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3. 목포권 개발사업을 도면으로 본 특징은 첫째, 몇몇 사업간의 연계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사업간 연계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위사업위주의 개발사업이고, 둘째 목포권 전체를 순환할 수 있는 망 형성이 되어있지 않다. 셋째, 핵심개발사업(지점)이 무안국제공항, 신외항, 목포역, 목포IC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개발사업이 서해안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개발계획서의 문제점은 정부에서 발표한 1989년의 서해안 개발계획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 서해안개발계획에 발표된 개발계획을 미리 구상하고 제안한 개발계획서도 있지만, 이것은 소수에 지나지 않고 정부의 법정계획에 반영되기 위한 목포 나름의 구상과 준비단계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싶다. 개발사업의 수립과정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개발사업이 실시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할 계획과정의 누락 및 미비점이 많다. 상당수 개발사업에 대한 계획이 정부에서 수립·법정계획으로 된 개발사업을 토대로, 지역의 개발계획서가 작성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지역의 대응, 대비가 불충분함을 알 수 있다. 목포권 개발사업의 위치를 보면 계획수립시 사업 간의 연계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서해안에 사업이 집중되어 있는 것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개발사업의 실현과정상의 문제점은 재정상의 이유로 인한 것이 많다. 개발사업을 실현하려면 사업비가 필요한 데, 목포권 개발계획서에서 사업비를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이 극히 드물다. 앞으로 개발계획서에서는 개발사업의 실현에 필요한 사업비의 추진상황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며, 한정된 재정을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계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활용한다면 개발사업이 원활하게 실시되고 사업완공 이후의 성과도 크게 나타날 것이다. 5. 한국과 일본의 타당성 분석 작용 현황을 보면, 기존의 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절차 및 평가기법에 대해 한국에서는 예비타당성조사와 일본은 착공준비제도를 도입하여 평가절차를 강화하고 있다. 6. 경제적타당성분석은 한국은 교통수요추정을 통해 편익을 산출하고, 비용의 산출을 통한, 경제적 타당성분석기법인 B/C, NPV, IRR을 통해 분석하고, 변수들의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한 민감도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효과의 계측 및 편익의 평가기법을 통해 편익을 산출하고 비용을 계측한 후 B/C 분석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고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7. 한국과 일본의 타당성분석과정을 비교분석 해보면, 첫째, 공공사업절차에서 공통점은 예비타당성조사와 착공준비단계의 추가 및 한국에서는 예비타당성조사시 예비타당성평가와 타당성조사시 타당성평가, 유지관리시 사후평가가 실시되고, 일본에서는 착공준비시 사업평가각, 사업착수시 신규사업평가가 완성공용시 사후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이점은 일본에서는 사업채택후 5년이 경과한 사업인 10년간 계속사업에 대해서 사업 재평가를 실시 하고 있다. 둘째, 개발사업의 분석항목에서 공통점은 한국의 대상사업의 조사와 일본의 조사의 완료가 있고, 한국의 관련계획조사 및 검토와 일본의 다른 프로젝트와의 관련, 한국의 경제적 타당성평가와 일본의 투자효과의 유무, 한국의 재원조달계획의 실현가능성 및 적정성평가, 재무적 타당성 분석과 일본의 원활한 사업진행의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 한국의 환경의 쟁점분석과 일본의 생활환경계의 확보가 있다. 차이점을 보면, 한국은 종합분석(다중기준분석)과 기술성분석이 있고, 일본은 안심할수 있는 주거를 위한 국토의 실현으로 도로의 방재대책 및 위기관리의 충실을 추가하고 있다. 셋째, 경제적 타당성분석의 공통점은 한국의 편익의 추정 및 산출과 일본의 효과의 계측, 한국의 비용의 산출 및 추정과 일본의 비용의 계측, 경제성분석기법으로 B/C분석 및 할인율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차이점은 일본은 편익에 여러 가지 평가 기법을 제시하여 각 사업에 적당한 기법의 사용을, 한국은 경제성분석기법에 NPV, IRR, FYRR을 추가로 사용하고 있다. 8. 개발사업에 적용할 평가항목(안)은 한국의 모든 항목을 기본으로 제안항목의 예비타당성평가에는 일본의 개발사업에 대한 평가항목 중 경제성분석에서 일본의 편익의 평가기법과 정책적 분석에서 활력있는 지역만들기·도시만들기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국토실현의 항목을 추가하였고, 제안항목의 타당성평가에는 경제성분석의 편익의 평가기법 항목을 추가하였다. 편익의 평가기법은 편익을 화폐가치화하는데 중요하게 이용될 것이다. 9. 제안한 예비타당성평가를 통한 목포권개발사업의 타당성분석은 전남중부고속도로 개발사업은 기존방법과 제안방법 모두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안-광주간 고속도로 사업에 대해서는 기존방법과 제안방법 모두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도 2호선 대체 우회도로사업도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두 방법 모두 같은 결과를 나타내지만, 제안방법이 경제적 타당성이 있을 때는 더 높게 경제적 타당성이 없을 때는 더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할인율 적용의 차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목포권 개발사업의 사업채택 후 타당성조사 이전에 사업을 분석해보고자 할 때, 이 제안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업채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목포시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사인디자인 연구 : 차없는 거리를 중심으로
신수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e image of a city is mainly determined by the design combination of streets, buildings and signboards. Signboards are not only media of advertisement, but also an important axis for the beauty of a city. Therefore, the aesthetic element is a necessity for signboards. However, signboards in small towns have been designed just as media of advertisement, so they should be big and have big letters in primary colors which do not harmonize with surrounding buildings. They are a uniform and do not help for the beauty of their cities. The impact of signboards to the beauty of a city should be understood and some regulations, inducing to design harmonizing signboards have to be legisl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finding realistic and practical proposals for the signboards design to improve the beauty of Mokpo city, and the flowis : 1) study of the concept of “the beauty of a city” through documents 2) study of the concept, elements and function of signboards 3) providing actual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signboard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4) study of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Mokpo city / focus on four streets in the old downtown to make concrete proposals for the sing boards improvement 5) field study of four streets to grasp problems and to suggest changes Through these steps, this paper is looking for realistic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beauty of Mokpo’s old downtown in the views of color, shape, letter, and illustration which are key elements of plastic arts. Additionally, this paper offers some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each business category. Lastly, this paper compares pre-and post-redesign image of signboards of some stores which need changes for the harmonized image in four streets.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be an ignition for the redesign of signboards in Mokpo’s old downtown, and finally could be a small help for the improvement of the beauty of Mokpo city. 한 도시의 문화적 수준을 가늠케 하는 도시 이미지는 가로와 건축물, 그리고 여러 사인보드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사인보드는 광고를 위한 매체인 동시에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조형물이므로 미적 요소는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방 중소도시의 현실은 사인보드와 글자는 무조건 크게, 색상은 원색적이며 주위 건물색채와 어울리지 않는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도시미관의 중요한 축으로써의 임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 사인보드가 도시미관에 미치는 영향의 중대함이 인식되어 각 도시 개성에 맞는 조례가 갖추어지고, 체계적인 사인디자인이 유도되어 도시미관이 정리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 목적은 목포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현실적이면서 실용적인 사인보드 정비 및 디자인 개선안 모색이며, 구체적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미관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구체적으로 사인보드의 개념, 구성, 기능을 정리한다. 셋째, 국내외 사인보드 사례 파악을 통해, 개선안 마련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넷째, 조사지역(목포)의 역사와 특징을 조사하고 구체적 개선안 마련을 위해 연구 범위를 목포시 구도심 거리 중 수문로, 빛의 거리, 젊음의 거리, 보해상가로로 한정한다. 마지막으로, 조사거리의 사인보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사인보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타시도의 사인보드와 구도심 사인보드를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 논문이 목포시 구도심 거리의 사인보드 개선을 위한 계기가 되고, 결과적으로 목포 도시미관 정리에 조그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대학생의 여가활동참여에 따른 대학만족·생활만족 비교분석
박성수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대학만족․생활만족도의 차이비교, 여가활동유형과 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광주전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총 4곳(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목포대학교, 동신대학교)에 재학중인 549명의 자료를 SPSS for Win 12.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연령 건강상태, 전공계열, 학업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연령, 건강상태, 거주형태, 학업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스포츠활동이 가장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여가활동유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은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여가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 결과는 야외활동, 스포츠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정도가 높은 고참여 집단이 저참여 집단보다 대학만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사교활동, 스포츠활동, 야외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생활만족도가 높고 참여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정도가 높은 고참여 집단이 저참여 집단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with life outside university in students who join leisure activities. and I used SPSS for Win 12.0 tool for a T-test and ANOVA and I also verified data using the Scheffe tool with 543 students(Subjects) who are studying a 4-year-university course within Jeonnam province at Jeonnam, Chosun, Mokpo and Dongshin Universities. And I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attending university and I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ages, conditions of health, majors and school records in the statistics. Second,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outside university and I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ages, conditions of health, type of dwelling and school records in the statistics. Third,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attending university and I found that It has some differences in the statistics, bu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were the most satisfied subjects recorded among in the leisure activities. Fourth,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outside university but there were no any differences. Fifth,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at university and I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outdoor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in the statistics. and I found students who joined in leisure activities have high satisfaction while living at University. Sixth,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outside university with the leisure activities and I found that students who joined in social activities, sports activities and outdoor activities had higher living satisfaction measurements. Concretely, the more that students engaged in activities, the higher their living satisfaction measurements.
가연성 폐기물의 적정처리를 위한 기초 연구 : 목포시를 중심으로
김연주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목포시에서 발생되는 생활폐기물의 중 가연성폐기물의 발생량, 배출특성,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 등을 파악하여 매립장의 매립용량증진, 기존 매립장의 수명 연장 등을 통하여 매립장의 장기적 안정사용을 위한 소각처리기술도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포시 생활폐기물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목포시 폐기물의 발생량은 95년 종량제 도입 이후 98년 IMF를 기점으로 61.72% 감소, 99년 이후 다시 증가되기 시작하여 2002년도에는 8.9%가 증가되었다. 하지만 2003년에는 2002년에 비하여 16.5%가 감소되어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다. 2) 목포시 폐기물의 원소함유량은 탄소(C)성분이 평균 5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황(S)성분이 평균 0.2%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소각 시 발생되는 SOx나 NOx등 유해성 배기가스의 함량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3) 목포시에서 발생된 생활폐기물의 가연성 성분의 평균 저위발열량은 약 3622.1 ㎉/㎏으로 음식쓰레기가 분리수거 되면서 발생량이 낮아 졌고, 상대적으로 비닐류, 플라스틱류, 스티로폼과 같은 발열량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은 종류의 쓰레기 비중이 높아진 까닭으로 여겨진다. 4) 목포시에서 발생되는 생활폐기물에 대해 중금속 용출시험에 대한 분석결과 Cu, Cr이 약간 검출되고 있으나 지정폐기물 법적기준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나머지 항목은 검출되고 있지 않았다 5) 목포시 생활폐기물의 가연성 폐기물은 수분함량이 감소, 가연분 함량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중금속 용출량도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고 소각 시 발생될 수 있는 유해가스의 함량이 높지 않아 목포시 생활폐기물이 소각이나 열분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의해 처리될 경우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proposed to provide new cremation treatment with fundamental data which was derived from various research on the municipal solid waste(MSW), such as quantity and characteristic discharge method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of wastes substance.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long-term and stable operation of reclamation site by enlarging reclamation's capacity and life. As follows are result of analysis on wastes discharge from living in Mokpo-City 1) After introduced a waste charge system(the measured rate system of MSW) in 1995, the generation quantity of MSW from the Mokpo city was on the decrease to 1998, in about 61.72% comparing to that of 1995, and thereafter, it begins to be increased again. In recent, however, the increasing rates, as shown as from 8.9% in 2002 to 7.4% in 2003, indicate a gradually reducing trend again with the time. 2) Wastes of Mokpo contain 59.1% of C and 0.2% of S. It result in low discharge of harmful exhaust gas in cremation, such as SOx or NOx 3) The averaged LHV(Low Heating Value) of combustible component indicates about 3622.1 ㎉/㎏ in living-wastes in Mokpo. It result from segregated garbage collection and large portion of Vinyl, Plastic, Styrofoam as like which has high heating value. 4) The metallic inspection on MSW in Mokpo shows that it contains a little of Cu and Cr, which is lower than standard amount of specific managed wastes. The remaining are not be detected but Cu and Cr. 5) MSW-combustible wastes in Mokpo contain less humid and more combustible than what it was before. and the portion of metal component indicates affordable in guideline. The above facts show that harmful gas is less discharged in burning out than any other district. Therefore I propose that MSW-combustible wastes in Mokpo should be cremated or make a pyrolysis,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any other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