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중심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운용실태와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도서관은 교육 및 학문 연구 등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대학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중심 국립대학과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예산운용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지역중심 및 지방거점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 운용 실태를 분석한 후, 다시 지역중심 국립대학 중 순천대학교와 지방거점 국립대학 중 전남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현황 및 예산 운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황으로는 조직 및 인원, 장서개발 및 확충, 시설확충, 이용자서비스 등 4개 분야를 들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해 개선방안으로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대학교의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는 4개 분야의 실태를 진단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예산확보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및 인원을 확충해야 한다. 지역특성상 목포대학교는 해양․역사분야 주제전문사서와 디지털 도서관 인적 인프라로써의 전산전문요원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유사규모의 지역중심 국립대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장서개발 및 확충을 해야 한다. 셋째, 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해야 하며, 지하 보존서고의 설비 개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 해결 및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용자를 위한 제2도서관 신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학술정보 이용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 프로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구축된 홈페이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여 확대 실시하며 특성화자료 열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도서관 예산확보 방안이다. 방안으로써는 먼저 목포대학교 도서관이 대학 내에서만 머물지 말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서, 인근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도서관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이 대학본부의 각종 예산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참여 하여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중요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도서관이용자의 요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구성원들에게 주요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문, 기업 등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4개 분야의 예산 집행의 개선방안과 위에서 언급한 예산확보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목포대학교 주변 환경의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University libraries have assigned important duties to assist supposed functions of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and to lead the universities prospe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n improved scheme for efficient budget operation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get operations of main universities in the region. For this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budget op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regional universities such as Suncheo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ir actual conditions of budget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llection development and expansion, facility expansion, and user services are us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fi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an efficient budget planning scheme is proposed. The four main ground data for budget operation planning were used to find problems along with an improved schemes and present a budget allocation scheme as follows. First, shoul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kpo National University needs special librarian for the ares of marine and history and computer operators for digital library according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should expand the collections to match the levels with similar size regional hub national universities. Third, should expand the facilities and boost the environments along with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stack rooms. The second library is required for IT environment and more space for users. Fourth, should boost the user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usage program. And need to develop a Web site with foreign languages along with guid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lso, need to activate the open libr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llocation scheme for the budget of the library. A scheme is to utilize the municipal government’s budget through co-working with local societ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the director of the library need to be a committee member of the university budget evaluation. Also, library users opinion are important, so deman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lanning the budget for the main projects. Other than these,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from alumni, companies and so on. Previously mentioned budget secure schemes and the four aspects of budget execution improv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brary budget operation planning. A policy direction for the library budget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Mokpo National University.

      • 교육대학교의 미술수업과 초등미술교육 현장과의 관계 : 현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숙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초등학교 교사들인 교육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정도가 얼마나 되며 그 학습정도에 따라 미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대학 미술수업을 설계,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의의를 두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 교육대학교 재학생과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미술수업을 수행하고 있는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대학교 재학기간 중의 예비초등 교사들의 미술과 관련 수강의 내용과 경험은 향후 초등미술교육의 현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적정한 초등미술수업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대안으로는 미술전담교사제도를 초등미술교육현장에 전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되겠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운 여건의 초등학교들이 더 많은 현 실정에서는 일반 초등교사들이 담임하고 있는 학생들의 미술수업을 적정한 수준으로 수행할 능력을 갖춘 교사들을 배출하는 것이 더욱 근본적이고 전면적인 대안이 되겠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의 미술수업이 양적으로 질적으로 확대되고 심화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현직 교사들이 초등미술 수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에 더 많은 연수기회를 제공하거나 미술교사용 지도서를 비전공인 일반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수준을 적정화하고 풍부한 참고자료를 첨부하는 등의 대안도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art curricula. To acquire such information, I surveyed students training to be primary school teachers. I analyzed their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to determine how their pre-art educational knowledge affects their teaching performance at school.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amined both prospective primary teachers and those currently working at school as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pre-education knowledge and college experience have been found to affect teaching performance at school. In terms of 7th education curricula, it would be ideal to develop a position of art teacher for all primary schools. Of course, this is not necessarily feasible. As such, I propose that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uld properly train art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upon the quality of art curricula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give current primary school teachers a genuine opportunity to study art education. We should make and develop many art lesson materials and provide educators with art textbooks with detailed teacher manuals.

      • 목포대학교 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대학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숙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목포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필요 영역 등 금융분야 선호도를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 및 이용교육 경험 여부와 연계하여 금융교육 제공기관으로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의 한 방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이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동향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대학생의 금융 분야 선호도 및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현황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의 금융교육 실태와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을 얻고자, 목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도서관 이용실태, 금융교육의 필요성,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대학도서관 개설에 대한 타당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사회 봉사적 역할을 강화하여,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나아가 여력이 된다면 지역주민에게까지 유용한 교양 프로그램 특히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둘째, 금융전문 사서가 금융교육을 담당하여 제공한다. 대학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 이용교육에서 나아가 평생학습기관으로서 교육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이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금융관련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또는 대학생과 지역민에게 금융전문사서가 금융교육 관련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동아리를 운영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금융교육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하고 유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을 활성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financial education of mokpo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investigates undergraduates and then makes the financial information needed by the library as the targe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six par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and attitude of financial sector, library’s use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library’s financial knowledge. Using SPSS18.0 statistic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paper makes reliability test. In addition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ach survey area, the paper makes range analysis of students in each specialty and in each grad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are that, the mor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financial education, th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al, once the library opens courses in related financial education, the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and regardless of high and low ages, all like to take part in the courses. According to above contents, the best solu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ibrary’s education function and community services, and opening financial education courses; second, financial professional officia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finan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find out diversified education plans, and improve activate use of university library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education, but also in all sorts of fields.

      • 대학 행정직원의 정원관리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심춘식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오늘의 대학은 학문연구 및 우수인력 배출을 담당했던 과거의 존재에서 탈피하여 급변하는 정세 속에 타 대학에서 제공할 수 없는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 입장에 처해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 속에 대학경쟁력 강화에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을 정도로 대학의 역할과 책임이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그리고 지방대학은 지방화 시대의 인적자원 개발, 연구개발과 사회봉사의 기능을 담당하며 지역발전의 핵심거점으로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대학에 대한 사회 각 분야의 기대와 역할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때에 새로 출범한 현 정부에서는 실용주의에 입각한 슬림화된 정부와 대국대과주의를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공무원의 인력감축이 가시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의 행정수요가 갈수록 비대해 진다고 해서, 인력은 이에 비례하여 증가되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이 한정된 인원을 합리적이며 능률적으로 관리 하느냐에 따라 대학 행정은 물론 대학 발전이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대학교의 행정을 주도하고 있는 행정직원의 인사행정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정원관리에 대한 제도적 측면과 운영 관리적 측면의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외형적인 정원의 크기와 내형적인 업무의 담당 형태에 관한 정원관리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능률적이고 합리적인 정원관리를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국립대학교에 근무하는 자 중에서 교수와 학생이 아닌 자로서 학교를 관리 운영하는 정규직원(regular staff) 및 기성회 직원 모두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국립대학교의 범위는 전체 국립대학교 중에서 2008년도 현재 5개의 광주ㆍ전남권 국립대학교를 연구 대상학교로 범위를 정했다. 이에 이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 출발하여 연구 대상대학의 현황자료와 회계자료 등을 토대로 이론적 고찰과 분석을 통하여 광주ㆍ전남 국립대학교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태분석에서 나타난 제도상의 문제점으로는 정원 배정기준 모호, 법정정원과 실제 정원 간에 차이, 배정인원의 직급 상ㆍ하 기준이 없음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대학 자체의 정원관리 및 배정 기준 모호, 기성회 직원에 대한 대학의 자체 충원의지와 교육훈련 부족, 관리자가 너무 많고 직급별 구분 배정이 업무의 경중과 무관하고, 대학의 자체 배치전환을 통한 정원관리 미흡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제도상 개선방안과 운영상의 개선방안으로 나눠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우선 제도상의 개선방안으로는 정원관리의 현행 배정기준을 대학의 현 구조를 다각도로 점검하여 모든 대학에 일률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합리적이고 구체적으로 개선하고, 국립대학의 경력직공무원인 일반직, 기능직공무원은 대학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증가추세에 있는 행정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교원처럼 국가공무원총정원령에서 적용이 제외되도록 현행의 법규정을 하루빨리 수정, 보완하는 것이다. 또한 운영상의 개선방안으로는 각 대학의 현행조직을 재검토하여 임의적이고 임기응변식의 정원 책정을 지양하고 직무분석을 통한 각 부서별 정원을 재 책정하고 정원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하며, 특히 대학 행정에서 일반직 중 5급 이상 관리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18% 이상이나 되어 6급 이하 실무자의 업무부담이 과중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자체 사무분장을 통하여 5급에게 실무자의 업무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인력부족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대학의 기구, 조직 등 대학의 특성을 참작하여 행정직원의 업무처리 질을 제고시키는 방안, 즉 대학(원) 등록금 지원과 외국어, 전산능력 등의 제고를 위한 국내연수나 해외연수 기회를 확대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아울러 부족한 행정력을 보충하기 위해 채용이 자유로운 기성회직원의 증원은 대학 법인화 대비를 위해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어, 현 기성회직원의 행정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훈련 강화와 성과급 등의 장려책을 실시하여 모두가 대학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정원의 증원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기존의 인원을 적절히 운용하는 방안, 즉 업무 완급이 시기적으로 상반되는 부서간의 정원 겸직제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끝으로 막중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대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면 외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대학의 이념 구현을 위하여 자체 구성원들이 자기 분야에 대한 책임의식과 연구 노력으로 협력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국립대학의 행정직원의 합리적 정원관리를 위해서는 인원의 과소를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시대에 맞지 않게 불합리하고 경직된 법적 제도적 장애요인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국립대학 직원이 본연의 업무라고 할 수 있는, 교수나 학생들에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별로 많은 시간을 투입하지 않고 상부기관의 요구사항이나 법적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한다면 이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행정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립대학의 학교행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행정낭비를 막고, 법령을 정비하고 제도를 개선하여 국립대학 행정직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입할 수 있도록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complement management could be the core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No matter what the organization may be, it should always be regarded and taken care of the most crucial factor. And the necessity was more keenly required in the personnel management of the present universities' administrative members because of the hugeness of the scale and members compared with other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roblems and to proposed th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lement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ive members belonging to National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5 chapters.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argument of this study was reviewed, and in the third chapter, the analyses of the current status and validity of the complement management were conducted by cross check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ir data. In the forth chapter, it was reviewed in the two parts. one is the problems of the institutional side and its improvement plans. the other is the problems of the practical side and its improvement plan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several problems : noneffective legal standard, inefficient staff arrangement, too many managerial staff, and rare supporting one's manpower development. As a means to improve the low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complement management,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 1.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Institutional Side 1) The current legal standard should be specified in some degree in order to get close to the present complement upon diversified examination of the real organization of universities, and should be placed under self-regulations of universities. Then, the personnel procedure, standard, and methods of employment in universities should be clearly represented and should be open so that appropriate persons can be quite aware of them. 2) The current legal standard should be urgently amended. The administrative members of National Universities are affected by the total capacity of personnel, doesn't have any flexibility in the personnel management due to the law which requires to reduce the employees in other institutions when it tries to hire more employees. But to cope with the increasing service requirement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surroundings, they should be ruled out the application of the law. 2.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Practical Side 1) Even though increase of administrative members would be allowed in the unavoidable case such as work transfer in new 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of set ups, the other increasing factors should be absorbed through interchange of existing manpower within organization. On behalf of it, free transfer of arrangement should be operated based on objective data from the man in power of personnel management of the personnel committee. In addition to it, the number of managerial staff should be reduced up to half of them in order to settle a manpower shortage. And to improve the management abilities of the administrative members, the investment for them should be enlarged continuously such as paying a tuition fee to enter educational institutions, giving chance to them for learning and training. 2) Capability and scale of subsidiary organization of the present office, department and section in each university should be re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necessary for each university to conduct decisively the consolidation of complement 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members. 3) Gradual improvement should be made on examination of complement, method of employment, educational training, position security and distribution of office works for supporting association members as one of organizing members of universities. 4)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work's office automation and increased efficiency and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 decreasing factors of manpower should be actively dug out and should be applied to complement management. Finally, the importance of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complement management in universities should be highly perceived in the future. Therefore, more specific study of this field should be continued.

      •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실태분석

        윤여원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행정직 公務員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느끼는 직무만족도에 대한 국립과 사립간 및 지역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동시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만족도의 關聯性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分析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에 대한 전체문항을 합하여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평균의 차이는 사립이 국립보다 전체적인 職務滿足度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보수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사립대학교가 국립대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수에 대한 지역별 평균은 광주지역이 전남지역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사립,지역간 相互作用 효과에서는 사립이면서 광주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사립이면서 전남지역이 높았다 그러나 보수에 대한 만족도에서 국립대간에 지역별 평균에서 차이는 없다. 세째, 승진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사립학교가 국립학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승진에 대한 지역별 차이는 전남지역이 광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승진에 대한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변인간의 相互作用效果는 사립이면서 전남지역에 위치한 대학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립이면서 광주에 위치한 대학이 높았으며 국립대 간에 지역별 평균에서 차이는 없었다. 넷째, 對人關係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사립학교가 국립학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對人關係에 대한 지역별 차이에서는 전남지역이 광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대인관계에 대한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사립이면서 전남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국립이면서 광주지역이 높았다. 그러나 국립대간에 지역간 평균에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業務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사립학교가 국립학교가보다 높게 나타났고 業務에 대한 지역별 차이는 사립이 국립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意思決定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사립대학교는 국립대학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결정에 대한 지역별 차이는 전남지역이 광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厚生福祉에 대한 직무딴족도에 있어서 국립대학교가 사립학교 보다 높게 나타났고, 후생북지에 대한 지역간 차이는 광주지역이 전남 지역의보다 높게 나타나고 었다.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째, 身分保障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국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분보장에 대한 지역간 차이 광주지역으로 전남지역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국립과 사립별, 지역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로 미추어 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첫째 전체적인 職務滿足度수준은 국립이나 사립이나 높은 편이 아니며, 차이에서는 사립학교가 국립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립과 사립대학간 직무만족도는 보수, 승진, 대인관계 및 업무에서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높고, 의사결정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厚生福祉, 身分保障에서는 국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높다. 이러한 결과는 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후생복지, 신분보장보다는 보수, 승진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地域間 職務滿足度는 보수, 후생복지에서는 광주지역이 높고, 승진에서는 전남지역이 높았으나 업무,의사결정 및 신분보장에서는 두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에 의해 지역간 직무만족도는 학교의 規模와 財政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의 규모와 재정에 관계없는 승진,업무,의사결정 및 신분보장은 두 지역간 차이가 없거나 전남지역이 높고, 보수와 후생복지의 직무만족도는 학교의 규모와 재정이 큰 광주지역 소재 대학교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보수, 승진, 대인관계는 국립과 사립대학 및 지역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고, 업무, 의사결정, 후생복지, 신분보장은 상호작용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要約과 結論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몇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립과 사립은 신분이나 근무환경등에서 여러 가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고, 지역에 따라서 규모, 재정, 근무여건등이 차이가 나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한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特性에 맞는 격무만족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대학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얼 수 있는 誘引체제가 마련되어야한다.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는 국·사립은 공히 報酬면에서 그리고 국립학교는 하위직원의 승진분야에 대한 특별핀 개선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이 연구는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국립과 사립간, 지역간 차이를 한정된 변수를 가지고 比較分析하였는데, 직무만족에 대한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해서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적무태도, 직무소진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university, private university, and regional universities on the job satisfaction that administrative officers feel when they accomplish their job and, at the same time, ann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use effect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ory rate. The summaries of the result about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national university, private university, and regional universities with total questions about the job satisfaction, but in the difference of average,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on total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o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difference of payment. And universities in kwang-ju city are higher than in Chonnam region in the average of payment. In the interactive effect among national university, private university, and regional university, the private university in Kwang-ju city marks the highest degree, and the private university in Chonnam region marks the second degree.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gional average between national universities. Third,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satisfaction of promotion, and universities in Chonnam region are higher than Kwang-ju city in the regional difference of promotion. and also, the private university in Chonnam region is the highest and the private university in Kwang-ju city marks the next degree in the interactive effect of promotion among private, national, and regional universit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gional average between national universities. Forth,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difference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university in Chonnam region is higher than the one in Kwang-Ju city in the regional deterrence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also, the private university in Chonnam region is highest and the national university in Kwang-Ju city marks the next degree in the interactive effect of 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rivate, national, and regional university, but there is no regional averas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universities. Fifth,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satisfaction of affair, and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regional difference of this satisfaction.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nteractive effect among them. Sixth,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satisfaction of the del iberational decision. And it is higher in Chonnam region than in Kwang-Ju city in the regional difference abou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nteractive effect among private, national and regional university. Seventh, the national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private university in the satisfaction of welfare, and it is higher in Kwang-ju city than in Chonnam region in regional difference of this satisfac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nteractive effect among them. Eighth, the national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private university in the satisfaction of the guarantee of status, and it is higher in Kwang-ju city than in Chonnam region in the regional difference of this on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nteractitve effect among them. According to this result, we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 the total degree of job satisfaction is not high level both the nation university and the private university, and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rivate university is higher than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satisfaction of payment, promoti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affair.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liberational decision, but the national university is higher than private university in the welfare and the guarantee of statu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adMinistrative officers are more satisfied in payment, promotion, and relationship than in welfare, guarantee of status. Third, it is higher in Kwang-ju city in the regional difference about the satisfaction of payment and welfare, and it is higher in Chonnam region in the promotion, but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the affair, the deliberational decision, and the guarantee of statu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an recognize the regional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scale and the finances of the university. On the promotion, the affair, the deliberational decision, and the guarantee of status that is no relation in the scale and the finances of the univers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s or it is higher in Chonnam region than Kwang-ju city. And, on the satisfaction of payment and welfare, the university in Kwang-ju city is higher because the university in Kwang-ju city has much finances and large scale. Forth, there is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national university and the private university and the regional university in the payment, the promotion,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re is no interactive effect in the affair, the deliberational decision, the welfare, and the guarantee of status. Basing on these summaries and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pose something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university and the private university have several different features in the status or the working circumstance, and they have differences of the scale, the finances, the working circumstance in each region. Therefore, those University are required the improving plan about the Job satisfact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proper features. Second, we must prepare the system that can improve administrative officers' job satisfaction, Especially, the national and the private university more concern the payment, and the national university must prepare the special improving plan about sub-officials' promotion. Thir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sis administrative officers' Job satisfaction, it is in the difference among the national, the private, the regional university, with defined fluents. To better study about this part, we have to study more that it will be considered many fluents which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such as the working attitude, the working disappearance.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평생직업교육대학의 체육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전남권 M전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아연 목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평생직업교육대학의 체육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12월부터 2015년 5월 말까지 광주·전남지역의 성인교육대상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으로 762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설문조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답변되었거나 무응답 등 신뢰성이 떨어진 117부를 제외한 645부를 최종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ver.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양성과정 프로그램 중 선호프로그램으로 스포츠 마사지전문가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경기지도전문가, 스포츠경영전문가, 노인스포츠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격증취득 프로그램 중 참가하고 싶은 프로그램으로 건강운동관리가 취득과정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스포츠경기심판, 노인스포츠지도사와 경기지도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한 교차분석으로 평생직업교육대학 체육교육프로그램 선택이유에는 연령, 거주 지역, 현 직책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과 평생직업교육대학 체육교육프로그램의 선택이유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한 교차분석으로 평생직업교육대학 체육교육프로그램 선택영역의 결과는 성별, 연령, 거주 지역, 현 직책에 따라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활용한 평생직업교육대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미흡한 체육계열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교육과정의 빠른 개발과 확립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지역에 특성을 고려해 건강한 삶과 심성계발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선택과 다양한 연령층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us of sports education programs i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college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nd so present the strategies for activating such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population of adult education subjects in K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so samples 762 sample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then conducted its questionnaire survey over such samples from December 2014 to May 2015. Among them, this study excluded 117 copies which were lacking in reliability including insincere responses or no responses, and then utilized 645 copies as its final data. This study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ch questionnaire survey using SPSS Win ver.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referred programs among expert training process programs, sports massage experts were the highest, and next game guidance experts, sports management experts, and elderly sports experts were higher in order. Second, in preferred programs among certificate acquisition programs, health exercise manager acquisition process was the highest, and next sports game judges, elderly sports instructors, and game instructors were higher in orde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ecut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asons to choose sports education programs i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college according to age, residental region, and current vocation,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rrying out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s to choose sports education programs i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college according to gender, age, residental region, and current vocation all. In conclusion, in order to activate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college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t is urgent first of all to quickly develop and establish NCS education processes in sports depart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oose diverse programs including healthy life and personality cultivation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programs appropriate to diverse age groups.

      • 木浦大學校 Campus plan

        윤영석 木浦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the forementioned plan because of the student expansion due to the elevation of the colleage to university status it became evident that the campus had reached it`s limit both as regards quality and space. Therefore this planned the Mokpo University campus to cope with the educational demands of the university taking into account the future increase of the student body. This plan showed the environemental improve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mands on the site viz, it`s ecological, cultural and social suitability and even take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acquring a new site. Then estimating the future needs of the university, departments and numbers this study decided on the given location and size of the university facilities. Having examined all facets of learning and functions of the facilities and having decentralized the nucleus and locating the facilities around the various nucleus this study submitted the idea through area positioning and made the final maste plan. The Master plan is as follows: 1. This is study planned the land use plan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having taken into account the funcitions of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ed on campus viz, education, research, service ect. 2. This plan estabilished the boundary structiures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t university population behaviour, and existing road structure but concentrated on making the facilities more easily accessable to those who walk. 3. When making the plan this took into acount the ability of the campus having thoroughly examined it`s special features and balanced i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and skyline. 4. As regalds landscaping I examined fully the physical quality of the land and leaving the existing trees intact plan to se fast-frowing species in order to preserve the special features of the campus.

      •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권의 산업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성원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새로운 국제기술 질서의 재편과 관련되어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경제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발전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에서 목포권의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를 중심으로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산학협동의 기본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권의 제조업체 대표와 종합대학의 산합협동과 관련있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회과학 통계기법 가운데 하나인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권의 산합협동의 실태,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와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학협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는 첫째,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계와 산업체 모두 알고 있었다. 둘째, 산학협동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는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는 ⌜산업체에 대한 이해 및 현장감 증진의 계기⌟와 ⌜산학현장의 기술상 애로 사항 해결⌟이라고 하여 대학과 산업체와의 인적 교류 측면에서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학협동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이며 그 역할을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목포권의 산학협동에 관한 실태 인식에서 잘 이루어진다라고 견해보다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산학협동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의 소극적인 자세라고 응답하여 산학협동의 원칙인 자발성의 원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음으로 산합협동의 문제점을 형태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의 산업체 강의는 산업체에서 교수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둘째, 산업체 인사의 대학 강의는 학교에서 산업체 인사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산업체 인사 참여는 산업체에 의한 문제점보다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현장실습은 ⌜산업체와 대학의 현장실습 목포의 괴리⌟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산업체 위탁생 교육은 ⌜산업체 위탁생에 대한 학자금 보조, 근무시간 단축 등의 배려가 미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장학금 지급은⌜선발된 우수 학생이 장학금을 받게 하고, 졸업 후에는 장학금을 지급한 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조치가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일곱째,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험기기 및 시설 대여는 ⌜산업체의 실험기기 및 시설이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아홉째, 대학에 대한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은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하는 산업체에 대한 면세등의 혜택이 미흡⌟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권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학 측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에 맞는 인력 양상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에 노력해야 하며, 현장 실습의 대상 사업체 선정 기준 및 교수의 의식 전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측에서는 졸업학생에 대한 인턴제 활용을 통한 우수 인력 확보에 노력해야 하며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재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고, 정부에서는 중재를 위한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object this thesis is to promote technic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achive the thesis' object, the followings have been done; first, the need for this stud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n,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surveyed, which are from the recofnition which university professors and industrial workers ha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Mokpo Area. Next, som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re suggested. Finally the rational university-industrial cooperation methods which are outlined to the industry stucture in 21C; This Thesis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a flexible curriculum which are suitable to foster industry which the intern studeunt will practice, and the professor's consciouness on cooperation system are converted. On the other side, industry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an excellent worker through the intern system. And, above all, a positive evaluation on local university of industry must be made. However, the mutual efforts of both university and industry are crucial for those suggestions to be effective.

      • 대학생의 여가활동참여에 따른 대학만족·생활만족 비교분석

        박성수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대학만족․생활만족도의 차이비교, 여가활동유형과 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광주전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총 4곳(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목포대학교, 동신대학교)에 재학중인 549명의 자료를 SPSS for Win 12.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연령 건강상태, 전공계열, 학업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연령, 건강상태, 거주형태, 학업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스포츠활동이 가장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여가활동유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은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여가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대학만족도를 비교분석 결과는 야외활동, 스포츠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정도가 높은 고참여 집단이 저참여 집단보다 대학만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사교활동, 스포츠활동, 야외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생활만족도가 높고 참여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정도가 높은 고참여 집단이 저참여 집단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with life outside university in students who join leisure activities. and I used SPSS for Win 12.0 tool for a T-test and ANOVA and I also verified data using the Scheffe tool with 543 students(Subjects) who are studying a 4-year-university course within Jeonnam province at Jeonnam, Chosun, Mokpo and Dongshin Universities. And I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attending university and I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ages, conditions of health, majors and school records in the statistics. Second,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outside university and I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ages, conditions of health, type of dwelling and school records in the statistics. Third,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attending university and I found that It has some differences in the statistics, bu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were the most satisfied subjects recorded among in the leisure activities. Fourth,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outside university but there were no any differences. Fifth,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at university and I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outdoor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in the statistics. and I found students who joined in leisure activities have high satisfaction while living at University. Sixth, I compared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while living outside university with the leisure activities and I found that students who joined in social activities, sports activities and outdoor activities had higher living satisfaction measurements. Concretely, the more that students engaged in activities, the higher their living satisfaction measurements.

      • 휴먼서비스분야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교육 실태와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박소정 목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국내 사회가 점차 다문화되어감에 따라 휴먼서비스분야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반영하는 실천적 능력으로서 다문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다문화 역량은 다양한 문화의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일하는 실천가의 능력으로, 다문화에 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뜻한다. 이에 연구자들은 휴먼서비스분야 실천가를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을 측정하거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견하여 실천을 위한 제언을 제공해 왔다. 특히 사회복지영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다문화 역량의 필요성이 충분히 대두되고 있지만 재교육 시스템이나 학교교육이 부족한 상황임이 지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 어떻게 다문화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한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분야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문화에 대한 대학의 교육 실태와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문헌연구, 실태조사, 설문조사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한 개념정의,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는 국내 현실을 살펴보고, 문화적 역량의 개념과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휴먼서비스의 개념과 특징, 휴먼서비스를 다루는 전공영역인 사회복지학, 교육학, 간호학에서 다문화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파악하였다. 더불어 휴먼서비스 분야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실태조사에서는 광주·전남지역의 4년제 12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개설 교과목 실태를 파악하고 다문화 교과목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4개 대학의 강의 계획서를 분석하였다. 한편, 구글검색을 통해 교과과정 외 다문화 관련 교육(세미나, 워크숍, 학술대회 등)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학생자원봉사 활동과 관련한 2차 자료와 광주·전남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전화조사를 통해 대학생 자원봉사, 실습, 직장체험 실태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광주·전남지역 4년제 대학교의 대표적인 휴먼서비스분야 전공학과인 사회복지학과(322명), 교육학과(522명), 간호학과(499명) 4학년 재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쿠에바스(2002)가 개발하고 민성혜·이민영(2009)이 보완한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실태 조사결과 교육실태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로, 첫째, 광주·전남의 12개 4년제 대학교 중 다문화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는 총 8개(사회복지학이 4개, 교육학이 6개, 간호학이 3개 대학교)대학이었다. 둘째, 각 전공별로 교과목의 이름과 강의계획서에 차별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셋째, 교과과정 외 다문화 교육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워크숍, 세미나, 학술대회가 2010년 이후로 광주·전남지역 대학교에서 개최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일반 대학생의 해외경험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저소득층 대학생들은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기관의 사정에 의해 현장체험활동을 지원하지 않은 곳이 더 많았다. 2. 다문화 역량 조사결과 광주·전남 지역의 휴먼서비스분야 전공 대학생 1,343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한 결과, 문화적 역량 수준은 평균 3.49점으로 중간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경험 외 외국경험에 있어서는 외국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거나 외국에서 거주한 적이 있거나, 외국인 친구가 있거나, 외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경험과 관련하여 세미나, 워크숍, 학술대회 등 교과목 외 교육을 받았거나 다문화 현장체험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높았다. 반면, 다문화 교과목 교육경험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공별 다문화 교과목 교육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을 살펴본 결과, 사회복지학과의 경우만 다문화 개설과목과 일반 개설과목 둘 다에서 다문화교육을 받은 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다문화 개설과목, 일반교과목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육부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다문화 강좌 개설을 지원하고 있는 것처럼 사회복지학과 간호학 같은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학과에 대해서는 다문화 교과목을 개설하도록 지침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세미나, 워크숍, 학술대회 등에 참여한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므로 교육부가 대학교육에 집중하고 있는‘학부선진화사업’이나‘교육역량강화사업’에서 다문화 교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여서 대학차원의 다문화 관련 세미나, 워크숍, 학술대회 등 교과목 외 교육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해외 인턴십은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는데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해외 인턴십사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련 부처에서 국내 젊은이들이 국제적으로 활동할 만한 해외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구직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가구 소득이 낮아서 인턴십을 포기하는 학생이 없도록 인턴십 기간에 따른 소요경비를 확대지원하는 것을 제도화해야 한다. 넷째, 대학은 학생의 활동지원에 일정 정도의 예산을 할애하고 있는 바, 특히 학생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을 위한 국내 자원봉사활동에도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학의 예산으로 다문화 학생과 재학생의 멘토십,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과 국내 재학생의 교류프로그램 등이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분야의 다수 연구자들이 전공의 특성에 맞는 다문화 역량 증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지만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4년제 사회복지학과는 전국 12.7%, 광주·전남지역 36.4%에 그쳤다. 따라서 사회복지학과에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전공선택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과목의 내용에는 다문화주의를 비롯해서 다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다문화 개입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이론과 체험, 실습을 겸비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섯째, 교과목 개설과 더불어 다문화 실천을 체험할 수 있도록 실습과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테면, 다문화 교육 담당교수가 인근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자원봉사와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조사대상에서 전문대학을 제외하여 예비사회복지사를 4년제 대학생으로 제한한 점,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교육의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여 향후 조사의 대상을 확대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증명하며, 대학 교육에 대한 현장의 의견이 수렴될 수 있는 후속연가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다문화 교육, 다문화 역량, 휴먼서비스, 대학 교육 〈Abstract〉 As Korea is gradually becoming multicultural society, cultural competence is the core ability of human service provid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s an important ability of practitioners who are working for clients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t is an ability to have specialized multicultural knowledge and to provide effective service based on the knowledge. Many academic researchers in human service area have stressed 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practice and also pointed out there are lack of reeducation programs for the practitioners and school education for the students regarding mul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in spite of increasing necessity of multicultural competenc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ed on human service areas. So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ncludes literature review, situation investigation on mulicultural educ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of multicultural competence. In the literature review, concept definition and domestic situations as multicultural society were examined, and concept of cultural capability and measurement method were review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For the situation investigation, 12 universities in Gwangju ․ Jeonnam area were researched in terms of mulicultural subjects offered and its contents through its syllabus among the selected cases. And the relevant extra-curriculum(seminar, workshop, conference) were examined from Google searching. Besides, secondary data review and telephone survey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situation of experience in the mulicultural field(volunteers, practicum, and inter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Finally, multicultural competence of fourth-year enrolled students in human service field: social welfare department(322 students), education department(522 students) and nursing department(499 students) in Kwangju·Jeonnam area was examined using Cultual Awareness Scale:CAS developed by Cuevas in 2002 and revised by Sung Hye Min and Min Young Lee in 2009. Statistical analysis on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he overall results are discussed by two sections as follows; 1. Results from Education Situation Investigation In conclusion through education situation investigation, firstly, there are totally 8 universities (social welfare - 4, Education - 6, Nursing - 3) which are offering multicultural subject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re is distinction in name of subject and class syllabus as per each major field. Thirdly, it was found that various workshop, seminar, symposium which could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in addition to the curriculum have not been being held at universities in Gwangju· Jeonnam area since 2010. Final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y could not get an opportunity of it due to economic difficulty although overseas experience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Furthermore, due to distant accessibility or institution's situati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Gwangju· Jeonnam area could not provide site experience activity to the students. 2. Results from Munticultural Competence Survey The average score of multicultural competence of 1,343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 Jeonnam area is 3.49, above moderate. The students who rat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high are those who have been abroad, lived in aborad, had foreign friends, or had communicative ability in foreign languages. And the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of students who have had various extracurricular experiences such as seminar, workshop, conference, or internship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have never had those experiences. But the difference of multicultural competence between students who had multicultural courses and students who had not is not significant. As the survey results of cultural capability as per education experiences on each majoring multicultural subjects,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o be relevant to both multicultural subjects and general subjects was the highest level, and multicultural subjects, general subjects in turn.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the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by the researcher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lay guidelines on multicultural subjects to universities, especially to human service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and nursing.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of students who have had various extracurricular experiences such as seminar, workshop, conference, or internship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have never had those experiences. So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part of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or 'Higher Educational Capability Enhancement Projects' which is major university policy and programs nowadays, and push forward with extracurricular experiences.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of students who have had internship experience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have never had internship experience. So international internship project should be encouraged by Government in terms of securing jobs overseas, offering recruit information, and supporting required expenses. Fourth, universities should support students' overseas volunteer program an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domestic volunteer progra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groups. Fifth, only 12. 7%(36.4% in Gwangju ․ Jeonnam area) of Korean universities offer multicultural cours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o universities should offer multicultural course as a major selec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course should include multiculturalism and theories and practices for empath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ixth, practicum and volunteer programs should be systematized. For example, professor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join hands with neighboring multicultural centers, especially Multicutlru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develop practicum and volunteer program together.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exclusion of college students although they also become human service providers after all and lack of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ocused area. So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include wide range of research subjects,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pot opinion for university education. Key word: Mul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competence, Human service, Univers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