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문화 교육 정착을 위한 자격제도 연구

        이정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Professionals who respond to social needs should be trained by a systematic training. Tea qualification test aims at cultivating tea specialist of the future based on more methodical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has potential function to induce idealistic education system improvement for tea leaders and development of related study fields. This study examines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analyzes education status of tea education,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for tea qualification system.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is that signing up for registration management agency to identify an administrator of the group who is charge in a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Listed series of administrative acts including code symbol and gra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naging organization, date of registration or decision become effective by acquiring requirements for managing ope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and state-authorized application. From 1997's Qualifications Basic Law, Korea started the 1st private national qualification accreditation in 2000 and has been continued it to the 13th of the day with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outh Korea as its mission agency. 2,987 items of 935 institutions under 12 ministr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s at present. General entities are accounted for the most largest proportion as registered managing operation; legal entities and individuals are following in order. As legal entities, 3 foundation corporations and 22 incorporated associations have been operated tea education curriculum. 13 of those legal entit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9 kinds of qualifications are remarkably registered and operated. Traditional tea etiquette occupies most part of registry. Especially in the field of private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Inter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 manages 7 curriculum of traditional tea etiquette, Japanese tea ceremony, Black tea, Chinese tea ceremony, Tea psychological counseling, Tea evaluation, and Tea manufacture, progresses most diverse training courses as private qualification 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3 colleges and 2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so far. 7 masters degrees are set up and run while doctoral program for tea culture majors is just on its starts with 3 universities. Keimyung University, Mokpo National University, Wonkwang University manage Master in parallel with PhD courses, but all of 11 universities and colleges where run tea related departments, undergraduates, and colleges course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graduate schools'. Most of all, possibility of entering masters or PhD from undergraduate is lack in connectiv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future directions to settle tea culture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as below. First, it is required to register tea qualification to country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is will induce growth of private sector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ctivation in private qualification system by giving credibility,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tate, civil, and private qualification. Currently registered operating management agencies are 52 with 87 national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ere is no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but 9 related qualifications are registered to private accreditation which should be prepared for a priority so that they can be promoted to national level as soon as possible. Second, it is need to take advantage of the credit bank system. Taking credit from acquir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btains equivalent effect with college units by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the specific identification to national qualifications, or the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16th credit eligibility standard', total of 581 qualifications including 356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141 of other national qualification by the specific identification, 84 of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are given credit for official units. For developing and popularizing Korea's tea culture to academical level, it will be suggested to have accreditation for credits by acquiring tea related qualification through vocational schools or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under current system. Future tea culture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to answer the purpose of both academic theory and practice to have a competitiveness. Academic formulation through the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s accompanied by national authorized private system for fulfilling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popularization, tea culture education will speed to put down the roots in Korea.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라 함은 그 분야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하여 양성하고 배출되어야 한다. 차(茶) 자격시험은 보다 체계적인 배출시스템을 기반으로 미래가 요구하는 전문적 차지도자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지도자 양성에 대한 이상적인 교육과정의 개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을 유도하는 잠재적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자격 등록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茶)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차(茶)자격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자격 등록제도는 민간자격관리자가 민간자격을 관리?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등록관리 기관에 등록하는 것으로서, 등록대장에 자격의 종목명 및 등급, 자격의 관리운영기관에 관한 사항, 등록의 신청일 및 등록결정일 등을 기재하는 일련의 행정행위의 총칭으로 등록에 따른 효력은 민간자격 관리운영과 국가공인 신청에 대한 요건을 획득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1997년 자격기본법 제정을 시작으로 업무 수행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통해 지난 2000년 제1차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를 시행하여 현재 13차에 이르고 있다. 민간자격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현재 12개 부처 935개 기관의 2,876개 종목이 민간자격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등록된 민간자격관리 운영기관으로는 일반 단체가 7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법인, 개인 순으로 나타났다. 법인단체의 차교육 현황으로는 3개의 재단법인과 22개의 사단법인에서 차문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민간자격에 13개 법인 단체가 등록되어 자격을 관리하고 있으며, 크게 9종류의 자격증이 등록?운영되고 있다. 등록 자격들 중 전통차예절 자격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차관련 민간자격 분야에서 국차재는 전통차예절, 일본다도, 홍차, 중국다예, 차심리상담, 차품평, 제다사 7가지 자격과정이 등록되어 민간자격과정 운영 법인 단체들 중 가장 다양한 차관련 교육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에서는 2012년 현재 전문대학은 3개 대학이고, 4년제 대학교 2곳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에는 먼저 석사과정으로는 7곳에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고, 박사과정으로는 3개 대학에서 차문화 관련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그 중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모두 운영 중인 대학은 계명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원광대학교가 있다. 그러나 현재 11개 대학에서 차관련 전공 학과가 개설돼 있으나 대학원 중심이며, 학부나 전문대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그리고 학부에서 석사, 박사로 이어지는 연계성이 부족하다. 차문화 교육을 정착하기 위해서 차(茶)자격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차(茶)자격을 민간자격 국가공인에 등록하는 것이다.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등록함으로써 시대변화에 빠르고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민간분야의 성장을 인정하고, 민간 자격에 대한 공신력을 부여함으로써 민간자격제도의 활성화를 가져오며, 국가와 민간 그리고 민간자격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받은 자격관리 운영기관은 52개이고, 국가공인 민간 자격수는 87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차관련 자격증이 국가공인을 받은 것은 없지만, 현재 9종류의 차관련 자격증이 민간자격에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국가공인에 등록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둘째, 학점은행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통한 학점인정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국가기술자격과 개별법에 의한 국가자격, 국가공인 민간자격 중 대학의 학점과 동등하게 인정될 수 있는 수준을 지닌 자격에 대하여 학점으로 인정하고 있다. 2012년 3월 29일자로 고시된 ‘제16차 자격 학점인정기준’에 따르면 총 581개(국가기술자격 356개, 개별법에 의한 기타 국가자격 141개, 국가공인 민간자격 84개) 자격이 학점으로 인정된다. 한국의 차문화를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현 제도를 활용하여 직업전문학교 설립 후 차관련 자격증을 통해 학점을 인정받거나, 국가공인 민간자격을 취득하여 학점인정을 받는 방법이 있다. 앞으로 차문화 교육은 학문적으로 이론과 실습을 겸해야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학문적 정립은 고등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부족한 실기 응용 분야 및 차교육 대중화는 국가공인된 민간자격 제도를 통해 학점을 인정받는다면, 한국의 차문화 교육은 빠르게 정착하게 될 것이다.

      • 동양적성상담 이론에 의한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 : 성향의 관점에서

        홍덕건 영산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ough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ies deciding their future career regarding SAT(Scholastic Aptitude Test), they have been scarcely offere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and practical opportunities for career coaching. Therefore, it is urgent to provide adequate career counseling for them.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has a great and practical effect on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this study aims to apply this counseling to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discover results from a series of experiments, and find available ways which teachers and parents can use in advising with students and offsprings about their future care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I first revealed the theory of Personal Characters of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which Professor Sim Gwi-Deuk has got in the result of more than 30 years' clinical study. Then I applied the theory to the counseling for 85 volunteers out of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low academic achievement (by less 50%) in their school locating in Busan. Finally I measured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counseling through questionnaires.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means fin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onal characters toward individual development, figuring out causes of inner and outer conflicts, and dealing with them, in view of features of personal characters by individual natural energy and 'balance' by the Theory of 'Shijoong(timely balance)' of 'Jooyuk'.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is distinguished from established counseling on these two points; how to understand and diagnose personal characters as follows. First, judging from the point of different view in understanding personality, previous coaching focuses on acquired characters by environmental effec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on innate ones by natural energy at birth. Second, existing counseling uses questionnaires and diagnoses the characters in the form of self-repor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refers to subjects' information of natural energy and identifies personality.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how to apply 'personality' to actual coaching, established counseling classifies i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individualizes it thoroughly. Precedent researches on career exploration by the Theory of Four Pillars generally proved the similarities between Four Pillars and learning or occupation. However, they showed only how to utilize Four Pillars related to learning or as available counseling data to choose future career. Unfortunately, there was no study practically involved to real counseling. In order to demonstrate examples of the Four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I presented to applicants counseling cards (Appendix 1) and individually advised with them about academic improvement and vocational choice. The process ran as follows. For academic improvement, I recognized the subjects' personalty based on the component table of natural energy, let them recognize their academic obstacles by spitting out the reasons they have trouble in their academy, motivated them to keep learning by associating positive characters for their development with negative ones according to strength and weakness of natural energy, and guided them to control the negative ones. For vocational choice, to begin with, I made the participants say their favorable future career, boosted some in concord with their aptitude to have self-confidence, and allowed others in discord to look for other occupations. Also, I offered personalty tips to compensate for the gap of discord to some students who are already in the middle of preparing for their future dream. I guided others indecisive about choosing one career of plural options to stick to their own aptitude excluding outside conditions like parents' opinions or social standing of the professions. These are the results(Appendix 3) from analyzing the survey (Appendix 2) of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With academic counseling, subjects came to see their personal characters objectively, found out what disrupts their learning exactly, and were content with the achievement of ways to deal with the trouble. With vocational coaching, they became aware of their aptitude and proper career, encouraged to set and seek their own learning goal by the more specific future plan, and very pleased with the counseling itself. The advantages of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as academic and career coaching were disclosed by the counseling experience and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1. The counseling is effective for identifying counselees' personality and aptitude. 2. It possibly shows them directions to help overcome their strife for themselves. 3. It can handle with counslees' conflicts by wholly integrated approaches. 4. It has wide application to internal struggles to external problems about friendship or school life. Thanks to its virtues mentioned above, the Counseling seems to benefit not only students but also general people. Hopefully this study will play a role as a counseling model and reference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open up a new field in career coaching,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activating desirable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by re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raditional ones.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진로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진로상담의 기회도 적은 실정이므로 그에 대한 상담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적성상담이 진로상담에 실용적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이를 실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상담에 적용하고 임상 실험 내용을 밝혀서, 교사나 학부모가 학생이나 자녀의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심귀득 교수의 30여 년간의 연구와 임상의 결과인 동양적성상담의 성향 이론을 밝히고 이를, 부산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중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쪽의 학생(50% 이상) 중 희망자 85명을 대상으로 상담의 실제에 적용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하여 동양적성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동양적성상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존 상담과의 비교 고찰을 해 보았고 사주와 학습, 사주와 직업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동양적성상담이란, 개인의 자연에너지에 따른 성향의 특징과 주역의 시중(時中) 이론에 의한 ‘균형’의 관점에서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성향과 자신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성향을 알아서 내적 갈등이나 외적갈등의 원인을 찾아 조절하고 대처하도록 하는 상담을 말한다. 동양적성상담과 기존 상담과의 차이점을 인간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와 어떻게 진단하느냐의 두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성격’의 이해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보면 기존의 상담은 타고난 성격보다 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된 후천적인 성격을 중시하는데 비해 동양적성상담은 태어날 때의 자연에너지에 의한 선천적 성격을 중시한다. 둘째, 기존의 상담에서는 주로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진단하고 동양적성상담에서는 피상담자의 자연에너지 정보를 이용하여 진단한다. 그 외 ‘성격’을 실제 상담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의 문제도 있는데, 기존의 상담은 성격을 유형화하여 적용하고 동양적성상담은 철저히 개별적으로 본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사주 이론에 의한 진로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체로 사주와 학습, 사주와 직업과의 유관성을 증명하는 연구로서, 사주의 학습과 관련한 활용도와 직업 선택을 위한 상담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이는 것이었고 이를 구체적으로 상담에 적용한 연구는 없었다. 동양적성상담의 실제를 보여주기 위해 대상 학생들에 대하여 <부록1>의 상담카드를 만들어 학력 향상과 직업 선택에 대해 개별상담을 실시하였는데 상담의 방법과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이 하였다. 학력 향상에 대한 상담 : 학생들의 자연에너지 구성표에 의해 성격을 진단하고 공부 안 되게 하는 이유를 말하게 하여 스스로 인식하게 하고, 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성향과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성향을 결부시켜 그에 따라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공부 안 되게 하는 성향을 조절하도록 길안내를 한다. 직업 선택에 대한 상담 : 먼저 학생들에게 희망 직업을 알아본 다음, 적성에 맞는지의 여부를 살펴보고 적성에 맞으면 잘 할 수 있다고 격려하며, 맞지 않으면 다른 희망 직업을 말하게 하여 그 중에서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아본다. 이미 진로를 정해서 준비를 하고 있는데(예체능 쪽) 적성과 거리가 있으면 성향상의 보완점을 말해준다. 여러 개 중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는 부모의 의견이나 그 직업의 사회적 위상 등의 외적 조건을 배제하고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직업을 선택하도록 한다. 동양적성상담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부록2>를 분석한 결과<부록3>, 학습상담의 경우에는, 자신의 성향을 객관적으로 보게 되었고, 왜 공부가 안 되는지 이유를 바로 알게 되었으며 또한 그 대처법을 알게 되어 좋았다는 반응이었고. 진로상담의 경우는, 자신의 적성을 잘 알게 되었으며 그에 맞는 진로를 알게 되었고 아울러 진로를 결정하게 되니 목표 의식을 가지게 되어 학습 의욕이 생겼다는 반응으로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동양적성상담 이론을 실제 진로상담에 적용해 본 경험과 상담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서 동양적성상담이 진로상담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피상담자의 성격과 적성의 정확한 진단에 효과적이다. 둘째, 문제나 갈등에 대해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나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셋째, 피상담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나 갈등에 대해 종합적인 상담이 가능하다. 넷째, 상담의 적용의 범위가 넓다. - 내적 갈등에 대한 상담, 교우간의 갈등 상담, 학교생활 상담 등 동양적성상담은 정확한 진단과 극복방안 제시, 구체적 방향 제시로 상담의 효과가 높아서 교사나 학부모가, 학생과 자녀들의 진로상담 뿐 아니라 갈등 상담이나 생활 상담을 하는 데도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상담 분야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함으로써 앞으로 인문계 고등학교 진로상담을 위한 참고자료와 상담모델로서 활용될 것이며,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의 실용성 제

      •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 조형연구

        나복임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tea practices of the 21st century require that floral arrangements be utilized in the presentation of the tea table and interpreted as part of the design. The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are made from plants to which the creativity and artistic abilities of people are applied in order to express both aesthetic expression and design functionality. Our task must begin at establishing new significance and values of the designs of tea table floral arrangements. As of yet, data on floral arrangement design for tea tables is practically non-existent with the logical or systematic related standards remaining at descriptive levels, and overall the theoretical studies were lacking causing the field to lack the objectivity of a scholarly discipline. As creating new floral designs for tea tables is impossible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ea settings and floral design, this study revisits everything from traditional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to modern tea decorations as part of an effort to approach the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from a design perspective. Until now, the flowers used in tea table decorations were referred to as tea flowers(茶花) and these were limited decorations created in a simple fashion and without a model for its formation.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oral arrangements of Japanese tea settings which were forcefully imported with other cultural aspec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re falsely recognized as our own, a fact overlooked by many. This author attempts to derive the principals and factors of floral design for tea tables from the formational principles of floral design so as to propose designs of floral tea arrangements that suit modern spaces in the form of artistic works. The mode of research I proceeded with was as follows. First, we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loral design of Korea, China, Japan and West Europe. Second, we study and organize the factors and principles inherent in Asian and Eastern European floral design so as to systemize the theory on tea table floral design formation. Third, for the purposes of application as spatial decoration, I derived specific floral design piec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s well as the historic background of Asian and Western European floral design. Then, regarding the Asian and Western pieces I myself attempted at events such as the tea events hosted by the Inter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 as modern floral designs, I organized the potential of modern floral design for tea tables in an academic manner. Floral arrangements of the West are in general large, flamboyant with attention paid to surfaces, colors, and formation. They are artificial rearrangements rationally applied to spaces or the body. The flora arrangements of the East emphasize lines and empty spaces, but in modern times Western floral arrangements also implement many of the linear factors of the Eastern styles. By comparing the significant forms found throughout the floral design history of Korea, Japan, and China, I filtered those types I wished to employ in this paper. Also, after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ral designs of the East and West, I divided the types of Eastern floral design into 7 categories and those of Western floral design into 27. To ensure that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do not rely excessively on formation and are capable of turning the setting into an area of reflection, linear and spatial aspects of Eastern design were introduced into the Western floral arrangement pieces proposed in this paper. As for the Asian tea table floral arrangement piece, I implemented an Asian internal aspect utilizing the curvatures shown in the picture of a flying fairy paintings of the Goguryeo dynasty along with the flow of lines found in the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the Joseon dynasty. Simple forms showing moderation and empty spaces were applied in a modern fashion to create the piece. By adapting the triangular, semi-circular, and rectangular forms witnessed in paintings of floral arrangements presented before Buddhist altar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the forms of modern tea table floral arrangements were aslo produced in similar forms and the exposure technique of the Goryeo dynasty was introduce into the Parallel form of the piece. In the case of Western tea table floral arrangement pieces, overly decorative or symmetrical surfaces and forms were excluded and the line structures and spatial treatment techniques of the Goryeo dynasty was adapted to modern Western styles so that the piece would correspond to modern tea table designs. The beauty of empty space was emphasized and an overall sense of asymmetry was implemented into the piece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come a logical and systematical base for teaching floral designs for tea tables and a stepping stone for modern tea table floral design. Though the paper will be lacking in some aspects as a pioneer in the field, I hope that future studies can approach specific tea settings and be conducted in a more systematic manner. 21세기 차문화는 찻자리 공간요소인 찻자리 꽃을 공간연출의 요소로 접목하여 디자인으로 해석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식물을 주소재로 하여 인간의 창의력과 조형능력을 활용하여 예술로서의 미학적 표현과 디자인으로서의 기능적 표현을 동시에 수용하여 표현되어져야 하고 디자인으로서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조형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고 디자인으로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이 관념적이거나 서술적인 부분에 치우쳐 있으며, 이론적 연구가 전반적으로 미약하고 부족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학문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현대적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전통적인 찻자리와 화훼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없고서는 새로운 찻자리 화훼디자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찻자리 화훼디자인에서 현재까지의 다화장식을 재조명하여 현대적인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조형방법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찻자리에서 사용되는 꽃의 표현 용어는 다화(茶花)로 호칭되어 왔으며 조형 형태에 대한 원형이 없는 상태에서 간결하게 제한적으로만 장식되어 왔고 일제 강점기에 강제 도입된 일본의 문화적 정서와 더불어 우리의 문화속에 고정된 일본 찻자리의 다화가 우리 찻자리의 다화로 인식되어 장식되어진 사실을 모두가 간과하고 있는 측면도 있다. 본인은 찻자리 꽃의 다화를 꽃 문화인 화훼디자인의 조형원리와 요소에서 찻자리 화훼디자인으로서의 원리 요소를 도출하고 현대적인 공간에 어울릴 수 있도록 조형 형태를 작품으로 표현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진행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화훼디자인, 중국의 화훼디자인, 일본의 화훼디자인, 그리고 서구유럽의 화훼 디자인의의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본다. 둘째, 동양식 화훼 디자인과 서구유럽의 화훼디자인의 구성 원리와 요소를 살펴보고 정리하여 찻자리 화훼디자인 조형 이론을 체계화 한다. 셋째, 찻자리 공간장식에 응용할 수 있도록 차문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동양식, 서구유럽식 화훼디자인 역사성을 토대로 화훼조형작품을 도출하여 그동안 (사)국제차문화교류협력재단의 찻자리 행사 등에서 본인이 시도 하였던 동양식 서구식 찻자리 화훼디자인을 현대 찻자리 화훼 디자인 조형 방법으로 보고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였다. 서구의 화훼디자인은 대체적으로 크고 하려하며 면과 색채, 형태 구성을 중요시하며 인위성을 가하고 재구성하여 신체에 장식하거나 공간에 합리적으로 적용하였다. 동양의 화훼디자인은 선과 여백을 중요시하였는데 현대에 이르러서는서구의 화훼디자인도 동양의 선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었다. 한국, 일본, 중국의 화훼디자인의 역사에서 주요형태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형태만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동양과 서양의 화훼디자인에 대한 특성을 참고 한 후에 찻자리 화훼디자인 동양식 구성을 일곱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서구식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스물일곱 가지 형태로 도출 하였다. 찻자리 화훼디자인이 자칫 조형적 형태에만 치우치지 않고 사색의 공간으로 자리 할 수 있도록 서구 화훼디자인인 에서는 동양의 선적인 요소와 공간적인 요소를 제시하는 작품안에 도입하였다. 동양식 찻자리 화훼디자인 작품은 동양적인 내면성을 도입하여 고구려 시대 비천상의 회화에 나타난 곡선적인 형식과 조선시대 문인화 형태에서 나타나는 선의 흐름과 절제되고 여백이 있는 간결한 형태를 현대적으로 응용하여 작품화 하였다. 삼국 통일시대와 고려시대,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불전 헌공화 형식의 삼각형과 반원형, 사각형 형식을 응용하여 현대 찻자리 헌공화 형식에서는 삼각형, 반원형, 사각형으로 작품화 하였고 고려시대 줄기를 드러내는 노출기법은 병렬식(Paralell)형식에 도입하여 헌공화 작품을 표현하였다. 서구식 찻자리 화훼디자인 작품은 지나치게 장식적이거나 대칭적으로 보일 수 있는 면적인 부분과 형태적인 부분을 되도록 배제하고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 공간 구성에 어울릴 수 있도록 고려시대 선 구성 기법 공간처리 기법을 서구식 형태에 응용하고 여백의 미를 강조하여 주로 비대칭적인 느낌으로 작품화 하여 제시 하였다. 본 논문이 향후 찻자리 화훼디자인을 교육함에 있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이해와 함께 다양하게 활용되어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디딤돌이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선행 연구자로서 많은 부분이 부족하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찻자리의 각각 구체적인 상황에 접근하여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자기보기의 방법으로서 동양적성이론과 명상

        허영경 영산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as a way of reflecting oneself, attempted to find out about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and medit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are harmony and balance. The harmony and balance can only be achieved when one is well meditatively trained, penetrating the essence and discarding the sense of obsession, arrogance or selfishness. Through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the meditation attempted to suggest an idea that when we meditate with knowing about 'true self,' 'the place pain comes from, and a way of remedying those pain,' the effect of meditation doubles. Not only that, accommodating the meditation to solve the problem with "not knowing what and how to solve problems" will help as a guide. In order to develop such argument, Firstly, this research pointed out the meaning of meditation as "through congregating one's consciousness into one object and closely examining various events happening throughout life, one will maximize the sense of peace and lose the feeling of pain to find the true self(self remedy)." Especially, it investigated about 'examination' and 'self-remedy' as common factors in both meditation and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Secondly, it examined about the effects of meditation by investigating the experiment results applied in psychotheraphy, brain science and real clinic performances to find the therapeutic matter of meditation with examination of "relaxation of feeling through codification, accepting true self, improvements in self-control ability and changes in attitude, an expansion of self-examination skill bringing improvements in self-control skills and the interaction of effect of affectivity on the immune system and nervous system.' Such treatment is demonstrated through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knowing and accepting true self. Thirdly, it investigated about the paradoxical effects of meditation and their causes of individual's characteristics, self-examination attitude and 'not knowing what and how to do.'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is thus suggested as a way of solving this problem. It is the study that does not approach fate from a fortune-telling position but applies self-examination factors including reflection of one's tendency, reflection of past days and finding of life patterns to make these factors objectified and educated. Forthly, it investigated about the core factors of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self-examination and pain and remedy. By examining oneself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of tendency among 10 different kinds of tendencies, one can perceive and understand others'(including self)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the reasons for pain through self-examination and providing an explanation for control, this research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limit of meditation "not knowing what, how to do." Fifthly, by providing case examples of people who studied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vide more reliable sources.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limit of meditation, it attempted to sugges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with the case examples of people who studied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But these cases can be limited with subjective results. However, meditation and remedy are originally subjective that they can only be experienced by individual. Thus, such limit needs more objective clinical experiments which is expected to be solved by future experiments. 본 연구는 자기보기의 방법으로서 동양적성이론과 명상의 상보적인 관계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동양적성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조화와 균형이다. 조화와 균형점은 집착이나 오만, 자신의 이기심이나 사심을 버리고 본질을 꿰뚫을 수 있는 명상수련이 되어야 잘 찾을 수 있다. 명상은 동양적성이론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의 나’, ‘나의 고통이 어디에 기인하는지, 어떻게 그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지’를 알고 수행하면 명상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뿐더러 명상의 수용이라는 부분에서의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름”을 해결하여 명상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점을 전개하기 위하여 첫째, 명상의 의미와 종류를 알아보며 명상을 “일차적으로 의식을 어느 하나의 대상에 모으는 훈련을 통하여 삶의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각가지 일들을 고요히 살펴봄으로서 궁극적으로 내적 평온감이 극대화되어 고통거리가 사라지고 진정한 자기(자기치유, 참 나 중득)를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리하여 특히 ‘살펴봄(바라봄)’, ‘자기치유’를 명상과 동양적성이론의 공통분모로 탐색하였다. 둘째, 명상의 효과에 대하여 심리치료, 뇌과학, 실제 임상에 도입한 연구성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명상의 치료적 기제를 ‘언어화함으로서 감정의 완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함, 자기조정능력의 향상과 태도의 변화, 자기탐지력의 증가가 자기조절능력의 증가를 가져옴, 감정상태가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계와 신경계의 상호작용’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치료기제는 동양적성이론을 통해 자기 자신을 알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셋째, 명상의 역설적 효과를 탐색하여 그 원인으로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태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름’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동양적성이론을 제시하였다. 사주를 점(占)의 입장에서 접근하지 않고,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자기 성향 돌아보기, 스스로 살아온 날 돌아보기, 그리고 삶의 패턴과 주기 찾아보기 등의 자기를 성찰하고 관조하는 자기 상담 도구로 응용하여 검증하고 객관화, 학문화한 것이 동양적성이론이다. 넷째, 동양적성이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인 성향으로 자기보기와 고통과 치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열 가지 성향의 모습, 자리별 성향의 특징과 성향의 관계를 통해 성향으로 자기보기를 함으로서 나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들의 성격특성을 바라보고 인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자기보기를 바탕으로 고통을 성향의 지나침과 없음, 성향자체의 고통, 신약․신강에서의 고통으로 나누어 그 모습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고통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에너지의 강약과 성향의 관계를 원칙으로 설명하여 명상의 한계의 한 요인인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름”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자기보기 명상의 실례들로 동양적성이론을 공부한 사람들의 사례를 들어 위의 논점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명상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동양적성이론을 제시하며 수년간 동양적성이론을 공부한 사람들의 실례를 살폈으나 그 실례들이 다소 주관적일 수 있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명상이나 치유라는 것이 원래 주관적이며 개인적인 경험일 수 밖에 없다는 데에서 그 한계는 좀 더 객관적인 임상 실험이 필요함으로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 동양적성상담이론에서 인성(印星)의 작용과 자녀의 기본적욕구 충족도 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미정 영산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동양적성상담 이론에서 인성의 작용과 자녀의 기본적인 욕구충족도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성장 발달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환경은 가정이며, 가정 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간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의 양육을 책임지고 있으며 자녀의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어머니에게서 양육되는 자녀라 하더라도 자녀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머니와의 관계를 다르게 받아들이고, 어머니에게서 받는 영향도 다르다. 동양적성상담 이론에 의하면 사람마다 서로 다른 자연에너지의 영향을 받아 태어나므로 자녀 개개인의 성향적 특징을 고려한 양육방법이 필요하다 하겠다. 동양적성상담 이론에서는 인성을 어머니의 역할과 연관지어 본다. 인성이 많거나, 신강이어서 인성이 기신의 작용을 하는 경우 어머니가 부담이 되고, 신약이어서 인성이 필요하고 용신의 작용을 하는 경우 어머니가 도움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어머니가 도움이 되고 부담이 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고, 자녀의 성향에 따라 어떻게 양육방법이 달라져야 하는지도 제시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매슬로의 욕구단계설을 활용하여 자녀와 어머니의 관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녀의 자연에너지의 특징과 기본적인 욕구 충족 정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올바른 자녀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욕구 충족이 잘 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바람직한 삶의 특성을 훨씬 많이 나타낸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고, 안정감이 있으며 건강한 애정관계를 맺으며 자신감이 있고,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자녀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할 때 자녀는 보다 건강하고 올바른 사람으로 자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 내용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에너지에 인성과 비겁이 많은 사람들은 어머니의 간섭이 심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고, 인성과 비겁이 적절하게 있거나, 인성과 비겁이 적은 사람들은 어머니의 간섭이 심하지 않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자녀의 자연에너지상의 성향에 따라 어머니의 간섭을 느끼는 정도가 관계가 있다고 해석된다. 둘째, 인성과 비겁이 많은 사람들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기본적인 욕구충족도가 낮았고, 인성과 비겁이 적절하게 있거나 적은 경우의 사람들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기본적인 욕구충족도가 높았다. 셋째, 인성과 비겁이 많은 사람들은 안전의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기존중의 욕구에 결핍감이 나타났고, 인성과 비겁이 적거나 적절한 사람들은 애정․소속의 욕구와 자기존중의 욕구에서 충족도가 높았다. 무인성의 경우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에서 결핍감이 높았다. 연구 결과, 자녀의 자연에너지에서 인성의 작용과 자녀의 욕구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녀를 진정으로 사랑하려면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녀의 성향을 모르고서 어머니가 원하는 방식대로, 어머니가 좋아하는 대로 사랑을 표현하면 받아들이는 자녀의 입장에서는 그 사랑이 고통스러울 때도 많다. 자녀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성향과 어머니 자신의 성향을 바르게 파악하고 성찰한다면 자녀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 자녀와 바람직한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자녀를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on of Insung and satisfaction of basic needs of children in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for personal growth is the family, and within the home, the mother gives the child the greatest impact. The rel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ren in the family has a strong influences on man's growth and development, and living with others in harmony. But every child has different inclinations. So the effect from the mother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every person is born und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natural energy. So considering their propensity is needed first for bringing up children In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Insung shows mother's role. If a person has many Insungs and Insung has bad effects to him(so called Insung is Gishin), a mother is a burden. On the other way, if a person has few Insuns and Insung had a good acts, a mother is helpful to them.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and a mother by Maslow's hierarchy of need. It also tri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s natural energy and satisfaction of the child's basic needs, and thus the best way of bringing up children. People who met basic needs live better than those who did not. They are healthier physically and mentally, more stable and confident, and can afford to work for self-fulfillment. Children who met basic needs well are healthier and able to grow properly. To achieve this goal, the three researches and thei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ople with a lot of Insungs and Bigups in Natural energy, they felt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Small number of Insungs and Bigups, or moderate, they felt their mother does not interfere them much. Second, people with a lot of Insungs and Bigups were less satisfied.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little Insungs and Bigups or Insungs and Bigups properly were more satisfied. Third, people with a lot of Insungs and Bigups felt the lack of safety needs, love and belonging needs, self-respect desire. But the one with little Insungs and Bigups or Insungs and Bigups properly, love and belonging needs, self-esteem needs were met. In case of the people with no Insung, they felt the lack of love, belonging and self-realization desire. If he/she has low self-esteem, they are likely to become weak and fragile. If he/she feel the lack love and belonging needs, they m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 that the action of Insung and satisfaction of basic needs of children are correlated in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In order to care for children properly, it is necessary to know the tendency of the children. A Mother is most concerned about her child. And she has the most influence on her child. She has to know her child's inclination first for better rearing. And also she must examine her own tendencies. Then she can understand her child better. Goo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can help mother grow up their children properly.

      • 四象哲學의 易學的 思惟에 관한 硏究 : 「格致藁」을 중심으로

        이영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동무 이제마는 조선후기의 인물이다. 두 저서 󰡔東醫壽世保元󰡕과 󰡔格致藁󰡕는 경학적 기초위에 자신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으며 先秦儒學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의 四象說과 性情論은 이런 심리적․도덕적인 상태가 건강에 직결된다는 사실에 초점을 둔다. 易學은 우주와 인간의 존재원리를 천명하는 ‘道’를 밝히는 학문으로 물리적 세계의 법칙인 ‘術’과는 구별되어야할 것이다. 역학의 학문적 탐구과제인 易道는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근원적 원리로 이것을 근거로 만물의 존재 의미(萬物之理)가 밝혀지게 되는 것이다. 기존 儒學의 性情論과는 비교하기 어려운 독창성을 갖는다는 차원에서 논의 되었다. 이는 조선후기에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동무의 이러한 철학적 사유는 󰡔周易󰡕에 바탕으로 한 것으로 󰡔周易󰡕에서는 形而上을 道라 하고, 形而下를 器라고 하여 형이상의 道가 형이하의 器로 드러나는 변화원리에 대하여 밝히고 있다. 즉, 형이상의 天道가 인간 본성인 善性으로 내재화되었기 때문에 인간 본성은 천도를 계승한 형이상적 존재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中庸󰡕에서는 “하늘이 命한 것을 일러 性이라 한다.”고 하여, 天道가 天命을 매개로 하여 인간 본성으로 내재화되는 원리를 밝히고 있다. 따라서 동무의 철학적 사유는 󰡔周易󰡕과 󰡔中庸󰡕에 근거하고 있음이 더욱 분명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무의 학문적 관점은 芸菴 한석지로 부터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단지 학문의 방법론적 차원에서 선진유학적 표현 방식에 영향을 받았을 뿐이며, 내용에 있어서까지 운암의 학문을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다. 단지 동무는 芸菴 사후에 󰡔明善錄󰡕을 보고 우수하다고 평가하였을 뿐이며, 구체적 학문 내용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점이 보인다. 그의 四象醫學은 萬物之理에 속하는 것으로 易道에 근거하여 운용되어 진다고 하겠다. 그 특징은 오행 이론에서도 나타난다. 漢代 이후의 五行說을 전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과학적이고 실증적 차원으로 사물을 관찰하려는 특색이 보인다. 이와 마찬가지로 陰陽五行說을 부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는 사물을 실제적이고 원천적인 자신만의 개념으로 몸(身體)의 관념을 구축하려고 했다. 그로서 기존 儒學書와 다른 四端구조의 형태로 체계화 하여 새로운 학문적 기조를 세웠으며 우주와 인체현상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사단구조의 틀을 완성 하였다. 인간·사회·자연과의 상호연계성을 󰡔東醫壽世保元󰡕에서는 天人性命으로 설명하고 있고 󰡔格致藁󰡕에서는 事心身物로 밝히고 있다. 또한 󰡔周易󰡕의 四象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형이상학적 원리로 파악하지 못하고 대상적 사물의 생성변화로 이해하는 것이 사상의학을 잘못 이해하는 출발이 되고 있다. 여기서 象은 상징화 된다는 뜻으로 四象은 존재가 자기를 표현함에 있어서 四象的 구조로 드러나게 됨을 말하는 것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경학을 자신의 이론적 기반의 근거로 삼는 시도를 하였다. 동무도 역시 경학을 바탕으로 하여 四書 이론을 토대로 사상을 전개 하였다. 또한 경학서 易有太極절을 인용하면서 철저히 四象을 중심으로 그 易理를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그는 유학경전을 창의적으로 소화해 자신의 언어로 드러낸 것이다. The comrade Lee Je-ma is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wo books the󰡔Donguisusebowon󰡕 and the󰡔Gyeokchigo󰡕, are developing their theories on a scientific basis and are influenced by the Qin Confucian. His Sì xiàng shuō(四象說) and the theory of Xìngqíng (性情論) on the fact that these psychological and moral conditions are directly linked to health. Yì xué(易學)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reveals the principle of existence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an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law of physical world. As a research subject of epidemiology, Yì Dào(易道)Based on this principle principle of all things, the meaning of existence of all things (萬 物之理) is revealed It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things that exist and the meaning of all things is revealed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in terms of having originality that is incomparable with the existing Xìngqíng lùn.(性情論) It is characteristic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hilosophical thought of the comrade is based on Zhōuyì, and in Zhōuyì, metaphysical is called road, It describes the principle of change in which the way of metaphysics is revealed as the instrument of the metaphysics. In other words, since the heavenly bodies of the metaphysics are internalized by the human nature, goodness, human nature can be seen to have been made up of the ideals of brotherhood inherited from heaven. In the 󰡔Zhōngyōng󰡕(中庸) of this, "the thing which heavenly order is called Xìng(性)" is said, and the principle that the heavenly way is internalized by the nature of the human being through the virtue Command of the heavens is revealed. Therefore, it is more clear that the philosophical reason of the comrades is based on the Zhōuyì and Zhōngyōng. In general, the scholarly view of comrades is said to be influenced by the union. However, the Dōngwǔ were only influenced by the advanced oriental methodology in the󰡔Míngshàn lù󰡕 aspects of the study, and they did not inherit the discipline of Unam until the contents. His four elephant medicine belongs to all things geography Suǒyǒu de dōngxī(萬物之理) and is operated based on the Jiǎndān de fāngfǎ(易道) The feature also appears in the Five theory.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observing things in a scientific and empirical dimension without fully accepting the Five theory-line theory after the Han Dynasty. Likewise, there was an attempt to deny the YaYin and ng theory. He tried to build the idea of the body with his own original, original and original concept. He established a new academic framework in the form of the Confucian scholarship and the other four divisions, and completed a framework of division structure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the human phenomenon in a multifaceted way. Moreover, it is a starting point to misunderstand Sì xiàng of 󰡔Zhōuyì󰡕 to comprehend the change of subject matter without understanding it as a metaphysical principl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al ideology. It means that the Xiàng is revealed, and the Sì xiàng is that the being is revealed as a four-dimensional structure in revealing oneself. Later Chosun dynasties attempted to make Jīngxué the basis of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The Dōngwǔ also developed ideas based on the four books theory based on the Shìxiàng.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ile Yì lǐ the Yì tàijí . In the end, he creatively digs the scriptures of the Confucianism and expresses them in his own language.

      • 관상학에 나타난 행동심리 연구

        홍윤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관상학은 수세기 동안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運命學, 醫學, 性格心理學 등의 분야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문명의 발달과 함께 전차 학문적 영역에서 밀려나기 시작 하게 되었고, 術數學의 분야에서 명맥을 유지하는데 그치면서, 학문적 연구와 성과가 미흡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관상학은 다른 術數類와 달리 통계학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본 논문은 관상학에서 행동심리를 분석하여 이것을 현대적인 해석방법을 찾아서 적용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심리학은 과학적 영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그 원인을 찾자면 연구모형과 연구데이터의 통계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동물시험을 통해서 인간의 심리를 연구 하였으며, 근대에 들어서 비디오 기술의 발전과 의학적 기기의 발전으로 인간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행동심리 분야가 새롭게 심리학의 영역에 자리잡아가 가고 있다. 심리학에서 성격심리와 행동심리가, 관상학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관상학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행동심리를 분석하며, 행동심리를 찾고자 한다. 관상학의 精神氣, 神骨, 骨肉, 面相의 三停, 六府, 五嶽, 四瀆, 五官과 12宮에 대하여 논술하고, 無形의 相과 有形의 相에서 보여 지는 심리와 성격과 행동심리와 함께, 행동에 따른 富貴貧賤과 性格과 健康, 賢愚 등을 논술 하며, 행동심리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행동에서 나타나는 사람의 감정과 심리상태와, 내면에 감추어진 마음에 대하여 논술 하였다.그리고 관상학을 적용한 성격 적성 진로에 대하야 논술하며 범죄자중 인터넷상에 공개된 흉악범들의 사건과 함께 사진으로 면상위주의 관상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 하고 있다. 관상학에서 성격분석, 직업, 적성에 대하여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범죄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통계적인 데이터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관상학의 분야에서 심리학의 영역과 연결성을 갖는다면, 두 분야 보두 학문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서 큰 발전을 이루게 될 것이다. Physiognomy has had an impact on the areas such as study on fortunetelling, medicine, and personality psychology for centuries as a study on humans. But driven out of the academic area gradual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ivilization, it became to be confined just to the area of Shushu (an academic area trying to consider human destiny including fortunetelling, phrenology etc., which was classified into the divining art, medicine, geomancy, phrenology, and fortunetelling in Sagojeonseo (old book) during Chinese Qing Dynasty) showing the limited results in academic studies. However, physiognomy showed statistical approaches unlike other Shushuryu (types of Shushu).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behavioral psychology in physiognomy and applying it by finding modern analysis method. Psychology has situated itself in scientific areas due to its statistical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data. Psychology investigated human psyche through a variety of animal testings, while in modern times, behavioral psychology has been settling itself newly in the area of psychology as humans started to be studied using the developed video technology and medical devices. In psychology, personality psychology and behavioral psychology can be seen to have similarities in physiognomy. Therefore,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o find the behavioral psychology which appeared in the physiognomic aspects. This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aspects, the mental aura of physiognomy (mental aura is not visible to the eyes, but is regarded important as underlying vitality forming flesh in the Oriental medicine), mental bone, flesh and bone, three parts of face (the face divided into three parts), six parts of face (the face which is symmetrically divided along vertical mid-line and then again divided into the areas of forehead, cheekbone, jaw), five mountains (mountains of the forehead, nose, cheekbone, both chins), four rivers (eyes, nose, mouth, ears), five places of honor (places to see honor, eyebrows, eyes, nose, mouth, ears) and 12 sites (12 places from the forehead to the chin to see family, wealth and health), wealth, personality, health, intelligence etc. as well as the psychology, personality and behavioral psychology revealed by the shapes (forms, physiognomy) of incorporeity and corporeity, and human feelings, psychological state, and inner hidden mind revealed in behaviors by analyzing the text of behavioral psycholog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personality, aptitude, and course applying the physiognomy, and presented the result of analysis of physiognomy based on facial features on photographs along with the photos of public felon criminals whose faces were made public on the Internet. The deeper research seems necessary in physiognomy regarding personality analysis, profession, and aptitude. In addition, physiognomy should be equipped with more diverse statistical data in order to apply them to the criminal sector. If physiognomy can have connectivity with the field of ​​psychology due to these efforts, both fields will achieve great development both in academic and social areas.

      • 韓國傳統의 四柱 分析에 대한 硏究

        한규진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한국전통의 사주분석에 대한 연구로서 미래를 예측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그 역사적 유래와, 현실에서의 활용방법, 그리고 옛 부터 전해 내려오는 과정에서의 변화모습 등을 연구함으로서 미래예측방법에 대한 역사를 알고 그 진실을 밝힘으로서 잘못된 예측으로 인하여 오히려 더욱 힘든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미래예측방법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전해 내려 왔으며, 또한 현재 한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미래예측 방법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방법에 대한 구체적 내용들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과학의 발달로 인한 사람들의 다양한 직업과 환경 등, 현실에 맞는 미래예측 방법이 무엇인가를 알고 각 개인 취향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미래를 예측하여 인간의 삶이 보다 풍요롭고 윤택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논문의 구성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Ⅰ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그리고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Ⅱ장에서는 미래예측방법의 근간이 되는 사주명리에 대한 역사를 알기 위하여 중국의 사주명리 기원, 한국의 사주명리 전래, 그리고 현대에서의 사주명리의 활용을 연구하였으며, Ⅲ장에서는 현대사회에서의 사주명리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연구하기 위하여 자평명리로 본 사주해석, 성명학으로 본 사주해석, 그리고 타로의 유입과 사주 해석 순으로 서술하였으며, Ⅳ장에서는 한국 전통의 미래예측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민속신앙과 사주명리, 당사주의 유래 및 사주해석 방법을 연구한 후, 이지함의 토정비결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마지막 Ⅴ장에서는 앞서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가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역사를 인식함으로서 보다 정확도가 높은 방법을 선택하는 안목을 넓히고자하는 본문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미래예측의 다양한 방법 중 사람의 태어난 년ㆍ월ㆍ일ㆍ시에 각각의 天干과 地支를 적용하여 그 8자를 분석함으로서 사람의 미래를 예측하는 사주분석은 그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대부분의 미래예측방법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는 그 뿌리가 점성학에서 유래 되었으며 전해오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가 있다. 현재 우리가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방법들의 기원인 고대 중국 하ㆍ은ㆍ주 시대의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았고, 진ㆍ한ㆍ당ㆍ송ㆍ명ㆍ청으로 이어지는 중국의 사주명리 역사를 탐구하였으며, 한국의 역사 속에서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 그리고 현대에 이르는 미래예측방법의 전래를 살펴보았다. 사주분석의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평명리의 태동과 유래를 살펴보았으며, 인간이면 누구나 태어나면서 부모로부터 부여받는 이름이 운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성명학으로 본 미래예측, 그리고 최근 우리나라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서양적 미래예측 방법의 하나인 타로에 대한 역사와 현실까지의 유입, 그리고 그 활용에 관한 것을 연구하였다. 또한 예부터 우리의 내면 깊숙이 생활에 잠재해 있던 민속신앙과 미래예측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인의 삶과 함께했던 당사주와 토정비결에 대한 그 역사와 전래과정 그리고 활용방법 등을 알아보았다. 현재 한국인에게 많이 활용되고 있는 미래예측 방법에 대하여 그 역사와 전래과정 그리고 해석방법을 연구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며, 본 논문을 통하여 사주분석의 역사를 알고 정확한 미래 예측의 방법에 한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이 보다 윤택해 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Korean tradition of traditional Korean heritage, and its historical origins and various methods of predicting the future. By studying the history of the future and discovering the changes in the history of the past, we have come through various forward-looking methods to better predict the future of the future by discovering the history of the future and discovering the truth about the future. Also, there are certain methods of predicting the future use of Korean people, and they have studied specific details about the method. Through these studies, we hope to predict the future of people's lives, such as the various jobs and the environment of the people, and choosing the proper methods for predicting the future, predicting more accurate prospects for the future.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 consists of a total of five chapter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 Chapter II of the Chapter describes the history of China's stock credit,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stock marke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stock pooling and the foundation of the future forecast method, In addition, we studied the use of wealth and wealth in the modern age, and we described the interpretation of japyeong and saju in order to study various theories of stock ownership in modern society, in order to study the various theories and interpretations of saju and saju interpretation. In order to study the futu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research institute studied the methods of ijiham, saju, myeongni, dang, and saju,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arlier research, the author summed up the findings of the text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future by recognizing the history of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eight projections of each person's future, which is reflected in the various methods of predicting the person's future, month and year of birth, is highly utilized for analyzing the anticipated future of the person's future, and also applies to most forward-looking methods.It is understood that the roots originated from astrology and were made in various ways in the process of reporting. In the past, we explore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ancient Chinese era, the origin of the dynasty, and explored the history of China, China, and China. We explored the birth and origin of japyeong wealth and how the names of the people were born, and we studied the history of the future, the history of the Western future, and the history of the Western future.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olk beliefs and future predictions of our lives, and we explored the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dang and the tojeong methods and methods of hwaryong the Korean people's lives. It is encouraging to study the history, process and interpretation of the future of the future,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by Koreans, and to learn about the history of employment through this thesis.

      • 合沖刑害破가 四柱分析에 미치는 影響에관한 硏究

        윤훈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A Study on the Effect of Hab?Choong?Hyung?Hae?Pa on the Analysis of Saju Yun, Hun Geun Major in Oriental Philosophy 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There are several methodologies including Gyukgook, Yongsin, Sinsal, Johu and 12unsung that analyze Saju Palja. No methodology deviates from Yinyang and the Five-elements. Both the 10 Celestial-stems and the 12 Earthly-branches were crea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Yinyang and the Five-elements. The 10 Celestial-stems and the 12 Earthly- branches result in Sangsaeng(compatibility)?Sangkeuk(in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Five-elements. The nature of Yinyang is added to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producing Hab?Choong. The mixture of Hab?Choong result in Hoi?Hyung?Hae?Pa. Accordingly, the functional nature between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and Hoi?Hab?Choong?Hyung?Hae?Pa cannot be ignored in analyzing Saju.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are the absolute function of the Five-elements, whereas Hoi?Hab?Choong?Hyung?Hae?Pa are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Coincidently, Hoi?Hab?Choong?Hyung?Hae?Pa serve the absolute function to analyze Saju Palja and at the same time serve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It means that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can be established or cannot be in the aspect of function. It also mean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judge how much functional Hoi?Hab?Choong?Hyung?Hae?Pa are. Therefore, the function of Hoi?Hab?Choong?Hyung?Hae?Pa is occasionally ignored in analizing Saju. This thesis studies on the effect of Hoi?Hab?Choong?Hyung?Hae?Pa on the analysis of Saju. For this purpose, it studies on the natures of the Five-elements and the Stems-branches and understand the functional features of Hoi?Hab?Choong?Hyung?Hae?Pa by figuring out the function of Saeng?Keuk for the Five-elements and the Stems- branches. It examines each principle of Hoi?Hab?Choong?Hyung?Hae?Pa on the basis of the classical texts of Myungri. It investigates the conditions in which Hoi?Hab?Choong?Hyung?Hae?Pa can generate the functions. The function is related to Hoi?Hab?Choong?Hyung?Hae?Pa, though, it is not unconditionally generated. The condition for activation has to be set up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even though Hoi?Hab?Choong?Hyung?Hae?P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The condition for activation is called ‘motivation’. The ‘motivation’ has to begin in order to generate the function when Hoi?Hab?Choong?Hyung?Hae?P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t is not working without the ‘motiv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interrelation of Hoi?Hab?Choong?Hyung? Hae?Pa.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Hae is produced by the relation between Hoi?Hab?Choong?Hyung?Hae?Pa is given by the mixture of one Hap and another Hap, this thesis proves on the fundamental viewpoint that there is negative thing when Hoi?Hab?Choong?Hyung?Hae?Pa are mixed. This thesis recounts the existing Hyung?Hab theory and remote Hab?remote Choong ones from ‘motivation’ of Hoi?Hab?Choong?Hyung?Hae?Pa, a view of activation. This thesis finally verifies its main opinions with examples of Saju written in the classical texts of Myungri by proving it. keyword: Hoi, Hab, Choong, Hyung, Hae, Pa, Yinyang, the Five-elements. the Celestial-stems, the Earthly-branches. 合沖刑害破가 四柱分析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圓光大學校 東洋學大學院 東洋學科 東洋哲學專攻 尹 焄 根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방법론에는 格局이론 用神이론 神殺이론 調喉이론 十二運星이론 등이 있다. 어떠한 사주분석방법론을 취하더라도 벗어날 수 없는 것이 陰陽五行의 이치이다. 음양오행의 상관관계에서 十天干과 十二地支가 만들어졌다. 10天干?12地支는 오행의 성정에 따라 相生?相剋이라는 작용현상이 일어난다. 이 生剋작용에 음양의 속성이 가미되어 合?沖이라는 작용현상이 발생하고, 合?沖의 혼재로 인하여 會?刑?害?破라는 작용현상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사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生?剋과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적 속성을 무시할 수 없다. 生剋작용이 오행의 절대적 작용개념이라면 合?會?沖?刑?害?破는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다. 공교롭게도 合?會?沖?刑?害?破가 사주팔자를 분석하는데 절대적 분석요소임에도 불구하고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기도 하다.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란 작용적 측면에서 성립될 수도 있고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고, 그만큼 合?會?沖?刑?害?破의 작용력을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까닭으로 合?會?沖?刑?害?破의 작용력이 사주분석에서 무시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이 사주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五行의 성정과 干支의 속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五行干支의 生剋작용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적 속성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合?會?沖?刑?害?破 각각의 작용원리에 대하여 명리고서를 통하여 고찰한다. 그런 연후에 合?會?沖?刑?害?破가 그 작용력을 발동하는 조건에 대하여 알아본다. 비록 合?會?沖?刑?害?破가 그 작용관계에 놓여 있다하더라도 무조건 그 작용력이 發動하는 것이 아니다. 작용관계가 성립된 合?會?沖?刑?害?破라도 그 작용이 발동하기 위해서는 發動條件이 성립되어야 한다. 合?會?沖?刑?害?破가 발동하는 성립조건을 ‘動機附輿’라고 칭한다. 즉 작용관계가 성립된 合?會?沖?刑?害?破는 ‘동기부여’가 되었을 때 비로소 그 작용이 발동하고 ‘동기부여’가 없으면 발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새로이 밝혀보았다. 그리고 合?會?沖?刑?害?破 상호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령 合과 沖의 작용관계에서 害의 작용이 발생하고, 合과 合이 혼재하여 刑과 破의 작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合?會?沖?刑?害?破가 서로 혼재할 경우에 좋지 않다는 것을 원리적 시각에서 증명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刑合이론과 遙合?遙沖이론을 合?會?沖?刑?害?破의 ‘동기부여’라는 발동조건적 측면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논증하는 방법으로 명리고서에 나오는 사주사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를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