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美容系列 大學院 敎科課程의 開發에 관한 硏究

        신단주 동덕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의 근대미용은 미용사1호인 오엽주가 1933년 종로 화신백화점에 최초의 미용실을 열면서 시작되었으며 근대미용 교육은 1928년 경성미용학교가 그 시작점이 되었다. 1949년 서울 시청에서 제1회 미용사 자격시험을 치루었고 1961년에 이용사 및 미용사법이 제정되면서 현재와 같은 미용사 면허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 면허시험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화된 교과과정을 정비하게 되었다. 그 후 우리나라의 미용계는 급속한 속도로 발전하여 2년제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대학원에 미용계열학과 및 전공이 개설되고 있다. 이렇게 발전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2년제, 4년제 미용계열 대학의 미용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 개설이 시급한 현실이며 또한 현시대가 요구하는 우수한 인력배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따라서 이연구는 현재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과 외국의 대학, 대학원의 교과과정을 인터넷 검색 및 대학요람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검토하는 문헌적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자료를 토대로 향후 미용계열 대학원이 가야할 교과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이를 기초로 하여 대학원 수준의 교과과정 모델을 개발하는데 그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용계열 대학원 교과과정 방향설정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이며 또한 증가하는 미용계열 관련 대학원의 교과과정 구성에 사전제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미용계열 4년제 대학원 교육의 방향제시를 위해 Beauty related majors are opened in many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levels since the beauty industry in Korea has been developed rapidly. However, their curricula still needs to have a good model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fficiency. Thus, curricula of the beauty related universiti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internet search and handboo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a new curriculum suited to the social situation in Korea. I expect this study will have great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direction for the curricula of the beauty related graduate schools, and valuable for the preliminary presentation for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o show the proper way for the education, I pointed out some problems of the curricula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university levels as follows: Firstly, the curricula were not suited for th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Secondly, the field practice education was missing. Thirdly, there are lots of curricula, thus cannot expect high standard education effec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open the original text reading subject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era. Also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graduate schools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graduate schools shall be divided into the beauty care management field (natural science departments) and the beauty design field (arts and athletics departments). Secondly, the education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of graduate schools shall be differentiated from the curricula in four-year-course universities. Thirdly, the advanced curricula shall be well selected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fuse the related fields and other industries. Considering the above direction of education, I suggested a new curriculum model i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s in graduate schools. First of all, I classified the major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he beauty care field of natural science department and the beauty design field of arts and athletics departments. And then, I classified the beauty care fields into two different majors of the beauty functional cosmetics and beauty health care management. Also, the beauty design field was classified into two majors as both beauty image design and beauty performing arts. As the completion unit of the graduate school was 33 units or more, 11 subjects in 3 units are enough for the course. However I tentatively made a curriculum with 13 courses for each major for students enough to select. The major of the beauty functional cosmetics in the beauty care field will have skin science, hair science, pharmacological information, perfume science, cosmetics chemistry, surface chemistry, coloring and powder for cosmetics, cosmetic color, Chinese cosmetics, functional cosmetics, R & D for cosmetics, manufacturing of cosmetics and marketing of cosmetics. Also, the major of the beauty health care management in the beauty care field will have skin science, hair science, beauty biochemistry, physiology, beauty and diet, head skin clinics, skin treatment, alternative medicine, natural therapy, fatness control, public health, hygienics, disinfection and epidemic. In this major,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auty and the health care management. In the meantime, I classified the beauty design field in the arts and athletics departments into two majors, such as both beauty image design and the beauty performing arts. The major of the beauty image design will have expression of design, history of beauty and culture, colors, hair design, hair design creation, special effect make-up, character make-up, art make-up and hair, total coordination, image making, lighting, image, beauty computer graphic, beauty computer simulation. In this major, students will study about the role of the beauty in modern image industry. Also, the major of the beauty performing arts will have mass culture and arts, expression of design, lighting, stage arts and production, history of performing arts, analysis of works and characters, image making, total coordination, clothing for stage performance, art make-up and hair, character make-up, special effect make-up, traditional performing stage make-up and hair. In this major, students will study how to develop the beauty industry as the beauty arts necessary for the performing arts.

      • 한국연극치료의 역사적 고찰과 실태

        최윤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한국의 예술치료분야가 통합의학의 한 축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이때에 이미 역사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표현예술치료 등의 타 예술분야와 달리 연극치료의 역사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문간 균형 있는 발달과 후학들을 위해서 연극치료학의 역사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연극치료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1990년 초부터 실용화 단계에 이른 현재까지 약 20년의 정착 및 성장과정을 역사적 흐름에 맞게 교칙한다. 둘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높아지는 현대인들의 힐링 욕구에 힘입어 그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사회에 한국연극치료의 올바른 학문적 활용을 도모한다. 셋째, 한국의 연극치료 실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전망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도입 및 정착과 사회·임상·교육·연구적 동향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동향은 언론매체를 신문사 6곳(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방송사 4곳(KBS1·2TV, EBS, MBC, SBS)을 대상으로 연극치료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관 및 단체의 개설현황을 연극치료와 명칭이 일치하거나 연극치료를 다루는 유사관련 단체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범주에 해당되는 기간 중 시행된 임상활동은 정부기관, 공공기관, 사립기관, 병원과 같은 지원기관을 기준으로 임상적 동향에서 정립하였으며, 전문 연극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적 동향을 고등교육기관과 중등교육기관으로 구분한 뒤 대학원과 대학의 학과명 및 전공명 일치 또는, 연극치료 교과교수 현황을 각 성격별로 비교분석하고,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방과 후 연극치료 활동을 전문상담사 및 Wee클래스 배치 현황과 관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적 동향을 통해 국내 출간되어 있는 연극치료 학위논문을 크게 연도·성격·연구대상·검사 도구별로 분류 및 비교하고, 국내 출판되어있는 학술지논문과 서적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공적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한국연극치료는 1990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인한 심리적 안녕이 절실해지던 때 홍유진 박사에 의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이후 1992년부터 2000년도까지 텔레비전을 포함,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그녀가 주도적으로 연극치료 소개 및 시연을 활발히 하였다. 현재까지 방송매체에서 연극치료사 또는 치료프로그램을 다룬 프로그램은 약 42편이며 그 중에서도 1992년부터 2004년까지 홍박사의 연극치료 작업을 다룬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었던 반면에 2005년부터 박미리, 송연옥 등 다양한 연극치료사들의 작업이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이는 한국의 연극치료분야가 다양한 전문가들의 활동으로 폭 넓게 발달하고 활성화되었음을 반증하는 바람직한 사례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연극치료 방송프로그램의 1990년대 초 도입기는 시연을 통한 연극치료 소개 또는 치료사 중심의 특별기획으로 진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최근 매스컴의 동향은 SBS와 EBS 처럼「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달라졌어요 시리즈」처럼 대상중심의 상담 솔루션 형태로 기획되어 방영되는 추세이다. 특히 1992년경 연구소가 개소되기 시작하면서 정신건강을 바라는 이들의 욕구에 충족하고자 관련 기관 및 학회단체도 등장하였다. 이는 도입 후부터 2000년 전후로 약 10여년이 지나서야 각 분야에서 연극치료활성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는데 고무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1세대 연극치료인들이 활발한 임상활동으로 ‘국민 정신건강 회복’이라는 사회적 측면에 힘썼으며 타 예술치료분야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에 ‘통합의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패러다임을 여는 가능성도 보였다. 전문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2001년 원광대학교 보건환경의학대학원 공연예술치료 전공에서 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는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의 연극심리학과 연극치료전공이 개설되면서 명실 공히 한국 최초로 연극치료학과가 대학에서 개별학과로 탄생되었다. 또한 초기에 발표된 연극치료관련 학술지논문과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극요법(Dramatherapy)연구”(중앙대학교 연구논집, 한명희 1991)학술지논문과, “CATHARSIS: Ritual & Theater”(홍유진, 1992,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김진숙, 1994,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한국무속의례의 연극치료(Dramatherapy)”(한명희, 1994, 중앙대: 석사학위논문)가 있다. 연극치료 관련서적은『카타르시스: 굿과 연극 그리고 드라마치료』(홍유진, 1993, 서울: 들불)를 시작으로 저서 5권과, 연극치료를 체계화시킨 해외이론가들의 번역서 10권으로 총 15권이 출판되었다. 번역본은 연극치료의 대표적 학자인 영국의 Sue Jennings, 미국의 Robert Landy와 David Read Johnson이 고안한 EPR모델, Role모델, DvT모델의 정의 및 기법을 소재로 저술한 이론이 주를 이룬다. 1970년대 이후 미국 뉴욕대학교와 영국 허트포드셔 대학교 그리고 센트럴 오브 스쿨 스피치&드라마 대학교 등과 같은 해외교육기관의 활성화와 함께 한국의 연극치료 발달과정은 1990년대는 도입기로 90년대 말로 가면서 해외유학파들이 국내에서 활동을 전개하던 시기이다. 그들은 연극치료 1세대들로서 미국에서 수학하고 동덕여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홍유진 교수, 역시 미국에서 수학하고 명지대 예술심리치료학과를 개설한 김진숙 교수, 영국에서 수학한 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명희 연극치료사가 있으며. 국내파로는 용인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박미리 교수와 다수의 외국 서적을 번역한 이효원번역가 등이 있는데 그들은 모두 한국연극치료 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대표적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연극치료분야는 1세대들의 왕성한 활동에 힘입어서 2세대의 활약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이제 연극을 포함한 각 예술치료분야는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통합예술치료로서의 전향적 발전에 노력해야한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한국예술치료교수협의회 발족은 예술치료의 발전에 의미 있는 행보로 보여 진다. 한국연극치료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성장과 정신문명에 순응하며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추후 통합과 통섭이라는 학문적 비전과 과제를 수행하고 전 인류의 정신문명 발전에 기여되는 연극치료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In the recent years, the field of art therapy in South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the realm of Integrative Medicine; however, the historical research on drama therapy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unlike music, art, dance and expressive arts therapy. Thus, research on history of drama therapy is essential to develop the balance betw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foster students in drama therapy maj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drama therapy for twenty years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90's to its practical application stage up to the present with the historical approach. Second, it promoted to find method to apply the Korea drama therapy to contemporary men who seek to find the holistic healing in the fast growing society. Finally, it suggested the prospect and vision of the Korea drama therapy by analysing application condition of it.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analyse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and social, clinical, and educational, research trends of the Korea drama therapy; therefore it collected the data from six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such as Kyunghyang Newspaper, Dong-A Ilbo, Maeil Business Newspaper,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and four broadcasters such as KBS1 · 2TV, EBS, MBC, SBS.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1)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ith the title of drama therapy and (2)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drama therapy. Clinical activity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defined by the standard of support agenci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institutions, hospitals based on the clinical trends. Next, To analy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professional drama therapy, it researche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after school drama therapy activities and arrangem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s and Wee class from elementary schools to high schools on a national scale, and it also research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statu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by its title, features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Finally, it analysed the current publications such as thesis and articles in journals related to drama therapy. Especially, the theses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by their publication year, features, research target and method. Thus, based on public records and analysed data, the Korea drama therapy was introduced by Dr. Youjin Hong in 1990 when the society had a desperate need of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1992 to 2000, she played a major role on introducing drama therapy and it effect by demonstrating it through the various media including TV. Broadcast media has been covering approximately forty three programs of drama therapists or therapeutic programs. Among them, from 1992 to 2004, the mainstream of the programs was dealing with Dr. Hong's drama therapy works. On the other hand, from 2005 Miri Park, Yeonok Song's drama therapy works also were introduced by media. This proved that Korea drama therapy has developed by the various therapists. In addition, Korea drama therapy programs in the early 1990s were mainly focused on demonstrating drama therapy to introduce its function and effect or on therapist-centered programs; however, the recent media trends has changes to a target-oriented counselling solutions aired in SBS and EBS "My child has changed", "We are different now series". In particular, research institutions began to open in 1992 and in this regard, the institutions and agencies related to drama therapy had emerged to meet the public's need to become mentally well-be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drama therapy in Korea, it has been a tremendous impact on the society that the drama therapy could effect and apply to all kind of field and this overall progress seems very encouraging. As mentioned, the first generation of drama therapists were focused on the social aspect, 'national mental health recovery' and now it shows that a new perspective paradigm of drama therapy as 'integrative medicine' could open in the future. In academia, it became very active to train professional drama therapists. In 2001, Wonkwang University started to foster drama therapists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 Complementary Medicine. In 2006, Dongduk Women's University opened the drama therapy major in the department of drama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it was the first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which offered drama therapy major. The early published articles in journals and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drama therapy were as stated below; "Research on Dramatherapy"(Chung Ang University Research Journal, Myunghee Han 1991), “CATHARSIS: Ritual & Theater”(Yujin Hong, 1992,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Jinsuk Kim, 1994,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Dramatherapy of Korean Shamanistic Ceremony” (Myunghee Han, 1994, Chung Ang Univeristy; Master's thesis). Also there are fifteen books related drama therapy published; five of them were written by Doctor Yujin Hong and her first publication was 『A Catharsis: Gut(shamanistic ritual), Play and Drama therapy』(Yujin Hong, 1993, Seoul, Deulbul), and ten of them were translated books of drama therapy theories which covers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EPR model, Role model DvT model created by Sue Jennings from the UK, Robert Landy and David Read Johnson from the USA respectively. Since the 1970s, drama therapy field has continued to prosper through the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New York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niversity of Hertfordshire in the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London-Central School of Speech & Drama etc.; apart from this, drama therapy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90s and in the late 1990s, students studying abroad regarded as the first generation in the drama therapy field returned to Korea and brought a new phase in drama therapy development. They are professor Yujin Hong who studied in the USA and open a drama therapy major in Dongduk Women's University, and professor Jinsook Kim who studied in the USA as well and open an arts psycho therapy major in Myongji University. and Myunghee Han, a drama therapist, who studied in the UK and has been actively working in the field in Korea. In addition, there are Miri Park who studied in Korea and opened a drama therapy major in Yongin University, and Hyowon Lee, a translator who has translated numerous books related to drama therapy. They all are leading figures who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in Korea. As stated above, the first generation of therapists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has been fully devoted to their works, and now expectation to nurture and flourish the field is high for the second generation. Thus, not only drama therapy but also other arts therapy should strive to develop under the category of integrative arts therapy with complementary perspectives. In that sense, inauguration of Korean professor council for arts therapy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progress of the development of arts therapy. Korea drama therapy has radically developed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growth and spiritual civiliz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y on drama therapy should carry out academic vision and task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civilization of all mankind.

      • 김유라의 졸업작품 「My Story」해설

        김유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소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네 곡의 해설이다. 네 곡을 창작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발표한 네 곡은 지금까지 공부해온 내용들을 토대로 지난 3년간의 본인의 이야기들을 소재로 삼아 쓴 자작곡이다. 각각의 상황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작품으로 구성하였고(1. Walking On a Rainbow, 2. Verlassen, 3. Solar, 4. Everyday I love you), 느꼈던 감정이나 생각들을 각 곡의 주제로 삼아 의도하는 음악적 표현을 위해 다양한 작곡 기법들을 반영하였다. 본론을 통해 졸업 작품 ‘My Story’의 배경, 음악적 특징을 차례대로 전달하고자 한다.

      • 재즈댄스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수옥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재즈댄스가 참여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재즈댄스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 200명과 참여하지 않는 집단 200명을 무선표집하여 총400명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간이정신진단 검사지(SCL-90-R)의 단축형이며 정신건강의 9개 하위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설문 문항수는 총 5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문항에 대한 신뢰도 cronbach' α계수는 .967로 매우 높았으며 각 항목별 신뢰도 계수는 .72∼.86으로 대체로 높았다. 본 연구는 순차형 혼합방법을 사용하여 양적연구를 한 후 재즈댄스에 참여한 집단 가운데 10명을 추출하여 개인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면담 질문내용은 각 요인의 정신건강의 증상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같은 요인끼리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신건강의 9개 하위항목별로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개인별 특성인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참여기간에 따라 나타난 차이와 면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신체화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미만, 학력변인에서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p<.01, p<.001) 신체적 효과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재즈댄스는 신체화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강박증의 관계는 연령변인의 20세 미만을 제외한 성, 연령, 직업, 학력별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p<.01, p<.001) 강박적인 행동들의 소멸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재즈댄스는 강박증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대인민감성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과 41세 이상, 학력변인에서 고교재학과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대인민감성의 경험은 대인관계와 열등감 등의 효과에 대한 만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는 대인민감성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우울과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과 학력변인에서 고교재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우울의 경험은 긍정적인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우울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불안, 편집증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과 학력변인에서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불안과 편집증의 경험은 각각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불안과 편집증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적대감, 공포불안의 관계는 성별에서 남자,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 학력변인에서 고교재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적대감과 공포불안의 경험은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적대감과 공포불안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신경증의 관계는 성별에서 남자,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 학력변인에서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신경증의 경험에서 긍정적인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신경증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덟째, 참여집단에서 참여기간과의 관계는 신체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신경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따라서 위의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즈댄스 참여는 정신건강의 모든 요인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clarifying the effect that jazz dance brings to mental health. The target of this study will be 200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any jazz dance activity and 200 people of those who do not. Randomly, 400 people were selected. The questionarre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a contracted form of SCL-90-R, 9 low-ranking items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are 50. This study used 'orderly alligation' and do quantitative study first and after the personal interview if 10 jazz dance participants qualitative study was done. The demographic characters(gender, age, job, education, duration) of the personal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jazz dance will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physicalization came out high in the 20s of age section and over graduate schoo in the education section(p<.05, p<.01, p<.001).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 it was also clear to see that the physicalization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obsessional neurosis came out high in the gender, age, job and educational factor except for the age 20s(p<.05, p<.01, p<.001). Also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atisfaction of obsessional neurosis was quite high. Third,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anthropophobia was clear in all factors except age below 21 and over 41 years old and educational levels which are not attending high school and above graduate school(p<.01, p<.001). Also the satisfaction of anthropophobia was quite high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Four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depression was high in all factors except below age 20s and high school attendants(p<.05, p<.01, p<.001). Also the satisfaction of depression was high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Fif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anxiety, paranoia was high among all factors except ages below 20s and educational status above graduate school(p<.05, p<.01, p<.001). The satisfaction of hostility, paranoia was high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Six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hostility, fear was high among all factors except ages below 20s and educational status attending high school(p<.05, p<.01, p<.001).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atisfaction towards hostility, fear was high. Seven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neurosis was high except ages below 20s and educational status above graduate school(p<.05, p<.01, p<.001).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atisfaction towards neurosis was high. Eighth,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nts' group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somatization, however the effect towards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was high and clear(p<.05, p<.01). According to all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and interviews it is clear to see that the participation of jazz dance does bring positive effects to the mental health.

      • 인간 욕망의 시각화 연구 :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정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나의 논문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보석을 통해 본 인간의 욕망>이라는 주제로 ‘대학원 졸업 작품 평가를 위한 개인전(2010.5.18-5.24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전시된 나의 작품들을, 인간이 지닌 욕망 중 탐욕을 보석이라는 소재를 채택하여 인간의 탐욕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그 탐욕을 여성의 대표적인 소유욕의 대상인 보석을 통해, 어떻게 보석을 시각화 가능한지, 그 표현 가능의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정보화시대인 오늘날, 현대인들은 정보를 이용하여 자본축적을 꾀하고 자신의 사회적인 지위나 부(富)를 쌓으려고 노력한다. 본인의 작품은 비물질적인 것까지도 물질화시키려는 자본주의적 성향이 만연한 이러한 현대사회의 현상을 본인의 통해 이야기해 보고자 하였다. 전시 제목으로 ‘밀란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제목을 차용하였다. 이는 절대로 부정할 수 없는 어떤 존재의 이면적인 면에 대한 이해와 오묘하게 대립하는 현실을 본인의 작품 제목으로 차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 졸업전시에서 현대인들의 일상을 표현했던 나의 작품들은 대학원에 들어와 그 주제가 점점 구체화되면서 그들이 갖는 삶의 욕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을 철학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1901~1981)과 ‘에리히 프롬(Erich Pinchas Fromm, 1900-1980)’의 사회와 자본, 그 안의 인간관계 해명을 통해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원에서의 작업은, 한편으로는 정형적(定型的)인 동양화에서 벗어나 현대인간의 다양한 시각을 표현하고자한 것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회화의 근본인 색과 형이라는 면에서 전통적인 채색화 방법으로 나만의 형상법을 표현해 보고자하는 노력이었다. 작업이 지속됨에 따라 표현방법상 다양한 조형기법이 시도되었고, 그것은 기존의 채색방법과 조형물의 설치의 혼용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채색방법은 두 가지였다. 즉 화면에 그리는 방식과 색은 색보다 감성의 표현에 적합하므로 색을 사용하여 현대인들이 다양한 욕구를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본인은 작품이 진행되면서 현대인의 내면의 욕망을 조형요소로 활용하여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가시화 작업을 통해 현대인의 다양한 욕망의 이면을 들여다 보게 되었다. 현대인의 욕구는 다양하다. 현대인의 그러한 욕구를 표현한 작가로 전통채색기법을 고수하는 손동현(1980~ )이나 고통스런 일생을 살며 결핍된 욕망을 그림으로 승화시킨 프리다 칼로(1907~1954),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회에 직면한 여성으로 작업으로 시작한 이불 (1964~ ), 남성성이 강한 사회에서 여성성을 강조하며 메시지를 전달하는 조지아 오키프(1887~1986) 등의 작품을 예를 들어, 현대인의 다양한 욕구를 이해할 수 있게 되리라 생각한다. 즉 동시대의 현대작가들의 작품의 생각이나 표현방법, 접근방법을 통해 본인은 이해폭이 넓혀졌다고 생각한다. 본인의 앞으로의 세계관이나 그 세계관을 어떻게 작품화 할 것인가 하는 본인의 세상에 대한 관심인 주제의 확산도 기대해 보고, 표현방법 면에서도 동시대의 다양한 조형적 실험과 표현이 만연한 작품사이로 본인도 부조물 설치와 같은 실험적인 표현방식까지 조형적 이미지로의 채택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The thesis began from the art pieces of my ‘solo exhibition of graduation work (May 18-24, 2011 at Dong-duk Art Gallery’ which had the theme of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 Human Beings Desire shown through Jewels>. I chose jewels to show greed, one of the human beings desires. Both greed and my personal thoughts on human’s greed were shown as jewels that are representative objects that women are very possessive about. The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methods to express and visualize the jewels Today, in the information-orientedera, people accumulate capital through information and try to improve their wealth or social status. The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with bourgeois attributes which try to materialize nonmaterial thing were discussed through my artwork. The title of the exhibition was borrowed from one of the books by ‘Milan Kundera’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It can be said that the reality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abnormal side of some beings that cannot be denied and the mysterious conflict co-existwas applied to the title. My graduation work for university was about modern people’s daily life. It became much specified and detailed as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I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desire of them in lives. The work, perhaps,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interpretationof society, capital, and human relationship in them studied by philosophers Jacques Lacan (1901~1981) and Erich Pinchas Fromm (1900-1980). Out of the typical oriental paintings, my work during the graduate school contained various perspectives of modern people and was inspired by the hope to express the work by my own ways starting from the traditional coloring methods. As the work continued, various modeling techniques had been applied for expression and they were mostly shown by the mixture of the previous coloring techniques and installing sculptures. Two types of techniques were used: one was to draw on the screen and another one was to color the drawing to express various desire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visualizing work of the internal desires of modern people using sculptures, I was able to observe the hidden side of the desires. The desires of modern people var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rtists who expressed the desire including Son Dong-hyeong (1980~ )with the traditional coloring technique, Frida Kahlo (1907~1954) who sublimated the lack of desires in art living a painful life, Lee Bul (1964~ )who started artwork by facing against society as a woman, and Georgia O'keeffe (1887-1986) who delivered messages about femininity in the masculine society. I believe that we all became to learn the aspects and desire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ir works. In other words,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modern people was broadened by the expressing or approaching techniques of the modern artists of the same age. It is expected that the subject I am interested in, how view of the world will be applied to artworks, will sprea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switch experimental expressing techniques including the installation of sculptures, variously used in modern society, to shaping images. Among the works of the same period that include various modeling experiments and expressions, my works with my own thoughts and subjectivitythat show the desires of myself and modern people will be continued.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지윤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RLSS-CS)와 스마트폰 중독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설문지를 배부하여 온오프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따라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으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주요변인의 기술통계치와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후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 모두에게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성향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정적상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사용자군 대학생에게서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 모두에게서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 사용자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심화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독 성향에 따라 상이한 매개효과가 도출된 본 연구결과는 중독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개입이 필요하며 특히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 대해서는 보다 세밀하고 통합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기술하였다. 주요어: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스마트폰 중독 경향,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diated by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university students. We collected on/off line questionnair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from 351 Korea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addiction to smartphone, they were divided into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We identifi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ationships between major variables on these groups. To verif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e used a three-step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Ou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addictive tendency of smartphone, and the static correla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significant in both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in general user group college student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on the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was not significant in both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eneral user group directly affects the addiction tendency of the smartphone and that the tendency of addiction of the smartphone can be intensified through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rom the results, different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addiction tendency, we suggest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addiction tendency, and more detailed and integrated examination is needed especially for the high/potential risk users. We described the valuabl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Key words: Life Stres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General User Group

      • 한국어 교육 초급 문법 항목 선정과 범주화를 위한 연구

        황지원 동덕여자대학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es on selecting grammatical items suitable to each level in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o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in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importance of study of grammar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preceding researches on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ere examined. In Chapter 2, since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teaching grammar as native language in the objects to be educated, educational purpose,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need was discussed for categorizing the grammar of Korean languag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 presented ‘basic grammatical factors’, ‘syntax and meaning’, and ‘sentence expansion’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Korean language. The ‘basic grammatical factors’ mean word order, particle, and conjugation in understand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he ‘syntax and meaning’ refers to syntax such as tense, negation, honorific that expresses semantically complex concepts based on ‘basic grammatical factors’, and the meaning such as presumption, wish. The ‘sentence expansion’ means modification, connection, connotation, and quotation that are necessary to form more complex structure. The grammar category presented in Chapter 2 was used as the framework to analyze grammatical items of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3 and Chapter 4 and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Chapter 3 examined the contents and criteria of elementary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at is conducted domestically, and <Public Grammar list>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grammatical items evaluated in the grammar part of the 16th∼18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connected together. Besides, the elementary grammatical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looking at the text books like Konkuk지원University’s지원<Discovering지Korean지Language>,지Sogang University’s지<Sogang지Korean지Language>,지and지Ewha지Womans University’s <Ewha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the grammatical items that were chose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presented by grammar category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5,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previously discussed researches and based on the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es was reaffirmed. Moreover, the possible direction for better researches was suggested in the area of selecting and categorizing grammatical items of educa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각 단계에 맞는 문법 항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중요성과 한국어 문법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문법이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면에서 국어 문법과 다르기 때문에 국어 문법 범주와는 다른 한국어 문법 범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초급 단계의 한국어 문법 범주로 ‘기본 요소’, ‘통사 의미’, ‘문장 확대’를 제시하였다. ‘기본 요소’는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어순, 조사, 활용을 뜻하며, ‘통사 의미’는 ‘기본 요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의미적으로 복잡한 개념을 표현하는 시간, 부정, 높임 등의 통사와 추측, 희망 등의 의미를 말한다. ‘문장 확대’는 통사적으로 더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수식, 연결, 내포, 인용 등이다. 2장에서 제시한 문법 범주는 3장과 4장에서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분석하고 선정하는 틀로 사용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숙달도 시험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평가 내용과 기준,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공개문법목록>,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16∼18회 문법 영역에서 평가된 문법 항목을 서로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급 문법 평가 내용이 <공개문법목록>과 출제된 문법 항목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였으며 <공개문법목록>은 초급 문법 항목으로 보기 어려운 문법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어 교재의 초급 문법 항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건국대학교의 『한국어』, 서강대학교의 『서강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 한국어』를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세 교재에 제시된 문법 항목에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한국어』와 『이화 한국어』는 초급 단계에서 교수·학습하기에 난이도가 있는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고, 『서강 한국어』는 다른 두 교재에 비해 문법 항목의 수가 적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급 단계에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한국어 문법 범주별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이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문법 항목 선정을 위한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서인혜의 졸업작품 「세상의 끝, 피니스테레 (Finisterre)」 해설

        서인혜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3곡의 창작곡을 분석한 것이다. 작품 분석은 대학원 과정에서 학습한 음악이론을 바탕으로 작품 배경, 형식, 선율, 화성, 편곡 구조를 각 분석하여 각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설명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삶에 관한 실존적,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책, 작가 ‘파스칼 메르시어’의 <리스본행 야간열차>를 읽고 평소 본인이 고민해오던 많은 가치관들이 해소되었으며, 이 책을 읽고 영감받았던 문구들을 통하여 창작곡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졸업공연에서 연주한 3곡은 모두 본인의 창작곡이다. 총 악기구성은 색소폰, 피아노, 콘트라베이스, 드럼으로 편성하였고 즉흥연주(Improvisation)를 포함하고 있다. 각 곡의 장르와 악기 편성을 다르게 하여, 작품 전체의 통일성을 추구하면서도 다양한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본론을 통하여 졸업 공연에서 연주된 작품들의 연주 형식, 작곡, 편곡에 대해서 각 분석 및 음악적 특성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곽경숙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로 취업스트레스, 경제적 스트레스, 진로, 장래에 대한 스트레스 등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과 정서적 불안감,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연극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연극치료가 대학생들의 정서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분석이며 둘째,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역할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 하는데 있다. 서울 D대학교의 2, 3학년 총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극치료프로그램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극치료프로그램집단은 ‘역할이해-역할탐색-역할확장’의 과정을 통해 2009년 1월 7일부터 2월 13일까지 주 2회, 총 12회기, 약 1400여분의 연극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한 후에 프로그램 진행 동안의 학생들의 변화과정을 관찰하고 일지를 작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참여자들에게 먼저 사전검사를 실행한 후에, 연극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 후 사후검사를 통해 정서적 안녕감이 얼마만큼 향상이 되었는지를 SPSS 12.0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질적 연구를 위하여 그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극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대부분은 초반엔 각자의 우울감과 정서적 불안감,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 장래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였고, 연극치료프로그램 진행 후의 자기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하였다. ‘연극놀이’를 통한 자연스런 접촉과 신체표현으로 친밀감을 형성하고 서서히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으로 내가 원하는 것, 나의 감정, 느낌, 생각을 연극치료의 기법들을 통해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즉흥극’과 ‘역할극’ 과정에서 자신의 고민과 문제를 표현, 공유, 소통하며 자기 성장의 기회를 찾기 위한 모습을 보였으며, 우울감과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불안감이 감소되고 스트레스 압박의 틀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프로그램의 실시가 정서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설 1)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것이다.’ 가설 2)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것이다.’ 가설 3)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상태적 기분감을 변화시킬 것이다.’ 가설 4)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정서적 불안감을 낮출 것이다.’라고 하는 네 가지 차원에 대해 연극치료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안녕감을 확인하기 위한 네 가지 가설의 차원인 우울감, 정서적 불안감, 상태적 기분감, 심리적 안녕감의 차원 모두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연극치료가 정서적 안녕감을 긍정적으로 높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극치료가 대학생들의 정서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향후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적 안녕감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계발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 된다. The present paper is about a research of the effectiveness on undergraduate's emotional well-being through drama therap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bout drama therapy by applying the program to the students. Especially to the students who were going under variety of stress as employment stress and about the future attend to have depression, emotional insecurity which appealed to psychological anxiety. I applied this program to twenty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at the 'D'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n I divided them in to two groups of participation group and controlled group and let them process the 'search and recognize' by the 'role-realization - role-exploration - role-aggrandizement'. This procedure was held two times a week to the total of twelve rounds which approximately ended to 1,400 minutes. Before I let them through the program, I did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en examined their behavior and reaction when the program was applied. After the therapy, I operated the SPSS 12.0 to define the emotional well-being improvement. The initial state of each student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was appealing psychological anxiety as depression, emotional insecurity and financial stress. They expressed that they were looking forward to their changes after the therapy. Through the drama therapy, students had natural contacts and body expression which led them close to each other. Due to this outcome, each student understood their body, emotion and mind. They have acknowledged what they want, how they feel and think by following the drama therapy techniques. Furthermore, by the process of the 'impromptu play' and 'role play', students have expressed, shared and communicated with their agony. In addition, they tend to find the chance for their self growth which showed their depressi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nxiety to decrease. This process led each one of them to free themselves from the stress they were suffering from. The present research presumption was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will have effectiveness upon emotional well-being. To verify this presumption,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drama therapy will enhance the students' emotional well-being.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therapy will reduce the students' depression. The third was that the it will change the students' conditional feelings. The last was that the therapy will lower the emotional insecurity. These four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the process. To the result, depression, emotional insecurity, conditional feeling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progressed. This defines the drama therapy program improves affirmative to the emotional well-being. The main significance to the research is that it confirms the drama therapy influences a positive effect to the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it establishes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 to elevate the emotional well-being for the students who are exposed and intimidated to psychological health variety of role stress. Through this research, the drama therapy have improved affirmative to the emotional well-being, we should consider developing a program to elevate the emotional well-being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